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2024A - 열성형 시트 및 열성형된 패키지 - Google Patents

열성형 시트 및 열성형된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2024A
KR20240042024A KR1020247007379A KR20247007379A KR20240042024A KR 20240042024 A KR20240042024 A KR 20240042024A KR 1020247007379 A KR1020247007379 A KR 1020247007379A KR 20247007379 A KR20247007379 A KR 20247007379A KR 20240042024 A KR20240042024 A KR 20240042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hermoformed
sheet
thermoforming
out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7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막심 바게넨데
베르트 드 쇼엔메이커
Original Assignee
암코르 플렉서블스 노스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암코르 플렉서블스 노스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암코르 플렉서블스 노스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42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202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8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1Heat sea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3Coloured on the layer surface, e.g. 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열성형 시트는 외부 필름, 인쇄된 안료층, 접착층, 내부층, 및 내부 밀봉층을 포함한다. 외부 필름은 5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를 포함한다. 내부층은 6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한다. 내부층은 100 μm 내지 350 μm의 두께를 추가로 포함한다. 인쇄된 안료층 및 접착층은 외부 필름과 내부층 사이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열성형 시트 및 열성형된 패키지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열성형 시트 및 열성형된 패키지, 특히 재활용 가능한 열성형 시트, 및 재활용 가능한 열성형 시트를 포함하는 열성형된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제품을 저장하기 위한 다양한 유형의 패키지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일 예에서, 패키지는 제품이 보관되는 공동을 형성하는 열성형된 트레이, 및 공동을 덮기 위해 열성형된 트레이에 밀봉된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패키지는 제품이 보관되는 공동을 형성하고 덮기 위해 서로에 대해 접힌 열성형된 포켓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키지의 열성형된 트레이 및 열성형된 포켓은 복잡한 곡선 형태 및 날카로운 에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작은 치수에서, 복잡한 곡선 형태 및 날카로운 에지 형상은 열성형된 트레이 및 열성형된 포켓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필름/시트의 열성형성에 대해 도전적인 요구를 제시할 수 있다.
현재, 패키지의 열성형된 트레이 및 열성형된 포켓은, 특히 패키지가 복잡한 형상을 갖는 경우, 종래의 열성형 시트(예를 들어, 두꺼운 폴리스티렌 필름 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를 열성형하여 제조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열성형 시트는 일반적으로 재활용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열성형 시트로 제조된 패키지는 재활용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환경 친화적이지 않을 수 있으며, 환경적 지속 가능성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재활용 가능하면서 복잡한 형상으로 열성형될 수 있는 열성형 시트가 개발되었다. 또한, 열성형 시트는 제품을 함유하기 위해 열성형된 패키지로 열성형될 수 있다. 특히, 열성형 시트는 고품질 인쇄와 조합하여 복잡한 곡선 형태 및 날카로운 에지 형상을 갖는 열성형된 패키지로 열성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는 열성형 시트이다. 열성형 시트는 외부 필름을 포함한다. 외부 필름은 5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를 포함한다. 열성형 시트는 인쇄된 안료층, 접착층, 내부층, 및 내부 밀봉층을 추가로 포함한다. 내부층은 6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한다. 내부층은 100 μm 내지 350 μm의 두께를 추가로 포함한다. 인쇄된 안료층 및 접착층은 외부 필름과 내부층 사이에 위치한다.
내부층은 열성형 시트에 원하는 열성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즉, 내부층으로 인해 열성형 시트는 어렵고 도전적인 형상으로 열성형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내부층은 열성형 시트에 자외선 장벽 특성을 추가로 부여할 수 있다. 또한, 6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내부층은 열성형 시트가 재활용 가능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
외부 필름은 반전 인쇄(reverse printing)를 위한 기재를 제공할 수 있다. 인쇄된 안료층은 외부 필름 상에 직접 증착될 수 있다. 또한, 외부 필름은 또한 열성형 시트의 원하는 열성형성을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접착층은 플라스토머 접착제와 같은 재활용 가능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접착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가 재활용 스트림에서 오염물로서 간주되기 때문에, 열성형 시트는 재활용하기가 더 쉬울 수 있다.
내부 밀봉층은 원하는 기능 및 특성, 예를 들어 박리성, 장벽 특성, 밀봉 개시 온도, 마찰 계수 요건 등을 열성형 시트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내부 밀봉층으로 인해 열성형 시트가 그 자체 위로 접힐 수 있고, 내부 밀봉층을 그 자체에 접합함으로써 밀봉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필름은 배향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필름은 배향되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필름은 5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에틸렌계 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필름은 5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쇄된 안료층은 외부 필름에 바로 인접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열성형 시트는 200 μm 내지 500 μm의 두께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층은 2.5 중량% 내지 30 중량%의 탄화수소 수지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층은 배향되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 밀봉층은 폴리에틸렌계 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 밀봉층은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열성형 시트는 8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올레핀의 전체 조성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열성형 시트는 8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프로필렌의 전체 조성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열성형 시트는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장벽 층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구현예는 열성형 시트이다. 열성형 시트는 외부 필름을 포함한다. 외부 필름은 6 μm 내지 50 μm의 두께를 포함하는 배향된 폴리프로필렌계 필름을 포함한다. 열성형 시트는 외부 필름의 표면 상에 직접 증착된 인쇄된 안료층을 추가로 포함한다. 열성형 시트는 접착층 및 내부층을 추가로 포함한다. 내부층은 6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한다. 내부층은 100 μm 내지 350 μm의 두께를 추가로 포함한다. 열성형 시트는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내부 밀봉층을 추가로 포함한다. 인쇄된 안료층 및 접착층은 외부 필름과 내부층 사이에 위치한다.
