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057A - 건축용 페데스탈 - Google Patents

건축용 페데스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4057A
KR20240044057A KR1020220123318A KR20220123318A KR20240044057A KR 20240044057 A KR20240044057 A KR 20240044057A KR 1020220123318 A KR1020220123318 A KR 1020220123318A KR 20220123318 A KR20220123318 A KR 20220123318A KR 20240044057 A KR20240044057 A KR 20240044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body
pedestal
screw
threads
thread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앤티
Priority to KR1020220123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4057A/ko
Publication of KR20240044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05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04F15/0247Screw jacks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재(마감재)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바닥재가 바닥면(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하고, 바닥재의 하부에서의 배수처리, 또는 배관이나 배선시공이 가능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건축용 페데스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페데스탈에 의하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받침대와 지지캡 사이에서 상호 나사결합된 제1 및 제2 가변본체에 풀림방향으로 걸림되는 제1 및 제2 제한키를 각각 형성하여 제1 및 제2 가변본체의 상승 높이를 제한함으로써 제1 가변본체와 받침대 간의 결합력, 그리고 제1 및 제2 가변본체 간의 결합력을 일정 크기로 유지시켜 지지캡에 지지되는 바닥재 위에 큰 하중이 걸리더라도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페데스탈{PEDESTAL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바닥재(마감재)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바닥재가 바닥면(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하고, 바닥재의 하부에서의 배수처리, 또는 배관이나 배선시공이 가능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건축용 페데스탈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페데스탈(pedestal)은 건축 및 조경 등의 옥외구간이나 건물 내부의 통로 및 발판 등 실내구간의 마감 포장을 위해 사용되는 지지용 구조체로서, 하부 바닥재의 기울기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바닥재를 일정 높이로 지지하여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바닥재의 하부에서 배수처리나 배관 또는 배선시공 등이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이러한 건축용 페데스탈은 바닥재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가령 건축용 페데스탈은 복수 개로 분할된 구성품들이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됨에 따라 바닥면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조임방향 또는 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켜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바닥재의 기울기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그러나, 나사체결방식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종래의 건축용 페데스탈에서는 분할된 각 구성품들이 단순히 각각에 형성된 나사산(나사골)을 통해 상호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바닥재 위에 큰 하중이 걸릴 경우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고 파손되어 건축용 페데스탈이 기울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KR 10-0772555 B1, 2007. 10. 26. KR 10-1133198 B1, 2012. 03. 28. KR 10-1243872 B1, 2013. 03. 08. KR 10-1243873 B1, 2013. 03. 08. KR 10-2420470 B1, 2022. 07. 08.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복수 개로 분할된 구성품들이 나사체결방식으로 조립되는 건축용 페데스탈에서, 바닥재 위에 큰 하중이 걸리더라도 파손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건축용 페데스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건축용 페데스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외에도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를 통해 기재된 기술들을 통해 다양한 목적들이 추가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바닥면에 지지되고,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받침대; 외주면에는 제1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제1 가변본체;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가변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제2 가변본체; 및 하부에는 상기 제2 가변본체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제1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바닥재가 고정되는 복수 개의 고정탭이 설치된 지지캡을 포함하는 건축용 페데스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확장 지지부; 및 상기 확장 지지부의 상부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복수 개의 나사산과 나사골을 포함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나사부가 나사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나사부에는 상기 제1 가변본체의 상승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1 가변본체의 풀림방향으로 상기 받침대의 체결부의 상단에 형성된 제1 키홈에 걸림되는 제1 