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6209A - 케이스 - Google Patents
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46209A KR20240046209A KR1020247007394A KR20247007394A KR20240046209A KR 20240046209 A KR20240046209 A KR 20240046209A KR 1020247007394 A KR1020247007394 A KR 1020247007394A KR 20247007394 A KR20247007394 A KR 20247007394A KR 20240046209 A KR20240046209 A KR 202400462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bel
- case
- area
- shutter member
- convex portion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755266 Kathetostoma gigante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26 adhesive bo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05 finger nai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82 nai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14 obstr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6 surface rough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84—Containers and magazines for components, e.g. tube-like magazin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3—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05—Means for the attachment of labels, cards, coupon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H05K13/084—Product tracking, e.g. of substrat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Component traceability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H05K13/087—Equipment tracking or labelling, e.g. tracking of nozzles, feeders or mounting he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8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for electrical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첩부된 라벨이 떼어지기 쉬운 케이스를 제공한다.
복수개의 전자부품(M)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11), 및 수용 공간(11)에 대하여 전자부품(M)을 출납하기 위한 배출구(19)를 가지며, 라벨(70)이 첩부되는 케이스 본체(10)와, 케이스 본체(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며, 슬라이딩됨으로써 배출구(19)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30)를 포함하고, 케이스 본체(10)는 그 표면(2a)의 적어도 일부에, 라벨(70)의 첩부면(70a)이 부착되는 복수개의 볼록부(93)가 배치된 라벨 첩부 영역(90)이 구획되어 있다.
복수개의 전자부품(M)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11), 및 수용 공간(11)에 대하여 전자부품(M)을 출납하기 위한 배출구(19)를 가지며, 라벨(70)이 첩부되는 케이스 본체(10)와, 케이스 본체(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며, 슬라이딩됨으로써 배출구(19)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30)를 포함하고, 케이스 본체(10)는 그 표면(2a)의 적어도 일부에, 라벨(70)의 첩부면(70a)이 부착되는 복수개의 볼록부(93)가 배치된 라벨 첩부 영역(90)이 구획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칩 부품 등의 전자부품을 수용하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자부품을 기판에 실장할 때, 전자부품을 기판 상의 소정 위치에 실장하는 실장 장치가 이용된다. 이와 같은 실장 장치에는 전자부품을 개별로 공급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흩어진 상태의 전자부품을 합쳐서 수용하고, 바닥부의 취출구로부터 자중(自重)에 의해 전자부품을 피더에 낙하시키는 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전자부품은 피더에 의해 실장 장치로 개별로 공급된다.
이 종류의 케이스에서는 수용되어 있는 전자부품의 종류가 표시된 라벨을 케이스에 붙여 전자부품을 관리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케이스를 반복 사용하거나 리사이클을 위해 재생 처리하는 경우, 첩부된(貼付) 라벨이 방해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첩부된 라벨이 떼어지기 쉬운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는 복수개의 부품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 및 상기 수용 공간에 대하여 부품을 출납하기 위한 개구를 가지며, 라벨이 첩부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며,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는 그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라벨의 첩부면이 부착되는 복수개의 볼록부가 배치된 라벨 첩부 영역이 구획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첩부된 라벨이 떼어지기 쉬운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의 내부를 일측방(一側方)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 전측 부분의 내부를 일측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케이스의 배출구가 개구된 개봉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라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로서, 라벨이 붙여져 있지 않은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로서, 라벨이 붙여져 있지 않은 상태의 윗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IX로 나타내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X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의 요철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라벨이 붙여져 있는 상태의 XII-XII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의 