KR20240049097A - 박막트랜지스터,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박막트랜지스터,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9097A
KR20240049097A KR1020220175981A KR20220175981A KR20240049097A KR 20240049097 A KR20240049097 A KR 20240049097A KR 1020220175981 A KR1020220175981 A KR 1020220175981A KR 20220175981 A KR20220175981 A KR 20220175981A KR 20240049097 A KR20240049097 A KR 20240049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lectrode
thin film
film transistor
a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5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한
문성권
김지훈
손승석
양신혁
이우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0767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75923A1/ko
Priority to US18/208,263 priority patent/US20240120342A1/en
Priority to CN202311217030.3A priority patent/CN117855286A/zh
Publication of KR20240049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90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9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having a semiconductor body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material, e.g. zinc oxide, copper aluminium oxide, cadmium stann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9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 H01L29/4908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for thin film semiconductor, e.g. gate of TF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969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not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ome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박막트랜지스터, 이를 포함한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박막트랜지스터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채널영역, 상기 채널영역의 일측에 이어진 소스영역 및 상기 채널영역의 다른 일측에 이어진 드레인영역을 포함하는 액티브층, 상기 액티브층의 일부 상에 배치되는 게이트 절연층, 상기 게이트 절연층 상의 전극 도전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티브층의 상기 채널 영역과 중첩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전극 도전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티브층의 상기 소스영역으로 연장되며 상기 소스영역의 일부와 접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전극 도전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티브층의 상기 드레인영역으로 연장되며 상기 드레인영역의 일부와 접하는 드레인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액티브층은 열처리에 의한 결정(crystal)을 포함하는 상태의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지고, 온전한 평면 형태로 배치된다.

Description

박막트랜지스터,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THIN FILM TRANSISTOR,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TRANSISTOR ARRAY SUBSTRATE}
본 발명은 박막트랜지스터,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표시장치는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전과 같이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표시장치는 영상 표시를 위한 광을 방출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의 구동을 위한 신호 또는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은 영상 표시를 위한 광이 방출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편광 부재 또는 발광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에는 각각의 휘도와 색상으로 광이 방출되는 서브 화소들이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은 기판과, 기판 상에 배치되고 서브 화소들에 각각 대응되는 화소 구동부들을 포함한 회로층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에 의해, 표시 영역의 서브 화소들로부터 각각의 휘도와 색상으로 광이 방출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화소 구동부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 및 액티브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박막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으로 전달된 구동신호에 의해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 간의 전압차가 임계치 이상이 되면, 액티브층의 채널영역을 통해 전류가 흐르는 스위칭 소자일 수 있다.
한편,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시, 마스크 공정 수가 증가할수록 제조 비용이 증가하고 수율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마스크 공정 수를 감소시키는 경우, 박막트랜지스터의 구성요소들이 각각의 특성에 맞는 마스크 공정으로 마련되지 못하므로, 박막트랜지스터의 구성요소들이 설계대로 마련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짐으로써, 박막트랜지스터의 전류 특성의 신뢰도 및 균일도가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교적 적은 개수의 마스크 공정들로 마련될 수 있으면서도 전류 특성의 신뢰도 및 균일도를 유지할 수 있는 박막트랜지스터, 이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트랜지스터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채널영역, 상기 채널영역의 일측에 이어진 소스영역 및 상기 채널영역의 다른 일측에 이어진 드레인영역을 포함하는 액티브층, 상기 액티브층의 일부 상에 배치되는 게이트 절연층, 상기 게이트 절연층 상의 전극 도전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티브층의 상기 채널 영역과 중첩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전극 도전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티브층의 상기 소스영역으로 연장되며 상기 소스영역의 일부와 접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전극 도전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티브층의 상기 드레인영역으로 연장되며 상기 드레인영역의 일부와 접하는 드레인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액티브층은 열처리에 의한 결정(crystal)을 포함하는 상태의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지고, 온전한 평면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액티브층 중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 각각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의 이격 영역들은 상기 채널 영역과 나란하게 연속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액티브층은 상기 기판을 덮는 버퍼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은 층간 절연층으로 덮일 수 있다. 상기 액티브층 중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 각각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의 이격 영역들은 상기 층간 절연층과 접하고 상기 층간 절연층을 상기 버퍼층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액티브층 중 상기 채널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의 적어도 일부는 도전화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액티브층 중 상기 소스전극 및 상기 드레인전극 각각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의 이격 영역들은 도전화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전극 도전층은 상기 게이트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티타늄(Ti)으로 이루어진 제1 금속층, 상기 제1 금속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티타늄(Ti)보다 낮은 저항을 갖는 금속재료로 이루어진 제2 금속층, 및 상기 제2 금속층 상에 배치되고 ITO(Indium Tin Oxide)로 이루어진 제3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은 서브 화소들이 배열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배치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한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서브 화소들에 각각 대응하는 화소 구동부들을 포함하는 회로층을 포함한다. 상기 화소 구동부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상기 회로층 중 하나의 박막트랜지스터는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채널영역, 상기 채널영역의 일측에 이어진 소스영역 및 상기 채널영역의 다른 일측에 이어진 드레인영역을 포함하는 액티브층, 상기 액티브층의 일부 상에 배치되는 게이트 절연층, 상기 게이트 절연층 상의 전극 도전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티브층의 상기 채널 영역과 중첩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전극 도전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티브층의 상기 소스영역으로 연장되며 상기 소스영역의 일부와 접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전극 도전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티브층의 상기 드레인영역으로 연장되며 상기 드레인영역의 일부와 접하는 드레인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액티브층은 열처리에 의한 결정(crystal)을 포함하는 상태의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지고, 온전한 평면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액티브층 중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 각각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의 이격 영역들은 상기 채널 영역과 나란하게 연속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로층은 상기 기판 상의 차광 도전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티브층 중 적어도 상기 채널영역과 중첩되는 차광 전극,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차광 도전층을 덮는 버퍼층, 상기 버퍼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를 덮는 층간 절연층, 및 상기 층간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평탄화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티브층 중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 각각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의 이격 영역들은 상기 층간 절연층과 접하고 상기 층간 절연층을 상기 버퍼층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액티브층 중 상기 채널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의 적어도 일부는 도전화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액티브층 중 상기 소스전극 및 상기 드레인전극 각각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의 이격 영역들은 도전화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전극 도전층은 상기 게이트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티타늄(Ti)으로 이루어진 제1 금속층, 상기 제1 금속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티타늄(Ti)보다 낮은 저항을 갖는 금속재료로 이루어진 제2 금속층, 및 상기 제2 금속층 상에 배치되고 ITO(Indium Tin Oxide)로 이루어진 제3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층은 상기 비표시 영역의 일부에 배치되는 신호 패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패드들 중 하나의 신호 패드는 상기 차광 도전층과 동일층으로 이루어진 제1 패드층, 및 상기 전극 도전층과 동일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패드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패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은 상기 회로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화소 구동부들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층은 상기 화소 구동부들에 스캔 신호를 전달하는 스캔 게이트 배선, 상기 화소 구동부들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배선, 및 상기 화소 구동부들에 초기화 전압을 전달하는 초기화 전압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소 구동부들 중 하나의 화소 구동부는 상기 발광 소자들을 구동하기 위한 제1 전원과 제2 전원을 각각 전달하는 제1 전원 배선과 제2 전원 배선 사이에, 상기 발광 소자들 중 하나의 발광 소자와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데이터 배선과 상기 제1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캔 게이트 배선의 스캔 신호에 기초하여 턴온되는 제2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제1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2 박막트랜지스터 사이의 제1 노드, 및 상기 제1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하나의 발광소자 사이의 제2 노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소 커패시터, 및 상기 초기화 전압 배선과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초기화 게이트 배선의 초기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턴온되는 제3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 배선은 상기 차광 도전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중 하나는 상기 게이트 절연층과 상기 버퍼층을 관통하는 제1 전극 연결홀을 통해 상기 제1 전원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중 다른 나머지 하나는 상기 게이트 절연층과 상기 버퍼층을 관통하는 제2 전극 연결홀을 통해 상기 차광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발광 소자는 상기 평탄화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평탄화층과 상기 층간 절연층을 관통하는 애노드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1 박막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애노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층은 상기 액티브층과 동일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패시터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소 커패시터는 상기 커패시터 전극과 상기 차광 전극 간의 중첩 영역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은 기판 상에 비결정 상태의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진 제1 반도체 재료층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반도체 재료층에 대해 열처리를 실시하여, 상기 열처리에 의한 결정(crystal)을 포함하는 상태의 제2 반도체 재료층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2 반도체 재료층을 덮는 게이트 절연층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절연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제2 반도체 재료층의 양단에 각각 인접한 제1 보조홀과 제2 보조홀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절연층 상에 전극 도전층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 도전층을 마스크로 이용한 상태에서 상기 게이트 절연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하고 제2 반도체 재료층의 일부를 도전화하여, 액티브층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반도체 재료층을 마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반도체 재료층에 대한 열처리는 섭씨 300도 내지 섭씨 450도 사이의 온도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액티브층을 마련하는 단계에서, 상기 게이트 절연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과정은 불소(F)를 포함하는 식각재료를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불소(F)를 포함하는 식각재료에 대한 상기 제2 반도체 재료층의 식각율은 상기 제1 반도체 재료층의 식각율보다 낮다. 이에, 상기 액티브층을 마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액티브층은 온전한 평면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전극 도전층을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게이트 절연층 상에 티타늄(Ti)을 포함하는 제1 금속층과, 상기 제1 금속층보다 낮은 저항의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제2 금속층과, ITO(Indium Tin Oxide)를 포함하는 제3 금속층을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금속층, 상기 제2 금속층 및 상기 제3 금속층의 적층물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전극 도전층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금속층, 상기 제2 금속층 및 상기 제3 금속층의 적층물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과정은 상기 불소(F)를 포함하는 식각재료를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홀 및 상기 제2 보조홀을 배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보조홀 및 상기 제2 보조홀이 배치된 이후에, 상기 제2 반도체 재료층 중 상기 제1 보조홀 및 상기 제2 보조홀을 통해 각각 노출된 제1 컨택 보조부 및 제2 컨택 보조부는 상기 게이트 절연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식각 재료와 접촉되어 도전화될 수 있다.
