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7810A - 진동 유격 검사 기능을 갖는 연주기 몰드 진동 장치 및 이를 갖는 연주기 설비 - Google Patents

진동 유격 검사 기능을 갖는 연주기 몰드 진동 장치 및 이를 갖는 연주기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7810A
KR20240047810A KR1020220127312A KR20220127312A KR20240047810A KR 20240047810 A KR20240047810 A KR 20240047810A KR 1020220127312 A KR1020220127312 A KR 1020220127312A KR 20220127312 A KR20220127312 A KR 20220127312A KR 20240047810 A KR20240047810 A KR 20240047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mold
vibration
shaft
clea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20127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7810A/ko
Publication of KR20240047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781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4Plants for continuous casting
    • B22D11/148Safety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16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mould oscil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유격 검사 기능을 갖는 연주기 몰드 진동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진동 유격 검사 기능을 갖는 연주기 몰드 진동 장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몰드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몰드의 하단과 상기 승강부의 상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몰드의 하단과 상기 승강부의 상단 사이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 및 상기 승강부의 반복적인 승강에 따른 진동수를 측정하고, 상기 진동수가 설정되는 기준 진동수를 이루도록 상기 승강부의 구동을 통해 상기 승강부의 승강 유격을 제어하는 진동 유격 검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동 유격 검사 기능을 갖는 연주기 몰드 진동 장치 및 이를 갖는 연주기 설비{APPARATUS FOR MOLD OSCILLATION OF CONTINOUS CASTINGMACHINE AND CASTINGMACHI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진동 유격 검사 기능을 갖는 연주기 몰드 진동 장치 및 이를 갖는 연주기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몰드의 진동 프레임의 진동 유격이 균일한 지의 여부를 검사함과 아울러 진동 프레임 승강 시 충격을 흡수하여 안정적인 승강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진동 유격 검사 기능을 갖는 연주기 몰드 진동 장치 및 이를 갖는 연주기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주기는 용강을 연속적으로 주조하여 주편을 생산하는 장치로서 용강이 몰드의 벽에 부착(Sticking)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몰드는 지속적으로 진동(Osillation)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연주기 몰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연주기는 용강이 주입되는 몰드와, 이 몰드가 고정 설치되는 진동프레임(12)과, 이 진동프레임(12)을 상[하로 진동시키는 유압실린더(10)와, 진동프레임(12)이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설치된 고정프레임(13)과, 진동프레임(12)과 고정프레임(13) 사이에는 리프스프링로 이루어진다.
또한 용강과 접촉하는 몰드 내벽에는 동판(110)이 설치되고, 이 동판의 후면에는 냉각수가 순환되어 용강을 냉각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연주기는 제철소 연주 공정에 적용된다.
한편 연주기의 주요 설비인 몰드는 그 내부에 용강과 파우더가 주입된다. 이때 몰드의 동판과 용강이 서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진동 프레임이 반복적으로 진동되는데, 이때 진동 프레임의 진동 유격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슬래브 품질 불량을 초래한다.
이에 몰드를 수리하는 공정 중 진동 프레임의 진동 유격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및, 롤링 엘리먼트의 유격이 정상적인지의 여부를 검사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천정 프레임을 사용하여 진동 프레임을 리프팅시켜 상기 검사 작업을 수행하였으나 검사 작업시 안전 사고의 위험을 고려하여 상기의 구성에서 유압실린더를 사용하여 진동 프레임을 리프팅하도록 하였다.
즉 종래에는 사용 중인 몰드에 대하여 진동 프레임의 승강 유격 또는 진동 유격의 검증 없이 단순히 리프팅을 실시하기 때문에 육안으로 검사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더하여 종래에는 진동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경우 최상단 위치 및 최하단 위치에서의 충격이 발생되어 설비 구성들 간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몰드의 진동 프레임의 진동 유격이 균일한 지의 여부를 검사함과 아울러 진동 프레임 승강시 충격을 흡수하여 안정적인 승강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진동 유격 검사 기능을 갖는 연주기 몰드 진동 장치 및 이를 갖는 연주기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몰드의 진동 프레임의 진동 유격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미리 설정되는 기준 진동 유격을 이루도록 승강부를 사용하여 진동 프레임과 지지부 간 유격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연주기 몰드 진동 장치 및 이를 갖는 연주기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진동 유격 검사 기능을 갖는 연주기 몰드 진동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진동 유격 검사 기능을 갖는 연주기 몰드 진동 장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몰드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몰드의 하단과 상기 승강부의 상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몰드의 하단과 상기 승강부의 상단 사이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 및 상기 승강부의 반복적인 승강에 따른 진동수를 측정하고, 상기 진동수가 설정되는 기준 진동수를 이루도록 상기 승강부의 구동을 통해 상기 승강부의 승강 유격을 제어하는 진동 유격 검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부는,
승강되는 승강축을 갖는 승강 실린더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축의 상단은, 상기 ?Ⅵ揚?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승강축의 상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베이스 몸체와, 상기 베이스 몸체의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축이 배치되는 홀이 형성된 지지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몸체에는, 상기 승강 실린더가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홀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축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홀이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충격 흡수부의 하단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단과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승강축의 상단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승강축의 상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 몸체와,
상기 고정 몸체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의 제 1내경 보다 확장된 제 2내경을 갖는 스프링 설치홀이 형성된 스프링 설치 몸체와,
상기 스프링 설치 몸체의 하단에 상하를 따라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 설치홀에는, 상기 충격 흡수 스프링이 개재된다.
