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7643A - 호이스트용 후크장치 - Google Patents

호이스트용 후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7643A
KR20240047643A KR1020220126912A KR20220126912A KR20240047643A KR 20240047643 A KR20240047643 A KR 20240047643A KR 1020220126912 A KR1020220126912 A KR 1020220126912A KR 20220126912 A KR20220126912 A KR 20220126912A KR 20240047643 A KR20240047643 A KR 20240047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lifting
main body
hois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찬혁
Original Assignee
송찬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찬혁 filed Critical 송찬혁
Priority to KR1020220126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7643A/ko
Publication of KR20240047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76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66C1/36Crane hooks with means, e.g. spring-biased detents, for preventing inadvertent disengagement of lo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16B45/04Hooks with sliding closing member
    • F16B45/045Hooks with sliding closing member provided with position-locking means for the clos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하중물체의 운반도중 낙하 등을 방지하여 안전성이 개선된 호이스트용 후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후크장치는 후크본체부, 후크본체부의 일단에 마련되며 호이스트에 연결되도록 내부에 설치홈이 형성된 호이스트연결부, 후크본체부의 타단에 마련되며 하중물체를 걸 수 있도록 후크개구부가 형성된 걸이부 및 후크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후크본체부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호이스트용 후크장치{Hook Device for Hoist}
본 발명은 호이스트용 후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외부 물체와의 충돌, 바람에 의한 흔들림으로부터 하중물체의 낙하 등을 방지하여 재해로부터 안전성이 개선된 호이스트용 후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이스트용 후크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후크 형태의 구조로서, 로프 등을 이용하여 상기 후크에 하중물체를 걸어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종래의 호이스트용 후크는 탄성력 부재를 이용하여 후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중물체를 승강하거나 운반할 때, 외부 물체와의 충돌, 바람에 의한 흔들림으로부터 탄성한계를 초과함에 따라 후크 개폐장치가 열려 로프 등이 후크로부터 이탈하여 하중물체가 낙하하는 재해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로프 등을 이용하여 하중물체를 후크에 걸 때, 후크가 종종 닫혀 작업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실용신안문헌 1에는 호이스트의 후크회전방지기구가 개시되어 있고, 특허문헌 2에는 안전 후크가 개시되어 있다. 문헌 1, 2에 개시된 발명에 따른 후크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개폐장치를 포함한 안전 후크로서, 탄성한계를 초과하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하중물체의 낙하 방지 등에 있어서 미흡한 면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기술을 개시할 필요가 있다.
(실용신안문헌 1) 공개실용신안공보 20-1999-0019659(공개일:1999.06.15.) 등록특허공보 10-1520014(공고일:2015.05.22.)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후크본체부, 상기 후크본체부의 일단에 마련되며 호이스트에 연결되도록 내부에 설치홈이 형성된 호이스트연결부, 상기 후크본체부의 타단에 마련되며 하중물체를 걸 수 있도록 후크개구부가 형성된 걸이부 및 상기 후크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후크본체부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유닛을 포함하고, 하중물체의 운반도중 외부 물체와의 충돌, 바람에 의한 흔들림으로부터 낙하 등을 방지하여 안전성이 개선된 호이스트용 후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호이스트용 후크장치는 후크본체부, 상기 후크본체부의 일단에 마련되며 호이스트에 연결되도록 내부에 설치홈이 형성된 호이스트연결부, 상기 후크본체부의 타단에 마련되며 하중물체를 걸 수 있도록 후크개구부가 형성된 걸이부 및 상기 후크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후크본체부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승강유닛은 승강본체부, 상기 승강본체부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승강본체를 이동하거나 고정하기 위해 손으로 쥘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승강손잡이부재, 상기 승강본체부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걸이부에 