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333B1 -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 - Google Patents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333B1
KR102051333B1 KR1020180078539A KR20180078539A KR102051333B1 KR 102051333 B1 KR102051333 B1 KR 102051333B1 KR 1020180078539 A KR1020180078539 A KR 1020180078539A KR 20180078539 A KR20180078539 A KR 20180078539A KR 102051333 B1 KR102051333 B1 KR 102051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system
system box
cap member
doo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덕칠
박우현
Original Assignee
(주) 나라기술단
주식회사 서강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나라기술단, 주식회사 서강이엔씨 filed Critical (주) 나라기술단
Priority to KR1020180078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3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개방된 중심부를 가지며, 내측으로는 단차지게 확장되어 지면측으로 하향 돌출된 단턱이 구비되어 있는 고정 프레임; 단턱의 상면에 안착되고, 일단이 고정 프레임의 일단과 적어도 힌지를 이용한 결합부재로 결합됨으로써, 개방된 중심부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도어; 도어의 끝단 일 영역에 마련되어, 상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캡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캡 부재는, 양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다리부에 걸림편이 형성되고, 걸림편이 고정 프레임의 단턱에 걸려서 거치되는 형태로 고정될 시, 전선 인출이 가능한 공간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STRUCTURE OF THE COVER FOR FLOOR SYSTEM BOX}
본 발명은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플로어 시스템 박스를 구성하는 커버의 도어에 캡 부재를 힌지 결합하여 상측으로 개폐 되도록 하고, 상술한 캡에 걸림편을 형성하여 단턱에 걸려 고정되어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전선 인출 및 관리의 편의성이 향상된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로어 시스템 박스는 빌딩이나 오피스텔 등의 바닥의 일정한 위치 즉, 사무기기 및 통신기기 등이 배열된 적당한 위치에서 콘크리트 타설시 일체로 매설되어 각종 연결선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데 사용된다.
즉,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각종 연결포트에 건물 내부로 인입된 전원선, 통신선 등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각종 사무기기나 통신 기기 등의 연결 단자를 연결 포트에 꽂아 실내에 배선되는 각종 전선을 정리 정돈하거나 플로어 시스템 박스 내부에 다양한 종류의 연결선들을 효율적으로 유지 보수 및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플로어 시스템 박스에 관련된 기술들은,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상면에 전선이 인출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단순한 구조의 플로어 시스템 박스 등은 전선이 인출되는 구멍이 외부로 노출되어 플로어 시스템 박스 내부로 먼지, 물기 등의 이물질 등이 유입되기 쉬웠으며, 인출된 전선이 외력에 의하여 쉽게 압력이 가해질 수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서, 전선의 피복이 벗겨 지는 등 외관이 손상되기 쉬웠으며, 심한 경우, 전선이 절단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이로 인한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많았다.
이에, 한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00-0020189호(플로아 매설용 시스템 박스)에서는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상측에 인출공을 끼움 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는 뚜껑을 결합한 커버를 조립하여 전선을 정리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 박스에 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경우, 전선이 인출되는 인출공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바닥에 설치되는 시스템 박스의 특성을 고려해보았을 때, 실내에 설치될 시 실내의 심미성을 저하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조립이 분리되어 인출공이 쉽게 분실될 수 있었고, 이로 인하여 플로어에 싱크홀이 형성되어 플로어 시스템 박스 내부로 먼지, 물기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기 쉬웠으며, 돌출된 인출공의 형태적 특성에 따라 사용자의 발에 걸리거나 외부 물체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어 전선의 보호 및 정리를 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캡 부재가 도어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게 하여, 캡 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를 제공하는데 제1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캡 부재에 구비되는 한 쌍의 다리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걸림편이 단턱에 거치됨으로써 마련되는 공간부를 통해 전선이 인출되게 함으로써, 인출되는 전선의 외관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를 제공하는데 제 2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는, 개방된 중심부를 가지며, 내측으로는 단차지게 