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1145A - 접지물 압착기 - Google Patents

접지물 압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1145A
KR20240041145A KR1020220120315A KR20220120315A KR20240041145A KR 20240041145 A KR20240041145 A KR 20240041145A KR 1020220120315 A KR1020220120315 A KR 1020220120315A KR 20220120315 A KR20220120315 A KR 20220120315A KR 20240041145 A KR20240041145 A KR 20240041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unit
pressing
grounded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0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일
Original Assignee
김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일 filed Critical 김종일
Priority to KR1020220120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1145A/ko
Publication of KR20240041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11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LAPPARATUS OR DEVICES FOR MANIFOLDING, DUPLICATING OR PRINTING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PURPOSES; ADDRESSING MACHINES OR LIKE SERIES-PRINTING MACHINES
    • B41L43/00Auxiliary folding, collecting, or depositing of sheets or webs
    • B41L43/02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LAPPARATUS OR DEVICES FOR MANIFOLDING, DUPLICATING OR PRINTING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PURPOSES; ADDRESSING MACHINES OR LIKE SERIES-PRINTING MACHINES
    • B41L39/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착롤러부의 접지물 유입측에 전후 이격되게 각각 배치되며, 상측 제1롤러 및 하측 제1롤러를 각각 가지는 두 유입측 롤러부; 상기 압착롤러부의 접지물 유출측에 배치되며,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측 제2롤러 및 상기 상측 제2롤러의 아래에 위치되는 하측 제2롤러를 가지는 유출측 롤러부; 그리고, 상기 유출측 롤러부를 이루는 상측 제2롤러의 양 끝단에 각각 제공되어 해당 상측 제2롤러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제3조절부를 포함한다. 이로써 접지물의 두께에 상관없이 공용으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접지물 압착기{pressing machine for pressing a folded paper}
본 발명은 다중으로 접힌 접지물을 재차적으로 압착하여 두께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접지물 압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지는 글씨 또는, 그림 등이 인쇄되어 제공되는 종이이며, 낱장으로 제공되거나 혹은, 적어도 한 번 이상 접힌 상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인쇄지 중 의약품에 사용되는 사용설명서의 경우 작은 공간 내에 제공되기 때문에 다중으로 접어서 그 크기를 최소화하고 있다.
상기 인쇄지를 다중으로 접는 작업은 접지기(folding machine)를 이용함으로써 대량 작업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접지기를 이용하여 다중으로 접힌 인쇄지(접지물)의 경우 접힘 부위가 완전히 압착되지 못함에 따라 스프링백 현상으로 벌어짐이 발생된다. 이로써 접지물의 부피가 커지게 되어 그만큼 의약품 박스에 의약품과 함께 수납하기가 어려웠던 문제가 있었다.
특히, 최근에는 다양한 안내 사항이나 주의 사항의 증가로 인해 의약품에 제공되는 접지물의 크기는 점차 커지고 있다. 예컨대, COVID 19 자가 검사용 테스트기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항원의 자가 확인을 위한 테스트기의 사용 설명서의 경우 많은 과정의 사용 방법과 사용시 주의 사항으로 인해 접지물이 커지고 있을 뿐 아니라 두꺼워지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상기 접지기에 의해 접지물(다중으로 접힌 인쇄지)을 압착기에서 재차적으로 압착하여 그 부피를 최소화하고 있다. 즉, 접지기에서 접힌 상태의 접지물을 상기 압착기가 전달받아 서로 쌍을 이루는 두 압착롤러를 지나는 과정에서 압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압착기에 관련하여는 공개특허 제10-2009-0077176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55798호, 등록특허 제10-1943872호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
한편, 상기한 종래 기술들에 따른 압착기는 서로 쌍을 이루는 두 압착롤러를 지나는 과정에서만 접지물이 압착되기 때문에 상기 두 압착롤러의 직경이 커질 수밖에 없었다. 즉, 압착롤러의 직경을 크게 형성함으로써 무게를 증가시켜 압착력이 커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두 압착롤러의 직경이 크면 클수록 압착롤러와 그에 인접한 안내롤러(압착롤러 사이를 지난 접지물의 배출을 안내하는 롤러)와의 와의 이격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즉, 압착롤러의 저면과 안내롤러의 저면이 동일한 수평선상에 배치될 경우 상기 두 롤러의 저면 사이의 거리가 접지물의 전달 가능한 최대 폭(이동 방향측 거리)이 됨을 고려할 때 상기 거리보다 작은 접지물의 경우 상기 안내롤러로 원활히 전달되지 못하고 압착롤러와 안내롤러 사이로 빠져버리게 된다.
