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8148A -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 - Google Patents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8148A
KR20240048148A KR1020220127580A KR20220127580A KR20240048148A KR 20240048148 A KR20240048148 A KR 20240048148A KR 1020220127580 A KR1020220127580 A KR 1020220127580A KR 20220127580 A KR20220127580 A KR 20220127580A KR 20240048148 A KR20240048148 A KR 20240048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einforcing
gabion
reinforcing member
full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병춘
Original Assignee
동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7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8148A/ko
Publication of KR20240048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81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개비온 블럭은 보강재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에 대해 상기 수납 공간상에 배치되는 보강 부재가 강성을 부여하여, 상기 본체부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개비온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망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수납 공간에 삽입되되, 상기 본체부와 접촉되어 상기 본체부로 강성을 부여하는 제1 보강부;를 포함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개비온 블럭 일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Gabion block to prevent fullness by using multiple networks}
본 발명은 복수의 망을 포함하는 개비온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강재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에 대해 상기 수납 공간상에 배치되는 보강 부재가 강성을 부여하여, 상기 본체부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는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에 관한 것이다.
개비온(Gabion, 돌망태)은 하천이나 경사지 등에서 옹벽이나 호안 블록의 대안으로 사용되는 친환경적인 공법으로서, 최근에는 자연미, 예술성, 미관성, 친환경성, 시공성, 장수명 등의 장점을 활용하여 건축물의 내외장 마감재, 인테리어 내외벽, 조경용 담장 및 조경 시설물 등에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개비온은 기본적으로 철망으로 망태를 구성하여 망태 내에 불규칙한 쇄석 또는 암석을 채워 넣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채워진 쇄석 또는 암석의 하중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소정 크기로 만들어 다층 구조로 쌓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개비온을 이용하여 옹벽을 쌓는 경우, 경우에 따라 4단, 5단 또는 그 이상의 단을 쌓아야 하는데, 이 경우 최하단에 배치된 개비온은 상부의 개비온들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배부름 현상이 나타나거나 심지어 파손되어 옹벽체 자체가 무너지는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개비온의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면의 망체와 후면의 망체를 와이어로 이어 개비온의 전면 방향 배부름을 방지하는 기술이 공지되었으나, 이러한 와이어를 이용한 방식은 복수의 와이어를 비교적 촘촘히 배치하여야 그 효과가 있기 때문에 쇄석을 망태 내에 넣으면서 와이어를 설치해야 했기 때문에 제작 시간이 오래 걸렸고, 또한, 상부로부터 하중이 점차 가해질수록 내부에 수용된 쇠석들이 미묘하게 움직이면서 배부름 방지를 위해 설치된 와이어가 절단되는 등의 문제가 수시로 발생하였다.
또한, 이러한 와이어를 이용한 구성은, 여러 이유로 하부에 배치된 개비온의 배부름 방지를 위한 와이어가 끊어져 개비온 전면에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하중을 지탱할 여력이 없어 옹벽체 전체가 무너질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2365915 B1호(2022.02.17)에서는 망체의 내측에 사각 틀 형상의 액자형 지지 프레임이 구비되고, 개비온 벽체를 복수로 쌓아올릴 때 하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액자형 지지 프레임이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망체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부에 적재된 개비온 벽체의 하중 대부분을 하부에 적재된 개비온 벽체의 액자형 지지 프레임이 전달받아 지면으로부터 지지되므로, 어느 일 개비온 벽체의 망체가 파손되더라도, 옹벽체 전체가 무너지지 않고 버틸수 있고, 액자형 지지 프레임이 복수로 구성되고 액자형 지지 프레임의 사이에 막대형 지지 프레임이 구비되어서, 망체의 하중을 더욱 지지함과 동시에 시공시에 크레인 고리의 탈착이 간편하여 시공 시간이 단축되며, 개비온 벽체를 원격지의 공장에서 생산하고 현장에서는 완성된 개비온 벽체를 쌓아올리고 간단히 고정하면 되므로, 개비온 벽체의 생산 속도가 상승되고 현장에서의 시공 속도 역시 상승되는 변형 방지 개비온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복수의 층으로 적층될 경우, 액자형 지지 프레임 자체가 하중을 견디지 못하여,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망체 내로 프레임이 삽입될 경우, 프레임을 용이하게 삽입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망체인 본체부 내에 보강 부재가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보강 부재 내로 또 다른 보강 부재를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보강 부재 및 본체부로의 강성을 부여하여, 본체부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하는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개비온 블럭은 보강재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에 대해 상기 수납 공간상에 배치되는 보강 부재가 강성을 부여하여, 상기 본체부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개비온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망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수납 공간에 삽입되되, 상기 본체부와 접촉되어 상기 본체부로 강성을 부여하는 제1 보강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에 