하중물체를 걸 때는 상기 후크개구부를 개방하고 하중물체를 승강하거나 운반할 때는 상기 후크개구부를 폐쇄하는 후크개폐부재 및 상기 후크본체부와 상기 승강유닛에 마련되며 상기 후크본체부에 대해 상기 승강본체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승강유닛을 이동하거나 상기 후크개구부가 개폐된 상태로 상기 승강유닛을 고정하는 상기 승강손잡이부재와 나란하게 형성된 안전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크본체부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유닛은 상기 승강본체부 및 상기 승강손잡이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안전장착부재, 상기 안전장착부재내에서 움직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록킹 여부에 따라 그 일단이 상기 고정홈 내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고정핀, 상기 고정핀을 상기 고정홈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 및 상기 고정핀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핀이 언록킹되도록 하는 잠금해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가이드부재는 상기 후크본체부에 상기 승강유닛의 승강 방향으로 형성되는 승강가이드레일 및 상기 승강본체부에 마련되며 상기 승강가이드레일에 대해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가이드롤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유닛이 승강할 때 상기 승강가이드롤러유닛은 상기 가이드레일 및 상기 후크본체부를 따라 회전하면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가이드롤러유닛은 상기 승강본체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며 상기 승강가이드레일을 따라 움직임이 가능한 가이드롤러 및 상기 후크본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이드롤러에 대항되게 상기 승강본체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며 상기 승강유닛이 직선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백업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홈은 상기 호이스트연결부와 연결되는 상기 후크본체부의 상단에 형성된 제1고정홈 및 상기 걸이부와 연결되는 상기 후크본체부의 하단에 형성된 제2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홈에 상기 고정핀이 록킹 될 때는 상기 후크개구부가 개방된 상태가 되고, 상기 제2고정홈에 상기 고정핀이 록킹 될 때는 상기 후크개구부가 폐쇄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용 후크장치는 후크본체부, 호이스트연결부, 걸이부 및 승강유닛을 포함하며, 하중물체를 후크장치의 걸이부에 걸 때 후크개구부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하고, 하중물체를 승강하거나 운반할 때는 후크개구부를 폐쇄하여 외부 물체와의 충돌, 바람에 의한 흔들림으로부터 하중물체의 낙하 등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후크장치의 일 동작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후크장치의 다른 동작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후크장치의 승강장치의 일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의 기능을 고려하여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발명자가 임의의 용어를 특정한 경우,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후크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후크장치의 일 동작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후크장치의 다른 동작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후크장치는 후크본체부(100), 후크본체부(100)의 일단에 마련되며 호이스트에 연결되도록 내부에 설치홈(111)이 형성된 호이스트연결부(110), 후크본체부(100)의 타단에 마련되며 하중물체를 걸 수 있도록 후크개구부(131)가 형성된 걸이부(130) 및 후크개구부(131)를 개폐할 수 있도록 후크본체부(100)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이스트연결부(110)는 후크본체부(100)의 일단에 마련되며, 호이스트에 연결되도록 내부에 설치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크장치(10)는 설치홈(111)에 의해 호이스트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설치홈(111)은 마찰에 의한 호이스트의 로프, 체인 등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원형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설치홈(111)은 원형이외에 다양한 형태로도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호이스트연결부(110)는 하중물체의 운반도중 외부 요소와의 충돌, 바람에 의한 흔들림으로부터 견딜 수 있도록 적어도 한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걸이부(130)는 후크본체부(100)의 타단에 마련될 수 있다. 걸이부(130)는 후크본체부(100)의 타단에서 선단부가 후크본체부(100)의 일측으로 이격되도록 절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걸이부(130) 내부에 하중물체를 걸 수 있도록 후크개구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하중물체에 연결된 로프 등을 후크개구부(131)에 삽입하여 상기 걸이부(130)에 걸 수 있다.