상기 전극 도전층을 마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극 도전층은 상기 제2 반도체 재료층의 중앙 일부와 중첩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제2 반도체 재료층의 일측과 중첩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제2 반도체 재료층의 다른 일측과 중첩되는 드레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은 상기 제1 보조홀을 통해 상기 제2 반도체 재료층의 상기 제1 컨택 보조부와 접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전극은 상기 제2 보조홀을 통해 상기 제2 반도체 재료층의 상기 제2 컨택 보조부와 접할 수 있다.
상기 액티브층을 마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반도체 재료층 중 상기 게이트 절연층으로 덮인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일부가 도전화되어, 상기 액티브층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액티브층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중첩되는 채널영역, 상기 채널영역의 일측에 접하는 소스영역, 및 상기 채널영역의 다른 일측에 접하는 드레인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영역은 상기 제1 컨택 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영역은 상기 제2 컨택 보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반도체 재료층을 배치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기판 상의 차광 도전층을 덮는 버퍼층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액티브층을 마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전극 도전층 및 상기 액티브층을 덮는 층간 절연층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층을 배치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액티브층 중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 각각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의 이격 영역들은 상기 층간 절연층과 접하고 상기 층간 절연층을 상기 버퍼층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트랜지스터는 기판 상의 액티브층, 액티브층의 일부 상에 배치되는 게이트 절연층, 및 게이트 절연층 상의 전극 도전층으로 각각 이루어지는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이 동일층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에 필요한 마스크 공정 수가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티브층은 열처리에 의한 결정(crystal)을 포함하는 상태의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진다. 결정을 포함하는 상태의 산화물 반도체는 비결정 상태의 산화물 반도체에 비해, 불소(F)를 함유하는 식각재료에 의한 식각율이 낮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은 비결정 상태의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진 제1 반도체 재료층에 대해 열처리를 실시하여, 결정을 포함하는 상태로 이루어진 제2 반도체 재료층을 마련하는 단계와, 전극 도전층을 배치하는 단계와, 제2 반도체 재료층의 일부를 도전화하여 액티브층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전극 도전층을 배치하는 과정에서 불소(F)를 함유하는 식각재료가 이용되고, 이때 제2 반도체 재료층 중 일부가 식각재료에 노출되더라도, 제2 반도체 재료층이 부분적으로 제거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트랜지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은 비교적 적은 횟수의 마스크 공정 수로 마련될 수 있으면서도, 전류 특성의 신뢰도 및 균일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의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비교적 적은 횟수의 마스크 공정에 의해서도, 비교적 높은 신뢰도와 비교적 높은 균일도의 전류특성을 나타내는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한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이 마련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한 면의 일 예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회로층에 대한 일 예시를 보여주는 레이아웃도이다.
도 5는 도 4의 하나의 서브 픽셀에 대한 일 예시를 보여주는 등가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화소 구동부 중 제1 박막트랜지스터와 화소 커패시터에 대한 일 예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를 따라 절단한 면의 일 예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27은 도 8의 각 단계에 관한 공정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한 면의 일 예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동영상이나 정지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및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워치 폰(watch phone),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노트북, 모니터, 광고판,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등의 다양한 제품의 표시 화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양자점 발광층을 포함하는 양자점 발광 표시 장치, 무기 반도체를 포함하는 무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micro or nano light emitting diode(micro LED or nano LED))를 이용하는 초소형 발광 표시 장치와 같은 발광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장치(1)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기 절연 재료, 유기 발광 재료 및 금속 재료를 포함한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는 좌우측 끝단에 형성되며, 일정한 곡률을 갖거나 변화하는 곡률을 갖는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표시 장치(1)는 구부러지거나, 휘어지거나, 벤딩되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도록 유연하게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과 대향하고 발광 소자층(13)을 덮는 보호 기판(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표시 장치(1)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의 회로층(도 3의 12)의 데이터 배선(도 4의 DL)들에 각각의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표시 구동 회로(31), 및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과 표시 구동 회로(31)에 각종 신호들과 전원들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 기판(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은 기판(11)과, 기판(11) 상에 배치되는 회로층(12)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은 회로층(12) 상에 배치되는 발광 소자층(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발광 소자층(13)은 기판(11)과 보호 기판(20) 사이에 배치된다.
회로층(12)은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서브 화소들 각각의 구동 신호를 발광 소자층(13)에 공급한다. 발광 소자층(13)은 구동 신호에 따라 서브 화소들 각각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발광 소자층(13)의 광은 기판(11)과 보호 기판(2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로써, 표시 장치(1)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장치(1)는 영상 표시를 위한 광이 방출되는 표시면 중 사용자가 터치한 지점의 좌표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 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 유닛은 커버 기판(20)의 일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과 커버 기판(20) 사이에 내장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유닛은 표시면에 대응한 터치 감지 영역에 배열되고 투명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터치 전극(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감지 유닛은 터치 전극에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터치 전극의 정전 용량 값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터치 입력 여부 및 터치가 입력된 지점의 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커버 기판(20)은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에 대향 합착될 수 있다.
커버 기판(20)은 외부의 물리적, 전기적 충격에 방어하기 위한 강성을 제공하는 수단일 수 있다. 커버 기판(20)은 절연성 및 강성을 갖는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과 커버 기판(20) 사이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과 커버 기판(20)을 합착시키는 실링층(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장치(1)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과 커버 기판(20) 사이를 메우는 충진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표시 장치(1)의 표시면은 제1 방향(X축 방향)의 단변과 제1 방향(X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축 방향)의 장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다만,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표시 장치(1)의 표시면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표시면은 제1 방향(X축 방향)의 단변과 제2 방향(Y축 방향)의 장변이 만나는 모서리(corner)가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둥글게 이루어진 형태일 수 있다. 또는, 표시면은 다각형, 원형 및 타원형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도 1은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이 평판 형태인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은 Y축 방향의 양단이 구부러진 형태일 수 있다. 또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은 구부러지거나, 휘어지거나, 벤딩되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도록 유연하게 마련될 수 있다.
표시 구동 회로(31)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들과 전압들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표시 구동 회로(31)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의 데이터 라인(도 4의 DL)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고,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의 제1 구동전원라인(도 4의 VDL)에 제1 구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구동 회로(31)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에 내장된 스캔 구동부(도 4의 33)에 스캔 제어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표시 구동 회로(31)는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로 마련될 수 있다.
표시 구동 회로(31)의 집적 회로 칩은 COG(chip on glass) 방식, COP(chip on plastic) 방식, 또는 초음파 접합 방식으로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에 직접 실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2의 도시와 같이, 표시 구동 회로(31)의 집적 회로 칩은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 중 커버 기판(20)으로 덮이지 않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표시 구동 회로(31)의 집적 회로 칩은 회로 보드(32)에 실장될 수도 있다.
회로 보드(32)는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보드(32)는 연성 인쇄 회로 보드(flexible prinited circuit board), 인쇄 회로 보드(printed circuit board) 또는 칩온 필름(chip on film)과 같은 연성 필름(flexible film)일 수 있다.
회로 보드(32)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의 전극 패드들에 부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회로 보드(32)의 리드 라인들이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의 전극 패드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회로층에 대한 일 예시를 보여주는 레이아웃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은 영상 표시를 위한 광을 방출하는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의 주변인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부터 기판(도 3의 11)의 가장자리까지의 영역으로 지시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은 표시 영역(DA)에 종횡방향으로 매트릭스 배열되는 서브 화소(PX)들을 포함한다. 서브 화소(PX)들 각각은 개별적으로 휘도와 색상을 표시하는 단위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기판(11)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배치된 표시 패드 영역(DPA)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은 비표시 영역(NDA)의 표시 패드 영역(DPA)에 배치되는 신호 패드(SP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로 보드(32)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의 표시 패드 영역(DPA)에 부착되고 신호 패드(SPD)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은 표시 영역(DA)에 배치되고 복수의 서브 화소(PX)에 신호 또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들을 더 포함한다.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의 배선들은 스캔 게이트 배선(SL), 데이터 배선(DL) 및 제1 전원 배선(VDL)을 포함할 수 있다.
