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0925A -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0925A
KR20240040925A KR1020220119842A KR20220119842A KR20240040925A KR 20240040925 A KR20240040925 A KR 20240040925A KR 1020220119842 A KR1020220119842 A KR 1020220119842A KR 20220119842 A KR20220119842 A KR 20220119842A KR 20240040925 A KR20240040925 A KR 20240040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heet
insect
porridge
preparation pro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9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선미
Original Assignee
홍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선미 filed Critical 홍선미
Priority to KR1020220119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0925A/ko
Publication of KR20240040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0925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01Waste products, e.g. sludg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56Deckle fram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3/00Making discontinuous sheets of paper, pulpboard or cardboard, or of wet web, for fibreboard production
    • D21F13/02Making hand-made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30Luminescent or fluorescent substances, e.g. for optical bleaching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2Patterned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2Patterned paper

Landscapes

  • Paper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상기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는 제1시트 및 곤충껍질가루를 포함하며 상기 제1시트에 부착되는 제2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시트에는 해조류가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상기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제조방법은 제1종이를 물에 불린 후 분쇄하여 제1종이죽을 준비하는 제1종이죽 준비과정, 곤충껍질가루가 혼합된 제2종이죽을 준비하는 제2종이죽 준비과정, 상기 제1종이죽을 물에 풀어준 후 발틀을 이용하여 제1종이층을 마련한 후 물기를 제거하여 제1시트를 준비하는 제1시트 준비과정 및 상기 제2종이죽을 물에 풀어준 후 상기 발틀을 이용하여 제2종이층을 마련한 후 물기를 제거하여 마련되는 제2시트를 상기 제1시트에 겹치는 겹침과정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곤충껍질을 분말화하여 종이의 재료로 사용함으로써 곤충껍질분말이 가지는 고유의 광택을 가지는 종이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제작방법은 상기 제2시트를 상기 제1시트 위에 코팅 또는 겹쳐 뜨기 하듯 마련함으로써 고른 질감을 가지는 곤충껍질가루가 포함된 종이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Description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및 그 제조방법{paper using insect shell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기술은 대체로 종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폐지나 파지 등 버려지는 종이와 식사 후 버려지는 대게 등의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폐지, 일반쓰레기로 분류되는 대게 껍질 등과 같은 음식물 부산물 등을 포함한 폐기물의 처리는 주로 소각, 매립 등의 방법을 통하여 이뤄졌다. 소각, 매립 등의 방법을 통한 폐기물의 처리는 환경오염 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측면에서도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친환경적인 관점에서의 폐기물 처리, 자원 재순환 관점에서의 폐기물 처리 등에 대한 다양한 노력이 현재 진행되고 있다.
폐지, 음식물 부산물 등의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기술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KR 제10-2010-0133295호 “폐기 지폐를 이용한 종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종이” 등이 있다. 종래기술은 폐지를 재활용한 종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대게 껍질과 같은 음식물 부산물을 재활용한 종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은 개시하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일반쓰레기로 취급되어 소각, 매립 등의 방식으로 폐기물 처리되는 곤충껍질을 분말화하여 종이의 재료로 사용함으로써 환경오염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에 관한 기술이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는 제1시트 및 곤충껍질가루를 포함하며 상기 제1시트에 부착되는 제2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시트에는 해조류가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상기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제조방법은 제1종이를 물에 불린 후 분쇄하여 제1종이죽을 준비하는 제1종이죽 준비과정, 곤충껍질가루가 혼합된 제2종이죽을 준비하는 제2종이죽 준비과정, 상기 제1종이죽을 물에 풀어준 후 발틀을 이용하여 제1종이층을 마련한 후 물기를 제거하여 제1시트를 준비하는 제1시트 준비과정 및 상기 제2종이죽을 물에 풀어준 후 상기 발틀을 이용하여 제2종이층을 마련한 후 물기를 제거하여 마련되는 제2시트를 상기 제1시트에 겹치는 겹침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1종이죽 준비과정은 물에 불린 상기 제1종이를 분쇄하기 전에 제1풀을 혼합하는 제1풀 