제한키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가변본체의 나사부에는 상기 제2 가변본체의 상승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2 가변본체의 풀림방향으로 상기 제1 가변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제2 키홈에 걸림되는 제2 제한키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나사부는 상기 제1 가변본체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순차적으로 소정의 피치로 형성된 n(여기서, n은 자연수)개의 나사산과 나사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한키는 상기 제1 나사부를 구성하는 n개의 나사산과 나사골들 중 n-1번째 나사산 또는 n-1번째 나사산과 n-2번째 나사산 사이의 나사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가변본체의 나사부는 상기 제2 가변본체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순차적으로 소정의 피치로 형성된 n(여기서, n은 자연수)개의 나사산과 나사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제한키는 상기 제2 가변본체의 나사부를 구성하는 n개의 나사산과 나사골들 중 n-1번째 나사산 또는 n-1번째 나사산과 n-2번째 나사산 사이의 나사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변본체는 상부에 상기 지지캡이 결합되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2 가변본체의 상부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되, 동서남북 4방향의 단부에서 각각 외측으로 돌출된 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부와 상기 제2 가변본체의 상면 사이에는 상기 지지캡의 하부에 형성된 제2 결합부가 인입된 후 상부방향으로 걸림 지지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캡은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바닥재 또는 바닥재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과 상기 완충패드에는 중앙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을 둘러싸도록 상기 고정탭이 끼움 결합되는 복수 개의 끼움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 가변본체의 제1 결합부에 결합되는 상기 제2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결합부에는 상기 제1 결합부에 형성된 돌부에 대응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페데스탈에 의하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받침대와 지지캡 사이에서 상호 나사결합된 제1 및 제2 가변본체에 풀림방향으로 걸림되는 제1 및 제2 제한키를 각각 형성하여 제1 및 제2 가변본체의 상승 높이를 제한함으로써 제1 가변본체와 받침대 간의 결합력, 그리고 제1 및 제2 가변본체 간의 결합력을 일정 크기로 유지시켜 지지캡에 지지되는 바닥재 위에 큰 하중이 걸리더라도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페데스탈에 의하면, 바닥재, 예를 들면 타일이 놓여지는 지지캡의 지지판 상에 완충패드를 일체로 부착시킴으로써 타일 또는 타일에 가해지는 충격을 안정적으로 흡수하여 타일 또난 페데스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페데스탈을 나타낸 조립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건축용 페데스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건축용 페데스탈의 조립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제1 가변본체를 나타낸 도면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에 제1 가변본체가 조립된 상태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나타낸 제2 가변본체를 나타낸 도면들.
도 7은 도 2에 나타낸 지지캡을 나타낸 도면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페데스탈의 높낮이 조절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이다. 또한, 각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은 크기 및 형상이 과도하게 도시될 수도 있는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제한을 두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A 및/또는 B'라 기재된 경우 A와 B 모두를 의미하거나, 또는 A 또는 B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페데스탈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조립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페데스탈(10)은 상호 착탈가능하게 분해 조립되는 구성품들, 가령 받침대(11)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제1 및 제2 가변본체(12, 13)와, 바닥재를 지지하는 지지캡(14)을 포함한다.
받침대(11)는 도 2와 같이, 바닥면(지면)에 지지되는 확장 지지부(111)와, 확장 지지부(111)의 상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복수 개의 나사산과 나사골을 포함하는 나사부(112a)가 형성된 체결부(112)를 포함한다.
확장 지지부(111)에는 체결부(112)를 통해 노출되는 중앙에 중공(111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앙에 형성된 중공(111a)을 감싸도록 보강 살대(111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112)의 외면을 지지하는 보강 지지대(111c)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가변본체(12)는 도 2와 같이, 관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외주면과 내주면에는 복수 개의 나사산과 나사골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나사부(121, 122)가 형성된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제1 가변본체를 나타낸 도면들로서, (a)는 측면도이고, (b)는 정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4와 같이, 제1 나사부(121)는 제1 가변본체(12)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체결부(112)의 나사부(112a)에 나사결합되고, 제2 나사부(122)는 제1 가변본체(12)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제1 가변본체(13)에 형성된 나사부(131)가 나사결합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에 제1 가변본체가 조립된 상태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제1 나사부(121)에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순차적으로 소정의 피치로 형성된 n개의 나사산과 나사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자연수이며, 나사골은 나사산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거나, 또는 1개 적거나 1개 많은 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나사부(121)에는 제1 가변본체(12)의 상승을 제한하는 제한키(123)(이하, '제1 제한키'라 함)가 형성된다. 