배면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의 후벽부를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의 내부를 일측방(一側方)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 전측 부분의 내부를 일측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케이스의 배출구가 개구된 개봉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라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로서, 라벨이 붙여져 있지 않은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로서, 라벨이 붙여져 있지 않은 상태의 윗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IX로 나타내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X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의 요철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라벨이 붙여져 있는 상태의 XII-XII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의 배면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의 후벽부를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1)를 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케이스(1)를 전방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3은 케이스(1)의 저면도이다. 도 4는 케이스(1)의 내부를 일측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는 케이스(1) 전측 부분의 내부를 일측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는 그 내부에 부품으로서의 복수개의 전자부품(M)을 흩어진 상태로 수용한다. 복수개의 전자부품(M)을 수용한 케이스(1)는 도시하지 않은 피더에 세팅되고, 그 피더가 진동함으로써 전자부품(M)이 케이스(1) 내로부터 배출되어 실장 장치 등에 공급된다. 본 실시형태의 전자부품(M)은 예를 들면, 긴 쪽 방향의 길이가 1.2㎜ 이하인 미소(微小)한 직방체 형상의 전자부품이다. 그와 같은 전자부품으로는 콘덴서나 인덕터 등을 들 수 있는데, 본 실시형태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참조 도면에 기재된 화살표(X), 화살표(Y), 화살표(Z)는 상기 피더에 세팅된 사용 상태에서의 케이스(1)의 좌우방향, 전후방향, 상하방향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좌우방향(X)에서 좌방을 X1, 우방을 X2, 전후방향(Y)에서 전방을 Y1, 후방을 Y2, 상하방향(Z)에서 상방을 Z1, 하방을 Z2로 나타내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의 좌우방향, 전후방향, 상하방향 각각은 상기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에 기초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는 좌우로 분할되는 제1 부재(2) 및 제2 부재(3)를 가진다. 제1 부재(2) 및 제2 부재(3)가 합체하고, 서로 접합되어 케이스(1)가 구성된다. 제1 부재(2)와 제2 부재(3)의 접합은 초음파 접합이나 접착제에 의한 접합 등의 수단에 따르지만, 이들 수단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좌측의 제1 부재(2)가 없는 상태이며, 우측의 제2 부재(3)의 내부를 나타낸다. 케이스(1)는 전후방향으로 길고, 좌우방향의 두께가 얇은 편평상자 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제1 부재(2) 및 제2 부재(3)를 개별로 설명하지 않고 제1 부재(2)와 제2 부재(3)가 접합된 상태에서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는 복수개의 전자부품(M)을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10)와, 케이스(1) 내에 전자부품(M)을 수용하거나 전자부품(M)이 배출되는 개구로서의 배출구(19)와, 배출구(19)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30)와, 셔터 부재(30)의 슬라이딩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슬라이딩 부재(35)를 포함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천판부(天板部)(12) 및 바닥판부(13)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벽부(14) 및 후벽부(15)와, 좌우 한 쌍의 측벽부(16)와, 케이스 본체(10)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경사판부(17)를 가진다. 후벽부(15)는 바깥면을 형성하는 외측 후벽부(15a)와, 외측 후벽부 전방의 내측 후벽부(15b)를 포함한다. 케이스 본체(1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전자부품(M)을 흩어진 상태로 수용하는 수용 공간(11)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19)는 전벽부(14)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다. 배출구(19)는 직사각형 상의 개구이다. 한편, 배출구(19)는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형상, 타원형상 등의 개구부이어도 된다. 배출구(19)는 셔터 부재(30)에 의해 개폐된다.
경사판부(17)는 좌우의 측벽부(16) 사이로 연장되면서 내측 후벽부(15b)로부터 배출구(19)의 하부에 걸쳐 연장되는 판 부재이다. 경사판부(17)는 케이스 본체(10) 내부의 상하방향 중앙보다도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10)의 내부에서 경사판부(17)의 상측이 수용 공간(11)으로 되어 있고, 하측이 하측 공간(18)으로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경사판부(17)는 배출구(19)를 향해 하향 구배로 경사져 있고, 그 윗면은 배출구(19)를 향해 하향 구배로 경사지는 경사면(17a)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경사면(17a)의 경사 각도(θ1)는 케이스(1)가 상기 피더에 세팅되었을 때의 수평방향에 대하여 10° 정도이다. 경사면(17a)의 경사 각도(θ1)는 3° 이상 10° 이하가 바람직하다. 한편, 경사면(17a)의 경사 각도(θ1)는 상기 피더의 진동 조건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공간(18)의 후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긴 띠 형상의 RFID 태그(27)가 배치되어 있다. RFID 태그(27)는 예를 들면, 씰로서 구성되어 바닥판부(13)의 윗면에 점착된다. RFID 태그(27)는 도 1에 나타내는 측벽부(16)에 마련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16b)으로부터 하측 공간(18) 내에 격납된다. RFID 태그(27)는 송수신부, 메모리 및 안테나 등을 가지는 공지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케이스(1)가 세팅되는 상기 피더에는 RFID 태그(27)에 대하여 정보를 읽고 쓰는 리더 라이터가 배치된다.