본 개시의 다른 구현예는 제품을 함유하는 열성형된 패키지이다. 패키지는 전술한 구현예에 따른 열성형 시트를 포함한다. 열성형 시트는 제품 공동을 생성하기 위해 열성형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패키지는 그 자체로 접힌 열성형 시트, 및 열성형 시트의 내부 밀봉층을 그 자체에 접합함으로써 형성된 밀봉부로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열성형 시트는 밀봉부가 적어도 하나의 탭과 제품 공동 사이에 있도록 하는 지점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탭을 포함한다. 패키지는 적어도 하나의 탭을 당기고 밀봉부를 박리함으로써 수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패키지는 제품 공동을 포함하는 열성형 시트, 덮개 재료, 및 열성형 시트의 내부 밀봉층을 덮개 재료에 접합하는 밀봉부로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품은 제품 공동 내부에 기밀 밀봉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열성형 시트는 제1 열성형 시트 및 제2 열성형 시트를 포함한다. 패키지는 제1 및 제2 열성형 시트, 제1 열성형 시트의 내부 밀봉층을 제2 열성형 시트의 내부 밀봉층에 접합하는 밀봉부, 및 제1 및 제2 열성형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제품 공동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열성형 시트는 복잡한 형상으로 열성형될 수 있다. 열성형 시트는, 적용 요건에 기초하여, 열성형된 패키지가 제품 공동에 상응하는 복잡한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열성형 시트로부터 형성되고 복잡한 형상을 갖는 열성형된 패키지는 균열, 색 불균일성, 및 부정합 인쇄(out-of-register print)와 같은 결함이 없을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열성형 시트는 재활용 스트림을 오염시킬 수 있는 종래의 열성형 시트와 대조적으로 재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열성형 시트 및 열성형된 패키지는 환경 친화적일 수 있고 환경적 지속 가능성을 촉진할 수 있다.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구현될 수 있는 본 주제의 여러 양태들이 있다. 이들 양태는 단독으로 또는 본원에 기술된 주제의 다른 양태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이들 양태를 함께 설명하는 것은 이들 양태를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것 또는 이러한 양태를 개별적으로 또는 상이한 조합으로 청구하는 것을 배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는 첨부된 도면과 연관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구현예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면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열성형 시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른 패키지의 개략적인 상부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른 도 2a의 패키지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c는 본 개시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패키지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른 패키지의 개략적인 측면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른 도 3a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면은 반드시 축척에 비례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 사용된 유사한 번호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러나, 주어진 도면에서 구성 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번호의 사용은 동일한 번호로 표지된 다른 도면에서 구성 요소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본 출원은 외부 필름을 포함하는 재활용 가능한 열성형 시트를 설명한다. 외부 필름은 5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를 포함한다. 열성형 시트는 인쇄된 안료층, 접착층, 내부층, 및 내부 밀봉층을 추가로 포함한다. 내부층은 6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한다. 내부층은 100 μm 내지 350 μm의 두께를 추가로 포함한다. 인쇄된 안료층 및 접착층은 외부 필름과 내부층 사이에 위치한다.
내부층은 열성형 시트에 원하는 열성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즉, 내부층으로 인해 열성형 시트를 어렵고 도전적인 형상으로 열성형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내부층은 열성형 시트에 자외선 장벽 특성을 추가로 부여할 수 있다. 또한, 6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내부층은 열성형 시트가 재활용 가능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
외부 필름은 반전 인쇄용 기재를 제공할 수 있다. 인쇄된 안료층은 외부 필름 상에 직접 증착될 수 있다. 인쇄된 안료층은 외부 필름의 주 표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 상에 증착될 수 있다. 또한, 외부 필름은 열성형 시트가 원하는 열성형성을 달성하는 데 도움이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접착층은 플라스토머 접착제와 같은 재활용 가능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접착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가 재활용 스트림에서 오염물로서 간주되기 때문에, 열성형 시트는 재활용하기가 더 쉬울 수 있다.
내부 밀봉층은 원하는 기능 및 특성, 예를 들어 박리성, 장벽 특성, 밀봉 개시 온도, 마찰 계수 요건 등을 열성형 시트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내부 밀봉층으로 인해 열성형 시트가 그 자체 위로 접힐 수 있고, 내부 밀봉층을 그 자체에 접합함으로써 밀봉될 수 있다.
열성형 시트는 복잡한 형상으로 열성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열성형 시트에 의해 형성되고 복잡한 형상을 갖는 열성형된 패키지는 균열, 색 불균일성, 및 부정합 인쇄와 같은 결함이 없을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열성형 시트는 재활용 스트림을 오염시킬 수 있는 종래의 열성형 시트와 대조적으로 재활용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열성형 시트 및 열성형된 패키지는 환경 친화적일 수 있고 환경적 지속 가능성을 촉진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라는 용어는 식별자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용어는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및 "제2"라는 용어는 특징 또는 요소와 함께 사용될 경우 본 개시의 구현예 전체에 걸쳐 상호 교환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필름"이라는 용어는 두께 대비 길이 또는 폭의 비율이 매우 높은 재료이다. 필름은 길이 및 폭에 의해 정의된 두 개의 주요 표면을 갖는다. 필름은 일반적으로 양호한 유연성을 가지며 유연 패키징을 포함하여 매우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필름은 또한 유연성, 반-강성(semi-rigid) 또는 강성이 되도록 두께 및/또는 재료 조성을 가질 수 있다. 필름은 단층 또는 다층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층"이라는 용어는 비교적 일관된 조성식을 갖는(즉, 층이 균질한) 필름 내의 재료의 두께를 지칭한다. 층은 중합체, 셀룰로오스 및 금속을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재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주어진 중합체 층은 단일 중합체 유형 또는 중합체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첨가제가 수반될 수 있다. 주어진 층은 필름을 형성하기 위해 다른 층에 조합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층은 인접한 층 또는 필름에 비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연속적일 수 있다. 주어진 층은 인접한 층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공존할 수 있다. 층은 하위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내부" 및 "외부"라는 용어는 필름 또는 층의 주 표면을 지칭하고, 패키지 구성에서 필름 또는 층의 사용과 관련된 위치를 지칭한다. 내부 필름 또는 층은 패키지 구성에서 최내측 주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필름 또는 층은 패키지 구성에서 최외측 주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내부층"이란 용어는 필름의 주요 외부 표면에 존재하지 않는 필름 구조체의 층을 지칭한다. 내부층은 단일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다층일 수 있다. 필름 내에 하나 이상의 내부층이 있을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열성형"이란 용어는 시트와 몰드 사이에 압력차를 인가함으로써, 열을 인가함으로써, 시트와 몰드 사이에 압력차 및 열을 조합하여 인가함으로써, 또는 임의의 적절한 열성형 기술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열성형될 수 있는 시트를 지칭한다. "열성형성"이라는 용어는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열성형 되고 이어서 원하는 형상을 유지하는 시트의 능력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접착층"이란 용어는 두 개의 인접한 층을 함께 접합하는 주요 기능을 갖는 층을 지칭한다. 접착층은 다층 필름의 두 개의 층 사이에 위치되어 두 개의 층을 서로에 대해 제 위치에 유지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접착층은 접착층 물질과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표면과 원하는 수준의 접착을 제공하는 임의의 적합한 조성물을 가질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밀봉층"이란 용어는 필름, 시트 등의 그 자체 및/또는 동일하거나 다른 필름, 시트 등의 다른 층에 대한 밀봉에 관여하는 필름, 시트 등의 층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장벽"이란 용어는 공격성 제제에 대해 필름, 시트, 웹, 패키지 등의 투과성 요소를 제어하는 임의의 재료를 지칭하며, 산소 장벽, 수분(예: 물, 습도 등) 장벽, 화학 장벽, 열 장벽, 광 장벽, 및 냄새 장벽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장벽층"이란 용어는 이러한 투과성 요소를 제어하는 필름, 시트, 웹, 패키지 등의 층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열 밀봉(heat seal, heat sealing)", "열 밀봉된", "열 밀봉 가능한" 등의 용어는 그 자체 또는 다른 열가소성 필름 층에 열 밀봉 가능한 필름 층, 및 종래의 간접 가열 수단에 의한 두 개의 중합체 표면 사이의 융합 결합의 형성 둘 모두를 지칭한다. 종래의 간접 가열은 인접한 필름 접촉 표면으로의 전도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필름 접촉 표면 상에 충분한 열을 발생시켜 필름 무결성의 손실 없이 그들 사이의 계면 접합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플라스토머"라는 용어는 탄성중합체 및 플라스틱을 조합한 품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의 가공 능력을 가진 고무 유사 특성의 중합체를 지칭한다. 