확장되어 지면측으로 하향 돌출된 단턱이 구비되어 있는 고정 프레임; 단턱의 상면에 안착되고, 일단이 고정 프레임의 일단과 적어도힌지를 이용한 결합부재로 결합됨으로써, 개방된 중심부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도어; 도어의 끝단 일 영역에 마련되어, 상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캡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캡 부재는, 양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다리부에 걸림편이 형성되고, 걸림편이 고정 프레임의 단턱에 걸려서 거치되는 형태로 고정될 시, 전선 인출이 가능한 공간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술한 걸림편은 한 쌍의 다리부가 단턱에 선택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 형성됨으로써, 거치 각도에 따라 캡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의 공간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걸림편은 외면이 라운드 처리되어 모서리 영역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고정 프레임의 단턱의 일 영역에는, 내부에 전원 및 통신의 배선을 위한 연결 단자가 배치되는 플로어 시스템 박스 본체와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이 천공되어 있으며, 볼트 유닛을 결합홀을 통해 설치함으로써,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와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본체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캡 부재는, 도어의 양 끝 단에서 상기 공간부가 외측을 향해 개방된 형태로 설치되되, 기 설정된 간격으로 한 개 내지 네 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캡 부재가 도어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캡 부재가 분리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선을 인출하여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플로어 시스템 박스를 완벽히 커버하게 되어, 플로어에 싱크홀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플로어 시스템 박스 내부로 먼지, 물기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합선 등과 같은 전기적인 스트레스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기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캡 부재의 다리부에 형성되는 걸림편에 의하여 전선을 인출하여 사용 가능한 공간부가 마련되고, 이에 따라 전선의 외관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이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된 플로어 시스템 박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캡 부재에는 걸림편이 하나 이상 형성됨으로써, 거치 각도에 따라 공간부의 공간을 한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사용을 원하는 전선의 굵기 및 전선의 개수에 따라 적합한 공간을 형성하여 전선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캡 부재의 다리부에 형성된 걸림편이 라운드 처리되어 모서리 영역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됨으로써, 전선과 잦은 접촉이 발생하더라도 전선의 피복을 포함한 외관 손상을 최소화하여 전선의 수명을 연장하고, 전선 손상에 의한 전기적 스트레스에 의한 사고 발생의 빈도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의 정면도의 일 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의 설치 단면도의 일 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애서 캡 부재가 회동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에서 캡 부재에 구비된 걸림 돌기의 일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에서 도어가 개방된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플로어 시스템 박스를 구성하는 커버의 도어에 캡 부재를 힌지 결합하여 상측으로 개폐 되도록 하고, 상술한 캡에 걸림편을 형성하여 단턱에 걸려 고정되어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전선 인출 및 관리의 편의성이 향상된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캡 부재가 도어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게 하여, 캡 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를 제공하는데 제1 목적이, 캡 부재에 구비되는 한 쌍의 다리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걸림편이 단턱에 거치됨으로써 마련되는 공간부를 통해 전선이 인출되게 함으로써, 인출되는 전선의 외관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를 제공하는데 제 2 목적이 있다.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의 정면도의 일 예를 도시하였다.
도 1의 100을 참조하면,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는, 고정 프레임(30), 도어(20), 및 캡 부재(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30)은, 개방된 중심부를 가지며, 내측으로는 단차지게 확장되어 지면측으로 하향 돌출된 단턱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술한 단턱의 일 영역에는, 내부에 전원 및 통신의 배선을 위한 연결 단자가 배치되는 플로어 시스템 박스 본체와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이 천공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술한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본체 역시 상술한 단턱에 형성된 결합홀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은 당연하다.
