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7990A - 필터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필터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7990A
KR20240047990A KR1020247007274A KR20247007274A KR20240047990A KR 20240047990 A KR20240047990 A KR 20240047990A KR 1020247007274 A KR1020247007274 A KR 1020247007274A KR 20247007274 A KR20247007274 A KR 20247007274A KR 20240047990 A KR20240047990 A KR 20240047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leaning
coupling
discharg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7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위르겐 링엔
라파엘 클라인
세바스티안 흐린
Original Assignee
하이댁 프로세스 테크놀로지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댁 프로세스 테크놀로지 게엠바하 filed Critical 하이댁 프로세스 테크놀로지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240047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79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01D29/68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23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01D29/232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with corrugated, folded or woun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01D29/68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with backwash arms or shoes acting on the cake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8Regeneration of the filter
    • B01D2201/081Regeneration of the filter using nozzles or suction devices
    • B01D2201/082Suction devices placed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개별 필터 세그먼트로 분할되는 필터(14), 각각의 필터 세그먼트와 연관되고 세척 디바이스를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제거 디바이스(23)와 협력하는 부분 세척 유닛(20, 21, 22)을 가진 세척 디바이스(19)를 가지는 세척 디바이스(19), 및 세척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부분 세척 유닛을 활성화하는데 반하여, 이러한 세척 동안 적어도 하나의 추가 부분 세척 유닛은 비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제어 디바이스(40)로 적어도 이루어진 필터 디바이스가 개시되며, 제어 디바이스(40)는 커플링 디바이스의 한 위치에서, 공통 회전 운동을 위해 세척 디바이스(19)를 배출 디바이스(23)에 연결하고, 커플링 디바이스의 다른 위치에서 이것들을 서로 분리한다.

Description

필터 디바이스
본 발명은,
- 개별 필터 세그먼트들로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필터,
- 각각의 필터 세그먼트와 연관되어, 세척 디바이스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고, 세척 디바이스에 있는 통로 지점들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되어 필터로부터의 유체 흐름을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개별 배출 개구들을 가지는 회전 가능한 배출 디바이스와 협력하는 부분 세척 유닛을 가지는 세척 디바이스,
- 세척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부분 세척 유닛을 활성화하는 데 반하여, 이러한 세척 동안 적어도 하나의 추가 부분 세척 유닛을 비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제어 디바이스로 이루어진 필터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DE 42 08 743 C2는 입구와 여과된 액체 출구뿐만 아니라 슬러지 배출구를 갖춘 필터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액체를 위한 자동 백플러싱 필터가 개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세척 디바이스로서 중공 구동 샤프트에서 겹쳐서 동축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다중 챔버 노즐이, 필터로서 역할을 하고 백플러싱과 관련하여 개별 필터 세그먼트로 기능적으로 분할되는 원통형 필터 카트리지에서 부분 세척 유닛으로서 회전한다. 공지된 해법은 또한 배출 디바이스로서 역할을 하는 제어 튜브를 가지며, 이 제어 튜브는 다중 챔버 노즐에 대해 상이한 속도로 강제로 회전하며, 그 결과, 그 개별 챔버는, 이전에 수동 챔버로서 역할을 하는 다중 챔버 노즐이 활성화되는 동시에, 이전의 능동 챔버가 폐쇄되는 방식으로 느리게 제어되며, 이에 의해 모든 챔버가 활성화될 때까지 백플러싱 공정이 주기적으로 계속된다.
제어 튜브가 세척 디바이스에서 다중 챔버 노즐과 동일한 방향 및 동축으로 연속적으로 회전한다는 사실로 인해, 둘 모두 필터 카트리지에서 함께 동축으로 장착되고, 세척 디바이스 및 배출 디바이스를 위한 드라이브는 통상적인 것이며, 백플러시 체적 유량, 절대 압력 강하, 및 단위 시간당 압력 강하는 백플러싱 공정이 실질적으로 높은 강도로 수행될 수 있는 방식으로 감소된다.
공지된 해법은 세척 디바이스와 배출 디바이스 모두를 위한 독립적인 회전 드라이브를 필요로 하며, 그러나 각각은 단일 회전 드라이브에 의해 공동으로 작동될 수 있고 한편으로는 대응하는 설치 공간을 요구하는 독립적인 기어 스테이지를 가지며, 그리고 제어될 기어 드라이브로 인해, 많은 양의 구동 에너지가 전기 모터의 형태의 회전 드라이브에 의해 정기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필터 디바이스를 더욱 개선하여 에너지 효율적인 구동 및 개선된 세척을 갖춘 공간 절약형 구성이 달성되는 효과를 얻는 것이다.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전체적으로 가진 필터 디바이스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한다.
