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864B1 - 표찰 케이스 - Google Patents

표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864B1
KR101843864B1 KR1020160066190A KR20160066190A KR101843864B1 KR 101843864 B1 KR101843864 B1 KR 101843864B1 KR 1020160066190 A KR1020160066190 A KR 1020160066190A KR 20160066190 A KR20160066190 A KR 20160066190A KR 101843864 B1 KR101843864 B1 KR 101843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ody
reel
take
hol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5012A (ko
Inventor
김보영
Original Assignee
(주)상일씨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일씨앤씨 filed Critical (주)상일씨앤씨
Priority to KR1020160066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864B1/ko
Priority to PCT/KR2017/005489 priority patent/WO2017209450A1/ko
Publication of KR20170135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A44C25/002Pendants forming a container, e.g. for pictur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02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는 연결줄이 통공을 통과할 때 일직선 방향으로 통과한다. 이를 위해, 표찰 케이스는 통공과 일직선 방향에 배치된 가이드 핀을 구비한다. 즉, 권취릴에서 감긴 연결줄은 가이드 핀을 통해 통공과 일직선 방향으로 인출되거나 복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는 가이드 핀에 설치된 회전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회전부재는 가이드 핀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며, 연결줄은 회전부재를 지나게 된다. 따라서 회전부재는 연결줄이 인출되거나 복귀할 때 연결줄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마찰을 감소시킨다.

Description

표찰 케이스{ID Card Case}
본 발명은 표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분증과 같은 표찰을 수납하고 사용자의 목에 걸어 휴대가 가능한 표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흔히 신분증, 출입증, 사원증, ID 카드 등과 같은 표찰을 목에 거는 형태로 휴대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위해 다양한 유형의 표찰 케이스들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표찰 케이스에 권취릴을 설치한 유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유형의 표찰 케이스는 사용자가 표찰 케이스를 목에 건 상태에서 손으로 잡아당겨 인출할 수 있고 손을 놓으면 권취릴에 의해 다시 감기면서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권취릴은 목걸이 줄에 설치되어 연결줄을 통해 표찰 케이스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권취릴은 표찰 케이스 자체에 내장되거나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목걸이 줄에는 권취릴에 권취된 연결줄과 연결하기 위해 별도의 연결부재가 사용된다. 전자의 경우는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10-0950450호에 개시되어 있고, 후자의 경우는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10-1181061호에 개시되어 있다.
권취릴을 사용하는 표찰 케이스에는 해결해야 할 몇 가지 문제들이 있다. 일례로 표찰 케이스가 인출 후 복귀하는 과정에서 전후면이 뒤바뀌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950450호에 의해 해결되었다. 이 특허는 본 출원인의 특허로서, 권취릴이 설치되는 인출장치와 표찰 케이스 사이에 2가닥 또는 그 이상의 연결줄을 사용하는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후, 시중에 판매되는 표찰 케이스들 중의 상당수에 2가닥의 연결줄이 적용되고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0-1181061호의 경우에도 2가닥의 연결줄을 사용하고 있다.
