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402A - 버클형 벨트 클립 - Google Patents

버클형 벨트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4402A
KR20240044402A KR1020240040364A KR20240040364A KR20240044402A KR 20240044402 A KR20240044402 A KR 20240044402A KR 1020240040364 A KR1020240040364 A KR 1020240040364A KR 20240040364 A KR20240040364 A KR 20240040364A KR 20240044402 A KR20240044402 A KR 20240044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ocking
buckle
groove
belt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40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호
Original Assignee
전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호 filed Critical 전성호
Priority to KR1020240040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4402A/ko
Publication of KR20240044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40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44B11/22Buckle with fixed prong
    • A44B11/223Buckle with fixed prong fixed on a movabl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02Free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44B11/22Buckle with fixed pro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44B11/22Buckle with fixed prong
    • A44B11/226Buckle with fixed prong with cover 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클형 벨트 클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클형 벨트 클립은, 양측에 각각 걸림부가 구비된 제1 플레이트와; 상기 각각의 걸림부에 걸리도록 삽입되는 걸림 돌기를 양측에 구비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에는 상기 걸림 돌기 모두가 상기 걸림부에 각각 걸려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채로 해당 제1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되도록 회동하는 경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놓이는 부재를 눌러 고정시키는 압착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걸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대응되는 걸림 돌기가 해당 걸림부 외부로 빠져 나오도록 하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클형 벨트 클립{BUCKLE TYPED BELT CLIP}
본 발명은 버클형 벨트 클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성부분의 일부가 다른 구성부와 분리될 수 있는 버클형 벨트 클립에 관한 것이다.
벨트 클립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는데, 예를 들어 목공 작업이나 기타 다양한 작업 현장에서 수공구를 보관하는 허리 가방(파우치)을 허리 벨트에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삽입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의 벨트 클립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한쪽이 개방된 형태여서 작업 중 허리 벨트에서 이탈할 염려가 있고, 또한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그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작업 동작을 방해하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종래의 벨트 클립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띠(허리 벨트)의 길이를 조정하는 버클을 도입할 수 있다.
그런데 도 1의 종래의 버클은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때 제2 플레이트가 제1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기는 하지만, 서로 결합하여 분리될 수 없는 형태로 되어 있어서, 허리 벨트에 장착하려면 허리 벨트를 빼서 그 끝단을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해야 하므로 사용자 불편이 존재하게 된다.
더 나아가 중간 부분은 제1 플레이트의 폭보다 좁지만 끝단이 제1 플레이트의 폭보다 넓은 벨트와 같은 부재의 경우에는 도 1의 종래의 버클에는 장착될 수 없는 추가적인 문제도 있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5675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허리 벨트와 같은 소정의 부재에 장착이 쉬우면서도 장착된 상태에서는 큰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는 버클형 벨트 클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버클형 벨트 클립은, 양측에 각각 걸림부가 구비된 제1 플레이트와; 상기 각각의 걸림부에 걸리도록 삽입되는 걸림 돌기를 양측에 구비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에는 상기 걸림 돌기 모두가 상기 걸림부에 각각 걸려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채로 해당 제1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되도록 회동하는 경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놓이는 부재를 눌러 고정시키는 압착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걸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대응되는 걸림 돌기가 해당 걸림부 외부로 빠져 나오도록 하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끝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2 개의 걸림부 중 하나에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걸림 돌기 중 하나가 빠져 나오도록 하는 홈과, 해당 홈을 개폐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2 개의 걸림부 중 홈이 형성되지 않은 걸림부에는 상기 2 개의 걸림부 중 홈이 형성된 걸림부를 이탈한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가 결합한 상태에서 회동하는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경첩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끝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2 개의 걸림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걸림 돌기 중 하나가 빠져 나오도록 하는 홈이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끝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2 개의 걸림부에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걸림 돌기들이 빠져 나오도록 하는 홈이 