스캔 게이트 배선(SL)은 제1 방향(DR1, 도 4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데이터 배선(DL)은 제2 방향(DR2, 도 4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전원 배선(VDL)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중 어느 하나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전원 배선(VDL)은 데이터 배선(DL)과 같이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는, 회로층(12)은 제1 전원 배선(VDL)의 저항으로 인한 제1 전원 공급의 RC 지연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1 전원 배선(VDL)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전원 배선(VD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원 보조 배선(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캔 게이트 배선(SL)은 데이터 신호의 전달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스캔 신호를 서브 화소(PX)들에 전달한다.
스캔 게이트 배선(SL)은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의 비표시 영역(NDA) 중 일부에 배치된 게이트 구동부(33)에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33)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제어 공급 배선(GCSPL)을 통해 표시 구동 회로(31) 또는 신호 패드(SPD)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 패드(SPD)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33)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제어 공급 배선(GCSPL)을 통해 공급된 게이트 제어 신호 및 게이트 레벨 전원 등에 기초하여 스캔 신호를 스캔 게이트 배선(SGL)들에 인가할 수 있다.
도 4의 도시에 따르면, 게이트 구동부(33)는 표시 영역(DA)의 제1 방향(DR1)의 일측(즉, 도 4의 좌측)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NDA)의 일부에 배치된다. 그러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게이트 구동부(33)는 표시 영역(DA)의 우측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NDA)의 다른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게이트 구동부(33)는 표시 영역(DA)의 좌우방향의 양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데이터 배선(DL)은 표시 구동 회로(31)과 서브 화소(PX)들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표시 구동 회로(31)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신호를 서브 화소(PX)들에 전달한다.
표시 구동 회로(31)는 데이터 연결 라인(DLL)을 통해 신호 패드(SPD)들 중 일부의 신호 패드(SPD)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표시 구동 회로(31)는 데이터 연결 라인(DLL) 및 일부의 신호 패드(SPD)들을 통해 회로 보드(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로 보드(32)는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및 타이밍 신호들을 표시 구동 회로(31)에 공급할 수 있다.
회로층(12)은 비표시 영역(NDA)에서 표시 영역(DA)으로 연장되고 발광소자(도 5의 EMD)들의 구동을 위한 제1 전원(도 5의 ELVDD)과 제2 전원(도 5의 ELVSS)을 각각 전달하는 제1 전원 배선(VDL)과 제2 전원 배선(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원(ELVSS)은 제1 전원(ELVDD)보다 낮은 전압 레벨일 수 있다.
제1 전원 배선(VDL)과 제2 전원 배선(미도시) 각각은 표시 구동 회로(31) 또는 신호 패드(SPD)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 패드(SPD)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로층(12)은 서브 화소(PX)들과 각각 대응하고 스캔 게이트 배선(SGL), 데이터 배선(DL) 및 제1 전원 배선(VD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소 구동부(도 5의 PXD)들을 포함한다.
도 5는 도 4의 하나의 서브 픽셀에 대한 일 예시를 보여주는 등가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브 화소(PX)들과 각각 대응하는 화소 구동부(PXD)들 중 하나의 화소 구동부(PXD)는 적어도 하나의 박막트랜지스터(T1, T2, T3)를 포함한다.
일 예로, 하나의 화소 구동부(PXD)는 제1 박막트랜지스터(T1), 제2 박막트랜지스터(T2) 및 제3 박막트랜지스터(T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화소 구동부(PXD)는 화소 커패시터(P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화소 구동부(PXD)는 발광 소자층(13)의 발광 소자(EMD)들 중 하나의 발광 소자(EMD)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하나의 화소 구동부(PXD)는 하나의 발광 소자(EMD)의 애노드 전극(도 6 및 도 7의 AND)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나의 발광 소자(EMD)에 구동 전류를 공급한다.
하나의 발광 소자(EMD)는 유기 재료로 이루어진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또는, 하나의 발광 소자(EMD)는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발광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발광 소자(EMD)은 양자점(Quantum Dot) 발광층을 구비한 양자점 발광 소자일 수 있다. 또는, 발광 소자(EMD)는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micro light emitting diode)일 수도 있다.
제1 박막트랜지스터(T1)는 제1 전원 배선(VDL)과 제2 전원 배선(VSL) 사이에 발광 소자(EMD)와 직렬로 연결된다. 즉, 제1 박막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예를 들면, 소스 전극)은 제1 전원 배선(VD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박막트랜지스터(T1)의 제2 전극(예를 들면, 드레인 전극)은 발광 소자(EMD)의 애노드 전극(AND)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제1 박막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은 제1 박막트랜지스터(T1)의 구조 타입에 따라, 도 5의 예시와 다르게 변경될 수 있다.
발광소자(EMD)의 캐소드 전극(도 7의 CTD)은 제2 전원 배선(VS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박막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은 제2 박막트랜지스터(T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화소 커패시터(PC)는 제1 노드(ND1) 및 제2 노드(ND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노드(ND1)는 제1 박막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과 제2 박막트랜지스터(T2) 사이의 접점이다. 제2 노드(ND2)는 제1 박막트랜지스터(T1)와 발광 소자(EMD) 사이의 접점이다.
제2 박막트랜지스터(T2)는 데이터 배선(DL)과 제1 박막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스캔 게이트 배선(SGL)의 스캔 신호(SCS)에 기초하여 턴온될 수 있다.
즉, 스캔 게이트 배선(SGL)을 통해 스캔 신호(SCS)가 인가되면, 제2 박막트랜지스터(T2)가 턴온되고, 데이터 배선(DL)과 제1 박막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턴온된 제2 박막트랜지스터(T2) 및 제1 노드(ND1)를 통해, 데이터 배선(DL)의 데이터 신호(VDATA)가 화소 커패시터(PC) 및 제1 박막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전극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박막트랜지스터(T1)는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 간의 전압차가 문턱 전압보다 커지면, 턴온될 수 있다. 즉, 제1 노드(ND1)를 통해 데이터 신호(VDATA)가 인가되면, 제1 전원(ELVDD)과 데이터 신호(VDATA)에 의해 제1 박막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 간의 전압차가 문턱전압보다 커져서, 제1 박막트랜지스터(T1)가 턴온될 수 있다. 이때, 제1 박막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의 전류(Ids)는 발광 소자(EMD)의 구동 전류로 공급된다. 그리고, 제1 박막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의 전류(Ids)의 크기는 데이터 신호(VDATA)에 대응된다. 즉, 데이터 신호(VDATA)에 대응되는 구동 전류(Ids)가 발광 소자(EMD)에 공급됨으로써, 발광 소자(EMD)는 데이터 신호(VDATA)에 대응하는 휘도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화소 커패시터(PC)는 제1 노드(ND1)와 제2 노드 (ND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화소 커패시터(PC)에 의해, 데이터 신호(VDATA)에 의해 제1 노드(ND1)의 전위가 변동되기 전까지, 제1 박막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과 드레인 전극 간의 전위차가 유지될 수 있다.
제3 박막트랜지스터(T3)는 초기화 전압 배선(VIL)과 제2 노드(ND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박막트랜지스터(T3)의 게이트 전극은 초기화 게이트 배선(IG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초기화 게이트 배선(IGL)을 통해 초기화 제어 신호(ICS)가 인가되면, 제3 박막트랜지스터(T3)가 턴온되고, 초기화 전압 배선(VIL)과 제2 노드(ND2)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턴온된 제3 박막트랜지스터(T3)과 제2 노드(ND2)를 통해, 초기화 전압 배선(VIL)의 초기화 전압(VINT)이 발광 소자(EMD)의 애노드 전극(AND)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로써, 애노드 전극(AND)의 전위가 초기화 전압(VINT)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화소 구동부(PXD)가 제1 박막트랜지스터(T1), 제2 박막트랜지스터(T2) 및 제3 박막트랜지스터(T3)와, 하나의 화소 커패시터(PC)를 포함한 2T1C 구조인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 구동부(PXD)는 도 5에 도시된 3T1C 구조로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도 5의 도시와 상이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일 예로, 화소 구동부(PXD)는 제1 노드(ND1)의 전위를 초기화하기 위한 박막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는 화소 구동부(PXD)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박막트랜지스터(T1, T2, T3)가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다. 즉, 화소 구동부(PXD)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박막트랜지스터(T1, T2, T3) 중 적어도 하나는 P 타입 MOSFET일 수도 있다.
도 6은 도 5의 화소 구동부 중 제1 박막트랜지스터와 화소 커패시터에 대한 일 예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를 따라 절단한 면의 일 예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박막트랜지스터(T1)는 액티브층(ACT), 게이트 전극(GE),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포함한다.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화소 구동부(PXD)의 제2 박막트랜지스터(T2) 및 제3 박막트랜지스터(T3)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제1 박막트랜지스터(T1)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더불어, 이하의 설명에서, 도 6 및 도 7의 제1 박막트랜지스터(T1)는 박막트랜지스터(T1)로 간략하게 지칭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액티브층(ACT)은 기판(11) 상에 배치된다. 액티브층(ACT)은 중앙 일부로 이루어진 채널영역(CA), 채널영역(CA)의 일측에 이어진 소스영역(SA) 및 채널영역(CA)의 다른 일측에 이어진 드레인영역(DA)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티브층(ACT)은 열처리에 의한 결정(crystal)을 포함하는 상태의 산화물 반도체(SEL)로 이루어진다.
