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679B1 -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 - Google Patents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679B1
KR102053679B1 KR1020180087938A KR20180087938A KR102053679B1 KR 102053679 B1 KR102053679 B1 KR 102053679B1 KR 1020180087938 A KR1020180087938 A KR 1020180087938A KR 20180087938 A KR20180087938 A KR 20180087938A KR 102053679 B1 KR102053679 B1 KR 102053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igh pressure
pressure tank
bracket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균범
황건수
박성철
Original Assignee
(주)동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희산업 filed Critical (주)동희산업
Priority to KR1020180087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6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17C13/084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for small-sized storage vessels, e.g. compressed gas cylinders or bottles, disposable gas vessels, vessels adapted for automotive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09Tan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fuels
    • B60K2015/03315Tan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fuels for hydro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53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 B60K2015/0346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by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03Exterior arrangements
    • F17C2205/0107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23Moun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number of vessels
    • F17C2205/013Two or more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2Hyd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65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 F17C2270/0168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by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수소탱크를 일체로 모듈화사킨 고압탱크 모듈에 적용되어 내구 강성을 향상시키는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는 차체에 탑재되는 다수의 고압탱크를 모듈화시킨 고압탱크 모듈에 적용되는 프레임 구조로서, 고압탱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차체에 마운팅되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과, 고압탱크들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지지되면서 고압탱크를 폭방향으로 감싸는 밴딩부와; 상기 서브 프레임의 강성 및 지지구조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STRUCTURE OF FRAME FOR HIGH PRESSURE TANK MODULE}
본 발명은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수소탱크를 일체로 모듈화사킨 고압탱크 모듈에 적용되어 내구 강성을 향상시키는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 시스템은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 스택, 연료전지 스택에 연료(수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수단, 연료전지 스택에 전기화학반응에 필요한 산화제인 공기 중의 산소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 연료전지 스택의 운전온도를 제어하는 열 및 물 관리수단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료공급수단, 즉 수소 공급수단에 구비되는 수소탱크에는 고압 압축수소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 저장된 압축수소는 수소탱크 입구부에 장착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에 따라 고압라인으로 방출된 후, 레귤레이터에서 감압되어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된다. 또한, 연료전지 스택으로 수소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차량에는 다수개의 수소탱크가 탑재된다.
이러한 연료공급수단에 구비되는 다수의 수소탱크는 차량에 탑재되기 이전까지 제작 및 운반되는 동안 중요 치수의 유지와 함께 변형 및 파손 방지 등 수소탱크의 일정한 품질 유지가 요구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각각의 수소탱크를 하나의 조립 지그에서 개별적으로 제작한 다음 운반 지그를 통해 이동시켰으나, 조립 지그에서 운반 지그로 교체하는 과정에서 제품의 중요 치수가 틀어지거나 작업자의 조립 시인성 확보가 방해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래서, 최근에는 다수의 수소탱크를 모듈화시켜서 차량에 탑재시키고 있다. 하지만, 다수의 수소탱크를 모듈화시킨 고압 탱크모듈은 차량에 마운팅되는 부위가 제한되기 때문에 고압 탱크모듈에서 다수의 수소탱크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강성을 확보하는 구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09-0056412 (2009. 06. 03)
본 발명은 다수의 수소탱크를 일체로 모듈화시킨 고압탱크 모듈에서 다수의 수소탱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차체에 마운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는 차체에 탑재되는 다수의 고압탱크를 모듈화시킨 고압탱크 모듈에 적용되는 프레임 구조로서, 고압탱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차체에 마운팅되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과, 고압탱크들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지지되면서 고압탱크를 폭방향으로 감싸는 밴딩부와; 상기 서브 프레임의 강성 및 지지구조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포함한다.