제1항의 특징에 따르면, 제어 디바이스는 커플링 디바이스의 한 위치에서 공통 회전 운동을 위해 세척 디바이스를 배출 디바이스에 연결하고, 커플링 디바이스의 다른 위치에서 이것들을 서로 분리하는 커플링 디바이스를 가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해법은 어떠한 전동 기어도 요구하지 않으며, 이는 공간 절약형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기여하는 것은 언급된 커플링 디바이스가 각각의 관형 세척 디바이스 및 배출 디바이스와 동축 배열로 공간 절약 방식으로 수용되며, 배출 디바이스는 세척 디바이스에서 회전 가능하게 안내되고, 이러한 점에서 바스켓 방식으로 구성되는 필터의 내부에서 두 디바이스와 커플링 디바이스가 맞물린다는 사실이다. 또한, 커플링 디바이스는 세척 디바이스와 배출 디바이스 모두의 적시 제어를 가능하게 하여서, 세척이 에너지 효율적인 방식으로 전체적으로 향상된다. 비용 효율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커플링 해법은 바람직하게 결합된 위치에서, 세척 디바이스가 또한 배출 디바이스에 의해 동시에 구동되고, 결합 해제된 위치에서 세척 디바이스가 가장 최근 위치에서 유지되고 배출 디바이스만이 지속적으로 계속 구동되는 것이 제공된다.
따라서, 커플링 해법을 가진 제어 디바이스의 큰 장점 중 하나는 배출 디바이스가 지속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데 반하여, 세척 디바이스가 커플링에 의해 간헐적으로만 구동된다는 점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커플링에 의해 세척 디바이스를 지속적으로, 배출 디바이스를 간헐적으로만 역순으로 구동하는 것이 또한 용이하게 가능하여서, 두 구동 개념이 응용 분야에 따라 여기에서 모두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것 이상으로, 백플러싱 디바이스의 상부 측면 및 밑면 모두에서 필터 디바이스 상에 커플링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여서, 모듈형 설계 개념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종래 기술과 어떠한 것도 동등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디바이스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어 부품으로서, 커플링 디바이스는 집게 커플링(claw coupling)을 포함하고, 집게 커플링의 집게는 결합된 위치에서 세척 디바이스에 있는 오목부와 맞물리고, 결합 해제된 위치에서 분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포지티브 끼워맞춤 연결(positive-fit connection)이 커플링 내에서 달성되며, 이는 세척 디바이스와 배출 디바이스 사이의 낮은 충격 결합 및 결합 해제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 배출 디바이스의 구성 부품이고 배출 디바이스의 회전 운동 동안 커플링 디바이스가 세척 디바이스에 의해 상승된 위치로 보내지는 것에 의해 결합 해제된 위치로 들어가는 방식으로 커플링 디바이스의 제어 경로와 협력하는 추가 제어 부품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승된 위치로의 커플링 디바이스의 변위 이동은 바람직하게 방해받지 않는 작동이 커플링을 위해 달성되도록 에너지 축적기에 의해 지원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디바이스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부분 세척 유닛들은 세척 유닛의 길이 방향 축에서 겹쳐서 배열되는 것으로 제공되고, 이러한 유닛들은 한쪽 자유 단부가 필터 세그먼트들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으며, 다른 쪽 자유 단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 튜브로서 설계된 세척 디바이스의 각각의 관련 통로 지점들로 개방된다. 이러한 경우에, 필터 세그먼트는 필터 보울의 개별 서브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필터 보울은 전체적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필터 세그먼트에 따른 구성은 각각의 경우에 이와 관련하여 세그먼트별로 내부 원주 상에서 필터 보울 위를 통과하는 개별 부분 세척 유닛을 가진 세척 디바이스의 기능으로 인해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디바이스의 더욱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추가의 중공 튜브가 배출 디바이스의 부분으로서 세척 디바이스의 중공 튜브에서 안내되고, 배출 디바이스의 배출 개구는,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통로 지점이 유체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배출 개구와 연속적으로 정렬되는데 반하여, 추가의 가능한 유체 통로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 모두 차단 방식으로, 원주에 걸쳐 분포되는 것으로 제공되는데 반하여, 된다. 백플러싱을 수행하는 필터 영역의 이러한 세그먼트는 백플러시 강도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존재하는 "백플러시 에너지"는 필터의 작은 영역에 집중되며, 이는 한편으로 이러한 시스템으로 가능한 더 미세한 여과를 초래하고,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시스템은 보다 작은 백플러시 용량으로 관리될 수 있으며, 이는 환경에 도움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디바이스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커플링 디바이스의 제어 경로는 부분 세척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개별 경로 세그먼트로 분할되어서, 결합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체 통로가 항상 활성화되고, 결합 해제-결합 사이클을 통과한 후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유체 통로가 활성화되고 각각의 추가 유체 통로가 비활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에, 추력편(thrust piece)으로서 구성되어 에너지 축적기의 작용에 반하여 커플링 디바이스를 결합된 위치에 유지하고 곡선 세그먼트를 따라서 작동 불가능하게 된 추력편이 커플링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커플링 디바이스의 경로 세그먼트와 협력하는 추가의 제3 제어 부품을 제어 디바이스가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스위칭 또는 커플링 동작 동안 배출 디바이스와 세척 디바이스 사이의 결과적인 각도 오프셋은 관형 배출 디바이스에 걸쳐서 분포된 배출 개구들의 사전 한정 가능한 각도 피치에 대응하여서, 이와 관련하여, 백플러싱 유닛의 세그먼트들은 연속적으로 활성화된다.