뒤쪽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걸림부에 형성된 홈을 통해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착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 장착되는 걸림 돌기는 단면이 가로길이가 세로길이보다 긴 직사각형이고, 상기 걸림 돌기의 세로길이는 상기 걸림부의 홈의 크기보다는 작고, 상기 걸림 돌기의 가로길이는 상기 걸림부의 홈의 크기보다 큰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착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몸체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고 그 끝단이 요철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 돌기의 상기 세로길이 방향은 상기 압착부의 돌출방향에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패션 가방(힙색이나 크로스백), 작업용 파우치(허리 가방) 등을 허리띠 등에 강한 고정력을 가지고 장착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버클과 달리 적어도 한쪽 플레이트가 개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허리띠를 풀지 않고서도 쉽게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버클의 일 예이고,
도 2 내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클형 벨트 클립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버클형 벨트 클립의 걸림 돌기가 걸림부 내로 삽입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버클형 벨트 클립의 걸림 돌기가 걸림부 내로 삽입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버클형 벨트 클립의 제2 플레이트 한쪽을 제1 플레이트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2의 버클형 벨트 클립의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허리띠와 같은 소정의 부재가 놓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2의 버클형 벨트 클립이 소정의 허리 끈 등에 부착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클형 벨트 클립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버클형 벨트 클립의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간의 결합 전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버클형 벨트 클립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 및 도 14는 도 12의 버클형 벨트 클립의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간의 결합 전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클형 벨트 클립(1)의 전체적인 형상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클형 벨트 클립(1)은 크게 제1 플레이트(100)와 제2 플레이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플레이트(100)의 길이 방향 크기가 제2 플레이트(200)의 길이방향 크기보다 더 큰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플레이트(100)에는 걸림부(110)가 구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걸림부(110)가 제1 플레이트(100)의 양쪽 끝에 각각 구비된 것을 일 예로 한다.
걸림부(110)는 소정의 관통공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걸림 돌기(210)가 해당 관통공으로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2 플레이트(200)에는 각각의 걸림부(110)에 걸리도록 삽입되는 걸림 돌기(210)가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걸림 돌기(210)가 제2 플레이트(200)의 양쪽 끝단에 형성된 것을 일 예로 한다.
여기서, 제2 플레이트(200)에는 걸림 돌기(210) 모두가 걸림부(110)에 각각 걸린 상태 즉, 제1 플레이트(100)와 제2 플레이트(200)가 완전히 결합한 상태에서 제2 플레이트(200)가 제1 플레이트(100)와 평행하게 되도록 회동할 수 있다.
이때 제2 플레이트(200)의 회동은 제1 플레이트(100)의 걸림부(110)와의 리벳 결합 구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처럼 리벳 결합 구조에 의해 소정의 통공 내부의 원통이 회전하는 것은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제1 플레이트(100)와 제2 플레이트(200) 사이에는 벨트와 같은 소정의 부자재가 삽입되도록(예를 들어 허리띠의 가죽이 버클 사이로 삽입되듯이) 소정의 간격이 유지된다.
이를 위해 제2 플레이트(200)에는 제1 플레이트(100)와 제2 플레이트(200) 사이에 놓이는 부재를 눌러 고정시키는 압착부(2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플레이트(100), 제2 플레이트(200)와, 제1 플레이트(100)의 걸림부(110) 및 제2 플레이트(200)의 걸림 돌기(210), 제2 플레이트(200)의 압착부(220)는 그 기능상 도 1의 종래의 벨트 버클의 각각의 대응되는 구성과 다를 바 없다.
그러나 본원발명의 버클형 벨트 클립(1)은, 제1 플레이트(100)의 걸림부(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2 플레이트(200)의 대응되는 걸림 돌기(210)가 해당 걸림부(110) 외부로 빠져 나오도록 하는 홈이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걸림부(110)가 제1 플레이트(100)의 양끝단에 각각 구비되는 경우, 이러한 2 개의 걸림부(110) 중 하나에는 제2 플레이트(200)의 걸림 돌기(210) 중 하나가 외부로 빠져 나오도록 하는 홈과, 해당 홈을 개폐시키는 개폐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홈과 개폐부의 보다 구체적인 예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은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인데, 걸림부(110)에 형성된 홈을 가로막고 있던 개폐부가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서 제2 플레이트(200)의 돌기가 안으로 삽입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제2 플레이트(200)의 돌기가 안으로 삽입된 이후에 개폐부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여 홈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기능 수행을 위해 개폐부에는 용수철과 같은 탄성부재가 포함되어 제2 플레이트(200)의 돌기의 내부 삽입 이후에 자동으로 개폐부가 홈을 폐쇄시키도록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개폐부의 구조 및 기능 그 자체는 다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앞서 설명한 2 개의 걸림부(110) 중 홈이 형성되지 않은 걸림부(110)에는 경첩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2 개의 걸림부(110) 중 홈이 형성된 걸림부(110)를 이탈한 제2 플레이트(200)가 측면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경첩에 의해 제1 플레이트(100)와 제2 플레이트(200)가 결합한 상태에서 회동하는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제2 플레이트(200)가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한쪽 걸림 돌기(210)가 걸림부(110)의 홈을 빠져나온 상태에서 가능한 상황이다.
