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489A - 가상현실에 기반한 그림지도를 이용하여 가상 답사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가상현실에 기반한 그림지도를 이용하여 가상 답사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489A
KR20190053489A KR1020170149430A KR20170149430A KR20190053489A KR 20190053489 A KR20190053489 A KR 20190053489A KR 1020170149430 A KR1020170149430 A KR 1020170149430A KR 20170149430 A KR20170149430 A KR 20170149430A KR 20190053489 A KR20190053489 A KR 20190053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information
sec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지용
Original Assignee
문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지용 filed Critical 문지용
Priority to KR1020170149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3489A/ko
Publication of KR20190053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4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ore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522
    • H04M1/72583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현실에 기반한 그림지도를 이용하여 가상 답사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으로서, 서비스 사용자가 향후 가고자 하는 여행지(또는 목적지)를 가상 현실 상에서 사전에 가상으로 답사할 수 있어 답사 편의성 및 답사 현장의 생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가상현실에 기반한 그림지도를 이용하여 가상 답사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SUPPLYING VIRTUAL TRAVEL SURVEY SERVICE USING PICTORIAL MAP BASED ON VIRTUAL REALITY}
본 발명은 가상현실에 기반한 그림지도를 이용하여 가상 답사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으로서, 서비스 사용자가 향후 가고자 하는 여행지(또는 목적지)를 가상 현실 상에서 사전에 가상으로 답사할 수 있어 답사 편의성 및 답사 현장의 생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자 및 통신 기술 발전에 힘입어, 과거 전화 통화 기능을 제공하던 핸드폰은 이제 PDA기능, 전화기능, 컨텐츠 재생기능, 게임기능, 전자상거래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이 통합 구현된 스마트폰으로 발전해 왔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발전 트렌드는 하드웨어의 발전 추세에서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소프트웨어 개발 방향으로 가속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최근에는 여행 및 관광 분야에서도 GPS와 같은 스마트폰의 위치정보와 실제 지도를 활용한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관광 관련 애플리케이션들은 실제 지도에 이동 이력(즉, 과거 동선)을 표시하는 기술들이 일반적이므로 사용자가 향후 가고자 하는 여행지 또는 목적지에 대해 사전 답사하고자 할 때 복잡하고 미감이 매우 저하된 실제 지도 또는 확대 지도를 통해서는 실제 답사시의 현장감이나 실감성을 구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왔다.
즉, 일반적인 사용자들은 실제 지도(지도 애플리케이션 포함)를 이용할 때 단순히 지리적인 정보(예를 들어, 거리, 이동 소요시간 등)만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할 뿐, 생동감 넘치는 사전 답사 경험을 체험하기 위해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관광 관련 애플리케이션들은, 실제 지도 출력화면과는 별도의 화면(예를 들어, 인터넷 화면 또는 사진첩 화면)을 실행하여 실제 지도와 관련된 이미지정보 또는 여행지에서 찍었던 사진정보를 검색하거나 디스플레이부로 호출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여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비스 사용자가 향후 여행지 또는 목적지에 대해 생동감 있고 현실감 있게 가상으로 사전 답사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현실에 기반한 그림지도를 이용하여 가상 답사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가상현실에 기반한 그림지도를 이용하여 가상 답사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복수 개의 기능 섹션을 포함하는 메인메뉴화면을 출력하는 메인메뉴 출력단계와; 상기 복수 개의 기능 섹션 중 하나의 기능 섹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기능 섹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실행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순차 출력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기능 섹션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가고자 하는 목적지 지역에 대한 지도를 가상현실로 구현한 그림지도 및 해당 그림지도에 저장 및 기록된 공개데이터를 이용하여 목적지 지역을 가상으로 사전 답사할 수 있도록 하는 답사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개데이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이외의 타인의 추억데이터, 상기 가상 답사서비스 이외의 타 서비스의 해당 지역 제공정보 및 광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답사 섹션을 선택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순차 출력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목적지 지역의 해당 그림지도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그림지도 출력단계; 및 상기 해당 그림지도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단위구역 중에서 저장된 공개데이터가 존재하는 단위구역인 유효 단위구역을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활성화하여 출력하는 유효 단위구역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순차 출력단계는, 상기 유효 단위구역 출력단계 이후에, 복수 개의 유효 단위구역 중 해당 유효 단위구역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해당 유효 단위구역에 저장된 모든 공개데이터가 서로 일정 부분씩 중첩된 썸네일 형태인 썸네일 슬라이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썸네일 슬라이드 출력단계와; 상기 썸네일 슬라이드에 포함된 복수 개의 공개데이터 중 해당 공개데이터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해당 공개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확대하여 출력하는 확대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개데이터는, 기등록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출력되는 소정 면적의 앱 광고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순차 출력단계는, 상기 앱 광고섹션이 선택되는 제1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기등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순차 출력단계는, 상기 앱 광고섹션이 선택되는 제2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기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이 구입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마켓에 접속하거나 또는 상기 기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하도록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순차 출력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답사 합류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그림지도를 메신져 배경화면으로 하는 메신져 화면을 활성화시키는 메신져 활성화 단계와; 상기 메신져의 대화내용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대화 입력섹션을 상기 그림지도 위에 출력하는 대화 입력섹션 출력단계와; 상기 대화 입력섹션을 통하여 입력되어 기생성된 대화창이 상기 그림지도 위에 표시되도록 하는 대화창 출력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순차 출력단계는, 상기 유효 단위구역 출력단계 이후에, 복수 개의 유효 단위구역 중 해당 유효 단위구역이 선택되는 경우 또는 해당 공개데이터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해당 그림지도 내의 가상 이미지로 구현된 가상 거리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1인칭 시점 또는 3인칭 시점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도록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순차 출력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답사 합류인을 해당 그림지도 답사에 합류시킨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답사 합류인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자신의 가상 거리뷰를 서로 공유 또는 동기화하도록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상 거리뷰는 세부 단위구역 및 세부 유효 단위구역을 포함하고, 세부 유효 단위구역들 중 기등록된 세부 유효 단위구역은 다른 세부 유효 단위구역과 상기 기등록된 세부 유효 단위구역을 식별할 수 있는 가상 간판광고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순차 