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887A -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4887A
KR20240044887A KR1020220124409A KR20220124409A KR20240044887A KR 20240044887 A KR20240044887 A KR 20240044887A KR 1020220124409 A KR1020220124409 A KR 1020220124409A KR 20220124409 A KR20220124409 A KR 20220124409A KR 20240044887 A KR20240044887 A KR 20240044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ehicle
pressure vessel
pressure
fix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4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균범
박성철
최진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희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희산업
Priority to KR1020220124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4887A/ko
Priority to PCT/KR2023/015120 priority patent/WO2024072153A1/ko
Publication of KR20240044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8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 B60K15/07Mounting of tanks of ga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3Tank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09Tan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fuels
    • B60K2015/03315Tan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fuels for hydro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10Energy storage devices
    • B60Y2400/102Energy storage devices for hydrogen fu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면 고압용기 양단의 돔부의 일면을 감싸며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패널; 고압용기의 실린더부 측방에서 한 쌍의 지지패널을 연결하는 지지프레임; 및 지지프레임에 단부가 연결되고 고압용기 실린더부의 상부를 감싸는 지지밴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를 소개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FIXTURE FOR VEHICLE HIGH PRESSURE VESSEL}
본 발명은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고압용기를 고정하는데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압용기 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내연기관 차량의 환경적인 이슈로 인하여 전기자동차 등 친환경 차량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Electronic Vehicle, EV)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자동차를 가리킨다.
이러한 전기자동차에는 기존의 내연기관과 함께 차량용 고전압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모터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연료전지를 통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모터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연료전지 차량(Fuel Cell Electric Vehicle, FCEV)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 차량은 고압 수소탱크를 통해 공급되는 수소와 공기압축기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 중의 산소를 연료전지스택 내에서 전기화학(electrochemistry)반응시켜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차량을 구동시킨다.
한편, 최근 수소차와 전기차의 플랫폼 공용화를 위해 배터리 공간에 단 하나의 대형 수소탱크를 대신하여 직경이 작은 복수 개의 수소탱크를 장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아울러, 직경이 작은 복수 개의 수소탱크를 차량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복수 개의 수소탱크의 배치 상태가 고정장치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에는 복수 개의 수소탱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소형으로 제작하기 어려워, 고정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일정 이상 확보되어야 하므로, 공간활용성 및 설계자유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기존에는 한정된 공간에 수소탱크와 고정장치를 함께 설치해야 하므로, 수소탱크의 사이즈를 일정 이상 증가시키기 어려워, 차량의 주행 가능 거리를 증가시키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수소탱크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면서도, 수소탱크의 고정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기술의 제공이 시급한 실정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8-0125988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고압용기의 고정 구조를 간소화하고, 고압용기를 고정하는데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압용기 고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는 고압용기 양단의 돔부의 일면을 감싸며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패널; 고압용기의 실린더부 측방에서 한 쌍의 지지패널을 연결하는 지지프레임; 및 지지프레임에 단부가 연결되고 고압용기 실린더부의 상부를 감싸는 지지밴드;를 포함한다.
지지패널과 일체로 형성되고 실린더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지지패널의 양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패널은 복수 개의 고압용기 양단의 돔부에 배치되고 인접한 부분이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압용기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지지패널의 양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압용기가 인접한 부분에서 한 쌍의 지지패널을 연결하는 공유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지지밴드의 일단은 지지프레임에 체결되고, 타단은 공유프레임에 체결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압용기를 고정하기 위해 지지밴드는 복수 개가 마련되고, 복수 개의 지지밴드의 타단은 서로 실린더부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공유프레임에 타단이 체결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압용기를 고정하기 위해 지지밴드는 복수 개가 마련되고, 복수 개의 지지밴드의 타단은 서로 동일한 위치에서 공유프레임에 타단이 체결될 수 있다.
공유프레임에는 양단부가 2개의 지지패널이 연결된 부분을 보강하는 보강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고압용기는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차량의 후측의 배치된 한 쌍의 지지패널은 고압용기의 돔부를 감싸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패널이 고압용기의 상방에 배치될 경우, 지지패널에는 돔부 중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가 포함될 수 있다.
지지밴드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실린더부의 길이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지지패널에는 돔부와 접촉되는 면에 마련되어 고압용기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패드가 포함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은 연결부에 결합되고, 지지프레임과 연결부를 관통하며 차체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는 실린더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실린더부의 직경을 제한하는 종래의 고압용기의 지지기구에 대비하여 지지패널이 양측의 돔부를 지지하고 실린더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음에 따라 실린더부의 직경을 종래의 고압용기에 대비하여 크게 형성할 수 있어 고압용기 내부에 저장되는 유체의 용량을 증가시켜, 차량의 주행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패널이 돔부의 일면을 감싸도록 고압용기를 지지하여 고압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의 제1 실시예서 고압용기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의 제1 실시예서 고압용기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의 제2 실시예에서 고압용기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의 제2 실시예서 고압용기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전기 차량은 배터리 또는 수소 전지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게 된다.
