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885Y1 - 케이블 받침대 - Google Patents

케이블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885Y1
KR200456885Y1 KR2020090012023U KR20090012023U KR200456885Y1 KR 200456885 Y1 KR200456885 Y1 KR 200456885Y1 KR 2020090012023 U KR2020090012023 U KR 2020090012023U KR 20090012023 U KR20090012023 U KR 20090012023U KR 200456885 Y1 KR200456885 Y1 KR 2004568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ans
length adjusting
cable
adjusting means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0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804U (ko
Inventor
봉원남
Original Assignee
노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창석 filed Critical 노창석
Priority to KR20200900120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885Y1/ko
Publication of KR201100028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8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8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8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0Telescop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숫나사산과 복수의 오목홈이 형성된 길이조절수단에 제 1 및 제 2 고정수단을 각각 결합함으로써, 건축물에 설치될 위치의 폭에 맞게 미세하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한 케이블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건물이나 터널과 같은 구조물의 벽면에 설치되어 가설되는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받침대로, 상기 벽면에 각각 고정되는 제 1 및 제 2 고정수단; 및 일단에 숫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에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된 복수의 오목홈이 형성된 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고정수단은 상기 숫나사산에 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고정수단은 상기 복수의 오목홈 중 임의의 위치의 오목홈에 끼워지는 돌기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케이블, 받침대, 나사산, 홈, 지지대, 오목홈, 돌기, 요철부, 탄성부재

Description

케이블 받침대{CABLE SUPPORTER}
본 고안은 케이블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숫나사산과 복수의 오목홈이 형성된 길이조절수단에 제 1 및 제 2 고정수단을 각각 결합함으로써, 건축물에 설치될 위치의 폭에 맞게 미세하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케이블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미관과 케이블의 안전성을 위해 통신 또는 전력선 케이블이 지하로 매설되는 추세이며, 지하로 매설된 케이블이 맨홀이나 지하도를 통하기 위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는 케이블 받침대를 설치하여 케이블을 소정의 간격으로 정리 배열하고 있다. 더불어 케이블이 터널이나 건축물의 천장 또는 벽면 등을 통해 배선될 때에도 케이블의 자체하중으로 인하여 아래로 처지는 경향이 있는바, 이를 해소하고자 케이블 받침대가 사용되어야 한다.
이에 종래에 다양한 형태의 케이블 받침대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바, 파손이 잦고 케이블을 받침대에 고정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사용이 불편하고, 또한 케이블 받침대가 설치될 위치의 폭을 고려하지 않고 받침대가 제작되기 때문에, 폭에 맞지 않으면 케이블 받침대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숫나사산과 복수의 오목홈이 형성된 길이조절수단에 제 1 및 제 2 고정수단을 각각 결합함으로써, 건축물에 설치될 위치의 폭에 맞게 미세하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케이블 받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 1 및 제 2 고정수단의 사이에서 길이조절수단에 지지대가 설치됨으로써, 케이블의 하중이 있더라도 길이조절수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케이블 받침대를 제공함에도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받침대는 건물이나 터널과 같은 구조물의 벽면에 설치되어 가설되는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받침대로, 상기 벽면에 각각 고정되는 제 1 및 제 2 고정수단; 및 일단에 숫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에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된 복수의 오목홈이 형성된 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고정수단은 상기 숫나사산에 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고정수단은 상기 복수의 오목홈 중 임의의 위치의 오목홈에 끼워지는 돌기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받침대는 상기 길이조절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길이조절수단을 지지하는 주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지지대는, 구멍과, 상기 구멍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회전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받침대는 상기 숫나사산이 형성된 영역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 1 고정수단의 결합위치를 한정하기 위한 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목홈의 