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7155A - 열선용 커넥션 키트 - Google Patents

열선용 커넥션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7155A
KR20240047155A KR1020220126444A KR20220126444A KR20240047155A KR 20240047155 A KR20240047155 A KR 20240047155A KR 1020220126444 A KR1020220126444 A KR 1020220126444A KR 20220126444 A KR20220126444 A KR 20220126444A KR 20240047155 A KR20240047155 A KR 20240047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box
connection
base plate
heating wire
k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훈
Original Assignee
유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훈 filed Critical 유영훈
Priority to KR1020220126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7155A/ko
Publication of KR20240047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71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5Ohmic-resistance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E05Y2900/60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 열선용 커넥션 키트는,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함체로서 측면에는 함체 내부로 열선 또는 전선이 인입 및 연결될 수 있도록 둘 이상의 케이블 취부공이 형성되는 커넥션 박스; 상기 커넥션 박스의 개방된 상면에 구비되는 도어(door); 상기 도어가 커넥션 박스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한 상태에서 열리지 않도록 선택적으로 잠금하는 래치(latch); 및 평판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면의 양단에는 일정 높이의 레그(leg)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면에는 커넥션 박스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탈부착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구비되는 레그 스탠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선용 커넥션 키트 {Connection kit for heating wire}
본 발명은 열선용 커넥션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에 단열재가 감겨진 경우에도 레그 스탠드를 이용하여 상기 단열재 높이에 구애받지 않고 커넥션 박스를 설치할 수 있으며, 쉽고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커넥션 키트의 뚜껑을 열고 열선의 연결 상태를 확인 및 절연저항 테스트를 통해 케이블의 피복 상태를 편리하게 점검할 수 있는 열선용 커넥션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파방지용 열선은 도체와 같은 저항체에 전류를 인가할 때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는 것으로, 유연성이 뛰어나 설치 및 설계가 용이하고, 현장상황에 따라 길이를 자유로이 절단 사용할 수 있어 외기에 노출된 상수도 파이프 등의 배관이나 옥상에 설치한 물탱크, 아파트 또는 단독주택의 수도계량기 등에 설치되어 동절기의 동파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처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절단된 동파방지용 열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절단된 동파방지용 열선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피복면을 벗겨낸 후 열선 내부에 있는 도체를 상호연결하고, 이때 외부로 노출된 도체를 보호하기 위해 연결된 부분을 터미널 블록 등을 이용하여 절단된 동파방지용 열선을 연장 및 분기하였다.
따라서, 작업자는 현장상황에 따라 길이를 자유로이 절단하고, 절단된 열선을 상호연결하여 안전하게 열선을 설치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열선의 연결 시 노출되는 도체에 절연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 외부에 노출되는 절연테이프는 대기에 포함되어있는 습기, 이물질 등으로 절연의 파괴속도가 빠르게 진행되며, 절연테이프의 절연이 파괴되는 경우 화재의 위험성이 증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절연체로 이루어진 별도의 커넥션 박스를 이용하여 열선과 전선을 연결하는 방식이 이용되고는 있으나, 통상 배관 등에는 단열재가 감겨있기 때문에 커넥션 박스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 경우 작업자가 배관 상에 감겨진 단열재를 다시 풀고 스테인레스 밴드나 케이블 타이 등을 이용하여 커넥션 박스를 배관에 직접 고정한 후 그 위에 단열재를 다시 감거나 단열재를 풀지 않고 상기 단열재 위에 커넥션 박스를 임시 고정하고 있으나 이 역시 설치된 커넥션 박스와 배관의 결합력이 약할 뿐만 아니라, 계절별로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는 유지관리 및 테스트 시에 열선의 방수를 위한 코킹이 깨져 방수기능을 상실하거나 작업공간이 부족하여 작업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었다.
