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1478A -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1478A
KR20240041478A KR1020220120520A KR20220120520A KR20240041478A KR 20240041478 A KR20240041478 A KR 20240041478A KR 1020220120520 A KR1020220120520 A KR 1020220120520A KR 20220120520 A KR20220120520 A KR 20220120520A KR 20240041478 A KR20240041478 A KR 20240041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xperience
user
tourism
virtual re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0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학준
이지은
Original Assignee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20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1478A/ko
Publication of KR20240041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147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은, 가상 현실 기반으로 관광지에서의 관광 체험을 제공하는 시뮬레이터 유닛; 및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에 제공되는 관광 체험 시나리오 또는 콘텐츠를 저장하고 실행하며,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은 관광지에서 사용자의 보행을 시뮬레이션 하되, 관광지의 보행 환경 또는 상태를 반영하여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VIRTUAL REALITY-BASED TOURISM EXPERIENCE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은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해외 관광지에서 보행하거나(걷거나) 산책하는 체험을 실제와 동일하게 해 볼 수 있고 관광지에서 건물의 실내로 들어가거나 물건을 구매하는 등의 체험을 할 수 있는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안경처럼 머리에 쓰고 대형 영상을 즐길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인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이하 "HMD"라 함) 기기가 보급화됨에 따라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이하 "VR"이라 함) 영상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HMD 기기는 마치 실제 주변 환경과 상호 작용을 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는 VR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은 가상 세계 또는 현실 세계의 객체나 배경 등을 컴퓨터를 사용해서 인공적으로 구현해 놓은 인공 세계 또는 그러한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런 가상현실 기술은 가상의 세계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컴퓨터에 의해 만들어진 가상의 공간이나 환경에서 사용자가 몰입하게 된다.
이러한 가상현실 영상을 이용하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시점이 변화하여 다양한 시점의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활용하여 게임, 교육, 의료, 영상, 방송, 광고, 제조업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미세먼지 심화와 같은 환경 문제로 사람들의 외부 활동은 제한되었으며, 특히 코로나 19 사태를 거치면서 사람들이 움직일 수 있는 범위는 더욱 제한되었다. 그에 따라 사람들의 외부 활동을 가상현실 콘텐츠로 대체하려는 시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코로나 19의 유행으로 인해 해외에 가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고 국내에서도 관광 분야의 사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국내 지역 축제들도 줄줄이 취소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코로나 19의 유행과 환경 문제가 지속됨에 따라 여행을 가거나 관광을 하고 싶어도 하지 못함에 따라 여행이나 관광에 대한 갈망이 점점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상 현실을 이용하여 해외 관광지 등을 가상 체험하는 기술이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소개되고 있는 대부분의 가상 현실 기술들은 단순히 유명한 관광지를 가상 현실 영상으로 보여 주고 가상 현실 영상 내에 사용자가 움직이는 가상 영상을 첨부하는 것에 불과하다. 즉, 대부분의 가상 현실 기술은 사용자가 단순히 서서 손을 이용해서 체험을 하는 등 실질적인 체험과는 이질감을 주는 한계가 있다.
또한, 사용자에 따라서는 유명한 관광지가 아니라 알려지지 않은 관광지를 걸어 보고 싶은 욕구가 있을 수 있는데 유명하지 않은 관광지에 대한 체험은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32583호 (공개일자 2020.11.25.) 한국등록특허 제10-1613287호 (등록일자 2016.04.11.) 한국등록특허 제10-1752593호 (등록일자 2017.06.23.) 한국등록특허 제10-1903649호 (등록일자 2018.09.21.)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53489호 (공개일자 2019.05.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가상현실 기술을 도입하여 환경 문제 또는 코로나 19에 의해 직접 방문이 어려운 관광지를 거닐거나 산책하는 체험을 해 볼 수 있는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관광지에서의 가상 체험을 가상 현실 영상을 통해서 체험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걸으면서 몸소 체험하는 것이 가능한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실제 관광지의 보도(인도) 등의 상태에 따라서 사용자의 보행 자세도 달라질 수 있고, 계단 등을 오르내리는 체험도 맛볼 수 있는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은, 가상 현실 기반으로 관광지에서의 관광 체험을 제공하는 시뮬레이터 유닛; 및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에 제공되는 관광 체험 시나리오 또는 콘텐츠를 저장하고 실행하며,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은 관광지에서 사용자의 보행을 시뮬레이션 하되, 관광지의 보행 환경 또는 상태를 반영하여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은 사용자가 보행 모션을 할 수 있는 액팅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액팅 모듈은, 사용자의 스탠딩 모션 또는 워킹 모션이 가능한 워킹모션부; 사용자의 스탠딩 모션 또는 워킹 모션에 매칭되는 가상 현실 영상을 제시하는 모니터; 상기 워킹모션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메인모듈부; 및 사용자의 자세 또는 신체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사용자에게 모션 부가환경을 제공하는 부가기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워킹모션부는 상기 모니터에서 제시된 가상 현실 영상과 매칭되는 보행 속도, 보행 경사 또는 보행 기울기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스텝 보행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는, 사용자가 가상 체험하는 관광지에 대한 선택을 제공하는 관광지선택부; 상기 관광지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관광지에서 사용자가 체험할 관광 메뉴에 대한 선택을 제공하는 체험메뉴선택부; 및 상기 체험메뉴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체험 도중에 선택 가능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선택된 체험 메뉴에 매칭되는 환경 또는 분위기를 제공하는 부가서비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는, 사용자가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을 사용한 이력 데이터 또는 사용자별 고유 데이터를 저장 및 분석하는 이력관리부; 타 사용자가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을 사용한 이력 데이터를 저장 및 분석하여 사용자의 이력 데이터와 매칭되는 데이터를 산출하는 빅데이터부; 관광상품 개발자가 제공한 관광상품 또는 관광상품에 관한 체험 콘텐츠가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에서 시뮬레이션 되도록 제공하는 상품연계부; 및 상기 상품연계부에 의해 제공되는 관광상품 또는 관광상품에 대한 체험 콘텐츠를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을 통해 체험한 사용자의 관광상품 또는 체험 콘텐츠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광상품 개발자에게 전달하는 피드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이력관리부, 상기 빅데이터부 또는 상기 피드백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맞춤형 관광 체험 콘텐츠를 선별하여 상기 관광지선택부 또는 상기 체험메뉴선택부에 전달하고, 상기 관광지선택부 또는 상기 체험메뉴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사용자별 맞춤형 관광 체험 콘텐츠는 상기 시뮬레이션 유닛에서 가상 현실 영상과 함께 시뮬레이션 될 수 있다.