케이스 본체(10)는 상측 파지부(28A) 및 후측 파지부(28B)를 가진다. 상측 파지부(28A)는 케이스 본체(10) 상측의 전후 양단에 마련된 전후 한 쌍의 구덩이이다. 후측 파지부(28B)는 케이스 본체(10) 후측의 상하 양단에 마련된 상하 한 쌍의 구덩이이다. 상측 파지부(28A) 및 후측 파지부(28B) 각각은 예를 들면, 로봇 핸드에 의해 케이스(1)를 운반할 때 등에서 그 로봇 핸드에 파지된다.
케이스 본체(10)는 상기 피더에 탈착 가능하게 세팅하기 위한 복수개의 갈고리부를 바닥면에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갈고리부(61), 제2 갈고리부(62) 및 제3 갈고리부(63)가 바닥면에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제1 갈고리부(61), 제2 갈고리부(62) 및 제3 갈고리부(63) 각각은 케이스 본체(10)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제1 갈고리부(61) 및 제2 갈고리부(62) 각각은 상하 좌우를 따른 면내에서의 절단면에서 역T자 형상을 이루는 T자 슬롯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3 갈고리부(63)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측면에서 봤을 때 L자 형상의 판편부(板片部)이다.
셔터 부재(30)는 슬라이딩됨으로써 배출구(19)를 개폐한다. 셔터 부재(30)는 바닥판부(13)로부터 전벽부(14)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셔터 부재(30)는 가늘고 긴 띠 형상의 필름 부재이다. 셔터 부재(30)는 예를 들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어느 정도 강성을 가지면서 만곡 가능한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필름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셔터 부재(30)의 두께는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1㎜ 이상 0.5㎜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셔터 부재(30)의 폭은 배출구(19)의 폭보다 약간 크고, 배출구(19)를 빈틈 없이 덮을 수 있는 폭을 가진다. 셔터 부재(30) 전단부(前端部)에는 배출구(19)와 대략 동일한 형태의 개구부(31)가 마련되어 있다.
셔터 부재(30)는 케이스 본체(10)가 포함하는 하측 가이드부(5) 및 상측 가이드부(4)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측 가이드부(5)는 바닥판부(13)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측 가이드부(4)는 배출구(19)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셔터 부재(30)는 그 후측이 하측 가이드부(5)를 따라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그 전측이 상측 가이드부(4)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하측 가이드부(5) 및 상측 가이드부(4) 각각은 셔터 부재(30)의 면방향을 좌우방향을 따른 상태로 유지하면서 셔터 부재(3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가이드부(5)는 배출구(19)의 하방에 배치된 제1 하측 가이드부(51)와, 제1 하측 가이드부(51)의 후방에 배치된 제2 하측 가이드부(52)를 포함한다. 제2 하측 가이드부(52)는 경사판부(17)의 전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볼록부(17c)와 바닥판부(13) 사이에 형성되는 극간으로 구성된다. 제1 하측 가이드부(51)는 경사판부(17)의 전단면(前端面)(17b)과 바닥판부(13)의 전단부(29)에 의해 구성된다.