플라스토머의 일례는 에틸렌-알파 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폴리올레핀" 및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라는 용어는 폴리에틸렌 단일중합체, 폴리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또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계 중합체"라는 용어는 에틸렌 결합을 포함하는 중합체를 지칭한다. 폴리에틸렌은 단일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혼성중합체일 수 있다. 폴리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혼성중합체는 다른 유형의 중합체(즉, 비-폴리에틸렌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은 접목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혼입된 작용기를 가질 수 있다. 폴리에틸렌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초저밀도 폴리에틸렌(U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환형 올레핀 공중합체(COC),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EAA), 에틸렌 메타크릴산 공중합체(EMAA), 중화된 에틸렌 공중합체, 예컨대 이오노머, 및 말레인산 무수물 그래프트 폴리에틸렌(MAHgPE)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라는 용어는 프로필렌 단량체로부터 유래된 중합체를 지칭한다. 폴리프로필렌은 단일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혼성중합체일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또는 혼성중합체는 다른 유형의 중합체(즉, 비-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필렌 결합은 일반식: [CH2-CH(CH3)]n으로 나타낼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은 접목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혼입된 작용기를 가질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말레인산 무수물 그래프트 폴리프로필렌(MAHgPP)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및 "EVOH"라는 용어는 모두 중합된 에틸렌 비닐 알코올을 지칭한다.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는 비누화된(또는 가수분해된) 에틸렌/비닐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비닐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가수분해에 의해 또는 비닐 알코올과의 화학 반응에 의해 제조된 에틸렌 공단량체를 갖는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를 지칭한다. 가수분해 정도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5%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는 약 28 내지 48 몰%의 에틸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2 내지 44 몰%의 에틸렌, 및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38 내지 44 몰%의 에틸렌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탄화수소 수지"라는 용어는 석탄 타르, 석유 및 투르펜틴(turpentine) 공급 원료로부터의 중합에 의해 생성된 저 분자량 생성물(분자량 약 10,000 달톤 미만)을 지칭한다. 탄화수소 수지는 2002년 8월 13일에 발행된 미국 특허 제6,432,496호, 또는 2008년 11월 20일에 공개된 미국 특허 출원 제2008/0286547호에 개시되어 있는 탄화수소 수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둘 모두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그 전체가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제한적인 예로서, 탄화수소 수지는 석유 수지, 테르펜 수지, 스티렌 수지, 시클로펜타디엔 수지, 포화 지방족 고리 수지 또는 이러한 수지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제한적인 예로서, 탄화수소 수지는 디시클로펜타디엔(DCPD)이 풍부한 올레핀 공급 원료의 중합으로부터 유래된, 석유 분해 공정에서 생성된 올레핀 공급 원료(예: 원유 C9 공급 스트림)의 중합으로부터 유래된, 순수 단량체(예: 스티렌, α-메틸스티렌, 4-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또는 이들 또는 유사한 순수 단량체 공급 원료의 임의의 조합)의 중합으로부터 유래된, 테르펜 올레핀(예: α-피넨, β-피넨 또는 d-리모넨)의 중합으로부터 유래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래된 탄화수소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탄화수소 수지는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수소화될 수 있다. 탄화수소 수지의 특정 예는 Eastman Chemical Company(테네시주 킹스포트)로부터 입수 가능한 Plastolyn® R1140 탄화수소 수지, Eastman Chemical Company(테네시주 킹스포트)로부터 입수 가능한 Regalite® T1140, Arakawa Chemical Industries, Limited(일본 오사카)로부터 입수 가능한 Arkon® P-140, 및 Hercules Incorporated(델라웨어주 윌밍턴)로부터 입수 가능한 Piccolyte® S135 폴리테르펜 수지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폴리스티렌"이란 용어는 중합체의 반복 골격 내에 적어도 하나의 스티렌 단량체 결합(예: 에틸렌 치환기를 갖는 벤젠(즉, C6H5))을 갖는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지칭한다. 스티렌 결합은 일반식: [CH2-CH2 (C6H5)]n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배향된"이란 용어는 기계 방향 또는 가로방향 중 적어도 하나로 길어진 단층 또는 다층 필름, 시트 또는 웹을 지칭한다. 이러한 절차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배향을 제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텐터링에 의한 후속 신장을 갖는 단일 버블 블로운(bubble blown) 필름 압출 공정 및 슬롯 케이스(slot case) 시트 압출 공정이 포함된다. 이러한 절차의 다른 예는 포획된 버블 또는 이중 버블 공정이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3,546,044호 및 제6,511,688호를 참조하기 바라며, 이들 각각은 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 출원에 통합된다.) 포획된 버블 또는 이중 버블 공정에서, 관형 압출 다이를 떠나는 압출된 일차 튜브는 냉각되고, 붕괴된 다음, 재가열, 재팽창에 의해 배향되어 이차 버블을 형성하고 재냉각된다. 가로 방향 배향은 가열된 필름 튜브를 반경방향으로 팽창시키는 인플레이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기계 방향 배향은 상이한 속도로 회전하는 닙(nip) 롤의 사용, 필름 튜브를 기계 방향으로 당김, 또는 연신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승된 온도에서의 신장 및 이어지는 냉각의 조합은 중합체 사슬을 보다 평행한 구성으로 정렬시킴으로써, 필름, 시트, 웹, 패키지, 또는 다른 것들의 기계적 특성을 개선한다. 구속되지 않고, 어닐링되지 않고, 배향된 물품을 그의 배향 온도로 후속 가열함에 따라, 열 수축(미국 재료시험학회(ASTM) 시험 방법 D2732, "플라스틱 필름 및 시트의 구속되지 않은 선형 열 수축에 대한 표준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되며, 이는 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 출원에 통합됨)이 일어날 수 있다. 배향된 물품을 상승된 온도, 바람직하게는 물품을 포함하는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높고 결정질 융점보다 낮은 상승된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물품이 어닐링되거나 열경화되는 경우, 열수축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재가열/어닐링/가열 경화 단계는 또한 균일한 평평한 폭의 중합체 웹을 제공한다. 중합체 웹은 배향 공정과 인라인 (및 배향 공정에 후속하여) 또는 배향 공정과는 (별도의 공정에서) 오프라인으로 어닐링(즉, 상승된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배향되지 않은" 및 "비배향"이란 용어는 실질적으로 압출 후 배향이 없는 단층 또는 다층 필름, 시트 또는 웹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바로 인접하는"이란 용어는 계면을 공유하는 필름의 두 개의 층, 즉 표면이 두 개의 층 사이에 공통 경계를 형성하도록 서로 접촉하는 필름의 두 개의 층을 식별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산소 투과율"(OTR)이란 용어는 주어진 기간 내에 물질을 통과할 산소의 양으로서 정의된다. OTR은 통상적으로 정의된 온도 및 습도에서 측정될 경우, cm3/m2.day의 단위, 또는 유사한 단위를 사용하여 정의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수증기 투과율"(WVTR)이란 용어는 수증기가 특정 온도 및 상대 습도 조건에서 필름을 통해 투과하는 정상 상태 속도로 정의된다. WVTR은 통상적으로 정의된 온도 및 습도에서 측정될 때, g/m2.day의 단위, 또는 유사한 단위를 사용하여 정의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열성형 시트(100)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열성형 시트(100)는 외부 필름(110)을 포함한다. 외부 필름(110)은 5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필름(110)은 8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필름(110)은 9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필름(110)은 95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필름(110)은 5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에틸렌계 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필름(110)은 8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에틸렌계 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필름(110)은 9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에틸렌계 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필름(110)은 95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에틸렌계 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외부 필름(110)은 5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필름(110)은 8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필름(110)은 9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필름(110)은 95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포함한다.