즉, 액티브층(ACT)은 비결정 상태의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열처리 공정으로 결정화된 상태의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열처리 공정은 약 섭씨 350도 내지 약 섭씨 450도 사이의 온도로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티브층(ACT)이 결정화된 상태의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지면, 비결정 상태인 경우보다, 불소(F)를 함유하는 식각 재료에 대한 내화학성이 증가됨으로써, 식각 재료에 노출되더라도 용이하게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액티브층(ACT)의 보존을 위해 별도의 식각 방지층 또는 마스크 등을 배치하지 않고, 마스크 공정 수의 감소를 위해 액티브층(ACT)의 일부가 식각 재료에 노출되더라도, 액티브층(ACT)이 불필요한 홀(HOLE)을 포함하지 않고 온전한 평면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티브층(ACT) 내의 전류 경로가 홀(HOLE)에 의해 감소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박막트랜지스터(T1)의 전류 특성의 신뢰도 및 균일도가 향상될 수 있다.
액티브층(ACT) 중 채널영역(CA)을 제외한 나머지의 적어도 일부는 채널영역(CA)보다 높은 도전성을 갖도록 도전화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소스영역(SA)의 적어도 일부 및 드레인영역(DA)의 적어도 일부는 도전화된 상태일 수 있다. 특히, 액티브층(ACT) 중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 각각과 게이트 전극(GE) 사이의 이격 영역(GA)들은 도전화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도전화된 상태는 채널 영역(CA)에 비해 산소의 함량을 줄이거나 또는 수소의 함량을 증가시켜서 도전성을 높인 상태를 지칭할 수 있다.
액티브층(ACT) 중 게이트 절연층(GI)으로 덮이는 일부는 채널영역(CA)을 포함하며 도전화되지 않고 반도체성을 유지할 수 있다. 반면, 액티브층(ACT) 중 게이트 절연층(GI)으로 덮이지 않는 일부는 게이트 절연층(GI)의 제거 시에 식각 재료와 접촉하고 식각 재료에 반응하여 도전화된 상태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스영역(SA)의 적어도 일부 및 드레인영역(DA)의 적어도 일부를 도전화하면, 박막트랜지스터(T1)의 저항이 낮아짐으로써, 박막트랜지스터(T1)의 소스-드레인 전류의 크기가 증가될 수 있다. 즉, 박막트랜지스터(T1)의 전류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이트 전극(GE),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은 모두 액티브층(ACT)의 일부를 덮는 게이트 절연층(GI) 상의 전극 도전층(ECDL)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면, 박막 트랜지스터(T1)의 배치에 필요한 마스크 공정 수가 감소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의 도시와 같이, 게이트 전극(GE)은 게이트 절연층(GI) 상의 전극 도전층(ECDL)으로 이루어지고, 액티브층(ACT)의 채널 영역(CA)과 중첩된다.
소스 전극(SE)은 게이트 절연층(GI) 상의 전극 도전층(ECDL)으로 이루어지고, 액티브층(ACT)의 소스영역(SA)으로 연장되며 소스영역(SA)의 일부와 접할 수 있다. 이로써, 소스 전극(SE)은 액티브층(ACT)의 소스영역(S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소스 전극(SE)과 액티브층(ACT) 간의 저항을 낮추기 위해, 소스 전극(SE)은 소스 영역(SA) 중 도전화된 일부와 접촉하거나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 전극(DE)은 게이트 절연층(GI) 상의 전극 도전층(ECDL)으로 이루어지고, 액티브층(ACT)의 드레인영역(DA)으로 연장되며 드레인영역(DA)의 일부와 접할 수 있다. 이로써, 드레인 전극(DE)은 액티브층(ACT)의 드레인영역(D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드레인 전극(DE)과 액티브층(ACT) 간의 저항을 낮추기 위해, 드레인 전극(DE)은 드레인 영역(DA) 중 도전화된 일부와 접촉하거나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박막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E),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이 모두 게이트 절연층(GI) 상의 전극 도전층(ECDL)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박막트랜지스터(T1)의 배치에 필요한 마스크 공정 수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박막트랜지스터(T1)의 액티브층(ACT)이 열처리에 의해 결정화된 산화물 반도체(SEL)로 이루어진다. 열처리에 의해 결정화된 산화물 반도체(SEL)는 비결정 상태에 비해, 불소(F)를 함유하는 식각 재료에 대한 내화학성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소된 마스크 공정 수로 인해 액티브층(ACT)의 일부가 전극 도전층(ECDL)의 배치를 위한 식각 재료에 노출되더라도, 용이하게 손실되지 않고, 그대로 잔류될 수 있다.
그로 인해, 도 6 및 도 7의 도시와 같이, 액티브층(ACT)은 홀(Hole) 없이 온전한 평면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달리 설명하면, 액티브층(ACT) 중 게이트 전극(GE),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과 중첩되는 영역들뿐만 아니라, 게이트 전극(GE),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과 중첩되지 않는 이격 영역들(GA) 또한 홀 없이 온전한 평면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액티브층(ACT) 중 소스 전극(SE)과 드레인 전극(DE) 각각과 게이트 전극(GE) 사이의 이격 영역(GA)들은 채널 영역(CA)과 나란하게 연속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의 회로층(12)은 기판(11)과 액티브층(ACT) 사이에 배치되는 버퍼층(121), 및 박막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E),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덮는 층간 절연층(1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의 회로층(12)은 층간 절연층(122) 상에 평평하게 배치되는 평탄화층(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액티브층(ACT)은 기판(11)을 덮는 버퍼층(12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박막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E),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은 층간 절연층(122)으로 덮일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티브층(ACT)은 결정화된 산화물 반도체(SEL)로 이루어짐으로써, 홀 없이 온전한 평면 형태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액티브층(ACT) 중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 각각과 게이트 전극(GE) 사이의 이격 영역(GA)들은 층간 절연층(122)과 접하고 층간 절연층(123)을 버퍼층(121)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즉, 버퍼층(122)과 층간 절연층(123)은 액티브층(ACT)에 의해 직접 접하지 않는다.
이로써,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티브층(ACT) 내의 전류 경로가 홀에 의해 가변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전류 특성에 대한 신뢰도 및 균일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의 도시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의 회로층(12)은 기판(11) 상의 차광 도전층(BCDL)으로 이루어지고 액티브층(ACT) 중 적어도 채널영역(CA)과 중첩되는 차광 전극(LS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광 전극(LSL)에 의해, 기판(11)을 통해 입사된 외부광에 의한 액티브층(ACT)의 누설전류가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의 회로층(12)은 화소 구동부(PXD)들에 스캔 신호(SCS)를 전달하는 스캔 게이트 배선(SGL), 화소 구동부(PXD)들에 데이터 신호(VDATA)를 전달하는 데이터 배선(DL), 화소 구동부(PXD)들에 초기화 전압(VINT)을 전달하는 초기화 전압 배선(VI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의 회로층(12)은 화소 구동부(PXD)들에 제1 전원(ELVDD)을 전달하는 제1 전원 배선(VD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의 회로층(12)은 화소 구동부(PXD)들에 초기화 제어 신호(ICS)를 전달하는 초기화 게이트 배선(IG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캔 게이트 배선(SGL)과 초기화 게이트 배선(IGL)은 각각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DR2)에서 상호 이격될 수 있다.
데이터 배선(DL), 제1 전원 배선(VDL) 및 초기화 전압 배선(VIL)은 각각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DR1)에서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스캔 게이트 배선(SGL)과 초기화 게이트 배선(IGL)을 포함한 제1 방향(DR1)의 배선들은 데이터 배선(DL), 제1 전원 배선(VDL) 및 초기화 전압 배선(VIL)을 포함한 제2 방향(DR2)의 배선들과 다른 도전층으로 이루어져서, 버퍼층(121)으로 상호 절연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배선(DL), 제1 전원 배선(VDL) 및 초기화 전압 배선(VIL)을 포함한 제2 방향(DR2)의 배선들은 차광 도전층(BCDL)으로 이루어지고, 스캔 게이트 배선(SGL)과 초기화 게이트 배선(IGL)을 포함한 제1 방향(DR1)의 배선들은 전극 도전층(ECD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의 회로층(12)은 표시 패드 영역(DPA)에 배치되는 신호 패드(SPD)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도시와 같이, 신호 패드(SPD)들 중 하나의 신호 패드는 기판(11) 상의 차광 도전층(BCDL)과 동일층으로 이루어진 제1 패드층(PDL1), 및 게이트 절연층(GI) 상의 전극 도전층(ECDL)과 동일층으로 이루어지고 제1 패드층(PDL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패드층(PD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패드층(PDL2)은 버퍼층(121)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통해 제1 패드층(PDL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층간 절연층(122)은 제2 패드층(PDL2)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다.