셔터 부재(30)의 후측 부분은 제2 하측 가이드부(52)에서 볼록부(17c)와 바닥판부(13) 사이의 극간을 통과한다. 이로써, 셔터 부재(30)의 후측 부분은 바닥판부(13) 바로 위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제1 하측 가이드부(51)에서 셔터 부재(30)는 전후방향으로 오목 형상으로 만곡되는 바닥판부(13)의 전단부(29)를 따라 슬라이딩되고, 추가로 경사판부(17)의 전단면(17b)을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수평방향으로부터 대체로 90°의 각도로 위를 향해 굴곡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전환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가이드부(4)는 전벽부(14)에 형성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슬릿(41)을 포함한다. 셔터 부재(30)의 전단부는 전벽부(14)의 하단으로부터 가이드 슬릿(41) 내에 삽입되어 있고, 가이드 슬릿(41) 내를 상하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슬라이딩 부재(35)는 셔터 부재(30)를 슬라이딩시켜서 배출구(19)의 개폐 동작을 실시하기 위한 부재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 부재(30)의 후단부(後端部)에 슬라이딩 부재(35)가 배치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0)의 바닥판부(13)는 그 전측에 돌출판부(21)를 가진다. 돌출판부(21)는 하방으로 돌출되면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돌출판부(21)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21a)이 마련되어 있다. 돌출판부(21)의 상방에는 돌출판부(21)와의 사이에 소정의 스페이스(22)를 두고 플레이트부(26)가 배치되어 있다. 플레이트부(26)는 돌출판부(21)와 대략 평행하고, 바닥판부(13)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스페이스(22)는 돌출판부(21), 플레이트부(26) 및 좌우의 측벽부(16)로 둘러싸여 있다. 슬라이딩 부재(35)는 스페이스(22) 내에 배치되어 있다. 플레이트부(26)의 전단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전측 볼록부(26a)가 마련되어 있다. 플레이트부(26)의 후단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후측 볼록부(26b)가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딩 부재(35)는 전후방향으로 긴 장방형상의 판편이다. 슬라이딩 부재(35)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형상의 조작 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 구멍(36)은 케이스 본체(10)의 긴 구멍(21a)에 연통되어 있고, 긴 구멍(21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35)의 상하방향의 중간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전측으로 개구되는 슬릿(37)이 형성되어 있다. 전측의 개구로부터 셔터 부재(30)의 후단부가 슬릿(37)에 삽입되어 있다. 슬릿(37)은 슬라이딩 부재(35)의 전측에 개구되어 있고, 후측에는 개구되어 있지 않다. 슬릿(37)은 슬라이딩 부재(35)의 좌우 측방에 개구되어 있어도 된다. 셔터 부재(30)의 후단부는 슬릿(37)의 전단 개구(37a)로부터 슬릿(37)에 삽입되어 있다. 셔터 부재(30)는 접착 등의 수단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35)에 고착되어 있다. 이로써, 셔터 부재(30)는 슬라이딩 부재(35)와 일체로 스페이스(22) 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바닥판부(13)의 돌출판부(21), 플레이트부(26) 및 좌우 측벽부(16)로 슬라이딩됨으로써 가이드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35)의 윗면에서는 전단부에 전측 오목부(32a)가 마련되며, 후단부에 후측 오목부(32b)가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딩 부재(35)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면, 플레이트부(26)의 전측 볼록부(26a)가 전측 오목부(32a)로 파고 들어가 걸어 맞춰지고, 그 이상의 전방으로의 슬라이딩이 규제된다. 이 때, 셔터 부재(30)는 개구부(31)가 배출구(19) 상방에 배치되며, 셔터 부재(30)에서의 개구부(31)의 하방 부분에 의해 배출구(19)가 닫힌다.
한편, 슬라이딩 부재(35)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부(26)의 후측 볼록부(26b)가 후측 오목부(32b)로 파고 들어가 걸어 맞춰지고, 그 이상의 후방으로의 슬라이딩이 규제된다. 이 때, 셔터 부재(30)는 개구부(31)가 배출구(19)와 합치되어 배출구(19)가 개구된다.
케이스(1)에서는 배출구(19)로부터 수용 공간(11)에 소정 수의 전자부품(M)이 수용된 후에, 슬라이딩 부재(35)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켜서 배출구(19)를 셔터 부재(30)로 닫은 상태에서 전자부품의 공급처로 출하된다. 따라서, 도 4는 출하 시의 케이스(1)의 내부를 나타내고 있다. 케이스(1)를 공급 받은 사용자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하여 배출구(19)를 열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35)의 조작 구멍(36)에 조작 핀(60)을 삽입하고, 그 조작 핀(60)으로 셔터 부재(30)를 뚫어서 관통시킨다. 조작 핀(60)을 셔터 부재의 열림방향, 즉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셔터 부재(30)는 슬라이딩 부재(35)와 연동되어 후방으로 슬라이딩되고, 배출구(19)에 셔터 부재(30)의 개구부(31)가 합치되어 배출구(19)가 개구된다.