한편, 권취릴의 형태는 원형이므로, 권취릴에 감긴 연결줄은 권취릴에서 인출되거나 권취릴로 복귀할 때 비스듬한 각도를 이루게 된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0-0950450호의 도면 3이나 한국등록특허 제10-1181061호의 도면 5를 보면, 권취릴로부터 인출된 연결줄이 인출장치 또는 표찰 케이스의 통공을 통과할 때 비스듬한 각도로 통과함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연결줄의 인출/복귀 과정은 수없이 반복되므로 비스듬한 각도로 통공을 지나게 되면 연결줄이나 통공에 필연적으로 마모 현상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심한 경우, 연결줄이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고 표찰 케이스 자체를 못 쓰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표찰 케이스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50450호(2010년 4월 2일 공고) 한국등록특허 제10-1181061호(2012년 9월 7일 공고)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표찰 케이스에 사용되는 연결줄이나 통공의 마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그에 따라 표찰 케이스의 제품 수명을 늘리고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의 기술적 특징은 연결줄이 통공을 통과할 때 일직선 방향으로 통과하는 점이다. 이를 위해, 표찰 케이스는 통공과 일직선 방향에 배치된 가이드 핀을 구비한다. 즉, 권취릴에서 감긴 연결줄은 가이드 핀을 통해 통공과 일직선 방향으로 인출되거나 복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찰 케이스는 가이드 핀에 설치된 회전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회전부재는 가이드 핀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며, 연결줄은 회전부재를 지나게 된다. 따라서 회전부재는 연결줄이 인출되거나 복귀할 때 연결줄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마찰을 감소시킨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찰 케이스는 표찰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는 케이스 몸체; 상기 케이스 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권취릴; 상기 권취릴에 감기고 상기 통공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 몸체 밖으로 인출되는 연결줄; 및 상기 케이스 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권취릴로부터 인출된 상기 연결줄이 상기 통공을 일직선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연결줄의 인출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통공과 일직선 방향에 배치되는 가이드 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찰 케이스는 표찰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 몸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는 줄 인출장치; 상기 줄 인출장치 내부에 설치되는 권취릴; 상기 권취릴에 감기고 상기 통공을 통하여 상기 줄 인출장치 밖으로 인출되어 상기 케이스 몸체에 연결되는 연결줄; 및 상기 줄 인출장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권취릴로부터 인출된 상기 연결줄이 상기 통공을 일직선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연결줄의 인출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통공과 일직선 방향에 배치되는 가이드 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찰 케이스는 표찰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는 케이스 몸체; 상기 케이스 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권취릴; 상기 권취릴에 감기고 상기 통공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 몸체 밖으로 인출되는 연결줄; 및 상기 케이스 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줄이 상기 권취릴로부터 인출되거나 상기 권취릴로 복귀할 때 상기 연결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찰 케이스는 표찰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 몸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는 줄 인출장치; 상기 줄 인출장치 내부에 설치되는 권취릴; 상기 권취릴에 감기고 상기 통공을 통하여 상기 줄 인출장치 밖으로 인출되어 상기 케이스 몸체에 연결되는 연결줄; 및 상기 줄 인출장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줄이 상기 권취릴로부터 인출되거나 상기 권취릴로 복귀할 때 상기 연결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찰 케이스에 따르면, 가이드 핀을 통공과 일직선 방향에 배치함으로써 연결줄이 통공을 통과할 때의 마찰을 감소시키고 연결줄과 통공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찰 케이스에 따르면, 연결줄이 권취릴로부터 인출되거나 권취릴로 복귀할 때 연결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연결줄의 마찰을 감소시키고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표찰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찰 케이스가 인출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찰 케이스에서 표찰을 분리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찰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찰 케이스에 설치되는 회전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찰 케이스에서 가이드 핀과 회전부재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찰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하여 해석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 및 특징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매우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거나 본 발명과 직접 관련이 없는 사항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명확히 전달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첨부 도면을 통틀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기술 용어들 및 과학 용어들을 비롯하여 여기에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한편, 단수 형태로 기재되더라도,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표찰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찰 케이스가 인출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찰 케이스에서 표찰을 분리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찰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표찰 케이스(100)는 케이스 몸체(10)와 상단 커버(50)를 포함한다. 케이스 몸체(10)에는 사용자의 표찰(90)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단 커버(50)에는 사용자의 목에 걸기 위한 목걸이 줄(60)이 체결된다.