제1 제한키(123)는 제1 나사부(121)의 하측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제한키(123)는 제1 나사부(121)의 최하측에 형성된 n번째 나사산(a)의 상부에 형성된 n-1번째 나사산 또는 n-1번째 나사산(b)과 n-2번째 나사산(c) 사이의 나사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한키(123)의 단부에는 키홈(112b)(이하, '제1 키홈'이라 함)에 안정적으로 걸림될 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된다. 이때, 걸림턱은 각형(예컨대, 삼각형) 또는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제한키(123)는 건축용 페데스탈(10)의 높이 조절을 위해 제1 가변본체(12)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가변본체(12)를 최대 높이로 상승시킬 때, 소정 높이에서 제1 가변본체(12)의 상승을 제한하여 제1 나사부(121)의 나사산들 중 적어도 2개의 나사산이 체결부(112)에 형성된 나사부(112a)의 나사산들 중 적어도 2개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제1 가변본체(12)와 받침대(11)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가령, 제1 제한키(123)를 통해 n번째 나사산(a)과 n-1번째 나사산(b)이 체결부(112)에 형성된 나사부(112a)의 나사산들 중 적어도 2개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됨으로써 바닥재의 위에 큰 하중이 걸리더라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1 가변본체(12)는 풀림방향으로 회전하면 받침대(11)의 체결부(112)로부터 상승한다. 이때, 제1 가변본체(12)에 형성된 제1 제한키(123) 또한 제1 가변본체(12)와 함께 회전하면서 체결부(112)의 나사부(112a)를 따라 상승한다. 그리고 제1 제한키(123)가 체결부(112)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1 키홈(112b)에 도달하면, 제1 가변본체(12)의 풀림방향으로 제1 키홈(112b)에 걸림되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차단되어 제1 가변본체(121)의 상승 높이는 제1 제한키(123)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제1 가변본체(12)의 제1 나사부(121)와 체결부(112)의 나사부(112a)는 적어도 2개의 나사산이 상호 결합됨으로써 하측방향으로 일정 크기의 지지력이 확보된다.
제1 제한키(123)는 일단부가 제1 나사부(121)에 연결되고 제1 키홈(112b)에 걸림되는 타단부는 지지되지 않고 제1 나사부(121)에 형성된 개구부에 붕 뜬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제한키(123)는 일정한 탄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제한키(123)의 탄력을 이용하여 제1 제한키(123)의 타단부를 내측으로 밀어 제1 키홈(112b)에 걸려 잠금된 상태를 해제시킨 후 제1 가변본체(12)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가변본체(12)를 받침대(11)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낸 제2 가변본체를 나타낸 도면들로서, (a)는 측면도이고, (b)는 정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6과 같이, 제2 가변본체(13)는 외주면에 제1 가변본체(12)의 제2 나사부(122)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131)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 가변본체(13)는 제1 가변본체(12)와 마찬가지로 나사부(131)에 제2 가변본체(13)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키(132)(이하, '제2 제한키'라 함)가 형성된다. 제2 제한키(132)는 제2 가변본체(13)의 외주면에 형성된 n개의 나사산과 나사골들 중 하부에 형성된 n-1번째 나사산 또는 n-1번째 나사산과 n-2번째 나사산 사이의 나사골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제한키(132)는 제1 가변본체(12)의 상단에 형성된 키홈(124)(이하, '제2 키홈'이라 함)에 제2 가변본체(13)의 풀림방향으로 걸림된다. 이때, 제2 제한키(132)는 제1 가변본체(12)에 형성된 제1 제한키(123)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제한키(132)를 통해 제2 가변본체(13)는 제1 가변본체(12)에 적어도 2개의 나사산과 결합됨으로써 제1 가변본체(12)에 대해 안정적인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제2 가변본체(13)의 상부 중앙에는 지지캡(14)이 결합되는 제1 결합부(133)가 형성된다. 도 6과 같이, 제1 결합부(133)는 제2 가변본체(13)의 상부 중앙에서 상부로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대략 단면이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결합부(133)에는 동서남북 4방향의 단부에서 각각 외측으로 돌출된 돌부(133a)가 형성되고, 도 2와 같이, 각 돌부(133a)와 제2 가변본체(13)의 상면 사이에는 지지캡(14)이 내부로 인입된 후 상부방향으로 걸림되는 걸림홈(g)이 형성된다.
또한, 도 2와 같이, 제2 가변본체(13)의 제1 결합부(133)의 상부에는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제2 가변본체(13)를 회전시키기 위해 드라이버 홈(133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드라이버 홈(133b)는 일자형 또는 십자형일 수 있다.
제2 제한키(132)는 일단부가 나사부(131)에 연결되고 제2 키홈(124)에 걸림되는 타단부는 지지되지 않고 나사부(131)에 형성된 개구부에 붕 뜬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즉, 제2 제한키(132) 또한 제1 제한키(123)와 같이 탄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제한키(132)의 탄력을 이용하여 제2 제한키(132)의 타단부를 내측으로 밀어 제2 키홈(124)에 걸려 잠금된 상태를 해제시킨 후 제2 가변본체(13)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2 가변본체(13)를 제1 가변본체(12)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다.