제1 플레이트(100)에서 한쪽이 분리된 제2 플레이트(200)가 측면으로 회동한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었다.
참고로 도 4의 상태에서 걸림 돌기(210)가 걸림부(110)의 홈을 빠져나올 때는 홈이 형성된 앞쪽으로 밀어야 하는데(물론 개폐부를 안쪽으로 내린 상태임), 이 정도의 밀림은 버클형 벨트 클립(1)의 구조상 충분히 가능한 정도의 유격이다.
도 6은 이처럼 제2 플레이트(200)의 한쪽이 제1 플레이트(1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벨트와 같은 소정의 부자재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제2 플레이트(200)를 다시 원래 방향으로 회동시켜 제2 플레이트(200)의 나머지 한쪽이 다시 제1 플레이트(100)에 결합(즉, 제2 플레이트(200)의 걸림 돌기(210)가 제1 플레이트(100)의 걸림부(110)와 다시 결합)할 수 있고, 그 이후에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버클과 같이 제2 플레이트(200)를 앞쪽으로 회동시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200)의 압착부(220)가 벨트(부자재)를 압착하면서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은 끝단이 넓고 중앙 부분이 좁은 벨트가 버클형 벨트 클립(1)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과 같은 종래의 버클에서는 도 7과 같은 벨트를 삽입할 수 없음에 반해, 본원발명에서는 제2 플레이트(200)의 한쪽이 제1 플레이트(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도 7과 같은 벨트에도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버클형 벨트 클립(1)은 단독으로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패션 가방(힙색이나 크로스백), 파우치나 허리 가방과 같은 곳에 부착되어 이용될 수 있는데, 도 8은 예를 들어 패션 가방의 상단 허리끈에 부착된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처럼 허리 가방의 허리끈에 본원발명에 따른 버클형 벨트 클립(1)이 부착된 상태에서 작업자의 허리띠 등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200)의 한쪽을 개방한 후에 다시 닫는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고, 이 경우 작업자는 허리띠를 풀 필요도 없이 공구 가방을 허리에 단단히 매달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클형 벨트 클립(1)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버클형 벨트 클립(1)이 앞선 실시예와 다른 점은 단순히 제1 플레이트(100)의 한쪽 걸림부(110')의 상단에 홈(131)을 형성하고 개폐부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즉, 걸림부(110')는 제1 플레이트(100)의 양끝단에 각각 구비되는 것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2 개의 걸림부(11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2 플레이트(200)의 걸림 돌기(210' 중 하나가 빠져 나오도록 하는 홈(131)이 상단에 형성되기만 하면 되므로 개폐부 구성에 따른 비용 증가를 방지하고, 구조를 단순화하여 고장 발생 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걸림부(110')에 형성된 홈(131)에 삽입 장착되는 걸림 돌기(210'는 단면이 세로길이(즉, 삽입 준비 상태를 기준으로 세로 방향의 길이)가 가로길이보다 긴 직사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때 걸림 돌기(210')의 가로길이는 걸림부(110')의 홈(131)의 크기(삽입 반경 폭)보다는 작고, 걸림 돌기(210')의 세로길이는 걸림부(110')의 홈(131)의 크기보다 크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돌기(210')가 삽입될 때는 그 걸림 돌기(210')의 가로길이가 걸림부(110')의 홈(131)의 크기보다 작으므로 안쪽 영역(132)으로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된 이후 제2 플레이트(200)가 90도만큼 회동(제1 플레이트(100)와 제2 플레이트(200) 사이에 안착되는 부자재를 압착하기 위해 회동)하는 경우에는 도 11과 같이 걸림 돌기(210')의 기존의 세로길이(회동 후에는 가로길이가 됨)가 걸림부(110')의 홈(131)의 크기보다 더 크므로 제2 플레이트(200)가 제1 플레이트(100)의 홈(131) 밖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되는 것이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버클형 벨트 클립(1)이 도시되었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버클형 벨트 클립(1)은 제1 플레이트(100)의 걸림부(110") 모두의 뒤쪽에 홈(131")이 형성된다는 것이 제2 실시예와 차이점이다.