즉, 제2 패드층(PDL2)의 중앙 일부는 회로 기판(32)과의 본딩을 위해 층간 절연층(122)으로 덮이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패드층(PDL2)의 측면과 상면의 가장자리는 층간 절연층(122)으로 커버되어 부식 또는 물리적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제2 패드층(PDL2)의 부식 방지를 위해, 전극 도전층(ECDL)의 최상층은 ITO(Indium Tin Oxide)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11)은 고분자 수지 등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1)은 폴리이미드(polyimide)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11)은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롤링(rolling) 등이 가능한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또는, 기판(11)은 강성을 띠는 유리 등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버퍼층(121), 게이트 절연층(GI) 및 층간 절연층(122)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버퍼층(121), 게이트 절연층(GI) 및 층간 절연층(122) 각각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 실리콘 옥사이드, 티타늄옥사이드, 및 알루미늄옥사이드 중 하나 이상의 무기막이 교번하여 적층된 다중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11) 상의 차광 도전층(BCDL)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의 도시와 같이, 차광 도전층(BCDL)은 제1 전원 배선(VDL)과 차광 전극(LSL)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차광 도전층(BCDL)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데이터 배선(DL) 및 초기화 전압 배선(VI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광 도전층(BCDL)은 신호 패드(SPD)의 제1 패드층(PDL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박막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SE)과 드레인 전극(DE) 중 하나(도 6의 소스 전극(SE))는 게이트 절연층(GI)과 버퍼층(121)을 관통하는 제1 전극 연결홀(ECH1)을 통해 제1 전원 배선(VD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박막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SE)과 드레인 전극(DE) 중 다른 나머지 하나(도 6의 드레인 전극(DE))는 게이트 절연층(GI)과 버퍼층(121)을 관통하는 제2 전극 연결홀(ECH2)을 통해 차광 전극(LS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광 전극(LSL)이 플로팅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제1 박막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 전극(D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박막트랜지스터(T1)과 발광 소자(EMD) 간의 제2 노드(ND2)의 전위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발광 소자층(13)은 서브 화소(PX)들에 각각 대응하는 발광 소자(EMD)들을 포함한다. 발광 소자(EMD)들 중 하나의 발광 소자(EMD)는 상호 대향하는 애노드 전극(AND)과 캐소드 전극(CTD), 및 애노드 전극(AND)과 캐소드 전극(CTD) 사이에 개재되고 광전변환물질로 이루어진 발광층(EML)을 포함할 수 있다.
애노드 전극(AND)은 평탄화층(123) 상에 배치되고, 평탄화층(123)과 층간 절연층(122)을 관통하는 애노드 콘택홀(ANCH)을 통해 제1 박막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 전극(D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발광 소자층(13)은 애노드 전극(AND)의 가장자리를 덮는 화소정의층(PD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의 회로층(12)은 화소 커패시터(PC)를 마련하기 위한 커패시터 전극(CP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패시터 전극(CPE)은 액티브층(ACT)과 동일층으로 이루어진다. 즉, 커패시터 전극(CPE)은 열처리에 의해 결정화되고 도전화된 상태의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패시터 전극(CPE)은 게이트 절연층(GI)을 관통하는 커패시터 연결홀(CPCH)을 통해 제1 박막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박막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E)은 커패시터 연결홀(CPCH)로 연장되고, 커패시터 연결홀(CPCH)을 통해 커패시터 전극(CPE)의 일부와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박막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E)은 커패시터 연결홀(CPCH)의 일부와 중첩될 수 있다.
또는,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커패시터 전극(CPE)은 게이트 절연층(GI)으로 덮이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패시터 전극(CPE)은 결정화된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짐에 따라, 식각재료에 의한 식각율이 비교적 낮다. 그러므로, 전극 도전층(ECDL)이 배치되는 동안, 커패시터 전극(CPE)은 게이트 절연층(GI)으로 덮이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커패시터 연결홀(CPCH) 없이, 제1 박막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E)은 커패시터 전극(CPE) 측으로 연장되어 커패시터 전극(CPE)와 접촉됨으로써, 커패시터 전극(CP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화소 커패시터(PC)는 커패시터 전극(CPE)과 차광 전극(LSL) 간의 중첩 영역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차광 전극(LSL)의 일부는 커패시터 전극(CPE)과 중첩됨으로써, 화소 커패시터(PC)가 마련될 수 있다.
도 7의 도시와 같이, 차광 도전층(BCDL)은 확산 방지층과 저저항층을 포함한 이중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차광 도전층(BCDL)의 확산 방지층은 티타늄(Ti)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차광 도전층(BCDL)의 저저항층은 구리(Cu)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GI) 상의 전극 도전층(ECDL)은 삼중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의 도시와 같이, 전극 도전층(ECDL)은 박막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E),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포함한다.
그리고, 전극 도전층(ECDL)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스캔 게이트 배선(SGL) 및 초기화 게이트 배선(IG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극 도전층(ECDL)은 신호 패드(SPD)의 제2 패드층(PDL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도시와 같이, 전극 도전층(ECDL)은 게이트 절연층(GI) 상에 배치되는 제1 금속층(ML1), 제1 금속층(ML1) 상에 배치되는 제2 금속층(ML2), 및 제2 금속층(ML2) 상에 배치되는 제3 금속층(ML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금속층(ML1)은 제2 금속층(ML2)의 금속 재료가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제1 금속층(ML1)은 티타늄(Ti)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금속층(ML2)은 전극 도전층(ECDL)의 저항을 낮추기 위한 것으로, 비교적 낮은 저항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금속층(ML2)은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제2 금속층(ML2)은 구리(Cu)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금속층(ML3)은 신호 패드(SPD)의 부식 방지 및 용이한 본딩을 위해, ITO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은 발광 소자층(13) 상에 배치되는 밀봉층(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밀봉층(14)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과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이 교번하여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밀봉층(14)은 발광 소자층(13) 상에 배치되고 무기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 무기층(141), 제1 무기층(141) 상에 배치되고 유기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유기층(142), 및 제1 무기층(141) 상에 배치되고 유기층(142)을 덮으며 무기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2 무기층(14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27은 도 8의 각 단계에 관한 공정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의 제조 방법은 기판(11) 상에 제1 반도체 재료층을 배치하는 단계(S13), 제1 반도체 재료층에 대해 열처리를 실시하여 열처리에 의한 결정(crystal)을 포함하는 상태로 이루어진 제2 반도체 재료층을 마련하는 단계(S14), 기판(11) 상에 제2 반도체 재료층을 덮는 게이트 절연층(GI)을 배치하는 단계(S15), 게이트 절연층(GI)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제1 보조홀과 제2 보조홀을 배치하는 단계(S16), 게이트 절연층(GI) 상에 전극 도전층(ECDL)을 배치하는 단계(S17), 및 전극 도전층(ECDL)을 마스크로 이용한 상태에서 게이트 절연층(GI)을 부분적으로 제거하고 제2 반도체 재료층의 일부를 도전화하여 액티브층(ACT)을 마련하는 단계(S18)를 포함한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의 제조 방법은 제1 반도체 재료층을 배치하는 단계(S13) 이전에, 기판(11) 상에 차광 도전층(BCDL)을 배치하는 단계(S11), 및 기판(11) 상의 차광 도전층(BCDL)을 덮는 버퍼층(121)을 배치하는 단계(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의 제조 방법은 액티브층(ACT)을 마련하는 단계(S18) 이후에, 전극 도전층(ECDL) 및 액티브층(ACT)을 덮는 층간 절연층(122)을 배치하고, 층간 절연층(122)을 평평하게 덮는 평탄화층(123)을 배치하는 단계(S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의 제조 방법은 층간 절연층(122)과 평탄화층(123)을 배치하는 단계(S19) 이후에 층간 절연층(122)과 평탄화층(123)을 관통하는 애노드 콘택홀(ANCH)을 배치하는 단계(S21), 평탄화층(123) 상에 발광 소자층(13)을 배치하는 단계(S22) 및 발광 소자층(13) 상에 밀봉층(14)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하는 기판(11)이 마련된 후, 기판(11) 상에 차광 도전층(BCDL: VDL, LSL)이 배치될 수 있다. (S11)
차광 도전층(BCDL)은 서브 화소(PX) 각각에 배치되는 차광 전극(LSL)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차광 도전층(BCDL)은 표시 영역(DA)에 배치되고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제2 방향(DR2)의 배선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향(DR2)의 배선들은 데이터 배선(DL), 제1 전원 배선(VDL) 및 초기화 전압 배선(VIL)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0의 도시와 같이, 기판(11) 상에 차광 도전층(BCDL)을 덮는 무기 절연 재료를 적층하여, 버퍼층(121)이 배치될 수 있다. (S12)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버퍼층(121) 상에 비결정 상태의 산화물 반도체를 적층하고, 비결정 상태의 산화물 반도체를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서브 화소(PX)들 각각에 제1 반도체 재료층(211)이 배치될 수 있다. (S13)
제1 반도체 재료층(211)의 산화물 반도체는 인듐(In), 갈륨(Ga), 아연(Zn), 주석(Sn), 알루미늄(Al) 및 몰리브덴(Mo) 중 하나 이상의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브 화소(PX)들 각각에 제1 커패시터 전극 재료층(212)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반도체 재료층(211)에 대해 열처리(HEAT)를 실시하여, 열처리에 의한 결정을 포함하는 상태의 제2 반도체 재료층(221)이 마련될 수 있다. (S14)
이때, 제1 커패시터 전극 재료층(212) 또한 열처리에 노출됨으로써, 열처리에 의한 결정을 포함하는 상태의 제2 커패시터 전극 재료층(222)이 함께 마련될 수 있다.
제1 반도체 재료층(211) 및 제1 커패시터 전극 재료층(212)에 대한 열처리는 섭씨 300도 내지 섭씨 450도 사이의 온도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열처리는 1시간 이내의 공정 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다.