수소 전지가 적용된 전기 차량은 수소를 저장하기 위해 고압용기가 장착될 수 있으며, 고압용기를 차체에 장착하기 위해 고정기구가 마련되었다.
본 발명은 고압용기의 용량을 확장하기 위한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를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압용기(400)의 고정기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압용기(400)의 고정기구의 제1 실시예서 고압용기(400)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압용기(400)의 고정기구의 제1 실시예서 고압용기(400)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압용기(400)의 고정기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압용기(400)의 고정기구의 제2 실시예에서 고압용기(400)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압용기(400)의 고정기구의 제2 실시예서 고압용기(400)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압용기(400)의 고정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유체가 저장되는 고압용기(400)는 일반적으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실린더부(420)와 실린더부(420)의 양단에 형성된 돔부(410)로 형성되며, 한 쌍의 돔부(410) 중 어느 하나에 유체가 주입되는 주입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고압용기(400)는 수소를 저장하기 위한 고압용기(400)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압용기(400)의 고정기구는 고압용기(400) 양단의 돔부(410)의 일면을 감싸며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패널(100); 고압용기(400)의 실린더부(420) 측방에서 한 쌍의 지지패널(100)을 연결하는 지지프레임(210); 및 지지프레임(210)에 단부가 연결되고 고압용기(400) 실린더부(420)의 상부를 감싸는 지지밴드(300);를 포함한다.
지지패널(100)은 반구 형상의 돔부(410)의 일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실린더부(420)의 양측의 돔부(410)에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지지패널(100)의 강성을 보강하며 한 쌍의 지지프레임(210)을 연결하도록 지지프레임(210)이 마련될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210)은 한 쌍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지지패널(100)의 양단부를 연결하며 실린더부(420)가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밴드(300)는 밴드형태로 형성되어 실린더부(420)의 일면을 감싸며 양단부가 지지프레임(210)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밴드(300)가 감싸는 실린더부(420)의 면과 지지패널(100)이 돔부(410)를 감싸는 면은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고압용기(400)를 고정할 수 있다.
종래의 고압용기(400)의 지지기구는 실린더부(4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실린더부(420)의 직경을 제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형상을 통해 지지패널(100)이 배치된 측의 실린더부(420)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음에 따라 실린더부(420)의 직경을 종래의 고압용기(400)에 대비하여 크게 형성할 수 있어 고압용기(400) 내부에 저장되는 유체의 용량을 증가시켜, 차량의 주행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가지의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지지패널(100)이 고압용기(400)의 하부에 위치되고, 지지밴드(300)가 고압용기(4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2 실시예는 지지패널(100)이 고압용기(400)의 상부에 위치되고, 지지밴드(300)가 고압용기(400)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한 쌍의 지지패널(100)을 일체로 형성하기 위해 실린더부(4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지지패널(100)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11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패널(100)과 지지패널(100)을 연결하는 연결부(110)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지지패널(100)과 연결부(110)는 바람직하게 스틸 재질의 패널을 프레스 성형을 통해 가공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지지패널(100)을 연결하는 지지프레임(210)은 연결부(110)에 대응되도록 결합되어 연결부(110)와 함께 지지패널(100)을 연결함으로써 연결부(11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고압용기(400)를 고정하도록 고정기구가 마련되었다.
이러한 복수 개의 고압용기(400)를 고정하기 위해 고압용기(400)는 너비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한 쌍의 지지패널(100)이 복수 개로 마련되어 각각의 고압용기(400)의 양측 돔부(410)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인접한 지지패널(100)을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지지패널(100)은 고압용기(40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2 및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지지패널(100)을 연결하는 연결부(110)는 고압용기(400)가 나란한 방향으로 결합된 복수 개의 지지패널(100)의 양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결합된 한 쌍의 지지패널(100)을 일체의 패널로 형성할 수 있다.
