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021B1 -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 - Google Patents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021B1
KR101922021B1 KR1020180058069A KR20180058069A KR101922021B1 KR 101922021 B1 KR101922021 B1 KR 101922021B1 KR 1020180058069 A KR1020180058069 A KR 1020180058069A KR 20180058069 A KR20180058069 A KR 20180058069A KR 101922021 B1 KR101922021 B1 KR 101922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deck
support
pedestal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일
Original Assignee
보현석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현석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보현석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8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2Details of junctions between the supporting structures and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04F15/0247Screw j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높이로 조절할 수 있는 바닥지지대와 일체로 고정 결합된 단위 구성의 데크타일을 바닥면에 전후좌우로 배열하여 고정 설치하는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에 관한 것으로, 일정의 표면적을 갖는 바닥재로 평판형상의 데크타일(2); 상기 복수의 데크타일(2)을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고정 지지하는 바닥지지대(1); 평판형상으로 일측에 커넥터(50)의 제1스페이서(53)가 삽입되는 슬릿(92)이 형성된 지지부(91)가 구비되고, 지지부(91) 정면에 상부 및 하부를 향해 제1지지돌기(93)가 돌출 형성되며, 지지부(91) 하부로 제1삽입돌기(94)가 돌출 형성되고, 제1삽입돌기(94) 전방으로 제2스페이서(95)가 돌출 형성되어, 상단으로 데크타일(2)을 지지하고 하단으로 사이드경계타일(3)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 고정부재(90); 블록형상으로 배면이 상기 페데스탈(10) 외주면의 보강돌기(12) 사이에 밀착 고정되는 몸체부(101)가 구비되고, 몸체부(101) 정면 중심에 제3스페이서(102)가 돌출 형성되며, 정면 하부에서 전방으로 제1지지브래킷(103)이 돌출 형성되고, 제1지지브래킷(103) 정면에 상부를 향해 제2지지돌기(104)가 돌출 형성되어, 제1지지브래킷(103) 상단으로 사이드경계타일(3)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 고정부재(100): 평판형상으로 중심에 나사공(112)이 형성된 상판(111)이 구비되고, 상판(111) 하부로 십자형상의 삽입돌기(113)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데크타일(2)의 모서리가 사방에서 모이는 부분에 나사 결합되는 코너지지부재(110);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지지대(1) 위에 데크타일(2)이 전후좌우로 연속 설치되되, 측면에 사이드경계타일(3)로 마감 때에 상부 고정부재(90)와 하부 고정부재(100)가 적용된 것이다. 본 발명은 페데스탈에 시공된 데크타일이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부재를 적용하여 소음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수평으로 설치되는 데크타일의 높이와 경사각을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데크타일 측면으로 사이드경계타일의 설치가 간편하고, 테크타일의 설치 후에 외부 온도에 의한 열화나 신축 또는 뒤틀림이나 크랙 현상을 방지하고, 습기에 의한 부패나 체적 증가를 방지하며, 데크타일의 시공 편의성 및 신속성을 향상시키고, 시공비용과 더불어 시공된 데크타일의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하는 등 데크타일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Deck Tiles United Pedestal}
본 발명은 데크타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높이로 조절할 수 있는 바닥지지대와 일체로 고정 결합된 단위 구성의 데크타일을 바닥면에 전후좌우로 배열하여 고정 설치하는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크(Deck)는 건물의 옥상이나 주택 테라스 또는 수영장이나 호수나 강가의 접안시설물의 일부로 설치되어 여가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데크는 수평상태의 하부구조인 페데스탈 위에 목재, 세라믹 또는 석재 등의 타일을 올려놓고 못, 볼트, 리벳 등의 체결부재로 결합하는 방식으로 시공한다.
종래에 데크타일을 설치하는 페데스탈은 석재 데크타일이나 세라믹 데크타일을 시공한 때에는 데크타일 위에서 보행 중에 발생하는 충격이나 진동으로 인하여 체결된 스크루가 서서히 풀리게 되어 데크타일이 주저앉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로 인하여 데크타일과 페데스탈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으로 소음이 발생하면서 스크루 풀림현상이 가속화되어 결국에는 재시공을 해야 하는 상황을 일으킨다.
또한, 종래에 페데스탈에 데크타일을 시공할 때에 데크타일의 하중으로 인하여 높낮이 조절이나 기울기가 제한되어 시공의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목재 데크타일을 페데스탈에 시공할 때에 목재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시공하는 경우가 많다. 즉 목재 데크타일을 실외에 설치하게 되면 태양광선에 의한 열화현상과 온도변화에 의한 신축으로 뒤틀림이나 크랙 등의 변형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목재 데크타일은 습도에 의한 체적이 증가하거나 곰팡이의 발생, 부패 현상 등 다양한 문제점을 일으킨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2555호(2007.11.01. 공고)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바닥지지대 위에 부속품과 더불어 복수의 데크타일을 일체로 고정 결합한 단위 구성의 데크타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데크타일의 모서리와 사이드경계타일 모서리를 복수의 바닥지지대와 부속품으로 일체로 고정 결합된 단위 구성의 데크타일을 전후좌우로 고정 결합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지지대와 일체 결합되는 바닥재인 데크타일이 목재인 경우에 데크타일을 고정 지지하는 부속품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습기에 의한 목재의 부패나 곰팡이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 또 다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지지대와 일체 결합되는 바닥재인 데크타일 사이에 충격과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체결부재의 풀림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데크타일의 미끄러짐 방지 및 데크타일 시공 때에 높낮이와 기울기 조절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 또 다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지지대와 일체 결합되는 