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226A - 식품 살균 및 보존 방법 - Google Patents

식품 살균 및 보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4226A
KR20240044226A KR1020220123745A KR20220123745A KR20240044226A KR 20240044226 A KR20240044226 A KR 20240044226A KR 1020220123745 A KR1020220123745 A KR 1020220123745A KR 20220123745 A KR20220123745 A KR 20220123745A KR 20240044226 A KR20240044226 A KR 20240044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packaging film
sterilization
packaging
packa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정주
Original Assignee
문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주 filed Critical 문정주
Priority to KR1020220123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4226A/ko
Priority to PCT/KR2023/009018 priority patent/WO2024071586A1/ko
Publication of KR20240044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22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1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loose unpack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02Sterilising, e.g. of complete packages
    • B65B55/12Sterilising content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 B65B55/14Sterilising content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by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P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내부 포장필름층과, 상기 제1내부 포장필름층의 상부면으로 PET 소재와 EVOH 소재가 일정 중량비로 혼합된 제2내부 포장필름층을 접합하여 내부 포장필름을 제조하고, EVOH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외부 포장필름층과, 상기 제1외부 포장필름층의 상부로 PET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2외부 포장필름층을 접합하여 외부 포장필름의 제조하는 기능성 포장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기능성 포장 필름을 이용하여 식품을 포장하는 단계; 및 포장이 완료된 식품을 50℃~80℃의 온도로 50분~120분 동안 3회 살균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품 살균 및 보존 방법{Food sterilization and preservation methods}
본 발명은 식품 살균 및 보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능성 포장 필름을 이용하여 야채, 찌개, 국, 고기류, 육가공 식품 및 가공식품류를 포함하는 식품을 포장하여 산소와 기체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식품을 주위 환경으로부터 보호하여 식품의 맛과 품질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식품 살균 및 보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의 식생활은 경제적으로 풍요로워지고 여성의 사회진출이 증가되면서 간편하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1인 가구의 증가와 외식산업의 발달로 레토르트 식품(Retort food)의 수요가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외식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 조리하지 않고, 반조리 또는 완전조리된 음식을 구매하여 가정에서 소비하는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특히, 레토르트 식품의 경우 포장과정에서 살균이 되더라도, 미생물의 오염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이에 따라 포장 전 살균 처리를 하더라도 소비자가 실질적으로 제품을 구입하여 섭취하는 경우에 까지 그 살균 효과를 담보하기 어렵다.
또한, 레토르트 식품의 특성 상 포장 후에는 외부균의 유입 등을 차단하기 위해 밀폐된 조건이 엄격히 유지되어야 하며, 이와 같은 조건에서 포장 후의 레토르트 식품을 살균하는 것은 더욱 어려울 뿐만 아니라, 레토르트 식품의 장기보존을 위해 고온에서 살균 처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식품 고유의 맛에 대한 변화가 발생하였고, 영양소와 비타민이 파괴되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전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1213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야채, 찌개, 국, 고기류, 육가공 식품 및 가공식품류를 포함하는 일반 식품에 대한 고유의 맛을 지키면서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 식품 살균 및 보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능성 포장 필름을 이용하여 식품을 포장하여 산소와 기체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식품을 주위 환경으로부터 보호하여 식품의 맛과 품질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식품 