출력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의해 상기 가상 간판광고 섹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기등록된 세부 유효 단위구역에 대한 세부 광고정보인 공개데이터가 상기 가상 거리뷰 상에 출력되도록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개데이터는, 기등록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출력되는 소정 면적의 앱 광고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순차 출력단계는, 상기 앱 광고섹션이 선택되는 제1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기등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순차 출력단계는, 상기 앱 광고섹션이 선택되는 제2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기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이 구입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마켓에 접속하거나 또는 상기 기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하도록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 개의 기능 섹션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기초한 추억데이터를 생성하여, 실제 지도에 기초하여 단순화된 그림이미지로 구현된 그림지도에 포함된 복수 개의 단위구역 중에서 해당 추억데이터의 생성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단위구역에, 상기 해당 추억데이터를 저장 및 기록하도록 하는 기록 섹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 개의 기능 섹션은, 상기 기록 섹션의 실행으로 인해 기생성된 그림지도 및 상기 그림지도에 기록된 기생성된 추억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출력하도록 하는 회상 섹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억데이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정보 및 상기 이미지정보에 결합되는 상기 이미지정보의 생성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억데이터는, 상기 이미지정보의 생성시각정보, 상기 이미지정보의 생성시 체류시간정보, 상기 이미지정보의 생성시 동행자 정보, 상기 이미지정보의 생성시 날씨 정보 및 상기 이미지정보의 생성시 계절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제 지도에 기초하여 가상현실에 기반한 단순화된 그림이미지로 구현된 그림지도를 기준으로 하여 가상으로 사전 답사 체험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정보만을 제공하는 실제 지도와 달리 사용자가 미감 및 직관성이 현저히 향상된 그림지도를 이용하여 답사 지역에서의 공개데이터를 생동감 있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하고,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마치 실제 현장 답사를 한 것과 같은 생동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답사지역의 그림지도 및/또는 공개데이터를 바탕화면으로 하여 답사 합류인과 메신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서비스 사용자들이 가상의 답사 목적지에서 동선 및 각종 공개 정보를 수집하면서 서로 대화하거나, 여행 동선과 같은 여행 계획을 짜면서 서로 대화할 수 있어 서비스 사용자들에게 대화와 동시에 하나의 화면에서 그림지도, 공개데이터 등의 다양한 정보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화면을 실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하나의 실행화면으로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답사 여행지에서의 답사시 답사 합류인과 함께 그림지도 및/또는 공개데이터를 함께 보면서 대화할 수 있으므로 답사시의 공감대를 최대한 끌어올릴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공개데이터에 앱 광고섹션을 포함함으로써, 공개데이터가 사용자들에게 노출될 때마다 사용자들로 하여금 기등록된 어플리케니션에 대한 관심 또는 호기심을 유발시킬 수 있어 광고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앱 광고센셕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출력하는 방식으로 실행되므로, 공개데이터의 시각정보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최소한의 시각 면적으로 광고효과를 직관성 있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앱 광고섹션에 대한 기대감 또는 호기심에 상기 앱 광고섹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앱 광고섹션에 대응되는 기등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개략적인 및/또는 상세한 식별 정보가 상기 거리뷰 실행화면에 함께 출력되므로, 사용자가 직관적이고 손쉽게 앱 광고섹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광고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가상 거리뷰에 가상 간판광고 섹션을 포함함으로써, 가상 거리뷰 상에서도 광고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가상 거리뷰에 가상 간판광고 섹션을 포함하고, 동시에 가상 간판광고 섹션에 대한 세부 광고정보인 공개데이터에서 앱 광고섹션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해당 단위구역에 대한 광고정보 뿐만 아니라 2차적으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광고정보까지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추억데이터 기록 및 회상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추억데이터 기록 및 회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추억데이터 기록 및 회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상 기능 구현 알고리즘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상 기능 구현 알고리즘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 기능 구현 알고리즘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답사 기능 구현 알고리즘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메뉴화면의 일 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실행화면의 일 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f는 본 발명에 따른 회상 실행화면의 일 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g는 본 발명에 따른 답사 실행화면의 일 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추억데이터 기록 및 회상 서비스 제공시스템(1000)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추억데이터 기록 및 회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200)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추억데이터 기록 및 회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300)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추억데이터 기록 및 회상 서비스 제공시스템(1000)은, 호스트인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즉, 도면에서 사용자단말기1)(100)와, 서비스서버(200)와, 게스트인 각 기능의 합류인(즉, 기록 합류인, 회상 합류인, 답사 합류인)들의 이동통신 단말기(즉, 도면에서 사용자단말기2)(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단말기1(100)과, 상기 서비스서버(2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2(300)는 통신망으로 상호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서비스서버(200)는 위치기반 추억데이터 기록 및 회상 서비스를 연산 및/또는 처리 및/또는 가공하는 서버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서버(200)는 후술할 기능 기능과 관련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처리 및/또는 가공하는 기록 기능실행모듈과, 후술할 회상 기능과 관련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처리 및/또는 가공하는 회상 기능실행모듈과, 후술할 답사 기능과 관련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처리 및/또는 가공하는 답사 기능실행모듈과, 상기 사용자단말기1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2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통신모듈과, 각종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즉, 사용자단말기1(100), 사용자단말기2(300))는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 태블릿 PC, 워치형 단말기,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입력부와, 센싱부와, 무선통신부와, 출력부와, 메모리부와, 인터페이스부와, 전원공급부와,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 또는 마이크(microphone)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패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통신 단말기 내 정보, 이동통신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 햅팁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는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는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부는 