(특허문헌 1)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236806호 (2001.06.22. 등록)
(특허문헌 2) 한국 등록특허 제2200483호 (2021.01.04.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배관에 단열재가 감겨진 경우에도 레그 스탠드를 이용하여 상기 단열재 높이에 구애받지 않고 커넥션 박스를 설치할 수 있으며, 쉽고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커넥션 키트의 뚜껑을 열고 열선의 연결 상태를 확인 및 절연저항 테스트를 통해 케이블의 피복 상태를 편리하게 점검할 수 있는 열선용 커넥션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열선용 커넥션 키트는 일 실시예에 따라,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함체로서 측면에는 함체 내부로 열선 또는 전선이 인입 및 연결될 수 있도록 둘 이상의 케이블 취부공이 형성되는 커넥션 박스; 상기 커넥션 박스의 개방된 상면에 구비되는 도어(door); 상기 도어가 커넥션 박스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한 상태에서 열리지 않도록 선택적으로 잠금하는 래치(latch); 및 평판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면의 양단에는 일정 높이의 레그(leg)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면에는 커넥션 박스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탈부착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구비되는 레그 스탠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커넥션 박스의 저면에는 평면 또는 배관의 둥근 곡면에 커넥션 박스를 안착시킨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중단부에 아치 형상의 곡면안착홈이 형성되는 받침돌기가 더 형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레그 스탠드의 레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연결 부분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레그를 선택적으로 뜯어내어 분리하기 위한 절취홈이 더 형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면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체결후크; 및 상기 커넥션 박스의 측면 중 체결후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체결후크가 선택적으로 끼워짐에 의해 걸림되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홈;을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커넥션 박스의 받침돌기가 끼워져 측면으로 흔들리지 않게 고정될 수 있도록 받침돌기 고정홀이 형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면에는 절취홈을 떼어 내어 레그가 제거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를 벽면이나 랙(rack)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체결홀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반대쪽 레그의 단부는 배관의 길이 방향과 수평하도록 꺾여진 상태로 배관의 둥근 곡면에 대응되도록 요입된 곡면안착홈이 형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레그 스탠드를 배관 상에 설치할 때에는 배관의 단열재 밑에 상기 레그 스탠드의 레그를 끼워 넣은 후에 레그 스탠드와 단열재 사이의 틈새에 실리콘을 코킹함으로써 방수 마감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커넥션 박스 내부에는 케이블 취부공을 통해 커넥션 박스 내부로 인입된 열선 또는 전선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톱니 형상의 케이블 고정구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커넥션 박스 내부에는 다양한 사이즈의 액세서리를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홀을 길게 연장한 형태의 나사 결합홈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배관에 단열재가 이미 감겨진 경우에도 레그 스탠드를 이용하여 상기 단열재를 풀지 않고 커넥션 박스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장소의 제약없이 설치작업의 효율성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레그 스탠드에 의해 배관 및 단열재 상에 커넥션 박스가 일정 높이 이상 이격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열선을 안전하게 연결하고, 또한 유지관리를 위한 점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점검 후에 손상된 열선의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열선용 커넥션 키트가 배관 상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 열선용 커넥션 키트의 구성을 전체적으로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션 박스의 측면도, 도 3b는 레그 스탠드의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좌측의 레그가 절취된 상태, 도 4b는 좌, 우측 레그가 모두 절취된 베이스 플레이트에 클램프가 결합된 상태, 도 4c는 도 4b의 클램프가 랙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션 박스의 내부 구조를 보인 사진 이미지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내지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열선용 커넥션 키트가 배관 상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열선용 커넥션 키트의 구성을 전체적으로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션 박스의 측면도, 도 3b는 레그 스탠드의 측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좌측의 레그가 절취된 상태, 도 4b는 좌, 우측 레그가 모두 절취된 베이스 플레이트에 클램프가 결합된 상태, 도 4c는 도 4b의 클램프가 랙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 열선용 커넥션 키트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열선용 커넥션 키트(10)는,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함체로서 측면에는 함체 내부로 열선 또는 전선(C)이 인입 및 연결될 수 있도록 둘 이상의 케이블 취부공(101)이 형성되는 커넥션 박스(1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 취부공(101)에는 열선 또는 전선(C)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글랜드(cable gland, G)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 참조)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커넥션 박스(100)는 열선 또는 전선(C)으로부터 스파크나 열에 의한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불연 플라스틱, 금속 등의 