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798Y1 - 인쇄지 절첩기용 압착장치 - Google Patents

인쇄지 절첩기용 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798Y1
KR200455798Y1 KR2020110004971U KR20110004971U KR200455798Y1 KR 200455798 Y1 KR200455798 Y1 KR 200455798Y1 KR 2020110004971 U KR2020110004971 U KR 2020110004971U KR 20110004971 U KR20110004971 U KR 20110004971U KR 200455798 Y1 KR200455798 Y1 KR 2004557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paper
pressing
gap
roller
fol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9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률
Original Assignee
이석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률 filed Critical 이석률
Priority to KR20201100049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7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7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7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LAPPARATUS OR DEVICES FOR MANIFOLDING, DUPLICATING OR PRINTING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PURPOSES; ADDRESSING MACHINES OR LIKE SERIES-PRINTING MACHINES
    • B41L43/00Auxiliary folding, collecting, or depositing of sheets or webs
    • B41L43/02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54Auxiliary folding, cutting, collecting or depositing of sheets or webs
    • B41F13/56Fold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3/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 B41F33/0036Devices for scanning or checking the printed matter for quality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첩된 인쇄지의 절첩부위를 압착해줌으로써 인쇄지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인쇄지 절첩기용 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인쇄지 절첩기(1)를 통해 절첩 이송되는 인쇄지(P)를 압착해주기 위한 인쇄지 절첩기용 압착장치에 있어서, 본체프레임(110);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일측에 이송벨트(122)가 감긴 복수의 회전롤러(121)가 상·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롤러(121)의 사이로 인입되는 절첩된 인쇄지(P)를 일방향으로 이송시켜주는 인입부(120); 상기 이송되는 인쇄지(P)를 압착해줄 수 있도록 구동모터(13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압착롤러(131)를 구비하는 압착부(130); 상기 인쇄지(P)의 두께에 대응되게 상기 압착롤러(131) 사이의 간극(t)을 조절해주는 간극조절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본 고안은 두 개의 롤러 사이에 절첩된 상태로 이송되는 인쇄지를 통과시켜 압착줌으로써 인쇄지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절첩된 인쇄지를 압착시키는 과정에서 과도한 압착력에 의해 인쇄지의 절첩부위가 뭉개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인쇄지 절첩기용 압착장치{Pressure machine for printed paper}
본 고안은 인쇄지 절첩기용 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절첩된 인쇄지의 절첩부위를 압착해줌으로써 인쇄지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인쇄지 절첩기용 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약품, 식품, 전자제품 등의 제품에는 성분 및 사용설명 등이 인쇄된 설명서(이하 인쇄지)가 함께 구비된다.
이와 같은 인쇄지는 종이 재질의 인쇄용지에 다양한 내용의 문자나 그림이 흑백 또는 다양한 색상의 컬러를 이용하여 인쇄되어 전단지나 카탈로그, 카드 등이나 소형 책자 등으로, 그 종류와 분야도 다양하며 인쇄와 제본 등의 작업을 거쳐 제작되고 있다.
예컨대, 물품의 포장케이스에 함께 동봉되는 인쇄지의 경우에는 포장케이스가 제한된 공간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인쇄지를 여러 차례에 거쳐 절첩하여 부피를 최대한 줄인 후 포장케이스 내에 동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인쇄지의 절첩 작업은 수작업으로 진행하기에는 무리가 따르기 때문에 인쇄지 전용 절첩기를 이용하여 절첩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인쇄지는 종이 소재의 특성에 의해, 접혔던 부분이 완전하게 밀착되지 않고 인쇄지 사이의 이격 공간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포장케이스 내에 동봉되는 인쇄지의 부피가 커지게 됨으로써 인쇄지의 정리와 취급에 따른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절첩된 인쇄지를 완벽하게 압착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두 개의 롤러 사이에 절첩된 상태로 이송되는 인쇄지를 통과시켜 압착줌으로써 인쇄지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인쇄지 절첩기용 압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절첩된 인쇄지를 압착시키는 과정에서 과도한 압착력에 의해 인쇄지의 절첩부위가 뭉개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인쇄지 절첩기용 압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인쇄지 절첩기용 압착장치는, 인쇄지 절첩기를 통해 절첩 이송되는 인쇄지를 압착해주기 위한 인쇄지 절첩기용 압착장치에 있어서,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일측에 이송벨트가 감긴 복수의 회전롤러가 상·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롤러의 사이로 인입되는 절첩된 인쇄지를 일방향으로 이송시켜주는 인입부; 상기 이송되는 인쇄지를 압착해줄 수 있도록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압착롤러를 구비하는 압착부; 상기 인쇄지의 두께에 대응되게 상기 압착롤러 사이의 간극을 조절해주는 간극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압착롤러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베어링 결합되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의 직상부에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베어링 결합되되 상기 제1롤러와의 간극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극조절부는, 상기 제2롤러의 양측에 결합된 베어링의 상부 외주연과 면접되게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2롤러의 