외부 필름(110)은 두께(110T)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께(110T)는 6 μm 내지 50 μm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께(110T)는 12 μm 내지 50 μm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께(110T)는 20 μm 내지 40 μm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께(110T)는 약 25 μm, 약 30 μm, 또는 약 35 μm이다.
외부 필름(110)은 적용 요건에 기초하여 배향되지 않거나 배향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필름(110)은 배향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필름(110)은 6 μm 내지 50 μm의 두께(110T)를 포함하는 배향된 폴리프로필렌계 필름을 포함한다.
외부 필름(110)은 한 방향("단축") 또는 두 방향("이축")으로 배향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필름(110)은 이축으로 배향된 폴리에틸렌(BOPE) 필름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필름(110)은 이축으로 배향된 폴리프로필렌(BOPP) 필름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필름(110)은 기계 방향 배향 폴리에틸렌(MDOPE) 필름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필름(110)은 기계 방향 배향 폴리프로필렌(MDOPP) 필름일 수 있다.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외부 필름(110)은 배향되지 않는다. 즉,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외부 필름(110)은 비배향이다.
열성형 시트(100)는 내부층(120)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층(120)은 배향되지 않는다. 즉,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층(120)은 비배향이다.
내부층(120)은 6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층(120)은 7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층(120)은 8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층(120)은 2.5 중량% 내지 30 중량%의 탄화수소 수지를 추가로 포함한다. 탄화수소 수지의 예는 석유 수지, 테르펜 수지, 스티렌 수지, 시클로펜타디엔 수지, 포화 지방족 고리 수지, 또는 이러한 수지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탄화수소 수지의 다른 예는 디시클로펜타디엔(DCPD)이 풍부한 올레핀 공급 원료의 중합으로부터 유래된, 석유 분해 공정에서 생성된 올레핀 공급 원료(예: 원유 C9 공급 스트림)의 중합으로부터 유래된, 순수 단량체(예: 스티렌, α-메틸스티렌, 4-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또는 이들 또는 유사한 순수 단량체 공급 원료의 임의의 조합)의 중합으로부터 유래된, 테르펜 올레핀(예: α-피넨, β-피넨 또는 d-리모넨)의 중합으로부터 유래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래된 탄화수소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탄화수소 수지의 일부 다른 예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수소화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수소화된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시클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수소화된 시클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폴리테르펜 수지, 테르펜-페놀 수지, 로진 에스테르 수지, 로진산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탄화수소 수지는 2.5% 내지 30%의 수준으로 내부층(120) 내에 로딩될 수 있다. 열성형 시트(100)의 일부 구현예들은 내부층(120)에서 탄화수소 수지 수준을 5% 내지 20%로 가질 것이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탄화수소 수지는 약 15 중량% 또는 약 7.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탄화수소 수지의 수준은 열성형 시트(100)의 수분 장벽 특성과 열성형 온도 윈도우 모두를 제어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탄화수소 수지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은 열성형 시트(100)의 수분 장벽 특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탄화수소 수지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은 열성형 시트(100)의 열성형 온도 윈도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탄화수소 수지는 내부층(120)의 장벽 특성, 결정성 정도, 및 유리전이온도를 개선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층(120)은 실질적으로 투명하거나 백색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층(120)은 상이한 색상을 갖는 세 개의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층(120)의 두 개의 외부 부분은 백색일 수 있고, 두 개의 외부 부분 사이에 위치한 내부층(120)의 중간 부분은 흑색일 수 있다. 내부층(120)의 이러한 구성(백색/흑색/백색)은 열성형 시트(100)에 자외선 장벽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층(120)은 탄산칼슘(CaCO3) 또는 이산화티탄(TiO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탄산칼슘의 두 개의 층이 내부층(120)에 첨가될 수 있다. 내부층(120)에 탄산칼슘을 첨가하면 내부층(120)의 절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내부층(120)은 캐스트 필름 라인 또는 블로운 필름 라인 상에 제조될 수 있다. 내부층(120)은 블로운 필름 라인 상에 붕괴된 버블로서 생성될 수 있다.
내부층(120)은 두께(120T)를 추가로 포함한다. 두께(120T)는 100 μm 내지 350 μm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께(120T)는 180 μm 내지 275 μm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께(120T)는 180 μm 내지 240 μm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께(120T)는 200 μm 내지 240 μm이다.
내부층(120)은 열성형 시트(100)에 원하는 열성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즉, 내부층(120)은 열성형 시트(100)를 어렵고 도전적인 형상으로 열성형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열성형 시트(100)는 어렵고 도전적인 형상으로 열성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부 경우에, 내부층(120)은 열성형 시트(100)에 자외선 장벽 특성을 추가로 부여할 수 있다.
열성형 시트(100)는 인쇄된 안료층(130)을 추가로 포함한다. 인쇄된 안료층(130)은 오프셋 인쇄, 플렉소그래피(flexography), 로토그라비어(rotogravure), 디지털 인쇄 공정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인쇄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쇄된 안료층(130)은 외부 필름(110)에 바로 인접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쇄된 안료층(130)은 외부 필름(110)의 표면(111) 상에 바로 증착된다. 표면(111)은 내부층(120)을 향하는 외부 필름(110)의 주요 표면일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인쇄된 안료층(130)은 외부 필름(110)의 표면(111) 상에 반전 인쇄될 수 있다. 인쇄된 안료층(130)은 다른 층/필름과 연속적일 수 있거나 불연속적(즉, 패터닝됨)일 수 있다.
인쇄된 안료층(130)은 임의의 적절한 잉크 조성물, 예컨대 건조성 및/또는 경화성 용매 함유 잉크, 폴리올레핀, 폴리(메트)아크릴, 스티렌-(메트)아크릴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라텍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알키드 수지, 로진 수지, 말레 수지, 탄화수소 수지, 니트로셀룰로오스, 폴리비닐 부티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중합체(들) 및/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수성 또는 무용매 잉크, 및 하나 이상의 염료 및/또는 안료를 포함한다.