열처리의 공정 온도 및 공정 시간에 따라, 제1 반도체 재료층(211) 및 제1 커패시터 전극 재료층(212)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결정화된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일 예로, 공정 온도가 높을수록 또는 공정 시간이 길수록 제1 반도체 재료층(211) 및 제1 커패시터 전극 재료층(212) 각각 중에서 더 많은 부분들이 결정화된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제1 반도체 재료층(211) 및 제1 커패시터 전극 재료층(212) 각각의 상측 일부만이 결정화된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즉, 제1 반도체 재료층(211)의 상측 일부 및 제1 커패시터 전극 재료층(212)의 상측 일부는 결정화된 상태로 변환되어 제2 반도체 재료층(221) 및 제2 커패시터 전극 재료층(212)으로 각각 마련되고, 나머지 하측 일부는 비결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버퍼층(121) 상에 제2 반도체 재료층(221)을 덮는 무기 절연 재료를 적층하여, 게이트 절연층(GI)이 배치될 수 있다. (S15)
이때, 게이트 절연층(GI)은 제2 커패시터 전극 재료층(222)을 더 덮을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게이트 절연층(GI)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제2 반도체 재료층(221)의 양단에 각각 인접한 제1 보조홀(ASH1)과 제2 보조홀(ASH2)이 배치될 수 있다. (S16)
즉, 게이트 절연층(GI)에 대한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게이트 절연층(GI)의 일부들이 제거됨으로써, 제1 보조홀(ASH1)과 제2 보조홀(ASH2)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GI)에 대한 식각 공정을 실시하는 동안, 제2 반도체 재료층(221) 중 제1 보조홀(ASH1)과 제2 보조홀(ASH2)과 각각 대응되는 일부들은 제1 보조홀(ASH1)과 제2 보조홀(ASH2)을 통해 게이트 절연층(GI)의 부분적인 제거를 위한 식각 공정에 노출되고 도전화됨으로써, 제1 컨택 보조부(CTA1)와 제2 컨택 보조부(CTA2)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보조홀(ASH1)과 제2 보조홀(ASH2)을 배치하는 단계(S16)에서, 제1 보조홀(ASH1)과 제2 보조홀(ASH2) 이후에, 제2 반도체 재료층(221) 중 제1 보조홀(ASH1)과 제2 보조홀(ASH2)을 통해 각각 노출된 제1 컨택 보조부(CTA1)와 제2 컨택 보조부(CTA2)는 게이트 절연층(GI)을 부분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식각 재료와 접촉됨으로써, 도전화된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더불어, 제1 보조홀(ASH1)과 제2 보조홀(ASH2)을 배치하는 단계(S16)에서, 게이트 절연층(GI)을 관통하고 제2 커패시터 전극 재료층(222)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커패시터 연결홀(CPCH)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커패시터 전극 재료층(222)의 일부는 커패시터 연결홀(CPCH)을 통해 식각 공정에 노출되어 도전화될 수 있다.
또는,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보조홀(ASH1)과 제2 보조홀(ASH2)을 배치하는 단계(S16)에서, 제2 커패시터 전극 재료층(222)을 덮는 게이트 절연층(GI)의 일부가 제거될 수 있다. 즉, 제2 커패시터 전극 재료층(222)이 전체적으로 식각 공정에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제2 커패시터 전극 재료층(222)이 게이트 절연층(GI)을 부분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식각 재료와 접촉되어 도전화된 상태로 변환됨으로써, 커패시터 전극(CPE)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보조홀(ASH1)과 제2 보조홀(ASH2)을 배치하는 단계(S16)에서, 게이트 절연층(GI)과 버퍼층(121)을 관통하고 제1 전원 배선(VDL)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전극 연결홀(ECH1)과, 게이트 절연층(GI)과 버퍼층(121)을 관통하고 차광 전극(LSL)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전극 연결홀(ECH2)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도 16의 도시와 같이, 제1 보조홀(ASH1)과 제2 보조홀(ASH2)을 배치하는 단계(S16)에서, 게이트 절연층(GI)과 버퍼층(121)을 관통하고 제1 패드층(PDL1)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 연결홀(PDCH)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보조홀(ASH1)과 제2 보조홀(ASH2)의 배치를 위해 게이트 절연층(GI)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과정은 불소(F)를 포함하는 식각재료를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제2 반도체 재료층(221) 및 제2 커패시터 전극 재료층(222)은 열처리에 의해 결정화된 상태이므로, 불소(F)를 포함하는 식각재료에 의한 제2 반도체 재료층(221) 및 제2 커패시터 전극 재료층(222)의 식각율은 비결정 상태인 제1 반도체 재료층(211) 및 제1 커패시터 전극 재료층(212)보다 낮다. 즉, 결정화된 상태인 제2 반도체 재료층(221) 및 제2 커패시터 전극 재료층(222)은 불소(F)를 포함하는 식각재료에 노출되더라도, 불소(F)를 포함하는 식각재료에 반응하여 제거되지 않고 잔류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의 도시와 같이, 게이트 절연층(GI) 상에 배치된 제1 금속층(ML1), 제2 금속층(ML2) 및 제3 금속층(ML3)의 적층물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전극 도전층(ECDL)이 배치될 수 있다. (S17)
즉, 전극 도전층(ECDL)을 배치하는 단계(S17)는 게이트 절연층(GI) 상에 제1 금속층(ML1)과 제2 금속층(ML2)과 제3 금속층(ML3)을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단계, 및 제1 금속층(ML1)과 제2 금속층(ML2)과 제3 금속층(ML3)의 적충물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전극 도전층(ECDL)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금속층(ML1)은 티타늄(Ti)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금속층(ML2)은 제1 금속층(ML1)보다 낮은 저항의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금속층(ML2)은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금속층(ML2)은 구리(Cu)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금속층(ML3)은 ITO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금속층(ML1)과 제2 금속층(ML2)과 제3 금속층(ML3)의 적충물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과정은 불소(F)를 포함하는 식각 재료를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금속층(ML1)과 제2 금속층(ML2)과 제3 금속층(ML3)의 적충물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과정의 식각 재료는 불소(F)뿐만 아니라, 과산화수소(H2O2), 황산(H2SO4), 인산(H3O4P), 질산(HNO3) 및 초산(CH3COOH)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각 재료 중 불소의 함유량은 약 5% 이하일 수 있다. 그리고, 식각 재료 중 과산화수소의 함유량은 약 30% 이하이며, 황산의 함유량은 약 10% 이하이고, 인산의 함유량은 약 60% 이하이며, 질산의 함유량은 약 30% 이하이고, 초산의 함유량은 약 10% 이하일 수 있다. 다만,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일 실시예에 따른 식각 재료의 성분들과 조성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불소(F)를 포함하는 식각재료에 의한 제2 반도체 재료층(221) 및 제2 커패시터 전극 재료층(222)의 식각율은 비결정 상태인 제1 반도체 재료층(211) 및 제1 커패시터 전극 재료층(212)보다 낮다. 그러므로, 제1 금속층(ML1), 제2 금속층(ML2) 및 제3 금속층(ML3)의 적층물을 부분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식각재료가 불소(F)를 포함하더라도, 제2 반도체 재료층(221)과 제2 커패시터 전극 재료층(222)(또는, 커패시터 전극(CPE))이 식각재료에 반응하지 않고 잔류될 수 있다.
전극 도전층(ECDL)은 제2 반도체 재료층(221)의 중앙 일부와 중첩되는 게이트 전극(GE), 제2 반도체 재료층(221)의 일측과 중첩되는 소스 전극(SE), 및 제2 반도체 재료층(221)의 다른 일측과 중첩되는 드레인 전극(DE)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전극(SE)은 제1 보조홀(ASH1)로 연장되어, 제1 보조홀(ASH1)을 통해 제2 반도체 재료층(221)의 제1 컨택 보조부(CTA1)와 접할 수 있다.
드레인 전극(DE)은 제2 보조홀(ASH2)로 연장되어, 제2 보조홀(ASH2)을 통해 제2 반도체 재료층(221)의 제2 컨택 보조부(CTA2)와 접할 수 있다.
여기서, 소스 전극(SE)과 드레인 전극(DE)은 제1 보조홀(ASH1)과 제2 보조홀(ASH2)을 각각 전체적으로 덮지 않는다. 이는, 제2 반도체 재료층(221) 중 제1 컨택 보조부(CTA1) 및 제2 컨택 보조부(CTA2)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게이트 절연층(GI)으로 덮인 상태이므로,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소스 전극(SE)은 제1 보조홀(ASH1)의 일부와 중첩하여, 제1 컨택 보조부(CTA1)의 일부와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드레인 전극(DE)은 제2 보조홀(ASH2)의 일부와 중첩하여, 제2 컨택 보조부(CTA2)의 일부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제1 박막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E)은 커패시터 전극(CPE)의 일부와 접촉되기까지 연장됨으로써, 커패시터 전극(CP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박막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SE)은 제1 전극 연결홀(ECH1)을 통해 제1 전원 배선(VD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박막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 전극(DE)은 제2 전극 연결홀(ECH2)을 통해 차광 전극(LS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전극 도전층(ECDL: GE, SE, DE)을 마스크로 이용한 상태에서 게이트 절연층(GI)을 부분적으로 제거하고 제2 반도체 재료층(222)의 일부를 도전화하여, 액티브층(ACT)이 마련될 수 있다. (S18)
즉, 액티브층(ACT)을 마련하는 단계(S18)에서, 제2 반도체 재료층(222) 중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 각각과 게이트 전극(GE) 사이의 이격 영역들(GA)을 덮는 게이트 절연층(GI)을 제거하여 이격 영역들(GA)을 도전화된 상태로 변환함으로써, 도전화된 상태의 이격 영역들(GA)을 포함하는 액티브층(ACT)이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액티브층(ACT), 게이트 전극(GE),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포함하는 제1 박막트랜지스터(T1)이 마련될 수 있다.