각각 제1 및 제2 키홈(112b, 124)에 걸림되는 단부가 공중에 붕 뜬 상태로 존재하
도 7은 도 2에 나타낸 지지캡을 나타낸 도면들로서, (a)는 측면도이고, (b)는 정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7과 같이, 지지캡(14)은 지지판(141)과, 지지판(141)의 상부에 설치되어 바닥재 또는 바닥재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패드(142)를 포함한다. 이때, 완충패드(142)는 지지판(141)의 상면에 접착제 등을 통해 일체로 부착 설치되며, 충격 및 소음을 흡수하는 실리콘 고무 또는 합성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판(141)과 완충패드(142)에는 도 2와 같이, 동서남북 4방향으로 바닥재, 예를 들면 타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탭(15)이 끼움 결합되는 복수 개의 끼움홈부(141a)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끼움홈부(141a)는 고정탭(15)이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동서남북 4개의 방향에 각각 하나씩 총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141)은 중앙에 중공(141b)이 형성되어 있고, 중공(141b)의 내주면에는 제2 가변본체(13)의 제1 결합부(133)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143)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결합부(143)에는 제1 결합부(133)에 형성된 돌부(133a)에 대응하는 홈부(143a)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 결합부(143)의 홈부(143a)를 통해 제1 결합부(133)의 돌부(133a)를 인인시킨 후 지지캡(14)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결합부(143)는 제1 결합부(133)의 돌부(133a)에 상부방향으로 걸림되어 결합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페데스탈의 높낮이 조절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페데스탈(10)에서는 제1 가변본체(12)가 받침대(11)에 나사결합되고, 제2 가변본체(13)가 제1 가변본체(12)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조임방향 또는 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켜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건축용 페데스탈 11 : 받침대
12 : 제1 가변본체 13 : 제2 가변본체
14 : 지지캡 15 : 고정탭
111 : 확장 지지부 111a : 중공
111b : 보강살대 111c : 보강 지지대
112 : 체결부 112a : 나사부
112b : 제1 키홈 121 : 제1 나사부
122 : 제2 나사부 123 : 제1 제한키
131 : 나사부 132 : 제2 제한키
133 : 제1 결합부 133a : 돌부
133b : 드라이버 홈 141 : 지지판
141a : 끼움홈부 141b : 중공
142 : 완충패드 143 : 제2 결합부
143a : 홈부 g : 걸림홈

Claims (6)

  1. 바닥면에 지지되고,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받침대;
    외주면에는 제1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제1 가변본체;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가변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제2 가변본체; 및
    하부에는 상기 제2 가변본체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제1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바닥재가 고정되는 복수 개의 고정탭이 설치된 지지캡;
    을 포함하는 건축용 페데스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확장 지지부; 및
    상기 확장 지지부의 상부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복수 개의 나사산과 나사골을 포함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나사부가 나사결합되는 체결부;
    를 포함하는 건축용 페데스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부에는 상기 제1 가변본체의 상승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1 가변본체의 풀림방향으로 상기 받침대의 체결부의 상단에 형성된 제1 키홈에 걸림되는 제1 제한키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가변본체의 나사부에는 상기 제2 가변본체의 상승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2 가변본체의 풀림방향으로 상기 제1 가변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제2 키홈에 걸림되는 제2 제한키가 형성되어 있는 건축용 페데스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부는 상기 제1 가변본체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순차적으로 소정의 피치로 형성된 n(여기서, n은 자연수)개의 나사산과 나사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한키는 상기 제1 나사부를 구성하는 n개의 나사산과 나사골들 중 n-1번째 나사산 또는 n-1번째 나사산과 n-2번째 나사산 사이의 나사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가변본체의 나사부는 상기 제2 가변본체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순차적으로 소정의 피치로 형성된 n(여기서, n은 자연수)개의 나사산과 나사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제한키는 상기 제2 가변본체의 나사부를 구성하는 n개의 나사산과 나사골들 중 n-1번째 나사산 또는 n-1번째 나사산과 n-2번째 나사산 사이의 나사골에 형성된 건축용 페데스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변본체는 상부에 상기 지지캡이 결합되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2 가변본체의 상부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되, 동서남북 4방향의 단부에서 각각 외측으로 돌출된 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부와 상기 제2 가변본체의 상면 사이에는 상기 지지캡의 하부에 형성된 제2 결합부가 인입된 후 상부방향으로 걸림 지지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건축용 페데스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캡은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바닥재 또는 바닥재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과 상기 완충패드에는 중앙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을 둘러싸도록 상기 고정탭이 끼움 결합되는 복수 개의 끼움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 가변본체의 제1 결합부에 결합되는 상기 제2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결합부에는 상기 제1 결합부에 형성된 돌부에 대응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건축용 페데스탈.