이에 따라, 전술된 종래 기술들에 따른 압착기는 접지물의 두께가 두꺼워져서 큰 압착력이 필요할 수록 작은 폭의 접지물에 대한 압착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두 압착롤러 중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압착롤러의 경우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그의 회전축에 수직하게 위치된 미세 조절기를 이용하여 하측 압착롤러와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상측 압착롤러에는 압착력을 최대한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탄성부재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각 탄성부재는 상기 미세 조절기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면서 상기 상측 압착롤러와 하측 압착롤러 사이로 접지물이 통과할 때 상기 상측 압착롤러가 탄력적으로 상승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압착기는 접지물의 압착을 위한 압착롤러로 접지물의 유입을 안내하거나 압착롤러를 지난 접지물의 배출을 안내하는 각 쌍의 안내롤러가 상하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이격 거리보다 얇은 접지물이 투입되거나 혹은, 이격 거리보다 두꺼운 접지물이 투입될 경우 해당 접지물의 안내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물론, 상기 각 압착롤러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구조를 상기 각 안내롤러에 적용하여 각 안내롤러 간의 상하 이격 거리에 대한 조절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의 경우 상기 각 안내롤러를 각 압착롤러에 최대한 인접하도록 배치할 수 없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두 압착롤러의 직경을 최대한 키워야만 하기 때문에 전후 폭이 작은 접지물의 압착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한편, 종래의 압착기는 접지기의 후방에 배치되면서 상기 접지기에서 접어진 접지물을 연속적으로 제공받아 압착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압착기로 전달되는 접지물은 접힘 불량이 걸러지지 않은 상태로 전달되기 때문에 접힘 불량이 발생될 경우 작업자가 기기를 정지한 후 해당 불량 접지물을 제거하여야 한다.
하지만, 상기 압착기와 접지기는 서로 인접되도록 배치할 뿐 별개로 동작되는 기기이기 때문에 불량 해소 및 안전을 위해서는 두 기기를 모두 정지하여야만 하였던 불편함이 있고, 이러한 두 기기의 중지를 위한 시간 동안 불량 접지물에 의한 여타 접지물 역시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09-0077176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55798호 등록특허 제10-1943872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전후 폭이 작은 접지 상태의 접지물에 대한 압착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접지물 압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착 두께의 조절이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접지물 압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지물 압착기의 동작 도중 접지물의 걸림과 같은 이상이 발생될 경우 접지물 압착기뿐 아니라 접지기도 동시에 정지될 수 있도록 하여 접지물의 불량을 최소화하고 안전 사고를 방지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접지물 압착기에 따르면, 압착롤러부의 접지물 유입측에 제공되는 유출측 롤러부 중 상측 제1롤러는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측 제1롤러는 제2조절부에 의해 상하 위치가 조절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접지물 압착기에 따르면, 몸체를 형성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어느 한 부위에 제공되는 압착롤러부; 상기 압착롤러부를 이루는 상측 압착롤러의 양 끝단에 각각 제공되며, 해당 상측 압착롤러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제1조절부; 상기 압착롤러부의 접지물 유출측에 전후 이격되게 각각 배치되는 두 유입측 롤러부; 상기 압착롤러부의 접지물 유출측에 배치되는 유출측 롤러부; 그리고, 상기 유출측 롤러부를 이루는 상측 제2롤러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제3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접지물 압착기에 따르면, 상기 제1조절부는, 상기 상측 압착롤러의 양 끝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어링을 가지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어링블럭과, 상기 베어링블럭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상하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은 상기 베어링블럭의 상면에 연결되는 제1조절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접지물 압착기에 따르면, 상기 제3조절부는, 상기 상측 제2롤러의 양 끝단 직상부 및 상기 제1조절부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상하로 수직하게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3조절스크류와, 일단은 상기 제3조절스크류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측 제2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의 어느 한 부위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력 전달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접지물 압착기에 따르면, 상기 제3조절스크류는 상기 조작력 전달링크의 일단 상면에 연결되고, 상기 조작력 전달링크의 일단 저면에는 탄력부재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접지물 압착기에 따르면, 상기 두 유입측 롤러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유입측 롤러부의 상측 제1롤러는 상하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접지물 압착기에 따르면, 상기 상측 제1롤러의 상하 위치 조절을 위한 제2조절부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접지물 압착기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단인 접지물이 유입되는 접지물 유입측은 접지물을 접는 접지기로부터 상기 접지물을 전달받도록 접지기의 접지물 유출측에 인접하게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상기 압착롤러부 또는, 제1롤러부의 동작 중단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의한 적어도 어느 한 롤러부의 동작 중단이 감지될 경우 각 롤러부 및 접지기의 동작을 동시에 중단하는 연동제어부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접지물 압착기에 따르면, 유입측 롤러부의 접지물 유출측에 위치되는 두 제1롤러의 이격 거리는 상기 유입측 롤러부의 접지물 유입측에 위치되는 두 제1롤러의 이격 거리보다 가깝게 위치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접지물 압착기는 유입측 롤러부 또는, 유출측 롤러부의 각 롤러간 이격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가 압착롤러부의 두 압착롤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와는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서 조작 및 동작될 수 있기 때문에 각 압착롤러의 직경을 줄일 수 있게 됨과 더불어 각 제1롤러 간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접지물 압착기는 유입측 롤러부 및 유출측 