액티브층(ACT)을 마련하는 단계(S18)에서, 게이트 절연층(GI)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과정은 불소(F)를 포함하는 식각재료를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제2 반도체 재료층(221) 및 제2 커패시터 전극 재료층(222)은 열처리에 의해 결정화된 상태이므로, 불소(F)를 포함하는 식각재료에 의한 제2 반도체 재료층(221) 및 제2 커패시터 전극 재료층(222)의 식각율은 비결정 상태인 제1 반도체 재료층(211) 및 제1 커패시터 전극 재료층(212)보다 낮다. 즉, 결정화된 상태인 제2 반도체 재료층(221) 및 제2 커패시터 전극 재료층(222)은 불소(F)를 포함하는 식각재료에 노출되더라도, 불소(F)를 포함하는 식각재료에 반응하여 제거되지 않고 잔류될 수 있다.
따라서, 액티브층(ACT)을 마련하는 단계(S18) 이후에, 액티브층(ACT)은 온전한 평면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액티브층(ACT)을 마련하는 단계(S18)에서, 제2 커패시터 전극 재료층(222) 중 제1 박막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E)과 중첩되지 않는 부분을 도전화된 상태로 변환함으로써, 커패시터 전극(CPE)이 마련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일반적인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REF)을 도시한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REF)는 비결정 상태의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진 액티브층과 커패시터 전극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소스 전극(SE)과 드레인 전극(DE) 각각과 액티브층(ACT')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제1 보조홀(ASH1)과 제2 보조홀(ASH2)이 배치된 후, 소스 전극(SE)과 드레인 전극(DE)을 배치하는 과정에서, 액티브층(ACT') 중 제1 보조홀(ASH1) 및 제2 보조홀(ASH2)에 의해 노출되면서도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과 중첩되지 않는 부분은 식각 재료에 의해 제거된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REF)의 액티브층(ACT')은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 각각과 게이트 전극(GE) 사이에 배치되는 관통홀(THH)들을 포함하는 형태가 된다. 이러한 액티브층(ACT')의 관통홀(THH)들에 의해 액티브층(ACT') 내의 전류 경로가 변형 또는 감소됨에 따라, 일반적인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REF)의 박막트랜지스터들의 전류 특성에 대한 신뢰도 및 균일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REF)의 커패시터 전극(CPE') 또한 커패시터 연결홀(CPCH) 주변에 배치된 관통홀(THH')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1 박막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E)과 커패시터 전극(CPE') 간의 저항 특성이 증가 또는 가변될 수 있고 화소 커패시터(PC)의 용량이 가변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의 제조 방법은 비결정 상태의 제1 반도체 재료층(211)을 열처리하여, 결정화된 상태의 제2 반도체 재료층(221)을 마련하는 단계(S14)를 포함한다. 이때, 결정화된 상태의 제2 반도체 재료층(221)은 비결정 상태의 제1 반도체 재료층(211)에 비해, 불소(F)를 포함한 식각 재료에 의해 식각되는 정도가 비교적 낮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스 전극(SE)과 드레인 전극(DE)이 게이트 전극(GE)과 동일층에 배치되는 구조로 인해, 제2 반도체 재료층(221)이 1회 이상 식각 재료에 노출되더라도 그대로 잔류될 수 있으므로, 액티브층(ACT)이 온전한 평면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박막트랜지스터(T1)의 전류 특성에 대한 신뢰도 및 균일도가 개선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전극(SE)과 드레인 전극(DE)이 게이트 전극(GE)과 동일층에 배치됨에 따라, 마스크 공정 수가 감소될 수 있으면서도, 액티브층(ACT)이 온전한 평면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커패시터 전극(CPE)이 온전한 평면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므로, 제1 박막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E)과 커패시터 전극(CPE') 간의 저항 특성의 균일도가 개선될 수 있고, 화소 커패시터(PC)의 용량의 균일도가 개선될 수 있다.
다음, 도 23을 참조하면, 버퍼층(121) 상에 박막트랜지스터(T1)을 덮는 무기절연재료를 도포하여, 층간 절연층(122)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층간절연층(122) 상에 유기절연재료를 도포하여, 평탄화층(123)이 배치될 수 있다. (S19)
층간 절연층(122)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 실리콘 옥사이드, 티타늄옥사이드, 및 알루미늄옥사이드 중 하나 이상의 무기막이 교번하여 적층된 다중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평탄화층(123)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층간 절연층(122) 및 평탄화층(123)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층간 절연층(122) 및 평탄화층(123)을 관통하고 제1 박막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 전극(DE)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애노드 콘택홀(ANCH)이 배치될 수 있다. (S21)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평탄화층(123) 상에 발광 소자층(13)이 배치될 수 있다. (S22)
발광 소자층(13)은 애노드 콘택홀(ANCH)을 통해 제1 박막트랜지스터(T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애노드 전극(AND), 서브 화소(PX)들의 애노드 전극(AND) 사이의 이격부분에 배치되는 화소정의층(PDL), 애노드 전극(AND) 상에 배치되는 발광층(EML), 및 발광층(EML) 상에 배치되는 캐소드 전극(CTD)을 포함할 수 있다.
애노드 전극(AND)은 서브 화소(PX)들 각각에 대응되는 화소 전극일 수 있다. 애노드 전극(AND)은 발광층(EML)에서 생성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할 수 있다.
캐소드 전극(CTD)은 서브 화소(PX)들에 전체적으로 대응되는 공통 전극일 수 있다. 캐소드 전극(CTD)은 발광층(EML)에서 생성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할 수 있다.
발광층(EML)은 서브 화소(PX)들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표시 장치(1)가 컬러필터부재(미도시) 또는 색상변환부재(미도시)를 포함하거나 단색을 표시하는 경우, 발광층(EML)은 서브 화소(PX)들에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어서, 발광 소자층(13) 상에 밀봉층(14)이 배치될 수 있다. (S23)
이로써,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이 마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이트 전극(GE),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포함하는 전극 도전층(ECDL)을 배치하는 단계(S17)를 포함함에 따라, 마스크 공정 수가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열처리에 의해 결정화된 상태의 제2 반도체 재료층(221)을 마련하는 단계(S14)를 포함함에 따라, 온전한 평면 형태의 액티브층(ACT)이 마련될 수 있다. 그러므로, 마스크 공정 수를 감소하면서도, 박막트랜지스터의 전류 특성의 균일도 및 신뢰도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표시장치 10: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20: 커버 기판 31: 표시 구동 회로
32: 회로 보드 11: 기판
12: 회로층 13: 발광 소자층
14: 밀봉층 PX: 서브 화소
DA: 표시 영역 NDA: 비표시 영역
SGL: 스캔 게이트 배선 DL: 데이터 배선
VDL: 제1 전원 배선 VSL: 제2 전원 배선
VIL: 초기화 전압 배선 IGL: 초기화 게이트 배선
PXD: 화소 구동부 EMD: 발광 소자
T1, T2, T3: 제1, 제2, 제3 박막트랜지스터
PC: 화소 커패시터
ACT: 액티브층 GE: 게이트 전극
SE: 소스 전극 DE: 드레인 전극
LSL: 차광 전극 CPE: 커패시터 전극
AND: 애노드 전극 ANCH: 애노드 콘택홀
ECH1, ECH2: 제1, 제2 전극 연결홀
BCDL: 차광 도전층 ECDL: 전극 도전층
SEL: 산화물 반도체 CA: 채널영역
SA: 소스영역 DA: 드레인영역
ML1, ML2, ML3: 제1, 제2, 제3 금속층
PDL1, PDL2: 제1, 제2 패드층
GI: 게이트 절연층 121: 버퍼층
122: 층간 절연층 123: 평탄화층
PDL: 화소 정의층 EML: 발광층
CTD: 캐소드 전극

Claims (25)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채널영역, 상기 채널영역의 일측에 이어진 소스영역 및 상기 채널영역의 다른 일측에 이어진 드레인영역을 포함하는 액티브층;
    상기 액티브층의 일부 상에 배치되는 게이트 절연층;
    상기 게이트 절연층 상의 전극 도전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티브층의 상기 채널 영역과 중첩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전극 도전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티브층의 상기 소스영역으로 연장되며 상기 소스영역의 일부와 접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전극 도전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티브층의 상기 드레인영역으로 연장되며 상기 드레인영역의 일부와 접하는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액티브층은 결정(crystal)을 포함하는 상태의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지고, 온전한 평면 형태로 배치되는 박막트랜지스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층 중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 각각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의 이격 영역들은 상기 채널 영역과 나란하게 연속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박막트랜지스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층은 상기 기판을 덮는 버퍼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게이트 전극,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은 층간 절연층으로 덮이며,
    상기 액티브층 중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 각각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의 이격 영역들은 상기 층간 절연층과 접하고 상기 층간 절연층을 상기 버퍼층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박막 트랜지스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층 중 상기 채널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의 적어도 일부는 도전화된 상태인 박막트랜지스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층 중 상기 소스전극 및 상기 드레인전극 각각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의 이격 영역들은 도전화된 상태인 박막트랜지스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도전층은
    상기 게이트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티타늄(Ti)으로 이루어진 제1 금속층;
    상기 제1 금속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티타늄(Ti)보다 낮은 저항을 갖는 금속재료로 이루어진 제2 금속층; 및
    상기 제2 금속층 상에 배치되고 ITO(Indium Tin Oxide)로 이루어진 제3 금속층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
  7. 서브 화소들이 배열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배치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한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서브 화소들에 각각 대응하는 화소 구동부들을 포함하는 회로층을 포함하고,
    상기 화소 구동부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층 중 하나의 박막트랜지스터는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채널영역, 상기 채널영역의 일측에 이어진 소스영역 및 상기 채널영역의 다른 일측에 이어진 드레인영역을 포함하는 액티브층;
    상기 액티브층의 일부 상에 배치되는 게이트 절연층;
    상기 게이트 절연층 상의 전극 도전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티브층의 상기 채널 영역과 중첩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전극 도전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티브층의 상기 소스영역으로 연장되며 상기 소스영역의 일부와 접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전극 도전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티브층의 상기 드레인영역으로 연장되며 상기 드레인영역의 일부와 접하는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액티브층은 결정(crystal)을 포함하는 상태의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지고, 온전한 평면 형태로 배치되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층 중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 각각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의 이격 영역들은 상기 채널 영역과 나란하게 연속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층은