상기 승강유닛은 후크개구부(131)를 개폐할 수 있도록, 후크본체부(100)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승강유닛(300)은 승강본체부(310), 승강본체부(310)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승강본체를 이동하거나 고정하기 위해 손으로 쥘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승강손잡이부재(330), 승강본체부(310)의 타측에 마련되며 걸이부(130)에 하중물체를 걸 때는 후크개구부(131)를 개방하고 하중물체를 승강하거나 운반할 때는 후크개구부(131)를 폐쇄하는 후크개폐부재(350) 및 후크본체부(100)와 승강유닛(300)에 마련되며 후크본체부(100)에 대해 승강본체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부재(3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승강유닛(300)은 승강유닛(300)을 이동하거나 후크개구부(131)가 개폐된 상태로 승강유닛(300)을 고정하는 승강손잡이부재(330)와 나란하게 형성된 안전유닛(3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손잡이부재(330)는 승강본체부(31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손잡이부재(330)는 후크개구부(131)를 개폐하기 위해 승강유닛(300)을 호이스트연결부(110)방향으로 또는 걸이부(131)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파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승강손잡이부재(330)는 승강유닛(300)를 고정하기 위해 파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승강손잡이부재(330)는 고정핀(393)을 고정홈(399)으로부터 록킹 또는 언록킹 하기 위해 안전유닛(390)을 잡아당기기 위해 파지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승강유닛(300)의 이동이 승강손잡이부재(330)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후크개폐부재(350)는 승강본체부(310)의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후크개폐부재(350)는 걸이부(130)에 하중물체를 걸 때는 승강손잡이부재(330) 및 안전유닛(390)에 의해 승강유닛(300)을 호이스트연결부(110) 방향으로 이동시켜 후크개구부(131)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후크개폐부재(350)는 하중물체를 승강하거나 운반할 때는 하중물체의 로프등이 걸이부(13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승강손잡이부재(330) 및 안전유닛(390)에 의해 승강유닛(300)를 걸이부(130)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후크개구부(131)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승강가이드부재(370)는 후크본체부(100)와 승강유닛(300)에 마련될 수 있다. 승강가이드부재(370)는 후크본체부(110)에 대해 승강본체(310)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승강가이드부재(370)는 승강가이드레일(371) 및 승강가이드롤러유닛(3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가이드레일(371)은 후크본체부(100)에 승강유닛(300)의 승강방향으로 소정의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승강가이드레일(371)은 후크본체부(100)에 위치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승강가이드레일(371)은 후크본체부(10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외에도 승강가이드레일(371)은 승강유닛(300)의 이동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이격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승강유닛(300)의 이동방향은 후크본체부(100)의 일단에 있는 호이스트연결부(110)에서 후크본체부의(100)의 타단에 있는 걸이부(130)의 방향으로, 또는 그 역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승강가이드롤러유닛(373)은 승강유닛이 승강할 때, 승강가이드레일(371) 및 후크본체부(100)의 일측에 따라 회전하면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가이드롤러유닛(373)은 가이드롤러(373a) 및 백업롤러(373b)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롤러(373a) 및 백업롤러(373b)는 승강본체부(310)에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주로 가이드롤러(373a) 및 백업롤러(373b)는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2개가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가이드롤러(373a)는 승강본체부(310)에 설치되어 승강가이드레일(371)을 따라 회전하면서 움직일 수 있다. 백업롤러(373b)는 후크본체부(100)를 사이에 두고 가이드롤러(373a)에 대항되게 승강본체부(310)에 설치되어 후크본체부(100) 일측을 따라 회전하면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백업롤러(373b)는 승강유닛이 직선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백업롤러(373b)는 승강유닛의 승강운동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후크장치의 승강장치의 일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안전유닛(390)은 승강유닛(300)을 이동하거나 후크개구부(131)가 개폐된 상태로 승강유닛(300)을 고정하는 승강손잡이부재(330)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안전유닛(390)은 하중물체를 걸이부(130)에 걸거나, 하중물체를 승강하거나 운반할 때 후크개구부(131)을 개폐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승강유닛(300)의 이동은 후크본체부(100)의 일단에 있는 호이스트연결부(110)에서 후크본체부의(100)의 타단에 있는 상기 걸이부(130)로의 방향 또는 역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안전유닛(390)은 안전장착부재(391), 고정핀(393), 탄성부재(395) 및 잠금해제부재(39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장착부재(391)는 승강본체부(310) 및 승강손잡이부재(3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안전장착부재(391)는 내부에 고정핀(393) 및 탄성부재(395)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하고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안전장착부재(391)는 주로 박스형태로 내부에 고정핀(393) 및 탄성부재(395)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393)은 안전장착부재(391)내에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후크본체부(100)에는 고정홈(399)이 형성되고, 고정핀(393)은 후크개구부(131)의 록킹 여부에 따라 그 일단이 고정홈(399)내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즉 후크개구부(131)를 개폐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승강유닛(300)을 고정할 때는 고정핀(393)은 그 일단이 고정홈(399)내에 위치될 수 있다. 반면 승강유닛(300)을 이동할 때는 고정핀(393)의 일단은 고정홈(399)내에 위치하지 않고, 안전장착부재(391)내에 위치하고, 고정핀(393)의 타단은 안전장착부재(391)의 일단 내부로 노출될 수 있다. 승강유닛(300) 이동시 고정핀(393)의 일단이 안전장착부재(391)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는 경우, 고정핀(393)이 후크본체부(100) 표면을 스크래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핀(393)의 타단에 볼(미도시)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재(395)는 고정핀(393)을 고정홈(399)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395)는 안전장착부재(391)내에 위치되도록 내측에 끼워지는 압축스프링을 이용할 수 있다. 탄성부재(395)는 승강손잡이부재(330)를 이용하여 적절한 힘으로 잠금해제부재(397)를 안전장착부재(391)와 멀어지게 잡아 당기면 고정핀(393)을 고정홈(399)으로부터 노출시키고(언록킹), 잡아 당겼던 잠금해제부재(397)를 놓으면 고정핀(393)의 일단이 고정홈(399)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삽입(록킹)될 수 있다.