바람직하게, 추력편과 맞물리는 곡선 세그먼트의 길이는 커플링 디바이스의 결합된 상태에서, 유체 통로가 세척 디바이스와 배출 디바이스 사이의 재료들에 세척 순서로 제공되는 방식으로 치수화되는 것이 제공된다. .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디바이스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커플링 디바이스의 결합된 상태와 결합 해제 상태 사이의 스위칭 동작 동안, 세척 디바이스와 배출 디바이스 사이에 상대적인 움직임이 발생하는 반면, 배출 디바이스는 계속 회전하는 것이 추가로 제공된다. 배출 디바이스의 반경 방향 배출 개구는 회전 방향에서 볼 때 세척 디바이스에서의 각각의 할당 가능한 통로 지점보다 더 길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전 한정 가능한 각도 중첩이 달성되어, 각각의 백플러싱을 겪는 필터 세그먼트가 또한 2개의 디바이스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 동안 계속 세척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와 관련하여, 백플러싱된 필터 세그먼트가 360° 이상, 그러므로 완전히 세척되는 것이 보장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따른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은 원칙적으로 표시되며 축척으로 도시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은 다양한 작동 위치에서 필터 디바이스를 통한 중앙 종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따른 필터 디바이스를 부분적으로만 재현한 것이며;
도 4 내지 도 7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사용된 커플링 디바이스를 참조한 제어 디바이스의 다양한 도면이다.
도 1은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1로 표시되는 필터 하우징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디바이스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필터 하우징은 냄비 형상의 하우징 본체(2)를 갖고, 하우징 본체의 베이스(3) 상에는 하우징의 중앙 길이 방향 축(4)과 동축인 베어링 표면(5)이 있다. 여과되지 않은 매체의 공급을 위한 측면 입구(7)는 베이스(3)에 인접한 하우징 공간(6)에 대한 접근으로서 제공되어, 하우징 공간(6)은 여과되지 않은 매체 측면을 형성한다. 상부 측면에서, 하우징 본체(2)는 유지 나사에 의해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 하우징 커버(8)에 의해 폐쇄되며, 여기에서, 베이스(3)에서와 같이, 베어링 표면(9)이 축(4)과 동축으로 형성된다. 여과된 액체 출구(10)는 측면 입구(7)와 정렬된 위치에 배열되고, 여과된 액체가 여과된 액체 출구를 통해 인접한 하우징 공간(11)으로부터 밖으로 흘러 작동 동안 여과된 액체 측면을 형성하며, 여과된 액체 출구는 하우징 본체(2)에 있는 하우징 커버(8)에 인접하게 제공된다.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3으로 표시되고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는 백플러싱 필터 조립체는 여과되지 않은 매체 입구(7)의 부근에 위치되며, 계단을 형성하는 벽 돌출부(12) 위의 하우징 본체(2)에 배열된다.
조립체(13)는 각각 단부 캡(15, 16)에 있는 자유 단부면에 수용되는 필터 바스켓의 형태를 하는 필터(14)를 포함한다. 단부 캡(15, 16)들에 의해, 필터(14)는 필터 하우징(1)에서 지지되고, 하우징 커버(8)를 제거한 후, 필터(14)는 하우징(1)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필터(14)의 필터 재료는 지지체(17 및 18)들 사이에 수용되고, 내부 지지체(18)의 유체 통로 지점들은 연속적으로 형성된 원통형 지지체의 슬롯 형상 창 개구로 형성된다. 필터(14)의 필터 매체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필터층으로 이루어진 주름형 필터 매트 웨브로 이루어진다.