관광상품 개발자에게 마련되는 개발자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발자서버는, 상기 상품연계부에서 제시되는 관광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품정보부; 상기 피드백부에서 받은 피드백 데이터를 관광상품에 반영하는 피드백적용부; 및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에 의해 시뮬레이션 된 관광상품을 사용자가 구매하는 경우 리워드를 포함한 보상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프로모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모션부는,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에 의해 시뮬레이션 되는 관광상품 중 자사 관광상품을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유도하거나,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에 의해 시뮬레이션 되는 자사 관광상품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를 제공한 사용자에게 보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는 환경 문제 또는 코로나 19에 의해 직접 방문하기 어려운 관광지를 걷거나 산책하는 체험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마치 관광지에 실제로 있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은 관광지의 경치 또는 경관을 가상 현실 영상을 통해 보는 것에 그치지 않고 사용자가 실제로 관광지에서 산책을 하거나 거리를 걷는 등의 체험을 해 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보다 큰 현실감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은 시뮬레이터 유닛이 실제 관광지의 보행로 또는 거리 상태와 동일하게 움직이거나 변형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실제 관광지의 보행로를 걸을 때의 자세나 내리막이나 오르막을 걸을 때의 자세, 계단 등을 오르내릴 때의 자세를 거의 동일하게 시뮬레이션 해 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 중 시뮬레이터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 중 운영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 중 시뮬레이터 유닛, 운영서버 및 개발자서버의 구성 중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 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 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 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 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 중 시뮬레이터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 중 운영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 중 시뮬레이터 유닛, 운영서버 및 개발자서버의 구성 중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10)은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 영상 내지 기술을 이용한 시스템으로서, 가상 현실 영상의 제공 내지 구현 등은 공지의 가상 현실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10, 이하 '체험 제공 시스템'이라 함)은, 가상 현실 기반으로 관광지에서의 관광 체험을 제공하는 시뮬레이터 유닛(100); 및 시뮬레이터 유닛(100)에 제공되는 관광 체험 시나리오 또는 콘텐츠를 저장하고 실행하며, 시뮬레이터 유닛(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운영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시뮬레이터 유닛(100)은 관광지에서 사용자의 보행을 시뮬레이션 하되, 관광지의 보행 환경 또는 상태를 반영하여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제공 시스템(10)은 사용자가 가상 현실 내에서 관광지를 걷거나 거닐거나 산책하는 등 신체의 일부를 사용하는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시뮬레이터 유닛(100)은 사용자가 걷거나 산책을 하는 관광지의 지면 상태, 보행로 상태, 거리 상태 등을 동일하게 반영하여 사용자가 걷거나 산책 등을 할 때 보행로 또는 지면의 상태에 따라 사용자의 자세가 바뀔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제공 시스템(10)은 사용자가 우두커니 선 상태로 가상 현실 영상으로만 관광지의 체험을 하는 것이 아니라 가상 현실 영상으로 구현되는 관광지에서 사용자가 실제로 움직이는 구체적으로 걷거나 산책하는 등의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제공 시스템(10)에 있어서, 시뮬레이터 유닛(100)은 사용자가 관광지에서의 걷거나 산책하는 등의 행동을 시뮬레이션 하되, 지면 또는 보행로가 평평한 이상적인 관광지 뿐만 아니라 지면이 울퉁불퉁한 비포장 보행로를 걷거나 들판이나 야외 등을 걷을 때 사용자가 몸을 기울이거나 뒤뚱거리게 되는 등의 자세 변화를 경험하는 체험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제공 시스템(10)은 시뮬레이터 유닛(100)을 통해서 가상현실의 관광지에서 산책 등의 활동을 최대한 실제와 동일하게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사용자에 가상현실에 대한 몰입감을 선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제공 시스템(10)은 관광상품 개발자에게 마련되는 개발자서버(300, 도 4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운영서버(200) 및 개발자서버(300)는 컴퓨터 또는 단말기의 형태로 마련되며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제공 시스템(10)의 시뮬레이터 유닛(100), 운영서버(200) 및 개발자서버(300)는 각각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시뮬레이터 유닛(100)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여러 대의 시뮬레이터 유닛(100)이 네트워크를 통해 운영서버(200) 및 개발자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제공 시스템(10)은 가상 현실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가 관광지에서 걷거나 산책하거나 건물의 실내에 들어가거나 계단을 오르내리는 등 실제 관광지에서 할 수 있는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시뮬레이터 유닛(100)은 사용자가 올라 서는 액팅 모듈(110), 모니터(140), 사용자 단말기(170), HMD 기기(180) 및 핸드 모션 컨트롤러(19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액팅 모듈(110)에 단순히 올라 서 있을 뿐만 아니라 액팅 모듈(110)을 이용하여 보행 모션도 할 수 있다. 여기서, 보행 모션은 사용자가 다리를 움직여서 걷는 동작, 계단을 오르거나 내려가는 동작, 오르막이나 내리막을 걷는 동작, 빠른 걸음으로 걷는 동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팅 모듈(110, acting module)을 통해서 제한적이지만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를 움직이면서 관광지의 가상 체험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액팅 모듈(110)은, 사용자의 스탠딩 모션 또는 워킹 모션이 가능한 워킹모션부(120); 사용자의 스탠딩 모션 또는 워킹 모션에 매칭되는 가상 현실 영상을 제시하는 모니터(140); 워킹모션부(120)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메인모듈부(150); 및 사용자의 자세 또는 신체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사용자에게 모션 부가환경을 제공하는 부가기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워킹모션부(120)는 사용자가 발을 딛고 서는 부분으로서, 사용자의 직립 자세를 지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보행도 가능하게 한다. 