살균 및 보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P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내부 포장필름층과, 상기 제1내부 포장필름층의 상부면으로 PET 소재와 EVOH 소재가 일정 중량비로 혼합된 제2내부 포장필름층을 접합하여 내부 포장필름을 제조하고, EVOH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외부 포장필름층과, 상기 제1외부 포장필름층의 상부로 PET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2외부 포장필름층을 접합하여 외부 포장필름의 제조하는 기능성 포장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기능성 포장 필름을 이용하여 식품을 포장하는 단계; 및 포장이 완료된 식품을 50℃~80℃의 온도로 50분~120분 동안 3회 살균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내부 포장필름층은, PP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EVOH 소재 35중량부~40중량부로 혼합하고, 혼합한 혼합물을 압출장치로 공급하여 압출에 의해 혼합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능성 포장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내부 포장필름과 외부 포장필름을 상부면이 개방된 형태로 접합하되, 열접합 방식으로 접합하여 기능성 이중 포장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개방된 상부면의 내면으로 접착필름을 부착하여 식품의 투입 후 접착필름에 의해 밀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접착필름 부착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 포장필름으로 상기 식품을 롤 형태로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감싼 후, 그 상부 및 하부면을 열접합 방식으로 접합하여 포장하는 1차 포장단게; 1차 포장단계 이후, 외부 포장필름을 통해 내부 포장필름을 통해 포장이 이루어진 식품을 포장하는 2차 포장단계; 2차 포장단계 이후, 상기 외부 포장필름에 형성된 내부 공간으로 일정량의 질소를 충진하고, 이후 질소 및 식품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개방된 상부면을 씰링 처리하는 질소 충진 및 씰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50℃~55℃의 열기를 포장된 식품에 조사하여 50분~80분 동안 살균하는 1차 살균 단계; 1차 살균이 이루어진 포장된 식품을 0℃~4℃의 온도로 12시간~24시간 동안 냉장 보관하는 1차 냉장 단계; 1차 냉장 단계 이후, 60℃~70℃의 열기를 포장된 식품에 조사하여 60분~80분 동안 살균하는 2차 살균 단계; 2차 살균이 이루어진 포장된 식품을 5℃~10℃의 온도로 12시간~24시간 동안 냉장 보관하는 2차 냉장 단계; 2차 냉장이 완료된 포장된 식품을 70℃~80℃의 열기로 100분~120분 동안 살균하는 3차 살균 단계; 및 3차 살균이 이루어진 포장된 식품을 0℃~10℃의 온도로 보관하는 3차 냉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레토르트 식물에 대한 고유의 맛을 지키면서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기능성 포장 필름을 이용하여 식품을 포장하여 산소와 기체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식품을 주위 환경으로부터 보호하여 식품의 맛과 품질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살균 및 보존을 위한 식품용 기능성 포장 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살균 및 보존을 위한 식품의 포장 및 살균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살균 및 보존을 위한 식품의 포장 및 살균 방법의 각 단계별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된 식품의 살균 횟수별 활동중인 세균을 관찰한 결과표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식별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부호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이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일 뿐, 그 식별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품 살균 및 보존 방법은 야채, 찌개, 국, 고기류, 육가공 식품 및 가공식품류나, 밥, 국수, 빵 등을 포함하는 식품을 포장하고, 포장한 식품을 살균 처리하여 유해성 세균들을 박멸시켜 포장된 식품의 보존성을 극대화시켜 장기간 보존시에도 일정한 맛과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식품 살균 및 보존 방법은 기능성 포장 필름 제조단계(S110), 식품 포장단계(S120) 및 포장 식품 살균 단계(S130)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이다.
기능성 포장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S110)는, PP(Polypropylene), EVOH(Ethylene Vinyl Alcohol Copolymer),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소재를 이용하여 식품을 포장 및 보관할 포장필름, 또는 포장용기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기능성 포장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S110)는 PP 소재와, PET 및 EVOH 소재가 혼합된 합성소재를 이용하여 포장 필름의 내부 포장필름을 제조하는 내부 포장필름 제조단계(S112)와, EVOH 및 PET 소재로 이루어지는 외부 포장필름을 제조하는 외부 포장필름 제조단계(S114)로 구성된다.
