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784U - 체육시설 플로어 시공용 이중방진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체육시설 플로어 시공용 이중방진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784U
KR20100002784U KR2020080011867U KR20080011867U KR20100002784U KR 20100002784 U KR20100002784 U KR 20100002784U KR 2020080011867 U KR2020080011867 U KR 2020080011867U KR 20080011867 U KR20080011867 U KR 20080011867U KR 20100002784 U KR20100002784 U KR 201000027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height
rubber
yoke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18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0761Y1 (ko
Inventor
이성규
김진구
Original Assignee
이성규
김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규, 김진구 filed Critical 이성규
Priority to KR20200800118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761Y1/ko
Publication of KR201000027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7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7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7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체육시설의 플로어 시공용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멍에목을 지지하는 상부방진고무(1)와 이를 고정하는 상부고정받침대(2), 상-하단에 각각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수나사로 이루어진 높이조절나사(3), 수나사를 지지하는 하부고정받침대(4), 그리고 밑바닥에서 진동을 억제하는 하부방진고무(5)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은 상부고정받침대(2)의 가로, 세로 길이가 다르고 상부방진고무(1)를 가로, 세로의 모든 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어서 멍에목의 크기에 맞추어 조립할 수 있고, 조립 후 멍에목을 상부방진고무(1)에 고정한 상태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안되어 있으며, 높이조절나사(3)의 상-하단의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성되어 조절이 용이하고 신속할 뿐만 아니라 방진고무가 상-하단에 이중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체육시설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체육시설의 플로어 시공에 있어서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비용을 줄이면서 쉽게 플로어의 수평도를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방진고무, 높이조절장치, 방진용 높이조절장치,체육관 플로어 시공

Description

체육시설 플로어 시공용 이중방진 높이조절장치{Height-adjuster having double vibro-isolation function for a wooden floor construction in a gymnasium }
본 고안은 체육시설(실내체육관)의 플로어 시공에 있어서 플로어 하부의 멍에목과 장선목을 고정하고 수평을 조절하는 방진용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로어의 수평을 유지하고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사용하는 것으로, 종래의 방진용 높이조절장치는 특정된 크기의 방진고무에 수나사를 삽입하여 높이조절과 플로어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멍에목을 고정한 상태에서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울 뿐만 아니라 멍에목의 크기에 따라 여러 가지의 제품이 제작되거나 사용되어야 하므로 작업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체육시설의 플로어 시공에 있어서 플로어에서의 진동을 억제하고 플로어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진용 높이조절장치에 대한 것으로, 종 래에는 높이조절장치와 방진용, 멍에목 지지대가 별개의 장치로 사용되거나 단일 장치로 구성되었더라도 멍에목을 고정시켜서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형태이다. 또한 멍에목의 크기에 따라 다른 종류의 장치를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방진고무(1), (5)와 높이조절나사(3)와 이들을 연결하는 받침대(2), (4)로 구성되는 장치이다.
종래의 장치는 멍에목을 고정한 상태에서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울 뿐만 아니라 멍에목의 크기에 따라 여러 가지의 제품이 제작되거나 사용되어야 하므로 작업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단일의 장치로 두 가지 이상으로 정해진 멍에목 크기에 맞게 방진고무를 조립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며, 멍에목과 장선목을 고정한 상태에서 높이조절이 가능하고 상-하부의 방진고무를 이용하여 이중으로 진동을 억제할 수 있고 상부와 하부가 서로 반대방향인 조절나사를 이용하여 적은 작동으로 긴 이동거리를 가지는 작업효율이 높은 방진용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종래의 방진용 높이조절장치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멍에목을 지지하는 상부방진고무(1)와 이를 고정하는 상부고정받침대(2), 상-하단에 각각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수나사로 이루어진 높이조절나사(3), 수나사를 지지하는 하부고정받침대(4), 그리고 밑바닥에서 진동을 억제하는 하부방진고무(5)로 이루어지고, 상부방진고무(1)를 멍에목의 크기에 맞게 상부 고정받침대에 끼워 조립할수 있게 구성된다.
본 고안의 방진용 높이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체육시설의 플로어를 시공함으로써 멍에목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도 높이조절장치의 교체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멍에 목을 고정한 상태에서도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장치의 양쪽이 반대방향의 수나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높이조절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부의 방진고무의 작용으로 이중으로 진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체육시설의 플로어 시공에 사용되는 방진용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3의 조립도에서 멍에목을 고정하는 한쌍의 상부 방진고무(1)와 이를 지지하는 상부 고정 받침대(2), 높이조절을 위한 높이조절나사(3)와 이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 고정받침대(4), 그리고 하부 방진고무(5)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각 부분의 특징을 보면, 먼저 상부 방진고무(1)는 두 개가 한 쌍으로 사용되며, "ㄴ"모양으로 바닥의 가로부분 하단에 고정받침대에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마루에서의 진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세로부분의 고무는 멍에목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멍에목의 크기에 따라 상부고정받침대(2)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플로어 시공에 사용하는 멍에목의 크기는 두개 내지 세가지의 크기가 규격화되어 사용되므로 이 규격의 크기에 맞게 상부고정받침대(2)의 크기를 정하여 상부방진고무(1)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홈을 만들어 넣을 수 있다.
상부고정받침대(2 )에는 방진 고무를 고정할 수 있는 홈을 두고 가로,세로 길이를 다르게 하여 멍에목의 크기에 따라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상부방진고무(1)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부고정받침대(2)에 홈을 여러 가지 규격으로 둠으로써 다양한 멍에목의 크기를 모두 고정할 수 있고, 중심에는 높이조절나사(3)가 체결될 수 있도록 암나사로 구성되어있는 것이 본 고안의 특징이다.
높이조절나사(3)는 상부와 하부가 각각 오른나사와 왼나사로 구성되어 있어서 높이조절나사(3) 1회전으로 상-하부의 고정받침대가 각각 1회전 함으로써 신속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중심에 조절 핀을 끼워 회전시킴으로써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높이조절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부고정받침대(4)는 높이조절나사(3)와 하부방진고무(5)를 연결하고 지지하며, 본 고안에서 하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고정받침대(2)와 반대방향의 암나사가 중심에 구성되어 높이조절나사 하부에 체결된다.
하부방진고무(5)는 상부고정받침대를 지지하고, 본 고안의 가장 밑바닥을 이루고 있으며 플로어에서 오는 진동을 이중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진,
도 2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방진고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진형 높이조절장치의 조립도를 도시한 그림,
도 4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진형 높이조절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멍에목 고정용 상부방진고무,
2: 상부 방진고무를 지지하는 상부고정받침대,
3: 상-하부가 서로 반대방향의 수나사로 이루어진 높이조절나사,
4: 높이조절나사를 지지하는 하부고정받침대,
5: 바닥의 진동을 억제하는 하부방진고무.