필터(14)는 기능적으로 개별 필터 세그먼트들로 세분되고, 조립체(13)는, 각각의 필터 세그먼트와 연관되어, 세척 디바이스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고, 세척 디바이스(19)에 있는 유체 투과성 통로 지점(27, 28, 29)들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되어 필터(14)로부터의 유체 흐름을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개별 배출 개구(24, 25, 26)들을 가지는 회전 가능한 배출 디바이스(23)와 협력하는 부분 세척 유닛(20, 21, 22)들을 가지는 세척 디바이스(19)를 포함한다. 각각의 부분 세척 유닛(20, 21, 22)은 자유 단부면에 일종의 슬롯형 노즐을 형성하며, 슬롯형 노즐은 중공 튜브의 형태를 하는, 세척 디바이스(19)의 일부인 백플러시 아암(30)에 의해 필터(14)의 내부 원주를 따라서 회전 가능하게 배열된다. 입자 여과의 과정에서, 흐름은 필터(14)를 내부로부터 외부로 통과하며, 이 과정에서, 유체로부터 제거된 입자 오염 물질이 내부에 침전된다. 세척 또는 여과된 액체측에서 하우징 공간(11)에서의 여과된 액체 압력으로 인해, 이러한 방식으로, 침전된 입자 오염물은 부분 세척 유닛(20, 21, 22)의 각각의 슬롯형 노즐 내로 외부로부터 내부로 백플러싱되고, 중공 백플러시 아암(30)을 통과하고, 하부 베어링 지점(5)을 통과하여, 하우징 공간(6) 반대편의 바닥 측면으로부터 하우징 본체(2)에 결합되는 소위 슬러지 배출측(31)으로 전달된다. 이와 관련하여, 백플러시 아암(30)의 중공 튜브는 바닥에서 슬러지 배출측(31)에 매체 전도 방식으로 연결된다.
도 1로부터 추가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든 부분 세척 유닛(20, 21, 22)들은 각각의 슬롯형 노즐이 필터(14)의 지지체(18)의 내부 측면을 향하고 이와 접하도록 백플러시 아암(30) 상에서 겹쳐서 수직 배열로 부착된다. 이들 부분 세척 유닛(20, 21, 22)의 개선된 순환 안내를 위해, 균형 아암(32)은 각각의 경우에 상단 및 바닥을 향해 백플러시 아암(30)의 대향하는 측면들에 정반대로 장착된다. 전기 모터(33)는 디바이스(19, 23)의 회전 구동을 위해 사용되며, 상기 구동 장치의 구동 샤프트(34)는 상기 배출 디바이스에 연결된 구동 샤프트(36)에 의한 저널 연결부(35)를 통해 배출 디바이스(23)를 지속적으로 구동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배출 개구(24, 25, 26)들을 가진 배출 디바이스(23)는 중공 백플러시 아암(30) 내측으로 안내되며, 중공 백플러시 아암(30)에 회전 가능하게 배열된 배출 디바이스는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40으로 표시된 제어 디바이스와 협력하여 일종의 스위칭 튜브(38)를 형성한다.
특히 도 4에 따른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샤프트(34)는 전기 모터(33)에 의해 지속적으로 구동되고 지속적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배출 디바이스(23)를 위한 구동 샤프트(36)가 또한 지속적으로 회전한다. 바람직하게 정밀 강 배관의 관형 섹션으로 형성된 관련 스위칭 튜브(38)는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헐거운 끼워맞춤을 통해 백플러시 아암(30)에 장착된다. 스위칭 튜브(38)는 길이 방향 축(4)에 정반대인 2개의 페더 키 조각(feather key piece)(44)을 통해 구동 샤프트(36)에 단단히 연결되고, 그러므로 또한 전기 모터(33)의 작동 동안 지속적으로 동시 회전한다. 도 4의 도면에 따르면, 2개의 페더 키 조각(44)은 스위칭 튜브(38)를 통해 측면으로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며, 커플링 디바이스(42)의 일부로서 스위칭 부시(46)를 위한 축 방향 안내를 제공하여, 제어 디바이스(40)의 실질적인 부분인 일종의 슬라이딩 안착부(sliding seat)를 형성한다. 