상기 잠금해제부재(397)는 고정핀(393) 일단에 설치될 수 있다. 잠금해제부재(397)는 고정핀(393)을 고정홈으로부터 언록킹(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적절한 힘으로 잠금해제부재(397)를 잡아당기면 잠금해제부재(397)가 안전장착부재(397)로부터 멀어지면서 고정홈(399)에 고정된 고정핀(393)을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정핀(393)이 고정홈(399)에서 언록킹된 상태에서, 승강손잡이부재(330)를 이용하여 승강유닛(300)의 움직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잠금해제부재(397)는 작업자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는 인증신호 입력부(미도시), 작업자가 맞는지 확인하는 제어부(미도시) 및 작업자의 확인이 맞는 경우 자동으로 고정홈(399)으로부터 고정핀(393)을 언록킹하여 자동으로 승강유닛(300)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홈(399)은 후크본체부(1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399)은 후크본체부(100)의 일측에 다수개가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주로 고정홈(399)은 제1고정홈(399a) 및 제2고정홈(399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고정홈(399b)은 호이스트연결부(110)와 연결되는 후크본체부(100)의 일측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홈(399a)은 후크개구부(131)가 개방된 상태에서 하중물체를 걸이부(130)에 거는 동안 승강유닛(300)을 고정하기 위해 고정핀(393)의 일단을 수용할 수 있다. 즉 제1고정홈에 고정핀(393)이 록킹 될 때는 후크개구부(131)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작업하는 동안, 고정핀(393)이 제1고정홈(399a)에 단단하게 록킹되어, 후크개구부(131)가 닫히는 불편함을 없애는데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단이란 승강유닛이 호이스트연결부와 가까이 위치한 곳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2고정홈(399b)은 걸이부(130)와 연결되는 후크본체부(100)의 일측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홈(399b)은 후크개구부(131)가 폐쇄된 상태에서 하중물체를 승강하거나 운반할 때 하중물체가 걸이부(13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핀(393)의 일단을 수용할 수 있다. 즉 제2고정홈(399b)에 고정핀(393)이 록킹 될 때는 후크개구부(131)가 폐쇄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고정핀(393)이 제2고정홈(399b)에 단단하게 록킹되어, 외부 물체와의 충돌, 바람에 의한 흔들림으로부터 하중물체의 로프등이 걸이부(130)에서 이탈되어 하중물체가 낙하하는 재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상기 안전유닛(390)은 누름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누름부는 고정핀(393)과 연결되어 잠금해제부재(393)의 일측에 볼록하게 설치될 수 있다. 누름부를 누르면 잠금해제부재(393)의 일측에 볼록하게 형성된 누름부의 일단이 잠금해제부재(393)에 삽입되면서, 탄성부재(395)에 의해 고정핀(393)의 일단이 고정홈(399)에 삽입되어 록킹될 수 있다. 또한 누름부의 일단이 잠금해제부재(393)에 삽입된 상태에서 누름부를 누르면 삽입된 고정핀(393)의 일단이 고정홈(399)으로부터 언록킹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누름부는 작업자에게 고정핀(393)을 고정홈(399)에 록킹 또는 언록킹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승강유닛(300)을 승강할 때, 누름부(341)로 인해 작업자는 승강손잡이부재(300)를 이용하여 상기 잠금해제부재(397)를 잡아 당기는 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후크장치(10)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호이스트에 연결된 후크장치(10)에 의해 하중물체를 승강하거나 운반할 때, 승강손잡이부재(330)와 손으로 파지한다. 그 다음 승강손잡이부재(330)을 파지한 상태에서 잠금해제부재(397)를 후크본체부(1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고정핀(393)이 제2고정홈(399a)에서 언록킹(해제)되면서 잠금해제부재(397)가 안전장착부재(391)와 멀어진다. 고정핀(393)이 제2고정홈(399b)에서 언록킹된 상태에서 승강손잡이부재(330)를 이용하여 승강유닛(300)을 호이스트연결부(110) 방향으로 이동하면, 후크개구부(131)가 개방된다.