표면에는 길이를 나타내는 숫자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길이조절수단에는 상기 돌기들이 상기 오목홈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턱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오목홈은 상기 길이조절수단의 외주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길이조절수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요철부의 요부와 상기 오목홈은 상기 길이조절수단의 외주면상에서 원주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벽면에 밀착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수단의 표면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고정수단 및 제 2 고정수단은 받침부와, 그 받침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는 상기 돌출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고정수단 또는 상기 제 2 고정수단을 지지하는 보조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축물에 설치될 위치의 폭에 맞게 길이조절수단에 제 1 및 제 2 고정수단을 결합함으로써, 자유롭게 길이 조절된 케이블 받침대를 건물이나 터널과 같은 구조물의 벽면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길이조절수단을 지지하는 주지지대의 구멍 내주면에 회전방지부를 구비함으로써, 길이조절수단 내에서 주지지대가 고정되면 제 1 및 제 2 고정수단을 조립하거나 주지지대 설치후 거리/간격 조정이 용이한 손잡이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고정수단 또는 제 2 고정수단에 보조지지대가 설치됨으로써, 케이블의 하중이 있더라도 안정적으로 제 1 또는 제 2 고정수단을 더욱 지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고정수단의 결합위치를 너트에 의해 정함으로써, 제 2 고정수단의 결합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편리하게 너트를 조절하여 미세하게 케이블 받침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길이조절수단의 오목홈에 숫자가 형성됨으로써, 케이블 받침대가 설치될 폭을 인식한 경우 제 2 고정수단의 돌기가 결합될 오목홈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오목홈에 턱이 형성됨으로써,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오목홈에 결합된 제 2 고정수단의 돌기들의 이탈을 막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고정수단의 저면에 탄성부재가 설치됨으로써, 벽면이 고르지 않더라도 제 1 및 제 2 고정수단과 벽면과의 밀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받침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받침대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 1 고정수단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지지대의 변형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 1 고정수단의 암나사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받침대(1)는 건물이나 터널과 같은 구조물의 벽면에 설치되며, 가설되는 케이블을 지지한다. 이러한 케이블 받침대(1)는 크게 제 1 및 제 2 고정수단(11, 12)과, 그 제 1 및 제 2 고정수단(11, 12)과 결합되는 길이조절수단(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고정수단(11, 12), 그리고 길이조절수단(13)은 동일한 재질, 예컨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및 제 2 고정수단(11, 12)은 구조물, 예컨대 터널내 설치 위치의 벽멱에 고정된다.
제 1 고정수단(11)은 암나사산(111)이 형성된다. 더 자세하게 제 1 고정수단(11)은 제 1 받침부(11a)와, 그 제 1 받침부(11a)의 중심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된 제 1 돌출부(11b)로 이루어지며, 제 1 돌출부(11b)의 내측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암나사산(111)이 형성된다. 제 1 받침부(11a)의 저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탄성부재(16)가 설치되어, 벽면과의 밀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실 시예에서는 네개의 모서리 부근에 각각 탄성부재(16)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받침부(11a)는 제 1 돌출부(11b)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 1 돌출부(11b)의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산(111)이 길이조절수단(13)의 숫나사산(131)과 결합된 상태에서 손쉽게 제 1 받침부(11a)의 일면이 지면과 평행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제 2 고정수단(12)은 돌기들(121)이 형성된다. 더 자세하게 제 2 고정수단(12)은 제 2 받침부(12a)와, 그 제 2 받침부(12a)의 중심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된 제 2 돌출부(12b)로 이루어지며, 제 2 돌출부(12b)의 상단 내측에서 제 2 돌출부(12b) 내부를 향하도록 돌기들(121)이 형성된다. 제 1 받침부(11a)와 마찬가지로, 제 2 받침부(12a)의 저면에는 탄성부재(16)가 설치되어, 벽면과의 밀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제 2 받침부(12a)는 제 2 돌출부(12b)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제 2 돌출부(12b)의 상단 내측에 형성된 돌기들(121)이 길이조절수단(13)의 복수의 오목홈(132) 중 적어도 하나의 오목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 2 받침부(12a)의 일면이 지면과 평행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길이조절수단(13)은 제 1 및 제 2 고정수단(12)의 결합위치에 따라 케이블 받침대(1)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으로, 일단에 숫나사산(131)이 형성되고, 타단에 복수의 오목홈(132)이 형성된다.