바닥재인 데크타일이 두께가 각각 다른 목재, 세라믹 또는 석재를 혼용할 때에 바닥지지대와 데크타일 사이에 높이보정부재를 적층하여 높낮이를 일치시키기 위한 것이 또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정의 표면적을 갖는 바닥재로 평판형상의 데크타일; 상기 복수의 데크타일을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고정 지지하는 바닥지지대; 평판형상으로 일측에 상기 커넥터의 제1스페이서가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된 지지부가 구비되고, 지지부 정면에 상부 및 하부를 향해 제1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지지부 하부로 제1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제1삽입돌기 전방으로 제2스페이서가 돌출 형성되어, 상단으로 데크타일을 지지하고 하단으로 사이드경계타일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 고정부재; 블록형상으로 배면이 상기 페데스탈 외주면의 보강돌기 사이에 밀착 고정되는 몸체부가 구비되고, 몸체부 정면 중심에 제3스페이서가 돌출 형성되며, 정면 하부에서 전방으로 제1지지브래킷이 돌출 형성되고, 제1지지브래킷 정면에 상부를 향해 제2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제1지지브래킷 상단으로 사이드경계타일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 고정부재: 평판형상으로 중심에 나사공이 형성된 상판이 구비되고, 상판 하부로 십자형상의 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데크타일의 모서리가 사방에서 모이는 부분에 나사 결합되는 코너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지지대 위에 데크타일이 전후좌우로 연속 설치되되, 측면에 사이드경계타일로 마감 때에 상부 고정부재와 하부 고정부재가 적용되는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지지대와 일체 결합된 데크타일이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부재를 적용하여 소음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수평으로 설치되는 데크타일의 재질에 따라 높이와 경사각을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데크타일 측면으로 사이드경계타일의 설치가 간편하고, 테크타일의 설치 후에 외부 온도에 의한 열화나 신축 또는 뒤틀림이나 크랙 현상을 방지하고, 습기에 의한 부패나 체적 증가를 방지하며, 데크타일의 시공 현장에서 단위 구성의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을 간단한 조립과 더불어 높낮이와 기울기의 조절로 시공의 편의성 및 신속성을 향상시키고, 시공비용과 더불어 시공된 데크타일의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하는 등 데크타일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에서, 바닥지지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에서, 커넥터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을 일체 결합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에서, 바닥지지대 위에 목재 데크타일을 일체 결합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에서, 바닥지지대 위에 목재 데크타일을 일체 결합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에서, 바닥지지대 위에 다양한 재질의 데크타일을 혼용하여 일체 결합하기 위한 바닥지지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에서, 바닥지지대 위에 세라믹 데크타일과 석재 데크타일을 혼용하여 일체 결합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에서, 바닥지지대 위에 목재 데크타일과 석재 데크타일을 혼용하여 일체 결합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에서, 기울기조절장치의 회전판의 평면과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에서, 기울기조절장치의 고정판의 평면과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에서, 기울기조절장치의 회전판과 고정판의 축 결합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에서, 기울기조절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에서, 바닥지지대에 높이조절중간부재를 결합한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에 관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 바닥지지대(1)는 페데스탈(10)에 제1높이조절부재(20)가 나사 결합되고, 제1높이조절부재(20)에 제2높이조절부재(30)가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제2높이조절부재(30) 상부 중심에 간섭방지부재(40)가 결합되고, 제2높이조절부재(30)와 간섭방지부재(40) 위로 커넥터(50)가 결합되며, 커넥터(50) 위로 충격흡수부재(70)가 결합된다. 상기 구성으로부터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로 평면상 데크타일(2)들이 서로 접하는 모서리 부분을 고정 지지한다. 여기에서, 바닥지지대(1)는 페데스탈(10), 제1높이조절부재(20), 제2높이조절부재(30), 간섭방지부재(40), 커넥터(50) 및 충격흡수부재(70)가 일체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서, 바닥지지대(1)로서, 페데스탈(10)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평바닥이나 이미 설치된 타일이나 석재 또는 목재 등의 마감재로 시공된 바닥면 위에 설치된다. 페데스탈(10)은 하부에 바닥면과 접촉하는 플랜지(11)가 돌출 형성된다. 페데스탈(10) 외주면과 플랜지(11) 사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보강돌기(12)가 결합되어 중량물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페데스탈(10)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1높이조절부재(2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페데스탈(10)에 나사 결합된다. 제1높이조절부재(20)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21)가 형성되고, 플랜지(21)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손잡이돌기(22)가 돌출 형성된다. 손잡이돌기(22)는 손으로 제1높이조절부재(20)를 페데스탈(10)로부터 승강시킬 수 있도록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1높이조절부재(20)의 내주면과 외주면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주면의 나사산은 페데스탈(10)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된다.
제2높이조절부재(3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제1높이조절부재(20)에 나사 결합된다. 제2높이조절부재(30)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31)가 형성되고, 플랜지(31)에는 일정 간격으로 통공(32)이 형성된다. 제2높이조절부재(30) 상단 중심에는 제1삽입공(33)이 형성된다. 제1삽입공(33)은 간섭방지부재(40) 하단의 삽입돌기(41)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더욱이 제2높이조절부재(3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높이조절부재(20)의 내주면과 나사 결합된다.