열성형 시트(100)는 접착층(140)을 추가로 포함한다. 접착층(140)은 적용 요건에 기초하여 임의의 적합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층(140)은 폴리우레탄 분산액, 아크릴 에멀전, 수성 폴리비닐 알코올,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개질된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합성 또는 천연 고무, 용제 기반 아크릴, 1 또는 2성분 용제 기반 폴리우레탄, 및 방사선 경화성 접착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접착층(140)은 용제 기반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접착층(140)은 바람직하게는 열성형 시트(100)의 재활용성을 개선하기 위해 재활용 가능한 접착제(예를 들어, 플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포함한다. 즉, 통상적으로 접착에 사용되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가 재활용 스트림을 오염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플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접착층(140)을 포함하는 열성형 시트(100)는 재활용 가능할 수 있다.
인쇄된 안료층(130)과 접착층(140)은 외부 필름(110)과 내부층(120) 사이에 위치한다. 즉, 인쇄된 안료층(130)과 접착층(140)은 외부 필름(110)과 내부층(120) 사이에 배치된다. 도 1의 도시된 구현예에서, 인쇄된 안료층(130)은 외부 필름(110)과 접착층(140)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도 1의 도시된 구현예에서, 접착층(140)은 인쇄된 안료층(130)과 내부층(120) 사이에 위치한다.
열성형 시트(100)는 내부 밀봉층(150)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 밀봉층(150)은 배향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 밀봉층(150)은 배향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 밀봉층(150)은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 밀봉층(150)은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포함한다.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의 예는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PPR or PP-R), 폴리프로필렌 삼원공중합체, 헤테로상 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개질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을 포함한다.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내부 밀봉층(150)은 폴리에틸렌계 중합체를 포함한다. 폴리에틸렌계 중합체의 예는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초저밀도 폴리에틸렌(ULDPE), 중간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을 포함한다.
내부 밀봉층(150)은 두께(150T)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께(150T)는 30 μm 내지 80 μm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께(150T)는 40 μm 내지 60 μm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께(150T)는 약 45 μm이다.
내부 밀봉층(150)은 열성형 시트(100)에 원하는 기능 및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밀봉층(150)은 원하는 박리성 또는 밀봉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내부 밀봉층(150)은 바람직한 장벽 특성 또는 비장벽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내부 밀봉층(150)은 적용 요건에 기초하여 원하는 밀봉 개시 온도(SIT) 및 원하는 마찰 계수(COF)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 밀봉층(150)은 약 130℃의 낮은 밀봉 개시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내부 밀봉층(150)은 열성형 시트(100)가 그 자체 위로 접히게 할 수 있고, 내부 밀봉층(150)을 그 자체에 접합함으로써 밀봉되게 할 수 있다.
도 1의 도시된 구현예에서, 열성형 시트(100)는 장벽층(160)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도 1의 도시된 구현예에서, 장벽층(160)은 내부층(120)과 내부 밀봉층(150) 사이에 위치한다. 그러나, 일부 구현예에서, 장벽층(160)은 내부 밀봉층(150)에 통합될 수 있다(즉, 내부 밀봉층의 서브층일 수 있다). 즉,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 밀봉층(150)은 장벽층(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장벽층(160)은 에틸렌 비닐 알코올(EVOH)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장벽층(160)은 폴리비닐리덴 디클로라이드(PVDC) 또는 폴리비닐 알코올(PVOH)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장벽층(160)은 낮은 산소 투과율(OTR)을 가질 수 있다. 즉, 일부 구현예에서, 장벽층(160)은 열성형 시트(100)를 통한 산소의 투과를 감소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장벽층(160)은 낮은 수증기 투과율(WVTR)을 가질 수 있다. 즉, 일부 구현예에서, 장벽층(160)은 열성형 시트(100)를 통한 수증기의 투과를 감소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장벽층(160)은 선택사항이다. 즉, 일부 구현예에서, 열성형 시트(100)는 장벽층(16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장벽층(160)이 생략되는 이러한 구현예들에서, 내부 밀봉층(150)은 내부층(120)에 인접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열성형 시트(100)는 내부층(120)과 내부 밀봉층(150) 사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접착층(미도시)을 추가로 포함하여 내부층(120), 내부 밀봉층(150), 및 선택적으로 장벽층(160) 사이의 접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의 도시된 구현예에서, 열성형 시트(100)는 최외층(170)을 추가로 포함한다. 최외층(170)은 외부 필름(11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의 도시된 구현예에서, 최외층(170)은 외부 필름(110)의 표면(112) 상에 배치된다. 표면(112)은 내부층(120)에 대향하여 향하는 외부 필름(110)의 주요 표면일 수 있다. 즉, 표면(112)는 표면(111)과 대향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최외층(170)은 외부 필름(110)의 표면(112) 상에 바로 증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최외층(170)은 오버래커(over-lacquer)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오버래커층은, 예를 들어 니트로셀룰로오스 재료, 실리카와 같은 차단 방지제와 혼합된 니트로셀룰로오스 재료, 및 수성 아크릴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오버래커 층은 수성 아크릴 수지의 경우에 물과 같은 적절한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액체 상태로 적용될 수 있다. 오버래커 층은 외부 필름(110)을 보호할 수 있고, 외부 필름(110)의 표면(112)의 외관을 개선할 수 있다.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최외층(170)은 전술한 인쇄된 안료층(130)과 유사한 인쇄된 안료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최외층(170)은 다층일 수 있고, 외부 필름(110)의 표면(112) 상에 바로 증착된 인쇄된 안료층과 인쇄된 안료층 상에 바로 증착된 오버래커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오버래커층은 인쇄된 안료층을 보호할 수 있고, 외부 필름(110)의 표면(112)의 외관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최외층(170)은 선택사항이다. 즉, 일부 구현예에서, 열성형 시트(100)는 최외층(17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최외층(170)이 생략되는 경우, 외부 필름(110)의 표면(112)은 외부 환경에 노출될 수 있다. 최외층(170) 및 인쇄된 안료층(들)은 다른 층/필름과 연속적일 수 있거나 불연속적(즉, 패터닝된)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열성형 시트(100)는 8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올레핀의 전체 조성물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열성형 시트(100)는 90 중량% 내지 99 중량%의 폴리올레핀의 전체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일부 구현예에서, 열성형 시트(100)는 약 5 중량% 이하의 EVOH 공중합체의 전체 조성물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열성형 시트(100)는 8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프로필렌의 전체 조성물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열성형 시트(100)는 90 중량% 내지 99 중량%의 폴리프로필렌의 전체 조성물을 포함한다.
열성형 시트(100)는 두께(100T)를 추가로 포함한다. 두께(100T)는 열성형 시트(100)의 전체 두께일 수 있다. 즉, 두께(100T)는 열성형 시트(100)의 모든 층과 필름의 두께의 합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께(100T)는 200 μm 내지 500 μm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두께(100T)는 225 μm 내지 350 μm이다.
