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470B1 - 각관 및 타일 겸용 페데스탈 - Google Patents

각관 및 타일 겸용 페데스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470B1
KR102420470B1 KR1020210046549A KR20210046549A KR102420470B1 KR 102420470 B1 KR102420470 B1 KR 102420470B1 KR 1020210046549 A KR1020210046549 A KR 1020210046549A KR 20210046549 A KR20210046549 A KR 20210046549A KR 102420470 B1 KR102420470 B1 KR 102420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pipe
square
fastening holes
t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철
Original Assignee
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철 filed Critical 강철
Priority to KR1020210046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4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04F15/0247Screw j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2Details of junctions between the supporting structures and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면(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바닥재(마감재)가 시공 설치되도록 지지하여 하부에 배수, 배관 또는 배선 등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페데스탈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바닥재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각관(角管)이 지지되는 간격을 각관용 고정탭이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가변시켜 작업현장의 여건에 따라 서로 다른 규격을 갖는 각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겸용으로 조립 사용하는 타일용 고정탭의 하부 지지력을 향상시키면서 타일용 고정탭을 분리시켜 독립적으로 바닥면에 설치할 때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도록 제공함으로써 각관과 타일 시공작업을 개선하여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각관 및 타일 겸용 페데스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각관 및 타일 겸용 페데스탈{PEDESTAL FOR SUPPORTING BOTH SQUARE PIPES AND TILES}
본 발명은 바닥면(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바닥재(마감재)가 시공 설치되도록 지지하여 하부에 배수, 배관 또는 배선 등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페데스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바닥재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각관(角管)이 지지되는 간격을 각관용 고정탭이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가변시켜 작업현장의 여건에 따라 서로 다른 규격을 갖는 각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겸용으로 조립 사용하는 타일용 고정탭의 하부 지지력을 향상시키면서 타일용 고정탭을 분리시켜 독립적으로 바닥면에 설치할 때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도록 제공함으로써 각관과 타일 시공작업을 개선하여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각관 및 타일 겸용 페데스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페데스탈은 경사 정도가 일정하지 않은 바닥면(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바닥재(마감재)를 지지하기 위해 시공되는 것으로, 바닥면의 외관미를 높이고 경사 정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건축용 페데스탈은 건축 및 조경 등의 옥외구간과 건물 내부의 통로 및 발판 등 실내구간의 마감 포장을 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하부 바닥재의 기울기를 일정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바닥 방수층에서 일정 간격을 지지하면서 공간을 형성하여 원활한 배수, 배관 또는 배선 등이 가능하도록 제공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용 페데스탈의 일례들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255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319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387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3873호 등을 다수의 선행문헌들에서 제안된 바 있었다.
상기한 선행문헌들을 포함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용 페데스탈에서는 상부면에 일정 높이로 판상형 구조의 스페이서(또는 분할탭)를 설치하여 바닥재를 지지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319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387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3873호에서 제안된 스페이서는 상부면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바닥재의 형태(사각형/삼각형 등)에 대응하여 바닥재가 지지되는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바닥재를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용 페데스탈에서는 각 바닥재의 일단부가 페데스탈의 상부면에 직접 안치되는 구조로 각 바닥재의 증가되는 수량 만큼 페데스탈의 수량 또한 증가하기 때문에 시공이 복잡하여 시공비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수 개의 페데스탈을 다열다행으로 일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한 후 이들 페데스탈 상부에 각관(角管)을 설치하고, 각관의 상부에 바닥재를 설치함으로써 페데스탈의 수량을 감소시켜 시공성과 시공비를 개선하였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319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387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3873호 등과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용 페데스탈에서는 스페이서가 판상형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각관을 지지하는 지지력(고정력)이 약하고, 또한 동서남북 4-방향에서 각관을 동시에 지지하는 경우에는 각관의 규격에 맞게 간격을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어렵고, 그 만큼 많은 수의 스페이서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시공성이 저하되어 시공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KR 10-0772555 B1, 2007. 10. 26. KR 10-1133198 B1, 2012. 03. 28. KR 10-1243872 B1, 2013. 03. 08. KR 10-1243873 B1, 2013. 03. 08.