간섭방지부재(40)는 원반 형상으로 상단과 하단 중심에 나사공(42)이 형성된 삽입돌기(41)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삽입돌기(41) 외주연에는 복수의 분리방지돌기(43)가 형성된다. 분리방지돌기(43)는 삽입돌기(41)가 제1삽입공(33)과 결합공(54)에 각각 삽입된 후에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간섭방지부재(40) 상단의 삽입돌기(41)는 커넥터(50) 중심에 형성된 결합공(54)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커넥터(50)는 원반 형상으로 중심에 간섭방지부재(40) 상단에 돌출 형성된 삽입돌기(41)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공(54)이 형성된다. 커넥터(50)는 표면 전체에 걸쳐 복수의 돌기(52)가 돌출 형성된다. 돌기(52)는 데크타일, 바람직하게는 목재로 이루어진 데크타일이 커넥터(50) 표면에 밀접하여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즉, 목재로 이루어진 데크타일은 습기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 강수에 의하여 돌기(52) 사이의 공간으로 물기나 수분이 흘러나가 배수되거나 통기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커넥터(50) 표면에는 방사상으로 90도 각도로 제1스페이서(53)가 돌출 형성된다. 제1스페이서(53)는 커넥터(50) 위에 설치되는 4개의 데크타일 모서리가 설치되는 것을 각각 분리하는 것이다. 즉, 제1스페이서(53)는 90도 각도로 올린 데크타일들이 동일한 면적의 공간을 차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1스페이서(53) 양측 라인에 복수의 제2삽입공(51)이 형성된다. 제2삽입공(51)은 제1스페이서(53)가 돌출 형성된 동일한 라인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설치된다. 제2삽입공(51)은 높이보정부재(60) 저면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결합돌기(61)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제1스페이서(53) 사이에는 고정공(55)이 형성되어 하부로부터 고정공(55)을 관통하여 크리스마스트리 파스너(57)가 결합된다. 또한, 커넥터(50) 위에 돌출된 제1스페이서(53)는 데크타일을 올려 설치하는 위치나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도 6에서, 크리스마스트리 파스너(57)는 데크타일, 특히, 목재로 이루어진 데크타일(4)이 설치될 때에 데크타일(2) 모서리 저면에 형성된 고정홈(2)에 삽입 결합된다. 여기에서, 목재 데크타일(4) 모서리에 코너지지부재(110)가 삽입되고, 코너지지부재(110) 중심에 스크루(115)가 삽입되어 와셔(81)를 거쳐 간섭방지부재(40)에 나사 결합으로 일체 결합된다.
또한, 도 3에서, 커넥터(50) 저면에는 표면의 제2삽입공(51)을 따라 절단홈(56)이 형성된다. 절단홈(56)은 커넥터(50)를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 벽체나 모서리 부분에서 커넥터(50)의 절반 또는 일부만이 필요한 경우에 칼 등의 절단부재를 이용하여 커넥터(50)를 쉽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충격흡수부재(70)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것으로, 충격흡수부재(70)는 커넥터(50) 위에 위치하는 것이다. 충격흡수부재(70)는 고무나 우레탄 등의 합성수지가 적용되고, 데크타일에 가해진 충격이나 전달된 진동을 흡수하는 것이다.
더욱이 충격흡수부재(70) 위에 목재 데크타일(4)이 시공될 때에 각각의 목재 데크타일(4)의 모서리 중앙에 형성된 호형의 삽입홈(8)에 와셔(81)를 끼우고 스크루(115)로 간섭방지부재(40)의 나사공(42)에 나사 결합하여 목재 데크타일(4), 충격흡수부재(70) 및 커넥터(50)를 일체 결합하되, 목재 데크타일(4) 모서리 저면에 형성된 고정홈(7)에 커넥터(50)의 고정공(55)에 결합된 크리스마스트리 파스너(57)가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더욱이 각각의 목재 데크타일(4) 모서리에 스크루(115)의 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루(80)와 와셔(81), 삽입홈(3), 고정공(55) 및 크리스마스트리 파스너(57)는 목재 데크타일(4)이 직사광선 등의 의한 열화나 온도변화 또는 강수 등에 의한 신축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1에서, 바닥지지대(1)에 일체 결합된 데크타일(2) 측면에 사이드경계타일(3)을 고정 결합할 때에 사이드경계타일(3) 사이에 상부 고정부재(90)와 하부 고정부재(100)가 적용된다. 더욱이 사이드경계타일(3)이 일정 각도로 만나 모서리를 형성할 때에도 상부 고정부재(90)와 하부 고정부재(100)가 적용된다.
상부 고정부재(90)는 일측에 커넥터(50)의 제1스페이서(53)가 삽입되는 슬릿(92)이 형성된 평판형상의 지지부(91)가 구비된다. 그리고 지지부(91) 정면에는 상부 및 하부를 향해 제1지지돌기(93)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부를 향해 돌출된 제1지지돌기(93)는 데크타일(2) 측면을 고정 지지하고, 하부를 향한 제1지지돌기(93)는 사이드경계타일(3) 전면을 고정 지지한다. 또한, 지지부(91) 하부로는 제1삽입돌기(94)가 돌출 형성된다. 제1삽입돌기(94)는 사이드경계타일(3) 내측과 제2높이조절부재(30)의 플랜지(31) 사이를 이격시킨다. 제1삽입돌기(94) 전방으로는 제2스페이서(95)가 돌출 형성되어 사이드경계타일(3) 사이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부 고정부재(90)는 충격흡수부재(70) 상단, 데크타일(2) 저면, 사이드경계타일(3)과 제2높이조절부재(30) 사이 및 사이드경계타일(3) 사이에 접촉되어 상단으로 데크타일(2)을 지지하고 하단으로 사이드경계타일(3) 상단을 지지한다.
또한, 상부 고정부재(90)가 사이드경계타일(3) 사이에 위치할 때에는 제2스페이서(95)가 사이드경계타일(3) 사이에 삽입되지만, 상부 고정부재(90)가 사이드경계타일(3) 내측, 즉, 모서리에 위치할 때에는 제2스페이서(95)는 상부 고정부재(90)로부터 분리되어 삭제된다.
하부 고정부재(100)는 배면이 페데스탈(10) 외주면의 보강돌기(12) 사이에 밀착 고정되는 블록형상의 몸체부(101)가 구비된다. 그리고 몸체부(101) 정면 중심에는 제3스페이서(102)가 돌출 형성되어 사이드경계타일(3) 사이에 삽입된다. 몸체부(101) 정면 하부에서 전방으로 제1지지브래킷(103)이 돌출 형성된다. 제1지지브래킷(103)은 사이드경계타일(3) 저면을 지지한다. 또한, 제1지지브래킷(103) 정면에는 상부를 향해 제2지지돌기(104)가 돌출 형성된다. 제2지지돌기(104)는 사이드경계타일(3)의 하부 저면을 고정 지지한다. 따라서 하부 고정부재(100)는 후방으로 페데스탈(10)에 접촉되고, 전방으로 사이드경계타일(3) 사이를 이격시킴과 더불어 사이드경계타일(3) 하단 저면을 고정 지지한다.