    상기 기판 상의 차광 도전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티브층 중 적어도 상기 채널영역과 중첩되는 차광 전극;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차광 도전층을 덮는 버퍼층;
    상기 버퍼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를 덮는 층간 절연층; 및
    상기 층간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평탄화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액티브층 중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 각각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의 이격 영역들은 상기 층간 절연층과 접하고 상기 층간 절연층을 상기 버퍼층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층 중 상기 채널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의 적어도 일부는 도전화된 상태인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층 중 상기 소스전극 및 상기 드레인전극 각각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의 이격 영역들은 도전화된 상태인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도전층은
    상기 게이트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티타늄(Ti)으로 이루어진 제1 금속층;
    상기 제1 금속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티타늄(Ti)보다 낮은 저항을 갖는 금속재료로 이루어진 제2 금속층; 및
    상기 제2 금속층 상에 배치되고 ITO(Indium Tin Oxide)로 이루어진 제3 금속층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층은 상기 비표시 영역의 일부에 배치되는 신호 패드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패드들 중 하나의 신호 패드는
    상기 차광 도전층과 동일층으로 이루어진 제1 패드층; 및
    상기 전극 도전층과 동일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패드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패드층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화소 구동부들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층은
    상기 화소 구동부들에 스캔 신호를 전달하는 스캔 게이트 배선;
    상기 화소 구동부들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배선; 및
    상기 화소 구동부들에 초기화 전압을 전달하는 초기화 전압 배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화소 구동부들 중 하나의 화소 구동부는
    상기 발광 소자들을 구동하기 위한 제1 전원과 제2 전원을 각각 전달하는 제1 전원 배선과 제2 전원 배선 사이에, 상기 발광 소자들 중 하나의 발광 소자와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데이터 배선과 상기 제1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캔 게이트 배선의 스캔 신호에 기초하여 턴온되는 제2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제1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2 박막트랜지스터 사이의 제1 노드, 및 상기 제1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하나의 발광소자 사이의 제2 노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소 커패시터; 및
    상기 초기화 전압 배선과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초기화 게이트 배선의 초기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턴온되는 제3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배선은 상기 차광 도전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중 하나는 상기 게이트 절연층과 상기 버퍼층을 관통하는 제1 전극 연결홀을 통해 상기 제1 전원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중 다른 나머지 하나는 상기 게이트 절연층과 상기 버퍼층을 관통하는 제2 전극 연결홀을 통해 상기 차광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발광 소자는 상기 평탄화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평탄화층과 상기 층간 절연층을 관통하는 애노드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1 박막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애노드 전극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층은 상기 액티브층과 동일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패시터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화소 커패시터는 상기 커패시터 전극과 상기 차광 전극 간의 중첩 영역으로 마련되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18. 기판 상에 비결정 상태의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진 제1 반도체 재료층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반도체 재료층에 대해 열처리를 실시하여, 상기 열처리에 의한 결정(crystal)을 포함하는 상태의 제2 반도체 재료층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2 반도체 재료층을 덮는 게이트 절연층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절연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제2 반도체 재료층의 양단에 각각 인접한 제1 보조홀과 제2 보조홀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절연층 상에 전극 도전층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 도전층을 마스크로 이용한 상태에서 상기 게이트 절연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하고 제2 반도체 재료층의 일부를 도전화하여, 액티브층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도체 재료층을 마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반도체 재료층에 대한 열처리는 섭씨 300도 내지 섭씨 450도 사이의 온도로 실시되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층을 마련하는 단계에서, 상기 게이트 절연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과정은 불소(F)를 포함하는 식각재료를 이용하여 실시되며,
    상기 불소(F)를 포함하는 식각재료에 대한 상기 제2 반도체 재료층의 식각율은 상기 제1 반도체 재료층의 식각율보다 낮고,
    상기 액티브층을 마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액티브층은 온전한 평면 형태로 배치되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도전층을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게이트 절연층 상에 티타늄(Ti)을 포함하는 제1 금속층과, 상기 제1 금속층보다 낮은 저항의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제2 금속층과, ITO(Indium Tin Oxide)를 포함하는 제3 금속층을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금속층, 상기 제2 금속층 및 상기 제3 금속층의 적층물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전극 도전층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금속층, 상기 제2 금속층 및 상기 제3 금속층의 적층물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과정은 상기 불소(F)를 포함하는 식각재료를 이용하여 실시되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홀 및 상기 제2 보조홀을 배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보조홀 및 상기 제2 보조홀이 배치된 이후에, 상기 제2 반도체 재료층 중 상기 제1 보조홀 및 상기 제2 보조홀을 통해 각각 노출된 제1 컨택 보조부 및 제2 컨택 보조부는 상기 게이트 절연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식각 재료와 접촉되어 도전화되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도전층을 마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극 도전층은 상기 제2 반도체 재료층의 중앙 일부와 중첩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제2 반도체 재료층의 일측과 중첩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제2 반도체 재료층의 다른 일측과 중첩되는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소스 전극은 상기 제1 보조홀을 통해 상기 제2 반도체 재료층의 상기 제1 컨택 보조부와 접하고,
    상기 드레인 전극은 상기 제2 보조홀을 통해 상기 제2 반도체 재료층의 상기 제2 컨택 보조부와 접하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층을 마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반도체 재료층 중 상기 게이트 절연층으로 덮인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일부가 도전화되어, 상기 액티브층이 마련되고,
    상기 액티브층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중첩되는 채널영역, 상기 채널영역의 일측에 접하는 소스영역, 및 상기 채널영역의 다른 일측에 접하는 드레인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소스영역은 상기 제1 컨택 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영역은 상기 제2 컨택 보조부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25.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 재료층을 배치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기판 상의 차광 도전층을 덮는 버퍼층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티브층을 마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전극 도전층 및 상기 액티브층을 덮는 층간 절연층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층간 절연층을 배치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액티브층 중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 각각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의 이격 영역들은 상기 층간 절연층과 접하고 상기 층간 절연층을 상기 버퍼층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KR1020220175981A 2022-10-06 2022-12-15 박막트랜지스터,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KR2024004909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7675 WO2024075923A1 (ko) 2022-10-06 2023-06-05 박막트랜지스터,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US18/208,263 US20240120342A1 (en) 2022-10-06 2023-06-10 Thin film transistor,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transistor array substrate
CN202311217030.3A CN117855286A (zh) 2022-10-06 2023-09-20 薄膜晶体管以及晶体管阵列基板和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28194 2022-10-06
KR1020220128194 2022-10-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9097A true KR20240049097A (ko) 2024-04-16

Family

ID=90882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5981A KR20240049097A (ko) 2022-10-06 2022-12-15 박막트랜지스터,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909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48851B (zh) 顯示裝置
CN107785392B (zh) 显示装置
KR20210062457A (ko) 스트레쳐블 표시 장치
CN112736112A (zh) 柔性显示装置
KR20210016111A (ko) 표시 장치
KR102653781B1 (ko)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20200203442A1 (en) Display panel
KR20210022187A (ko) 표시 장치
KR20210010696A (ko) 표시 장치
KR20210027688A (ko) 표시 장치
KR102598834B1 (ko) 표시 장치
EP394078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40049097A (ko) 박막트랜지스터,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KR20230030078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40120342A1 (en) Thin film transistor,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transistor array substrate
KR20210157926A (ko) 표시 장치
CN117855286A (zh) 薄膜晶体管以及晶体管阵列基板和其制造方法
KR20200104475A (ko) 표시 장치
US20240121983A1 (en) Thin film transistor, and transistor array substrate
KR20240049124A (ko) 박막 트랜지스터 및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US20230205415A1 (en) Display device
EP4109225A1 (en) Display device
US20230199990A1 (en) Display panel
CN113053947B (zh) 柔性显示装置
US20240008311A1 (en) Display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