롤러부의 접지물 유입측에 각각 위치되는 두 롤러 간의 이격 거리가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접지물의 두께에 상관없이 공용으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접지물 압착기는 접지물이 압착롤러부뿐 아니라 각 롤러부의 접지물 취출측에 위치되는 롤러들 간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여 접지물이 해당 롤러들을 지나는 과정에서도 일부의 압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접지물 압착기는 접지물 압착기의 동작 도중 접지물의 걸림과 같은 이상이 발생될 경우 접지물 압착기뿐 아니라 접지기도 동시에 정지될 수 있기 때문에 접지물의 불량을 최소화하고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물 압착기에 대한 요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물 압착기를 평면에서 본 개략적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물 압착기를 베이스프레임을 제거한 상태로 측면에서 본 개략적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물 압착기 중 제1조절부에 대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물 압착기 중 제1조절부에 대한 동작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물 압착기 중 제2조절부에 대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물 압착기 중 제2조절부에 대한 동작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물 압착기 중 제3조절부에 대한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물 압착기 중 구동모터와 압착롤러부 간의 동력 전달 구조의 설명을 위한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물 압착기 중 구동모터와 제1유입측 롤러부 간의 동력 전달 구조를 베이스프레임 내측에서 본 요부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물 압착기 중 구동모터와 제1유입측 롤러부 간의 동력 전달 구조에 대한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물 압착기 중 제1유입측 롤러부의 두 제1롤러와, 제2유입측 롤러부의 두 제1롤러 간의 이격 거리에 대한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접지물 압착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물 압착기에 대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물 압착기를 평면에서 본 개략적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물 압착기를 베이스프레임을 제거한 상태로 측면에서 본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지물 압착기는 유입측 롤러부(410,420)의 접지물 유입측 및 유출측 롤러부(500)에 위치되는 각 쌍의 상하측 롤러(411,412,511,512) 간의 이격 거리에 대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접지물의 종류(두께)에 상관없이 공용으로 압착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접지물은 접힌 상태의 인쇄지나 종이 또는, 시트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물 압착기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물 압착기는 베이스프레임(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첨부된 도 1과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외관 몸체를 형성하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양 측 벽면을 형성하는 두 측벽면(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지물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이동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일단은 접지물을 접는 접지기(1)(도 2 참조)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접지기(1)의 접지물 유출측에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접지물 유입측이 위치되면서 상기 접지기(1)로부터 전달받은 접지물을 곧장 압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물 압착기는 압착롤러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압착롤러부(200)는 접지기(1)로부터 접힌 상태로 제공받은 접지물을 가압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압착롤러부(2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어느 한 부위에 제공된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착롤러부(2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중앙측 부위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압착롤러부(200)는 서로 쌍을 이루는 두 압착롤러(210,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두 압착롤러(210,220)는 상측에 위치되는 상측 압착롤러(210) 및 상기 상측 압착롤러(210)의 아래에 위치되는 하측 압착롤러(220)로 구성된다.
상기 상측 압착롤러(210)의 경우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양 측벽면(110)에 양단이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양단이 상기 양 측벽면(110)에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측 압착롤러(210)의 양 끝단은 베어링(311)을 가지는 베어링블럭(310)에 각각 구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각 베어링블럭(31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양 측벽면(1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베어링블럭(31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양 측벽면(110)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11)을 따라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상측 압착롤러(210)와 하측 압착롤러(220)는 구동모터(230)의 구동력을 제공받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230)는 베이스프레임(10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구동모터(230)와 어느 한 압착롤러(예컨대, 하측 압착롤러)(220)의 일단은 제1벨트(231)나 체인 또는, 기어로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하측 압착롤러(220)와 다른 한 압착롤러(예컨대, 상측 압착롤러)(210)는 기어(211,221)로 동력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물 압착기는 제1조절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조절부(300)는 상기 압착롤러부(200)를 이루는 상측 압착롤러(210)에 대한 상하 위치를 조절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제1조절부(30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상측 압착롤러(210)가 상하 이동되면서 하측 압착롤러(220)와의 이격 거리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제1조절부(300)는 상기 베어링블럭(310) 및 상기 베어링블럭(310)의 상하 이동을 조작하는 제1조절스크류(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어링블럭(310)에 대하여는 전술된 상측 압착롤러(210)의 승강 구조에 대한 설명시 언급된 바와 같다.