한편, 셔터 부재(30)를 슬라이딩시켜서 배출구(19)를 개폐시키는 기구로는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35)를 셔터 부재(30)에 일체로 마련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기구를 채용해도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의 케이스(1)에서는 케이스 본체(10)에 라벨(70)이 붙여져 있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라벨(70)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라벨(70)은 수지, 종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트 형상 기재(基材)에서의 이면 측의 첩부면에 점착층이 마련된 일반적인 구조의 라벨이며, 케이스 본체(10)에 점착되기 전은 점착층에 박리 시트가 붙여져 있다. 실시형태의 라벨(70)은 장방형상인데, 라벨(7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라벨(70)은 표시(80)가 인쇄된 표시 라벨부(71)와, 표시 라벨부(71) 상측의 잉여 라벨부(72)를 포함한다. 도 6의 2점쇄선(H)은 표시 라벨부(71)와 잉여 라벨부(72)의 경계를 나타내고 있다.
표시 라벨부(71)의 표면에는 표시(80)가 인쇄되어 있다. 표시(80)는 케이스(1)에 수용되는 전자부품(M)에 관한 정보와, 케이스(1)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전자부품(M)에 관한 정보로는 전자부품(M)의 종류, 로트 번호, 제조년월일, 제조 공장, 검사 번호 등을 들 수 있다. 케이스(1)에 관한 정보로는 케이스 번호, 전자부품(M)의 수용 개수 등을 들 수 있다. 실시형태의 표시(80)는 숫자와 영문자(알파벳)의 조합에 의한 코드 및 바코드이지만, 표시(80)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80)로는 전자부품(M)에 관한 정보만이어도 되고, 케이스(1)에 관한 정보만이어도 된다. 또한, 표시(80)에는 전자부품(M)에 관한 정보 및 케이스(1)에 관한 정보 중 쌍방 혹은 어느 하나와 관련된 고유 ID나, 관련되는 URL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도 7 및 도 8는 라벨(70)이 붙여져 있지 않은 상태의 케이스(1)에서의 제1 부재(2) 측의 측면도 및 윗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케이스(1)의 제1 부재(2)의 표면(2a)에는 라벨(70)이 붙여지는 라벨 첩부 영역(90)이 구획되어 있다. 제1 부재(2)의 표면(2a)은 측벽부(16)의 표면(16a) 및 천판부(12)의 표면(12a)을 포함한다. 라벨 첩부 영역(90)은 제1 부재(2)의 측벽부(16)로부터 제1 부재(2)의 천판부(12)에 걸쳐 구획되어 있다. 라벨 첩부 영역(90)은 측벽부(16)에 구획된 측면 영역(91)과, 천판부(12)로 구획된 윗면 영역(92)을 포함한다. 측면 영역(91)은 측벽부(16) 중 80% 정도의 영역을 차지하고 있으며, 윗면 영역(92)은 천판부(12) 중 80% 정도의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측벽부(16) 및 천판부(12)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라벨 첩부 영역(90)이 없는 부분이 있다.
라벨(70)은 그 바깥 가장자리가 라벨 첩부 영역(90)의 바깥 가장자리에 거의 일치하는 상태로 라벨 첩부 영역(90)에 첩부된다. 즉 라벨 첩부 영역(90)은 라벨(70)에 대응하는 형상 및 사이즈를 가진다. 라벨(70)은 표시 라벨부(71)가 측면 영역(91)에 붙여지고, 잉여 라벨부(72)가 윗면 영역(92) 측에 대략 90°폴딩되어 그 윗면 영역(92)에 붙여진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벨 첩부 영역(90)에는 라벨(70)의 첩부면(70a)이 부착되는 복수개의 볼록부(93)가 분산되어 있다. 또한, 라벨(70)의 첩부면(70a)과 이간되는 복수개의 오목부(94)가 분산되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바꿔 말하면, 복수개의 볼록부(93) 또는 복수개의 오목부(94)가 배치된 영역이 라벨 첩부 영역(90)으로서 구획되어 있다.