의하면, 망체인 본체부 내에 보강 부재가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보강 부재 내로 또 다른 보강 부재를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보강 부재 및 본체부로의 강성을 부여하여, 본체부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의 구성 요소인 본체부 및 제1 보강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의 구성 요소인 본체부 및 제1 보강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의 구성 요소인 본체부, 제1 보강부 및 제2 보강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의 구성 요소인 본체부, 제1 보강부 및 제2 보강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의 적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의 적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의 제1 보강부재 및 제2 보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개비온 블럭은 보강재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에 대해 상기 수납 공간상에 배치되는 보강 부재가 강성을 부여하여, 상기 본체부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개비온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망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수납 공간에 삽입되되, 상기 본체부와 접촉되어 상기 본체부로 강성을 부여하는 제1 보강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강부는, 육면체 형상이며, 상기 제1 보강부의 하면은,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와 소정의 각을 이루는,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강부는, 내부에 삽입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본체부와 일부가 접촉되며, 상기 제1 보강부와 일부가 접촉되어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제1 보강부로의 강성을 부여하는 제2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보강부의 하면은, 상기 폭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의 하면과 평행한,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강부의 높이는, 상기 폭 방향 및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의 높이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보강부의 측면의 길이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의 길이와 대응되는,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보강부의 측면의 면적은, 상기 제1 보강부의 측면의 면적의 1/2 인,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일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의 구성 요소인 본체부 및 제1 보강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의 구성 요소인 본체부 및 제1 보강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의 구성 요소인 본체부, 제1 보강부 및 제2 보강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의 구성 요소인 본체부, 제1 보강부 및 제2 보강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의 적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의 적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의 제1 보강부재 및 제2 보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개비온 블럭(1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우선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자면,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x 방향은 길이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y 방향은 폭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z 방향은 높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10, 이하 개비온 블럭이라 함)은 작업 현장이나 공사 현장의 사면에 설치되어, 사면의 보강을 위한 옹벽을 형성한다.
상기 개비온 블럭(10)은 일례로, 도 1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일례로 도 1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암석, 쇄석, 돌과 같은 보강재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S1)을 형성한다.
상기 개비온 블럭(10)을 구성하는 본체부(100)는 철망과 같은 망체(N)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재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S1)을 형성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사면에서 옹벽을 형성하기 위해, 높이 방향으로의 개비온 블럭(10) 적층에 따른 하중에 의해 휘어짐, 배부름 현상 등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하며, 본체부(100) 자체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 도금 처리될 수 있다.
상기 배부름 현상이란, 수납 공간(S1)에 수납된 보강재에 의해 망체(N)가 변형되어, 망체(N)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튀어나오거나, 망체(N)의 일부가 휘어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개비온 블럭(10)의 전면 및 배면을 구성하는 전면 및 배면(110), 상기 개비온 블럭(10)의 상면 및 하면을 상면 및 하면(120), 상기 개비온 블럭(10)의 좌측면 및 우측면을 구성하는 좌측면 및 우측면(13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비온 블럭(10)은 상기 수납 공간에 삽입되되, 상기 본체부(100)와 일부가 접촉되어 상기 본체부(100)로 강성을 부여하는 제1 보강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 보강부(200)는 강선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0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부(100)가 정육면체인 경우, 상기 제1 보강부(200) 또한 정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본체부(100)가 직육면체인 경우, 상기 제1 보강부(200)또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된다.