상기 제1조절스크류(310)의 경우 그의 하단이 상기 베어링블럭(310)의 상면에 연결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조절스크류(32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을 이루는 양 측벽면(110)의 상측에 고정된 제1지지블럭(321)을 관통하여 상단이 상기 제1지지블럭(321)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조절스크류(320)의 조작에 의해 베어링블럭(310)은 가이드홈(111)을 따라 승강 이동되고, 상기 베어링블럭(310)의 승강 이동에 의해 상기 상측 압착롤러(21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대하여 상하 이동되면서 하측 압착롤러(220)와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측 압착롤러(220)의 경우는 그의 양 끝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양 측벽면(11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하 이동은 이루어지지 않고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1지지블럭(321)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양 측벽면(110)의 상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탄력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조절스크류(320)는 상기 제1지지블럭(321)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지지블럭(321)의 양 측(간격조절나사의 양 측 부위)으로는 제1탄력부재(330)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탄력부재(33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양 측벽면(110)의 상면에 하단이 고정된 지지축(331)에 설치되는 코일형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물 압착기는 유입측 롤러부(410,420) 및 유출측 롤러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입측 롤러부(410,420)는 접지기(1)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압착롤러부(200)로 제공되는 접지물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고, 상기 유출측 롤러부(500)는 상기 압착롤러부(200)에서 압착된 접지물의 배출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유입측 롤러부(410,420)는 상기 압착롤러부(200)의 접지물 유입측에 제공되고, 상기 유출측 롤러부(500)는 상기 압착롤러부(200)의 접지물 유출측에 제공된다. 이로써 접지기(1)로부터 제공되는 접지물은 상기 유입측 롤러부(410,420)와 압착롤러부(200) 및 유출측 롤러부(500)를 순차적으로 지나게 된다.
상기 유입측 롤러부(410,420)와 유출측 롤러부(500)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내지 도 3과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유입측 롤러부(410,4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유입측 롤러부(410,420)는 두 개로 제공되며, 어느 한 유입측 롤러부(제1유입측 롤러부)(41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일단에 위치되고, 다른 한 유입측 롤러부(제2유입측 롤러부)(420)는 상기 압착롤러부(200)의 접지물 유입측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상기 두 유입측 롤러부(410,420)는 각각 상측에 위치되는 상측 제1롤러(411,421) 및 상기 상측 제1롤러(411,421)의 아래에 위치되는 하측 제1롤러(412,4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유입측 롤러부(410)의 상측 제1롤러(411) 및 제2유입측 롤러부(420)의 상측 제1롤러(421), 제1유입측 롤러부(410)의 하측 제1롤러(412) 및 제2유입측 롤러부(420)의 하측 제1롤러(422)는 안내링(401) 혹은, 안내벨트가 연결되면서 상기 두 유입측 롤러부 사이를 지나는 접지물의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상측 제1롤러(411)와 하측 제1롤러(412)는 상기 구동모터(230)의 구동력을 제공받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어느 한 제1롤러와 구동모터(230)는 벨트나 체인 혹은, 기어 등의 동력전달장치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첨부된 도 11과 같이 베이스프레임(100)의 측벽면(110) 외면과 하측 압착롤러(220)의 타단에 타이밍기어(110a,220a)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각 타이밍기어(110a,220a)는 제2벨트(402)로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함께, 첨부된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상기 측벽면(110) 내면에는 상기 타이밍기어(110a)와 동축으로 연동되는 별도의 타이밍기어(110b)를 추가로 설치하고, 상기 별도의 타이밍기어(110b)는 상기 상측 제1롤러(411)와 하측 제1롤러(412)와 함께 제3벨트(403)로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이로써 구동모터(230)의 구동에 의해 하측 압착롤러(220)와 상측 제1롤러(411) 및 하측 제1롤러(412)는 함께 동작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두 유입측 롤러부(410,420) 중 적어도 어느 한 유입측 롤러부의 적어도 어느 한 롤러는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 유입측 롤러부(410,420) 중 제1유입측 롤러부(410)의 상측 제1롤러(411)는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접지기(1)로부터 접철된 접지물을 제공받는 과정에서 해당 접지물의 두께(종류)에 따라 상기 상측 제1롤러(411)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하측 제1롤러(412)와의 이격 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로 설명되지는 않지만, 제1유입측 롤러부(410)의 하측 제1롤러(412)도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거나 또는, 제1유입측 롤러부(410)의 하측 제1롤러(412)만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유입측 롤러부(410)의 상측 제1롤러(411)는 제2조절부(600)에 의해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첨부된 도 2와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상기 제2조절부(600)는 상기 상측 제1롤러(411)의 양 끝단에 각각 제공되면서 각각 제2조절스크류(610) 및 제1조작력 전달링크(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조절스크류(610)는 상기 상측 제1롤러(411)의 양 끝단 직상부로부터 어느 한 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회전 조작에 의해 상하로 수직하게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제2조절스크류(610)를 상기 상측 제1롤러(411)의 직상부에 배치하지 않고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배치한 것이다.
상기한 제2조절스크류(610)의 설치 위치에 대한 구조는 베이스프레임의 일측 끝단(일단)을 접지물을 접는 접지기(1)에 연결할 경우 상기 제2조절스크류(610)가 접지기(1)와의 연결에 간섭을 제공하거나 혹은, 접지기(1)로 인해 제2조절스크류(610)의 조작이 어려울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구조이다.