다수의 고압탱크는 서로 이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은 고압탱크들의 최외각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서브 프레임은 고압탱크들 사이에 배치되면서 차체에 직접적으로 마운팅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밴딩부는, 일단이 상기 메인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 프레임에 연결되면서 고압탱크의 하부영역을 감싸는 다수의 제 1 안착밴드와; 일단이 상기 메인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 프레임에 연결되면서 고압탱크의 하부영역을 감싸는 다수의 제 2 안착밴드와; 상기 제 1 안착밴드 및 제 2 안착밴드의 타단 상면을 서로 연결하면서 상기 서브 프레임에 연결되는 다수의 제 1 연결브라켓과; 상기 제 1 안착밴드 및 제 2 안착밴드의 타단 하면을 서로 연결하면서 상기 제 1 연결브라켓과 연결되는 다수의 제 2 연결브라켓과; 고압탱크의 상부영역을 감싸면서 제 1 안착밴드 또는 제 2 안착밴드에 체결되는 다수의 커버밴드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 2 연결브라켓의 하방에 배치되면서 양단이 각각 상기 제 1 안착밴드와 제 2 안착밴드의 하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한 쌍의 강성 브라켓과; 상기 서브 프레임의 하방을 지지하면서 양단이 상기 한 쌍의 강성 브라켓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로워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보강부는, 일단이 상기 제 1 연결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강성 브라켓에 연결되어 제 1 연결브라켓과 강성 브라켓 사이의 연결을 보강하는 너클 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메인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너클 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과 너클 브라켓 사이의 연결을 보강하는 보강 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강성 브라켓은, 브라켓 본체와; 상기 브라켓 본체에서 일체로 제 1 안착밴드 및 제 2 안착밴드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플랜지를 형성하여 각각 제 1 안착밴드 및 제 2 안착밴드에 연결되는 한 쌍의 보강날개를 포함한다.
상기 로워 프레임은 적어도 어느 일부분에서 폭방향으로 양측 가장자리가 상부로 절곡된 플랜지영역을 형성하면서 상기 서브 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성 브라켓, 로워 프레임, 너클 브라켓 및 보강 프레임은 상호 간에 용접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수소탱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내구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차체에 견고하게 마운팅시킬 수 있는 고압탱크 모듈의 프레임 구조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고압탱크 모듈을 차체에 탑재하는 경우에 제한된 마운팅 부위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수소탱크를 모두 안정적인 자세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에 수소탱크가 지지된 고압탱크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의 요부를 보여주는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의 요부를 보여주는 요부 확대 저면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의 요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에 수소탱크가 지지된 고압탱크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의 요부를 보여주는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의 요부를 보여주는 요부 확대 저면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의 요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압탱크 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고압탱크로 고압의 수소를 저장하는 수소탱크를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고압탱크는 수소탱크에 한정되지 않고 고압의 기체 또는 액체를 저정하는 다양한 탱크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고압탱크를 수소탱크로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압탱크 모듈은 다수의 수소탱크(T)에 고압라인을 연결하여 일체화시킨 것으로서, 다수의 수소탱크(T)와; 수소탱크(T)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프레임 구조를 포함한다. 이때 다수의 수소탱크(T)는 서로 이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고, 차량에 탑재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그 위치, 즉 수소탱크(T) 사이의 간격 및 높이가 결정되어 배치되고, 각 수소탱크(T)에 연결되는 고압라인(미도시)도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수소탱크(T)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된 상태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는 수소탱크(T)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차체에 마운팅되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110)과, 수소탱크(T)들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프레임(120)을 포함하는 프레임부(100)와; 프레임부(100)에 지지되면서 수소탱크(T)를 폭방향으로 감싸는 밴딩부(200)와; 서브 프레임(120)의 강성 및 지지구조를 보강하는 보강부(30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00)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110)과, 그 사이에 배치되는 서브 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이때 메인 프레임(110)과 서브 프레임(120)은 서로 간에 수소탱크(T)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되어 수소탱크(T)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메인 프레임(110)은 고압탱크 모듈이 차량에 탑재되는 경우에 차량에 직접적으로 마운팅되는 수단으로서, 메인 프레임(110)은 수소탱크(T)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한 쌍이 구비되어 수소탱크(T)들의 외최각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이때 메인 프레임(110)은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에 해당되면서 차체에 마운팅되는 차체 체결영역(110a)과, 차체 체결영역(110a)에 인접하는 밴드 체결영역(110b)과, 차체 체결영역(110a)과 밴드 체결영역(110b)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지지영역(110c)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서브 프레임(120)은 수소탱크(T)들 사이에 배치되면서 차체에 직접적으로 마운팅되지 않지만, 메인 프레임(110)과 함께 수소탱크(T)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딩부(200)는 메인 프레임(110)과 서브 프레임(120) 사이에 수소탱크(T)의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수소탱크(T)를 프레임부(100)에 지지시키는 수단으로서, 제 1 안착밴드(210), 제 2 안착밴드(220), 제 1 연결브라켓(230), 제 2 연결브라켓(240) 및 커버밴드(250)를 포함한다.