불연재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션 박스(100)의 개방된 상면에는 도어(200)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어(200)는 여닫이 도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200)가 커넥션 박스(100)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한 상태에서 열리지 않도록 선택적으로 잠금하는 래치(latch, 300)가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래치(300)는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0)의 측면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도어(200)가 커넥션 박스(100)의 개방된 상단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래치(300)를 하방으로 회동시킨 후 눌러줌에 따라 커넥션 박스(100)의 돌출된 상단 테두리(104, 도 2 참조)에 상기 래치(300)가 억지끼움되면서 걸림 체결되는 구조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션 박스(100)의 하부에는 커넥션 박스(100)와 선택적으로 탈부착되고, 부착된 상태에서는 배관(P) 및 배관을 감싼 단열재(I)로부터 커넥션 박스(100)를 일정 높이로 띄어 부양하기 위한 레그 스탠드(400)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레그 스탠드(400)의 구성은, 평판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410)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0) 일측면의 양단에는 일정 높이의 레그(leg, 420)가 일체로 형성되고,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타측면에는 커넥션 박스(100)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탈부착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타측면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체결후크(430); 및 상기 커넥션 박스(100)의 측면 중 체결후크(43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후크(430)가 선택적으로 끼워짐에 의해 걸림되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홈(102);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반대쪽 레그(420)의 단부(foot, 421)는 배관(P)의 길이 방향과 수평하도록 꺾여진 상태로 배관(P)의 둥근 곡면에 대응되도록 오목한 곡면안착홈(42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레그(420)의 단부의 곡면안착홈(421a)을 이용하여 배관(P) 외측의 둥근 곡면에 레그 스탠드(400)를 안정적으로 안착 및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션 박스(100)의 저면에는 레그 스탠드(400)를 분리한 상태에서 커넥션 박스(100)를 벽이나 바닥 등의 평평한 면에 설치하거나, 또는 배관(P)의 둥근 곡면에 커넥션 박스(100)를 안착시킨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중단부에 아치 형상의 곡면안착홈(150a)이 형성되는 받침돌기(150)가 더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돌기(150)의 곡면안착홈(150a)을 이용하여 배관(P) 외측의 둥근 곡면에 커넥션 박스(100)를 안정적으로 안착 및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0)에는 커넥션 박스(100)의 상기 받침돌기(150)가 끼워져 측면으로 흔들리지 않게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받침돌기 고정홀(411)이 더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레그 스탠드(400)를 커넥션 박스(100)에 부착한 상태에서는 상기 받침돌기(150)가 받침돌기 고정홀(411)에 끼워져 고정되며,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레그(420)를 배관(P)의 단열재(I) 밑에 끼워 넣음으로써 커넥션 박스(100)를 배관(P) 및 단열재(I) 상에서 일정 높이 띄어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그 스탠드(400)를 배관(P) 상에 설치할 때에는 배관(P)의 단열재(I) 밑에 상기 레그 스탠드(400)의 레그(420)를 끼워 넣은 후에 레그 스탠드(400)와 단열재(I) 사이의 틈새에 실리콘을 코킹함으로써 상기 배관(P)과 단열재(I)를 방수 마감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방수 마감 공정을 통해 배관(P)의 단열 파괴되거나 배관(P)이 동결, 동파되는 폐단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그 스탠드(400)를 커넥션 박스(100)에서 분리한 상태에서는 레그 스탠드(400) 대신에 상기 받침돌기(150)를 이용하여 커넥션 박스(100)를 평면 또는 곡면 상에 직접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그 스탠드(400)의 베이스 플레이트(410)와 레그(420)의 연결 부분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0)로부터 레그(420)를 선택적으로 뜯어내어 분리하기 위한 절취홈(422)이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타측면에는 절취홈(422)을 떼어내어 레그(420)가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0)를 벽면이나 전기설비용 랙(rack, 700)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체결홀(412)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션 박스의 내부 구조를 보인 사진 이미지이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션 박스(100) 내부에는 상기 케이블 취부공(101)을 통해 커넥션 박스(100) 내부로 인입된 열선 또는 전선(C)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톱니 형상의 케이블 고정구(107)가 일체로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션 박스(100) 내부에는 나사홀을 길게 연장한 형태의 나사 결합홈(108)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나사 결합홈(108)을 이용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액세서리(예, 터미널블록 등)를 상기 커넥션 박스(100)에 결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 구성을 다양하고 편리하게 추가, 확장 또는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절취홈을 분리 및 전기설비용 랙에 설치하는 과정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4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상기 레그(420)를 손으로 잡고 일측으로 꺾음에 따라 상기 절취홈(422)이 파단되어 상기 레그(420)를 베이스 플레이트(4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절취홈(422)을 파단하여 레그(420)를 분리하는 경우는 현장의 설치 상황에 따라 커넥션 박스(100)를 배관(P)에 설치하지 않고, 예컨대 전기설비용 랙(rack, 700)에 설치하는 경우일 수 있다.