이때,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는 상기 제2조절스크류(610)의 상하 이동을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블럭(102)이 구비되고, 상기 제2조절스크류(610)는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제2지지블럭(102)을 관통하여 하단이 상기 제1조작력 전달링크(620)의 일단 상면에 맞닿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지지블럭(102)은 상기 제1조절부(300)의 제1지지블럭(321)으로부터도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2지지블럭(102)과 제1지지블럭(321) 간은 상기 제1조절부(300)의 동작에 간섭을 제공하거나 혹은, 상기 제1조절부(300)에 의해 상기 제2조절스크류(610)의 조작이 간섭받지 않을 정도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상기 제2조절부(600)의 제1조작력 전달링크(620)는 상기 제2조절스크류(610)의 조작력을 상기 제1유입측 롤러부(410)의 상측 제1롤러(411)에 전달하여 상기 상측 제1롤러(411)가 상하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조작력 전달링크(620)의 중앙측 부위는 베이스프레임(100)의 측벽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조작력 전달링크(620)의 일단은 상기 제2조절스크류(610)와의 연결 부위에 위치되며, 상기 제1조작력 전달링크(620)의 타단은 베이스프레임(100)의 측벽면 끝단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1유입측 롤러부(410)의 상측 제1롤러(411)의 끝단은 상기 제1조작력 전달링크(620)의 타단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유입측 롤러부(410)의 하측 제1롤러(412)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측벽면(110) 끝단에 고정 설치되는 제1고정블럭(103)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블럭(103)의 일단과 상기 제1조작력 전달링크(620)의 일단 사이에는 제1탄력부재(621)가 제공된다. 상기 제1탄력부재(621)는 코일형 압축스프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2조절스크류(610)에 의한 가압력의 해제시 상기 제1조작력 전달링크(620)의 일단이 상기 제1고정블럭(103)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두 유입측 롤러부(410,420) 중 적어도 어느 한 유입측 롤러부는 좌우(베이스프레임의 두 측벽면 간의 대향 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 유입측 롤러부(410,420) 중 제2유입측 롤러부(420)는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압축롤러부(200)로 접지물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일정 수량의 접지물이 지나면 일정 거리만큼 제2유입측 롤러부(420)가 좌 또는, 우로 이동하여 해당 접지물이 그 이전의 배출 방향과는 일정 거리 어긋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접지물 압착기로부터 배출되는 접지물은 소정의 갯수만큼 구분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상기 유출측 롤러부(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유출측 롤러부(500)는 상기 압착롤러부(200)의 접지물 유출측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상기 유출측 롤러부(500)는 상측에 위치되는 상측 제2롤러(511) 및 상기 상측 제2롤러(511)의 아래에 위치되는 하측 제2롤러(5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측 제2롤러(511)와 하측 제2롤러(512)는 상기 구동모터(230)의 구동력을 제공받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상측 제2롤러(511)와 하측 제2롤러(512)는 기어 결합(도시는 생략됨)되어 서로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측 제2롤러(512)에는 별도의 타이밍기어(512a)를 설치함과 더불어 상기 타이밍기어(512a)는 타이밍벨트로 형성된 제2벨트(402)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구동모터(230)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하측 제2롤러(512)도 동작될 수가 있다. 이는 첨부된 도 1과 같다.
한편, 상기 유출측 롤러부(500)의 두 제2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한 제2롤러는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예컨대, 상측 제2롤러(511)는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측 제2롤러(511)와 하측 제2롤러(512) 간의 이격 거리에 대한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압착롤러부(200)를 지나면서 압착된 접지물의 두께(종류)에 상관없이 원활히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로 설명되지는 않지만, 상기 하측 제2롤러(512)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거나 또는, 상측 제2롤러(511)와 하측 제2롤러(512) 모두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상측 제2롤러(511)는 제3조절부(700)에 의해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첨부된 도 9 및 도 10과 같이 상기 제3조절부(700)는 상기 상측 제2롤러(511)의 양 끝단에 각각 제공되면서 각각 제3조절스크류(710) 및 제2조작력 전달링크(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3조절스크류(710)는 상기 상측 제2롤러(511)의 양 끝단 직상부로부터 제1조절부(300)와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회전 조작에 의해 상하로 수직하게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는 상기 제3조절스크류(710)의 상하 이동을 지지하기 위한 제3지지블럭(104)이 구비되고, 상기 제3조절스크류(710)는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제3지지블럭(104)을 관통하여 하단이 상기 제2조작력 전달링크(720)의 일단 상면에 맞닿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3지지블럭(104)은 상기 제1조절부(300)의 제1지지블럭(32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3지지블럭(104)과 제1지지블럭(321) 간은 상기 제1조절부(300)의 동작에 간섭을 제공하거나 혹은, 상기 제1조절부(300)에 의해 상기 제3조절스크류(710)의 조작에 간섭을 제공받지 않을 정도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즉, 상기 유출측 롤러부(500)의 상하측 제2롤러(511,512)를 상기 압착롤러부(200)의 상하측 압착롤러(210,220)에 최대한 인접하게 위치하면서도 상기 제3조절스크류(710)에 의한 유출측 롤러부(500)의 상측 제2롤러(511)에 대한 상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전후 폭이 작은 접지물라 하더라도 상기 압착롤러부(200)를 지나 유출측 롤러부(500)의 두 제2롤러(511,512) 사이로 원활히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조작력 전달링크(720)는 상기 제3조절스크류(710)의 조작력을 상기 상측 제2롤러(511)에 전달하여 상기 상측 제2롤러(511)가 상하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조작력 전달링크(720)의 중앙측 부위는 베이스프레임(100)의 측벽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조작력 전달링크(720)의 일단은 상기 제3조절스크류(710)와의 연결 부위에 위치되며, 상기 제2조작력 전달링크(720)의 타단은 상측 압착롤러(21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때, 상기 상측 제2롤러(511)의 끝단은 상기 제2조작력 전달링크(720)의 타단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하측 제2롤러(512)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측벽면(110) 중 상기 제2조작력 전달링크(72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2고정블럭(10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고정블럭(105)의 일단과 상기 제2조작력 전달링크(720)의 일단 사이에는 제2탄력부재(721)가 제공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고정블럭(105)의 일단과 상기 제2조작력 전달링크(720)의 일단 간의 대향면에는 상기 제2탄력부재(721)의 양 끝단이 수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탄력부재(721)는 코일형 압축스프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3조절스크류(710)에 의한 가압력의 해제시 상기 제2조작력 전달링크(720)의 일단이 상기 제2고정블럭(105)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물 압착기는 배출부(800)가 더 포함된다.