워킹모션부(120)는 트레드밀과 같은 형태로 마련되거나 계단 모양의 스텝퍼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워킹모션부(120)가 트레드밀과 같은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워킹모션부(120)는 구동모터(미도시) 및 워킹패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는 운영서버(200)의 제어부(210), 시뮬레이터 유닛(100)의 메인모듈부(150)에 의해서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워킹모션부(120)가 트레드밀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에 트레드밀이 평면 상태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오르막 또는 내리막을 체험할 수 있도록 워킹패드의 기울어진 각도를 가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워킹모션부(120)는 워킹패드의 각도 조절을 위한 승강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워킹모션부(120)를 걸으면서 가상 현실 속에서 관광지를 걷는 것과 같은 기분을 만끽할 수 있는데, 실제의 관광지는 지면 또는 노면이 평평한 곳 뿐만 아니라 울퉁불퉁한 비포장 지면도 있을 수 있다. 워킹모션부(120)는 사용자가 울퉁불퉁한 비포장 지면(예를 들면, 관광지의 시골길이나 산길, 흙길 등)을 걷을 때의 상황도 제한적이만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워킹모션부(120)는 사용자의 양발을 각각 디딜 수 있도록 워킹패드가 분리 형성될 수 있다. 2개로 분리 형성된 워킹패드의 구동모터 및 승강구동부도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승강구동부는 워킹패드의 기울기 뿐만 아니라 높이도 가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될 경우, 양측의 구동모터 및 승강구동부의 작동을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는 평평한 지면이 아닌 지면을 걷는 체험을 할 수도 있다.
워킹모션부(120)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단순한 보행 뿐만 아니라 계단을 오르거나 내려가는 것과 같은 행동도 할 수 있다. 계단 보행의 체험을 위해서, 워킹모션부(120)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승강구조물(미도시) 및 승강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구동부는 유압을 텔레스코픽 승강구조물에 공급하여 워킹모션부(120)가 계단과 같은 시뮬레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워킹모션부(120)가 계단 시뮬레이션 전용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머리에 HMD 기기(180)를 착용한 상태에서 워킹모션부(120)에 올라서기 때문에 워킹모션부(120)가 작동할 때 시야 확보가 되지 않아서 넘어질 수도 있는데, 사용자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핸들(130)이 워킹모션부(120)에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핸들(130)에는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측정하거나 감지하기 위한 생체신호센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생체신호센서는 핸들(130)을 잡고 있는 사용자의 손바닥을 통해 심박수를 센싱하거나 땀분비량 등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액팅 모듈(110) 또는 시뮬레이터 유닛(100), HMD 기기(180) 등을 사용하는 것에 편안함을 느끼는지, 불안감이 있는지 등을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생체신호센서의 센싱값은 메인모듈부(150) 또는 메인모듈부(150)에 마련된 통신부(101)를 통해 운영서버(200)의 이력관리부(250) 또는 빅데이터부(260)에 전달 및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신호센서에서 사용자의 심박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거나 땀이 갑자기 많이 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메인모듈부(150)는 워킹모션부(120)의 작동을 중단하여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액팅 모듈(110)은 워킹모션부(120)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각종 명령을 전달하는 메인모듈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모듈부(150)는 워킹모션부(120)의 전방에 마련되며, 메인모듈부(150)에는 모니터(140)가 마련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메인모듈부(150)에는 통신부(101) 등이 마련될 수 있고, 데이터저장부(미도시)도 마련될 수 있다. 메인모듈부(150)는 통신부(101)를 통해서 운영서버(200) 또는 개발자서버(300)와 통신하거나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70)와 통신하거나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70)는 데스크톱 형태의 단말기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모듈부(150)에 마련된 모니터(140)를 사용자가 착용한 HMD 기기(18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관광지에서의 가상 현실 영상과 워킹모션부(120)에 서 있거나 움직이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모니터(140)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사용자는 모니터(140)를 터치하여 다양한 시뮬레이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워킹모션부(120)는 모니터(140)에서 제시된 가상 현실 영상과 매칭되는 보행 속도, 보행 경사 또는 보행 기울기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스텝 보행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메인모듈부(150)의 상단에는 부가기능부(160)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워킹모션부(120)에 서 있을 때 부가기능부(160)는 사용자의 머리 위에 위치하게 된다. 사용자의 머리 위에 있는 부가기능부(160)는 사용자의 머리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즉, 부가기능부(160)와 사용자 머리 사이의 거리, 부가기능부(160)의 중심으로부터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거리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부가기능부(160)는 사용자의 머리의 위치, 거리 등을 측정하여 사용자가 워킹모션부(120)에서 제공되는 시뮬레이션 모션에 잘 적응하는지 못하는지 등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부가기능부(160)는 사용자가 선택한 관광지 또는 체험메뉴에 따른 날씨 등을 체험하게 하거나 사용자가 보행하고 있는 관광지의 실제 소음 등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가기능부(160)는 사용자의 머리를 향해 바람을 분사하여 바람이 부는 날씨를 느끼게 하거나 물방울을 분사하여 비오는 날씨를 실감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부가기능부(160)는, 사용자가 걷고 있는 거리가 번화가인 경우에는 많은 사람들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이나 차량의 경적, 버스킹 음악 소리, 신호등에서 나오는 안내 소리 등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부가기능부(160)는 운영서버(200)의 이력관리부(250) 또는 빅데이터부(260)와 연계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체험메뉴 또는 운영서버(200)가 추천하는 체험메뉴에 따른 각종 부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제공 시스템(10)은 가상 현실을 이용하여 다양한 관광 체험을 제공하는데, 이를 위해 시뮬레이터 유닛(100)은 HMD 기기(180) 및 핸드 모션 컨트롤러(190)를 포함할 수 있다.