또한, 하부 고정부재(100)가 사이드경계타일(3) 사이에 위치할 때에는 제3스페이서(102)가 사이드경계타일(3) 사이에 삽입되지만, 하부 고정부재(100)가 사이드경계타일(3) 내측, 즉, 모서리에 위치할 때에 제3스페이서(102)는 하부 고정부재(100)로부터 분리되어 삭제된다.
또한, 코너지지부재(110)는 중심에 나사공(112)이 형성된 평판형상의 상판(11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판(111) 하부로 십자형상의 삽입돌기(113)가 돌출 형성되어 데크타일(2)의 모서리가 사방에서 모이는 부분에 나사 결합되는 것이다. 코너지지부재(110)는 데크타일(2)이 외부의 영향, 예컨대, 바람, 특히, 상승하는 바람에 의하여 들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된다. 코너지지부재(110)의 상판(111)은 대략 사각형상으로 각 꼭지점 사이에 만곡부가 형성되고, 만곡부 가장자리는 일정 각도의 경사각이 형성된다. 이는 사람이나 애완동물의 신발이나 발바닥 또는 이동하는 물체의 저면 등이 코너지지부재(110)의 가장자리와의 접촉에 의한 걸림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7은 화강석 등의 석재 데크타일(6)과 세라믹 데크타일(5)이 바닥지지대(1)에 결합되는 것으로, 높이보정부재(60)는 충격흡수부재(70) 위에 두께가 상이한 데크타일이 시공될 때에 두께를 보정하기 위하여 충격흡수부재(70)와 커넥터(50) 사이에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커넥터(50) 위에 석재 데크타일(6)과 세라믹 데크타일(5)이 혼용되어 시공될 때에 높이보정부재(60)가 적용된 것이다. 그리고 높이보정부재(60)는 제1스페이서(53)와 제1스페이서(53) 사이에 결합되고, 높이보정부재(60) 저면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결합돌기(61)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결합돌기(61) 측면에는 끼움돌기(62)가 돌출 형성된다. 결합돌기(61)는 커넥터(50)의 결합공(54)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된다. 더욱이 결합돌기(61)의 끼움돌기(62)는 결합공(54)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어 결합공(54) 사이에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높이보정부재(60)가 커넥터(50)에 쉽게 분리되지 않는 결합이 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 8에서, 커넥터(50) 위에 석재 데크타일(6)과 세라믹 데크타일(5)의 이종의 데크타일을 혼용하여 결합하는 경우로, 제2높이조절부재(30) 위에 커넥터(50)를 위치시킨다. 더욱이 제2높이조절부재(30)와 커넥터(50) 사이에 간섭방지부재(40)를 삽입하여 결합한다. 그리고 석재 데크타일(6)과 세라믹 데크타일(5)을 결합한다. 이때, 석재 데크타일(6)의 두께가 30mm이고 세라믹 데크타일(5)의 두께가 20mm이면, 세라믹 데크타일(5) 아래에는 높이조정부재(60)를 설치한다. 높이조정부재(60)의 두께는 10mm가 될 것이다. 따라서 커넥터(50) 위에 시공되는 석재 데크타일(6)과 세라믹 데크타일(5)의 전체적인 높이는 일치하게 된다. 또한, 석재 데크타일(6) 저면과 커넥터(50) 위에는 미끄럼 방지와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70)를 결합하고, 세라믹 데크타일(5)과 높이보정부재(60) 사이에도 미끄럼 방지와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70)를 결합한다. 이때, 충격흡수부재(70) 사이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스페이서(53)가 돌출되고, 이 스페이서(53) 사이 4방향으로 석재 데크타일(6) 또는 세라믹 데크타일(5)의 모서리를 올려놓는다. 이렇게 페데스탈(10)에 결합된 커넥터(50) 또는 높이조정부재(60)와 충격흡수부재(70) 그리고 그 위로 석재 데크타일(6) 또는 세라믹 데크타일(5)을 전후좌우로 연속 결합한다.
여기에서, 하나의 바닥지지대(1) 위에 4개의 데크타일, 즉, 선택적으로 적용된 석재 데크타일(6)과 세라믹 데크타일(5)의 모서리가 일체 결합된 것을 단위 구성의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A)이 될 것이다.
또한, 도 9는 바닥지지대(1)에 목재 데크타일(4)과 석재 데크타일(6)을 혼용하여 결합하는 경우로, 우선, 제2높이조절부재(30) 위에 간섭방지부재(40)를 삽입하고, 그 위에 커넥터(50)를 위치시켜 결합한다. 그리고 목재 데크타일(4)과 석재 데크타일(6)을 시공한다. 이때, 목재 데크타일(4)의 두께가 40mm이고 석재 데크타일(6)의 두께가 30mm이면, 석재 데크타일(6) 아래에는 높이조정부재(60)를 설치한다. 높이조정부재(60)의 두께는 10mm가 될 것이다. 따라서 커넥터(50) 위에 시공되는 목재 데크타일(4)과 석재 데크타일(6)의 전체적인 높이는 일치하게 된다. 또한, 목재 데크타일(4) 저면과 커넥터(50) 위에는 미끄럼 방지와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70)를 결합하고, 석재 데크타일(6)과 높이보정부재(60) 사이에도 미끄럼 방지와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70)를 결합한다. 이때, 충격흡수부재(70) 사이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스페이서(53)가 돌출되고, 이 스페이서(53) 사이 4방향으로 목재 데크타일(4) 또는 석재 데크타일(6)의 모서리를 올려놓는다. 이렇게 바닥지지대(1)로서 페데스탈(10)에 결합된 커넥터(50) 또는 높이조정부재(60)와 충격흡수부재(70), 그리고 그 위로 목재 데크타일(4) 또는 석재 데크타일(6)을 전후좌우로 연속 결합한다.
여기에서, 하나의 바닥지지대(1) 위에 4개의 데크타일, 즉, 선택적으로 적용된 목재 데크타일(4)과 석재 데크타일(6)의 모서리가 일체 결합된 것을 단위 구성의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A)이 될 것이다.