상향 이동거리를 제한해주는 가압부재;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판 수직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나사공에 일측이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일측 끝단이 상기 가압부재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해주는 높낮이조절부재; 상기 상판의 상면과 상기 높낮이조절부재의 단턱 사이에 공회전 가능하게 개재되는 간극설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상판의 상면과 상기 간극설정부재 사이의 틈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끼움부재의 두께만큼 상기 간극 거리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이드봉에 슬라이드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봉에는 상기 상판을 하방으로 가압지지해주는 판스프링이 결합된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인쇄지 절첩기의 배출구 측에 구비된 걸림봉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될 수 있도록 걸고리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본 고안은 두 개의 롤러 사이에 절첩된 상태로 이송되는 인쇄지를 통과시켜 압착줌으로써 인쇄지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절첩된 인쇄지를 압착시키는 과정에서 과도한 압착력에 의해 인쇄지의 절첩부위가 뭉개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인쇄지 절첩기용 압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인쇄지 절첩기용 압착장치의 측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간극조절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간극조절부의 측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간극조절부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인쇄지 절첩기용 압착장치를 통해 압착된 인쇄지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인쇄지 절첩기용 압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인쇄지 절첩기용 압착장치의 측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간극조절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간극조절부의 측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간극조절부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인쇄지 절첩기(1)를 통해 소정의 형상으로 절첩 이송되는 인쇄지(P)를 압착하여 부피를 줄여주는 것으로,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지 절첩기용 압착장치(100)는, 본체프레임(110), 인입부(120), 압착부(130), 간극조절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프레임(110)은 압착장치(100)의 주 몸체를 이룬다. 본체프레임(110)의 일측에는 본 고안의 압착장치(100)를 인쇄지 절첩기(1)의 배출구 측에 선택적으로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본체프레임(110)의 일측에는 인쇄지 절첩기(1)의 배출구 측에 구비된 걸림봉(2)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될 수 있도록 걸고리(111)가 대응되게 구비된다. 이 경우 본체프레임(110)은 상측의 걸고리(111)가 걸림봉(2)에 걸림고정됨과 아울러 하측 일면이 인쇄지 절첩기(1)의 벽체(3)에 맞닿게 됨으로써 압착장치(100)의 견고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압착장치(100)가 인쇄지 절첩기(1)에 탈부착되는 경우의 일례를 들어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인쇄지 절첩기(1)와 일체로 설치되는 경우로 변경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인입부(120)는 본체프레임(110)의 일측에 이송벨트(122)가 감긴 복수의 회전롤러(121)가 상·하측에 구비되어, 회전롤러(121)의 사이로 인입되는 절첩된 인쇄지(P)를 일방향으로 이송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회전롤러(121)는 외주연에 복수의 홈(121a)이 회전롤러(121)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홈(121a)에 링 형상의 이송벨트(122)가 요입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압착부(130)는 인입부(120)에 의해 인입 이송되는 인쇄지(P)의 양측 절첩부위를 압착하여 인쇄지(P)의 부피를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구동모터(13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압착롤러(13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압착롤러(131)는 본체프레임(110)에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베어링(B1) 결합되는 제1롤러(131a)와, 제1롤러(131a)의 직상부에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베어링(B2) 결합되되 제1롤러(131a)와의 간극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본체프레임(110)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3)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롤러(13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압착부(130)의 전·후방에는 이송되는 인쇄지(P)가 이송로 상에서 잼(jam)이 발생한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센서(135)가 구비되어, 인쇄지(P)의 이송상태와 인입 개수를 감지, 적산해주게 된다.
간극조절부(140)는 압착대상 인쇄지(P)의 두께에 대응되게 압착롤러(131) 사이의 간극을 조절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간극조절부(140)는 상기 제2롤러(131b)의 양측에 결합된 베어링(B2)의 상부 외주연과 면접되게 각각 배치되어 제2롤러(131b)의 상향 이동거리를 제한해주는 가압부재(141)와, 상기 가이드레일(113)의 상판(115) 수직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나사공(115a)에 일측의 나사부(143a)가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일측 끝단이 가압부재(141)에 끼움 결합되어 정·역회전 조작에 따른 승강 동작에 의해 가압부재(141)의 높낮이를 조절해주는 높낮이조절부재(143)와, 상기 상판(115)의 상면과 상기 높낮이조절부재(143)의 단턱(143b) 사이에 공회전 가능하게 개재되는 간극설정부재(1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이와 같은 구조의 간극조절부(140)는 높낮이조절부재(143)의 상측에 구비되는 조작핸들(144)을 조작하여 상판(115)의 상면(115b)과 간극설정부재(145)의 저면 사이의 틈(t1)을 벌린 후 끼움부재(147)를 그 사이에 끼움 고정할 수 있으며, 이렇게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끼움부재(147)의 두께만큼 제1롤러(131a)와 제2롤러(131b)의 간극(t) 거리가 설정된다.