즉, 본 발명에서 상술한 결합홀에 볼트 유닛을 설치하는 구성은,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와 상술한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하부에 위치하는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본체가 용이하게 결합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결합홀에는 더욱 강한 결합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별도의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도어(20)는, 상술한 고정 프레임(30)에 구비되는 단턱의 상면에 안착되고, 도어(20)의 일단이 상술한 고정 프레임(30)의 일단과 적어도 힌지를 이용한 결합부재로 결합됨으로서, 개방된 중심부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21)로 힌지를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도어(20)를 상측 및 하측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지된 결합 부재(21)가 대체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술한 도어(20)의 두께는, 단턱에 하향 돌출되어 형성될 때 갖는 단차 의 깊이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턱의 상면에 안착되었을 때, 고정 프레임(30)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영역이 없도록 하여 깔끔한 외관을 제공해주면서도 바닥에 설치되는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특성 상 사용자의 발이나 물체 등에 걸리는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캡 부재(10)는, 도어(20)의 끝단 일 영역에 마련되어 상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술한 캡 부재(10)는 도어(20)의 양 끝단에서 공간부가 외측을 향해 개방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캡 부재(10)가 최소 한 개 에서 최대 네 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캡 부재(10)는, 도어(20)에 결합되게 되는데, 이를 위해, 도어(20)의 측면 일 영역에는, 수평 방향으로 도어(20)를 관통하는 힌지편 및 힌지공이 설치되고, 상술한 캡 부재(10)에는 한 쌍의 다리부의 측면 끝 단에 도어(20)에 설치된 힌지편을 수용할 수 있는 힌지 공이 구비되어 도어(20)와 캡 부재(10) 간을 힌지 결합에 의하여 회동은 가능하나,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되게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술한 캡 부재(10)는 양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다리부에 걸림편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즉, 상술한 걸림편은, 힌지 결합에 의하여 상술한 캡 부재(10)가 도어(20)로부터 상측으로 회동될 시, 고정 프레임(30)의 단턱에 걸리게 됨으로써, 거치되는 형태로 고정되어 전선의 인출이 가능한 공간부가 마련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술한 걸림편에 대한 실시 예로써, 캡 부재(10)에 구비되는 한 쌍의 다리부에 형성되는 걸림편은, 단턱에 선택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술한 걸림편은, 단턱에 거치될 때, 지면과 임의의 각도를 갖도록 경사부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걸림편이 마련됨으로써, 거치 각도에 따라 캡 부재(1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의 공간을 제한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즉, 거치되는 걸림편을 선택적으로 이용함에 따라서, 전선이 인출되는 공간을 한정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사용을 원하는 전선의 굵기 및 전선의 개수에 따라 적합한 공간을 형성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이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동시에, 전선의 외관 손상을 최소화하여 전선의 수명을 연장하고, 전선 손상에 의한 전기적 스트레스에 의한 사고 발생의 빈도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캡 부재(10)에 대한 다른 실시 예로써, 상술한 캡 부재(10)에 형성되는 걸림편은 그 외면이 라운드 처리되어 모서리 영역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전선과 잦은 접촉이 발생하더라도 전선의 피복을 포함한 외관 손상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선의 피복이 벗겨져 발생할 수 있는 전기 화재 사고 등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즉, 종합적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들에 의하여 제공되는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는, 캡 부재(10)가 도어(20)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캡 부재(10)가 분리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선을 인출하여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플로어 시스템 박스를 완벽히 커버하게 되어, 플로어에 싱크홀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플로어 시스템 박스 내부로 먼지, 물기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합선 등과 같은 전기적인 스트레스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기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이물질이 플로어 시스템 박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합선 등과 같은 전기적인 스트레스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기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캡 부재(10)의 다리부에 형성되는 걸림편에 의하여 전선을 인출하여 사용 가능한 공간부가 마련되고, 이에 따라 전선의 외관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이용상 편의성이 향상된 플로어 시스템 박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캡 부재(10)에는 걸림편이 하나 이상 형성됨으로써, 거치 각도에 따라 공간부의 공간을 한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사용을 원하는 전선의 굵기 및 전선의 개수에 따라 적합한 공간을 형성하여 전선을 인출하여 사용자의 이용상 편의성이 극대화된 플로어 시스템 박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캡 부재(10)의 다리부에 형성된 걸림편이 라운드 처리되어 모서리 영역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됨으로써, 전선과 잦은 접촉이 발생하더라도 전선의 피복을 포함한 외관 손상을 최소화하여 전선의 수명을 연장하고, 전선 손상에 의한 전기적 스트레스에 의한 사고 발생의 빈도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의 설치 단면도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2의 200은 전선이 인출되지 않는 경우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에 포함되는 캡 부재(10)는 전선이 인출되지 않을 시, 2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의 설치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수평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하여 전선이 인출되지 않는 경우, 도어(20)의 일 영역에 설치되는 캡 부재(10)는 개방된 중심부를 완벽히 커버하여 이물질 등이 플로어 시스템 박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20)의 기능을 오롯이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물질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전기 배선의 합선 등과 같은 전기적인 스트레스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기 사고의 발생 빈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의 210에서는 캡 부재(10)가 상측으로 회동되어 걸림편이 단턱에 거치되는 실시 예를 도시하였다.