상기 승강축은 주 승강축과, 보조 승강축을 구비하고, 상기 주 승강축과 보조 승강축은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주 승강축의 하단과 상기 보조 승강축의 상단 과의 결합 위치를 가변시켜 유격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베이스 몸체에는, 상기 승강 실린더의 하단을 수직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실린더 탄성 지지부가 더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진동 유격 검사부는,
상기 몰드의 승강 유격을 측정하는 유격 측정기와,
상기 승강 실린더의 상기 승강축의 반복 승강에 의한 진동수를 산출하는 진동수 산출기와,
상기 승강 실린더의 승강 구동을 제어하되, 상기 기준 진동수가 기설정되고,
산출되는 상기 진동수가 상기 기준 진동수에 이르도록 기준 승강 유격을 산출하고, 상기 측정된 승강 유격이 상기 기준 승강 유격에 이르도록 상기 승강기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고정홀의 내주와, 상기 고정 몸체의 외측 둘레에는 가이드 링이 더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연주기 몰드 진동 장치를 포함하는 연주기 설비를 제공한다.
상기의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몰드의 진동 프레임의 진동 유격이 균일한 지의 여부를 검사함과 아울러 진동 프레임 승강시 충격을 흡수하여 안정적인 승강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몰드의 진동 프레임의 진동 유격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미리 설정되는 기준 진동 유격을 이루도록 승강부를 사용하여 진동 프레임과 지지부 간 유격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효과들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연주기 몰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유격 검사 기능을 갖는 연주기 몰드 진동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의 A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유격 검사부의 구동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주기 몰드 진동 장치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축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실린더의 하부에 실린더 탄성 지지부가 더 배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진동 유격 검사 기능을 갖는 연주기 몰드 진동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연주기 설비는 상기의 진동 유격 검사 기능을 갖는 연주기 몰드 진동 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상기 연주기 몰드 진동 장치를 연주기 설비의 구성에 포함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연주기 설비는 연주기 몰드 진동 장치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유격 검사 기능을 갖는 연주기 몰드 진동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의 A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주기 몰드 진동 장치는 지지부(100)와, 승강부(200)와, 충격 흡수부(300)와, 진동 유격 검사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100)는 베이스 몸체(110)와, 상기 베이스 몸체(110)의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부(200)의 승강축(211)이 배치되는 홀(111)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200)는 몰드(500)를 승강시킨다. 상기 몰드(500)는 고정 프레임(510)과, 진동 프레임(52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프레임(510)은 지지부(100)의 상단에 배치된다. 상기 진동 프레임(520)은 상기 고정 프레임(5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고정 프레임(510)은 승강부(200)의 승강 동작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200)는 승강 실린더(210)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 실린더(210)는 승강되는 승강축(211)을 갖는다. 상기 승강 실린더(210)는 후술되는 제어기(43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실린더(210)는 유압 실린더일 수 있다. 그리고 후술되는 제어기는 제어 밸브를 구비하여 유압 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승강 실린더(210)는 지지부(100)의 베이스 몸체(110)에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 몸체(110)의 상단에는 고정 프레임(510)이 배치된다.
상기 고정 프레임(510)에는 가이드 홀(511)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홀(511)에는 관 형상의 가이드 부재(120)가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120)는 상기 베이스 몸체(110)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120)의 내부에는 상기 승강 실린더(210)의 승강축(211)이 관통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프레임(510)의 상부에는 진동 프레임(520)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축(211)의 상단은 몰드(500)의 진동 프레임(520)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충격 흡수부(300)는 상기 승강축(211)의 상단에 배치된다.
상기 충격 흡수부(300)는 고정 몸체(310)와, 스프링 설치 몸체(320)와, 가동 몸체(330)를 갖는다.
상기 고정 몸체(310)는 상기 승강축(211)의 상단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고정 몸체(310)에는 상기 승강축(211)의 상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홀(311)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설치 몸체(320)는 상기 고정 몸체(31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고정홀(311)의 제 1내경 보다 확장된 제 2내경을 갖는 스프링 설치홀(321)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설치홀(321)에는 스프링(340)이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 설치 몸체(320)에는 승강 유동 가능한 가동 몸체(330)가 배치된다.