상기 제1 보강부(200) 또한 자체의 강성을 보다 증가시키며, 상기 제1 보강부(200) 자체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 도금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제1 보강부(200)는 일례로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육면체의 뼈대인 모서리 부분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모서리 부분을 제외한 모든 부분은 빈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강재가 상기 수납 공간(S1)에 수납되더라도, 상기 보강재는 상기 제1 보강부(200)를 관통하여, 상기 수납 공간(S1)에 수납 될 수 있다.
상기 제1 보강부(200)는 일례로, 도1 에서 볼 수 있듯이, 육면체의 모서리 부부분의 전체 또는 일부가 상기 본체부(100)와 접촉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강성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 제1 보강부(200)는 상기 본체부(100)가 형성하는 수납 공간(S1)에 상기 제1 보강부(200)의 전체 또는 일부가 상기 본체부(100)와 접촉되도록 하기 위해 폭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어 삽입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1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 보강부(200)의 하면을 구성하는 모서리에 의해 규정되는 면인 상기 제1 보강부의 하면(210)은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100)의 하면과 소정의 각(θ)을 이루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 보강부(200)는 전체 또는 일부가 상기 본체부(100)와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본체부(100)로, 길이 방향, 높이 방향, 폭 방향으로의 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제1 보강부(200)에 의해 길이 방향, 높이 방향, 폭 방향으로의 강성을 인가 받음으로써,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개비온 블럭(10)의 적층에 따른 하중에 의해 휘어짐, 배부름 현상 등의 변형이 방지된다.
상기 소정의 각(θ)은 40도 내지 45도가 바람직하며, 상기 소정의 각(θ)이 45인 경우, 상기 제1 보강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와 전체가 접촉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강성을 인가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보강부(200)는 보강부(200)를 형성하는 모서리의 전체 또는 일부가 상기 본체부(100)와 접촉되도록,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삽입되어, 상기 본체부(100)가 변형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부(100)로의 강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인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보강부(200)는 내부에 삽입 공간(S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 공간(S2)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보강부(200)의 측면(220)과 대응되는 형상인 제1 보강부재(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2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 보강부재(240)는 일례로 상기 제1 보강부의 측면(220)과 동일한 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보강부(200)가 형성하는 삽입 공간(S2) 내에서 상기 제1 보강부(200)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보강부(200)로의 강성을 인가하여, 상기 수납 공간(S1)상에 수납된 보강재에 의한 상기 제1 보강부(200)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 2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 보강부(200)는 상기 삽입 공간(S2) 내에서, 상기 제1 보강부재(240)를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제2 보강부재(2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보강부(200)는 상기 제1 보강부재(240) 및 상기 제2 보강부재(250)에 의해 길이 방향, 높이 방향, 폭 방향으로의 강성을 부여 받아, 상기 보강재에 의한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공사 현장 또는 작업 현장에서,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개비온 블럭(10)이 적층되더라도,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한 개비온 블럭(10)은 상기 제1 보강부재(240) 및 상기 제2 보강부재(250)로 적층에 의한 하중을 인가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기 개비온 블럭(10)은 개비온 블럭(10)의 적층에 의한 하중을 길이 방향,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분산되도록 한다.
