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024B1 -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024B1
KR101065024B1 KR1020080048691A KR20080048691A KR101065024B1 KR 101065024 B1 KR101065024 B1 KR 101065024B1 KR 1020080048691 A KR1020080048691 A KR 1020080048691A KR 20080048691 A KR20080048691 A KR 20080048691A KR 101065024 B1 KR101065024 B1 KR 101065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evator
rail
locking
preven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8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2741A (ko
Inventor
권재원
홍채민
Original Assignee
김순미
(주)엘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미, (주)엘보스 filed Critical 김순미
Priority to KR1020080048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024B1/ko
Publication of KR20090122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2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좌,우로 개폐되는 도어용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지면서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그 도어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에 의해 승강로 측으로 도어가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승강로에 승객이 탑승할 수 있도록 레일 상에서 개폐되는 승강카 도어가 구비된 승강카가 권상기에 의해 승,하강되며, 건물의 각층 승강장에는 상기 승강카의 도착 및 이동시 레일 상에서 개폐되는 승강장 도어가 구비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장치는 승강카 도어와 승강장 도어가 각 레일 상에서 폐쇄시 자중에 의해 레일 상에 잠금되어 상기 각 도어 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으로 인해 도어가 밀려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각 도어의 개방시에는 레일에 잠금 되었던 것이 해제되어 지는 잠금/해제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 레일, 잠금, 해제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The device for preventing returing of the elevator do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좌,우로 개폐되는 도어용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지면서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그 도어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에 의해 승강로 측으로 도어가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건물 내부의 승강로에 설치되는 승강카를 권상기의 구동에 의해 수직으로 승,하강하면서 승객들의 층간 이동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사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러한 엘리베이터를 이용시 승객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안전장치의 설치는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다.
상기와 같이 건물에 구비되는 통상적인 엘리베이터는 승강로에서 승객들이 탑승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승강카 도어가 구비되는 승강카를 권상기에 의해 승,하강시키고, 건물의 각 층의 승강장에는 상기 승강카 도착 및 이동시 개폐되는 승강장 도어가 구비된다.
이렇게, 엘리베이터에는 승강카에 구비되는 승강카 도어와, 승강장에 구비되는 승강장 도어를 구비하여 승객의 탑승시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데, 상기 승강카 도어나 특히 승강장 도어는 승강카 하부와 승강장의 바닥면에 매설된 각 레일의 안내홈 상에 상기 각 도어의 하부에 형성된 보스부에 고무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의 슈가 연결편에 의해 장착되어 이 슈가 상기 안내홈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엘리베이터에 구비되는 종래의 각 도어는 특히, 승강장 도어는 하부가 단순하게 레일의 안내홈으로 슈만 삽입되어 지지됨에 따라 잦은 개폐로 인한 슈의 마모로 인해 상기 안내홈에서 이탈되거나 또는 도어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작은 압력이나 충격 등에 의해서도 상기 슈가 안내홈으로부터 이탈되어 도어가 승강로 측으로 밀리면서 사용자가 승강로로 추락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안전상에 크나큰 결합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742315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을 등록받은바, 이를 첨부된 도면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승강장(102)에서 승,하강되는 엘리베이터(100)를 구성하는 각 레일(115)(125) 상에서 개폐되는 승강카 도어(112)와, 승강장 도어(122)의 서로 마주보는 대응되는 외측면에 상기 각 레일(115)(125)에 간섭됨 없이 하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장착되는 각각의 지지 브래킷(210)(210A)과; 상기 각 도어(112)(122)의 하부에 각 지지 브래킷의 외측면으로 위치하여 상기 도어 측 으로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으로 인해 도어가 밀려 이탈되지 않도록 각 스토퍼수단(220)(220A)을 구비하되, 상기 서로 대응되는 위치의 지지 브래킷과 스토퍼수단은 서로 겹쳐지지 않는 어긋난 위치하여, 도어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에 의해서도 도어가 승강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아울러, 상기 승강카 도어(112)의 스토퍼수단(220)은 승강카(110)에 장착되는 고정프레임(222)에 지지 브래킷이 외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고정 브래킷(224)이 장착되고, 상기 승강장 도어(122)의 스토퍼수단(220A)은 승강장(120)의 상기 레일의 하부 벽체에 장착되는 고정프레임(222a)에 지지 브래킷이 외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고정 브래킷(224a)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에 구비되는 각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본 출원인의 등록권리인 이탈방지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도어에 장착되는 지지 브래킷과, 상기 지지 브래킷이 외측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각각의 스토퍼수단을 구비하였으나, 상기 지지 브래킷을 고정하기 위하여 한번 이상을 절곡해야 하는 작업공정과, 상기 각 스토퍼수단은 여러 부품으로 구성되어 서로 체결하여 조립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조립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작업시간 또한 오래 소요되는 불편한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안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지면서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그 도어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에 의해 승강로 측으로 