차량에는 복수 개의 고압용기(40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연결부(110)는 고압용기(400)가 나란한 방향으로 복수 개의 지지패널(100)이 결합된 한 쌍의 파트의 양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 개의 지지패널(100)이 결합된 한 쌍의 지지패널(100) 파트를 하나의 파트로 형성함에 따라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고압용기(400)가 인접한 부분에서 한 쌍의 지지패널(100)을 연결하는 공유프레임(22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용기(400)가 나란한 방향으로 결합된 복수 개의 지지패널(100)의 사이를 연결하는 공유프레임(220)은 고압용기(4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양단부가 지지패널(100)을 연결함으로써 복수 개가 배치된 고압용기(400) 사이의 강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유프레임(220)의 양단부에는 서로 결합된 지지패널(100)의 결합된 부분을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 보강부(221)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프레임(220)에 양단부에 형성된 보강부(221)는 양측이 반구형태로 형성된 지지패널(100)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보강패널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강부(221)는 복수 개의 패널이 고압용기(400)가 나란한 방향으로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지패널(100)과 대향되는 방향에서 실린더부(420)를 감싸도록 배치된 지지밴드(300)는 제1 실시예에서 일단이 지지프레임(210)과 연결되고, 타단은 공유프레임(220)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 개의 고압용기(400)가 나란히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패널(100)이 지지하는 고압용기(400)의 면과 대향하는 면을 지지밴드(300)가 지지하면서 타단이 공유프레임(220)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밴드(300)의 타단과 공유프레임(220)의 결합 구조의 제1 실시예로서, 복수 개의 지지밴드(300)의 타단은 서로 실린더부(42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공유프레임(220)에 타단이 체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밴드(300)의 일단은 지지프레임(210)에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되고 타단은 공유프레임(220)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압용기(400)를 고정하기 위해 지지밴드(300)는 고압 용기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각각 마련되고, 각각의 지지밴드(300)의 타단은 공유프레임(220)에서 서로 고압용기(40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공유프레임(2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각의 지지밴드(300)는 지지프레임(210) 및 공유프레임(220)에서 개별적으로 분리가 가능하여 고압용기(400)의 정비가 진행될 수 있으며, 또한 서로 다른 위치에서 지지밴드(300)의 타단이 공유프레임(220)에 결합됨으로써 공유프레임(220)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지지밴드(300)의 타단과 공유프레임(220)의 결합 구조의 제2 실시예로서, 복수 개의 지지밴드(300)의 타단은 서로 동일한 위치에서 공유프레임(220)에 타단이 체결될 수 있다.
동일한 위치에서 결합되는 지지밴드(300)의 타단은 각각이 동일한 공유프레임(220)의 길이방향 위치에서 서로 한번에 볼팅 결합되거나, 또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볼팅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밴드(300)가 1번에 결합을 통해 공유프레임(220)에 결합됨에 따라 결합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으며, 동일한 공유프레임(220)의 길이방향 위치에서 서로 다른 볼팅에 의해 결합됨에 따라 결합 공정에서 작업자의 오작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고압용기(400)는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차량의 후측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패널(100)에는 상방을 향해 돔부(410)를 더 감싸도록 연장된 연장부(12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의 플로어 하부에 결합되는 고압용기(400)의 고정기구는 차량의 하부 구조에 따라 후측 배치된 한 쌍의 지지패널(100)에 형성된 연장부(120)는 상측으로 연장하여 차량의 하부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또한, 지지패널(100)의 고압용기(400)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지지패널(100)에는 돔부(410) 중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101)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패널(100)이 상방으로 배치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지지패널(100)의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101)가 형성되어 돔부(41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지패널(100)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밴드(300)는 고압용기(400)의 실린더부(420)의 길이에 따라 고압용기(400)의 각각에 복수 개로 마련되고 실린더부(42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지지프레임(210) 및 공유프레임(220)에 각각 일단과 타단이 결합될 수 있다. 공유프레임(220)이 없고 고압용기(400)가 1개만 적용되는 경우 지지밴드(300)의 일단과 타단은 지지프레임(2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압용기(400)의 길이가 1개의 지지밴드(300)로 고정하기 어려울 경우 복수 개의 지지밴드(300)를 마련하여 고압용기(400)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지패널(100)에는 돔부(410)와 접촉되는 면에 마련되어 고압용기(40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패드(13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패널(100)과 돔부(410)가 접촉되는 지지패널(100)의 내측면에는 지지패드(130)가 부착되어 고압용기(400)가 지지패널(100) 및 지지밴드(300)에 의해 고정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지프레임(210)은 연결부(110)에 결합되고, 지지프레임(210)과 연결부(110)를 관통하며 차체와 결합되는 결합부(2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211)는 연결부(110)와 지지프레임(210)을 관통하여 볼팅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어, 고압용기(400)의 고정기구를 차체 하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볼팅 결합에 의해 결합되지만 결합부(211)는 다양한 방식으로 고압용기(400)의 고정기구를 차체에 결합시킬 수 있다.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지지패널
101 : 개방부
110 : 연결부
120 : 연장부
130 : 지지패드
210 : 지지프레임
211 : 결합부
220 : 공유프레임
221 : 보강부
300 : 지지밴드