즉, 걸림부(110")가 제1 플레이트(100)의 양끝단에 각각 구비되는 점은 동일하고, 이러한 2 개의 걸림부(110")에는 제2 플레이트(200)의 걸림 돌기(210")들이 탈착(장착되거나 빠져 나오도록 하는)되도록 하는 홈(131")이 뒤쪽에 각각 형성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 경우 제2 플레이트(200)는 제1 플레이트(100)의 걸림부(110")에 형성된 홈(131")을 통해 제1 플레이트(100)에 착탈될 수 있고, 특히 2 개의 걸림부(110") 모두에 홈(13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100)와 제2 플레이트(200)는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물론 앞선 제2 실시예에서도 양쪽 걸림부(110")에 모두 홈(131")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플레이트(100)와 제2 플레이트(200)에 완전히 분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3 및 도 14에는 제2 플레이트(200)의 걸림 돌기(210")가 제1 플레이트(100)의 걸림부(110") 안쪽 영역(132")에 삽입되는 과정이 나타나 있다.
우선,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부(110")에 형성된 홈(131")에 삽입 장착되는 걸림 돌기(210")는 단면이 가로길이(즉, 삽입 준비 상태를 기준으로 가로 방향의 길이)가 세로길이보다 긴 직사각형이고, 특히 걸림 돌기(210")의 세로길이는 걸림부(110")의 홈(131")의 크기보다는 작고, 걸림 돌기(210")의 가로길이는 걸림부(110")의 홈(131")의 크기보다 크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돌기(210")가 걸림부의 안쪽 영역(132")에 삽입될 때는 그 걸림 돌기(210")의 세로길이가 걸림부(110")의 홈(131")의 크기보다 작으므로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된 이후 제2 플레이트(200)가 90도만큼 회동(제1 플레이트(100)와 제2 플레이트(200) 사이에 안착되는 부자재를 압착하기 위해 회동)하는 경우에는 도 14와 같이 걸림 돌기(210")의 기존의 가로길이(회동 후에는 세로길이가 됨)가 걸림부(110")의 홈(131")의 크기보다 더 크므로 제2 플레이트(200)가 제1 플레이트(100)의 홈(131") 밖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압착부(220)는 제2 플레이트(200)의 몸체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고 그 끝단이 요철(일 예로 톱니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걸림 돌기(210)의 세로길이 방향은 압착부(220)의 돌출방향에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특히, 제2 플레이트(200)가 제1 플레이트(100)와 결합한 경우, 제2 플레이트(200)의 몸체 좌우측 바깥쪽 면은 제1 플레이트(100)의 걸림부(110,110',110")의 측면과 맞닿도록 하여, 제2 플레이트(200)의 회동이 이루어진 경우 마찰에 의해 헐거워지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회동이 진행되는 방향으로 제2 플레이트(200)의 좌우측 바깥쪽 측면 또는 제1 플레이트(100)의 걸림부(110,110',110")의 안쪽 측면에 소정의 경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2 플레이트(200)의 회동시 더 큰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제1 플레이트(100)와 제2 플레이트(200) 사이에 놓인 부재를 압착부(220)를 통해 압착한 상태에서 외력이 없는 압착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 11에는 걸림 돌기(210)가 회전한 상태에서 걸림부(110,110',110")의 내부 공간(132, 132")의 좌우측면과 맞닿아 있지 않은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걸림부(110,110',110")의 내부 공간(132, 132") 좌우측에 소정의 돌기(미 도시함)를 형성하여 도 11 또는 도 14와 같이 제2 플레이트(200)가 회동한 상태에서 걸림 돌기(210)의 끝단 면이 걸림부(110,110',110") 내부(132, 132")의 돌기와 밀착하도록 하여 그 상태가 쉽게 풀어지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 : 버클형 벨트 클립 100 : 제1 플레이트
200 : 제2 플레이트 110 : 걸림부
210 : 걸림돌기 220 : 압착부

Claims (2)

  1. 양측에 각각 걸림부가 구비된 제1 플레이트와;
    상기 각각의 걸림부에 걸리도록 삽입되는 걸림 돌기를 양측에 구비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에는 상기 걸림 돌기 모두가 상기 걸림부에 각각 걸려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채로 해당 제1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되도록 회동하는 경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놓이는 부재를 눌러 고정시키는 압착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걸림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부재를 눌러 고정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대응되는 걸림 돌기가 해당 걸림부 외부로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형 벨트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를 눌러 고정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2 개의 걸림 돌기 중 어느 하나가 그 대응되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걸림부에 형성된 홈을 통해 걸림부 외부로 빠져 나온 경우라도, 상기 제2 플레이트의 2 개의 걸림 돌기 중 다른 하나는 그 대응되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걸림부와 결합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형 벨트 클립.