중앙 개구로 스위칭 튜브(38)를 둘러싸는 스위칭 부시(46)는 이러한 점에서 스위칭 튜브(38)의 중심을 두며, 스위칭 튜브(38) 및 구동 샤프트(36)에 대해 접선 방향 포지티브 끼워맞춤되는 2개의 페더 키 조각(44)를 통해 각각 유지된다. 전술한 페더 키 안내로 인해, 스위칭 부시(46)는 전기 모터(33)의 작동 동안 지속적으로 회전한다. 도 4의 방향에서 볼 때, 스위칭 부시(46) 아래에 배열된 압축 스프링(48)은 전체로서 커플링 디바이스(42)를 위한 에너지 축적기를 형성하며, 스위칭 부시(46) 상에 상향력을 가한다. 이러한 경우에, 압축 스프링(48)은 한쪽 자유 단부가 백플러시 아암(30)의 오목부에 배열되고, 반대쪽 자유 단부가 환형 스위칭 부시(46)의 어깨형 연장부에 놓인다. 유압 구동 모터가 또한 전기 모터(33)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서 더 알 수 있듯이, 백플러시 아암(30)의 상부 측면과 스위칭 부시(46)의 밑면의 윤곽들은 길이 방향 축(4)을 따라서 제공되는 스위칭 부시(46)의 축 방향 이동성과 함께, 전체적으로 커플링 디바이스(42)의 일부로서 간주되는 스위칭 가능한 집게 커플링(50)을 형성하며, 스위칭 부시(46)를 위한 슬라이딩 안착부를 형성하는 페더 키 조각(44)은 제어 디바이스(40) 및 커플링 디바이스(42)의 추가 제어 부품을 각각 형성한다. 집게 커플링(50)을 형성하는 세척 디바이스(19)의 백플러시 아암(30)은 그 상부 측면에, 반경 방향에서 보았을 때 집게형 돌출부(56)들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오목부(54)들을 그 사이에 한정하는 개별 웨브(52)들을 구비한 냄비 형상 중공부를 가지며, 돌출부(56)들은 스위칭 부시(56)의 밑면에서 돌출되고, 웨브(52)들이 집게 커플링(50)의 결합된 위치에서 맞물리는 내향 만입형 반경 방향 세그먼트(58)들을 그 사이에 가진다.
스위칭 부시(46)가 도 6의 도면에 따라서 백플러시 아암(30)과 확실하게 맞물리면, 커플링 디바이스(42) 또는 집게 커플링(50)은 각각 맞물리거나 연결되고, 백플러시 아암(30)은 스위칭 부시(46)를 통해 구동된다. 다른 한편으로, 스위칭 부시(46)가 압축 스프링(48)의 작용에 따라서 축 방향 위쪽으로 변위되어 백플러시 아암(30)과 확실하게 맞물리지 않으면, 도 7의 도면에 따르면, 커플링 디바이스(42)는 분리되거나 연결되지 않으며, 스위칭 부시(46)는 백플러시 아암(30)이 정지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스위칭 튜브(38)와 함께 계속 회전한다. 도 1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플러시 아암이 끼워맞춤 내부의 마찰 잠금으로 인해 바람직하지 않게 운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 베어링 지점(5) 위의 영역에서 백플러시 아암(30)의 밑면에 O-링(60)이 제공되며, 이는 이와 관련하여 백플러시 아암(30)에 일정한 제동 토크를 유발한다. 도 6 및 도 7로부터 더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 디바이스(40) 내에, 압축 스프링(48)의 작용에 반하여 위로부터 스위칭 부시(46)에 힘을 가할 수 있는 추력편(62)의 형태를 하는 추가 제3 제어 부품이 있다. 따라서, 도 6 및 도 7은 특히 압축 스프링(48) 및 스위칭 부시(46)와 볼 롤러의 형태를 하는 추력편(62)의 상호 작용을 도시하며, 도 6은 맞물린 커플링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의 도면에 따르면, 스위칭 부시(46)는 압축 스프링(48)에 의해 위쪽으로 밀리고, 나사 체결 부분으로 설계된 추력편(42)의 볼 롤러에 기대어 지지되는 스위칭 부시(46)의 상부 측면은 상부 단부 캡(15)에 단단히 연결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집게 커플링(50)은 스위칭 부시(46)와 백플러시 아암(30)이 함께 함께 회전하도록 맞물리고, 스위칭 부시(46)는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페더 키 조각(44)을 통한 회전 운동을 따라서 스위칭 튜브(38)를 운반한다.