열성형 시트(100)는 원하는 열성형성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복잡한 형상으로 열성형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열성형 시트(100)는 하나 이상의 제품을 저장하고 함유하기 위해 복잡한 형상과 디자인을 갖는 패키지로 열성형될 수 있다. 열성형 시트(100)에 의해 형성된 패키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품은 개선된 유통 기한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열성형 시트(100)는 재활용 스트림을 오염시킬 수 있는 종래의 열성형 시트와 비교하여 재활용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열성형 시트(100)는 환경 친화적일 수 있고 환경적 지속 가능성을 촉진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열성형된 패키지(200)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패키지(200)의 개략적인 상부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b는 패키지(200)의 개략적인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패키지(200)는 도 1의 열성형 시트(100)를 포함한다. 열성형 시트(100)는 열성형되어 제품 공동(210)을 생성한다. 즉, 패키지(200)는 제품 공동(210)을 생성하기 위해, 포지티브 몰드 열성형, 네가티브 몰드 열성형 등과 같은 적절한 열성형 공정에 의해 도 1의 열성형 시트(100)에 의해 제조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공동(210)을 포함하는 패키지(200)는 복잡한 곡선 형태, 및 예리한 가장자리 형상을 가지며, 이는 열성형 시트(100)의 열성형성에 대한 도전적인 요구를 제시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열성형 시트(100)는 패키지(200)의 복잡한 곡선 형태 및 예리한 가장자리 형상으로 열성형될 수 있는 원하는 열성형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구현예와 같이, 패키지(200)는 그 자체 위로 접힌 열성형 시트(100) 및 열성형 시트(100)의 내부 밀봉층(150)(도 1에 더욱 상세히 도시됨)을 그 자체에 접합함으로써 형성된 밀봉부(220)로 이루어진다. 밀봉부(220)는 열 밀봉부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밀봉층(150)은 약 130℃의 낮은 밀봉 개시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밀봉부(220)는 약 130℃의 온도에서 형성될 수 있다.
패키지(200)는 제품(230)을 포함한다. 제품(230)은 제품 공동(210) 내에 함유된다. 패키지(200)는 휴대용 식품을 포장하기 위한 일회용 팩일 수 있다. 제품(230)은, 예를 들어, 수프, 분말 음료, 코코아, 견과류, 다과류, 시리얼, 캔디, 치즈, 요구르트, 딥, 잼, 및 케첩과 같은, 건조, 액체, 또는 페이스트 식품을 포함하는 음식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품(230)은 가정용/가든 제품, 및 의료 장치/제품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품(230)은 제품 공동(210) 내부에 기밀 밀봉된다. 즉, 일부 구현예에서, 밀봉부(220)는 제품 공동(210) 내부에 제품(230)을 기밀 밀봉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열성형 시트(100)는, 밀봉부(220)가 적어도 하나의 탭(180)과 제품 공동(210) 사이에 있도록 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탭(180)을 추가로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탭(180)은 밀봉부(220)를 넘어 연장되는 열성형 시트(100)의 연장부일 수 있다. 연장부는 열성형 시트(100)가 그 자체 위로 접힐 경우 정의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패키지(200)는 적어도 하나의 탭(180)을 당기고 밀봉부(220)를 박리함으로써 수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탭(180)은 패키지(200)의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c는 본 개시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열성형된 패키지(250)의 개략적인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패키지(250)는 도 1의 열성형 시트(1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2c의 도시된 구현예에서, 열성형 시트(100)는 제1 열성형 시트(100A) 및 제2 열성형 시트(100B)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라는 용어는 식별자로서 사용된다. 즉, 제1 열성형 시트(100A) 및 제2 열성형 시트(100B)는 열성형 시트(100)와 동일하다.
열성형 시트(100)는 열성형되어 제품 공동(260)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도 2c의 도시된 구현예에서, 제1 열성형 시트(100A) 및 제2 열성형 시트(100B) 각각은 열성형되어 제품 공동(260)을 생성한다.
도 2c의 도시된 구현예에서, 패키지(250)는 제1 및 제2 열성형 시트(100A, 100B), 제1 열성형 시트(100A)의 내부 밀봉층(150)(도 1에 더욱 상세히 도시됨)을 제2 열성형 시트(100B)의 내부 밀봉층(150)(도 1에 더욱 상세히 도시됨)에 접합하는 밀봉부(270), 및 제1 및 제2 열성형 시트(100A, 100B) 사이에 위치된 제품 공동(260)으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 열성형 시트(100A, 100B)는 함께 제품 공동(260)을 정의할 수 있다. 밀봉부(270)는 열 밀봉부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밀봉층(150)은 약 130℃의 낮은 밀봉 개시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밀봉부(270)는 약 130℃의 온도에서 형성될 수 있다.
패키지(250)는 제품(280)을 포함한다. 제품(280)은 제품 공동(260) 내에 포함된다. 패키지(250)는 휴대용 식품을 포장하기 위한 일회용 팩일 수 있다. 제품(280)은, 예를 들어, 수프, 분말 음료, 코코아, 견과류, 다과류, 시리얼, 캔디, 치즈, 요구르트, 딥, 잼, 및 케첩과 같은, 건조, 액체, 또는 페이스트 식품을 포함하는 음식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품(280)은 가정/가든 제품, 및 의료 장치/제품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품(280)은 제품 공동(260) 내부에 기밀 밀봉된다. 즉, 일부 구현예에서, 밀봉부(270)는 제품 공동(260) 내부에 제품(280)을 기밀 밀봉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열성형 시트(100A)는 밀봉부(270)가 적어도 하나의 탭(180A)과 제품 공동(260) 사이에 있도록 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탭(180A)을 추가로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탭(180A)은 밀봉부(270)를 넘어 연장되는 제1 열성형 시트(100A)의 연장부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패키지(250)는 적어도 하나의 탭(180A)을 당기고 밀봉부(270)를 박리함으로써 수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탭(180A)은 패키지(250)의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열성형된 패키지(300)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패키지(300)의 개략적인 측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b는 패키지(300)의 개략적인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패키지(300)는 도 1의 열성형 시트(100)를 포함한다. 열성형 시트(100)는 열성형되어 제품 공동(310)을 생성한다. 즉, 패키지(300)는 제품 공동(310)을 생성하기 위해, 포지티브 몰드 열성형, 네가티브 몰드 열성형 등과 같은 적절한 열성형 공정에 의해 도 1의 열성형 시트(100)를 열성형함으로써 제조된다.
도 3a 및 도 3b의 도시된 구현예에서, 열성형 시트(100)는 트레이로 열성형되어 제품 공동(310)을 생성한다. 또한, 도 3a 및 도 3b의 도시된 구현예에서, 패키지(300)는 덮개 재료(350)를 추가로 포함한다. 덮개 재료(350)는 시트/필름의 형태일 수 있다. 덮개 재료(350)는 중합체 필름, 래커, 호일, 종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덮개 재료(350)는 HDPE, MDPE, LDPE,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아미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열가소성 올레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덮개 재료(350)는 열가소성 밀봉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패키지(300)는 제품 공동(310)을 포함하는 열성형 시트(100), 덮개 재료(350), 및 열성형 시트(100)의 내부 밀봉층(150)(도 1에 더욱 상세히 도시됨)을 덮개 재료(350)에 접합하는 밀봉부(320)로 구성된다. 밀봉부(320)는 열 밀봉부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밀봉층(150)은 약 130℃의 낮은 밀봉 개시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밀봉부(320)는 약 130℃의 온도에서 형성될 수 있다.