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바닥재가 지지 고정되는 각관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서로 다른 규격을 갖는 각관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각관 및 타일 겸용 페데스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관이 지지 고정되는 간격(폭)을 자유롭게 가변시켜 현장 여건에 따라 서로 다른 규격을 갖는 각관을 안정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시공성을 개선하고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각관 및 타일 겸용 페데스탈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관과 별도로 바닥재로 사용되는 타일을 균일한 지지력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각관 및 타일 겸용 페데스탈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바닥면 또는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나사결합되고 상부면에는 복수 개의 각관용 고정탭 또는 타일용 고정탭이 결합되는 상부 지지캡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지지캡은 상기 받침대에 나사결합되는 결합구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각관용 고정탭 또는 상기 타일용 고정탭이 결합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중앙에 형성된 중공을 둘러싸도록 제1 각관 규격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과 제2 각관 규격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이 상기 중공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원주 상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각관용 고정탭이 결합 고정되고, 상부면 둘레에는 상기 타일용 고정탭의 하부면 둘레에 형성된 결합돌부가 암수결합방식으로 고정되도록 결합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관 및 타일 겸용 페데스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각관 규격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은 상기 중공으로부터 서로 동일한 거리로 동서남북 4방향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고, 상기 제2 각관 규격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은 상기 중공으로부터 서로 동일한 거리로 북동방향, 남동방향, 남서방향 및 북서방향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각관 규격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 중에서, 상기 복수 개의 각관용 고정탭이 결합 고정되는 체결공들의 위치에 따라 이웃하게 결합 고정된 각관용 고정탭들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어 서로 다른 규격을 갖는 각관을 각관용 고정탭들 사이에 삽입시켜 지지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부면에 상기 제1 또는 제2 각관 규역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에 결합 고정된 각관용 고정탭의 하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제1 및 제2 지지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지지홈부는 각각 일자형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내지 제4 지지홈이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각관 규격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에 결합 고정된 각관용 고정탭의 하단부가 삽입 결합되고, 상기 제2 지지홈부는 각각 일자형 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내지 제4 지지홈이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 각관 규격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에 결합 고정된 각관용 고정탭의 하단부가 삽입 결합되고, 상기 제1 각관 규격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은 상기 제1 지지홈부의 제1 내지 제4 지지홈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각관 규격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은 상기 제2 지지홈부의 제1 내지 제4 지지홈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관용 고정탭은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일용 고정탭은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결합홈부에 암수결합되도록 결합돌부가 형성된 타일 지지판과, 상기 타일 지지판의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상부로 돌출된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타일 지지판의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총 4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와 상기 상부 지지캡 사이에서 서로 상하로 나사결합되어 상기 받침대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 지지캡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가변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변본체는 상기 받침대와 상기 상부 지지캡 사이에서 서로 나사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부 지지캡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베이스에 중공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거리를 갖는 제1 및 제2 규격용 체결공들을 형성하고, 이들 체결공들에 결합 고정되는 각관용 고정캡의 위치에 따라 이웃하게 결합 고정된 각관용 고정캡 간의 간격을 가변시킴으로써 서로 다른 규격을 갖는 각관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관용 고정캡과 겸용으로 타일용 고정캡을 결합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특히, 타일용 고정캡의 하부면 둘레에 베이스의 상부면 둘레에 형성된 결합홈부에 암수결합되는 결합돌부를 형성함으로써 베이스의 상부면에 대해 타일용 고정탭의 전체에 대한 균일한 지지력을 확보하여 타일용 고정탭의 일측부에 하방으로 힘이 쏠리더라도 타일용 고정탭이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타일용 고정캡을 독립적으로 분리시켜 바닥면에 설치할 때 바닥면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여 타일용 고정탭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데스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페데스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지지캡에서 각관용 고정탭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각관용 고정탭이 상부 지지캡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각관용 고정탭이 베이스의 제1 각관 규격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에 결합된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각관용 고정탭 사이에 각관들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각관용 고정탭이 베이스의 제2 각관 규격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에 결합된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각관용 고정탭 사이에 각관들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용 지지판이 베이스에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타일용 지지판이 베이스의 상부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용 고정탭의 평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A-A'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데스탈의 확장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데스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데스탈(10)은 바닥면(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11)와, 받침대(11)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면에 각관용 고정탭(13) 또는 타일용 고정탭(14)이 결합되는 상부 지지캡(12)을 포함한다.