상기 가동 몸체(330)의 상단부는 상기 스프링 설치 몸체(320)의 스프링 설치홀(321)에 끼워져 상하를 따라 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가동 몸체(330)의 하단부 외주는 단차 형상을 이루어 상기 스프링 설치 몸체(320)의 하단에 걸칠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가동 몸체(330)의 하단부 외주에 형성된 단차와 스프링 설치 몸체(320)의 하단은 미리 설정된 유격을 이룬다. 상기 유격은 스프링(340)의 탄성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120)의 상단에는 가동 몸체(330)의 하단부에 형성된 단턱에 대응되어 서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다른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턱과 다른 단턱은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고정홀(311)의 내주와, 상기 고정 몸체(310)의 외측 둘레에는 가이드 링(350)이 더 배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유격 검사부의 구동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유격 검사부(400)는 상기 승강부의 반복적인 승강에 따른 진동수를 측정하고, 상기 진동수가 설정되는 기준 진동수를 이루도록 상기 승강부(200)의 구동을 통해 상기 승강부(200)의 승강 유격을 제어한다.
상기 진동 유격 검사부(400)는 상기 몰드의 진동 프레임(520)의 승강 유격을 측정하는 유격 측정기(410)와, 상기 승강 실린더(210)의 상기 승강축(211)의 반복 승강에 의한 진동수를 산출하는 진동수 산출기(420)와, 상기 승강 실린더(210)의 승강 구동을 제어하되, 상기 기준 진동수가 기설정되고, 산출되는 상기 진동수가 상기 기준 진동수에 이르도록 기준 승강 유격을 산출하고, 상기 측정된 승강 유격이 상기 기준 승강 유격에 이르도록 상기 승강 실린더(2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격 측정기(410)는 상기 고정 프레임(510)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 프레임(520)의 하단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이를 제어기(430)로 전송하는 거리 센서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격 측정기(410)는 고정 프레임(510)의 상단 기준으로 진동 프레임(520)의 하단과의 유격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주기 몰드 진동 장치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 하면 제어기(430)에는 상술한 기준 승강 유격 및 기준 진동수가 외부 입력기(440)를 통해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430)는 유격 측정기(410)로부터 측정되는 거리값이 상기 기준 승강 유격에 해당되는 지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거리값은 고정 프레임(510) 상단과 진동 프레임(520) 하단과의 거리값일 수 있다.
이어 상기 제어기(430)는 승강 실린더(210)를 사용하여 승강축(211)을 설정된 행정 거리에서 승강을 반복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기(430)는 반복되는 승강에 따른 진동수가 상기 기준 진동수에 이르도록 승강 실린더(210)의 승강축(211) 승강 동작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몰드의 진동 프레임(520)을 설정된 유격을 이루면서, 설정되는 기준 진동수를 이루어 진동되도록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유격을 가변적으로 설정 가능하여 미세한 유격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승강축(211)의 상단은 충격 흡수부(300)에 연결되어 스프링(340)에 의한 탄성으로 진동 프레임(520) 승강시 발생되는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다. 이에 승강 실린더(210) 작동시 설비의 파손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축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승강축(211)은 주 승강축(211a)과 보조 승강축(211b)으로 구성된다. 상기 주 승강축(211a)과 보조 승강축(211b)의 사이에는 연결 부재(220)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 부재(220)는 주 승강축(211a)의 하단과 보조 승강축(211b)의 하단과의 체결 위치를 가변시켜 전체적인 승강축(21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물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보조 승강축의 상단에 보조축을 갖는 보조 실린더가 구비되고, 보조축이 주 승강축의 하단에 체결되는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 이에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보조축의 승강 위치를 조절하여 전체적인 승강축의 길이를 미세하게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실린더의 하부에 실린더 탄성 지지부가 더 배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 하면 베이스 몸체(110)에는, 상기 승강 실린더(210)의 하단을 수직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실린더 탄성 지지부(13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탄성 지지부(130)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탄성 지지 몸체(131)와, 상기 탄성 지지 몸체(131)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132)를 갖는다.
상기 탄성 부재(132)의 상단에는 고정판(133)이 배치된다. 상기 고정판(133)에는 상기 승강 실린더(210)의 하단이 고정된다.