KR1020240040364A 2022-09-20 2024-03-25 버클형 벨트 클립 KR202400444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40364A KR20240044402A (ko) 2022-09-20 2024-03-25 버클형 벨트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441A KR102653083B1 (ko) 2022-09-20 2022-09-20 버클형 벨트 클립
KR1020240040364A KR20240044402A (ko) 2022-09-20 2024-03-25 버클형 벨트 클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8441A Division KR102653083B1 (ko) 2022-09-20 2022-09-20 버클형 벨트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402A true KR20240044402A (ko) 2024-04-04

Family

ID=904546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8441A KR102653083B1 (ko) 2022-09-20 2022-09-20 버클형 벨트 클립
KR1020240040364A KR20240044402A (ko) 2022-09-20 2024-03-25 버클형 벨트 클립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8441A KR102653083B1 (ko) 2022-09-20 2022-09-20 버클형 벨트 클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653083B1 (ko)
WO (1) WO202406337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675U (ko) 2008-11-26 2010-06-04 변동환 허리띠용 띠쇠(버클) 연결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725B2 (ja) * 1988-09-28 1995-04-12 睦美 杉本 シートベルト用バックル
KR0128696Y1 (ko) * 1996-01-23 1998-12-01 고순명 버클
KR970053243U (ko) * 1997-07-03 1997-10-13 김인석 벨트와 버클 커넥터구조
KR101109653B1 (ko) * 2011-09-09 2012-02-29 정혜원 벨트의 단부가 내부로 들어가는 버클
KR101924194B1 (ko) * 2017-06-09 2018-11-30 유덕상 자동버클용 벨트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675U (ko) 2008-11-26 2010-06-04 변동환 허리띠용 띠쇠(버클)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63374A1 (ko) 2024-03-28
KR20240039737A (ko) 2024-03-27
KR102653083B1 (ko) 2024-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738B1 (ko) 버클
US5609419A (en) Chalk bag for rock climbing
US20070079486A1 (en) Buckle
US8011544B1 (en) Hinged pocket
TW201223476A (en) Cam lock buckle
JP3982955B2 (ja) 合成樹脂製バックル
KR102653083B1 (ko) 버클형 벨트 클립
US10334911B2 (en) Buckle
US7117567B1 (en) Two-part connecting zipper pull
KR200438450Y1 (ko)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KR101343759B1 (ko) 버클
US11759213B2 (en) Tourniquet clip
US3604052A (en) Self-captivating handle
KR101317044B1 (ko) 버클
IT9067427A1 (it) Piatra di montaggio per una cerniera per mobili.
JP6593907B1 (ja) 衣服用ベルト
KR20210006179A (ko) 벨트 고정 장치 및 그 장치가 구비된 버클
DE3228917A1 (de) Guerteltasche
US2807851A (en) Belt connection
US11109647B2 (en) Connector
US20230414226A1 (en) Tourniquet clip
US2840876A (en) Roller buckle
US10881171B2 (en) Magnetic clasp system
KR200385636Y1 (ko) 끈부재 길이조절용 버클장치
JPH10315815A (ja) スライドレー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