이어서, 도 4b를 참조하면 레그(420)가 제거된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나사체결홀(412)에 랙 설치용 클램프(600)를 나사결합에 의해 설치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체결홀(412)은 일정 간격마다 여러 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작업환경에 맞추어 적절한 위치의 나사체결홀(412)에 클램프(600)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클램프(600)를 고정한 후 상기 클램프의 걸쇠(부호없음)를 랙(700)에 물려 부착함으로써 커넥션 박스(100)를 전기설비용 랙(700)에 설치 완료한다.
한편, 상기 도면에서 미설명된 부호 103은 도어 힌지, 105는 래치 가이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 대비 커넥션 박스(100)의 설치 작업성을 대폭 개선시켜 커넥션 박스(100)의 저면에 레그 스탠드(400)를 부착한 경우 배관(P)의 단열재(I) 밑에 레그 스탠드(400)의 레그(420)를 끼워 넣음으로써 신속하고 용이하게 커넥션 박스(100)를 배관(P) 및 단열재(I) 상에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혹시 발생될 수 있는 열선 또는 전선(C)의 스파크나 열을 1차적으로 커넥션 박스(100)가 감싸 차단하고, 2차적으로 상기 레그 스탠드(400)에 의해 커넥션 박스(100)가 배관(P) 및 단열재(I)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있으므로 스파크나 열에 의한 화재 위험성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레그 스탠드(400)를 분리한 상태에서는 받침돌기(150)를 이용하여 커넥션 박스(100)를 평면 또는 곡면 상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한편 레그 스탠드(400)의 절취홈(422)을 부러뜨려 레그(420)를 분리하고 클램프(600)를 부착한 경우에는 전기설비용 랙(700)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장소에서 설치 상의 제약없이 커넥션 박스(100)를 안정적이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단지 앞서 기술된 일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된 것은 아니며, 장치의 세부 구성이나 개수 및 배치 구조를 변경할 때에도 동일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구성의 부가 및 삭제, 변형이 가능한 것임을 명시하는 바이다.
10 : (본 발명의) 열선용 커넥션 키트
100 : 커넥션 박스 101 : 케이블 취부공
102 : 걸림홈 150 : 받침돌기
150a: 곡면안착홈 200 : 도어
300 : 래치 400 : 레그 스탠드
410 : 베이스 플레이트 411 : 받침돌기 고정홀
412 : 나사체결홀 420 : 레그(leg)
421 : (레그의) 단부(foot) 421a : 곡면안착홈
600 : 클램프 700 : 랙(rack)

Claims (10)

  1.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함체로서 측면에는 함체 내부로 열선 또는 전선이 인입 및 연결될 수 있도록 둘 이상의 케이블 취부공이 형성되는 커넥션 박스;
    상기 커넥션 박스의 개방된 상면에 구비되는 도어(door);
    상기 도어가 커넥션 박스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한 상태에서 열리지 않도록 선택적으로 잠금하는 래치(latch); 및
    평판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면의 양단에는 일정 높이의 레그(leg)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면에는 커넥션 박스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탈부착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구비되는 레그 스탠드;를 포함하는,
    열선용 커넥션 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션 박스의 저면에는 평면 또는 배관의 둥근 곡면에 커넥션 박스를 안착시킨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중단부에 아치 형상의 곡면안착홈이 형성되는 받침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용 커넥션 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스탠드의 레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연결 부분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레그를 선택적으로 뜯어내어 분리하기 위한 절취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용 커넥션 키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면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체결후크; 및