이동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부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부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전슐헌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추억데이터 기록 및 회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상 기능 구현 알고리즘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상 기능 구현 알고리즘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 기능 구현 알고리즘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답사 기능 구현 알고리즘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메뉴화면(110)의 일 예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실행화면(즉, 기록 섹션(111) 선택시 순차 출력단계의 실행화면)의 일 예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10a 내지 도 10f는 본 발명에 따른 회상 실행화면(즉, 회상 섹션(112) 선택시 순차 출력단계의 실행화면)의 일 예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11a 내지 도 11g는 본 발명에 따른 답사 실행화면(즉, 답사 섹션(113) 선택시 순차 출력단계의 실행화면)의 일 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서비스서버(200)와 상호 데이터 통신함으로써 서비스 사용자(사용자)가 위치정보에 기반한 추억데이터(I)를 그림지도(PM) 상에 저장 및/또는 기록하고, 서비스 사용자(사용자)가 그림지도(PM) 상에 저장 및/또는 기록된 추억데이터(I)를 이용하여 직관적으로 과거 여행지에서의 추억을 회상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추억데이터(I)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정보 및 상기 이미지정보에 결합되는 상기 이미지정보의 생성위치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미지정보는 사진 정보 뿐만 아니라 동영상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적으로, 상기 추억데이터(I)는, 상기 이미지정보의 생성시각정보, 상기 이미지정보의 생성시 체류시간정보, 상기 이미지정보의 생성수량 또는 생성용량, 상기 이미지정보의 생성시 동행자 정보, 상기 이미지정보의 생성시 날씨 정보 및 상기 이미지정보의 생성시 계절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선택적으로 포함된 추가 정보들은, 회상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즉, 메인메뉴화면(110)에서 회상 섹션(112)이 선택되는 경우) 그림지도(PM) 상에 출력되는 시각적 정보 또는 상기 그림지도(PM)와 함께 출력되는 청각적 정보를 상기 추가 정보들의 내용에 따라 변화시키는 데이터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미지정보의 생성시 체류시간정보 및 상기 이미지정보의 생성수량 또는 생성용량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림지도(PM) 상의 유효 단위구역(EU)에 체류시간 알림정보(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효 단위구역(EU) 상에 포시되는 원의 크기 등) 및 추억수량 알림정보(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효 단위구역(EU) 상에 포시되는 원의 채색 농도 등) 형태로 시각적으로 출력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크게 메인메뉴 출력단계와, 순차 출력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메뉴 출력단계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복수 개의 기능 섹션을 포함하는 메인메뉴화면(110)을 출력하도록 실행된된다.
상기 순차 출력단계는, 상기 서비스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메인메뉴화면(110)에 포함된 복수 개의 기능 섹션 중 하나의 기능 섹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기능 섹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실행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순차적으로 출력하도록 실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메뉴화면(110)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기능 섹션은, 기록 섹션(111)과, 회상 섹션(112)과, 답사 섹션(113)을 포함한다.
상기 기록 섹션(111)은, 상기 기록 섹션(111)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기초한 추억데이터(I)를 생성하여, 상기 추억데이터(I)를 그림지도(PM)에 또는 그림지도(PM)의 단위구역(U)에 대응되는 영역에 저장 및/또는 기록하도록 실행한다.
여기서, 상기 그림지도(PM)(또는 입체 그림지도(PM))는 실제 지도에 기초하여 단순화된 그림이미지로 구현된 인포그래픽 지도의 일종이다.
상기 그림지도(PM)는 실제 지도의 위치좌표(예를 들어, 건물위치 또는 거리위치 등)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단위구역(U)을 포함한다.
상기 단위구역(U)은 추억데이터(I)가 저장 및/또는 기록되는 위치 또는 그림지도(PM)의 일부분이다.
복수 개의 단위구역(U)들 중에서 해당 단위구역(U)에 추억데이터(I)가 저장 및/또는 기록되는 경우, 상기 단위구역(U)은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하게 활성화되는 '유효 단위구역(EU)'으로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다.
상기 유효 단위구역(EU)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류시간 알림정보 및/또는 추억수량 알림정보 등으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그림지도(PM) 상의 해당 단위구역(U)을 시각적으로 점멸 또는 밝기 조절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에 표현될 수도 있다.
상기 회상 섹션(112)은, 상기 기록 섹션(111)의 실행으로 인해 기생성된 그림지도(PM) 및 상기 그림지도(PM)에 기록된 기생성된 추억데이터(I)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출력하도록 실행한다.
그리고, 상기 답사 섹션(113)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가고자 하는 목적지 지역의 그림지도(PM) 및 해당 그림지도(PM)에 저장 및 기록된 공개데이터(O)를 이용하여 목적지 지역을 가상으로 사전 답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기능에 공통적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는, 사용자단말기1의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위치기반 추억데이터(I) 기록 및 회상 서비스를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로그인 화면을 출력한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하여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메인메뉴화면(110)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각 기능 섹션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기능의 실행신호를 서비스서버(200)로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각 기능의 구현 알고리즘에 대한 플로우챠트 및 각 기능의 실행화면의 일 예에 대한 개략도를 참고하여 각 기능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상 기능 구현 알고리즘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 4는 호스트인 사용자단말기1의 사용자 혼자 회상 기능을 구현하는 상황에 대한 것이다.
우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입력부를 통하여 도 8의 메인메뉴화면(110)에서 회상 섹션(112)이 선택되는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회상 기능 실행신호를 서비스서버(200)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서비스서버(200)는 수신된 회상 기능 실행신호에 기초하여 회상 기능실행모듈을 활성화시킨다.
이후, 상기 서비스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그림지도(PM) 목록을 호출한 후, 상기 그림지도(PM) 목록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그림지도(PM) 목록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즉, 사용자단말기1))의 사용자 아이디에 대응되는 데이터이다. 즉, 상기 그림지도(PM) 목록은 상기 사용자가 기록 기능을 이용하여 기생성한 그림지도(PM)에 대한 목록을 의미한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그림지도(PM) 목록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한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해당 그림지도(PM)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해당 그림지도(PM) 요청신호를 상기 서비스서버(200)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서비스서버(200)는 해당 그림지도(PM) 및 단위구역(U)별로 저장 및/또는 기록된 (I)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호출한 후, 해당 그림지도(PM) 및 관련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0a에 도시된 봐와 같이, 상기 서비스서버(200)로부터 수신된 해당 그림지도(PM) 및 관련 데이터(단위구역(U)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한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해당 그림지도(PM)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단위구역(U)들 중에서 추억데이터(I)가 기록되어 있는 단위구역(U)을 시각적으로 활성화된 유효 단위구역(EU)으로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효 단위구역(EU) 출력단계는, 체류시간 알림정보와, 추억수량 알림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림정보가 상기 해당 단위구역(U) 상에 표시되도록 실행된다.