혼합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종이죽 준비과정은 제2종이를 물에 풀어준 후 상기 곤충껍질가루를 혼합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시트 준비과정은 상기 제1종이층의 물기를 제거하기 전에 상기 제1종이층 위에 해조류를 올리는 해조류 준비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제조방법은 상기 겹침과정 이후에 수행되며, 서로 겹쳐진 상기 제1시트 및 상기 제2시트를 압박한 후 건조하는 건조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일반쓰레기로 취급되어 소각, 매립 등의 방식으로 폐기물 처리되는 곤충껍질을 분말화하여 종이의 재료로 사용함으로써 폐기물인 곤충껍질을 재생 상품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곤충껍질을 분말화하여 종이의 재료로 사용함으로써 곤충껍질분말이 가지는 고유의 광택을 가지는 종이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제1시트의 원재료로서 일반쓰레기로 취급되어 소각, 매립 등의 방식으로 폐기물 처리되는 폐지 또는 파지 등을 사용함으로써 폐기물인 폐지 또는 파지 등을 재생 상품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제조방법의 제1종이죽 준비과정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제조방법의 해조류 준비과정 및 제1시트 준비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제조방법의 제2종이죽 준비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제조방법의 겹침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제조방법의 건조과정 후의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마련"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마련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제조방법의 제1종이죽 준비과정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제조방법의 해조류 준비과정 및 제1시트 준비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제조방법의 제2종이죽 준비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제조방법의 겹침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제조방법의 건조과정 후의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및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100)는 제1시트(110) 및 제2시트(120)를 포함한다.
제1시트(110)는 일반적인 종이 또는 폐지나 파지를 활용하여 제작된 종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1시트(110)에는 해조류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해조류로는 톳, 모자반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시트(120)는 곤충껍질가루를 포함하며 제1시트(110)에 부착된다. 곤충껍질로는 영덕에서 생산되는 대게껍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제조방법은 제1종이를 물에 불린 후 분쇄하여 제1종이죽을 준비하는 제1종이죽 준비과정, 곤충껍질가루가 혼합된 제2종이죽을 준비하는 제2종이죽 준비과정, 상기 제1종이죽을 물에 풀어준 후 발틀을 이용하여 제1종이층을 마련한 후 물기를 제거하여 제1시트를 준비하는 제1시트 준비과정 및 상기 제2종이죽을 물에 풀어준 후 상기 발틀을 이용하여 제2종이층을 마련한 후 물기를 제거하여 마련되는 제2시트를 상기 제1시트에 겹치는 겹침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1종이죽 준비과정은 물에 불린 상기 제1종이를 분쇄하기 전에 제1풀을 혼합하는 제1풀 혼합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종이로는 폐지, 파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풀로는 감자전분, 도배용 풀(예로서 고려풀)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풀은 종이의 결합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종이죽 준비과정은 제2종이를 물에 풀어준 후 상기 곤충껍질가루를 혼합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종이로는 닥종이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종이로서 상기 닥종이를 물에 풀어준 후 소량의 닥풀을 섞어줄 수 있다. 상기 닥풀은 상기 닥종이의 섬유질이 잘 풀려 제작되는 종이의 질감을 좋게 해 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곤충껍질가루로는 영덕에서 생산되는 대게껍질을 분쇄한 가루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제2종이죽 준비과정에서 상기 곤충껍질가루의 비린 향을 줄여주기 위해 아로마 오일을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 곤충껍질가루의 비린 향을 줄여줄 수 있는 한 상기 아로마 오일 이외에 다른 오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시트 준비과정은 상기 제1종이층의 물기를 제거하기 전에 상기 제1종이층 위에 해조류를 올리는 해조류 준비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조류로는 톳, 모자반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제조방법은 상기 겹침과정 이후에 수행되며, 서로 겹쳐진 상기 제1시트 및 상기 제2시트를 압박한 후 건조하는 건조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은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의 실제 제조과정의 하나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을 활용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의 제조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및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기술의 권리범위를 제한할 의도가 아님을 분명히 밝혀 둔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종이를 물에 불린 후 분쇄하여 제1종이죽을 준비한다. 도면에는 상기 제1종이로 사용하는 파지와 폐지를 색깔을 구분하여 분리한 후 물에 약 1 내지 약 2일간 불린 후 믹서기로 곱게 갈아서 준비한 제1종이죽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이때 종이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감자전분 소량과 고려풀 소량을 불린 상기 제1종이죽에 넣어 잘 섞어준 뒤 믹서기로 갈아줄 수 있다.