상기 제1 보강부재(240) 및 상기 제2 보강부재(250)는 일례로 강선으로 제작되어 상기 제1 보강부(200)와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제1 보강부재(240) 및 상기 제2 보강부재(250)는 도 8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직선형을 이루는 보강본체부(260) 및 보강본체부(260)의 일단 및 타단에서 연장되되, 후크 형상인 보강연장부(27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상기 제1 보강부재(240) 및 상기 제2 보강부재(250)는 보강연장부(270)를 통해 본체부의 망체(N) 또는 제1 보강부(200)와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제1 보강부재(240) 및 상기 제2 보강부재(250)는 도 8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직선형을 이루는 보강본체부(260), 보강본체부(260)의 일부가 고리를 형성하는 보강고리부(280), 보강본체부(260)의 일단 및 타단에서 연장되되, 후크 형상인 보강연장부(27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상기 제1 보강부재(240) 및 상기 제2 보강부재(250)는 보강연장부(270)를 통해 본체부의 망체(N) 또는 제1 보강부(2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보강부재(240) 및 상기 제2 보강부재(250)는 상기 삽입 공간(S2) 상에서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개비온 블럭(10)은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본체부와 일부가 접촉되며, 상기 제1 보강부(200)와 일부가 접촉되어 상기 본체부(100) 및 상기 제1 보강부(200)로의 강성을 부여하는 제2 보강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2 보강부(300)는 일부가 상기 제1 보강부(200)와 접촉되며, 상기 제1 보강부(200)로의 강성을 부여하여, 외력에 의한 상기 제1 보강부(200)의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일부는 상기 본체부(100)와 접촉되어 상기 본체부(100)로의 강성을 부여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외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제1 보강부(200)에 의해 1차적으로 강성을 부여 받아, 외력에 의한 변형이 방지되며, 상기 제2 보강부(300)로부터 2차적으로 강성을 부여 받아, 외력에 의한 변형이 방지된다.
상기 제2 보강부(300)는 상기 제1 보강부(200)와 마찬가지로 강선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00)의 형상과 대응되되 축소 형상으로 제작 될 수 있다.
상기 제2 보강부(300) 또한 자체의 강성을 보다 증가시키며, 상기 제2 보강부(300) 자체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 도금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제2 보강부(300)는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2 보강부(300)의 하면을 규정하는 모서리에 의해 상기 제2 보강부의 하면(310)이 상기 본체부(100)의 하면(110)과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보강부(300)는 일부가 상기 제1 보강부(200)와 접촉되어 상기 제1 보강부(200)로의 강성을 부여하여, 외력에 의한 상기 제1 보강부(200)의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일부는 상기 본체부(100)와 접촉되어 상기 본체부(100)로의 강성을 부여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외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한다.
즉, 상기 제2 보강부(300)는 상기 제2 보강부(200)를 구성하는 모서리 전체가 상기 본체부(100) 또는 상기 제1 보강부(200)와 접촉되도록, 상기 제2 보강부의 하면(310)이 상기 본체부(100)의 하면(110)과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2 보강부(300)의 측면을 구성하는 모서리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제2 보강부의 측면(320)의 면적은 상기 제1 보강부의 측면(220)의 면적의 1/2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보강부(300)는 상기 제1 보강부(100)와 용접 등에 의한 방법으로 미리 결합된 후, 상기 본체부(100)의 수납 공간(S1)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2 보강부(300)는 내부에 배치 공간(S4)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배치 공간(S4) 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2 보강부(300)와 결합되어 상기 제2 보강부(300)로의 강성을 인가하는 제3 보강부재(3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보강부재(330)는 일례로 도 5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배치 공간(S4) 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2 보강부(300)와 열십자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일례로, 도 5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3 보강부재(330)는 상기 제2 보강부(300)와 X자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보강부(300)는 상기 제3 보강부재(330)에 의해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의 강성을 부여 받을 수 있어서, 내부의 보강재에 의한 변형이 방지된다.
상기 제3 보강부재(330) 또한, 상기 배치 공간(S4) 내에서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공사 현장 또는 작업 현장에서,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개비온 블럭(10)이 적층되더라도,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한 개비온 블럭(10)은 상기 제3 보강부재(330)로 적층에 의한 하중을 인가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기 개비온 블럭(10)은 개비온 블럭(10)의 적층에 의한 하중을 길이 방향,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분산되도록 한다.
상기 제3 보강부재(330) 또한 상기 제1 보강부재(240) 및 상기 제2 보강부재(250)와 마찬가지로 강선으로 제작되어 상기 제2 보강부(300)와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제3 보강부재(330) 또한, 일단 및 타단이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3 보강부재(330)는 상기 제1 보강부재(240) 및 상기 제2 보강부재(250)와 마찬가지로 일단 및 타단의 후크를 통해 상기 제2 보강부(300)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보강부(200)의 높이(H2)는 상기 본체부(100)의 높이(H1)와 대응되거나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100)의 높이(H1)는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보강부(200)의 높이(H2)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2 보강부(300)가 결합된 제1 보강부(200)가 상기 본체부(100)의 수납 공간(S1)으로 삽입될 경우, 억지 끼움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제1 보강부(200)의 삽입을 보다 원활히 구현한다.