제 1 안착밴드(210)는 수소탱크(T) 중 어느 하나의 하부영역을 감싸면서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수소탱크(T)의 단면이 원형이기 때문에 수소탱크(T)의 하부영역을 감싸기 위하여 호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양단이 절곡되어 형성됨에 따라 대략 뒤집힌 "Ω"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제 1 안착밴드(210)의 일단이 메인 프레임(11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서브 프레임(120)에 연결되면서 수소탱크(T)의 하부영역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안착밴드(210)는 그 일단이 메인 프레임(110)의 밴드 체결영역(110b)에 연결된다. 이때 제 1 안착밴드(210)는 메인 프레임(110) 및 서브 프레임(120)과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면서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그 단부를 연장시키면서 보강하는 연결편(211)이 연결된다.
연결편(211)은 메인 프레임(110)의 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되어 메인 프레임(110)의 단부에 형성되는 절곡영역의 강성을 보강한다.
그리고, 제 1 안착밴드(210)는 수소탱크(T)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소탱크(T)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2개의 제 1 안착밴드(210)로 구현하였다.
제 2 안착밴드(220)는 수소탱크(T) 중 다른 하나의 하부영역을 감싸면서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그 형상은 제 1 안착밴드(21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안착밴드(220)는 서브 프레임(120)을 기준으로 제 1 안착밴드(210)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연결브라켓(230)은 제 1 안착밴드(210) 및 제 2 안착밴드(220)의 타단 상면을 서로 연결하면서 서브 프레임(120)에 연결되는 수단으로서, 제 1 안착밴드(210) 및 제 2 안착밴드(22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다수개가 구비된다.
제 2 연결브라켓(240)은 제 1 안착밴드(210) 및 제 2 안착밴드(220)의 타단 하면을 서로 연결하면서 제 1 연결브라켓(230)의 하면에 연결되는 수단으로서, 제 1 연결브라켓(23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다수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커버밴드(250)는 수소탱크(T)의 상부영역을 감싸면서 제 1 안착밴드(210) 또는 제 2 안착밴드(220)에 체결되면서 제 1 안착밴드(210) 또는 제 2 안착밴드(220)와 함께 수소탱크(T)를 완전히 감싸서 프레임부(100)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그 형상은 제 1 안착밴드(21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커버밴드(250)는 제 1 안착밴드(210) 및 제 2 안착밴드(220)와는 반대로 대략 "Ω"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 1 안착밴드(210) 및 제 2 안착밴드(220)의 단부와 커버밴드(250)의 단부는 서로 체결되는 구조를 갖거나 별도의 체결수단(미도시)에 의해 체결된다. 이때 제 1 안착밴드(210) 및 제 2 안착밴드(220)의 단부와 커버밴드(250)의 단부를 체결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300)는 차체에 직접 마운팅되는 메인 프레임(110)과는 달리 차체에 직접 마운팅되지 않고 메인 프레임(110)에 밴딩부(200)에 의해 지지되는 서브 프레임(120)의 강성 및 지지구조를 보강하는 수단으로서, 제 2 연결브라켓(240)의 하방에 배치되면서 양단이 각각 제 1 안착밴드(210)와 제 2 안착밴드(220)의 하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한 쌍의 강성 브라켓(310)과; 서브 프레임(120)의 하방을 지지하면서 양단이 한 쌍의 강성 브라켓(31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로워 프레임(320)을 포함한다.
강성 브라켓(310)은 제 1 안착밴드(210)와 제 2 안착밴드(220)의 하부를 동시에 지지하여 서브 프레임(120)에 가중되는 하중을 분산시키면서도 제 1 안착밴드(210) 및 제 2 안착밴드(220)와 커버밴드(250)가 체결되는 경우에 체결을 위한 공구가 통과되는 공간 또는 체결을 위하여 구비되는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브라켓 본체(311)와; 브라켓 본체(311)에서 일체로 제 1 안착밴드(210) 및 제 2 안착밴드(220)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플랜지영역을 형성하여 각각 제 1 안착밴드(210) 및 제 2 안착밴드(220)에 연결되는 한 쌍의 보강날개(312)를 포함한다.
브라켓 본체(311)는 전술된 체결공간을 형성하도록 중앙이 상하로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 한 쌍의 보강날개(312)가 연장된다.
보강날개(312)는 브라켓 본체(311)를 제 1 안착밴드(210) 및 제 2 안착밴드(220)를 연결시키는 수단으로서, 보강날개(312)의 연결에 의해 강성 브라켓(310)이 수소탱크(T)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이 달성된다.