받침대(11)는 상부 지지캡(12)의 숫나사형 결합구(121)가 내부로 인입된 후 회전방향에 따라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형 결합구(111)가 형성되어 있다. 숫나사형 결합구(121)와 암나사형 결합구(111)에는 서로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받침대(11)와 상부 지지캡(12) 사이의 나사결합을 위한 결합구의 구조는 서로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지지캡(12)에 암나사형 결합구가 형성되어 있고, 받침대(11)에는 숫나사형 결합구가 형성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그리고, 받침대(11)에는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지지력을 높이는 연장편(11a)이 형성되어 있고, 외면에는 상단부와 하단부를 연결하고 외주면을 따라 보강편(11b)이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강성을 보강하며, 연장편(11a)에는 받침대(11)를 나사 등으로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해 나사체결공(11c)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지지캡(12)은 받침대(11)에 결합되는 숫나사형 결합구(121)와, 숫나사형 결합구(12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각관용 고정탭(13) 또는 타일용 고정탭(14)이 각각 결합 고정, 즉 암수결합을 통해 결합 고정되는 베이스(122)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지지캡에서 각관용 고정탭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각관용 고정탭이 상부 지지캡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122)는 상부 지지캡(12)의 숫나사형 결합구(121)의 상단부에 분해 조립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되고, 숫나사형 결합구(121)의 상단 직경보다 더 넓은 직경을 가지며, 그 상부면이 평평한 원판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122)에는 중앙에 중공(122a)이 형성될 수 있고, 중공(122a)을 중심으로 중공(122a)으로부터 동서남북 4-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도록 제1 각관 규격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a1~a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122)에는 제1 및 제2 체결공(a1, a2) 사이(북동방향)와, 제2 및 제3 체결공(a2, a3) 사이(남동방향)와, 제3 및 제4 체결공(a3, a4) 사이(남서방향)와, 제1 및 제4 체결공(a1, a4) 사이(북서방향)에 중공(122a)을 중심으로 서로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도록 제2 각관 규격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b1~b4)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체결공(b1)은 제1 및 제2 체결공(a1, a2) 사이의 중앙과, 제2 체결공(b2)은 제2 및 제3 체결공(b2, b3) 사이의 중앙과, 제3 체결공(b3)은 제3 및 제4 체결공(a3, a4) 사이의 중앙과, 제4 체결공(b4)은 제1 및 제4 체결공(a1, a4) 사이의 중앙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2 각관 규역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b1~b4)은 중공(122a)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거리로 이격 형성되되, 제1 각관 규격용 제1 및 제4 체결공(a1~a4)에 비해 중공(122a)로부터 더 먼 거리로 이격 형성된다. 이는 각관용 고정탭(13) 사이에 지지되는 각관(1)의 규격에 맞게 베이스(122)에 체결되는 각관용 고정탭(13) 사이의 간격을 가변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베이스(122)의 상부면에는 오목하게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각관용 고정탭(13)의 하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제1 및 제2 지지홈부(122b, 122c)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지지홈부(122b)는 각각 일자형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내지 제4 지지홈(c1~c4)이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 내지 제4 지지홈(c1~c4)이 교차하는 지점에는 제1 각관 규격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a1~a4)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3 지지홈(c1, c3)이 교차하는 지점에는 제1 체결공(a1)이 형성되고, 제2 및 제3 지지홈(c2, c3)이 교차하는 지점에는 제2 체결공(a2)이 형성되고, 제2 및 제4 지지홈(c2, c4)이 교차하는 지점에는 제3 체결공(a3)이 형성되고, 제1 및 제4 지지홈(c1, c4)이 교차하는 지점에는 제4 체결공(a4)이 형성된다.
도 5와 같이, 제2 지지홈부(122c)는 제2 각관 규역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b1~b4)에 결합된 각관용 고정탭(13)의 하단부가 삽입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제1 지지홈부(122b)와 마찬가지로 각각 일자형 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내지 제4 지지홈(d1~d4)이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도 5와 같이, 전체적으로 '#'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 내지 제4 지지홈(d1~d4)이 교차하는 지점에는 제2 각관 규역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b1~b4)이 형성된다.