KR1020220123318A 2022-09-28 2022-09-28 건축용 페데스탈 KR202400440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318A KR20240044057A (ko) 2022-09-28 2022-09-28 건축용 페데스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318A KR20240044057A (ko) 2022-09-28 2022-09-28 건축용 페데스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057A true KR20240044057A (ko) 2024-04-04

Family

ID=90637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318A KR20240044057A (ko) 2022-09-28 2022-09-28 건축용 페데스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4057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555B1 (ko) 2007-03-22 2007-11-01 (주)화석엔지니어링 높낮이 조절 폭이 향상된 건축용 나사형 페데스탈
KR101133198B1 (ko) 2011-07-14 2012-05-03 주식회사 수주엔지니어링 경사 조절이 향상된 건축용 페데스탈
KR101243872B1 (ko) 2011-07-14 2013-03-20 주식회사 수주엔지니어링 뒤틀림 현상을 방지한 건축용 페데스탈
KR101243873B1 (ko) 2011-07-14 2013-03-20 주식회사 수주엔지니어링 다양한 형태의 마감재를 지지하는 건축용 페데스탈
KR102420470B1 (ko) 2021-04-09 2022-07-13 강철 각관 및 타일 겸용 페데스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555B1 (ko) 2007-03-22 2007-11-01 (주)화석엔지니어링 높낮이 조절 폭이 향상된 건축용 나사형 페데스탈
KR101133198B1 (ko) 2011-07-14 2012-05-03 주식회사 수주엔지니어링 경사 조절이 향상된 건축용 페데스탈
KR101243872B1 (ko) 2011-07-14 2013-03-20 주식회사 수주엔지니어링 뒤틀림 현상을 방지한 건축용 페데스탈
KR101243873B1 (ko) 2011-07-14 2013-03-20 주식회사 수주엔지니어링 다양한 형태의 마감재를 지지하는 건축용 페데스탈
KR102420470B1 (ko) 2021-04-09 2022-07-13 강철 각관 및 타일 겸용 페데스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3579B1 (ko) 이중바닥구조물과 이중바닥구조물용 판넬
CA2769400C (en) Support pedestal for supporting an elevated building surface
ES2955618T3 (es) Un conjunto de cabezal nivelador para un pedestal nivelador elevador, dicho pedestal nivelador elevador y un método de fabricación de un pedestal nivelador elevador
JP5147705B2 (ja) 上昇床のための台座用の傾斜補償器
JPH06307064A (ja) 床パネル支持脚および二重床
US6584745B1 (en) Floor construction comprising joists provided with level adjusting spacer screws, joists and spacer screws therefor
KR101971619B1 (ko)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
KR101922021B1 (ko)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
RU254997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внивания плитки
KR101940788B1 (ko) 데크로드용 멍에 고정 장치
KR101517119B1 (ko) 조립식 돔 구조물의 하부 지지부재
KR20240044057A (ko) 건축용 페데스탈
KR102175172B1 (ko) 내진 성능을 가진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EP3686371A1 (en) A support for raised floor
JP2011052430A (ja) 床支持装置
KR101243872B1 (ko) 뒤틀림 현상을 방지한 건축용 페데스탈
EP3315690B1 (en) A floor support structure
CA3161928A1 (en) Paver supporting apparatus
EP1464773B1 (en) Construction kit with a construction element and a spacer
KR200365562Y1 (ko) 조립식 가구의 지주 및 그러한 지주로 구성되는 조립식가구
KR930005592Y1 (ko) 건축용 판넬지지대
KR101393246B1 (ko) 마루널 고정장치
CN215889179U (zh) 一种地面调平组件及使用该组件的基础支撑结构
KR102267729B1 (ko) 마루판 지지유닛
KR101903282B1 (ko)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