HMD 기기(180)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기기로서, 기기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에 가상 현실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HMD 기기(180)는 도 2에 도시된 형태의 기기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헤어 밴드와 유사한 형태의 장치(미도시)에 장착된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머리에 HMD 기기(180)를 착용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핸드 모션 컨트롤러(190)를 손으로 잡을 수도 있다. HMD 기기(180)와 핸드 모션 컨트롤러(190)는 하나의 세트로 마련될 수 있다. 핸드 모션 컨트롤러(190)는 사용자가 양손에 각각 하나씩 잡을 수 있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MD 기기(180)를 통해 보여지는 가상 현실 영상에 사용자가 손에 핸드 모션 컨트롤러(190)를 잡고 있는 모습이 보여 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핸드 모션 컨트롤러(190)를 이용해서 워킹모션부(120)에 모니터(140)에 제공되는 체험 시나리오 또는 콘텐츠를 선택하거나 체험을 진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핸드 모션 컨트롤러(190)는 사용자가 손으로 움켜 잡을 수 있는 파지부(미도시), 손가락으로 작동하는 조이스틱 형태의 이동기능레버(미도시), 손가락으로 눌러서 작동하는 시점조정버튼(미도시), 손가락으로 당겨서 작동하는 트리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드 모션 컨트롤러(190)는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한 HMD 기기(180)에 디스플레이 되는 3D 가상 현실 영상에 나타나는 각종 메뉴 또는 콘텐츠를 선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시뮬레이터 유닛(100)의 사용자 단말기(170)는 통신부(101, 도 4 참조)를 이용하거나 직접 시뮬레이터 유닛(100)의 작동 이력 데이터를 운영서버(200)로 무선 전송하고, 운영서버(200)로부터 가상 현실 영상 또는 콘텐츠를 전달 받아 HMD 기기(180) 또는 모니터(140)에 전송할 수 있다.
시뮬레이터 유닛(100) 중 액팅 모듈(110)의 모니터(140)에는 사용자가 착용한 HMD 기기(18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관광지에서의 체험에 대한 가상 현실 영상과 워킹모션부(120)에 서 있거나 걷고 있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제공 시스템(10)의 시뮬레이터 유닛(100)은 사용자가 단순히 워킹모션부(120) 위에서 걷는 체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실제로 관광지에서 걷거나 산책할 때 느끼는 기분 예를 들면, 산책할 때 바람을 얼굴에 맞고 머리카락이 날리거나 물 위를 통과하면서 물이 튀는 등의 상황을 최대한 실제와 유사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액팅 모듈(110)는 부가기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기능부(160)는 메인모듈부(150) 뿐만 아니라, 운영서버(200)의 제어부(210)에 의해서 그 작동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가 부가기능부(160)의 작동을 직접 선택해서 자신이 원하는 체험 상황을 만들 수도 있고, 사용자가 부가기능부(160)의 작동을 선택하지 않아도 운영서버(200)에 의해서 사용자 맞춤형으로 부가기능부(160)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제공 시스템(10)에 있어서 시뮬레이터 유닛(100)은 보행 체험 등의 상황 또는 환경을 모사하기 위한 하드웨어적인 구성요소이며, 시뮬레이터 유닛(100)의 HMD 기기(18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 시뮬레이터 유닛(100)의 시뮬레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는 운영서버(200) 및 개발자서버(300)에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제공 시스템(10)의 운영서버(200)는, 제어부(210), 관광지선택부(220), 체험메뉴선택부(230), 부가서비스부(240), 이력관리부(250), 빅데이터부(260), 상품연계부(270), 피드백부(280), 통신부(291), 그래픽 랜더링 엔진(293), 핸드 모션 엔진(295), 사운드안내부(297), 표시부(299)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10)는 운영서버(200)의 각종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고 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제어부(210)는 운영서버(200)의 각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통제하고 조율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제어부(210)는 시뮬레이터 유닛(100)의 작동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제공 시스템(10)의 운영서버(200)는 통신부(291)를 구비함으로써 시뮬레이터 유닛(100)의 단말기(17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HMD 기기(180)와 핸드 모션 컨트롤러(19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291)는 시뮬레이터 유닛(100)의 단말기(170), HMD 기기(180) 및 핸드 모션 컨트롤러(190)와 무선 통신으로 시뮬레이션 관련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운영서버(200)는 통신부(291)를 통해 가상 현실 영상의 구현에 필요한 그래픽 이미지를 HMD 기기(180) 또는 모니터(140)에 전달할 수 있고, 핸드 모션 컨트롤러(190)의 움직임이 통신부(291)를 통해 운영서버(200)에 전달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HMD 기기(180)와 핸드 모션 컨트롤러(190)가 직접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도 있다.
또한, 운영서버(200)의 통신부(291)는 개발자서버(300)의 통신부(360)와도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통신부(291,360)는 공지의 각종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운영서버(200)의 그래픽 랜더링 엔진(293)은 HMD 기기(180) 또는 모니터(14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을 생성하는 엔진이다. 이력관리부(250)에 의해서 체험 시나리오 및 콘텐츠의 수정 또는 업데이트 요청이 있으면, 제어부(210)는 그래픽 랜더링 엔진(293)에 명령하여 HMD 기기(180) 또는 모니터(14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을 수정하거나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관광지선택부(220), 체험메뉴선택부(230) 또는 부가서비스부(240)의 선택 결과에 따라 제어부(210)는 선택된 값에 관한 가상 현실 영상을 생성하거나 선택 결과에 맞는 가상 현실 영상을 생성하도록 그래픽 랜더링 엔진(293)에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핸드 모션 엔진(295)은 핸드 모션 컨트롤러(190)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핸드 모션 컨트롤러(190)를 잡고 있는 모양 또는 핸드 모션 컨트롤러(190)를 움직여서 수신호를 하는 상태를 HMD 기기(180) 또는 모니터(14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에 표현할 수 있다.