사용자는 목걸이 줄(60)을 목에 건 상태로 표찰 케이스(100)를 휴대할 수 있고, 휴대시 표찰 케이스(100)의 케이스 몸체(10)와 상단 커버(5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목걸이 줄(60)을 목에 건 상태에서 손으로 케이스 몸체(10)를 잡아당겨 상단 커버(50)와 분리할 수 있고, 손을 놓으면 케이스 몸체(10)는 다시 상단 커버(50)로 복귀한다. 이러한 인출/복귀 동작은 케이스 몸체(10) 내부에 설치된 권취릴(70)과 연결줄(65)에 의해 가능해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케이스 몸체(10)는 전면 케이스 몸체(20), 후면 케이스 몸체(30), 내부 케이스 몸체(40)로 형성된다. 케이스 몸체(10)에는 표찰(90)이 수납되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표찰(90)이 보이는 쪽을 전면, 반대쪽을 후면으로 지칭한다. 내부 케이스 몸체(40)는 전면 케이스 몸체(20)와 후면 케이스 몸체(30) 사이에 배치된다. 전면 케이스 몸체(20)와 내부 케이스 몸체(4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표찰(90)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다.
전면 케이스 몸체(20)는 수납공간에 수납된 표찰(90)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표찰 노출부(25)를 포함한다. 표찰 노출부(25)는 전면 케이스 몸체(20)의 일부가 제거된 개방 영역이다. 표찰 노출부(25)는 수납공간에 수납된 표찰(9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표찰(90)보다 다소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사용자는 표찰 노출부(25)를 통해 수납공간 내의 표찰(90)을 밀어 올려 빼낼 수 있다. 한편, 전면 케이스 몸체(20)의 상단에는 수납공간에 표찰(90)을 넣고 뺄 수 있도록 표찰 출입구(45)가 형성된다.
후면 케이스 몸체(30)는 내부 케이스 몸체(40)를 사이에 두고 전면 케이스 몸체(20)와 결합되어 케이스 몸체(10)의 외형을 형성한다. 후면 케이스 몸체(30)의 내측에는 권취릴 지지부(34)와 가이드 핀(35)이 설치된다. 또한, 후면 케이스 몸체(30)의 상단에는 제1 결합부(31)가 형성된다.
권취릴 지지부(34)에는 권취릴(70)이 결합된다. 권취릴(70)은 스프링을 내장하고 있으며 연결줄(65)을 권취한다. 사용자가 손으로 케이스 몸체(10)를 잡아당길 때 연결줄(65)은 권취릴(70)로부터 풀리며(인출되며), 사용자가 손을 놓으면 연결줄(65)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권취릴(70)에 다시 감긴다(복귀한다).
가이드 핀(35)에는 회전부재(80)가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회전부재(80)는 권취릴(70)에서 인출되는 연결줄(65)의 인출 방향을 가이드한다. 즉, 권취릴(70)에서 나온 연결줄(65)은 회전부재(80)를 돌아 인출된다. 가이드 핀(35)과 회전부재(80)에 관해서는 뒤에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제1 결합부(31)는 후술할 상단 커버(50)와 결합되는 부위이다. 제1 결합부(31)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33)을 구비하며 상부로 돌출된 결합돌기(32)를 구비한다. 통공(33)은 연결줄(65)이 통과하는 구멍이며, 연결줄(65)의 개수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2개의 연결줄(65)이 적용된 예이며, 그에 따라 제1 결합부(31)에도 2개의 통공(33)이 형성된다.
한편, 상단 커버(50)는 목걸이 줄(60)을 체결할 뿐만 아니라 연결줄(65)을 고정시킨다. 즉, 연결줄(65)은 한쪽 끝이 권취릴(70)에 고정된 후 권취릴(70)에 감기고 권취릴(70)로부터 인출된 후 가이드 핀(35)의 회전부재(80)를 돌아 제1 결합부(31)의 통공(33)을 통과하며 반대쪽 끝이 상단 커버(50)에 고정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연결줄(65)이 권취릴(70)의 스프링 힘에 의해 감긴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단 커버(50)가 케이스 몸체(10)에 결합된 상태에 있다. 만약 사용자가 케이스 몸체(10)를 잡아당기면, 연결줄(65)이 권취릴(70)로부터 풀리면서 상단 커버(50) 또한 케이스 몸체(10)와 분리된 상태에 있게 된다.