복수개의 볼록부(93) 각각은 직사각형 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각 볼록부(93)의 표면(93a)은 평탄하며, 그 높이 위치는 제1 부재(2)의 표면(2a)의 높이 위치와 동일하다. 복수개의 오목부(94) 각각은 직선의 홈 형상인 구덩이이고, 격자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직사각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오목부(94)에 의해 볼록부(93)가 둘러싸여 있다. 혹은 각 볼록부(93)의 표면(93a)은 평탄하며, 그 높이 위치는 제1 부재(2)의 표면(2a)의 높이 위치보다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그 때, 볼록부(93) 주위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오목부(94)의 높이는 표면(2a)의 높이 위치와 동일하다. 도 9 및 도 10은 측면 영역(91)을 나타내고 있는데,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윗면 영역(92)에도 복수개의 직사각형상의 볼록부(93) 및 복수개의 홈 형상의 오목부(94)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라벨 첩부 영역(90)을 평면에서 봤을 경우의 표면에서는 복수개의 오목부(94) 전체가 차지하는 면적보다도, 복수개의 볼록부(93) 전체의 표면적 쪽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복수개의 볼록부(93)가 차지하는 면적 이외의 면적보다도, 복수개의 볼록부(93) 전체의 표면적 쪽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라벨 첩부 영역(90)에서 단위 면적당 볼록부(93) 전체의 표면적이 50% 초과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 영역(91)을 가지는 측벽부(16)의 표면(16a)에는 복수개의 홈 형상 구덩이(100)가 형성되어 있다. 구덩이(10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방형 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복수개의 구덩이(100)는 측벽부(16)의 전단 측 및 후단 측 각각의 위치에 상하 3단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구덩이(100)는 측면 영역(91)으로부터 측면 영역(91)의 외측, 즉 측면 영역(9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표면(16a)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구덩이(100)는 손가락 끝 혹은 손톱 끝을 넣을 수 있는 폭 및 깊이를 가진다. 측면 영역(91)에 붙여진 라벨(70)은 그 가장자리가 구덩이(100)의 길이방향 중간 부분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라벨 첩부 영역(90)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볼록부(93) 및 오목부(94) 각각은 직사각형상 및 홈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94)가 원형상이고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며, 복수개의 오목부(94) 이외의 부분이 볼록부(93)를 구성하는 형태이어도 된다.
또한, 볼록부(93) 및 오목부(94)는 새틴 가공 또는 엠보스 가공에 의해 거슬거슬한 표면을 구성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즉 볼록부(93) 및 오목부(94) 각각이 새틴에 의한 볼록부 및 오목부이거나, 또는 엠보스에 의한 볼록부 및 오목부이면 된다. 이와 같은 거슬거슬한 표면인 경우의 표면 거칠기로는 예를 들면,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1.6 이상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 및 도 14는 케이스(1)의 후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3은 후벽부(15) 측으로부터 본 케이스(1)의 배면도이고, 도 14는 후벽부(15)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후벽부(15a)에는 직사각형상의 구멍에 의한 개구(151)가 형성되며, 내측 후벽부(15b)에서의 개구(151)의 전방에 상당하는 부분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구멍(152)이 형성되어 있다. 홈 구멍(152)은 좌우의 내측 후벽부(15b) 각각에 형성된 한 쌍의 컷아웃(152a)의 조합에 의해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홈 구멍(152)은 그 내면이 후방을 향함에 따라 넓어지는 대략 각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홈 구멍(152)의 깊이는 내측 후벽부(15b) 두께의 예를 들면 절반 정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151)에 통과시킨 공구의 마이너스 드라이버(160)의 선단부(160a)를 홈 구멍(152)에 끼워 넣을 수 있다. 홈 구멍(152)에 끼워 넣은 마이너스 드라이버(160)의 선단부(160a)를 제1 부재(2)와 제2 부재(3) 사이에 밀어 넣고, 그 마이너스 드라이버를 축 둘레로 비틀거나 좌우방향 중 어느 한쪽 측으로 젖히도록 움직이면, 접합되어 있는 제1 부재(2)와 제2 부재(3)를 부분적으로 이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내측 후벽부(15b)의 이간 부분을 기점으로 하여 추가로 제1 부재(2)와 제2 부재(3)가 이간되도록 힘을 가함으로써, 케이스(1)를 제1 부재(2)와 제2 부재(3)로 분할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1)는 복수개의 전자부품(M)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11), 및 수용 공간(11)에 대하여 전자부품(M)을 출납하기 위한 배출구(19)를 가지며, 라벨(70)이 첩부되는 케이스 본체(10)와, 케이스 본체(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며, 슬라이딩됨으로써 배출구(19)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30)를 포함하고, 케이스 본체(10)는 그 표면(2a)의 적어도 일부에 라벨(70)의 첩부면(70a)이 부착되는 복수개의 볼록부(93)가 배치된 라벨 첩부 영역(90)이 구획되어 있다. 실시형태의 케이스(1)에는 적어도 라벨 첩부 영역(90)에 라벨(70)이 첩부된다.