운영서버(200)는 HMD 기기(180) 또는 모니터(14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 내에서 사용자가 필수적으로 확인해야 하거나 핸드 모션 컨트롤러(190)로 선택해야 하는 항목 또는 장비를 지시하는 화살표를 표시하는 표시부(299)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표시부(299)는 액팅 모듈(110)의 체험을 하는 사용자가 실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내 표시 등을 HMD 기기(180) 또는 모니터(14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에 표현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피드백부(280)의 피드백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시부(299)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온/오프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상관없이 제어부(210)가 자동으로 표시부(299)의 기능을 온/오프할 수 있다.
운영서버(200)는, 사용자에게 액팅 모듈(110)의 이용 절차, 체험 방법 또는 콘텐츠 내용 등을 설명하는 안내 음성을 출력하는 사운드안내부(297)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안내부(297)는 체험과 관련된 메시지를 송출할 뿐만 아니라, 액팅 모듈(110)의 체험 과정에서 실제 발생하는 주변 소음(소리) 등을 송출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사운드안내부(297)는 부가기능부(160)와 연계하여 작동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제공 시스템(10)의 운영서버(200)는, 사용자가 가상 체험하는 관광지에 대한 선택을 제공하는 관광지선택부(220); 관광지선택부(220)를 통해 선택된 관광지에서 사용자가 체험할 관광 메뉴에 대한 선택을 제공하는 체험메뉴선택부(230); 및 체험메뉴선택부(230)를 통해 선택된 체험 도중에 선택 가능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선택된 체험 메뉴에 매칭되는 환경 또는 분위기를 제공하는 부가서비스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관광지선택부(220)를 통해서 사용자는 가상 체험을 희망하는 관광지(장소, 건물 등)를 선택할 수 있다. 관광지선택부(220)는 HMD 기기(18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에 3D 문자열 이미지로 액티비티 메뉴를 표현하거나 그래픽 이미지로 관광지 선택 메뉴를 표현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드 모션 컨트롤러(190) 또는 모니터(140)의 터치를 통해서 관광지선택부(220)에서 표시되는 관광지 중 원하는 관광지를 선택하고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관광지선택부(220)를 통해 가상 체험을 하고 싶은 관광지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는 체험메뉴선택부(230)를 통해서 선택한 관광지에서 어떤 체험을 원하는지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관광지선택부(220)를 통해서 뉴욕(New York)을 선택한 경우에, 체험메뉴선택부(230)를 통해서 뉴욕 타임스퀘어를 걷고 쇼핑하는 메뉴, 센트럴파크를 산책하는 메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체험메뉴선택부(230)를 통해서 타임스퀘어를 걷고 쇼핑하는 메뉴를 선택한 경우 많은 사람의 말소리, 자동차 경적 소리, 신호등 소리, 버스킹 소리 등이 사운드안내부(297)에서 나올 수 있다. 또한, 액팅 모듈(110)의 부가기능부(160)는 워킹모션부(120) 및 모니터(140)와 연계하여, 사용자가 타임스퀘어의 쇼핑몰에 가서 쇼핑하는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체험메뉴선택부(230)를 통해서 사용자는 관광지에서의 체험을 다양한 활동을 선택할 수 있다. 체험메뉴선택부(220)는 HMD 기기(18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에 3D 문자열 이미지로 체험의 내용에 대한 선택 메뉴를 표현하거나 그래픽 이미지로 선택 메뉴를 표현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드 모션 컨트롤러(190) 또는 모니터(140)의 터치를 이용해서 체험메뉴선택부(230)에서 표시되는 체험 메뉴 중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고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부가서비스부(240)는 사용자가 관광지에서의 산택 등을 가상 체험하는 중에 HMD 기기(180) 또는 모니터(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에 팝업창의 형태로 부가서비스 메뉴를 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서비스부(240)를 통해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부가서비스는 관광지에서의 상점 또는 음식점 등에서의 구매 활동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부가서비스부(240)를 통해 상점에서의 물건 구매 체험을 선택한 경우에 시뮬레이터 유닛(100)의 액팅 모듈(110)은 사용자가 상점에 들어가는 보행을 시뮬레이션 하게 되며 사용자는 핸드 모션 컨트롤러(190)를 이용해서 HMD 기기(18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을 통해 물건을 구매하는 체험을 할 수 있다.
부가서비스부(240)는 HMD 기기(18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에 3D 문자열 이미지로 부가서비스 메뉴를 표현하거나 그래픽 이미지로 부가서비스 메뉴를 표현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드 모션 컨트롤러(190) 또는 모니터(140)를 이용해서 부가서비스부(240)에서 표시되는 부가서비스 메뉴 중 원하는 부가서비스를 선택하고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제공 시스템(10)은 플랫폼의 형태로 구현되어 불특정 다수가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제공 시스템(10)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회원가입을 하는 것이 필요한데, 회원가입시 나이, 성별, 거주지 등의 기본적인 인적사항 외에 관심분야, 여행이력과 같은 개별 선호 데이터 등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사용자가 회원가입시 입력한 개별 선호 데이터 등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부가서비스부(2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운영서버(200)는, 사용자가 시뮬레이터 유닛(100)을 사용한 이력 데이터 또는 사용자별 고유 데이터를 저장 및 분석하는 이력관리부(250); 타 사용자가 시뮬레이터 유닛(100)을 사용한 이력 데이터를 저장 및 분석하여 사용자의 이력 데이터와 매칭되는 데이터를 산출하는 빅데이터부(260); 관광상품 개발자가 제공한 관광상품 또는 관광상품에 관한 체험 콘텐츠가 시뮬레이터 유닛(100)에서 시뮬레이션 되도록 제공하는 상품연계부(270); 및 상품연계부(270)에 의해 제공되는 관광상품 또는 관광상품에 대한 체험 콘텐츠를 시뮬레이터 유닛(100)을 통해 체험한 사용자의 관광상품 또는 체험 콘텐츠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광상품 개발자에게 전달하는 피드백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력관리부(250)는 사용자가 관광지선택부(220)에서 선택한 관광지의 위치 정보 등에 대한 데이터, 체험메뉴선택부(230)에서 선택한 체험의 내용 또는 종류에 대한 데이터, 부가서비스부(240)에서 선택한 부가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부가기능부(160)의 작동 내역에 대한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관리하여, 해당 사용자가 선호하는 관광지는 어디인지, 선호하는 체험 메뉴는 무엇인지 대한 개별 선호 데이터를 파악할 수 있다.