특히 도 5에서 추가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스위칭 부시(46)의 상부 측면의 윤곽은 개별 곡선 세그먼트(66)들로 분할되는 중공부(64)을 가지며, 중간 곡선 세그먼트(66)는 중공부(64)의 최하 지점을 형성하고, 다른 2개의 곡선 세그먼트(66)는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는 추력편(62)을 위한 접근 경사로를 형성하며, 중앙 곡선 세그먼트(66)로부터 시작하는 경사로들은 추가 곡선 세그먼트(68) 내로 바깥쪽으로 개방되며, 추가 곡선 세그먼트는 길이 방향 축(4)을 가로지르는 수평 표면을 형성하고, 이와 관련하여 스위칭 부시(46) 내에서 추력편(62)을 위한 최고 접근 지점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와 관련하여, 중공부(64)는 상기 경사 표면(66)을 넘어 스위칭 부시(46)의 원통형 영역(68)으로 통과한다. 가장 깊은 곡선 세그먼트(66)를 가진 중공부(64)의 각도 영역에서, 스위칭 부시(46)는 압축 스프링(48)에 의해 축 방향 위쪽으로 이동되고, 이어서 집게 커플링(50)은 도 7의 도면에 따라 분리된다. 그 결과, 백플러시 아암(30)은 고정되고; 그러나, 스위칭 튜브(38)는 계속해서 회전하여, 상대 각도 오프셋이 백플러시 아암(30)과 스위칭 튜브(38) 사이에 생성된다. 도 6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부시(46)가 추력편(62)에 의해 다시 아래쪽으로 이동되면, 집게 커플링(50)은 다시 연결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원하는 포지티브 맞물림이 발생한다. 스위칭 작업의 과정에서 스위칭 튜브(38)와 백플러시 아암(30) 사이의 각도 오프셋은 연관된 통로 지점(27, 28, 및 29)들이 있는 세척 디바이스(23)의 내부 구성 요소로서, 스위칭 튜브(38)에서의 개별 반경 방향으로 오프셋된 배출 개구(24, 25, 26)들의 각도 피치에 대응한다. 따라서, 백플러싱 유닛(10)의 개별 세그먼트는 연속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종래 기술(DE 10 2017 001 968 A1)에서, 서로 겹쳐서 배열된 모든 부분 세척 유닛이 백플러싱을 위해 동시에 함께 사용되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해법은 한 번에 하나의 부분 세척 유닛만의 사용을 제공하며, 향상된 백플러시 맥락에서, 다른 2개의 부분 세척 유닛은 백플러시에서 제외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실시예에 따라서 3개의 부분 세척 유닛(20, 21, 22)이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해법은 단지 2개의 부분 세척 유닛 또는 3개 이상의 부분 세척 유닛과 함께 작업하고, 이는 필터 바스켓이 도 1 내지 도 3에 따라서 도시된 해법보다 더 큰 축 방향 설치 길이를 가지면 특히 적합하는 것이 이해된다.
따라서, 도 1에 따른 백플러싱 필터 조립체(13)의 분할된 구조적 해법은 적극적으로 유지되는 하부 세그먼트를 통한 백플러싱을 도시한다. 따라서, 이러한 점에서, 백플러싱 유닛(13)은 축 방향으로 개별 세그먼트로 분할되며, 흐름은 단지 백플러싱 유닛(13)의 회전당 한 번에 하나의 세그먼트를 통과하며; 도 1의 도면에 따르면, 배출 디바이스(23)의 하부 배출 개구(24)를 가진 하부 세그먼트는 세척 디바이스(19)의 하부 통로 지점(27)과 정렬되고, 이에 의해 유체 통로를 형성한다. 스위칭 튜브(38)와 백플러시 아암(30)의 다른 배출 개구 및 통로 지점들은 각각 반경 방향으로 120°만큼 서로 오프셋되며, 따라서 세척 디바이스(19)의 파이프 벽이 배출 디바이스(23)의 배출 개구(25, 26)들과 중첩되기 때문에 백플러싱을 위해 사용될 수 없다.
언급한 바와 같이, 각각의 경우에 백플러싱되는 필터(14)의 영역을 분할하는 것에 의해, 백플러시 강도는 증가되고, 존재하는 백플러시 에너지는 필터의 더 작은 영역에 집중된다. 이는, 한편으로는 더 미세한 여과가 이러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시스템이 더 작은 백플러시 체적을 사용하여 작업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필터(14)에 대해 언급된 분할은 한편으로는 다양한 통로 지점(27, 28, 29)들로 인해, 백플러시 아암(30)이 서로 분리된 복수의 유동 채널을 가지는 것을 구현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또한, 스위칭 튜브(38)가 백플러시 아암(30) 내부에 위치되며, 이 튜브가 원주 주위에 반경 방향으로 오프셋된 배출 개구(24, 25, 26)를 가지며, 백플러시 아암(30)의 유동 채널들은 백플러시 아암(30)에 대한 120°의 스위칭 튜브(38)의 특정 상대 각도 오프셋에 의해 연속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것이 추가로 제공된다. 따라서, 도 2는 필터(14)의 중간 세그먼트가 백플러싱을 위해 활성화되고, 그 결과, 중간 내부 배출 개구(25)가 외부 통로 지점(28)과 유체 투과 가능하게 정렬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그런 다음, 다른 배출 개구들과 통로 지점은 백플러시 아암(30)과 스위칭 튜브(38)의 벽 부분들을 통한 유체 통로를 위해 다시 서로 분리된다.