상기 체류시간 알림정보는 상기 추억데이터(I)의 생성시 체류시간정보가 유효 단위구역(EU)별로 서로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하는 알림정보이고, 도 10a에서는 예시적으로 원형아이콘의 크기, 동심원 아이콘의 수량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추억수량 알림정보는, 해당 유효 단위구역(EU)에 저장 및 기록된 해당 추억데이터(I)의 수량(또는 용량)이 유효 단위구역(EU)별로 서로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하는 알림정보이고, 도 10a에서는 예시적으로 원형아이콘 내의 채색 농도로 표시되어 있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해당 유효 단위구역(EU)을 선택하는 선택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유효 단위구역(EU) 관련데이터 요청신호를 상기 서비스서버(200)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서비스서버(200)는 해당 유효 단위구역(EU)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추억데이터(I)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호출한 후, 상기 해당 단위구역(U)별 추억데이터(I)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서버(200)는 해당 유효 단위구역(EU)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추억데이터(I)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호출한 후, 상기 추억데이터(I)의 출력 형태를 직관성 및 즉시성이 향상된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르에이부의 화면 상에서 상기 해당 유효 단위구역(EU) 상에 또는 상기 해당 유효 단위구역(EU) 부근에 썸네일 슬라이드(S)를 출력한다.
상기 썸네일 슬라이드(S)는 상기 해당 유효 단위구역(EU)에 저장 및 기록된 모든 추억데이터(I1)가 서로 일정부분씩 중첩된 방식으로 표현되는 슬라이드 형태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림지도(PM)의 전체 면적의 10% 내지 30% 정도의 면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썸네일 슬라이드(S)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썸네일 슬라이드(S)에 포함된 복수 개의 추억데이터(I1)들 각각이 선택적으로 최전면에 나타나도록 슬라이드 넘김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썸네일 슬라이드(S) 출력단계는, 상기 썸네일 슬라이드(S)에 포함된 복수 개의 추억데이터(I1)가 기설정된 주기로 또는 속도로 순차적으로 최전면으로 자동 이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적어도 1회 이상 실행될 수 있다.(도 10c 참고)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썸네일 슬라이드(S)에 포함된 복수 개의 추억데이터(I1) 중 해당 추억데이터(I1)가 사용자 입력신호의 의해 선택되는 경우,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당 추억데이터(I2)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체 확대(또는 거의 전체 확대) 또는 중간 확대(예를 들어, 중간사이즈로 1차 확대)하여 출력한다.
추가 실시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확대된 해당 추억데이터(I2)의 일부영역 또는 주변영역에는, 상기 그림지도(PM)를 축소한 미니맵 섹션이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해당 추억데이터(I)가 사용자 입력신호(2차 입력신호)의 의해 한번 더 선택되는 경우, 상기 해당 추억데이터(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체 확대(또는 거의 전체 확대)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미니맵 섹션이 사용자 입력신호의 의해 선택되는 경우, 해당 그림지도(PM) 및 유효 단위구역(EU)들을 다시 상기 디스플레이부 전체에 출력한다.
도 5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상 기능 구현 알고리즘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 5는 호스트인 사용자단말기1의 사용자와 게스트인 사용자단말기2의 사용자(즉, 회상 합류인)이 함께 회상 기능을 구현하는 상황에 대한 것이다.
참고로, 도 5의 (A) 블록에 속하는 단계들은 도 4의 (A)블록에 속하는 단계들을 모두 포함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일부 포함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참고로, 도 5의 (A') 블록에 속하는 단계들은 도 5의 (A)블록에 속하는 단계들이 동기화되어 동일하게 반복 또는 대응되게 실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상 기능 구현 알고리즘은, 도 10a 내지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상 기능 구현 알고리즘에 메신져 기능 및 동기화 기능이 부가된 알고리즘이다.
즉,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상 기능 구현 알고리즘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상 기능 구현 알고리즘을 구현하면서 동시에 회상 합류인과 추억데이터(I) 공유, 대화 및 화면 내용 동기화를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상 기능 구현 알고리즘은, 도 4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입력부를 통하여 회상 섹션(112)이 선택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부터 '추억데이터(I)가 기록되어 있는 단위구역(U)을 시각적으로 활성화된 유효 단위구역(EU)으로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까지의 단계들과 동일하거나 이 단계들 중 일부 단계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후, 상기 서비스서버(200)는 해당 그림지도(PM) 및 단위구역(U)별로 저장 및/또는 기록된 추억데이터(I)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호출한 후, 해당 그림지도(PM)에 저장된 관련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추억데이터(I)의 생성시 동행자 정보(즉, 회상 합류인 정보)를 호출한다.
추가 실시예로서, 상기 서비스서버(200)는,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그림지도(PM) 및 추억데이터(I)를 이용하여 자신의 추억 내용을 공유하고자 하는 피초대인 정보(즉, 회상 합류인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피초대인(즉, 회상 합류인)은 그림지도(PM)에 대응되는 여행지를 같이 여행한 동행자가 아니라 단지 호스트인 사용자가 자신의 추억을 함께 공유하여 자신의 회상 감성을 함께하고자 초대한 게스트이다.
이후, 상기 서비스서버(200)는 상기 회상 합류인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메신져 기능을 호출한 후, 메신져 기능 활성화 권한을 호스트인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즉, 사용자단말기1)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호스트인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즉, 사용자단말기1)는 상기 그림지도(PM)를 메신져 배경화면으로 하는 메신져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활성화시킨다.(도 10a 및 도 10b 참고)
그리고, 상기 서비스서버(200)는 상기 회상 합류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회상 합류인에게 회상기능을 함께 진행할지 여부를 물어보는 회상합류 알림정보를 상기 회상 합류인의 이동통신 단말기(즉, 사용자단말기2)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회상 합류인의 이동통신 단말기(즉, 사용자단말기2)는 상기 회상 합류 알림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2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한다.