작업자가 작업하는 동안 후크개구부(131)가 개방된 상태로 이동된 승강유닛(300)을 고정하기 위해 안전유닛(390)내의 고정핀(393)이 제1고정홈(399a)에 위치하면, 잡아당긴 상기 잠금해제부재(397)를 놓는다. 따라서 탄성부재(395)에 의해 잠금해제부재(397)가 안전장착부재(391)와 가까워짐과 동시에 고정핀(393)의 일단이 제1고정홈(399a)에 삽입되어 록킹된다. 따라서 제1고정홈(399a)에 고정핀(393)이 록킹된 상태에서 하중물체 또는 하중물체의 로프등을 걸이부(130)의 후크개구부(131)에 삽입하여 건다.
하중물체를 승강 또는 운반하기 위해서 후크개구부(131)을 폐쇄하기 위해, 잠금해제부재(397)를 안전장착부재(391)에서 멀어지게 잡아당겨, 제1고정홈(399a)에서 고정핀(393)을 언록킹한다. 그 다음 승강손잡이부재(330)를 이용하여 승강유닛(3000을 걸이부(130) 방향으로 이동한다. 고정핀(393)이 제2고정홈(399b)에 위치되는 곳에 승강유닛(300)을 고정하고, 잡아당긴 잠금해제부재(397)을 풀어 탄성부재(395)에 의해 고정핀(393)을 상기 제2고정홈(399b)에 록킹한다. 따라서 제2고정홈(399b)에 고정핀(393)이 록킹됨에 따라 후크개폐부재(350)에 의해 후크개구부(131)가 폐쇄한다. 후크개구부(131)가 폐쇄된 상태에서 호이스트에 의해 본 발명인 호이스트용 후크장치에 걸려있는 하중물체를 승강하거나 운반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하중물체를 승강하거나 운반할 때, 후크장치(10)의 제2고정홈(399b)에 고정핀(393)이 고정되어 후크개구부(131)가 폐쇄되므로 걸이부(130)에 걸려있는 로프 등의 이탈을 방지하여 하중물체 낙하에 의한 재해로부터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하중물체를 후크장치(10)에 걸 때는 제1고정홈(399a)에 고정핀이 단단하게 고정되어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 후크장치 100 : 후크본체부
110 : 호이스트연결부 130 : 걸이부
300 : 승강유닛 310 : 승강본체부
330 : 승강손잡이부재 350 : 후크개폐부재
370 : 승강가이드부재 390 : 안전유닛

Claims (7)

  1. 하중물체를 걸어 들어 올리는데 사용되는 호이스트용 후크장치에 있어서,
    후크본체부와;
    상기 후크본체부의 일단에 마련되며, 호이스트에 연결되도록 내부에 설치홈이 형성된 호이스트연결부와;
    상기 후크본체부의 타단에 마련되며, 하중물체를 걸 수 있도록 후크개구부가 형성된 걸이부; 및
    상기 후크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후크본체부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호이스트용 후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승강본체부와;
    상기 승강본체부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승강본체를 이동하거나 고정하기 위해 손으로 쥘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승강손잡이부재와;
    상기 승강본체부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걸이부에 하중물체를 걸 때는 상기 후크개구부를 개방하고, 하중물체를 승강하거나 운반할 때는 상기 후크개구부를 폐쇄하는 후크개폐부재; 및
    상기 후크본체부와 상기 승강유닛에 마련되며, 상기 후크본체부에 대해 상기 승강본체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후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승강유닛을 이동하거나 상기 후크개구부가 개폐된 상태로 상기 승강유닛을 고정하는 상기 승강손잡이부재와 나란하게 형성된 안전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후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본체부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유닛은,
    상기 승강본체부 및 상기 승강손잡이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안전장착부재와;
    상기 안전장착부재내에서 움직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록킹 여부에 따라 그 일단이 상기 고정홈 내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을 상기 고정홈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 및
    상기 고정핀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핀이 언록킹되도록 하는 잠금해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후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가이드부재는,
    상기 후크본체부에 상기 승강유닛의 승강 방향으로 형성되는 승강가이드레일; 및