210을 참조하면, 캡 부재(10)는, 전선의 인출을 위하여 상측으로 회동될 수 있으며, 회동 시, 캡 부재(10)의 한 쌍의 다리부에 형성된 걸림편이 고정 프레임(30)의 단턱에 걸려서 거치될 수 있다.
즉, 210에 보여지는 것과 같이, 캡 부재(10)는 걸림편이 단턱에 걸리게 되면서 임의의 각도를 갖는 형태로 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캡 부재(10)의 내측에는 전선이 인출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전선 구멍이 구비되는 것이 주류를 이뤘던 종래 기술과는 달리, 캡 부재(10)가 걸림편에 의하여 단턱에 거치식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인 것으로서, 사용자가 플로어 시스템 박스 본체로부터 전선을 인출하여 사용할 때, 인출된 전선이 캡 부재(10)나 전선 구멍 등에 의하여 억압되지 않기 때문에, 전선 외관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선과 잦은 접촉이 발생하더라도 전선의 피복을 포함한 외관 손상을 최소화하여 전선의 수명을 연장하고, 전선 손상에 의한 전기적 스트레스에 의한 사고 발생의 빈도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캡 부재(10)에 하나 이상의 걸림편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사용을 원하는 전선의 굵기 및 전선의 개수에 따라 거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상 편의성이 극대화된 플로어 시스템 박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애서 캡 부재(10)가 회동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및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는, 지면 측으로 하향 돌출된 단턱을 갖는 고정 프레임(30), 고정프레임에 구비된 단턱의 상면에 안착되는 도어(20) 및 도어(20)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캡 부재(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원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이 되는 캡 부재(10)는, 3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30)에 형성된 단턱에, 다리부에 구비된 걸림편(11)에 의하여 거치됨으로써, 플로어 시스템 박스 본체에서 공급되는 전선을 인출될 수 있는 공간부가 마련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캡 부재(10)의 다리부에 형성되는 걸림편(11)이 하나 이상 형성됨으로써, 거치 각도에 따라 공간부의 공간을 한정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을 원하는 전선의 굵기 및 전선의 개수에 따라 걸림편(11)을 선택적으로 거치함으로써 공간부의 공간을 한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실질적으로 전선이 인출되도록 하는 걸림편(11)을 라운드 처리하여 걸림편(11)과 전선이 접촉하더라도 전선의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선 손상에 의한 전기적 스트레스에 의한 사고 발생의 빈도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에서 캡 부재(10)에 구비된 걸림 돌기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3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캡 부재(10)는, 도어의 끝단 일 영역, 바람직하게는 도어의 양 끝 단에서 공간부가 외측을 향해 개방된 형태로 설치되되, 캡 부재(10)가 상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에 따라 캡 부재(10)에 구비되는 한 쌍의 다리부 측면에는 도어와의 힌지 결합을 위하여 힌지편이 삽입 설치되는 힌지공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캡 부재(10)는, 양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다리부에 걸림편(1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한 걸림편(11)은 한 쌍의 다리부가 단턱에 선택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술한 걸림편(11)은 하나 이상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을 원하는 전선의 굵기 및 전선의 개수에 따라 걸림편(11)을 선택적으로 거치함으로써 공간부의 공간을 한정할 수 있게 되어 이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전선이 캡 부재(10)에 의하여 압력이 가해져 눌리는 등의 외부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전선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술한 캡 부재(10)의 걸림편(11)은 외면이 라운드 처리되어 모서리 영역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전선과 잦은 접촉이 발생하더라도 전선의 피복을 포함한 외관 손상을 최소화하여 전선 손상에 의한 전기적 스트레스에 의한 사고 발생의 빈도를 현저히 절감케 하는 구성인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에서 도어(20)가 개방된 일 예로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4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4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30)에 안착되는 도어(20)는 고정프레임의 일단과 도어(20)의 일단이 적어도 힌지를 포함하는 결합 부재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고정 프레임(30)의 개방된 중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유지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어(20)와 일단이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30)의 마련되는 단턱(31)의 일 영역에는 내부에 전원 및 통신의 배선을 위한 연결 단자가 배치되는 플로어 시스템 박스 본체와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32)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의 400을 기준으로 설명하자면, 단턱(31)의 각 모서리 영역에 결합홀(3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상술한 단턱(31)에 마련된 결합홀(32)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는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본체에도 결합홀(3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상술한 결합홀(32)들에 볼트 유닛을 이용하여 결합하여 플로어 시스템 박스 본체와 플로어 시스템 박스 커버 구조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결합력의 보강을 위하여 상술한 결합홀(32)에는 나사선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에 있어서,