길이조절수단(13)에는 주지지대(14)가 설치될 수 있다. 주지지대(14)는 제 1 및 제 2 고정수단(11, 12)이 결합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길이조절수단(13)의 영역내에서 이동가능하다.
주지지대(14)는 구멍(141)과, 회전방지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방지부(142)는 구멍(141)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방지부(142)는 원주방향으로 길이조절수단(13)의 복수의 오목홈(132) 중 적어도 두개의 오목홈 사이에 위치한 돌기와 돌기 사이에 끼워져, 길이조절수단(13)에서 주지지대(14)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지지대(14)가 길이조절수단(13)에 설치되면 주지지대(14)가 손잡이로 사용될 수 있어, 주지지대(14)를 잡고 케이블 받침대(1)의 거리/간격을 조정하거나, 제 2 고정수단(12)이 길이조절수단(13)에 결합된 상태에서 주지지대(14)를 잡고 제 1 고정수단(11)을 길이조절수단(13)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주지지대(14)는 제 1 및 제 2 고정수단(11, 12)이 결합됨에 따라 지면과 이격되게 위치한 길이조절수단(13)이 케이블(미도시)의 하중으로 인해 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길이조절수단(13)을 지지할 수 있다.
길이조절수단(13)의 숫나사산(131)과 제 1 고정수단(11)의 암나사산(111)이 결합되어, 길이조절수단(13)의 일단에 제 1 고정수단(11)을 결합시킨다. 길이조절수단(13)은 제 1 고정수단(11)의 결합위치를 한정하는 너트(15)에 의해 결합위치가 정해진다. 이때, 너트(15)는 숫나사산(131)이 형성된 길이조절수단(13) 내에서 이동가능하다. 따라서, 너트(15)를 회전시켜 원하는 위치에서 제 1 고정수단(11)이 길이조절수단(13)에 결합될 수 있어, 케이블 받침대(1)의 길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고정수단(11, 12)을 길이조절수단(13)에 결합하여 케이블 받침대(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고안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2 고정수단이 길이조절수단과 일체로 이루어지고, 제 1 고정수단의 결합위치에 따라 케이블 받침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또한, 길이조절수단(13)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홈(132) 중 임의의 위치의 오목홈에는 제 2 고정수단(12)에 형성된 돌기들(121)이 끼어진다. 복수의 오목홈(132)의 표면에는 길이를 나타내는 숫자가 형성되어 있어, 제 2 고정수단(12)의 돌기들(121)이 끼워질 위치를 육안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오목홈(132)은 내부가 중공된 길이조절수단(13)의 외주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열이 길이조절수단(13)의 외주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어, 네개의 돌기들(121) 중 두개의 돌기들이 두개의 열에 위치한 오목홈(132)에 각각 끼워진다.
이때, 길이조절수단(13)에는 오목홈(132)의 막힌 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턱(133)이 형성되어 있다. 턱(133)은 돌기들(121)이 오목홈(132)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어 오목홈(132)에 끼워진 돌기들(121)의 이탈을 막을 수 있다. 나아가, 턱(133)은 외력에 의해 돌기들(121)이 통과되어 오목홈(132)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할 정도의 높이로 정해지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오목홈(132)에서 돌기들(121)이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정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길이조절수단(13)에는 길이방향으로 따라서 요철부(13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요철부(134)는 본 실시예에서 외주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두개의 열로 형성된 복수의 오목홈(132) 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요철부(134)의 요부(134a)는 복수의 오목홈(132)과 원주방향으로 정렬되도록 길이조절수단(13)의 외주면상에 형성되며, 그 요부(134a)에는 제 2 고정수단(12)의 돌기들(121) 중 오목홈(132)에 끼워지지 않은 나머지 돌기들이 개재된다. 이에 따라, 제 2 고정수단(12)의 돌기들(121) 중 두개의 돌기는 복수의 오목홈에 끼워지고, 나머지 두개의 돌기는 요부(134a)에 개재되어 제 2 고정수단(12)과 길이조절수단(13)을 단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케이블 받침대(1)를 더 설명하면, 먼저 길이조절수단(13)에 제 1 및 제 2 고정수단(11, 12)을 결합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제 2 고정수단(12)의 돌기들(121)을 길이조절수단(13)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홈(132) 중 원하는 위치의 오목홈에 결합시키고, 너트에 의해 정해진 위치에서 제 1 고정수단(11)의 암나사산(111)을 길이조절수단(13)의 숫나사산(131)에 결합시킨다.