이와 같이 바닥지지대(1)에 목재 데크타일(4)만 결합될 때에는 별도로 높이보정부재(60)를 적용하지 않는다. 또한, 석재 데크타일로 주로 화강석이 이용되는데 그 두께는 대략 30mm이고, 세라믹 데크타일은 그 두께가 대략 20mm이다. 따라서 석재 데크타일과 세라믹 데크타일을 혼용하는 경우에도 세라믹 데크타일에 높이보정부재(60)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석재 데크타일(6)은 가로 및 세로의 크기를 대략 600X600mm을 기준으로 할 때에 중량은 대략 20~30Kg이지만, 목재 데크타일(4)은 가로 및 세로의 크기를 대략 600X600mm을 기준으로 할 때에 중량은 대략 10Kg 내외로 석재 데크타일(6)은 자체 중량에 의하여 안정된 시공이 가능하지만, 목재 데크타일(4)은 석재 데크타일(4)보다 경량이므로 충격이나 진동에 약하거나 뒤틀림 등의 변형이 오게 된다. 따라서 목재 데크타일(4)은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각 목재 데크타일(4)의 모서리 중앙에 내측으로 호형의 삽입홈(8)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삽입홈(8)에 와셔(81)를 끼우고 스크루(115)를 이용하여 간섭방지부재(40)에 형성된 나사공(42)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목재 데크타일(4), 충격흡수부재(70), 커넥터(50)를 일체로 결합하는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서, 기울기조절장치(200)는 페데스탈(10) 저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각각의 바닥지지대(1)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데크타일 설치장치 위에 설치되는 데크타일들이 전체적으로 수평상태가 형성 및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기울기조절장치(200)는 회전판(210)과 고정판(220)이 축 결합된다. 회전판(210)은 하부가 일정 각도로 경사진 원판형상이다. 경사각은 대략 1~10도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좋지만, 대략 3도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표면 중심에는 보강돌기(211)가 돌출 형성되며 내측으로 원통형 회전축(212)이 관통되어 상하 방향으로 돌출 결합된다. 그리고 표면에는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복수의 원형돌기(214)가 돌출되고, 원형돌기(214) 상단 표면 외측으로 고정돌기(215)가 돌출 형성된다. 고정돌기(215)는 페데스탈(10) 저면에 형성된 고정홈(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기울기조절장치(200) 저면 가장자리 내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고정홈(217)이 복수로 형성되고, 저면에는 중심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원형의 가이드홈(216)이 형성된다.
고정판(220)은 회전판(210)과 축 결합되는 것으로, 고정판(220)은 상부가 일정 각도로 경사진 원판형상이다. 경사각은 대략 1~10도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좋지만, 대략 3도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고정판(220) 중심에는 회전축(212)이 삽입되어 축 결합되는 관통결합공(221)이 형성된다. 고정판(220) 일측에는 상부가 개방된 형상의 손잡이(225)가 돌출 형성된다. 고정판(220) 표면에는 중심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원형의 가이드돌기(222)가 형성된다. 가이드돌기(222) 일측으로 손잡이(225) 내측으로 버튼(223)이 연장 형성되고, 버튼(223) 상단에는 회전판(210)의 고정홈(217)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스토퍼(224)가 돌출 형성된다. 버튼(223) 일측이 가이드돌기(222)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버튼(223) 타측은 상하로 탄성을 갖게 되어 버튼(223)을 누른 상태에서는 스토퍼(224)가 고정홈(217)으로부터 이탈되어 회전판(210)을 회전시킨 수 있고, 버튼(223)을 놓으면 탄성에 의하여 스토퍼(224)가 고정홈(217)에 삽입되어 회전판(210)이 고정판(220)으로부터 회전되는 것을 제한한다.
더욱이 회전판(210) 저면에는 회전축(212)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복수의 제1리브(218)가 돌출 형성되어 회전판(210)의 강성을 도모하고, 고정판(220) 표면에 관통결합공(221)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복수의 제2리브(266)가 돌출 형성되어 고정판(220)의 강성을 도모한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한 기울기조절장치(200)는 고정판(220)에 형성된 관통결합공(221)에 회전판(210)의 회전축(212) 하부가 삽입되어 축 결합되고, 회전축(212) 하부 외주연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지지돌기(213)가 고정판(220) 저면으로 돌출되어 회전축(212)의 이탈을 방지하며, 페데스탈(10) 저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회전판(210)의 고정돌기(213)가 삽입 고정되어 고정판(220)을 중심으로 회전판(210)을 회전시켜 경사진 지면을 따라 페데스탈(10)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것이다.
도 14에서, 높이조절중간부재(230)는 데크타일을 설치할 바닥면이 일정한 경사각일 때에 각 데크타일의 높이에 따른 수평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페데스탈(10)과 제1높이조절부재(20) 사이에 하나 이상으로 나사 결합되는 것이다. 높이조절중간부재(230)는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페데스탈(10)과 제1높이조절부재(20)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의 결합과 시공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바닥지지대(1)와 데크타일(2)을 일체로 결합하기 위하여, 바닥지지대(1)의 페데스탈(10)에 제1높이조절부재(20), 제2높이조절부재(30), 간섭방지부재(40), 커넥터(50) 및 충격흡수부재(70)를 조립하고, 그리고 데크타일(2)의 재질에 따라 혼용할 경우에 높이보정부재(60)를 적용하여 조립한다. 바닥지지대(1)가 조립되면, 그 위에 4방향으로 데크타일(2)을 고정시켜 일체화시킴으로써 단위 구성의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A)이 완성된다. 이때, 바닥지지대(1)를 중심으로 4개의 데크타일(2)이 일체로 고정되고, 4개의 데크타일(2) 외측으로 8개의 바닥지지대(1)가 일체로 고정 결합된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바닥지지대(1)에 목재 데크타일(4), 세라믹 데크타일(5) 또는 석재 데크타일(6)이 독립적으로 또는 혼용하여 일체 결합된 단위 구성의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A)을 시공할 공간에 전후 및 좌우로 배치하면서 시공한다.