첨부된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배출부(800)는 상기 유출측 롤러부(500)를 지난 접지물의 배출을 안내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유출측 롤러부(500)의 접지물 배출측에 위치된다.
상기 배출부(800)는 복수의 배출용롤러(810) 및 상기 배출용롤러(810)의 주변에 배치되는 복수의 배출지지롤러(821)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용롤러(810) 및 각 배출지지롤러(821,822)는 상기 유출측 롤러부(500)와 안내벨트(801,802)(또는, 안내링)로 연결되면서 상기 유출측 롤러부(500)를 지나 배출되는 접지물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때, 상기 각 배출지지롤러(821,822)는 접지물의 두께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예컨대, 어느 한 배출지지롤러(821)는 상기 배출용롤러(810)의 접지물 유입측 및 유출측에 각각 배치되고, 다른 한 배출지지롤러(822)는 상기 배출용롤러(81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배출용롤러(810)는 구동모터(230)의 구동력으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배출용롤러(810)의 끝단에 별도의 타이밍기어(810a)를 추가로 설치하고, 상기 타이밍기어(810a)는 상기 구동모터(230)에 연결된 제2벨트(402)를 추가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배출용롤러(810)가 하측 제1롤러(512)와 하측 제2롤러(512) 및 하측 압착롤러(22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 1과 같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물 압착기를 이용한 접지물이 압착되는 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압착하고자 하는 접지물의 두께를 고려하여 압착롤러부(200)의 상측 압착롤러(210)와 하측 압착롤러(220) 간의 이격 거리와, 제1유입측 롤러부(410)의 상측 제1롤러(411)와 하측 제1롤러(412) 간의 이격 거리 및 유출측 롤러부(500)의 상측 제2롤러(511)와 하측 제2롤러(512) 간의 이격 거리를 각각 조절한다. 이때, 상기 압착롤러부(200)의 두 압착롤러(210,220) 간의 이격 거리는 제1조절부(300)를 이용하여 조절하고, 제1유입측 롤러부(410)의 상측 제1롤러(411)와 하측 제1롤러(412) 간의 이격 거리는 제2조절부(600)를 이용하여 조절하며, 유출측 롤러부(500)의 상측 제2롤러(511)와 하측 제2롤러(512) 간의 이격 거리는 제3조절부(700)를 이용하여 조절한다.
이때, 첨부된 도 5는 상기 제1조절부(300)를 이용한 두 압착롤러(210,220)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상태도이고, 도 8은 제2조절부(600)를 이용하여 제1유입측 롤러부(410)의 두 제1롤러(411, 412)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상태도이다.
그리고, 상기 각 롤러 간의 이격 거리에 대한 조절이 완료되면 접지하고자 하는 시트(종이, 인쇄지 등)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시트는 접지기(1)로 제공되어 상기 접지기(1)에 의해 미리 정해진 폭 및 길이로 접힌 후 접지물 압착기로 전달된다. 상기 접지기(1)를 지나면서 접지된 시트(접지물)는 상기 접지기(1)에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접지물 압착기의 유입측 롤러부 중 제1유입측 롤러부(410)의 상측 제1롤러(411) 및 하측 제1롤러(412) 사이로 유입된다.
상기 제1유입측 롤러부(410)의 상측 제1롤러(411) 및 하측 제1롤러(412) 사이로 유입된 접지물은 상기 제1유입측 롤러부(410)와 제2유입측 롤러부(420)에 연결된 안내링(또는, 안내벨트)(401)의 안내를 받아 압축롤러부(200)로 이동된 후 상기 압축롤러부(200)의 두 압축롤러(210,220) 사이로 제공된다.