패키지(300)는 제품(330)을 포함한다. 제품(330)은 제품 공동(310) 내에 포함된다. 제품(330)은, 예를 들어, 수프, 분말 음료, 코코아, 견과류, 다과류, 시리얼, 사탕, 치즈, 요구르트, 딥, 잼, 및 케첩과 같은, 건조, 액체, 또는 페이스트 식품을 포함하는 음식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품(330)은 가정/가든 제품, 및 의료 장치/제품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품(330)은 제품 공동(310) 내부에 기밀 밀봉된다. 즉, 일부 구현예에서, 밀봉부(320)는 제품(330)을 제품 공동(310) 내부에 기밀 밀봉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덮개 재료(350)는 밀봉부(320)가 적어도 하나의 탭(380)과 제품 공동(310) 사이에 있도록 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탭(380)을 더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탭(380)은 밀봉부(220)를 넘어 연장되는 덮개 재료(350)의 연장부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패키지(300)는 적어도 하나의 탭(380)을 당기고 밀봉부(320)를 박리함으로써 수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탭(380)은 패키지(300)의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개시의 범주를 제한하거나 달리 정의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을 참조하면, 288 마이크론(μm)의 두께(100T)로 제1 열성형 시트를 제조하였다. 제1 열성형 시트는 중량이 261.8 GSM(g/m2)이었다.
제1 열성형 시트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외부 필름(110)을 포함하였다. 외부 필름(110)은 두께(110T)가 40 μm이고, 중량이 36 g/m2이었다.
제1 열성형 시트는 인쇄된 안료층(130) 및 접착층(140)을 추가로 포함하였다. 인쇄된 안료층(130)은 잉크를 포함하고, 외부 필름(110), 특히 외부 필름(110)의 표면(111)에 반전 인쇄되었다. 또한, 접착층(140)은 두께가 4 μm이고 중량이 4.5 g/m2이었다.
제1 열성형 시트는 폴리프로필렌 및 7.5%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내부층(120)을 추가로 포함하였다. 내부층(120)은 두께(120T)가 200 μm이고 중량이 179.5 g/m2이었다.
제1 열성형 시트는 폴리프로필렌 및 에틸렌 비닐 알코올(EVOH)을 포함하는 내부 밀봉층(150)을 추가로 포함하였다. 따라서, 장벽층(160)을 내부 밀봉층(150)에 포함시켰다. EVOH 층은 두께가 4 μm이었다. 또한, 내부 밀봉층(150)은 총 두께가 40 μm이고 중량이 37.3 g/m2이었다.
제1 열성형 시트는 내부층(120)과 내부 밀봉층(150)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미도시)을 추가로 포함하였다. 접착층은 두께가 4 μm이고 중량이 4.5 g/m2이었다.
제1 열성형 시트의 조성물, 장벽 특성, 및 밀봉 특성은 하기 표 1 및 표 2에 요약되어 있다.
표 1: 실시예 1에 대한 조성물 및 장벽 특성
표 1을 참조하면, 제1 열성형 시트는 수증기 투과율(WVTR)이 38℃ 및 90% 상대 습도(RH)에서 3 g/m2.d이었다. 또한, 제1 열성형 시트는 산소 투과율(OTR)이 23℃ 및 50% RH에서 1 cm3/m2.d.atm이었다.
표 2: 실시예 1에 대한 열 밀봉 특성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열성형 시트를 밀봉 특성에 대해 ASTM F88에 따라 시험하였다. 실시예 1 시트의 두 개의 샘플의 내부 밀봉층 사이에 열 밀봉부를 생성하였다. 열 밀봉 조건: 두 개의 가열된 밀봉 바(상단/하단), 시간 = 1초, 압력 = 400N/20cm2. 15 mm의 폭을 갖는 절단된 샘플에 걸쳐, 표시된 방향(MD=기계 방향, CD=교차 방향)으로, 300 mm/min의 당김 속도를 사용하여 밀봉 강도를 시험하였다. 보고된 밀봉 강도는 세 개의 독립적인 측정의 평균이다. 170℃ 및 180℃의 밀봉 온도에서 밀봉 바에 약간의 점착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도 1을 참조하면, 338 μm의 두께(100T)로 제2 열성형 시트를 제조하였다. 제2 열성형 시트는 총 중량이 307.4 g/m2이었다.
제2 열성형 시트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외부 필름(110)을 포함하였다. 외부 필름(110)은 두께(110T)가 40 μm이고, 중량이 36 g/m2이었다.
제2 열성형 시트는 인쇄된 안료층(130) 및 접착층(140)을 추가로 포함하였다. 인쇄된 안료층(130)은 잉크를 포함하였고, 외부 필름(110), 특히 외부 필름(110)의 표면(111)에 반전 인쇄하였다. 접착층(140)은 두께가 4 μm이고 중량이 4.5 g/m2이었다.
제2 열성형 시트는 폴리프로필렌 및 7.5%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내부층(120)을 추가로 포함하였다. 내부층(120)은 두께(120T)가 250 μm이고 중량이 225.1 g/m2이었다.
제2 열성형 시트는 폴리프로필렌 및 에틸렌 비닐 알코올(EVOH)을 포함하는 내부 밀봉층(150)을 추가로 포함하였다. 따라서, 장벽층(160)을 내부 밀봉층(150)에 포함시켰다. EVOH 층은 두께가 4 μm이었다. 또한, 내부 밀봉층(150)은 총 두께가 40 μm이고 중량이 37.3 g/m2이었다.
제2 열성형 시트는 내부층(120)과 내부 밀봉층(150)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미도시)을 추가로 포함하였다. 접착층은 두께가 4 μm이고 중량이 4.5 g/m2이었다.
제2 열성형 시트의 조성물, 장벽 특성 및 밀봉 특성은 하기 표 3 및 표 4에 요약되어 있다.
표 3: 실시예 2에 대한 조성물 및 장벽 특성
표 3을 참조하면, 제2 열성형 시트의 WVTR은 38℃ 및 90% RH에서 2 g/m2.d이었다. 또한, 제2 열성형 시트의 OTR은 23℃ 및 50% RH에서 1 cm3/m2.d.atm이었다.
표 4: 실시예 2에 대한 열 밀봉 특성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 2의 열성형 시트를 밀봉 특성에 대해 ASTM F88에 따라 시험하였다. 실시예 2 시트의 두 개의 샘플의 내부 밀봉층 사이에 열 밀봉부를 생성하였다. 열 밀봉 조건: 두 개의 가열된 밀봉 바(상단/하단), 시간 = 1초, 압력 = 400N/20cm2. 15 mm의 폭을 갖는 절단된 샘플에 걸쳐서, 표시된 방향(MD=기계 방향, CD=교차 방향)으로, 300 mm/min의 당김 속도를 사용하여 밀봉 강도를 시험하였다. 보고된 밀봉 강도는 세 개의 독립적인 측정의 평균이다. 170℃ 및 180℃의 밀봉 온도에서 밀봉 바에 약간의 점착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 및 2의 각각의 제1 및 제2 열성형 시트를 복잡한 구조(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패키지(200))로 열성형하였으며 크랙이나 다른 결함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제1 및 제2 열성형 시트는 열 밀봉 시 어떠한 손상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제1 및 제2 열성형 시트 각각은 재활용 가능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실시예 1의 구조체의 외부 필름(110) 표면에 내열성 오버래커를 적용하여 제작되었다. 이 오버래커는 재료의 열 밀봉 중에 추가적인 보호 기능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3에 대한 열 밀봉 데이터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생성되었다. 실시예 3에 대한 열 밀봉 데이터는 아래 표 5에 나와 있다. 실시예 1과 비교하여, 210℃의 밀봉 온도까지도 점착 현상이 발견되지 않았다.