더욱이 단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바닥지지대가 일체 결합된 데크타일(A)을 설치하는 장소나 설치할 공간의 바닥면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면서 설치한다. 그리고 바닥지지대(1)를 설치하는 바닥면의 편평도에 따라 제1높이조절부재(20)와 제2높이조절부재(30)를 승강시켜 높이를 조절한다. 제1높이조절부재(20)는 플랜지(21)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손잡이돌기(22)를 잡고 회전시킴으로써 페데스탈(10)로부터 제1높이조절부재(20)를 승강시킨다. 그리고 제2높이조절부재(30)는 제1높이조절부재(20)의 플랜지(21) 직경보다 큰 플랜지(31)로 돌출되어 있어 플랜지(31) 가장자리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킴으로써 제1높이조절부재(20)로부터 제2높이조절부재(3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예컨대, 목재의 데크타일을 시공하는 경우로서, 제2높이조절부재(30) 위에 간섭방지부재(40)를 삽입하고, 그 위에 커넥터(50)를 위치시켜 결합한다. 그리고 커넥터(50) 표면에 미끄럼 방지와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70)를 결합한다. 이때, 충격흡수부재(70) 사이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스페이서(53)가 돌출되고, 이 스페이서(53) 사이 4방향으로 데크타일의 모서리 부분을 올려놓는다. 이렇게 페데스탈(10)에 결합된 커넥터(50) 및 충격흡수부재(70) 위로 데크타일을 전후좌우로 연속 결합한다. 더욱이 충격흡수부재(70) 위로 4방향의 데크타일의 모서리가 시공될 때에 각 모서리 위에 와셔(81)를 놓고 여기에 스크루(80)를 삽입한 후 간섭방지부재(40)의 나사공(42)에 나사 결합한다. 따라서 스크루(80)로 결합된 와셔(81)와 간섭방지부재(40) 사이에는 데크타일(2), 충격흡수부재(70) 및 커넥터(50)가 일체 결합된다.
또한, 도 5에서, 4방향에서 모인 데크타일의 모서리 부분 중심에 코너지지부재(110)를 놓고 나사공(112)을 통해 스크루(115)를 이용하여 간섭방지부재(40)의 나사공(42)에 나사 결합한다. 이때, 데크타일 저면과 간섭방지부재(40) 사이에 와셔(81)가 결합된다.
한편, 데크타일 측면에 사이드경계타일(3)이 연속으로 마감 처리될 때에 상부 고정부재(90)와 하부 고정부재(100)가 결합된다. 즉, 페데스탈(10)과 접하여 사이드경계타일(3)이 설치될 때에 하부 고정부재(100)의 몸체부(101)를 페데스탈(10)의 플랜지(11)와 보강돌기(12) 사이의 호형의 벽면에 밀착 고정시킨다. 그리고 좌우측으로 연결 설치되는 사이드경계타일(3) 저면을 하부 고정부재(100)의 제1지지브래킷(103) 위에 각각 위치시키되, 제2지지돌기(104) 내측과 몸체부(101) 사이에 올려놓는다. 이때, 제3스페이서(102)는 좌측 및 우측으로 연결되는 사이드경계타일(3)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사이드경계타일(3) 상단으로 상부 고정부재(90)를 고정 설치한다. 상부 고정부재(90)의 삽입돌기(94)를 사이드경계타일(3)과 제2높이조절부재(30) 사이에 삽입하되, 지지부(91) 정면의 제1지지돌기(93)와 삽입돌기(94) 사이에 사이드경계타일(3)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2스페이서(95)는 좌측 및 우측으로 연결되는 사이드경계타일(3)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지지부(91)에 형성된 슬릿(92)에는 커넥터(50)의 제1스페이서(53)가 삽입 고정된다.
또한, 사이드경계타일(3)이 일정한 각도로 접하여 모서리가 형성되는 경우에 데크타일 설치장치 측면으로 상부 고정부재(90)와 하부 고정부재(100)가 결합되는데, 상부 고정부재(90)의 삽입돌기(94) 전방으로 돌출된 제2스페이서(95)를 분리시켜 삽입돌기(94) 전면이 사이드경계타일(3) 배면에 밀착되도록 고정 결합시키고, 하부 고정부재(100)의 몸체부(101) 전방으로 돌출된 제3스페이서(102)를 분리시켜 몸체부(101) 전면이 사이드경계타일(3) 배면에 밀착되도록 고정 결합시킨다. 따라서 상부 고정부재(90)는 데크타일 설치장치와 사이드경계타일(3) 사이에서 측면으로는 사이드경계타일(3)과 밀착 고정되고 상면으로는 데크타일(2)이 밀착 고정되도록 하며, 하부 고정부재(100)는 데크타일 설치장치와 사이드경계타일(3) 사이에서 측면으로 페데스탈(10)과 사이드경계타일(3)에 각각 밀착 고정된다.