이후, 상기 회상 합류인의 이동통신 단말기(즉, 사용자단말기2)는 상기 회상 합류인의 입력신호에 의해 상기 회상합류 알림정보에 대해 승인하는 회상합류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회상합류 선택선호를 상기 서비스서버(200)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서비스서버(200)는 메신져 기능 활성화 권한을 상기 사용자단말기2로 전송하고, 동시에 해당 그림지도(PM) 회상 권한도 상기 사용자단말기2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단말기2는 해당 그림지도(PM) 및 단위구역(U)을 동기화화여 출력하고, 상기 유효 단위구역(EU) 활성화 시각정보를 동기화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기 호스트의 이동통신 단말기 및/또는 게스트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신져의 대화내용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대화 입력섹션(IP)을 상기 그림지도(PM) 위에 및/또는 상기 (확대된) 추억데이터(I) 위에 출력한다.
그리고,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스트의 이동통신 단말기 및/또는 게스트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대화 입력섹션(IP)을 통하여 입력되어 기생성된 대화창(W1)(W2)이 상기 그림지도(PM) 위에 및/또는 상기 (확대된) 추억데이터(I) 위에 표시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10b 내지 도 1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림지도(PM), 상기 추억데이터(I), 상기 썸네일 슬라이드(S), 상기 메신져 화면, 상기 대화 입력섹션(IP) 및 상기 대화창(W1)(W2)은, 서로 가상의 상하 계층구조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의해 선택될 때마다 선택된 계층이 최상위 계층으로 부상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추가 실시예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림지도(PM), 상기 추억데이터(I), 상기 썸네일 슬라이드(S), 상기 메신져 화면, 상기 대화 입력섹션(IP) 및 상기 대화창(W1)(W2)은, 선택된 계층이 최상위 계층으로 부상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때 각 계층의 투명도가 계층 순서에 따라 변화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림지도(PM)는 추억데이터(I)의 생성시 날씨정보, 생성시 시각정보, 생성시 계절정보에 따라 날씨 배경이 그림지도(PM)에 추가되거나 또는 추천 음악 또는 날씨배경에 대응되는 효과음이 음향출력부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실행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상기 그림지도(PM)에 포함된 일조량 이미지가 변화되도록 실행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기록 기능 구현 알고리즘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
우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입력부를 통하여 도 8의 메인메뉴화면(110)에서 기록 섹션(111)이 선택되는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추억데이터(I)의 기초정보인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생성하도록 위치정보 모듈을 활성화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 또는 상기 위치기반 추억데이터(I) 기록 및 회상 서비스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도 위치정보 생성상태를 활성화시킨다.
이렇게 지속적으로 생성된 위치정보는 그림지도(PM) 상에서 이동경로로 기록되거나 또는 이후 획득되는 추억데이터(I)에 추억데이터(I) 생성위치로서 결합되어 그림지도(PM)에서 대응되는 해당 단위구역(U)에 매칭된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기록 기능 실행신호를 서비스서버(200)로 전송한다.
동시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서비스서버(200)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서비스서버(200)는 수신된 기록 기능 실행신호에 기초하여 기록 기능 실행모듈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동시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해당 그림지도(PM)를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호출한 후 상기 해당 그림지도(PM)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서버(200)로부터 수신된 해당 그림지도(PM) 및 관련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한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력사용량의 절약을 위해 또는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의해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하거나, 또는 상기 위치기반 추억데이터(I) 기록 및 회상 서비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완전히 비활성화하거나 또는 상기 위치기반 추억데이터(I) 기록 및 회상 서비스를 도 9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중' 알림신호(121)를 제외하고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추억데이터(I) 기초정보를 저장하고 생성하는 기능을 활성화상태로 유지한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입력부를 통하여 추억데이터(I) 기초정보 생성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입력부를 통하여 추억데이터(I) 기초정보를 생성하여 메모리부에 저장 및/또는 기록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위치정보 모듈을 통하여 상기 추억데이터(I) 또는 추억데이터(I) 기초정보의 생성위치정보를 함께 생성하여 상기 추억데이터(I) 또는 상기 추억데이터(I) 기초정보에 결합시켜, 최종 기록정보 형태인 추억데이터(I)를 생성 및 저장 및 기록한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렇게 메모리부에 기록 및 저장된 추억데이터(I)를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또는 특정조건 만족시(예를 들어, 와이파이 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하는 경우 등) 상기 서비스서버(200)로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서비스서버(200)는 해당 그림지도(PM) 상에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단위구역(U)에 상기 추억데이터(I)를 저장 및/또는 기록하고, 해당 단위구역(U)을 시각적으로 활성화하여 유효 단위구역(EU)으로 생성 및/또는 변환한다.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추억데이터(I) 기초정보 및 추억데이터(I)를 획득 및 저장한 후, 이들을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또는 특정조건 만족시(예를 들어, 와이파이 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하는 경우 등) 상기 서비스서버(200)로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서버(200)가 상기 추억데이터(I) 기초정보 및 추억데이터(I)들을 가공 및 결합하여 최종 기록정보 형태인 추억데이터(I)를 생성 및 저장 및 기록하도록 실행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서비스서버(200)는 유효 단위구역(EU)를 생성하고 추억데이터(I)를 대응되는 유효 단위구역(EU)에 기록하여 해당 그림지도(PM)를 업데이트한 후, 상기 업데이트된 그림지도(PM)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업데이트된 그림지도(PM)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한다.