이후, 도 3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종이죽을 물에 풀어준 후 발틀을 이용하여 제1종이층을 마련한 후 물기를 제거하여 제1시트를 준비한다. 도면에는 물이 담긴 물통에 소량의 상기 제1종이죽을 넣은 뒤 바다속에서 채취한 해조류도 같이 넣어 섞어서 얻어지는 상기 제1시트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발틀인 모양틀을 이용하여 쌍발 뜨기 방식으로 앞뒤로 물을 가두어 모양틀 안에 상기 제1종이죽이 고르게 펴지게 한 뒤 해조류를 상기 제1종이죽 위에 올린다. 다음으로 흰 펠트지 위에 모양틀을 맞춰 뜬 종이를 올려 스펀지로 물기를 제거한 후 모양틀을 제거하여 상기 제1시트를 얻을 수 있다.
도 4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곤충껍질가루가 혼합된 제2종이죽을 준비한다. 도면에는 닥종이를 풀어 둔 물통과 대게껍질 가루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닥종이가 잘 풀어진 물통에 대게껍질가루를 같이 섞어 상기 제2종이죽을 준비할 수 있다. 이때, 소량의 닥풀을 섞어주면 닥종이의 섬유질이 더 쉽게 풀려 종이의 질감을 더 좋게 해 줄 수 있다. 한편, 대게의 비린향을 없애기 위해 아로마 오일을 몇 방울 첨가할 수 있다.
이후, 도 5 및 도 6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 4와 관련하여 상술한 과정으로 마련된 상기 제2종이죽을 상기 발틀을 이용하여 제2종이층을 마련한 후 물기를 제거하여 마련되는 제2시트를 상기 제1시트에 겹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시트를 마련하는 과정에서 사용한 발틀인 모양틀과 같은 모양의 틀을 준비하여 쌍발 뜨기와 앞으로 뜨기 방식으로 상기 제2종이죽을 떠서 물기를 제거하여 상기 제2시트를 마련한다. 쌍발 뜨기를 통해 두꺼운 종이를 얻을 수 있고, 앞으로 뜨기 방식을 통해 얇은 종이를 얻을 수 있다. 얻어진 상기 제2시트는 상기 제1시트 위에 겹쳐준다.
상기 제1시트 위에 상기 제2시트를 겹친 후, 물기를 스펀지로 제거한 후 프레스기를 통해 이를 눌러 물기를 최대한 제거한 후 건조대에 널어 건조한다. 건조된 후 프레스기를 통해 다시 눌러주면서 펴 줌으로써 도 7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를 제작할 수 있다.