이로써 라벨(70) 첩부면(70a)의 전체 면이 라벨 첩부 영역(90)에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라벨(70)을 케이스(1)로부터 떼어내기 쉽다. 이 때문에 케이스(1)를 반복 사용하거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부재(2)와 제2 부재(3)로 분할하여 리사이클을 위한 케이스(1)를 재생 처리하는 경우, 라벨(70)이 방해된다는 사태가 일어나기 어렵다.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1)에서 라벨 첩부 영역(90)은 라벨(70)에 대응하는 형상 및 사이즈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라벨(70)을 케이스(1)로부터 튀어나오지 않고 정연하게 첩부할 수 있음과 함께, 요철에 의해 오염이 부착되기 쉬운 라벨 첩부 영역(90)이 노출되는 것을 라벨(70)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라벨(70)은 적어도 라벨 첩부 영역(90)의 전체 영역을 덮어서 라벨 첩부 영역(90)에 첩부되는데, 라벨(70)의 일부가 라벨 첩부 영역(90) 이외의 케이스 본체(10) 표면에 첩부되어 있어도 된다. 그러나 라벨(70)을 떼어내기 쉬운 관점에서는 라벨 첩부 영역(90) 이외의 케이스 본체(10) 표면에 첩부되는 면적은 되도록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1)에서, 라벨 첩부 영역(90)의 표면에서는 복수개의 오목부(94) 전체가 차지하는 면적 혹은 볼록부(93)가 차지하는 면적 이외의 면적보다도 복수개의 볼록부(93) 전체의 표면적 쪽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라벨 첩부 영역(90)에 대한 라벨(70)의 부착력이 확보되면서 라벨(70)을 라벨 첩부 영역(90)으로부터 떼어내기 쉽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1)에서는, 케이스 본체(10)에서의 제1 부재(2)의 표면(2a)에는 라벨 첩부 영역(90)으로부터 상기 라벨 첩부 영역(90)의 외측에 걸쳐 홈 형상의 구덩이(100)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덩이(100)가 손가락 끝 혹은 손톱 끝을 넣을 수 있는 폭 및 깊이를 가지고 있으면 구덩이(100)를 이용하여 라벨(70)의 가장자리를 들어 올리고, 이를 기점으로 하여 라벨(70)을 케이스(1)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1)에서는, 라벨 첩부 영역(90)의 볼록부(93) 및 오목부(94)는 새틴에 의한 볼록부 및 오목부이거나, 또는 엠보스에 의한 볼록부 및 오목부이면 된다.
이로써 첩부면(70a)의 전체 면이 라벨 첩부 영역(90)에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라벨(70)을 케이스(1)로부터 떼어내기 쉽다. 한편, 새틴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새틴 표면 또는 엠보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엠보스 표면의 부착력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볼록부(93)를 증가시켜서 충분한 부착력이 얻어지도록 하면 된다.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1)에서, 라벨(70)에는 전자부품(M) 및 케이스(1)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전자부품(M)이나 케이스(1)의 관리를 실시하기 쉬워진다.