상기 기록 기능을 실행하는 동안, 기록 합류인과 함께 기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호스트인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즉, 사용자단말기1)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통하여 동행자 선택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동행자 식별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200)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서비스서버(200)는 상기 동행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행자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가입자인지 판단하고, 상기 동행자가 서비스 가입자라고 판단하는 경우 기록 합류여부를 물어보는 기록 알림신호 또는 기록 합류알림신호를 상기 동행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즉, 사용자단말기2)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단말기2는 상기 동행자의 입력신호에 의해 호스트인 사용자와 함께 해당 그림지도(PM)에 대응되는 지역에 대한 기록 기능을 수행할 것을 승인하는 기록 합류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기록 합류 선택신호를 상기 서비스서버(200)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서비스서버(200)는 해당 그림지도(PM)에 대한 기록 권한을 상기 사용자단말기2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단말기2는 도 6의 (B)블록에 포함되는 단계들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기록 기능(도 6의 (B')블록)을 해당 그림지도(PM)에 동기화화여 수행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답사 기능 구현 알고리즘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답사 기능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가고자 하는 목적지(예를 들어, 계획 중인 여행지 등) 지역의 그림지도(PM) 및 해당 그림지도(PM)에 저장 및 기록된 공개데이터(O)를 이용하여 목적지 지역을 가상으로 사전 답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여기서, 상기 공개데이터(O)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이외의 타인의 추억데이터(I)(즉, 타인의 동의 하에 공개로 설정된 추억데이터(I)), 위치기반 추억데이터(I) 기록 및 회상 서비스 이외의 타 서비스의 해당 지역 제공정보(블로그 내용, 카페 내용 등) 및 광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입력부를 통하여 도 8의 메인메뉴화면(110)에서 답사 섹션(113)이 선택되는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입력부를 통하여 답사지역 선택신호를 수신한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답사 기능 실행신호를 서비스서버(200)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서비스서버(200)는 수신된 답사 기능 실행신호 및 답사지역 선택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가고자 하는 목적지 지역의 해당 그림지도(PM) 및 관련데이터(공개데이터(O) 등을 포함함)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호출한 후, 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서버(200)로부터 수신된 해당 그림지도(PM) 및 관련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해당 그림지도(PM) 상에 공개데이터(O)가 저장되어 있는 유효 단위구역(EU)임을 알리는 유효 단위구역(EU) 활성화 시각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한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해당 유효 단위구역(EU)을 선택하는 제1 단위구역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해당 유효 단위구역(EU)에 저장된 또는 대응되는 공개데이터(O)를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서비스서버(200)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서비스서버(200)는 해당 공개데이터(O)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호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공개데이터(O) 섹션을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개데이터(O) 섹션은 복수 개의 공개데이터(O1)가 썸네일 슬라이드(S) 형태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썸네일 슬라이드(S)에 포함된 복수 개의 공개데이터(O1) 중 해당 공개데이터(O1)가 선택되는 경우,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당 공개데이터(O2)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중간) 확대하여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1f을 참고하면, 상기 공개데이터는, 기등록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출력되는 소정 면적의 앱 광고섹션(AA)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순차 출력단계는, 상기 앱 광고섹션(AA)이 선택되는 제1 입력신호(예를 들어, 단시간 1회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도 11g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상기 기등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AA')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실행될 수 있다.
다른 경우로서, 상기 순차 출력단계는 상기 앱 광고섹션(AA)이 선택되는 제2 입력신호(예를 들어, 기설정된 시간 이상의 및/또는 복수 회의 입력신호 등)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기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이 구입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마켓에 접속하거나 또는 상기 기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1c에 도시된 봐와 같이, 상기 확대된 해당 공개데이터(O2) 섹션은 상기 해당 공개데이터(O2)가 저장된 해당 유효 단위구역(EU)을 해당 그림지도의 목표 동선지역으로 등록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동선추가 섹션'(T1)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해당 유효 단위구역(EU)을 선택하는 제2 단위구역 선택신호 또는 상기 확대된 공개데이터 섹션(O2)에 포함된 공개데이터(O2)를 선택하는 공개데이터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유효 단위구역(EU)의 가상 거리뷰(SV)를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서비스서버(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단위구역 선택신호(즉, 상기 해당 유효 단위구역(EU)에 저장된 또는 대응되는 공개데이터(O)를 요청하는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입력신호) 및 상기 제2 단위구역 선택신호(해당 유효 단위구역(EU)의 가상 거리뷰(SV)를 요청하는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입력신호)는 서로 구별되는 입력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위구역 선택신호 및 상기 제2 단위구역 선택신호 중 하나의 선택신호는 해당 단위구역(U)을 누르고 있는 시간이 기설정 시간 이상일 때 생성되는 신호이고, 상기 제1 단위구역(U) 선택신호 및 상기 제2 단위구역(U) 선택신호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선택신호는 해당 단위구역(U)을 누르는 연타 횟수가 기설정 횟수 이상일 때 생성되는 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상 거리뷰(SV)는 상기 해당 그림지도(PM) 내의 가상 이미지로 구현된 그림 또는 입체그림 거리뷰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1인칭 시점 또는 3인칭 시점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가상 거리뷰(SV) 화면은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그림지도의 미니맵 섹션(M)을 포함하며, 상기 미니맵 섹션(M)은 호스트인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L1) 및/또는 게스트인 답사 합류인의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L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니맵 섹션이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가상 거리뷰를 해당 그림지도로 화면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상 거리뷰는 사용자의 아바타 캐릭터(A1), 동선추가 섹션(T1) 및 '시선공유' 섹션(T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선공유 섹션(T2)가 사용자 입력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답사 합류인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자신의 가상 거리뷰(SV)를 서로 공유 또는 동기화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시선공유 섹션(T2)가 사용자 입력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뷰 실행화면에 메신져 실행화면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게다가, 도 11d 내지 도 11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상 거리뷰는 상기 가상 거리뷰에 포함된 세부 단위구역 및 세부 유효 단위구역(EU')(예를 들어, 가상 거리뷰에 포함된 가상 건물이나 빌딩 또는 이에 포함되는 각 상점 등)를 포함한다.