상기 고정판(133)은 상기 탄성 지지 몸체(131)의 내부에서 탄성 부재(132)에 의해 탄성 유동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33)의 외주에는 간격을 이루어 탄성의 구름 부재들(134)이 설치되고, 상기 구를 부재들(134)은 탄성 지지 몸체(131)의 내주를 따라 구를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실린더의 하단은 탄성 지지되어, 진동 프레임을 진동하는 동안에 발생되는 진동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은 몰드의 진동 프레임의 진동 유격이 균일한 지의 여부를 검사함과 아울러 진동 프레임 승강시 충격을 흡수하여 안정적인 승강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몰드의 진동 프레임의 진동 유격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미리 설정되는 기준 진동 유격을 이루도록 승강부를 사용하여 진동 프레임과 지지부 간 유격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지지부
110 : 베이스 몸체
111 : 홀
120 : 가이드 부재
130 : 실린더 탄성 지지부
131 : 탄성 지지 몸체
132 : 탄성 부재
133 : 고정판
134 : 구름 부재
200 : 승강부
210 : 승강 실린더
211 : 승강축
300 : 충격 흡수부
310 : 고정 몸체
311 : 고정홀
320 : 스프링 설치 몸체
321 : 스프링 설치홀
330 : 가동 몸체
340 : 스프링
350 : 가이드 링
400 : 진동 유격 검사부
410 : 유격 측정기
420 : 산출기
430 : 제어기
440 : 외부 입력기
500 : 몰드
510 : 고정 프레임
511 : 가이드 홀
520 : 진동 프레임

Claims (5)

  1.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몰드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몰드의 하단과 상기 승강부의 상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몰드의 하단과 상기 승강부의 상단 사이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 및,
    상기 승강부의 반복적인 승강에 따른 진동수를 측정하고, 상기 진동수가 설정되는 기준 진동수를 이루도록 상기 승강부의 구동을 통해 상기 승강부의 승강 유격을 제어하는 진동 유격 검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유격 검사 기능을 갖는 연주기 몰드 진동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승강되는 승강축을 갖는 승강 실린더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축의 상단은, 상기 ?Ⅵ揚?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승강축의 상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유격 검사 기능을 갖는 연주기 몰드 진동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베이스 몸체와, 상기 베이스 몸체의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축이 배치되는 홀이 형성된 지지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몸체에는, 상기 승강 실린더가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홀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축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홀이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충격 흡수부의 하단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단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유격 검사 기능을 갖는 연주기 몰드 진동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축은, 상기 가이드 부재를 관통하는 주 승강축과, 상기 승강 실린더와 연결되는 보조 승강축과, 상기 주 승강축과 상기 보조 승강축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주 승강축의 하단과 상기 보조 승강축의 상단 과의 결합 위치를 가변시켜 유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유격 검사 기능을 갖는 연주기 몰드 진동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연주기 몰드 진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기 설비.

KR1020220127312A 2022-10-05 2022-10-05 진동 유격 검사 기능을 갖는 연주기 몰드 진동 장치 및 이를 갖는 연주기 설비 KR202400478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312A KR20240047810A (ko) 2022-10-05 2022-10-05 진동 유격 검사 기능을 갖는 연주기 몰드 진동 장치 및 이를 갖는 연주기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312A KR20240047810A (ko) 2022-10-05 2022-10-05 진동 유격 검사 기능을 갖는 연주기 몰드 진동 장치 및 이를 갖는 연주기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7810A true KR20240047810A (ko) 2024-04-12

Family

ID=90679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312A KR20240047810A (ko) 2022-10-05 2022-10-05 진동 유격 검사 기능을 갖는 연주기 몰드 진동 장치 및 이를 갖는 연주기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7810A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699B1 (ko) 쇄석기 마모부품용 오버레이 용접장치
US20050262915A1 (en) Die cushion apparatus
KR20100123862A (ko) 코크스로의 노 챔버 장입 장치
US20130118840A1 (en) Compensation device and elevator
KR101898143B1 (ko) 타겟 교체용 리프트 장치
KR101732457B1 (ko) 거더수평장치
KR20240047810A (ko) 진동 유격 검사 기능을 갖는 연주기 몰드 진동 장치 및 이를 갖는 연주기 설비
KR20120133948A (ko) 샤프트 클러치 얼라이먼트용 서포트
JP2011112487A (ja) 加振装置
KR101307793B1 (ko) 취성재료의 드릴링장치
CN108792892B (zh) 双层电梯及双层电梯的维护方法
KR101824660B1 (ko) 금형 제조장치
JPH063059A (ja) 再溶解炉
JP3747710B2 (ja) エレベータ駆動装置の固定構造
CN205702345U (zh) 结晶器振动框架线下调平装置
US5059235A (en) Apparatus for bending glass panes
KR100716876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액츄에이터 설치용 프레임
KR20140021729A (ko) 금속성 제품용 쌍곡선 롤들을 구비하는 변형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1847156B1 (ko) 압연기
US386335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guide-roll alignment in a continuous-casting machine
KR100337756B1 (ko) 콘크리트 타설용 슬립폼의 유압잭 검사 장치
CN110181332A (zh) 一种断刀检测装置
CN109540919A (zh) 一种断刀检测装置
CN216558353U (zh) 新型烟闸控制装置
JP2012056678A (ja) エレベータ巻上機の据付方法及び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