이력관리부(250)는 해당 사용자의 개별 선호 데이터를 이용하여 향후 동일 사용자가 시뮬레이터 유닛(100)을 이용할 경우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를 제시하거나, 실제 운영 중인 관광상품 중에서 사용자가 좋아할 만한 관광상품(여행상품)을 소개해 줄 수 있다.
또한, 이력관리부(250)는 사용자가 시뮬레이터 유닛(100)을 사용한 이력 데이터(예를 들면, 체험 날짜 및 시간, 체험 횟수, 체험의 내용 또는 종류, 관광지의 위치, 피드백 결과 등)을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다. 이력관리부(250)는 사용자가 선택한 관광지에 대한 체험 만족도를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제어부(21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제공 시스템(10)의 이력관리부(250)는 사용자가 시뮬레이터 유닛(100)을 사용한 이력 데이터 및 피드백부(280)의 피드백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별 맞춤형 체험 시나리오 또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부(260)는 해당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들이 시뮬레이터 유닛(100)을 사용한 이력, 리뷰 또는 댓글 등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분석할 수 있다. 빅데이터부(260)는 이력관리부(250)와 연계하여 해당 사용자의 개별 고유 데이터를 빅데이터 분석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제공 시스템(10)의 운영서버(200)는, 이력관리부(250), 빅데이터부(260) 또는 피드백부(28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맞춤형 관광 체험 콘텐츠를 선별하여 관광지선택부(220) 또는 체험메뉴선택부(230)에 전달하고, 관광지선택부(220) 또는 체험메뉴선택부(230)를 통해 선택된 사용자별 맞춤형 관광 체험 콘텐츠는 시뮬레이션 유닛(100)에서 가상 현실 영상과 함께 시뮬레이션 될 수 있다.
관광지선택부(220) 및 체험메뉴선택부(230)는 빅데이터부(260)에서의 분석결과 리뷰 또는 댓글이 가장 많거나 가장 많은 사용자가 이용한 것으로 선별된 관광지 또는 체험메뉴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한편, 운영서버(200)는, 관광상품 개발자가 제공한 관광상품과 관련된 관광지에서의 관광 체험 콘텐츠를 시뮬레이터 유닛(100)을 통해 제공하는 상품연계부(270); 및 상품연계부(270)에 의해 제공되는 관광상품과 관련된 체험 콘텐츠를 시뮬레이터 유닛(100)을 통해 체험한 사용자의 체험 콘텐츠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를 관광상품 개발자에게 전달하는 피드백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체험 콘텐츠는 관광지에서 거리를 걷거나 공원을 산책하거나 쇼핑몰에서 쇼핑을 하는 등 일상적인 생활의 체험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운영서버(200)의 피드백부(280)는 시뮬레이터 유닛(100)에 의해 시뮬레이션 되는 가상 체험을 포함하는 관광상품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 데이터를 관광상품 개발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피드백부(280)는 피드백 데이터를 체험 제공 시스템(10)의 운영자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피드백부(280)를 통해서, 시뮬레이터 유닛(100)을 이용하고 느낀 불편한 점, 개선할 점 등을 포함하는 피드백 데이터를 관광상품 개발자 또는 체험 제공 시스템의 운영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관광상품 개발자는 피드백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관광지 또는 관광상품을 개발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선호하는 관광 체험을 포함하도록 이미 판매 중인 관광상품의 상품성을 개선할 수도 있다.
운영서버(200)의 피드백부(280)는 시뮬레이터 유닛(100)에 의해 시뮬레이션 되는 관광상품(여행상품)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 데이터를 관광상품 개발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제공 시스템(10)의 시뮬레이터 유닛(100)은 이미 판매 중인 관광상품 또는 판매 예정인 관광상품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사용자는 관광상품에 대한 시뮬레이션 체험을 한 후에 자신이 선택한 관광상품에 대해서 느낀 장점 또는 단점을 포함하는 피드백 데이터를 피드백부(280)에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HMD 기기(180)에 마련되어 있는 마이크를 통해 말로 피드백 데이터를 피드백부(280)에 입력하거나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용 단말기를 통해서 피드백 데이터를 피드백부(280)에 입력할 수 있다.