계속해서, 상기 접지물은 상기 두 압축롤러(210,220)의 사이를 지나는 과정에서 가압된다. 이로써 접지물은 접지기(1)를 통과하면서 접힐 때의 두께보다 더욱 얇아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롤러부(200)에서 가압된 접지물은 유출측 롤러부(500)의 상측 제2롤러(511) 및 하측 제2롤러(512) 사이로 제공된 후 안내벨트(801)의 안내를 받아 배출부(800)로 제공된다.
이후, 상기 접지물은 상기 배출부(800)를 지나면서 정렬된 상태로 배출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접지물 압착기는 유입측 롤러부(410,420) 및 유출측 롤러부(500)의 접지물 유입측에 각각 위치되는 두 롤러(411,412,511,512) 간의 이격 거리가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접지물의 두께에 상관없이 공용으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접지물 압착기는 유입측 롤러부(410,420) 또는, 유출측 롤러부(500)의 각 롤러(411,412,511,512)간 이격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제2조절부 및 제3조절부)(600,700)가 압착롤러부(200)의 두 압착롤러(210,220)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제1조절부)(300)와는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서 조작 및 동작될 수 있기 때문에 각 압착롤러(210,220)의 직경을 줄일 수 있게 됨과 더불어 각 롤러(411,412,511,512) 간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접지물 압착기는 접지물이 압착롤러부(200)뿐 아니라 각 롤러부(410,420,500)의 접지물 취출측에 위치되는 롤러(411,412,511,512)들 간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여 접지물이 해당 롤러부(400,500)들을 지나는 과정에서도 일부의 압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접지물 압착기는 접지기(1)와 연동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접지물이 접지물 압착기를 지나는 과정에서 이송 불량이 발생될 경우 접지물 압착기만 동작이 정지되는 것이 아니라 접지기(1)의 동작도 함께 정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프레임(100)에는 상기 압착롤러부(200) 또는, 각 롤러부(410,420,500)의 동작 중단을 감지하는 감지부(도시는 생략됨)와, 상기 각 롤러부(410,420,500) 및 접지기(1)의 동작을 중단하기 위한 연동제어부(9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연동제어부(900)에 의해 적어도 어느 한 롤러부의 동작 중단이 감지될 경우 해당 압착롤러부(200)뿐 아니라 접지기(1)도 함께 동작이 중단됨으로써 접지물의 압착 불량이 최소화될 수 있고 안전 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한편, 본 발명의 접지물 압착기는 제2유입측 롤러부(420)를 이루는 두 제1롤러(421,422)의 이격 거리(L1)는 제1유입측 롤러부(410)를 이루는 두 제1롤러(411,412)의 이격 거리(L2)보다 가깝게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4 참조.
이러한 구조는 제1유입측 롤러부(410)로는 접지물이 원활히 유입되도록 하면서도 제2유입측 롤러부(4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일부의 압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압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구조에 의해 압착롤러부(200)의 두 압착롤러(210,220)에 대한 직경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써 상기 압착롤러부(200)의 두 압착롤러(210,220)와 이에 인접한 유입측 롤러부 및 유출측 롤러부의 각 롤러(411,412,511,512)의 위치를 최대한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전후 폭이 작은 접지물의 원활한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듯, 본 발명의 접지물 압착기는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접지기 100. 베이스프레임
102. 제2지지블럭 103. 제1고정블럭
104. 제3지지블럭 105. 제2고정블럭
110. 측벽면 111. 가이드홈
200. 압착롤러부 210. 상측 압착롤러
211,221. 기어 220. 하측 압착롤러
230. 구동모터 231. 제1벨트
300. 제1조절부 310. 베어링블럭
311. 베어링 320. 제1조절스크류
321. 제1지지블럭 330. 제1탄력부재
331. 지지축 410. 제1유입측 롤러부
420. 제2유입측 롤러부 411,421. 상측 제1롤러
412,422. 하측 제1롤러 401. 안내링
402. 제2벨트 403. 제3벨트
110a,110b,220a. 타이밍기어 500. 유출측 롤러부
511. 상측 제2롤러 512. 하측 제2롤러
600. 제2조절부 610. 제2조절스크류
620. 제1조작력 전달링크 621. 제1탄력부재
700. 제3조절부 710. 제3조절스크류
720. 제2조작력 전달링크 721. 제2탄력부재
800. 배출부 801. 안내벨트
810. 배출용 롤러 821,822. 배출지지롤러
900. 연동제어부

Claims (8)

  1. 몸체를 형성하며,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접지물이 이동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어느 한 부위에 제공되며,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측 압착롤러 및 상기 상측 압착롤러의 아래에 위치되는 하측 압착롤러를 가지는 압착롤러부;
    상기 상측 압착롤러의 양 끝단에 각각 제공되며, 해당 상측 압착롤러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제1조절부;
    상기 압착롤러부의 접지물 유입측에 전후 이격되게 각각 배치되며, 상측 제1롤러 및 하측 제1롤러를 각각 가지는 두 유입측 롤러부;
    상기 압착롤러부의 접지물 유출측에 배치되며,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측 제2롤러 및 상기 상측 제2롤러의 아래에 위치되는 하측 제2롤러를 가지는 유출측 롤러부; 그리고,
    상기 유출측 롤러부를 이루는 상측 제2롤러의 양 끝단에 각각 제공되어 해당 상측 제2롤러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제3조절부;를 포함하는 접지물 압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부는,
    상기 상측 압착롤러의 양 끝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어링을 가지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어링블럭과,
    상기 베어링블럭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상하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은 상기 베어링블럭의 상면에 연결되는 제1조절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지물 압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조절부는,