이 경우 상기 끼움부재(147)는 압착대상인 절첩된 인쇄지(P)일 수 있다. 즉 여러 번 절첩된 인쇄지(P)는 복원력이 거의 없는 딱딱한 고체 상태와 같다고도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쇄지(P)를 압착하기 위해 인쇄지(P)의 두께보다 얇은 간극(t)을 통과시키게 되면, 효율적인 압착효과를 누릴 수는 있으나 인쇄지(P)의 절첩부위가 뭉개지게 되는 등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끼움부재(147)는 압착대상 인쇄지(P)를 사용하여 인쇄지(P)의 두께와 대응되는 소정의 간극(t)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간극조절부(140)가 구비되는 상판(115)은 가이드레일(113)의 상측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판(115)은 가이드레일(113)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이드봉(148)에 슬라이드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봉(148)에는 상판(115)을 하방으로 가압지지해주는 판스프링(149)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상판(115)은 평상시 인쇄지(P)의 압착공정 중에는 거의 작동되지 않으며, 상기 압착부(130)에 한번에 인쇄지(P) 두 장이 겹쳐진 상태로 인입되어 간극조절부(140)의 파손이 예상되는 경우에만 작동하게 된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인쇄지 절첩기용 압착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
먼저, 인쇄지 절첩기(1)를 통해 1차적으로 절첩 배출되는 복수의 인쇄지(P)는 인입부(120)를 통해 압착부(130)의 압착롤러(131) 측으로 연속적으로 인입된다.
이 경우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인쇄지(P)를 감지한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133)를 작동시켜 압착롤러(131)를 회전시켜줌과 아울러 감지센서(135)에 의하여 인쇄지(P)의 이송상태와 인입 개수를 감지, 적산해준다.
그리고 상기 압착부(130)로 이송된 인쇄지(P)는 압착롤러(131) 사이를 통과하면서 절첩부위가 밀착되어 압착된 후 일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압착롤러(131) 사이의 간극(t)은 압착대상 인쇄지(P)의 두께에 따라 대응되게 조절된 상태이다.
한편, 작동 과정 중에 인쇄지(P)의 진행 상황에 따른 작동불량 상태를 감지센서(135)에서 감지, 인식하게 되면,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전송하여 압착장치(100)의 작동을 자동으로 중단시켜주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절첩된 인쇄지(P)의 압착과정이 완료되면, 도 6의 (a)에서와 같이 압착장치(100)를 통과하기 전의 인쇄지(P)는 절첩부위가 완전히 밀착되지 않아 들뜸 현상이 발생한 반면에, 도 6의 (b)에서와 같이 압착장치(100)를 통해 소정의 압착과정을 거친 경우의 절첩된 인쇄지(P)는 사이에 들뜸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인쇄지 절첩기 2 : 걸림봉
100 : 압착장치 110 : 본체프레임
111 : 걸고리 113 : 가이드레일
115 : 상판 120 : 인입부
121 : 회전롤러 122 : 이송벨트
130 : 압착부 131 : 압착롤러
131a : 제1롤러 131b : 제2롤러
133 : 구동모터 135 : 감지센서
140 : 간극조절부 141 : 가압부재

Claims (5)

  1. 인쇄지 절첩기(1)를 통해 절첩 이송되는 인쇄지(P)를 압착해주기 위한 인쇄지 절첩기용 압착장치에 있어서,
    본체프레임(110);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일측에 이송벨트(122)가 감긴 복수의 회전롤러(121)가 상·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롤러(121)의 사이로 인입되는 절첩된 인쇄지(P)를 일방향으로 이송시켜주는 인입부(120);
    상기 이송되는 인쇄지(P)를 압착해줄 수 있도록 구동모터(13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압착롤러(131)를 구비하는 압착부(130);
    상기 인쇄지(P)의 두께에 대응되게 상기 압착롤러(131) 사이의 간극(t)을 조절해주는 간극조절부(140);를 포함하되,
    상기 압착롤러(131)는,
    상기 본체프레임(110)에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베어링(B1) 결합되는 제1롤러(131a);와
    상기 제1롤러(131a)의 직상부에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베어링(B2) 결합되되 상기 제1롤러(131a)와의 간극(t)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3)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롤러(131b);를 포함하고,
    상기 간극조절부(140)는,
    상기 제2롤러(131b)의 양측에 결합된 베어링(B2)의 상부 외주연과 면접되게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2롤러(131b)의 상향 이동거리를 제한해주는 가압부재(141);
    상기 가이드레일(113)의 상판(115) 수직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나사공(115a)에 일측이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일측 끝단이 상기 가압부재(141)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재(141)의 높낮이를 조절해주는 높낮이조절부재(143);
    상기 상판(115)의 상면과 상기 높낮이조절부재(143)의 단턱(143b) 사이에 공회전 가능하게 개재되는 간극설정부재(14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상판(115)의 상면과 상기 간극설정부재(145) 사이의 틈(t1)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끼움부재(147)의 두께만큼 상기 간극(t) 거리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지 절첩기용 압착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15)은,
    상기 가이드레일(113)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이드봉(148)에 슬라이드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봉(148)에는 상기 상판(115)을 하방으로 가압지지해주는 판스프링(149)이 결합된 것을 더 포함하는 인쇄지 절첩기용 압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일측에는,
    상기 인쇄지 절첩기(1)의 배출구 측에 구비된 걸림봉(2)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될 수 있도록 걸고리(111)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인쇄지 절첩기용 압착장치.