이때, 도 5b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 본체(311)와 보강날개(312)는 수소탱크(T)의 하중에 대한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가 상부로 절곡된 플랜지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워 프레임(320)은 서브 프레임(120)의 강성을 보강하는 수단으로서, 서브 프레임(120)과 마찬가지로 수소탱크(T)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서브 프레임(120)의 하부에 연결된다. 이때 로워 프레임(320)은 강성의 보강을 위하여 적어도 어느 일부분에서 폭방향으로 양측 가장자리가 상부로 절곡된 플랜지영역을 형성하면서 서브 프레임(12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부(300)는 일단이 제 1 연결브라켓(230)에 연결되고 타단이 강성 브라켓(310)에 연결되어 제 1 연결브라켓(230)과 강성 브라켓(310) 사이의 연결을 보강하는 너클 브라켓(330)과; 일단이 메인 프레임(11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너클 브라켓(330)에 연결되어 메인 프레임(110)과 너클 브라켓(330) 사이의 연결을 보강하는 보강 프레임(340)을 더 포함한다.
너클 브라켓(330)은 제 1 연결브라켓(230)과 강성 브라켓(310) 사이의 연결을 보강하면서 메인 프레임(110)과의 연결을 보강하는 수단으로서, 일단이 제 1 연결브라켓(230)에 연결되고, 타단이 보강 프레임(340)에 연결되는 상부 너클 브라켓(330a)과, 일단이 강성 브라켓(310)의 브라켓 본체(311)에 연결되고, 타단이 보강 프레임(340)에 연결되는 하부 너클 브라켓(330b)을 포함한다.
상부 너클 브라켓(330a)의 타단과 하부 너클 브라켓(330b)의 타단은 보강 프레임(340)에 함께 연결된다.
보강 프레임(340)은 메인 프레임(110)과 너클 브라켓(330) 사이를 연결시켜서 서브 프레임(120)의 강성을 보강하는 수단으로서, 일단이 메인 프레임(1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부 너클 브라켓(330a) 및 하부 너클 브라켓(330b)에 연결된다.
한편, 강성 브라켓(310), 로워 프레임(320), 너클 브라켓(330) 및 보강 프레임(340)은 상호 간에 강성의 향상을 위하여 용접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T: 수소탱크 100: 프레임부
110: 메인 프레임 110a: 차체체결영역
110b: 밴드체결영역 110c: 지지영역
120: 서브 프레임 200: 밴딩부
210: 제 1 안착밴드 211: 연결편
220: 제 2 안착밴드 230: 제 1 연결브라켓
240: 제 2 연결브라켓 250: 커버밴드
300: 보강부 310: 강성 브라켓
311: 브라켓 본체 312: 보강날개
320: 로워 프레임 330: 너클 브라켓
330a: 상부 너클 브라켓 330b: 하부 너클 브라켓
340: 보강 프레임

Claims (8)

  1. 차체에 탑재되는 다수의 고압탱크를 모듈화시킨 고압탱크 모듈에 적용되는 프레임 구조로서,
    고압탱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차체에 마운팅되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과, 고압탱크들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지지되면서 고압탱크를 폭방향으로 감싸는 밴딩부와;
    상기 서브 프레임의 강성 및 지지구조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딩부는, 일단이 상기 메인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 프레임에 연결되면서 고압탱크의 하부영역을 감싸는 다수의 제 1 안착밴드와; 일단이 상기 메인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 프레임에 연결되면서 고압탱크의 하부영역을 감싸는 다수의 제 2 안착밴드와; 상기 제 1 안착밴드 및 제 2 안착밴드의 타단 상면을 서로 연결하면서 상기 서브 프레임에 연결되는 다수의 제 1 연결브라켓과; 상기 제 1 안착밴드 및 제 2 안착밴드의 타단 하면을 서로 연결하면서 상기 제 1 연결브라켓과 연결되는 다수의 제 2 연결브라켓과; 고압탱크의 상부영역을 감싸면서 제 1 안착밴드 또는 제 2 안착밴드에 체결되는 다수의 커버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 2 연결브라켓의 하방에 배치되면서 양단이 각각 상기 제 1 안착밴드와 제 2 안착밴드의 하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한 쌍의 강성 브라켓과; 상기 서브 프레임의 하방을 지지하면서 양단이 상기 한 쌍의 강성 브라켓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로워 프레임을 포함하는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다수의 고압탱크는 서로 이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은 고압탱크들의 최외각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서브 프레임은 고압탱크들 사이에 배치되면서 차체에 직접적으로 마운팅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일단이 상기 제 1 연결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강성 브라켓에 연결되어 제 1 연결브라켓과 강성 브라켓 사이의 연결을 보강하는 너클 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메인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너클 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과 너클 브라켓 사이의 연결을 보강하는 보강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성 브라켓은,
    브라켓 본체와;