피드백부(280)에 입력된 사용자별 피드백 데이터는 통신부(291)에 의해서 개발자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제공 시스템(10)의 운영서버(200)는 상품연계부(27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품연계부(270)를 통해서 사용자는 관광상품 개발자가 판매하고 있는 관광상품 또는 판매 예정인 관광상품에서 제공하는 관광 체험을 시뮬레이터 유닛(100)을 통해 가상 체험해 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품연계부(270)에 의해 제공되는 관광상품은 관광지에서의 산책, 쇼핑 등 일상적인 활동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서버(200)는, 관광상품 개발자가 제공한 관광상품과 관련되거나 관광상품에 포함된 액티비티 체험 콘텐츠를 제공하는 상품연계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제공 시스템(10)의 피드백부(280)는 사용자가 상품연계부(270)에서 제공되는 관광상품과 관련된 관광 체험 콘텐츠를 선택하고 관광 체험 시뮬레이션을 한 후 사용자가 느낀 해당 관광상품에 대한 피드백을 관광상품 개발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관광상품 개발자는 피드백 데이터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많이 받을 수 있는 관광상품을 개발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제공 시스템(10)은 시뮬레이터 유닛(100) 및 운영서버(200) 외에 개발자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발자서버(300)는 시뮬레이터 유닛(100)에 의해서 시뮬레이션 되는 관광 체험을 포함하는 관광상품을 개발하는 측(예를 들면, 여행사 등)에 마련되는 서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제공 시스템(10)의 시뮬레이터 유닛(100)은 사용자가 희망하는 관광지에서의 관광 체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선택과 무관하게 관광상품 개발자가 제공하는 관광상품(관광지에서의 일상적인 활동을 포함하는 관광상품)의 가상 체험도 제공할 수 있다. 관광상품 개발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제공 시스템(10)의 시뮬레이터 유닛(100)을 통해 자사의 관광상품을 홍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 제공 시스템(10)의 시뮬레이터 유닛(100)은 일상적인 활동을 포함하는 관광상품을 모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상적인 활동을 포함하는 관광상품을 시뮬레이터 유닛(100)으로 모사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기호에 맞는 관광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개발자서버(300)는, 상품연계부(270)에서 제시되는 관광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품정보부(310); 피드백부(280)에서 받은 피드백 데이터를 관광상품에 반영하는 피드백적용부(320); 및 시뮬레이터 유닛(100)에 의해 시뮬레이션 된 관광상품을 사용자가 구매하는 경우 리워드를 포함한 보상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프로모션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발자서버(300)의 상품정보부(310)는, 시뮬레이터 유닛(100)의 관광 체험을 포함하는 자사 관광상품의 특징, 장점, 일정, 비용 등의 정보를 운영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 운영서버(200)는 상품정보부(310)에서 전달받은 관광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워킹모션부(120)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HMD 기기(180)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 현실 영상에 해당 워킹모션부(120)에 대한 설명을 표시하거나 가상 현실 영상에 표현되는 일상적인 활동의 그래픽을 관광상품 정보에 맞추어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개발자서버(300)는 상품정보부(310)를 이용하여 자사 관광상품에 대한 광고 또는 홍보를 할 수 있다.
피드백적용부(320)는 운영서버(200)의 피드백부(280)에서 받은 피드백 데이터를 자사 관광상품의 정보에 반영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액티비티 체험을 포함하는 관광상품에 대한 장점 또는 단점 등의 피드백 데이터를 받은 개발자서버(300)는 해당 피드백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사 관광상품에 문제점이 있을 경우에는 수정하고 사용자가 요구하는 액티비티 등을 자사 관광상품에 추가함으로써 자사 관광상품의 상품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드백적용부(320)에 의해 피드백 데이터를 적용하여 자사 관광상품의 상품성을 개선함으로써 자사 관광상품을 시뮬레이터 유닛(100)으로 체험한 사용자가 자사 관광상품을 구매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개발자서버(300)의 프로모션부(330)는 관광상품의 경쟁 우위 포인트를 운영서버(200)로 전송하고, 시뮬레이터 유닛(100)에 의해 시뮬레이션 되는 관광상품 중 자사 관광상품을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프로모션부(330)는 자사 관광상품이 시뮬레이터 유닛(100)에서 사용자의 선택을 많이 받을 수 있도록 홍보하는 구성요소이다. 프로모션부(330)은 상품정보부(310) 또는 피드백적용부(320)와 연계하여 자사 관광상품이 시뮬레이터 유닛(100)에서 많이 선택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프로모션부(330)는 시뮬레이터 유닛(100)에 의해 시뮬레이션 되는 자사 관광상품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를 제공한 사용자에게 보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사 관광상품을 시뮬레이터 유닛(100)에서 체험한 사용자가 자사 관광상품의 상품성 개선에 반영될 수 있는 피드백 데이터를 제공한 경우에, 프로모션부(330)는 해당 사용자에게 자사 관광상품의 구매에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를 제공하거나 자사 관광상품을 구매할 경우 추가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개발자서버(300)는, 자사 관광상품에 대한 정보 또는 보상 서비스 정보가 갱신된 경우에 이를 상품정보부(310), 피드백적용부(320) 또는 프로모션부(330)에 전달하는 업데이트부(340); 개발자서버(300)에 전달되는 각종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350); 운영서버(200) 또는 시뮬레이터(100)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업데이트부(340)는 피드백적용부(320)에 의해 피드백 데이터가 자사 관광상품에 적용되어 관광상품의 정보가 변경된 경우 이를 저장하고 상품정보부(31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내지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 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
100: 시뮬레이터 유닛 110: 액팅 모듈
120: 워킹모션부 130: 핸들
140: 모니터 150: 메인모듈부
160: 부가기능부 180: HMD 기기
190: 핸드 모션 컨트롤러 200: 운영서버
220: 관광지선택부 230: 체험메뉴선택부
240: 부가서비스부 250: 이력관리부
260: 빅데이터부 270: 상품연계부
280: 피드백부 300: 개발자서버
310: 상품정보부 320: 피드백적용부
330: 프로모션부 340: 업데이트부

Claims (8)

  1. 가상 현실 기반으로 관광지에서의 관광 체험을 제공하는 시뮬레이터 유닛; 및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에 제공되는 관광 체험 시나리오 또는 콘텐츠를 저장하고 실행하며,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은 관광지에서 사용자의 보행을 시뮬레이션 하되, 관광지의 보행 환경 또는 상태를 반영하여 시뮬레이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은 사용자가 보행 모션을 할 수 있는 액팅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액팅 모듈은,
    사용자의 스탠딩 모션 또는 워킹 모션이 가능한 워킹모션부;
    사용자의 스탠딩 모션 또는 워킹 모션에 매칭되는 가상 현실 영상을 제시하는 모니터;
    상기 워킹모션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메인모듈부; 및
    사용자의 자세 또는 신체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사용자에게 모션 부가환경을 제공하는 부가기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모션부는 상기 모니터에서 제시된 가상 현실 영상과 매칭되는 보행 속도, 보행 경사 또는 보행 기울기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스텝 보행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사용자가 가상 체험하는 관광지에 대한 선택을 제공하는 관광지선택부;