제1 지지홈부(122b)에는 제1 내지 제4 체결공(a1~a4)에 결합되는 각관용 고정탭(13)의 하단부가 삽입 결합되고, 제2 지지홈부(122c)에는 제2 각관 규역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b1~b4)에 결합된 각관용 고정탭(13)의 하단부가 삽입 결합되기 위해 제1 및 제2 지지홈부(122b, 122c)는 중공(122a)을 중심으로 서로 일정 각도로 이격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지지홈부(122b, 122c)는 45°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도 3과 같이, 각관용 고정탭(13)은 4개가 설치되고, 각각은 서로 수직으로 절곡된 'L'자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각의 중앙 하단부에는 베이스(122)에 형성된 제1 내지 제8 체결공(a1~a4, b1~b4)에 결합되는 돌출 결합구(131)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122)에 결합된 돌출 결합구(131)는 복수 개의 분할편을 포함하고, 베이스(122)에 형성된 각 체결공에 안정적으로 관통 결합되고, 각 분할편에는 하단부 외면에 베이스(122)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상방향으로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관용 고정탭(13)에는 각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내측 상하로 나란하게 삼각형 구조의 보강편(132)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고, 각관용 고정탭(13)의 높이는 베이스(122)에 설치되는 각관의 높이(세로)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에 결합되는 각관용 고정탭의 위치에 따라 각관용 고정탭 사이의 간격(폭)이 조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가령, 각관용 고정탭(13)을 제1 각관 규격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a1~a4)에 결합 고정하면, 이웃하게 배치된 각관용 고정탭(13) 간의 간격 'D1'은 40mm가 되어 40mm 규격을 갖는 각관(1)을 베이스(122)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와 같이, 각관용 고정탭(13)을 제2 각관 규격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b1~b4)에 결합 고정하면, 이웃하게 배치된 각관용 고정탭(13) 간의 간격 'D1'은 50mm가 되어 50mm 규격을 갖는 각관(1')을 베이스(122)에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122)에는 중공(122a)을 둘러싸도록 중공(122a)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원주 상에 2-그룹으로 나누어 4개의 체결공들이 각각 형성된다. 가령, 제1 그룹은 제1 내지 제4 체결공(a1~a4)을 포함하고, 제2 그룹은 제2 각관 규역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b1~b4)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각관용 고정탭(13)이 결합되는 제1 또는 제2 그룹에 따라 각관(1, 1')이 지지되는 부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용 지지판이 베이스에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타일용 지지판이 베이스의 상부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베이스(122)는 제1 및 제2 지지홈부(122b, 122c)가 형성된 상부면의 둘레에 띠 형태로 결합홈부(122d)가 형성된다. 즉, 결합홈부(122d)는 제1 및 제2 지지홈부(122b, 122c)를 둘러싸도록 베이스(122)의 상부면 둘레에 일정 깊이로 형성된다. 이때, 결합홈부(122d)는 제1 및 제2 지지홈부(122b, 122c)의 제1 내지 제4 지지홈(c1~c4, d1~d4)의 종단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용 고정탭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A-A'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타일용 고정탭(14)은 베이스(122)에 형성된 결합홈부(122d)에 암수결합되도록 결합돌부(141a)가 형성된 타일 지지판(141)과, 타일 지지판(141)의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상부로 돌출된 스페이서(142)를 포함한다.
스페이서(142)는 타일 지지판(141)의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총 4개가 설치되고, 이들 중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2개는 타일 지지판(141)에 형성된 홈 내부로 삽입 결합되고,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나머지 2개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일용 고정탭(14)은 타일 지지판(141)의 하부면 둘레에 띠 형태로 형성된 결합돌부(141a)가 베이스(122)의 상부면에 형성된 결합홈부(122d)에 암수결합되는 구조로 베이스(122)의 상부에 지지된다. 즉, 타일 지지판(141)의 둘레부가 결합돌부(141a)를 통해 베이스(122)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각관 또는 타일의 안정적인 고정력을 위해 각관을 베이스(122)의 상부면에 결합 고정된 각관용 고정탭(13) 사이의 베이스(122)에 안착시킨 후 나사나 못 등과 같은 체결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베이스(122)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타일의 경우에도 타일용 고정탭(14)의 스페이서(142) 사이의 타일 지지판(141)에 안착시킨 후 상기 체결부재들을 이용하여 타일 지지판(141)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본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데스탈(10)은 바닥면에 대한 상부 지지캡(12)의 높이를 확장 또는 축소시키기 위한 가변본체(15)를 더 포함한다.
가변본체(15)는 받침대(11)와 상부 지지캡(12) 사이에서 서로 상하로 나사결합된다.