특히, 제 2 고정수단(12)의 돌기들(121) 중 두개의 돌기는 복수의 오목홈(132)에 끼워지고 나머지 두개의 돌기는 길이조절수단(13)의 외주면상에 복수의 오목홈(132)과 정렬되게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요철부(134)의 요부(134a)에 개재됨으로써 더욱 단단하게 길이조절수단(13)에 제 2 고정수단(12)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길이조절수단(13)에 제 1 및 제 2 고정수단(11, 12)의 결합정도에 따라 25cm 내지 100cm의 길이를 갖는 케이블 받침대(1)로 만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 받침대(1)가 설치될 위치의 폭에 맞게 손쉽게 길이를 조절하여 벽면에 설치할 수 있다. 나아가, 제 1 및 제 2 고정수단(11, 12)의 제 1 및 제 2 받침부(11a, 12a)가 제 1 및 제 2 돌출부(11b, 12b)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길이조절수단(13)에 제 1 및 제 2 고정수단(11, 12)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받침부(11a, 12a)의 네측면 중 어느 한 측면이 지면에 대해 평행하도록 회전시켜 지면에 안정적으로 케이블 받침대(1)가 설치될 수 있다.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받침대(1)의 하중을 고려하여 길이조절수단(13)에 주지지대(14)를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고정수단(11, 12) 중 어느 하나의 고정수단이 길이조절수단(13)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지지대(14)를 설치한 후 나머지 하나의 고정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고정수단(12)에 보조지지대(24)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보조지지대(24)는 제 2 고정수단(12)의 일부 둘레만 감쌀 수 있는 형상을 가지나, 반드시 그 형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지지대(24)가 제 2 고정수단(12)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고정수단 또는 제 1 및 제 2 고정수단에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제 1 및 제 2 고정수단(11, 12)의 제 1 및 제 2 받침부(11a, 12a)의 저면에 탄성부재(16)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벽면이 고르지 않더라도 케이블 받침대(1)가 설치될 위치의 벽멱에 밀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상의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 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고안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받침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받침대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 1 고정수단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지지대의 변형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 1 고정수단의 암나사산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블 받침대 11 : 제 1 고정수단
111 : 암나사산 12 : 제 2 고정수단
121 : 돌기들 13 : 길이조절수단
131 : 숫나사산 132 : 오목홈
133 : 턱 134 : 요철부
14 : 주지지대 16 : 탄성부재
24 : 보조지지대

Claims (10)

  1. 건물이나 터널과 같은 구조물의 벽면에 설치되어 가설되는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받침대로,
    상기 벽면에 각각 고정되는 제 1 및 제 2 고정수단; 및
    일단에 숫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에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된 복수의 오목홈이 형성된 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고정수단은 상기 길이조절수단의 상기 숫나사산에 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고정수단은 상기 길이 조절수단의 상기 복수의 오목홈 중 임의의 위치의 오목홈에 끼워지는 돌기들이 형성되어, 상기 길이조절수단의 숫나사산과 상기 제 1 고정수단의 암나사산의 결합위치와, 상기 길이조절수단의 복수의 오목홈 중 임의의 위치의 오목홈과 상기 제 2 고정수단의 돌기들이 끼워지는 결합위치에 따라 케이블 받침대의 길이가 조절되고,
    지면과 이격되게 위치한 상기 길이조절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길이조절수단을 지지하는 주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지지대는 구멍과, 상기 구멍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회전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받침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숫나사산이 형성된 영역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 1 고정수단의 결합위치를 한정하기 위한 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받침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의 표면에는 길이를 나타내는 숫자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받침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에는 상기 돌기들이 상기 오목홈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받침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목홈은 상기 길이조절수단의 외주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받침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요철부의 요부는 상기 복수의 오목홈과 원주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길이조절수단의 외주면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받침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면에 밀착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수단의 표면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받침대.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수단 및 제 2 고정수단은 받침부와, 그 받침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는 상기 돌출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받침대.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수단 또는 상기 제 2 고정수단을 지지하는 보조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받침대.