    개방된 중심부를 가지며, 내측으로는 단차지게 확장되어 지면측으로 하향 돌출된 단턱이 구비되어 있는 고정 프레임;
    상기 단턱의 상면에 안착되고, 일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단과 적어도 힌지를 이용한 결합부재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개방된 중심부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도어;
    상기 도어의 끝단 일 영역에 마련되어, 상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캡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캡 부재는,
    양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다리부에 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편이 상기 고정 프레임의 단턱에 걸려서 거치되는 형태로 고정될 시, 전선 인출이 가능한 공간부가 마련되고,
    상기 걸림편은,
    상기 한 쌍의 다리부가 상기 단턱에 선택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 형성됨으로써, 거치 각도에 따라 상기 캡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의 공간을 제한하며,
    상기 걸림편의 외면은, 라운드 처리되어 모서리 영역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의 단턱의 일 영역에는,
    내부에 전원 및 통신의 배선을 위한 연결 단자가 배치되는 플로어 시스템 박스 본체와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이 천공되어 있으며, 볼트 유닛을 상기 결합홀을 통해 설치함으로써, 상기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와 상기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본체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는,
    상기 도어의 양 끝 단에서 상기 공간부가 외측을 향해 개방된 형태로 설치되되, 기 설정된 간격으로 한 개 내지 네 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
KR1020180078539A 2018-07-06 2018-07-06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 KR102051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539A KR102051333B1 (ko) 2018-07-06 2018-07-06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539A KR102051333B1 (ko) 2018-07-06 2018-07-06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333B1 true KR102051333B1 (ko) 2019-12-03

Family

ID=68837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539A KR102051333B1 (ko) 2018-07-06 2018-07-06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3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324U (ja) * 1992-10-01 1994-05-13 株式会社寺田電機製作所 フロアコンセント
KR20110005609U (ko) * 2009-11-30 2011-06-08 (주)경진이엠씨 전원선 인출복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324U (ja) * 1992-10-01 1994-05-13 株式会社寺田電機製作所 フロアコンセント
KR20110005609U (ko) * 2009-11-30 2011-06-08 (주)경진이엠씨 전원선 인출복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3531A (en) Weatherproof outlet cover
US7017598B2 (en) Powered patio pole umbrella
US5899761A (en) Power strip
CA2280218A1 (en) Weatherproof outlet cover
US20210231897A1 (en) House box with mounting surface for mounted access
US5473115A (en) Gull wing terminal enclosure
US10079481B2 (en) Weatherproof electrical box assembly
KR101007896B1 (ko)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
KR100924603B1 (ko) 책상 매립형 이중 콘센트
GB2213847A (en) Electrical services pole
KR102156593B1 (ko) 콘센트 보호함
KR102051333B1 (ko) 플로어 시스템 박스의 커버 구조
KR100960653B1 (ko) 공동주택의 전기안전사고 방지용 배전함체
KR20080112043A (ko) 배선보호용 덕트
KR100745197B1 (ko) 배선용 덕트
KR101205337B1 (ko) 공동주택의 절연형 분전함
BRPI0617081A2 (pt) método para cabeamento de rede elétrica e de rede de dados
CN106537710B (zh) 系统箱的罩门用引导帽
KR100967198B1 (ko) 배전용 전선라인의 위치고정식 접속플레이트
CN212442467U (zh) 一种自动清洗烘干装置
CN211456096U (zh) 一种防水插座
KR200490758Y1 (ko) 방우형 콘센트 보호커버
JP2021090353A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KR101203180B1 (ko)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
JP2007523474A (ja) ケーブル整理筐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