    상기 상측 제2롤러의 양 끝단 직상부 및 상기 제1조절부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상하로 수직하게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제3조절스크류와,
    일단은 상기 제3조절스크류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측 제2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의 어느 한 부위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력 전달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지물 압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조절스크류는 상기 조작력 전달링크의 일단 상면에 연결되고,
    상기 조작력 전달링크의 일단 저면에는 탄력부재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물 압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유입측 롤러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유입측 롤러부의 상측 제1롤러는 상하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지물 압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제1롤러의 상하 위치 조절을 위한 제2조절부가 더 포함되는 접지물 압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단인 접지물이 유입되는 접지물 유입측은 접지물을 접는 접지기로부터 상기 접지물을 전달받도록 접지기의 접지물 유출측에 인접하게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상기 압착롤러부 또는, 제1롤러부의 동작 중단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의한 적어도 어느 한 롤러부의 동작 중단이 감지될 경우 각 롤러부 및 접지기의 동작을 동시에 중단하는 연동제어부가 더 포함되는 접지물 압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유입측 롤러부의 접지물 유출측에 위치되는 두 제1롤러의 이격 거리는 상기 유입측 롤러부의 접지물 유입측에 위치되는 두 제1롤러의 이격 거리보다 가깝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물 압착기.
KR1020220120315A 2022-09-22 2022-09-22 접지물 압착기 KR202400411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315A KR20240041145A (ko) 2022-09-22 2022-09-22 접지물 압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315A KR20240041145A (ko) 2022-09-22 2022-09-22 접지물 압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1145A true KR20240041145A (ko) 2024-03-29

Family

ID=90483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0315A KR20240041145A (ko) 2022-09-22 2022-09-22 접지물 압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114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7176A (ko) 2008-01-10 2009-07-15 원종한 인쇄지용 압착기
KR200455798Y1 (ko) 2011-06-07 2011-09-27 이석률 인쇄지 절첩기용 압착장치
KR101943872B1 (ko) 2017-09-06 2019-01-30 원종한 인쇄지의 압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7176A (ko) 2008-01-10 2009-07-15 원종한 인쇄지용 압착기
KR200455798Y1 (ko) 2011-06-07 2011-09-27 이석률 인쇄지 절첩기용 압착장치
KR101943872B1 (ko) 2017-09-06 2019-01-30 원종한 인쇄지의 압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332025T2 (de) Former mit verstellbarem umfang
DE102010002172A1 (de) Vorrichtung zur Regelung des Geradeauslaufs eines Gurtes
US2796781A (en) Roll adjusting mechanism
EP0736474B1 (de) Wickelmaschine zum Aufwickeln einer laufenden Bahn, insbesondere einer Papierbahn, zu einer Rolle
KR20240041145A (ko) 접지물 압착기
GB2119422A (en) Web-rolling machines
RU2091287C1 (ru) Способ отделения листов бумаги, сложенных в стопк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DE3313959C2 (de) Rohrmühle zum Mahlen von natürlichen und künstlichen Rohstoffen, insbesondere für die Zementindustrie
US3917254A (en) Apparatus for folding of a web
US5012729A (en) Device for working plate-shaped material
DE10394020T5 (de) Mehrwalzenkalander
CH678170A5 (en) Arrangement for stacking sheet material such as bank notes - contains dual band and roller transport system with carriage movable above stacking cassette
DE69613774T2 (de) Vorrichtung zum Herunterziehen einer zylinderförmigen Folie in einer Beutelherstellungs- und Verpackungsmaschine
US2562282A (en) Two-roll type crusher-feeder
RU2006123021A (ru) Устройство размотки рулонов лист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CN113580804A (zh) 一种作业簿本自动连续平缝制作生产线
CA2060752A1 (en) Apparatus for the vertical adjustment of rolls
US3869884A (en) Torque arm assembly for nip rollers
US4266475A (en) Positioning mechanism for calender rolls
DE3635643C1 (en) One-sided corrugated-board machine
DE2100607A1 (de) Ein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Verschweißen einer thermoplastischen Folienbahn in Verpackungsmaschinen
US2765732A (en) Book binding machinery
EP0482305B1 (en) Method of controlling bulk in folded webs
US2489004A (en) Sheet piler
DE19535345A1 (de) Antriebseinrichtung für einen Fördergu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