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0828A - 표찰 케이스 - Google Patents

표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0828A
KR20240040828A KR1020220119152A KR20220119152A KR20240040828A KR 20240040828 A KR20240040828 A KR 20240040828A KR 1020220119152 A KR1020220119152 A KR 1020220119152A KR 20220119152 A KR20220119152 A KR 20220119152A KR 20240040828 A KR20240040828 A KR 20240040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ixing member
label
fastening hole
c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9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영
Original Assignee
김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영 filed Critical 김보영
Priority to KR1020220119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0828A/ko
Publication of KR20240040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08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56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는 표찰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을 구비한 케이스 몸체; 상기 케이스 몸체에 체결되고, 통공을 구비한 케이스 고정부재;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 내측에 설치되는 권취릴; 상기 권취릴에 감기고 상기 통공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 외부로 인출되는 연결줄;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연결줄을 외부로 인출시키는 상단커버; 및, 상기 상단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를 고정시키는 클립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개시된 구성을 통해 신분증과 같은 표찰을 수납하고 사용자의 목에 걸지 않고도 간편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표찰 케이스{Label case}
본 발명은 표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분증과 같은 표찰을 수납하여 사용자의 목에 걸지 않고도 휴대가 간편한 표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흔히 신분증, 출입증, 사원증, ID 카드 등과 같은 표찰을 목에 거는 형태로 휴대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위해 다양한 유형의 표찰 케이스들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표찰 케이스에 권취릴을 설치한 유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유형의 표찰 케이스는 사용자가 표찰 케이스를 목에 건 상태에서 손으로 잡아 당겨 인출할 수 있고 손을 놓으면 권취릴에 의해 다시 감기면서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권취릴은 목걸이 줄에 설치되어 연결줄을 통해 표찰 케이스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권취릴은 표찰 케이스 자체에 내장되거나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목걸이 줄에는 권취릴에 권취된 연결줄과 연결하기 위해 별도의 연결부재가 사용된다.
전자의 경우는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10-0950450호에 개시되어 있고, 후자의 경우는 예컨대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35012호에 개시되어 있다.
권취릴을 사용하는 표찰 케이스에는 해결해야 할 몇가지 문제들이 있다. 일례로 표찰 케이스가 인출후 복귀하는 과정에서 전후면이 뒤바뀌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950450호에 의해 해결되었다. 이 특허는 본 출원인의 특허로서, 권취릴이 설치되는 인출장치와 표찰 케이스 사이에 2가닥 또는 그 이상의 연결줄을 사용하는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권취릴의 형태는 원형이므로, 권취링에 감긴 연결줄은 권취릴에서 인출되거나 권취릴로 복귀할 때 비스듬한 각도를 이루게 된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0-0950450호의 도면 3이나 한국등록특허 제10-1181061호의 도면 5를 보면, 권취릴로부터 인출된 연결줄이 인출장치 또는 표찰 케이스의 통공을 통과할 때 비스듬한 각도로 통과함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연결중의 인출/복귀 과정은 수없이 반복되므로 비스듬한 각도로 통공을 지나게 되면 연결줄이나 통공에 필연적으로 마모 현상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심한 경우, 연결줄이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표찰 케이스 자체를 못 쓰게 될 수도 있다.
더욱이, 한국등록특허 제10-0950450호 및 제10-118061호의 경우, 사용자의 목에 건 형태로 사용하기 때문에 일일이 사용할 때마다 불편한 점이 있다.