400 : 고압용기
410 : 돔부
420 : 실린더부

Claims (13)

  1. 고압용기 양단의 돔부의 일면을 감싸며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패널;
    고압용기의 실린더부 측방에서 한 쌍의 지지패널을 연결하는 지지프레임; 및
    지지프레임에 단부가 연결되고 고압용기 실린더부의 상부를 감싸는 지지밴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
  2. 청구한 1에 있어서,
    지지패널과 일체로 형성되고 실린더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지지패널의 양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한 쌍의 지지패널은 너비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고압용기 양단의 돔부에 복수 개가 배치되고 인접한 부분이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복수 개의 고압용기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지지패널의 양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
  5. 청구항 3에 있어서,
    고압용기가 인접한 부분에서 한 쌍의 지지패널을 연결하는 공유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지지밴드의 일단은 지지프레임에 체결되고, 타단은 공유프레임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복수 개의 고압용기를 고정하기 위해 지지밴드는 복수 개가 마련되고,
    복수 개의 지지밴드의 타단은 서로 실린더부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공유프레임에 타단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
  7. 청구항 5에 있어서,
    복수 개의 고압용기를 고정하기 위해 지지밴드는 복수 개가 마련되고,
    복수 개의 지지밴드의 타단은 서로 동일한 위치에서 공유프레임에 타단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
  8. 청구항 5에 있어서,
    공유프레임에는 양단부가 2개의 지지패널이 연결된 부분을 보강하는 보강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
  9. 청구항 5에 있어서,
    복수의 고압용기는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차량의 후측의 배치된 한 쌍의 지지패널은 고압용기의 돔부를 감싸며 상방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패널이 고압용기의 상방에 배치될 경우, 지지패널에는 돔부 중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밴드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실린더부의 길이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패널에는 돔부와 접촉되는 면에 마련되어 고압용기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패드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지지프레임은 연결부에 결합되고, 지지프레임과 연결부를 관통하며 차체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
KR1020220124409A 2022-09-29 2022-09-29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 KR2024004488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409A KR20240044887A (ko) 2022-09-29 2022-09-29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
PCT/KR2023/015120 WO2024072153A1 (ko) 2022-09-29 2023-09-27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409A KR20240044887A (ko) 2022-09-29 2022-09-29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887A true KR20240044887A (ko) 2024-04-05

Family

ID=90478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409A KR20240044887A (ko) 2022-09-29 2022-09-29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44887A (ko)
WO (1) WO202407215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5988A (ko) 2016-04-04 2018-11-26 크리티테크, 인크. 고형 종양의 치료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1432B2 (ja) * 1997-04-07 2003-03-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燃料タンク取付構造
JP4349457B2 (ja) * 2007-10-23 2009-10-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高圧タンク搭載車両とタンクアッセンブリ
KR101695242B1 (ko) * 2015-04-08 2017-01-11 일진복합소재 주식회사 차량의 가스탱크 마운트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가스탱크 조립체
KR101776485B1 (ko) * 2016-04-07 2017-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고압용기 고정장치
KR102053679B1 (ko) * 2018-07-27 2019-12-10 (주)동희산업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5988A (ko) 2016-04-04 2018-11-26 크리티테크, 인크. 고형 종양의 치료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2153A1 (ko) 202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6441B2 (en) Fuel cell vehicle cylinder support structure
US9981693B2 (en) Fuel cell vehicle
CN101450605B (zh) 电动车辆
US11548553B2 (en) Vehicle underbody structure
US20100112424A1 (en) Battery pack structure
JP7443145B2 (ja) 電気車両の駆動システム
KR100974736B1 (ko) 연료전지 차량의 샤시 프레임
US20110139534A1 (en) Motor vehicle and body floor structure for a motor vehicle
CN111697172B (zh) 电池托盘、动力电池包和车辆
US20200070610A1 (en) Electrified vehicle with vibration isolator within frame and corresponding method
CN109955731A (zh) 燃料电池车辆
CN110920372A (zh) 用于电动化车辆的高压电池组支撑和隔离
CN116315355A (zh) 电池及用电装置
CN210837863U (zh) 电池包连接组件
KR20240044887A (ko)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
US20230016788A1 (en) Vehicle floor structure
CN221041336U (zh) 电池箱、电池和用电装置
US10807480B2 (en) Energy storage arrangement including battery unit in intermediate space between fluid tanks
CN112335095B (zh) 用于机动车的组件
US10629877B2 (en) Battery pack
US11912120B2 (en) Battery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CN211468174U (zh) 电动汽车的动力电池组件以及电动汽车
CN112776618B (zh) 电动汽车的动力电池组件以及电动汽车
CN219790323U (zh) 用于机动车辆的中间地板模块及对应的机动车辆
CN220569795U (zh) 电池箱体、电池及用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