도 3은 차례로 필터(14)의 상부 세그먼트의 활성화를 도시하며, 여기서 배출 디바이스(23)의 상부 배출 개구(26)는 세척 디바이스(19)의 상부 통로 지점(29)과 함께 유체 투과성 위치에 있다. 각각의 경우에 백플러시 아암(30)에 대한 스위칭 튜브(38)의 120°의 특정 상대 각도 오프셋을 생성할 수 있기 위하여, 즉, 필터(14)의 개별 세그먼트를 연속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하여, 집게 커플링(50)을 사용하는 동안 제어 디바이스(40)에 의해 백플러싱 유닛(13) 내에서 기계적 스위칭 공정을 요구하며, 이에 의해 수평으로 연장되는 곡선 세그먼트(68)를 가진 중공부(64)의 곡선 세그먼트(66)들은, 추력편(62)와 협력하여, 각각 120°각도 오프셋의 스위칭 사이클이 통로 지점(27, 28, 및 29)들에 대해 배출 개구(24, 25, 26)들에 대해 달성되는 방식으로 경로 길이에 관점에서 치수화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스위칭 부시(46)에 대한 상부 카운터 베어링은 필터 바스켓(14)에 배열된 볼 롤러이다. 그러나, 카운터 베어링은 또한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예를 들어 캠, 핀 또는 기타 구성 요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카운터 베어링은 필터에서의 다른 고정 구성요소, 예를 들어 상부 단부 캡(15) 대신 필터 하우징(1)에 직접 배열될 수 있다. 스위칭 메커니즘의 개념은 예를 들어 마찰 결합, 솔레노이드 작동 결합 등을 사용하여 다른 형태의 스위칭 가능한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2개의 부분 세척 유닛을 사용한 각도 오프셋은 180°이고, 4개의 부분 세척 유닛을 사용한 각도 오프셋은 90°이다.

Claims (10)

1. - 개별 세그먼트들로 분할되는 하나의 필터(14),
- 각각의 필터 세그먼트와 연관되어, 세척 디바이스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고, 세척 디바이스(19)에 있는 통로 지점(27, 28, 29)들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되어 상기 필터(14)로부터의 유체 흐름을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개별 배출 개구(24, 25, 26)들을 가지는 회전 가능한 배출 디바이스(23)와 협력하는 부분 세척 유닛(20, 21, 22)을 가지는 세척 디바이스(19),
- 세척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부분 세척 유닛을 활성화하는 데 반하여, 이러한 세척 동안 적어도 하나의 추가 부분 세척 유닛을 비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제어 디바이스(40)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필터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40)는 커플링 디바이스(42)를 가지며, 상기 커플링 디바이스(42)는 상기 커플링 디바이스(42)의 한 위치에서 공통 회전 운동을 위해 상기 세척 디바이스(19)를 상기 배출 디바이스(23)에 연결하고, 상기 커플링 디바이스(42)의 다른 위치에서 상기 세척 디바이스와 상기 배출 디바이스를 서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디바이스.
제1항에 있어서, 제어 부품으로서, 상기 커플링 디바이스(42)는 집게 커플링(50)을 포함하며, 상기 집게 커플링의 집게들은 결합된 위치에서 상기 세척 디바이스(19)에 있는 오목부들과 맞물리며, 결합 해제된 위치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디바이스.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40)는 추가 제어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추가 제어 부품은 상기 배출 디바이스(23)의 구성 부품이고, 상기 배출 디바이스(23)의 회전 운동 동안, 세척 디바이스(19)에 의해 상승된 위치로 보내지는 것에 의해 상기 커플링 디바이스(42)가 분리 위치에 들어가는 방식으로 상기 커플링 디바이스(42)의 제어 경로와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디바이스.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된 위치로의 상기 커플링 디바이스(42)의 변위 이동은 에너지 축적기(48)에 의해 지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디바이스.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세척 유닛(20, 21, 22)들은 상기 세척 디바이스(19)의 길이 방향 축(4)에서 겹쳐서 배열되며, 상기 유닛들은 한쪽 자유 단부가 상기 필터 세그먼트들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고 다른 쪽 자유 단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 튜브로서 설계된 상기 세척 디바이스(19)의 각각 연관된 통로 지점(27, 28, 29)들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디바이스.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의 중공 튜브(38)가 상기 배출 디바이스(23)의 부품으로서 상기 세척 디바이스(19)의 상기 중공 튜브에서 안내되고, 상기 배출 디바이스의 배출 개구(24, 25, 26)들은,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통로 지점(27, 28, 29)이 유체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배출 개구(24, 25, 26)와 연속적으로 정렬되는데 반하여, 추가의 가능한 유체 통로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 모두 차단되는 방식으로, 상기 추가의 중공 튜브(38)의 원주에 걸쳐 분포되는 것이 제공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디바이스.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디바이스(42)의 제어 경로는 상기 부분 세척 유닛(20, 21, 22)들을 제어하기 위한 개별 경로 세그먼트(66, 68)들로 분할되어서, 결합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체 통로는 항상 활성화되고, 결합 해제-결합 사이클을 통과한 후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유체 통로가 활성화되고, 각각의 추가의 유체 통로가 비활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디바이스.