특히, 표찰 케이스를 사용한 이후에 보관시에 목걸이 줄을 일일이 표찰 케이스에 감아서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목걸이 줄을 이용하여 표찰 케이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자칫 목걸이 줄이 외부의 구조물에 걸리거나 하는 문제로 인해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50450호 (2010.04.02. 공고)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81061호 (2012.09.07.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분증과 같은 표찰을 수납하여 사용자의 목에 걸지 않고도 휴대가 간편한 표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의 기술적 특징은 케이스 고정부재로부터 표찰 케이스, 즉 케이스 몸체를 부착 또는 분리하는 점이다. 이를 위해, 케이스 몸체에 회전 체결공이 구비되고, 케이스 고정부재에 상기 회전 체결공에 대응하도록 회전 체결돌기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는 사용자의 목에 걸지 않더라도 클립부재를 통해 표찰 케이스를 사용자로부터 간편하게 부착 또는 탈착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상기 클립부재가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와 분리 결합되는 상단커버에 구비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는 표찰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을 구비한 케이스 몸체; 상기 케이스 몸체에 체결되고, 통공을 구비한 케이스 고정부재;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 내측에 설치되는 권취릴; 상기 권취릴에 감기고 상기 통공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 외부로 인출되는 연결줄;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연결줄을 외부로 인출시키는 상단커버; 및 상기 상단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를 고정시키는 클립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에 있어서, 케이스 몸체의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상기 표차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표찰 노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에 있어서, 케이스 몸체는 상기 수납공간에 상기 표찰을 넣고 빼기 위해 측면에 표찰 출입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에 있어서, 케이스 몸체는 그 배면에 형성된 고정 체결공과 상기 고정 체결공 주위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회전 체결공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몸체에 체결되는 케이스 고정부재는 그 고정부재 상판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몸체의 고정 체결공에 삽입되는 고정 체결돌기와 상기 회전 체결공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회전 체결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에 있어서, 케이스 몸체의 회전 체결공이 서로 연통되어 있는 제1, 2, 3 체결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에 있어서, 제2 체결공이 상기 제1 체결공과 제3 체결공 사이에 연통되게 위치하여 상기 회전 체결돌기가 상기 제1 체결공과 제3 체결공에 안내하여 안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에 있어서, 케이스 고정부재가 상기 회전 체결공과 회전 체결돌기에 의해 상기 케이스 몸체로부터 부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에 있어서, 케이스 몸체의 제1 체결공은 상기 제2, 3 체결공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는 제1 체결공 내에 상기 회전 체결돌기가 위치하면 상기 케이스 몸체와 케이스 고정부재가 결합되기 전 상태이고, 상기 제3 체결공 내에 상기 회전 체결돌기가 위치하면 상기 케이스 몸체와 케이스 고정부재가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에 있어서, 케이스 몸체를 잡아 당길 때 연결줄은 권취릴로부터 인출되어 케이스 고정부재의 외부로 인출되어져 상기 상단커버가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로부터 분리되며, 사용자가 손을 놓으면 연결줄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권취릴에 다시 감겨서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의 내부로 인입되어져 상기 상단커버가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에 따르면, 케이스 몸체에 구비된 회전 체결공과 케이스 고정부재에 구비된 회전 체결돌기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로부터 상기 케이스 몸체의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목걸이 줄이 없어도 표찰 케이스를 휴대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에 따르면, 연결줄이 케이스 고정부재의 통공을 일직선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결줄이 통공을 통과할 때의 마찰을 감소시키고 연결줄과 통공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 배면에 결합된 케이스 고정부재 및 상단커버를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의 케이스 몸체 배면에 결합된 케이스 고정부재와 상단커버 및 클립부재를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를 구성하는 케이스 몸체, 케이스 고정부재 및 상단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에 있어서 케이스 고정부재 및 상단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에 있어서 가이드 핀과 회전부재의 배치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에 있어서 케이스 몸체에 케이스 고정부재가 결합하기 전 상태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에서 케이스 몸체에 케이스 고정부재가 결합한 후 상태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 배면에 결합된 케이스 고정부재 및 상단커버를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의 케이스 몸체 배면에 결합된 케이스 고정부재와 상단커버 및 클립부재를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를 구성하는 케이스 몸체, 케이스 고정부재 및 상단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100)는, 케이스 몸체(10)와 케이스 고정부재(20), 상단커버(40) 및 클립부재(5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몸체(10)에는 사용자의 표찰(60)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상단커버(40)에는 케이스 몸체(10)와 결합된 케이스 고정부재(20)를 탈 부착할 수 있는 클립부재(50)가 구비되어 있다.