예를 들어, 가변본체(15)는 외주면에 숫나사형 결합구(151a)가 형성되어 받침대(11)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형 결합구(111)에 나사결합되는 제1 연결관(151)과, 숫나사형 결합구(152a)가 형성되어 제1 연결관(151)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형 결합구(151b)에 나사결합되고 내주면에는 암나사형 결합구(152b)가 형성되어 상부 지지캡(12)의 숫나사형 결합구(121)가 나사결합되는 제2 연결관(152)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데스탈(10)은 가변본체(15)의 제1 및 제2 연결관(151, 152) 중 어느 하나를 원하는 높이에 따라 받침대(11)와 상부 지지캡(12) 사이에 조립시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풀림 또는 조림정도에 따라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바닥면이 단차를 갖거나,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시공상의 어려움 없이 안정적으로 각관 또는 타일을 시공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1' : 각관 10 : 페데스탈
11 : 받침대 11a : 연장편
11b : 보강편 11c : 나사체결공
12 : 상부 지지캡 13 : 각관용 고정탭
14 : 타일용 고정탭 15 : 가변본체
111, 151b, 152b : 암나사형 결합구 121, 151a, 152a : 숫나사형 결합구
122 : 베이스 122a : 중공
122b~122c : 제1 및 제2 지지홈부 122d : 결합홈부
131 : 돌출 결합구 132 : 보강편
141 : 타일 지지판 141a : 결합돌부
142 : 스페이서 151~152 : 제1 및 제2 연결관
a1~a4 : 제1 각관 규격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
b1~b4 : 제2 각관 규격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

Claims (6)

  1. 바닥면 또는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나사결합되고 상부면에는 복수 개의 각관용 고정탭 또는 타일용 고정탭이 결합되는 상부 지지캡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지지캡은 상기 받침대에 나사결합되는 결합구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각관용 고정탭 또는 상기 타일용 고정탭이 결합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중앙에 형성된 중공을 둘러싸도록 제1 각관 규격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과 제2 각관 규격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이 상기 중공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원주 상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각관용 고정탭이 결합 고정되고, 상부면 둘레에는 상기 타일용 고정탭의 하부면 둘레에 형성된 결합돌부가 암수결합방식으로 고정되도록 결합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는 상부면에 상기 제1 또는 제2 각관 규역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에 결합 고정된 각관용 고정탭의 하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제1 및 제2 지지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지지홈부는 각각 일자형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내지 제4 지지홈이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각관 규격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에 결합 고정된 각관용 고정탭의 하단부가 삽입 결합되고,
    상기 제2 지지홈부는 각각 일자형 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내지 제4 지지홈이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 각관 규격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에 결합 고정된 각관용 고정탭의 하단부가 삽입 결합되고,
    상기 제1 각관 규격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은 상기 제1 지지홈부의 제1 내지 제4 지지홈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각관 규격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은 상기 제2 지지홈부의 제1 내지 제4 지지홈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관 및 타일 겸용 페데스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관 규격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은 상기 중공으로부터 서로 동일한 거리로 동서남북 4방향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고, 상기 제2 각관 규격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은 상기 중공으로부터 서로 동일한 거리로 북동방향, 남동방향, 남서방향 및 북서방향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관 및 타일 겸용 페데스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각관 규격용 제1 내지 제4 체결공 중에서, 상기 복수 개의 각관용 고정탭이 결합 고정되는 체결공들의 위치에 따라 이웃하게 결합 고정된 각관용 고정탭들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어 서로 다른 규격을 갖는 각관을 각관용 고정탭들 사이에 삽입시켜 지지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관 및 타일 겸용 페데스탈.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관용 고정탭은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일용 고정탭은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결합홈부에 암수결합되도록 결합돌부가 형성된 타일 지지판과, 상기 타일 지지판의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상부로 돌출된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타일 지지판의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총 4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관 및 타일 겸용 페데스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와 상기 상부 지지캡 사이에서 서로 상하로 나사결합되어 상기 받침대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 지지캡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가변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변본체는 상기 받침대와 상기 상부 지지캡 사이에서 서로 나사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관 및 타일 겸용 페데스탈.