즉, 상기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100)의 높이(H1)는 상기 제1 보강부의 높이(H2)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 됨으로써, 상기 제2 보강부(300)가 결합된 상기 제1 보강부(200)는 작업자에 의해 상기 수납 공간(S1)으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 될 수 있다.
이 후, 상기 제1 보강부(200)는 작업자에 의해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상기 본체부(100)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100)의 높이(H1)는 상기 제1 보강부의 높이(H2)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 됨으로써, 상기 제1 보강부(200)가 상기 본체부(100)의 수납 공간(S1)에 삽입 될 경우, 도 3의 (c)에서 볼 수 있듯이,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간극(S3)을 형성하게 된다.
이는, 작업 현장이나 공사 현장의 사면에 설치되어 옹벽을 형성하는 개비온 블럭의 특성 상,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사면의 높이에 따라 개비온 블럭이 적층 된다.
따라서,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설치된 개비온 블럭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된 개비온 블럭의 하중을 전달 받게 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설치된 개비온 블럭의 본체부(100)는 상측에 적층된 개비온 블럭들의 하중에 의해 변형이 발생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개비온 블럭(10)은 상기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100)의 높이(H1)는 상기 제1 보강부(200)의 높이(H2)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 됨으로써,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인위적인 간극(S3)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도 6 및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설치된 개비온 블럭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된 개비온 블럭으로부터 하중을 인가 받더라도,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개비온 블럭(10) 내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모서리부(221)가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120)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제1 보강부(200)에 의해 발생되는 반발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나아가,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설치된 개비온 블럭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된 개비온 블럭으로부터 하중을 인가 받아,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설치된 개비온 블럭의 상면(120)이 변형되어, 상기 모서리부(221)와 접촉되더라도, 상기 모서리부(221)로부터 강성을 인가 받아, 더 이상의 변형이 방지되며, 본체부(100)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본체부(100) 상면의 변형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한다.
즉,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개비온 블럭(10) 인위적인 간극(S3)을 형성하여, 모서리부(221)와 본체부 상면(120)이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모서리부(221)의 반발력에 의한 본체부 상면(120)의 변형을 1차적으로 방지하며, 본체부 상면(120)이 상측에 적층된 개비온 블럭에 의해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간극(S3)의 길이만큼 변형되더라도, 본체부 상면(120)이 모서리부(221)와 접촉되도록 하여, 모서리부(221)로부터 강성을 인가 받아 더 이상의 변형을 2차적으로 방지한다.
나아가, 금속으로 형성되는 본체부(100)의 특성 상, 본체부(100) 상면(120)과 모서리부(221)가 접촉되더라도, 본체부(100) 상면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본체부(100)의 변형이 3차적으로 방지되도록 한다.
한편,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보강부(200)의 측면(220)의 길이는 상기 본체부(100)의 측면(130)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3의 (b) 및 (c)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100)의 측면(130)의 길이(L1)은 상기 제1 보강부(200)의 측면(220)의 길이(L2)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작업 현장이나 공사 현장의 사면에 설치되어 옹벽을 형성하는 개비온 블럭의 특성 상,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사면의 높이에 따라 개비온 블럭이 적층되며,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이웃한 개비온 블럭으로부터 하중을 인가 받지 않기 때문에, 상기 개비온 블럭(10)의 변형을 최소화 하기 위해, 인위적인 간극을 형성하는 것이 아닌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제1 보강부(200)가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제1 보강부(200)로부터 직접 강성을 부여 받도록 하여, 내부 보강재에 의한 길이 방향으로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개비온 블럭(10)은 높이 방향으로의 적층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간극(S3)을 형성하며, 상기 수납 공간(S1)에 수납된 보강재에 의한 개비온 블럭(1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보강부(200)의 일부가 상기 본체부(100)와 접촉되도록 배치되게 된다.