사용자는 기존에 사용하였던 목걸이 줄이 없이도 표찰 케이스(100)를 휴대할 수 있고, 휴대시 표찰 케이스(100)의 케이스 몸체(10)와 케이스 고정부재(20)는 서로 결합된 상태에 있거나 분리된 상태로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클립부재(50)를 옷 등에 끼운 상태에서 손으로 케이스 몸체(10)를 잡아 당겨 상단커버(40)와 분리할 수 있고, 손을 놓으면 케이스 몸체(10)는 다시 케이스 고정부재(20)와 함께 다시 상단커버(40)로 복귀한다.
이러한 인출/복귀 동작은 케이스 고정부재(20) 내부에 설치된 연결줄(30)과 권취릴(70)에 의해 가능해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케이스 몸체(10)에는 표찰(60)이 수납되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표찰(60)이 보이는 쪽을 전면, 반대쪽을 후면으로 지칭한다.
케이스 몸체(10)의 전면에 형성되는 공간은 표찰(60)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다.
또한, 케이스 몸체(10)의 전면에 마련된 수납공간에 수납된 표찰(60)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표찰 노출부(12)가 형성된다.
상기 표찰 노출부(12)는 케이스 몸체(10)의 일부가 제거된 개방영역이다. 표찰 노출부(12)는 수납공간에 수납된 표찰(6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표찰(60)보다 다소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사용자는 표찰 노출부(12)를 통해 수납공간 내의 표찰(60)을 외측으로 밀어 빼낼 수 있다.
한편, 케이스 몸체(10)의 측면에는 수납공간에 표찰(60)을 넣고 뺄 수 있도록 표찰 출입구(1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몸체(10)의 배면에는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20)가 끼워져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고정 체결공(14)과 회전 체결공(16)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 체결공(14)은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20)가 상기 케이스 몸체(10)의 배면에 접촉된 상태로 결합될 때 상기 고정부재(20)가 좌우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회전 체결공(16)은 상기 고정 체결공(14) 주위에 일정 간격으로 두고 적어도 3개가 형성되는데, 제1 체결공(16a)과, 제2 체결공(16b) 및 제3 체결공(16c)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제1, 2, 3 체결공(16a, 16b, 16c)들은 서로 연통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 체결공(16a)과 제3 체결공(16c)은 예를 들어 원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체결공(16a)은 제2, 3 체결공(16c)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공(16b)은 이들 제1 체결공(16a)과 제3 체결공(16c)과 연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체결공(16b)은 후술하는 회전 체결돌기(26)가 상기 제1 체결공(16a)에서 제3 체결공(16c)으로 안내되어 체결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3 체결공(16c)에서 제1 체결공(16a)으로 안내되어 체결이 풀리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케이스 고정부재(20)는 케이스 몸체(10) 배면에 배치되고, 탈 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20)는 케이스 몸체(10)과 접촉하여 결합 또는 분리되는 상판(21)과 몸체(22)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20)의 상판(21)에는 고정 체결돌기(24)와 함께, 이 고정 체결돌기(24) 주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3개의 회전 체결돌기(26)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 체결돌기(24)는 상기 케이스 몸체(10) 배면에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20)가 결합될 때, 상기 케이스 몸체(10)의 고정 체결공(14)에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 몸체(10)에 케이스 고정부재(20)를 1차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20)는 상기 케이스 몸체(10)에 완전 결합된 상태가 아니라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20)를 좌우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어 위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3개의 회전 체결돌기(26)는 상기 케이스 몸체(10) 배면에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20)가 결합될 때, 상기 케이스 몸체(10)에 형성된 회전 체결공(16)의 제1 체결공(16a) 안으로 1차 삽입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20)는 상기 케이스 몸체(10) 배면에 완전 결합된 상태가 아니라, 일정 각도만큼 비스듬히 접촉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 체결돌기(26)는 상기 제3 회전 체결공(16c) 내에 위치했을 때 빠지거나 하지 않고 체결된 상태로 고정되는 정도의 직경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20)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 체결돌기(26)가 상기 제1 체결공(16a) 안에서 나와서 상기 제2 체결공 (16b)을 지나 상기 제3 체결공(16c)에 안착되어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20)가 상기 케이스 몸체(10)에 결합 고정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20)는 상기 케이스 몸체(10)와 결합되어 사용자가 케이스 몸체(10)를 손으로 잡아당기거나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단커버(40)는 고정부재 결합부(42)와 클립부재 결합부(4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 결합부(42)에는 연결줄(30)이 관통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고정공(45)이 형성된다.