    상기 커넥션 박스의 측면 중 체결후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체결후크가 선택적으로 끼워짐에 의해 걸림되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열선용 커넥션 키트.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커넥션 박스의 받침돌기가 끼워져 측면으로 흔들리지 않게 고정될 수 있도록 받침돌기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용 커넥션 키트.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면에는 절취홈을 떼어 내어 레그가 제거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를 벽면이나 랙(rack)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체결홀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용 커넥션 키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반대쪽 레그의 단부(foot)는 배관의 길이 방향과 수평하도록 꺾여진 상태로 배관의 둥근 곡면에 대응되도록 요입된 곡면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용 커넥션 키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스탠드를 배관 상에 설치할 때에는 배관의 단열재 밑에 상기 레그 스탠드의 레그를 끼워 넣은 후에 레그 스탠드와 단열재 사이의 틈새에 실리콘을 코킹함으로써 방수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용 커넥션 키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션 박스 내부에는 케이블 취부공을 통해 커넥션 박스 내부로 인입된 열선 또는 전선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톱니 형상의 케이블 고정구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용 커넥션 키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션 박스 내부에는 다양한 사이즈의 액세서리를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홀을 길게 연장한 형태의 나사 결합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용 커넥션 키트.
KR1020220126444A 2022-10-04 2022-10-04 열선용 커넥션 키트 KR202400471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444A KR20240047155A (ko) 2022-10-04 2022-10-04 열선용 커넥션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444A KR20240047155A (ko) 2022-10-04 2022-10-04 열선용 커넥션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7155A true KR20240047155A (ko) 2024-04-12

Family

ID=90680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444A KR20240047155A (ko) 2022-10-04 2022-10-04 열선용 커넥션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715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6806B1 (ko) 1991-12-10 2000-01-15 시오노 요시히코 방향족 설폰아미드계 하이드록삼산 유도체
KR102200483B1 (ko) 2018-06-25 2021-01-08 주식회사 에너피아 발열선 케이블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6806B1 (ko) 1991-12-10 2000-01-15 시오노 요시히코 방향족 설폰아미드계 하이드록삼산 유도체
KR102200483B1 (ko) 2018-06-25 2021-01-08 주식회사 에너피아 발열선 케이블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0744A (en) Fixed count terminal
US20100170711A1 (en)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an electrical box in drywall
KR20240047155A (ko) 열선용 커넥션 키트
KR100647489B1 (ko) 가로등용 단자함
US20240097422A1 (en) Flared hinged-folding utility vault device
US6365831B1 (en) Electrical box
US8661666B2 (en) Methods of installing wiring in poured concrete
JP2009165241A (ja) 接続クランプ用カバー、接続クランプ、バイパス用電線装置及びバイパス法
KR101266228B1 (ko) 접지구조를 갖는 옥내용 아웃렛박스
US11710953B2 (en) Outdoor electrical outlet cover
US11387596B1 (en) Outdoor electrical outlet cover
CN207834942U (zh) 一种快速拆卸保护罩
US20190074606A1 (en) Assembly as a junction box replacement and method for installing said assembly
KR200450843Y1 (ko) 고압전선 접속 케이스 커버의 온도 감지장치
KR20220110426A (ko) 레이스웨이와 콘센트의 결합구조
CN212162462U (zh) 建筑工地用楼层临时用电的随层安装装置
KR100786376B1 (ko) 전기배선 안전덮개 설치구조
JPH09284973A (ja) 透明ジョイントボックス
US4904199A (en) Support for detachable junction between cables
KR100681411B1 (ko) 공동주택 단지내의 케이블 보호 파형관의 우수유입차단장치
US20080223598A1 (en) All environment communications enclosure
KR102051333B1 (ko)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
CN209104741U (zh) 一种墙内临时接地端子箱
RU53508U1 (ru) Коробка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ая телефонная пластмассовая (кртп) для мультисервисных сетей
US2511339A (en) Head out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