표 5: 실시예3에 대한 열 밀봉 특성

Claims (21)

  1. 열성형 시트로서:
    5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외부 필름;
    인쇄된 안료층;
    접착층;
    6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내부층으로서, 상기 내부층은 100 μm 내지 350 μm의 두께를 포함하는 내부층; 및
    내부 밀봉층을 포함하되,
    상기 인쇄된 안료층 및 상기 접착층은 상기 외부 필름과 상기 내부층 사이에 위치하는, 열성형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필름은 배향되는, 열성형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필름은 배향되지 않는, 열성형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필름은 5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에틸렌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열성형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필름은 5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열성형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된 안료층은 상기 외부 필름에 바로 인접하는, 열성형 시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00 μm 내지 500 μm의 두께를 추가로 포함하는, 열성형 시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층은 2.5 중량% 내지 30 중량%의 탄화수소 수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열성형 시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층은 배향되지 않는, 열성형 시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밀봉층은 폴리에틸렌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열성형 시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밀봉층은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열성형 시트.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8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올레핀의 전체 조성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열성형 시트.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8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프로필렌의 전체 조성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열성형 시트.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장벽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열성형 시트.
  15. 열성형 시트로서:
    6 μm 내지 50 μm의 두께를 포함하는 배향된 폴리프로필렌계 필름을 포함하는 외부 필름;
    상기 외부 필름의 표면 상에 직접 증착된 인쇄된 안료층;
    접착층;
    6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내부층으로서, 상기 내부층은 100 μm 내지 350 μm의 두께를 포함하는, 내부층; 및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내부 밀봉층을 포함하되,
    상기 인쇄된 안료층 및 상기 접착층은 상기 외부 필름과 상기 내부층 사이에 위치하는, 열성형 시트.
  16. 제품을 함유하는 열성형된 패키지로서, 상기 패키지는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열성형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열성형 시트는 열성형되어 제품 공동을 생성하는, 제품을 함유하는 열성형된 패키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는:
    그 자체 위로 접히는 상기 열성형 시트; 및
    상기 열성형 시트의 내부 밀봉층을 그 자체에 접합함으로써 형성되는 밀봉부로 구성되는, 제품을 함유하는 열성형된 패키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열성형 시트는 상기 밀봉부가 적어도 하나의 탭과 상기 제품 공동 사이에 있도록 하는 지점에 위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탭을 포함하고,
    상기 패키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탭을 당기고 상기 밀봉부를 박리함으로써 수동으로 개방될 수 있는, 제품을 함유하는 열성형된 패키지.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는
    상기 제품 공동을 포함하는 상기 열성형 시트,
    덮개 재료, 및
    상기 열성형 시트의 내부 밀봉층을 상기 덮개 재료에 접합하는 밀봉부로 구성되는, 제품을 함유하는 열성형 패키지.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상기 제품 공동 내부에 기밀 밀봉되는, 제품을 함유하는 열성형된 패키지.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열성형 시트는 제1 열성형 시트 및 제2 열성형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패키지는, 상기 제1 및 제2 열성형 시트, 상기 제1 열성형 시트의 내부 밀봉층을 상기 제2 열성형 시트의 내부 밀봉층에 접합하는 밀봉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열성형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품 공동으로 구성되는, 제품을 함유하는 열성형된 패키지.
KR1020247007379A 2021-09-03 2021-09-03 열성형 시트 및 열성형된 패키지 KR202400420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21/048971 WO2023033831A1 (en) 2021-09-03 2021-09-03 Thermoformable sheet and thermoformed pack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2024A true KR20240042024A (ko) 2024-04-01

Family

ID=78179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7379A KR20240042024A (ko) 2021-09-03 2021-09-03 열성형 시트 및 열성형된 패키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20240042024A (ko)
CN (1) CN117917977A (ko)
AU (1) AU2021463113A1 (ko)
IL (1) IL311091A (ko)
WO (1) WO202303383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10982A (fr) 1966-12-12 1968-01-26 Machine à fabriquer du tissu non tissé et des produits en feuille incluant un tel tissu
HU221127B1 (en) 1993-04-09 2002-08-28 Viskase Corp Multilayer cheese packaging films process for making such film, and a packaged cheese in such film
US6432496B1 (en) 1997-06-06 2002-08-13 Eastman Chemical Company High density polyethylene films with improved barrier properties
US20080286547A1 (en) 2007-05-18 2008-11-20 Hubbard Michael A Polypropylene films with enhanced moisture barrier properties, process for making and composition thereof
JP5476814B2 (ja) * 2009-06-24 2014-04-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レーザー印刷用積層体、レーザー印刷方法及び該レーザー印刷用積層体を利用した包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917977A (zh) 2024-04-23
AU2021463113A1 (en) 2024-03-14
WO2023033831A1 (en) 2023-03-09
IL311091A (en) 202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4542B2 (en) Label film with improved adhesion
US6844079B2 (en) Film having an improved sealability and adherence
AU2005207968B2 (en) Compositions of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s for heat-sealable easy opening packaging
US7651779B2 (en) Resin composition having easy-openable property
WO2021176948A1 (ja) ガスバリア積層体及び包装袋
EA020995B1 (ru) Склеивающаяся отслаивающаяся пленка
US20140004336A1 (en) Polyolefin laminate film for cardboard lamination
KR20160096589A (ko) 폴리올레핀계 비연신 다층 필름
CN114728510A (zh) 具有金属化聚乙烯层装饰的高耐刮擦层压管
JP2015199797A (ja) 熱収縮フィルム
US11628654B2 (en) Recyclable film
JP6315798B2 (ja) 多層シーラントフィルム
JP7383910B2 (ja) 電子レンジ加熱用蓋付容器及び電子レンジ加熱容器用の蓋体
CA2749873C (en) Label film for deep drawing processes
KR20240042024A (ko) 열성형 시트 및 열성형된 패키지
JP6195789B2 (ja) 多層シーラントフィルム
KR20240042023A (ko) 열성형 시트 및 열성형된 패키지
JP5429852B2 (ja) 包装体
EP3585611A1 (en) Monoaxially or biaxially oriented polyolefin release film
JP4126975B2 (ja) ヒートシール性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CN115996845A (zh) 耐热的可回收利用的蒸煮包装
JP2003208099A (ja) ストレッチラベル
CN110997304A (zh) 用于模内贴标签的聚合物膜
ZA200304430B (en) Label film with improved adhesion.
WO2001012704A1 (fr) Film etire a base de resine et procede de fabr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