상기 상단커버(40)는 사용자가 손으로 표찰 케이스(100)를 잡아 당기거나 할 때마다 상하로 이동되는데,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20)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하게 됨과 동시에 연결줄(30)을 케이스 고정부재(20)로부터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복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클립부재 결합부(44)는 사용자의 옷이나 주머니 등에 부착되는 부위이며, 전면에 클립부재 결합공(47)이 형성된다.
상기 클립부재 결합공(47)으로는 탄성을 갖는 클립부재(50)의 일단이 삽입되어져 고정된다. 그리고, 클립부재(50)의 타단에는 절곡부(52)가 형성되어 있는데, 클립부재 결합부(44)의 하부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이 상기 상단커버(40)와 접촉된 상태로 탄성을 갖는다. 이때, 사용자가 클립부재(50)를 통해 표찰 케이스(100)를 옷이나 주머니 등에 끼울 때, 상기 클립부재(50)의 절곡부(52)가 탄성력을 통해 옷이나 주머니 등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클립부재(50)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된 상기 케이스 몸체(10)와 케이스 고정부재(20) 및, 상단커버(40)로 구성된 표찰 케이스(100)를 사용자의 옷이나 주머니 등에 간편하게 끼워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에 있어서 케이스 고정부재의 일 실시예와 상단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케이스 고정부재(20)의 내측에는 권취릴(70)이 구비되어 연결줄(30)이 권취될 수 있다. 권취릴(70)은 스프링(미도시)을 내장하고 있어, 사용자가 손으로 케이스 몸체(10)를 잡아당기면 연결줄(30)이 권취릴(70)로부터 인출되며, 사용자가 손을 놓으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연결줄(30)이 권취릴(70)에 다시 감기게 된다.
케이스 고정부재(20)의 상단커버 결합부(20a)는 후술할 상단커버(40)와 결합되는 부위이다. 상기 상단커버 결합부(20a)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25)을 구비한다.
통공(25)은 연결줄(30)이 통과하는 구멍이며, 연결줄(30)의 개수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2개의 연결줄(30)이 적용된 예이다.
한편, 상단커버(40)는 연결줄(30)을 고정시킨다. 즉, 연결줄(30)은 한쪽 끝이 권취릴(70)에 고정된 후 권취릴(70)에 감기고 권취릴(70)로부터 인출된 후 가이드 핀(35)의 회전부재(80)를 돌아 고정부재 결합부(20a)의 통공(25)을 통과하며 반대쪽 끝이 상단커버(40)에 고정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연결줄(30)이 권취릴(70)의 스프링 힘에 의해 감긴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단커버(40)가 케이스 고정부재(20)에 결합된 상태에 있다. 만약 사용자가 케이스 몸체(10)를 잡아당기면, 연결줄(30)이 권취릴(70)로부터 풀리면서 상단커버(40) 또한 케이스 고정부재(20)와 분리된 상태로 있게 된다.
권취릴(70)에서 연결줄(30)이 권취되는 부분의 직경은 통공(25)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권취릴(70)을 거쳐 통공(25)을 지나게 되는 연결줄(30)이 통공(25)의 뚫린 방향을 따라 바르게 통공(25)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줄(30)과 통공(25) 내측면 사이의 마찰이 최소화되어 연결줄(30)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 고정부재(20)에는 통공(25)이 2개가 형성되어 2개의 연결줄(30)이 하나씩 통과하게 되는데, 2개의 연결줄(30)은 하나의 권취릴(70)에 함께 권취되므로, 2개의 중 하나의 연결줄(30)이 다른 연결줄(30)과 통공(25)의 간격에 맞추어 이격될 수 있도록 케이스 고정부재(20) 내부에는 가이드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는 케이스 고정부재(20) 내부에서 권취릴(70)과 통공(25) 사이에 구비되어 하나의 연결줄(30)이 거쳐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연결줄(30)이 통공(25)의 뚫린 방향을 따라 바르게 통공(25)을 통과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에 있어서 케이스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와 상단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에 있어서 가이드 핀과 회전부재의 배치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케이스 고정부재(20)의 내측에는 권취릴 지지부(34)와 가이드 핀(35)이 설치된다.