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40)는, 추력편(62)으로서 구성되어 상기 에너지 축적기(48)의 작용에 반하여 상기 커플링 디바이스(42)를 결합된 위치에서 유지하고, 곡선 세그먼트(66)를 따라서 작동 불가능하게 된 상기 추력편(62)이 커플링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상기 커플링 디바이스(42)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 세그먼트와 협력하는 추가의 제3 제어 부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디바이스.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력편(62)과 맞물리는 상기 곡선 세그먼트(68)의 길이는 상기 커플링 디바이스(42)의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유체 통로가 상기 세척 디바이스(19)와 상기 배출 디바이스(23) 사이의 재료들에 세척 순서로 제공되는 방식으로 치수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디바이스.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디바이스(42)의 결합된 상태와 결합 해제 상태 사이의 스위칭 동작 동안, 상기 세척 디바이스(19)와 상기 배출 디바이스(23) 사이에 상대적인 움직임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디바이스.
KR1020247007274A 2021-08-24 2022-06-07 필터 디바이스 KR202400479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004351.0A DE102021004351A1 (de) 2021-08-24 2021-08-24 Filtervorrichtung
DE102021004351.0 2021-08-24
PCT/EP2022/065381 WO2023025425A1 (de) 2021-08-24 2022-06-07 Filter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7990A true KR20240047990A (ko) 2024-04-12

Family

ID=82196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7274A KR20240047990A (ko) 2021-08-24 2022-06-07 필터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34013A1 (ko)
KR (1) KR20240047990A (ko)
CN (1) CN117897214A (ko)
DE (1) DE102021004351A1 (ko)
WO (1) WO202302542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11075A1 (de) * 1986-04-03 1987-10-08 Boll & Kirch Filter Rueckspuelfilter
DE4208743C2 (de) 1992-03-16 1995-09-14 Frank Dipl Ing Buehling Automatischer Rückspülfilter für Flüssigkeiten
DE202014104200U1 (de) * 2014-06-11 2015-09-14 Boll & Kirch Filterbau Gmbh Rückspülfilter und Filtereinsatz hierfür
DE202016003089U1 (de) * 2016-05-13 2016-06-02 Hydac Process Technology Gmbh Filtervorrichtung
DE102017001968A1 (de) 2016-10-12 2018-04-12 Hydac Process Technology Gmbh Filter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25425A1 (de) 2023-03-02
EP4334013A1 (de) 2024-03-13
DE102021004351A1 (de) 2023-03-02
CN117897214A (zh) 202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6928B2 (en) Filter device
US3380591A (en) Fluid filter with automatic cleaning device
US20120228239A1 (en) Filter device operating method
JPH11104412A (ja) 逆洗フィルタ
US20030136715A1 (en) Backflush filter, in particular for filtering lubricant oil
KR950013555A (ko) 역세척 필터
JP3917663B2 (ja) 遠心式液体清浄化装置
EP2561913B1 (de) Filtrationgsvorrichtung
CA2164552C (en) Back-flushable filtering apparatus
US9474993B2 (en) Filtration apparatus
KR100513356B1 (ko) 연속-작동 여과 방법 및 장치
CN111511690A (zh) 压滤机
CN219355573U (zh) 滤芯清洗装置
US11801463B2 (en) Filter apparatus
EP2514500A1 (en) Disc filter structure for rotary disc filters
KR20240047990A (ko) 필터 디바이스
CN114622389A (zh) 用于导水的家用器具的过滤器系统、导水的家用器具和用于将流体从处理室中排出的方法
KR20080057186A (ko) 유압 모터
JP6448568B2 (ja) 連続ろ過装置
US11471800B2 (en) Rotary vessel for a filter assembly having a releasable locking device
KR101657139B1 (ko) 무동력 역세필터 장치
CN206824028U (zh) 一种具有自动清洗功能的立式螺旋液固离心机
US10981094B2 (en) Filter assembly with a pressure actuated valve assembly that permits air flow into a rotary vessel
RU2442659C2 (ru) Шнековая центрифуга со сплошным барабаном и выпускными отверстиями для частичного опорожнения и удаления остатков продукта из барабана
CN101072616A (zh) 污染液体净化用的过滤装置及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