내부 포장필름 제조단계(S1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P 소재로 이루어지는 PP 필름으로 구성되고, 내부 포장필름의 최하층을 형성하는 제1내부 포장필름층(10)과, 이 제1내부 포장필름층(10)의 상부면으로 식품의 포장시 산소와 수증기 등의 기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내부 포장필름층(20)을 접합하여 내부 포장필름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2내부 포장필름층(20)은 전술한 PET 소재와 EVOH 소재가 일정 중량비로 혼합되어 제조된 합성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내부 포장필름 제조단계(S112)는 PP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EVOH 소재 35중량부~40중량부로 혼합하고, 혼합한 혼합물을 압출장치로 공급하여 압출에 의해 혼합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내부 포장필름층(20)을 제조한다.
여기서, EVOH는, 기체차단 패키징 소재는 오늘날 여러 산업분야에서 다양한 제품에 사용되는 소재로서, 식품 포장시 포장된 식품측으로 산소와 수증기의 침투를 차단하여 식품을 주위 환경으로부터 보호하여 품질 유지 기능을 제공하는 소재이다.
이러한 EVOH 소재는 습도에 약하고 유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PP 원료를 주성분으로 하여 일정량의 EVOH 원료를 혼합함으로서, EVOH 소재가 가지는 단점을 해결하고, 식품의 포장시 식품의 품질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내부 포장필름을 제조하는 것이다.
여기서, 내부 포장필름은 생물과 같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단독 사용시 상기 식품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거나, 또는 일면만 개방되게 형성되어 개방된 일면으로 생물과 같은 식품을 투입하여 보관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외부 포장필름 제조단계(S114)는 내부 포장필름의 외면으로 접합되어 기능성 포장 필름에 소정의 강도를 제공함과 동시에 외부의 빛이 투과되는 것을 차단하는 외부 포장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로, EVOH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외부 포장필름층(30)과, PET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2외부 포장필름층(40)을 접합하여 외부 포장필름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외부 포장필름은 내부 포장필름과 마찬가지로 단독으로 식품의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내부 포장필름에 접합된 상태에서 식품의 포장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외부 포장필름은, 단독으로 사용하기 위해 상부면이 개방되면서 식품의 포장 및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마련되고 개방된 상부면의 내면부에 접착필름이 부착되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기능성 포장 필름 제조단계(S110)에서는 제조된 내부 포장필름과 외부 포장필름을 열접합 방식으로 접합하여 기능성 이중 포장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기능성 포장 필름 제조단계(S110)는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내부 포장필름과 외부 포장필름 사이에 나일론(nylon)으로 이루어지는 나일론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포장 필름 제조단계(S110)는 내부 포장필름과 외부 포장필름을 열접합 방식으로 접합할 때 일면, 바람직하게는 상부면이 개방된 형태로 접합하여 식품의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후 개방된 상부면의 내면으로 접착필름을 부착하여 식품의 투입 후 접착필름에 의해 밀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접착필름 부착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능성 포장 필름은 투명 필름으로 구성되어 포장된 식품의 식별이 바로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포장 필름은 30g ~ 1,000g의 무게를 가지는 식품의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소포장에서 대포장까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식품 포장단계(S120)는 전술한 단계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포장 필름을 이용하여 식품을 포장하는 단계로, 내부 포장필름으로 식품을 포장하는 1차 포장단계(S122)와, 1차 포장이 이루어진 식품을 외부 포장필름으로 포장하는 2차 포장단계(S124)와, 2차 포장 이후, 외부 포장필름의 내부 공간으로 질소를 충진하고, 개방된 일면을 마감하는 질소 충진 및 씰링단계(S126)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이다.
1차 포장단게(S122)는 내부 포장필름으로 식품을 감싸되, 롤 형태로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감싼 후, 그 상부 및 하부면을 열접합 방식으로 접합하여 내부 포장필름에 의해 식품을 포장하는 단계이다.