상기 권취릴 지지부(34)에는 권취릴(70)이 결합된다. 권취릴(70)은 스프링(미도시)을 내장하고 있으며, 연결줄(30)을 권취한다.
가이드 핀(35)에는 회전부재(80)가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회전부재(80)는 권취릴(70)로부터 인출되는 연결줄(30)의 인출 방향을 가이드한다. 즉, 권취릴(70)에서 나온 연결줄(30)은 회전부재(80)를 돌아 인출된다.
가이드 핀(35)과 회전부재(80)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 핀(35)은 연결줄(30)이 통과하는 통공(25)과 일직선 방향에 배치된다. 즉, 권취릴(70)에 권취된 연결줄(30)이 권취릴 (70)로부터 인출되어 통공(25)을 통과할 때 일직선으로 통과하도록 가이드 핀(35)이 연결줄(30)의 인출 방향을 가이드한다.
권취릴(70)의 형태는 원형이므로, 통상적으로 연결줄(30)은 권취릴(70)에서 인출되거나 권취릴(70)로 복귀할 때 비스듬한 각도를 이루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가이드 핀(35)이 통공(25)과 일직선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연결줄(30)은 비스듬하지 않고 곧바르게 통공(25)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통공(25)과 연결줄(30)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에 있어서 케이스 몸체에 케이스 고정부재가 결합하기 전 상태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에서 케이스 몸체에 케이스 고정부재가 결합한 후 상태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케이스 고정부재(20)에 구비된 고정 체결돌기(24)는 상기 케이스 몸체(10) 배면에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20)가 결합될 때, 상기 케이스 몸체(10)의 고정 체결공(14)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 몸체(10)에 케이스 고정부재(20)를 1차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20)는 상기 케이스 몸체(10)에 완전 결합된 상태가 아니라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20)를 좌우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어 위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3개의 회전 체결돌기(26)는 상기 케이스 몸체(10) 배면에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20)가 결합될 때, 상기 케이스 몸체(10)에 형성된 회전 체결공(16)의 제1 체결공(16a) 안으로 1차 삽입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20)는 상기 케이스 몸체(10) 배면에 완전 결합된 상태가 아니라, 일정 각도만큼 비스듬히 접촉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어,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20)를 일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 체결돌기(26)가 상기 제1 체결공(16a) 안에서 나와서 상기 제2 체결공(16b)을 지나 상기 제3 체결공(16c)에 안착되어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20)가 상기 케이스 몸체(10)에 결합 고정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20)는 상기 케이스 몸체(10)와 결합되어 사용자가 케이스 몸체(10)를 손으로 잡아당기거나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반대로 케이스 고정부재(20)를 케이스 몸체(10)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반대로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20)를 타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 체결돌기(26)가 상기 제3 체결공(16c) 안에서 나와서 상기 제2 체결공(16b)을 지나 상기 제1 체결공(16a)에 안착되어 체결 상태가 풀리게 됨으로써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20)를 상기 케이스 몸체(1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케이스 몸체 12 : 표찰 노출부
14 : 고정 체결공 16 : 회전 체결공
18 : 표찰 출입구 20 : 케이스 고정부재
21 : 상판 24 : 고정 체결돌기
25 : 통공 26 : 회전 체결돌기
30 : 연결줄 40 : 상단커버
42 : 고정부재 결합부 44 : 클립부재 결합부
50 : 클립부재 52 : 절곡부
60 : 표찰 70 : 권취릴
80 : 회전부재
100 : 표찰 케이스

Claims (10)

  1. 표찰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을 구비한 케이스 몸체;
    상기 케이스 몸체에 체결되고, 통공을 구비한 케이스 고정부재;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 내측에 설치되는 권취릴;
    상기 권취릴에 감기고 상기 통공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 외부로 인출되는 연결줄;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연결줄을 외부로 인출시키는 상단커버; 및