곤충껍질가루의 예인 대개껍질가루를 상기 제1시트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바로 투입할 경우에 최종 제작되는 종이의 질감은 울퉁불퉁하여 고르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제작방법은 상기 제2시트를 상기 제1시트 위에 코팅 또는 겹쳐 뜨기 하듯 마련함으로써 고른 질감을 가지는 곤충껍질가루가 포함된 종이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일반쓰레기로 취급되어 소각, 매립 등의 방식으로 폐기물 처리되는 곤충껍질을 분말화하여 종이의 재료로 사용함으로써 폐기물인 곤충껍질을 재생 상품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곤충껍질을 분말화하여 종이의 재료로 사용함으로써 곤충껍질분말이 가지는 고유의 광택을 가지는 종이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100: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110: 제1시트
120: 제2시트

Claims (7)

  1. 제1시트; 및
    곤충껍질가루를 포함하며 상기 제1시트에 부착되는 제2시트를 포함하는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에는 해조류가 마련되는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3. 제1종이를 물에 불린 후 분쇄하여 제1종이죽을 준비하는 제1종이죽 준비과정;
    곤충껍질가루가 혼합된 제2종이죽을 준비하는 제2종이죽 준비과정;
    상기 제1종이죽을 물에 풀어준 후 발틀을 이용하여 제1종이층을 마련한 후 물기를 제거하여 제1시트를 준비하는 제1시트 준비과정; 및
    상기 제2종이죽을 물에 풀어준 후 상기 발틀을 이용하여 제2종이층을 마련한 후 물기를 제거하여 마련되는 제2시트를 상기 제1시트에 겹치는 겹침과정을 포함하는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종이죽 준비과정은 물에 불린 상기 제1종이를 분쇄하기 전에 제1풀을 혼합하는 제1풀 혼합과정을 포함하는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종이죽 준비과정은 제2종이를 물에 풀어준 후 상기 곤충껍질가루를 혼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 준비과정은 상기 제1종이층의 물기를 제거하기 전에 상기 제1종이층 위에 해조류를 올리는 해조류 준비과정을 포함하는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제조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겹침과정 이후에 수행되며, 서로 겹쳐진 상기 제1시트 및 상기 제2시트를 압박한 후 건조하는 건조과정을 더 포함하는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제조방법.
KR1020220119842A 2022-09-22 2022-09-22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409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842A KR20240040925A (ko) 2022-09-22 2022-09-22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842A KR20240040925A (ko) 2022-09-22 2022-09-22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0925A true KR20240040925A (ko) 2024-03-29

Family

ID=90483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9842A KR20240040925A (ko) 2022-09-22 2022-09-22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09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17974B (zh) 一种豆腐渣膳食纤维可食用纸的制备方法
KR101442502B1 (ko) 감귤껍질을 이용한 종이의 제조방법
EP1833920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iodegradable composites
CN105088900B (zh) 一种包装纸的生产方法
JP2007009402A (ja) 紙形成工程
KR20240040925A (ko) 곤충껍질을 이용한 종이 및 그 제조방법
CN104695133A (zh) 一种高强度水刺真皮纤维复合布的加工工艺
CN104403405B (zh) 生物脱墨剂、其制备方法及利用其脱墨的方法
CN1878911B (zh) 由红藻制得的纸浆和纸张及其制造方法
CN102383340A (zh) 熊猫粪便纸的制备方法
WO2012114045A1 (fr) Procédés de préparation d'une pâte papetière et de fabrication d'un papier à partir d'une poudre d'algues
KR100632462B1 (ko) 천연 식물성 장섬유를 이용한 벽지와 그 제조 방법
EP2958725B1 (fr) Procédé de préparation d'une poudre de macroalgues brunes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objets rigides à partir de ladite poudre
JPH0941288A (ja) 易生分解性複合物とこれを用いた美粧性紙製品
KR101557063B1 (ko) 홍삼찌꺼기를 이용한 종이
KR20090122062A (ko) 삼나무를 이용한 펄프제조방법과 이 펄프를 이용한일회용기 제조방법
JP2003052255A (ja) マルチ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98643B1 (ko) 양파 및 옥수수 껍질을 이용한 압화작품 및 그 제조방법
CN104529298A (zh) 一种梓木茶台及其制备方法
KR100481713B1 (ko) 배접지용 한지의 제조방법
KR102279823B1 (ko) 닥섬유 안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9990046049A (ko) 이면번짐을방지할수있는한지의제조방법
KR950006534B1 (ko) 일회용 지기(紙器)의 제조방법
KR102034383B1 (ko) 귤박을 이용한 펄프몰드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펄프몰드
CN108556089A (zh) 一种环保型原木皮合成工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