이에 따라, 공사 현장 또는 작업 현장의 작업자는 상기 개비온 블럭(10)으로 옹벽을 설치하더라도, 상기 제1 보강부(200) 및 상기 제2 보강부(300)에 의해 길이 방향, 폭 방향 높이 방향으로의 상기 개비온 블럭(10)의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개비온 블럭(10)은 본체부(100) 상면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고리부(미 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외부 기기와 고리부를 연결하여, 개비온 블럭(10)의 높이 방향으로의 적층을 보다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개비온 블럭
100: 본체부
200: 제1 보강부
300: 제2 보강부
S1: 수납 공간
S2: 삽입 공간
S3: 간극
N: 망체

Claims (7)

  1. 내부에 보강재가 수납 되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납 공간에 삽입된 보강 부재에 의해 강성을 부여 받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개비온 블럭에 있어서,
    망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수납 공간에 삽입되되, 상기 본체부와 접촉되어 상기 본체부로 강성을 부여하는 제1 보강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부는,
    육면체 형상이며,
    상기 제1 보강부의 하면은,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와 소정의 각을 이루는,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부는,
    내부에 삽입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보강부는,
    상기 삽입 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보강부의 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인 제1 보강부재 및
    상기 삽입 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기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보강부재에 의해 규정된 면의 대각선을 형성하는 제2 보강부재를 더 구비하는,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부는,
    내부에 삽입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본체부와 일부가 접촉되며, 상기 제1 보강부와 일부가 접촉되어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제1 보강부로의 강성을 부여하는 제2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부의 하면은,
    상기 폭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의 하면과 평행한,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부의 높이는,
    상기 폭 방향 및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부는,
    상기 삽입 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보강부의 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인 제1 보강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보강부는,
    내부에 배치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배치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제2 보강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보강부로로의 강성을 부여하는 제3 보강부재를 더 구비하는,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

KR1020220127580A 2022-10-06 2022-10-06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 KR202400481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580A KR20240048148A (ko) 2022-10-06 2022-10-06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580A KR20240048148A (ko) 2022-10-06 2022-10-06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8148A true KR20240048148A (ko) 2024-04-15

Family

ID=90715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580A KR20240048148A (ko) 2022-10-06 2022-10-06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81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58016B2 (ja) 土留め用籠構造物およびその形成方法
MX2014011306A (es) Gavion.
KR102360921B1 (ko) 굴삭기용 버켓
KR100763476B1 (ko) 보강 개비온
KR20240048148A (ko) 복수의 망을 이용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개비온 블럭
KR100864813B1 (ko) 함체형 타공철판 유니트에 의한 식생 보강토옹벽 구조 및그 축조방법
JP4812135B2 (ja) 補強土擁壁を積層するための施工具
JP6718840B2 (ja) 法面保護構造及びその形成方法
JP5319880B2 (ja) 擁壁
KR100479163B1 (ko) 보강토 옹벽
JP2022019139A (ja) 篭ユニット及び土木構造物
KR100475521B1 (ko) 보강부재를 구비한 개비온과 그 보강방법
JP2014029100A (ja) 擁壁構造
JP6721185B2 (ja) 布団篭の本体パネル、布団篭、および土木構造物
JP7356735B2 (ja) 籠枠ユニット、籠枠連結体及び籠枠積層体並びに擁壁構築方法
KR101204308B1 (ko) 통나무 돌바구니
JP2002167766A (ja) 植生篭およびこの植生篭を用いた法面構造
KR102192423B1 (ko) 모서리 보호구조를 갖는 옹벽 블럭
KR102153322B1 (ko) 컴파운드블록 및 그의 시공공법
JPH0348271Y2 (ko)
JP2018031257A (ja) 構造物構築用セット、構造物を構築する方法
JP5986967B2 (ja) 分割された盛土構築用壁面材ユニット
KR102211097B1 (ko) 소파 블록 및 이의 제조 방법
JP6485841B2 (ja) 盛土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JP7061851B2 (ja) 篭体及び土留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