    상기 브라켓 본체에서 일체로 제 1 안착밴드 및 제 2 안착밴드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플랜지를 형성하여 각각 제 1 안착밴드 및 제 2 안착밴드에 연결되는 한 쌍의 보강날개를 포함하는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워 프레임은 적어도 어느 일부분에서 폭방향으로 양측 가장자리가 상부로 절곡된 플랜지영역을 형성하면서 상기 서브 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강성 브라켓, 로워 프레임, 너클 브라켓 및 보강 프레임은 상호 간에 용접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
KR1020180087938A 2018-07-27 2018-07-27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 KR102053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938A KR102053679B1 (ko) 2018-07-27 2018-07-27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938A KR102053679B1 (ko) 2018-07-27 2018-07-27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679B1 true KR102053679B1 (ko) 2019-12-10

Family

ID=69002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938A KR102053679B1 (ko) 2018-07-27 2018-07-27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6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9585A (ko) * 2021-11-29 2023-06-07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수소탱크 장착 구조
WO2024072150A1 (ko) * 2022-09-29 2024-04-04 주식회사 동희산업 수소탱크 고정장치
WO2024072153A1 (ko) * 2022-09-29 2024-04-04 주식회사 동희산업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6412A (ko) 2007-11-30 2009-06-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탱크 고정 부재
JP4349457B2 (ja) * 2007-10-23 2009-10-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高圧タンク搭載車両とタンクアッセンブリ
KR101745269B1 (ko) * 2016-07-01 2017-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압력용기 고정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76485B1 (ko) * 2016-04-07 2017-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고압용기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9457B2 (ja) * 2007-10-23 2009-10-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高圧タンク搭載車両とタンクアッセンブリ
KR20090056412A (ko) 2007-11-30 2009-06-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탱크 고정 부재
KR101776485B1 (ko) * 2016-04-07 2017-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고압용기 고정장치
KR101745269B1 (ko) * 2016-07-01 2017-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압력용기 고정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9585A (ko) * 2021-11-29 2023-06-07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수소탱크 장착 구조
KR102587989B1 (ko) 2021-11-29 2023-10-10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수소탱크 장착 구조
WO2024072150A1 (ko) * 2022-09-29 2024-04-04 주식회사 동희산업 수소탱크 고정장치
WO2024072153A1 (ko) * 2022-09-29 2024-04-04 주식회사 동희산업 차량용 고압용기의 고정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679B1 (ko) 고압탱크 모듈용 프레임 구조
US8668248B2 (en) Vehicle body structure
CA3022429C (en) Back-of-cab fuel system and vehicle assemblies
JP3816418B2 (ja) 車体構造
JP6102603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のタンク搭載ユニット
US7270209B2 (en) Modular fuel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JP2009023383A (ja) サブフレーム構造
JP5974969B2 (ja) ガスタンク搭載車両
JP6848834B2 (ja) タンクの搭載構造及び車両
JP5368733B2 (ja) 燃料電池用水素供給装置の制御方法
US11110785B2 (en) Vehicle rear portion structure
US9941495B2 (en) Vehicle mount structure for fuel cell stack
KR101981865B1 (ko) 연료 전지 차량
US20060272877A1 (en) Full cell vehicle
JP2009101866A (ja) 高圧タンク搭載車両とタンクアッセンブリ
US20130181483A1 (en) Motor vehicle chassis with lateral seat-cushion support reinforcement
JP2021075078A (ja) 車両
KR20190095751A (ko) 차량용 배터리패키지 장착구조
JP2019032051A (ja) 高圧タンク搭載構造
CN109421824A (zh) 车辆下部结构
KR102043081B1 (ko) 고압탱크 모듈용 지그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장치
JP2014151805A (ja) 燃料電池搭載車両
JP2017222332A (ja) 車両フロア構造
CN102107755A (zh) 板状体的收纳容器
KR102189815B1 (ko) 리퀴드 돔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