더욱이 도 13에서, 바닥지지대(1)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페데스탈(10) 아래에 기울기조절장치(200)를 삽입하여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즉, 페데스탈(10) 아래에 기울기조절정치(200)를 고정 설치한 다음에 바닥면의 전후좌우의 기울기에 따라 고정판(220) 위에 축 결합된 회전축(212)을 회전시켜 수평을 맞춘다. 예컨대, 기울기조절장치(200)의 회전판(210) 하부의 기울기가 3도이고, 고정판(220) 상부의 기울기가 3도이면, 고정판(220)과 회전판(210)을 이용하여 데크타일은 최대 6도의 기울기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서, 데크타일을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높이조절중간부재(230)를 페데스탈(10)과 제1높이조절부재(20) 사이에 하나 이상으로 나사 결합하여 데크타일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바닥지지대 2: 데크타일 3: 사이드경계타일 4: 목재 데크타일 5: 세라믹 데크타일 6: 석재 데크타일 7: 고정홈 8: 삽입홈 10: 페데스탈 11: 플랜지 12: 보강돌기 20: 제1높이조절부재 21: 플랜지 22: 손잡이돌기 30: 제2높이조절부재 31: 플랜지 32: 통공 33: 제1삽입공 40: 간섭방지부재 41: 삽입돌기 42: 나사공 43: 분리방지돌기 50: 커넥터 51: 제2삽입공 52: 돌기 53: 제1스페이서 54: 결합공 55: 고정공 56: 절단홈 57: 크리스마스트리 파스너 60: 높이보정부재 61: 결합돌기 62: 끼움돌기 70: 충격흡수부재 81: 와셔 90: 상부 고정부재 91: 지지부 92: 슬릿 93: 제1지지돌기 94: 제1삽입돌기 95: 제2스페이서 100: 하부 고정부재 101: 몸체부 102: 제3스페이서 103: 제1지지브래킷 104: 제2지지돌기 110: 코너지지부재 111: 상판 112: 나사공 113: 삽입돌기 115: 스크루 200: 기울기조절장치 210: 회전판 211: 보강돌기 212: 회전축 213: 지지돌기 214: 원형돌기 215: 고정돌기 216: 가이드홈 217: 고정홈 220: 고정판 221: 관통결합공 222: 가이드돌기 223: 버튼 224: 스토퍼 225: 손잡이 230: 높이조절중간부재

Claims (5)

  1. 일정의 표면적을 갖는 바닥재로 평판형상의 데크타일(2);
    하부에 바닥면과 접촉하는 플랜지(11)가 형성되고, 외주면과 플랜지(11)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보강돌기(12)가 결합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페데스탈(10)과,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손잡이돌기(22)가 돌출 형성된 플랜지(21)가 형성되고, 내주면과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되, 외주면의 나사산은 상기 페데스탈(10) 내주면과 나사 결합되는 제1높이조절부재(20)와,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통공(32)이 형성된 플랜지(31)가 형성되고, 상단 중심에 제1삽입공(33)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높이조절부재(20)의 내주면과 나사 결합되는 제2높이조절부재(30)와, 원반 형상으로 상단과 하단 중심에 나사공(42)이 형성되고 일측에 분리방지돌기(43)가 형성된 삽입돌기(41)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하단의 삽입돌기(41)가 제2높이조절부재(30)의 제1삽입공(33)에 삽입 결합되는 간섭방지부재(40)와, 중심에 상기 간섭방지부재(40) 상단에 돌출 형성된 삽입돌기(41)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공(54)이 형성되고, 표면 전체에 걸쳐 복수의 돌기(52)가 돌출 형성되며 표면에 방사상으로 90도 각도로 제1스페이서(53)가 돌출 형성되고, 결합공(54)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복수의 제2삽입공(51)이 형성되며, 제1스페이서(53) 사이에 크리스마스트리 파스너(57)가 결합되는 고정공(55)이 형성되고, 스페이서(57) 양측 라인 저면에 제2삽입공(51)을 따라 절단홈(56)이 형성된 커넥터(50)와, 방사상으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50) 위에 결합되며, 표면에 데크타일(2)의 모서리가 시공되어 데크타일(2)로부터 전달된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7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데크타일(2)을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고정 지지하는 바닥지지대(1);
    평판형상으로 일측에 커넥터(50)의 제1스페이서(53)가 삽입되는 슬릿(92)이 형성된 지지부(91)가 구비되고, 지지부(91) 정면에 상부 및 하부를 향해 제1지지돌기(93)가 돌출 형성되며, 지지부(91) 하부로 제1삽입돌기(94)가 돌출 형성되고, 제1삽입돌기(94) 전방으로 제2스페이서(95)가 돌출 형성되어, 상단으로 데크타일(2)을 지지하고 하단으로 사이드경계타일(3)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 고정부재(90);
    블록형상으로 배면이 상기 페데스탈(10) 외주면의 보강돌기(12) 사이에 밀착 고정되는 몸체부(101)가 구비되고, 몸체부(101) 정면 중심에 제3스페이서(102)가 돌출 형성되며, 정면 하부에서 전방으로 제1지지브래킷(103)이 돌출 형성되고, 제1지지브래킷(103) 정면에 상부를 향해 제2지지돌기(104)가 돌출 형성되어, 제1지지브래킷(103) 상단으로 사이드경계타일(3)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 고정부재(100):
    평판형상으로 중심에 나사공(112)이 형성된 상판(111)이 구비되고, 상판(111) 하부로 십자형상의 삽입돌기(113)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데크타일(2)의 모서리가 사방에서 모이는 부분에 나사 결합되는 코너지지부재(110);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지지대(1) 위에 데크타일(2)이 전후좌우로 연속 설치되되, 측면에 사이드경계타일(3)로 마감 때에 상부 고정부재(90)와 하부 고정부재(100)가 적용되는,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데스탈(10)과 제1높이조절부재(20) 사이에 높이조절중간부재(230)를 하나 이상으로 나사 결합하여 데크타일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는,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지지대(1)로 고정 지지되는 데크타일(2)은 상기 커넥터(50) 위에 충격흡수부재(70)를 하나 이상으로 선택 적층하여 목재, 세라믹 또는 석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혼용되어 적용되는,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부재(90)가 사이드경계타일(3) 사이에 위치할 때에 제2스페이서(95)가 사이드경계타일(3)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상부 고정부재(90)가 사이드경계타일(3) 내측에 위치할 때에 제2스페이서(95)는 상부 고정부재(90)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하부 고정부재(100)가 사이드경계타일(3) 사이에 위치할 때에 제3스페이서(102)가 사이드경계타일(3)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하부 고정부재(100)가 사이드경계타일(3) 내측에 위치할 때에 제3스페이서(102)는 하부 고정부재(100)로부터 분리되는,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
  5. 제1항에 있어서, 원판형상으로 중심 표면에 돌출된 보강돌기(211) 내측으로 원통형 회전축(212)이 관통되어 상하로 돌출 결합되고, 표면에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원형돌기(214) 상단 표면 외측으로 고정돌기(215)가 돌출 형성되며, 저면 가장자리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홈(217)이 복수로 형성되고, 저면에 중심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원형의 가이드홈(216)이 형성되며, 저면이 일정의 경사각으로 형성된 회전판(210)과,