KR2020090012023U 2009-09-14 2009-09-14 케이블 받침대 KR2004568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023U KR200456885Y1 (ko) 2009-09-14 2009-09-14 케이블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023U KR200456885Y1 (ko) 2009-09-14 2009-09-14 케이블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804U KR20110002804U (ko) 2011-03-22
KR200456885Y1 true KR200456885Y1 (ko) 2011-11-28

Family

ID=44208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023U KR200456885Y1 (ko) 2009-09-14 2009-09-14 케이블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88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507B1 (ko) * 2013-01-30 2013-06-17 주식회사 유진전기감리 배전 케이블의 처짐 방지와 충격흡수에 용이한 지지고정대
AT17559U1 (de) * 2021-04-07 2022-07-15 Mbm Mathies Sanitaertechnik Gmbh Befestigungssystem für Abwasserrohre und Lüftungsroh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950B1 (ko) * 1999-07-22 2002-08-01 이경호 서포트장치
KR200438500Y1 (ko) 2007-02-24 2008-02-20 조경상 분전반 내부 전선용 지지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950B1 (ko) * 1999-07-22 2002-08-01 이경호 서포트장치
KR200438500Y1 (ko) 2007-02-24 2008-02-20 조경상 분전반 내부 전선용 지지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804U (ko) 2011-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6895B2 (en) Insert bolt having anti-turn function
US10196827B2 (en) Supporting system for above-ground flooring
JP2008308979A (ja) 床及び/又は壁面タイルの組立システム
US20160348831A1 (en) Paver pedestal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KR101160616B1 (ko) 그레이팅 결합 부재 및 이의 설치 방법
US20160090708A1 (en) Manhole with height/inclination-adjustable manhole cover
US20170298638A1 (en) Support Tile for a Tiled Terrace
KR101200596B1 (ko) 기설치된 이중 마루의 내진 보강장치 및 그 설치방법
US20160010875A1 (en) Heating panel with floating floor structure
GB2492203A (en) Anchor Device
KR200456885Y1 (ko) 케이블 받침대
KR20220020186A (ko) 무타공식 벽걸이 tv 거치장치
JP6222766B2 (ja) 屋外用二重床
KR20080089498A (ko) 압축 표시기
EP0388126B1 (en) Underground junction boxes
US2665147A (en) Wire distributing floor structure
KR100622647B1 (ko) 맨홀의 높낮이 조절구조를 갖는 맨홀 성형장치
IT201900001215A1 (it) Supporto per pavimenti sopraelevati
KR101781610B1 (ko) 데크 및 데크 조인트
KR200483244Y1 (ko) 강관 비계틀 기초 지지용 조인트 구조체
KR102420470B1 (ko) 각관 및 타일 겸용 페데스탈
KR102072977B1 (ko) 공동주택단지 전기케이블 보호를 위한 구부러짐 방지시설
TW202117151A (zh) 用於架高地板的托架/支架
KR102322133B1 (ko) 건축용 페데스탈
JP2013124447A (ja) 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