    상기 승강본체부에 마련되며, 상기 승강가이드레일에 대해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가이드롤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유닛이 승강할 때, 상기 승강가이드롤러유닛은 상기 승강가이드레일 및 상기 후크본체부 일측을 따라 회전하면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후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가이드롤러유닛은,
    상기 승강본체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며, 상기 승강가이드레일을 따라 움직임이 가능한 가이드롤러; 및
    상기 후크본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이드롤러에 대항되게 상기 승강본체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며, 상기 승강유닛이 직선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백업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후크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호이스트연결부와 연결되는 상기 후크본체부의 상단에 형성된 제1고정홈; 및
    상기 걸이부와 연결되는 상기 후크본체부의 하단에 형성된 제2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홈에 상기 고정핀이 록킹될 때는 상기 후크개구부가 개방된 상태가 되고,
    상기 제2고정홈에 상기 고정핀이 록킹될 때는 상기 후크개구부가 폐쇄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후크장치.

KR1020220126912A 2022-10-05 2022-10-05 호이스트용 후크장치 KR202400476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912A KR20240047643A (ko) 2022-10-05 2022-10-05 호이스트용 후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912A KR20240047643A (ko) 2022-10-05 2022-10-05 호이스트용 후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7643A true KR20240047643A (ko) 2024-04-12

Family

ID=90680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912A KR20240047643A (ko) 2022-10-05 2022-10-05 호이스트용 후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764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659U (ko) 1997-11-20 1999-06-15 이구택 호이스트의 후크회전방지기구
KR101520014B1 (ko) 2014-11-11 2015-05-22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안전 후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659U (ko) 1997-11-20 1999-06-15 이구택 호이스트의 후크회전방지기구
KR101520014B1 (ko) 2014-11-11 2015-05-22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안전 후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23586B1 (en) Ceiling device of elevator car
KR20100024786A (ko) 도어의 하단 틈새 차단장치
CN112855469B (zh) 用于关闭风力涡轮机的底板中的开口的舱盖装置以及风力涡轮机
KR20240047643A (ko) 호이스트용 후크장치
JP6494579B2 (ja) 乗場扉錠解除構造
US4916862A (en) Ceiling access panel
KR101065024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2331749B1 (ko)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유지장치
JPH031572Y2 (ko)
JPH06171873A (ja) エレベーターの乗り場ドア半開装置
JPS5848318Y2 (ja) つかみ装置
JP2713480B2 (ja) 吊り上げ装置
CN220906857U (zh) 一种平台梯下机械阻止装置
KR200444964Y1 (ko) 건설현장의 승강기 출입문 안전장치
KR200191908Y1 (ko) 건축물의 호이스트카 안전문
CN221894495U (en) Landing door structure of elevator
KR100879348B1 (ko) 통 크레인용 통키 이탈 방지장치
KR102156495B1 (ko)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환자용 침대
JP4373975B2 (ja) 開閉体装置及び該開閉体装置に用いられる吊具装置
KR970007231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해치도어 안전장치
KR102446501B1 (ko) 승강기 도어용 온/오프 버튼 클릭장치
JPH0522545Y2 (ko)
JP3764736B2 (ja) 開閉体の吊り込み方法
JPH026076Y2 (ko)
JPS612755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