상기 세부 유효 단위구역들 중 기등록된 세부 유효 단위구역(즉, 서비스서버에 의해 등록된 또는 권한부여받은 유효 단위구역)은 다른 세부 유효 단위구역과 상기 기등록된 세부 유효 단위구역을 식별할 수 있는 가상 간판광고 섹션(PA)을 포함한다.
상기 세부 유효 단위구역(EU')이 선택되는 경우,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세부 유효 단위구역에 저장된 세부 공개데이터(O3)(예를 들어, 광고정보, 각 상점의 상품 사진 또는 블로그 사진 등)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의해 상기 가상 간판광고 섹션(PA)이 선택되는 경우에도, 상기 기등록된 세부 유효 단위구역에 대한 세부 광고정보인 공개데이터가 상기 가상 거리뷰 상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도 1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부 유효 단위구역(EU') 또는 가상 간판광고 섹션(PA)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세부 공개데이터(O')가 썸네일 슬라이드(S') 형태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썸네일 슬라이드(S')에 포함된 복수 개의 세부 공개데이터(O') 중 해당 세부 공개데이터(O')가 선택되는 경우, 도 1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당 세부 공개데이터(O3')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확대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1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부 공개데이터는 기등록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즉, 서비스서버에 의해 등록된 또는 권한부여받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이 출력되는 소정 면적의 앱 광고섹션(AA)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순차 출력단계는, 상기 앱 광고섹션(AA)이 선택되는 제1 입력신호(예를 들어, 단시간 1회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도 11g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상기 기등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AA')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실행될 수 있다.
다른 경우로서, 상기 순차 출력단계는 상기 앱 광고섹션(AA)이 선택되는 제2 입력신호(예를 들어, 기설정된 시간 이상의 및/또는 복수 회의 입력신호 등)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기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이 구입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마켓에 접속하거나 또는 상기 기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비스서버(200)는 해당 가상 거리뷰(SV)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호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해당 유효 단위구역(EU)의 가상 거리뷰(SV)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한다.
상기 가상 거리뷰(SV)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아바타 캐릭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아바타 캐릭터는 방향조절 입력패드(T3) 등을 통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가상 거리뷰(SV) 상에서 이동하여 상기 가상거리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답사 기능을 실행하는 동안, 답사 합류인과 함께 답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호스트인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즉, 사용자단말기1)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통하여 동행자 선택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동행자 식별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200)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서비스서버(200)는 상기 동행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행자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가입자인지 판단하고, 상기 동행자가 서비스 가입자라고 판단하는 경우 답사 합류여부를 물어보는 답사 알림신호 또는 답사 합류알림신호를 상기 동행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즉, 사용자단말기2)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단말기2는 상기 동행자의 입력신호에 의해 호스트인 사용자와 함께 해당 그림지도(PM)에 대응되는 지역에 대한 가상 답사 기능을 수행할 것을 승인하는 답사 합류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답사 합류 선택신호를 상기 서비스서버(200)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서비스서버(200)는 해당 그림지도(PM)에 대한 답사 권한을 상기 사용자단말기2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단말기2는 도 7의 (C)블록에 포함되는 단계들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답사 기능(도 7의 (C')블록)을 해당 그림지도(PM)에 동기화화여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답사 합류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그림지도(PM)를 메신져 배경화면으로 하는 메신져 화면을 활성화시키는 메신져 활성화 단계와; 상기 메신져의 대화내용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대화 입력섹션(IP)을 상기 그림지도(PM) 위에 출력하는 대화 입력섹션(IP) 출력단계와; 상기 대화 입력섹션(IP)을 통하여 입력되어 기생성된 대화창(W1)(W2)이 상기 그림지도(PM) 위에 표시되도록 하는 대화창(W1)(W2) 출력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추가 실시예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림지도(PM), 상기 공개데이터(O), 상기 썸네일 슬라이드(S), 상기 메신져 화면, 상기 대화 입력섹션(IP) 및 상기 대화창(W1)(W2)은, 선택된 계층이 최상위 계층으로 부상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때 각 계층의 투명도가 계층 순서에 따라 변화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답사 합류인을 해당 그림지도(PM) 답사에 합류시킨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답사 합류인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자신의 가상 거리뷰(SV)를 서로 공유 또는 동기화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제어 알고리즘의 각 단계는 필요에 따라 서로 순서가 바뀌어 실행될 수 있고, 이렇게 순서가 바뀌어 실행되는 실시예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0 : 위치기반 추억데이터 기록 및 회상 서비스 제공시스템
100 : 사용자단말기1(호스트인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200 : 서비스서버
300 : 사용자단말기3(게스트인 합류인 또는 동행인의 이동통신 단말기)
PM : 그림지도
U : 단위구역
EU : 유효 단위구역
S : 썸네일 슬라이드
I, I1, I2 : 추억데이터
O, O1, O2, O3 : 공개데이터
M : 미니맵 섹션
L1 :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
L2 : 게스트인 답사 합류인의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
SV : 가상 거리뷰
EU' : 세부 유효 단위구역
PA : 가상 간판광고 섹션
S' : 세부 썸네일 슬라이드
O' : 세부 공개데이터
AA : 앱 광고섹션
AA' : 기등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
T1 : 동선추가 섹션
T2 : 시선공유 섹션
T3 : 방향조절 입력패드

Claims (19)

  1. 가상현실에 기반한 그림지도를 이용하여 가상 답사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복수 개의 기능 섹션을 포함하는 메인메뉴화면을 출력하는 메인메뉴 출력단계와;
    상기 복수 개의 기능 섹션 중 하나의 기능 섹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기능 섹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실행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순차 출력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기능 섹션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가고자 하는 목적지 지역에 대한 지도를 가상현실로 구현한 그림지도 및 해당 그림지도에 저장 및 기록된 공개데이터를 이용하여 목적지 지역을 가상으로 사전 답사할 수 있도록 하는 답사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데이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이외의 타인의 추억데이터, 상기 가상 답사서비스 이외의 타 서비스의 해당 지역 제공정보 및 광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답사 섹션을 선택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순차 출력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목적지 지역의 해당 그림지도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그림지도 출력단계; 및
    상기 해당 그림지도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단위구역 중에서 저장된 공개데이터가 존재하는 단위구역인 유효 단위구역을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활성화하여 출력하는 유효 단위구역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4. 제3에 있어서,
    상기 순차 출력단계는, 상기 유효 단위구역 출력단계 이후에,
    복수 개의 유효 단위구역 중 해당 유효 단위구역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해당 유효 단위구역에 저장된 모든 공개데이터가 서로 일정 부분씩 중첩된 썸네일 형태인 썸네일 슬라이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썸네일 슬라이드 출력단계와;