이상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1: 케이스 2a: 표면
10: 케이스 본체 11: 수용 공간
19: 배출구(개구) 30: 셔터 부재
70: 라벨 70a: 첩부면
90: 라벨 첩부 영역 93: 볼록부
94: 오목부 100: 구덩이
M: 전자부품(부품)
10: 케이스 본체 11: 수용 공간
19: 배출구(개구) 30: 셔터 부재
70: 라벨 70a: 첩부면
90: 라벨 첩부 영역 93: 볼록부
94: 오목부 100: 구덩이
M: 전자부품(부품)
Claims (8)
- 복수개의 부품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 및 상기 수용 공간에 대하여 부품을 출납하기 위한 개구를 가지며, 라벨이 첩부(貼付)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며,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는 그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라벨의 첩부면이 부착되는 복수개의 볼록부가 배치된 라벨 첩부 영역이 구획되는, 케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 첩부 영역에 상기 라벨의 상기 첩부면과 이간되는 복수개의 오목부가 추가로 배치되는, 케이스.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라벨 첩부 영역에 라벨이 첩부되는, 케이스.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 첩부 영역은 상기 라벨에 대응하는 형상 및 사이즈를 가지는, 케이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 첩부 영역의 표면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오목부 전체가 차지하는 면적 혹은 상기 복수개의 볼록부가 차지하는 면적 이외의 면적보다도 상기 복수개의 볼록부 전체의 표면적 쪽이 큰, 케이스.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 첩부 영역으로부터 상기 라벨 첩부 영역의 외측에 걸쳐 홈 형상의 구덩이가 마련되는, 케이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는 새틴에 의한 볼록부 및 오목부이거나, 또는 엠보스에 의한 볼록부 및 오목부인, 케이스.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에는 상기 부품 및 상기 케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21-146423 | 2021-09-08 | ||
JP2021146423 | 2021-09-08 | ||
PCT/JP2022/023324 WO2023037679A1 (ja) | 2021-09-08 | 2022-06-09 | ケース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46209A true KR20240046209A (ko) | 2024-04-08 |
Family
ID=85506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7007394A KR20240046209A (ko) | 2021-09-08 | 2022-06-09 | 케이스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206140A1 (ko) |
EP (1) | EP4400447A1 (ko) |
JP (1) | JPWO2023037679A1 (ko) |
KR (1) | KR20240046209A (ko) |
CN (1) | CN117581646A (ko) |
WO (1) | WO2023037679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95618A (ja) | 2008-06-02 | 2009-12-17 | Taiyo Yuden Co Ltd | バルクフィーダ用の部品補充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0910B2 (ja) * | 1987-04-20 | 1994-03-23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電子部品チツプ収納カセツト |
JPH11150395A (ja) * | 1997-11-17 | 1999-06-02 | Tdk Corp | 電子部品供給ケース用目盛り付きラベル |
JP6103627B2 (ja) * | 2012-10-31 | 2017-03-29 | 三甲株式会社 | コンテナ |
JP6248656B2 (ja) * | 2014-01-31 | 2017-12-20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現像カートリッジ |
JP2015186917A (ja) * | 2014-03-13 | 2015-10-29 | 株式会社リコー | コンベアラインシステム及び搬送容器 |
-
2022
- 2022-06-09 EP EP22867009.7A patent/EP4400447A1/en active Pending
- 2022-06-09 WO PCT/JP2022/023324 patent/WO2023037679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06-09 KR KR1020247007394A patent/KR20240046209A/ko unknown
- 2022-06-09 JP JP2023546777A patent/JPWO2023037679A1/ja active Pending
- 2022-06-09 CN CN202280046384.3A patent/CN117581646A/zh active Pending
-
2024
- 2024-02-28 US US18/589,729 patent/US20240206140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95618A (ja) | 2008-06-02 | 2009-12-17 | Taiyo Yuden Co Ltd | バルクフィーダ用の部品補充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WO2023037679A1 (ko) | 2023-03-16 |
EP4400447A1 (en) | 2024-07-17 |
US20240206140A1 (en) | 2024-06-20 |
WO2023037679A1 (ja) | 2023-03-16 |
CN117581646A (zh) | 2024-0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364820B1 (en) | Storage container | |
KR20230135134A (ko) | 케이스 | |
KR20240046209A (ko) | 케이스 | |
US8190055B2 (en) | Electronic device with a functional unit arranged adjacent to an operating surface | |
JP4602095B2 (ja) | 包装容器 | |
JP3168375U (ja) | カードホルダ | |
JP4906166B2 (ja) | カードホルダー | |
KR20240006045A (ko) | 케이스 및 씰 | |
WO2023135877A1 (ja) | ケース | |
JP4831008B2 (ja) | 印刷装置 | |
KR20240118138A (ko) | 케이스 | |
US20240074130A1 (en) | Case and method of using the case | |
EP3461762B1 (en) | Component with sheet material adhered to surface thereof | |
JP3763838B2 (ja) | ブリスターパッケージ | |
JP2006191823A (ja) | 育苗ポット | |
US20230132218A1 (en) | Storage case | |
JP7487838B2 (ja) | ケース | |
CN113662342A (zh) | 卡保持器 | |
JP2023007347A (ja) | コンパクト容器 | |
JP5996818B1 (ja) |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該カートリッジにおけるタグ分別方法 | |
US6334574B1 (en) | Identification device for IC loading tray | |
JP2002282100A (ja) | 印刷物保持体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フック | |
KR20240001361U (ko) | 낚싯대의 전시용 수용 주머니 | |
JP2006264774A (ja) | 包装容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