2차 포장단계(S122)는 내부 포장필름을 통해 포장이 이루어진 식품이 투입될 수 있도록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면이 개방되면서 식품의 포장 및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마련되고, 접착필름이 부착된 외부 포장필름에 투입하여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질소 충진 및 씰링단계(S126)는 외부 포장필름에 형성된 내부 공간으로 일정량의 질소를 충진하고, 이후 질소 및 식품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개방된 상부면을 씰링 처리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식품 포장단계(S120)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 1차 포장단계(S122)만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식품 포장단계(S120)는 식품의 2차 포장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질소 충진 및 씰링단계(126)의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식품 포장단계(S120)는 포장되는 식품이 산화가 이루어지는 식품인 경우에는 질소를 충진하는 것이 아니라, 진공 포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포장 식품 살균 단계(S130)는 1차 포장, 또는 2차 포장 및 질소 충진이 이루어진 식품의 변질을 방지하고, 장기간 보관시에도 식품 고유의 맛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포장 식품 살균 단계(S130)는 포장된 상태에서 식품을 50℃~80℃의 온도로 50분~120분 동안 살균 처리하여 세균이 증식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포장 식품 살균 단계(S130)는 50℃~65℃의 열기를 포장된 식품에 조사하여 50분~80분 동안 살균하는 1차 살균 단계(S131)를 수행한다.
이때, 포장된 식품들을 채반위에 나열하여 살균 온도 범위의 열기가 잘 전달되도록 하며 제품의 양과 질 수분 함량에 따라서 열 전달의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최소 50분에서 최대 80분 범위 내에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후, 1차 살균이 이루어진 포장된 식품을 0℃~4℃의 온도로 12시간~24시간 동안 냉장 보관하는 1차 냉장 단계(S132)를 수행한다.
1차 냉장 단계(S132)는 1차 살균 이후 포자 상태의 세균들이 증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즉, 1차 살균 단계(S131)는 요리가 완료된 식품에 생존중인 세균들을 사멸시키는 것이고, 1차 냉장 단계(S132)는 포자 상태의 세균들이 활성화되도록 함으로써, 2차 살균을 통해 해당 세균들의 사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이다.
1차 냉장 단계 이후, 60℃~70℃의 열기를 포장된 식품에 조사하여 60분~80분 동안 살균하여 1차 냉장이 이루어지면서 새로 활성화된 세균들을 사멸시키는 2차 살균 단계(S133)를 수행한다.
이후, 2차 살균이 이루어진 포장된 식품을 5℃~10℃의 온도로 12시간~24시간 동안 냉장 보관하는 2차 냉장 단계(S134)를 수행한다.
이후, 2차 냉장이 완료된 포장된 식품을 70℃~80℃의 열기를 포장된 식품에 조사하여 100분~120분 동안 살균하여 2차 냉장이 이루어진 식품을 3차 살균하여 식품 상에 남아 있는 세균들을 박멸시키는 3차 살균 단계(S135)를 수행한다.
이후, 3차 살균이 이루어진 포장된 식품을 5℃~20℃의 온도로 보관하는 3차 냉장 단계(S136)를 수행한다.
여기서, 3차 냉장 단계(S136)는 살균이 완료된 식품들이 사용처로 배송되기 전 보관하는 단계이다.
한편, 본 발명의 포장 식품 살균 단계(S130)는 총 3회의 살균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식품의 종류에 따라 적어도 3회~5회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김치, 야채, 찌개류는 3회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고기류, 육가공류는 4회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가공식품류는 5회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4회차 및 5회차 살균은 3차 살균 및 3차 냉각 과정을 동일하게 수행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각 단계들을 통해 보관된 식품(실시예)과, 내부 포장재를 통해서만 포장하여 보관된 식품(비교예1)과, 일반 PP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포장재로 포장된 식품(비교예2)의 살균 횟수별 활동중인 세균을 관찰하였다.