    원판형상으로 중심에 관통결합공(221)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부가 개방된 형상의 손잡이(225)가 돌출 형성되며, 표면에 중심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원형의 가이드돌기(222)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222) 일측에서 손잡이(225)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고정홈(217)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스토퍼(224)가 돌출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버튼(223)이 구비되고, 표면이 일정의 경사각으로 형성된 고정판(22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220)에 형성된 관통결합공(221)에 상기 회전판(210)의 회전축(212) 하부가 삽입되어 축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212) 하부 외주연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지지돌기(213)가 고정판(220) 저면으로 돌출되어 회전축(212)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페데스탈(10) 저면에 형성된 홈에 회전판(210)의 고정돌기(215)가 삽입 고정되어 고정판(220)을 중심으로 회전판(210)을 회전시켜 경사진 지면에 따라 페데스탈(10)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기울기조절장치(200);를 더 포함하는,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
KR1020180058069A 2018-05-23 2018-05-23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 KR101922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069A KR101922021B1 (ko) 2018-05-23 2018-05-23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069A KR101922021B1 (ko) 2018-05-23 2018-05-23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2021B1 true KR101922021B1 (ko) 2018-11-27

Family

ID=64603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069A KR101922021B1 (ko) 2018-05-23 2018-05-23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02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6077A (zh) * 2019-01-29 2019-05-31 湖州新峰木塑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装拆方便的可调坡度支撑器
RU200026U1 (ru) * 2020-04-03 2020-10-01 Алексей Викторович Цыпляков Регулируемая несу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фальшпола
RU201033U1 (ru) * 2020-06-03 2020-11-24 Алексей Викторович Цыпляков Верхняя опора регулируемой несущей конструкции для фальшпола
CN115045464A (zh) * 2022-06-27 2022-09-13 舍奢(武汉)家居有限公司 一种地板与石材或瓷砖的拼接铺贴方法及结构
KR102448462B1 (ko) * 2021-07-26 2022-09-27 (주)영진배수판 상판의 조립이 가능한 바닥 충격음 완충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555B1 (ko) 2007-03-22 2007-11-01 (주)화석엔지니어링 높낮이 조절 폭이 향상된 건축용 나사형 페데스탈
KR200443230Y1 (ko) 2007-07-26 2009-01-28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클린룸 설치용 포스트에의 스터드볼트 고정장치
KR200452409Y1 (ko) 2010-08-25 2011-02-28 윤건훈 건물 인테리어용 바닥판 지지대
JP2016044444A (ja) 2014-08-21 2016-04-04 フクビ化学工業株式会社 デッキ構造
KR101718101B1 (ko) 2016-07-05 2017-03-20 보현석재 주식회사 데크 타일 설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555B1 (ko) 2007-03-22 2007-11-01 (주)화석엔지니어링 높낮이 조절 폭이 향상된 건축용 나사형 페데스탈
KR200443230Y1 (ko) 2007-07-26 2009-01-28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클린룸 설치용 포스트에의 스터드볼트 고정장치
KR200452409Y1 (ko) 2010-08-25 2011-02-28 윤건훈 건물 인테리어용 바닥판 지지대
JP2016044444A (ja) 2014-08-21 2016-04-04 フクビ化学工業株式会社 デッキ構造
KR101718101B1 (ko) 2016-07-05 2017-03-20 보현석재 주식회사 데크 타일 설치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6077A (zh) * 2019-01-29 2019-05-31 湖州新峰木塑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装拆方便的可调坡度支撑器
CN109826077B (zh) * 2019-01-29 2023-10-24 湖州新峰木塑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装拆方便的可调坡度支撑器
RU200026U1 (ru) * 2020-04-03 2020-10-01 Алексей Викторович Цыпляков Регулируемая несу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фальшпола
RU201033U1 (ru) * 2020-06-03 2020-11-24 Алексей Викторович Цыпляков Верхняя опора регулируемой несущей конструкции для фальшпола
KR102448462B1 (ko) * 2021-07-26 2022-09-27 (주)영진배수판 상판의 조립이 가능한 바닥 충격음 완충재
CN115045464A (zh) * 2022-06-27 2022-09-13 舍奢(武汉)家居有限公司 一种地板与石材或瓷砖的拼接铺贴方法及结构
CN115045464B (zh) * 2022-06-27 2024-05-14 舍奢(武汉)家居有限公司 一种地板与石材或瓷砖的拼接铺贴方法及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2021B1 (ko)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
KR101971619B1 (ko) 바닥지지대 일체형 데크타일
US8695288B2 (en) Structural systems for restraining elevated surface tiles
US7052200B2 (en) Resilient deck board fastener
US7140156B1 (en) System for installation of decking tiles
US20140366461A1 (en) Precision Height Adjustable Flooring Substrate Support Sytem
KR101718101B1 (ko) 데크 타일 설치장치
US8387317B2 (en) Systems and support assemblies for restraining elevated deck components
US20110016809A1 (en) Support pedestal having an anchoring washer for securing elevated surface tiles
EP3578733A1 (en) Support for raised floors
US20110011012A1 (en) Stability bracing of a support structure for elevating a building structure
US20140083047A1 (en) Support pedestal assembly including a stabilizing collar for stabilizing a support structure
CN110067360B (zh) 架空可调节地坪系统
WO2014204983A1 (en) Deck board fastener and arrangement
US202004079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cking tiles
US20160010875A1 (en) Heating panel with floating floor structure
US9670681B2 (en) Anchoring member
CN109610752B (zh) 一种楼梯装饰总成及楼梯装修方法
KR200489051Y1 (ko) 데크타일 설치장치의 기울기 조절장치
WO2011089586A1 (en) An access floor system
KR100740707B1 (ko) 마루널 고정장치
CA2810079C (en) Structural systems for restraining elevated surface tiles
EP1911904B1 (en) Tiled floor with at least three tiles and a tile support
KR101284778B1 (ko) 레일장선이 구비된 마루틀 및 마루널의 시공방법
KR200352196Y1 (ko) 마루널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