    상기 관광지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관광지에서 사용자가 체험할 관광 메뉴에 대한 선택을 제공하는 체험메뉴선택부; 및
    상기 체험메뉴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체험 도중에 선택 가능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선택된 체험 메뉴에 매칭되는 환경 또는 분위기를 제공하는 부가서비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사용자가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을 사용한 이력 데이터 또는 사용자별 고유 데이터를 저장 및 분석하는 이력관리부;
    타 사용자가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을 사용한 이력 데이터를 저장 및 분석하여 사용자의 이력 데이터와 매칭되는 데이터를 산출하는 빅데이터부;
    관광상품 개발자가 제공한 관광상품 또는 관광상품에 관한 체험 콘텐츠가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에서 시뮬레이션 되도록 제공하는 상품연계부; 및
    상기 상품연계부에 의해 제공되는 관광상품 또는 관광상품에 대한 체험 콘텐츠를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을 통해 체험한 사용자의 관광상품 또는 체험 콘텐츠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광상품 개발자에게 전달하는 피드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이력관리부, 상기 빅데이터부 또는 상기 피드백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맞춤형 관광 체험 콘텐츠를 선별하여 상기 관광지선택부 또는 상기 체험메뉴선택부에 전달하고,
    상기 관광지선택부 또는 상기 체험메뉴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사용자별 맞춤형 관광 체험 콘텐츠는 상기 시뮬레이션 유닛에서 가상 현실 영상과 함께 시뮬레이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관광상품 개발자에게 마련되는 개발자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발자서버는,
    상기 상품연계부에서 제시되는 관광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품정보부;
    상기 피드백부에서 받은 피드백 데이터를 관광상품에 반영하는 피드백적용부; 및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에 의해 시뮬레이션 된 관광상품을 사용자가 구매하는 경우 리워드를 포함한 보상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프로모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모션부는,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에 의해 시뮬레이션 되는 관광상품 중 자사 관광상품을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유도하거나, 상기 시뮬레이터 유닛에 의해 시뮬레이션 되는 자사 관광상품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를 제공한 사용자에게 보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
KR1020220120520A 2022-09-23 2022-09-23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 KR202400414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520A KR20240041478A (ko) 2022-09-23 2022-09-23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520A KR20240041478A (ko) 2022-09-23 2022-09-23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1478A true KR20240041478A (ko) 2024-04-01

Family

ID=90667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0520A KR20240041478A (ko) 2022-09-23 2022-09-23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1478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287B1 (ko) 2015-06-15 2016-04-19 김영덕 3d 파노라마 영상을 근거로 한 여행지 원스톱 쇼핑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752593B1 (ko) 2016-04-05 2017-06-29 주식회사 드론오렌지 여행자 안내용 vr 체험형 키오스크
KR101903649B1 (ko) 2018-04-06 2018-10-02 주식회사 이노테크미디어 활공 및 도보 모드가 접목된 실감형 4d 관광시뮬레이터 시스템
KR20190053489A (ko) 2017-11-10 2019-05-20 문지용 가상현실에 기반한 그림지도를 이용하여 가상 답사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KR20200132583A (ko) 2019-05-17 2020-11-25 주식회사 포엠 관광지 가상현실 체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287B1 (ko) 2015-06-15 2016-04-19 김영덕 3d 파노라마 영상을 근거로 한 여행지 원스톱 쇼핑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752593B1 (ko) 2016-04-05 2017-06-29 주식회사 드론오렌지 여행자 안내용 vr 체험형 키오스크
KR20190053489A (ko) 2017-11-10 2019-05-20 문지용 가상현실에 기반한 그림지도를 이용하여 가상 답사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1903649B1 (ko) 2018-04-06 2018-10-02 주식회사 이노테크미디어 활공 및 도보 모드가 접목된 실감형 4d 관광시뮬레이터 시스템
KR20200132583A (ko) 2019-05-17 2020-11-25 주식회사 포엠 관광지 가상현실 체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4188B1 (ko)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가상현실용 헬스케어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923723B1 (ko) 사용자 간 상호작용이 가능한 메타버스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메타버스 클라이언트 단말 및 방법
US20200376398A1 (en) Interactive plush character system
US20160292850A1 (en) Personal audio/visual system
Nilsson et al. Tapping-in-place: Increasing the naturalness of immersive walking-in-place locomotion through novel gestural input
CN112755458B (zh) 用于使虚拟现实与室内运动器材联动的系统和方法
WO2014136700A1 (ja) 拡張現実提供システム、記録媒体および拡張現実提供方法
WO2007069752A1 (ja) 運動支援方法、運動器具、及び情報処理装置
CN106484115A (zh) 用于增强和虚拟现实的系统和方法
CN103635891A (zh) 大量同时远程数字呈现世界
KR101763404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도로 영상의 로드 정보가 헬스 자전거에 부여된 운동 시스템
Deligiannidis et al. The vr scooter: Wind and tactile feedback improve user performance
CN112567417A (zh) 自行车尺寸确定器
KR20140065814A (ko) 퀘스트 및 보상 시스템을 이용한 가상 캐릭터 육성 서비스 제공 방법
Greuter et al. Spacewalk: Movement and interaction in virtual space with commodity hardware
Thi Minh Tran et al. Designing exocentric pedestrian navigation for AR head mounted displays
Postolache et al.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for smart physical rehabilitation
KR20240041478A (ko)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
KR20220014254A (ko)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여행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41665A (ko) 가상 현실 기반 언노운 스팟 체험 시스템
KR20210144967A (ko) 실제지리정보환경을 활용한 헬스케어가 가능한 스마트 런닝머신 시스템
KR102053501B1 (ko) 롤러 기반의 트레드밀 시스템을 이용한 vr 환경에서의 걷기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51985B1 (ko) 가상 현실 기반 이동보조기기 체험 시스템
KR20240037662A (ko) 가상 현실 기반 관광지 액티비티 체험 시스템
KR20240037658A (ko) 가상 현실 기반 관광지 이동수단 체험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