이때, 관찰한 식품은 각종 양념에 의해 조리된 김치와, 조리하지 전 상태의 파, 고추를 포함하는 야채를 각각 관찰하였으며, 관찰을 위해 각 냉장 단계가 완료된(1차 냉장 ~3차 냉장)식품의 중앙부를 5g 절취한 후,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살균 및 냉장 후 실시예 및 비교예 1,2의 식품들에 대한 세균들의 활동량은 실시예의 경우, 김치는 20.5%, 야채는 17.88%의 활동량을 나타내고 있고, 비교예 1의 경우, 김치는 26.91%, 야채는 21.0%의 활동량을 나타내고 있으며, 비교예 2는 김치 30.1%, 야채 25.47%의 활동량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단순히 1차 살균 및 냉장 만을 통해서도 동일한 김치 및 야채에서의 세균 활동량이 일반 PP필름으로 이루어진 포장재로 포장한 식품들 보다 세균의 활동량이 저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2차 살균 및 냉장 후 실시예에서의 세균들에 대한 활동량이 김치 6.72%, 야채 5.1%의 활동량을 나타내고 있고, 비교예 1의 경우, 김치는 17.36%, 야채는 11.68%의 활동량을 나타내고 있으며, 비교예 2는 김치 23.2%, 야채 22.7%의 활동량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3차 살균 및 냉장 후 실시예에서의 세균들에 대한 활동량이 김치 0.55%, 야채 0.49%의 활동량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비교예 1 및 2의 세균 활동량이 저하되는 것 보다 더욱 많은 세균들이 사멸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내부 포장필름 및 외부 포장필름을 통해 2차 포장까지 완료한 후 3회의 살균 과정을 통해 식품에서 활동중인 세균들의 박멸이 가능하고, 이는 장기간 보존시에도 식품의 맛과 품질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1내부 포장필름층
20: 제2내부 포장필름층
30: 제1외부 포장필름층
40: 제2외부 포장필름층

Claims (5)

  1. PP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내부 포장필름층과, 상기 제1내부 포장필름층의 상부면으로 PET 소재와 EVOH 소재가 일정 중량비로 혼합된 제2내부 포장필름층을 접합하여 내부 포장필름을 제조하고, EVOH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외부 포장필름층과, 상기 제1외부 포장필름층의 상부로 PET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2외부 포장필름층을 접합하여 외부 포장필름의 제조하는 기능성 포장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기능성 포장 필름을 이용하여 식품을 포장하는 단계; 및
    포장이 완료된 식품을 50℃~80℃의 온도로 50분~120분 동안 3회 살균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살균 및 보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부 포장필름층은,
    PP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EVOH 소재 35중량부~40중량부로 혼합하고, 혼합한 혼합물을 압출장치로 공급하여 압출에 의해 혼합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살균 및 보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포장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내부 포장필름과 외부 포장필름을 상부면이 개방된 형태로 접합하되, 열접합 방식으로 접합하여 기능성 이중 포장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개방된 상부면의 내면으로 접착필름을 부착하여 식품의 투입 후 접착필름에 의해 밀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접착필름 부착 단계;
    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살균 및 보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포장필름으로 상기 식품을 롤 형태로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감싼 후, 그 상부 및 하부면을 열접합 방식으로 접합하여 포장하는 1차 포장단게;
    1차 포장단계 이후, 외부 포장필름을 통해 내부 포장필름을 통해 포장이 이루어진 식품을 포장하는 2차 포장단계;
    2차 포장단계 이후, 상기 외부 포장필름에 형성된 내부 공간으로 일정량의 질소를 충진하고, 이후 질소 및 식품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개방된 상부면을 씰링 처리하는 질소 충진 및 씰링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살균 및 보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50℃~65℃의 열기를 포장된 식품에 조사하여 50분~80분 동안 살균하는 1차 살균 단계;
    1차 살균이 이루어진 포장된 식품을 0℃~4℃의 온도로 12시간~24시간 동안 냉장 보관하는 1차 냉장 단계;
    1차 냉장 단계 이후, 60℃~70℃의 열기를 포장된 식품에 조사하여 60분~80분 동안 살균하는 2차 살균 단계;
    2차 살균이 이루어진 포장된 식품을 5℃~10℃의 온도로 12시간~24시간 동안 냉장 보관하는 2차 냉장 단계;
    2차 냉장이 완료된 포장된 식품을 70℃~80℃의 열기로 100분~120분 동안 살균하는 3차 살균 단계; 및
    3차 살균이 이루어진 포장된 식품을 5℃~20℃의 온도로 보관하는 3차 냉장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살균 및 보존 방법.