KR1020210046549A 2021-04-09 2021-04-09 각관 및 타일 겸용 페데스탈 KR102420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549A KR102420470B1 (ko) 2021-04-09 2021-04-09 각관 및 타일 겸용 페데스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549A KR102420470B1 (ko) 2021-04-09 2021-04-09 각관 및 타일 겸용 페데스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0470B1 true KR102420470B1 (ko) 2022-07-13

Family

ID=82401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549A KR102420470B1 (ko) 2021-04-09 2021-04-09 각관 및 타일 겸용 페데스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4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4057A (ko) 2022-09-28 2024-04-04 주식회사 알앤티 건축용 페데스탈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555B1 (ko) 2007-03-22 2007-11-01 (주)화석엔지니어링 높낮이 조절 폭이 향상된 건축용 나사형 페데스탈
KR20080068725A (ko) * 2005-10-28 2008-07-23 알란 시안 기 리 엘리베이티드 플로어 받침대용 경사 보상장치
KR20100002784U (ko) * 2008-09-01 2010-03-10 이성규 체육시설 플로어 시공용 이중방진 높이조절장치
KR101133198B1 (ko) 2011-07-14 2012-05-03 주식회사 수주엔지니어링 경사 조절이 향상된 건축용 페데스탈
KR101243872B1 (ko) 2011-07-14 2013-03-20 주식회사 수주엔지니어링 뒤틀림 현상을 방지한 건축용 페데스탈
KR101243873B1 (ko) 2011-07-14 2013-03-20 주식회사 수주엔지니어링 다양한 형태의 마감재를 지지하는 건축용 페데스탈
US20190368203A1 (en) * 2018-06-05 2019-12-05 Progress Profiles Spa Support for raised floors
KR20200110976A (ko) * 2019-03-18 2020-09-28 임철환 데크 시스템용 높이 조절형 받침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725A (ko) * 2005-10-28 2008-07-23 알란 시안 기 리 엘리베이티드 플로어 받침대용 경사 보상장치
KR100772555B1 (ko) 2007-03-22 2007-11-01 (주)화석엔지니어링 높낮이 조절 폭이 향상된 건축용 나사형 페데스탈
KR20100002784U (ko) * 2008-09-01 2010-03-10 이성규 체육시설 플로어 시공용 이중방진 높이조절장치
KR101133198B1 (ko) 2011-07-14 2012-05-03 주식회사 수주엔지니어링 경사 조절이 향상된 건축용 페데스탈
KR101243872B1 (ko) 2011-07-14 2013-03-20 주식회사 수주엔지니어링 뒤틀림 현상을 방지한 건축용 페데스탈
KR101243873B1 (ko) 2011-07-14 2013-03-20 주식회사 수주엔지니어링 다양한 형태의 마감재를 지지하는 건축용 페데스탈
US20190368203A1 (en) * 2018-06-05 2019-12-05 Progress Profiles Spa Support for raised floors
KR20200110976A (ko) * 2019-03-18 2020-09-28 임철환 데크 시스템용 높이 조절형 받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4057A (ko) 2022-09-28 2024-04-04 주식회사 알앤티 건축용 페데스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16412C1 (ru) Приподнятый панельный пол низкого профиля с металлической опорной конструкцией
KR101319511B1 (ko) 엘리베이티드 플로어의 패널 부재들을 지지하기 위한 조정 가능한 받침대 및 그 받침대용 경사 조정 가능 헤드
RU2601639C2 (ru) Потолочная система
CA2966091C (en) Stabilizing systems for deck pedestals
US7610728B1 (en) Molded plastic system for use in constructing footings or supports for structures
AU2008215184B2 (en) Bearer holder
KR102420470B1 (ko) 각관 및 타일 겸용 페데스탈
US8448404B2 (en) Bond beam rebar positioner
KR102285238B1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JPH03502221A (ja) モジュール スペース フレーム耐震構造
KR100728707B1 (ko) 물탱크용 기초 패드
KR20150084878A (ko) 건식 벽 구조들을 프레이밍하기 위한 유연한 건식 벽 그리드 부재
US7398961B2 (en) System for mounting a hollow post about a pipe
CA1218860A (en) Concrete faced bin wall
KR101133198B1 (ko) 경사 조절이 향상된 건축용 페데스탈
EP0289511A1 (en) SYSTEM FOR RISING FLOORS.
KR101243873B1 (ko) 다양한 형태의 마감재를 지지하는 건축용 페데스탈
KR102322133B1 (ko) 건축용 페데스탈
KR20200110976A (ko) 데크 시스템용 높이 조절형 받침장치
KR101243872B1 (ko) 뒤틀림 현상을 방지한 건축용 페데스탈
US20200039801A1 (en) Support
KR20110009528A (ko) 다축 연결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아치형 하우스 구조물
KR200456885Y1 (ko) 케이블 받침대
AU2012101683A4 (en) Adjustable pedestal
KR102429083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바닥재용 멀티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