KR2020110004971U 2011-06-07 2011-06-07 인쇄지 절첩기용 압착장치 KR2004557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971U KR200455798Y1 (ko) 2011-06-07 2011-06-07 인쇄지 절첩기용 압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971U KR200455798Y1 (ko) 2011-06-07 2011-06-07 인쇄지 절첩기용 압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5798Y1 true KR200455798Y1 (ko) 2011-09-27

Family

ID=45089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971U KR200455798Y1 (ko) 2011-06-07 2011-06-07 인쇄지 절첩기용 압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79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872B1 (ko) * 2017-09-06 2019-01-30 원종한 인쇄지의 압착기
KR20240041145A (ko) 2022-09-22 2024-03-29 김종일 접지물 압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9459A (ja) 1996-10-17 1998-05-12 Horizon Internatl Kk 折り癖付け用プレスローラ装置
KR20020086349A (ko) * 2002-09-13 2002-11-18 강승식 우편엽서용지의 접착장치
KR20050093964A (ko) * 2004-03-17 2005-09-26 주식회사 웰텍시스템 슬라이드 방식의 접지유닛이 적용된 우편 자동 봉합장치
KR20090077176A (ko) * 2008-01-10 2009-07-15 원종한 인쇄지용 압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9459A (ja) 1996-10-17 1998-05-12 Horizon Internatl Kk 折り癖付け用プレスローラ装置
KR20020086349A (ko) * 2002-09-13 2002-11-18 강승식 우편엽서용지의 접착장치
KR20050093964A (ko) * 2004-03-17 2005-09-26 주식회사 웰텍시스템 슬라이드 방식의 접지유닛이 적용된 우편 자동 봉합장치
KR20090077176A (ko) * 2008-01-10 2009-07-15 원종한 인쇄지용 압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872B1 (ko) * 2017-09-06 2019-01-30 원종한 인쇄지의 압착기
KR20240041145A (ko) 2022-09-22 2024-03-29 김종일 접지물 압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9221B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US20140357463A1 (en) Creasing and folding machine
EP2439156B1 (en) Sheet separating mechanism
CN105025185B (zh) 具有独立平台式与馈送式扫描装置的事务机
US20110064541A1 (en) Spine formation device,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bookbinding system
CN211393157U (zh) 水墨印刷机用连续送料装置
KR200455798Y1 (ko) 인쇄지 절첩기용 압착장치
CN108146069A (zh) 印刷装置
CN201194113Y (zh) 一种彩票扫描器电动打印装置
CN106044336A (zh) 一种打印机的输纸导入机构
US8752820B2 (en) Envelope warpage correcting device
CN205631904U (zh) 一种裱纸机及其压纸机构
KR20090077176A (ko) 인쇄지용 압착기
US9896287B2 (en) Device for feeding papers
CN205380978U (zh) 一种纸箱印刷机
CN204547144U (zh) 一种用于生产食品包装盒的胶印纸输送机构
CN209904221U (zh) 自剪切包装印刷机
CN205855477U (zh) 一种纸张生产用上料装置
CN205167902U (zh) 一种多功能小型化办公平台
US9555987B2 (en) Sheet conveyer and image reading apparatus
CN204278713U (zh) 卷筒纸印刷机
KR100824432B1 (ko) 원단적층절단장치
CN109955312A (zh) 一种废纸筛除机
CN216189512U (zh) 一种小型标签分页机
CN215152879U (zh) 一种用于印刷机压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