KR1020220123745A 2022-09-28 2022-09-28 식품 살균 및 보존 방법 KR2024004422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745A KR20240044226A (ko) 2022-09-28 2022-09-28 식품 살균 및 보존 방법
PCT/KR2023/009018 WO2024071586A1 (ko) 2022-09-28 2023-06-28 식품 살균 및 보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745A KR20240044226A (ko) 2022-09-28 2022-09-28 식품 살균 및 보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226A true KR20240044226A (ko) 2024-04-04

Family

ID=90478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745A KR20240044226A (ko) 2022-09-28 2022-09-28 식품 살균 및 보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44226A (ko)
WO (1) WO202407158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213B1 (ko) 2009-06-26 2012-03-28 주식회사 협진기계 레토르트 식품의 살균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6424Y2 (ja) * 1979-08-20 1984-10-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レトルト二重袋
JP4424716B2 (ja) * 1999-09-16 2010-03-03 テトラ ラバル ホールディングス アンド ファイナンス エス エイ 包装材料用積層体の製造法及び包装材料用積層体
JP2002240862A (ja) * 2001-02-16 2002-08-28 Snow Brand Milk Prod Co Ltd 二重包装成形食品包装体
KR102003459B1 (ko) * 2019-02-22 2019-07-25 아침 주식회사 가공식품 제조방법
KR102305096B1 (ko) * 2019-09-30 2021-09-27 (주)천일 식품 포장지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213B1 (ko) 2009-06-26 2012-03-28 주식회사 협진기계 레토르트 식품의 살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1586A1 (ko) 202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rmúdez-Aguirre et al. An update on high hydrostatic pressure, from the laboratory to industrial applications
Choi et al. The combined effects of ultraviolet-C irradiation and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for inactivating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and extending the shelf life of cherry tomatoes during cold storage
Deak et al. Thermal treatment
US20130183420A1 (en) Premium Quality Refrigerated Vegetable Products and Methods of Making Them
JP2014533937A (ja) スプラウトの成長のための改善された方法及び装置
SA06270316B1 (ar) طريقة لتحسين مدة تخزين الأغذية المثلجة
MXPA05008096A (es) Metodo para conservar frescos los alimentos perecederos.
Ramesh Food microbiology
KR20240044226A (ko) 식품 살균 및 보존 방법
Benyathiar et al. Shelf life extension of fresh asparagus using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and vacuum skin packaging in microwavable tray systems
Ibrahim Thermal and nonthermal food processing technologies for food preservation and their effects on food chemistry and nutritional values
Hosseininezhad et al. A combination of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and two chemical disinfectants: Effects on microbial, sensor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aw ready‐to‐eat leek
Deshpande et al. Food additives and preservation: A review
KR102119856B1 (ko) 상온 유통용 김치 제조 방법
KR100347185B1 (ko) 고춧가루 살균방법
Ruzaike et al. Expiration date determination of thermally processed potato main course in retort packaging.
TWM609206U (zh) 封裝容器後殺系統
CN106117867A (zh) 一种抑菌保鲜食品包装材料及其制备方法
Saha et al. Packaging Techniques for Processed Food Products
WO1996012646A1 (en) Inhibition of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Richardson Food Hygiene and Toxicology
Ruzaike et al. Packaging material and storage-induced quality changes in flexible retort pouch potatoes' produce.
Zand et al. Influence of MAP and multi-layer flexible pouches on clostridium count of smoked kutum fish (Rutilus frisii kutum)
Tao Antimicrobial Activity of Various Essential Oils and Their Application in Active Packaging of Food Products
Jacobson Chemical Food Preser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