    상기 썸네일 슬라이드에 포함된 복수 개의 공개데이터 중 해당 공개데이터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해당 공개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확대하여 출력하는 확대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5. 제4에 있어서,
    상기 공개데이터는, 기등록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출력되는 소정 면적의 앱 광고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6. 제5에 있어서,
    상기 순차 출력단계는,
    상기 앱 광고섹션이 선택되는 제1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기등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 출력단계는,
    상기 앱 광고섹션이 선택되는 제2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기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이 구입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마켓에 접속하거나 또는 상기 기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하도록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 출력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답사 합류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그림지도를 메신져 배경화면으로 하는 메신져 화면을 활성화시키는 메신져 활성화 단계와;
    상기 메신져의 대화내용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대화 입력섹션을 상기 그림지도 위에 출력하는 대화 입력섹션 출력단계와;
    상기 대화 입력섹션을 통하여 입력되어 기생성된 대화창이 상기 그림지도 위에 표시되도록 하는 대화창 출력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 출력단계는, 상기 유효 단위구역 출력단계 이후에,
    복수 개의 유효 단위구역 중 해당 유효 단위구역이 선택되는 경우 또는 해당 공개데이터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해당 그림지도 내의 가상 이미지로 구현된 가상 거리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1인칭 시점 또는 3인칭 시점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도록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 출력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답사 합류인을 해당 그림지도 답사에 합류시킨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답사 합류인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자신의 가상 거리뷰를 서로 공유 또는 동기화하도록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거리뷰는 세부 단위구역 및 세부 유효 단위구역을 포함하고,
    세부 유효 단위구역들 중 기등록된 세부 유효 단위구역은 다른 세부 유효 단위구역과 상기 기등록된 세부 유효 단위구역을 식별할 수 있는 가상 간판광고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 출력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의해 상기 가상 간판광고 섹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기등록된 세부 유효 단위구역에 대한 세부 광고정보인 공개데이터가 상기 가상 거리뷰 상에 출력되도록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데이터는, 기등록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출력되는 소정 면적의 앱 광고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14. 제13에 있어서,
    상기 순차 출력단계는,
    상기 앱 광고섹션이 선택되는 제1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기등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 출력단계는,
    상기 앱 광고섹션이 선택되는 제2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기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이 구입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마켓에 접속하거나 또는 상기 기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하도록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기능 섹션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기초한 추억데이터를 생성하여, 실제 지도에 기초하여 단순화된 그림이미지로 구현된 그림지도에 포함된 복수 개의 단위구역 중에서 해당 추억데이터의 생성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단위구역에, 상기 해당 추억데이터를 저장 및 기록하도록 하는 기록 섹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기능 섹션은,
    상기 기록 섹션의 실행으로 인해 기생성된 그림지도 및 상기 그림지도에 기록된 기생성된 추억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출력하도록 하는 회상 섹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추억데이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정보 및 상기 이미지정보에 결합되는 상기 이미지정보의 생성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추억데이터는, 상기 이미지정보의 생성시각정보, 상기 이미지정보의 생성시 체류시간정보, 상기 이미지정보의 생성시 동행자 정보, 상기 이미지정보의 생성시 날씨 정보 및 상기 이미지정보의 생성시 계절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170149430A 2017-11-10 2017-11-10 가상현실에 기반한 그림지도를 이용하여 가상 답사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KR201900534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430A KR20190053489A (ko) 2017-11-10 2017-11-10 가상현실에 기반한 그림지도를 이용하여 가상 답사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430A KR20190053489A (ko) 2017-11-10 2017-11-10 가상현실에 기반한 그림지도를 이용하여 가상 답사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489A true KR20190053489A (ko) 2019-05-20

Family

ID=66678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430A KR20190053489A (ko) 2017-11-10 2017-11-10 가상현실에 기반한 그림지도를 이용하여 가상 답사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34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166B1 (ko) 2020-09-09 2021-07-16 문종식 부구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41478A (ko) 2022-09-23 2024-04-01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166B1 (ko) 2020-09-09 2021-07-16 문종식 부구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41478A (ko) 2022-09-23 2024-04-01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현실 기반 관광 체험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5352B2 (en) User terminal device providing service based on personal information and methods thereof
US108198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object, an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he object
Litvak et al. Enhancing cultural heritage outdoor experience with augmented-reality smart glasses
US9645221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CN103502982A (zh) 用于在基于位置的用户接口中显示交互式预览信息的方法和装置
KR20160038836A (ko) 사용자에게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2687539A (zh) 用于通信的定向动画
KR2011012314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0085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EP39755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edia resources
CN110399570B (zh) 地理对象推荐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2667707B (zh) 用于显示信息的方法和显示装置
KR10163199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6005799A1 (en) Social networking system and method
Wörndl et al. Mobile applications for e-Tourism
CN113297510B (zh) 信息展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208361B1 (ko)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장치
KR20190053489A (ko) 가상현실에 기반한 그림지도를 이용하여 가상 답사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ES2736408T3 (es)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visualizar un objeto relacionado con contenido reproducido por un segundo dispositivo
CN112052355B (zh) 视频的展示方法、装置、终端、服务器、系统及存储介质
KR20140046324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미션 제공 서버 및 그들의 미션 제공 방법
CN113609358A (zh) 内容分享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US20230351711A1 (en) Augmented Reality Platform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KR101962635B1 (ko) 위치기반 추억데이터 기록 및 회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CN112468970A (zh) 一种基于增强现实技术的校园导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