도어가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더욱더 큰 고정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승강로에 승객이 탑승할 수 있도록 레일 상에서 개폐되는 승강카 도어가 구비된 승강카가 권상기에 의해 승,하강되며, 건물의 각층 승강장에는 상기 승강카의 도착 및 이동시 레일 상에서 개폐되는 승강장 도어가 구비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장치는, 승강카 도어와 승강장 도어가 각 레일 상에서 폐쇄시 자중에 의해 레일 상에 잠금되어 상기 각 도어 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으로 인해 도어가 밀려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각 도어의 개방시에는 레일에 잠금 되었던 것이 해제되어 지는 잠금/해제수단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되, 상기 잠금/해제수단은, 각 도어 측에 장착되어 자중에 의해 회전되면서 레일에서 잠금 및 해제되도록 상기 각 도어 측에 장착되는 장착 브래킷과, 상기 장착 브래킷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핀결합되는 걸림고리로 구성되는 잠금/해제부와; 상기 잠금/해제부가 잠금 및 해제되도록 각 레일 상에 상기 각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잠금/해제부의 걸림고리가 내려와 걸려지는 착탈공으로 형성되는 착탈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지면서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그 도어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에 의해 승강로 측으로 도어가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탈방지장치를 최대한 간단하게 구성하여 제작이 간편하고 설치 또한 단시간 내에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와 함께 도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 또한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잠금/해제수단을 도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함으로써,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더욱더 큰 고정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엘리베이터 각 도어 중에서도 승강장 도어에 적용한 예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설치된 상태의 개략적인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로(102)에 승객이 탑승할 수 있도록 레일(115) 상에서 개폐되는 승강카 도어(112)가 구비된 승강카(110)가 권상기에 의해 승,하강되며, 건물의 각층 승강장(120)에는 상기 승강카의 도착 및 이동시 레일 상에서 개폐되는 승강장 도어(122)가 구비되는 통상적인 엘리베이터(100)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지면서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그 도어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에 의해 승강로 측으로 도어가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이탈방지장치는 승강카 도어(112)와 승강장 도어(122)가 각 레일(115)(125) 상에서 폐쇄시 자중에 의해 레일 상에 잠금되어 상기 각 도어(112)(122) 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으로 인해 도어가 밀려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각 도어의 개방시에는 레일에 잠금 되었던 것이 해제되어 지는 잠금/해제수단(1)인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잠금/해제수단은 각 도어가 접촉되는 부분이 아닌 반대의 측의 각 끝단에 설치하여 적용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잠금/해제수단(1)을 각각의 도어에 하나만을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하나 이상, 즉 각 도어에 두 개 정도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도어 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에 대하여 더욱더 큰 지지력을 가져 도어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이탈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해제수단(1)은 각 도어(112)(122)에 장착되어 자중에 의해 회전되면서 레일(115)(125)에서 잠금 및 해제되는 잠금/해제부(10)와; 상기 잠금/해제부가 잠금 및 해제되도록 각 레일(115)(125) 상에 형성되는 착탈부(2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해제부(10)는 각 도어(115)(125) 측에 장착되는 장착 브래킷(12)과, 상기 장착 브래킷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핀결합되는 걸림고리(1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착탈부(20)는 각 도어(115)(125)가 폐쇄되었을 때 잠금/해제부의 걸림고리가 내려와 걸려질 수 있는 착탈공(2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걸림고리는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 측으로 형성되어 지고, 그 걸림고리가 형성된 반대면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먼저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어의 측면에 구비되는 잠금/해제수단인 잠금/해제부(10)의 걸림고리(14)는 도 3a에서와 같이 장착 브래킷(12) 측으로 올려지고 레일(125)의 상면과 맞닿은 상태로 유지되고, 도어가 닫혀져 패쇄되어지게 되면 도 3b에서와 같이 상기 걸림고리(14)가 위치한 부분의 레일(125)에 형성되어 있는 착탈부인 착탈공(22)으로 상기 걸림고리의 자중에 의해 회전되면서 내려와 걸려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고리가 착탈공에 삽입되어 있는 관계로, 도어로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으로 인해 상부로 상승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는 부수적인 조건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상기 걸림고리가 착탈공에 삽입되어 잠금 상태를 유지하여 지지되어 짐으로써,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에도 도어가 레일에서 밀려 이탈되지 않게 됨과 아울러 상부로 상승되지 않는 조건을 가지게 됨에 따라 도어가 승강로 측으로 밀려 이탈됨으로 인해 발생하였던 추락사고 등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다시 개방되어 지면, 상기 걸림고리가 착탈공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 도어가 개방되어 지게 되면서 상기 착탈공으로 내려가 있던 걸림고리가 도어의 열림으로 인해 밀리면서 자연스럽게 상측으로 올라가 레일의 상면과 접촉되게 지지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잠금/해제수단(1)이 도어(122)의 측면에 설치된 것을 일 예를 설명하였으나, 도 4a에서와 같이 도어(122)의 중간 부분에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4b에서와 같이 각 도어(112)(122)의 양측단 두 군데에도 장착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상기 잠금/해제수단을 설치시 도어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에 대하여 최대한 높은 지지력을 갖는 위치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설치된 상태의 개략적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측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개략적인 요부도.