    상기 상단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를 고정시키는 클립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표찰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몸체의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상기 표차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표찰 노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찰 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몸체는 상기 수납공간에 상기 표찰을 넣고 빼기 위해 측면에 표찰 출입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찰 케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몸체는 그 배면에 형성된 고정 체결공과 상기 고정 체결공 주위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회전 체결공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몸체에 체결되는 케이스 고정부재는 상기 케이스 몸체의 고정 체결공에 삽입되는 고정 체결돌기와 상기 회전 체결공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회전 체결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찰 케이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는 상기 회전 체결공과 회전 체결돌기에 의해 상기 케이스 몸체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찰 케이스.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몸체의 회전 체결공은 서로 연통되어 있는 제1, 2, 3 체결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찰 케이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공은 상기 제1 체결공과 제3 체결공 사이에 연통되게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 체결돌기가 상기 제1 체결공과 제3 체결공에 안착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찰 케이스.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몸체의 상기 제1 체결공은 상기 제2, 3 체결공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찰 케이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공 내에 상기 회전 체결돌기가 위치하면 상기 케이스 몸체와 케이스 고정부재가 결합되기 전 상태이고, 상기 제3 체결공 내에 상기 회전 체결돌기가 위치하면 상기 케이스 몸체와 케이스 고정부재가 결합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찰 케이스.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몸체를 잡아 당길 때 연결줄은 권취릴로부터 인출되어 케이스 고정부재의 외부로 인출되어져 상기 상단커버가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로부터 분리되며, 사용자가 손을 놓으면 연결줄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권취릴에 다시 감겨서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의 내부로 인입되어져 상기 상단커버가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 하는 표찰 케이스.
KR1020220119152A 2022-09-21 2022-09-21 표찰 케이스 KR202400408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152A KR20240040828A (ko) 2022-09-21 2022-09-21 표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152A KR20240040828A (ko) 2022-09-21 2022-09-21 표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0828A true KR20240040828A (ko) 2024-03-29

Family

ID=90483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9152A KR20240040828A (ko) 2022-09-21 2022-09-21 표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082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450B1 (ko) 2008-04-04 2010-04-02 (주)상일씨앤씨 표찰케이스용 줄 인출장치
KR101181061B1 (ko) 2010-11-25 2012-09-07 양재선 권취릴이 내장된 목걸이형 인식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450B1 (ko) 2008-04-04 2010-04-02 (주)상일씨앤씨 표찰케이스용 줄 인출장치
KR101181061B1 (ko) 2010-11-25 2012-09-07 양재선 권취릴이 내장된 목걸이형 인식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061B1 (ko) 권취릴이 내장된 목걸이형 인식표
US20100171021A1 (en) Holder systems for mobile devices
KR101404022B1 (ko) 인출입 기능을 갖춘 명찰 케이스장치
WO2013003118A2 (en) Earphone protector device
US20100072314A1 (en) Wall-mounted retractable clothesline assembly
KR200417687Y1 (ko) 표찰 케이스용 가이드 릴 구조
KR101843864B1 (ko) 표찰 케이스
KR20240040828A (ko) 표찰 케이스
KR101166648B1 (ko) 목걸이형 인식표
KR20240040829A (ko) 표찰 케이스
CN102348395A (zh) 带安装软线的物品
US6367190B1 (en) Fly harnessing and storage device
US5259095A (en) Pen holder
JP3184032U (ja) Idカードホルダー
KR200361265Y1 (ko) 휴대용 탄성 와인더
WO2017104915A1 (ko) 목걸이형 홀더
KR20190111881A (ko) 사원증 케이스
KR200474786Y1 (ko) 신분증 케이스
JP7136441B2 (ja) コードリール
KR101701393B1 (ko) 권취수단
KR200495845Y1 (ko) 골프채 네임링
KR101729002B1 (ko) 표찰 케이스 및 표찰 케이스 수납 장치
JP3122738U (ja) 紙片挟み具
KR20230174500A (ko) 표찰 케이스
JP3202134U (ja) 電子機器保持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