Claims (1)

  1. 체육 시설의 플로어 시공에 있어서, 멍에목을 지지하고 진동을 억제하는 "ㄴ"자 형태의 상부방진고무(1) 두 개와 가로, 세로의 길이는 각각 크기가 다른 멍에목의 크기에 따라 치수를 정하여 상부방진고무(1)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홈을 만들어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상부고정받침대(2), 상부와 하부의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로 구성되어 있어서 1회전으로 상-하 부분이 각각 1회전함으로써 신속하게 높이조절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높이조절나사(3), 그리고 높이조절나사(3)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고정받침대(4)와 바닥에 고정되어 진동을 억제하는 하부방진고무(5)로 구성되어 멍에목을 고정한 상태에서도 높이조절이 가능하며 이중으로 진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체육시설 플로어 시공용 이중방진 높이조절장치.
KR2020080011867U 2008-09-01 2008-09-01 체육시설 플로어 시공용 이중방진 높이조절장치 KR2004507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867U KR200450761Y1 (ko) 2008-09-01 2008-09-01 체육시설 플로어 시공용 이중방진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867U KR200450761Y1 (ko) 2008-09-01 2008-09-01 체육시설 플로어 시공용 이중방진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784U true KR20100002784U (ko) 2010-03-10
KR200450761Y1 KR200450761Y1 (ko) 2010-10-29

Family

ID=44198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1867U KR200450761Y1 (ko) 2008-09-01 2008-09-01 체육시설 플로어 시공용 이중방진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76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382B1 (ko) * 2015-10-01 2017-04-11 (주)제이원산업 마루틀 방진 지지구
KR102322133B1 (ko) * 2021-04-14 2021-11-04 신행철 건축용 페데스탈
KR102420470B1 (ko) * 2021-04-09 2022-07-13 강철 각관 및 타일 겸용 페데스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862Y1 (ko) 2003-02-25 2003-05-16 양승웅 플로어링 보드용 높이조절구
JP2005009298A (ja) 2003-05-26 2005-01-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二重床の支持脚
KR200370519Y1 (ko) 2004-09-13 2004-12-16 주식회사 해광 클린룸 플로어의 높이조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382B1 (ko) * 2015-10-01 2017-04-11 (주)제이원산업 마루틀 방진 지지구
KR102420470B1 (ko) * 2021-04-09 2022-07-13 강철 각관 및 타일 겸용 페데스탈
KR102322133B1 (ko) * 2021-04-14 2021-11-04 신행철 건축용 페데스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761Y1 (ko) 201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9394B1 (ko) 체육관 마루의 완충장치
KR200450761Y1 (ko) 체육시설 플로어 시공용 이중방진 높이조절장치
JP2008508451A (ja) 屋外および屋内に木製の床を敷設するためのフィッティングおよびすべり込みシステム
CN106885111B (zh) 一种led显示屏支架
CN205859533U (zh) 一种纺织机械支撑装置
CN204385897U (zh) 隔震连接座
CN203549301U (zh) 一种摄影机水平调整台座
KR101162662B1 (ko) 2단 높이 조절 받침대
JP5972309B2 (ja) 免震装置、及び免震工法
CN105952764A (zh) 一种防脱固定组件
KR20120014697A (ko) 식탁
CN203139592U (zh) 一种台球桌
KR20140052545A (ko) 마루틀 시스템
KR101876058B1 (ko) 조립식 마루판 고정장치
CN204494001U (zh) 一种机床防脱减震机构
CN203841355U (zh) 一种具有弹性的可调支撑部件
CN211714475U (zh) 一种高架木地板
KR101205434B1 (ko) 물품용 높이 조절 받침대
KR101138178B1 (ko) 다리베개
CN204838270U (zh) 鞋楦定位台
CN220756235U (zh) 一种多功能钓台
CN204125114U (zh) 一种横梁水平调节装置
AU2013100005A4 (en) Auxiliary operation device for game in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140045601A1 (en) Game Table Assembly Structure
CN204188941U (zh) 四杆连接式投影仪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