도 3b는 도어가 폐쇄된 상태의 개략적인 요부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5는 엘리베이터 도어에 종래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요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잠금/해제수단 10 : 잠금/해제부
12 : 장착 브래킷 14 : 걸림고리
20 : 착탈부 22 : 착탈공
100 : 엘리베이터 102 : 승강로
110 : 승강카 112 : 승강카 도어
115,125 : 레일 120 : 승강장
122 : 승강장 도어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승강로에 승객이 탑승할 수 있도록 레일 상에서 개폐되는 승강카 도어가 구비된 승강카가 권상기에 의해 승,하강되며, 건물의 각층 승강장에는 상기 승강카의 도착 및 이동시 레일 상에서 개폐되는 승강장 도어가 구비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장치는, 승강카 도어(112)와 승강장 도어(122)가 각 레일(115)(125) 상에서 폐쇄시 자중에 의해 레일 상에 잠금되어 상기 각 도어 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으로 인해 도어가 밀려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각 도어의 개방시에는 레일에 잠금 되었던 것이 해제되어 지는 잠금/해제수단(1)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되,
    상기 잠금/해제수단(1)은, 각 도어 측에 장착되어 자중에 의해 회전되면서 레일에서 잠금 및 해제되도록 상기 각 도어 측에 장착되는 장착 브래킷(12)과, 상기 장착 브래킷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핀결합되는 걸림고리(14)로 구성되는 잠금/해제부(10)와;
    상기 잠금/해제부가 잠금 및 해제되도록 각 레일 상에 상기 각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잠금/해제부의 걸림고리가 내려와 걸려지는 착탈공(22)으로 형성되는 착탈부(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080048691A 2008-05-26 2008-05-26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1065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691A KR101065024B1 (ko) 2008-05-26 2008-05-26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691A KR101065024B1 (ko) 2008-05-26 2008-05-26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741A KR20090122741A (ko) 2009-12-01
KR101065024B1 true KR101065024B1 (ko) 2011-09-19

Family

ID=41685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691A KR101065024B1 (ko) 2008-05-26 2008-05-26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0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465B1 (ko) * 2020-06-11 2020-11-16 정광용 엘리베이터 도어용 이탈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178B1 (ko) * 2020-09-29 2023-06-20 이동근 멧돼지 포획틀
CN114852157B (zh) * 2022-04-21 2024-05-03 福建欧仕儿童用品股份有限公司 一种可转换成汽车安全座椅底座的推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6074U (ja) * 1993-01-12 1994-08-02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サービス エレベータ乗場ドアの開放状態保持装置
JPH08165840A (ja) * 1994-12-15 1996-06-25 Nifco Inc 引戸のブレーキ装置
JPH08193448A (ja) * 1995-01-17 1996-07-30 Nifco Inc キャビネットの引き違い戸
JPH10292714A (ja) * 1997-02-13 1998-11-04 Toshimichi Motoyama サツシ、網戸の脱輪落下防止用戸車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6074U (ja) * 1993-01-12 1994-08-02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サービス エレベータ乗場ドアの開放状態保持装置
JPH08165840A (ja) * 1994-12-15 1996-06-25 Nifco Inc 引戸のブレーキ装置
JPH08193448A (ja) * 1995-01-17 1996-07-30 Nifco Inc キャビネットの引き違い戸
JPH10292714A (ja) * 1997-02-13 1998-11-04 Toshimichi Motoyama サツシ、網戸の脱輪落下防止用戸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465B1 (ko) * 2020-06-11 2020-11-16 정광용 엘리베이터 도어용 이탈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741A (ko) 200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2315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 방지 장치
KR20110009677A (ko)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KR101220495B1 (ko) 승장 도어 잠금 장치
JP665706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065024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1937698B1 (ko) 스프링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KR102103335B1 (ko) 언록킹 기능을 향상시킨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
KR200493995Y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JP5600778B1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KR20090122740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20080088110A (ko) 건설용 리프트 안전문 잠금장치
KR101932234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20110046898A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용 이탈방지장치
KR200457792Y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1213694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0873165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용 이탈방지장치, 잠금부재가 설치된 가이드 레일 및 걸림부재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KR20190123526A (ko) 엘리베이터 승장문조립체의 이중걸림구조식 이탈방지장치
KR20090110445A (ko)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KR100813911B1 (ko) 엘리베이터 승강문 이탈방지장치
KR101732171B1 (ko) 엘리베이터용 도어판넬의 슬라이딩시스템
KR101220502B1 (ko) 승장 도어 잠금 장치
JP2011152979A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KR100638258B1 (ko)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용 승강카
KR200389633Y1 (ko)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용 승강카
JP5730365B2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