상단 커버(50)는 제2 결합부(51), 결합홈(52), 고정공(53)을 구비한다. 상단 커버(50)가 케이스 몸체(10)와 결합된 상태에 있을 때, 상단 커버(50)는 전술한 표찰 출입구(45)를 막게 되고 표찰(9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부(51)는 전술한 제1 결합부(31)와 맞닿는 부위이고, 결합홈(52)은 결합돌기(32)와 끼워 맞춰지는 부위이다. 결합홈(52)과 결합돌기(32)는 서로 형태가 바뀔 수도 있다. 고정공(53)은 연결줄(65)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연결줄(65)은 고정공(53)을 통해 상단 커버(50)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는 본 실시예처럼 2개의 연결줄(65)이 사용되는 경우, 연결줄(65)은 상단 커버(50) 내부에서 양쪽의 고정공(53)을 통해 배출된 후 최종적으로 권취릴(70)에 고정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이어서, 전술한 가이드 핀(35)과 회전부재(80)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가이드 핀(35)은 연결줄(65)이 통과하는 통공(33)과 일직선 방향에 배치된다. 즉, 권취릴(70)에 권취된 연결줄(65)이 권취릴(70)로부터 인출되어 통공(33)을 통과할 때 일직선으로 통과하도록 가이드 핀(35)이 연결줄(65)의 인출 방향을 가이드한다. 배경기술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권취릴(70)의 형태는 원형이므로, 통상적으로 연결줄(65)은 권취릴(70)에서 인출되거나 권취릴(70)로 복귀할 때 비스듬한 각도를 이루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가이드 핀(35)이 통공(33)과 일직선 방향에 배치되므로 연결줄(65)은 비스듬한 각도 없이 곧바르게 통공(33)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통공(33)과 연결줄(65)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가이드 핀(35)에 회전부재(8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회전부재(80)는 가이드 핀(35)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며, 연결줄(65)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을 한다. 따라서 회전부재(80)는 연결줄(65)이 인출되거나 복귀할 때 연결줄(65)에 의해 회전하면서 마찰을 최소화한다.
이어서, 도 7을 참조하여, 회전부재(80)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찰 케이스에 설치되는 회전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회전부재(80)는 상단부(81), 하단부(82), 중앙부(83)로 이루어지는 릴 형상을 가지며, 중심에 삽입구(84)가 형성된다. 삽입구(84)는 가이드 핀(35)에 삽입되는 부위이다. 상단부(81)와 하단부(82)는 각각 중앙부(83)에 비하여 바깥쪽으로 돌출된 형태이며, 중앙부(83)의 상대적으로 오목한 측면 부위에 연결줄(65)이 위치한다. 따라서 연결줄(65)은 고속으로 움직이더라도 회전부재(8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연결줄(65)과 접촉하는 회전부재(80)의 중앙부(83) 측면에는 연결줄(65)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윤활제(85)가 도포될 수 있다. 윤활제(85)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이황화몰리브덴, 아연, 석영 등과 같은 고체 윤활제 또는 그리스(greese), 광물 식물유, 유화유 등과 같은 액체 윤활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핀(35)과 회전부재(80)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이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찰 케이스에서 가이드 핀과 회전부재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과 도 9는 2개의 연결줄(65)이 사용됨에 따라 2개씩의 가이드 핀(35a, 35b)과 회전부재(80a, 80b)가 설치된 예를 보여준다. 또한, 도 10은 1개의 연결줄(65)이 사용됨에 따라 1개씩의 가이드 핀(35a)과 회전부재(80a)가 설치된 예를 보여준다. 또한, 도 10은 3개의 연결줄(65)이 사용됨에 따라 3개씩의 가이드 핀과 회전부재(80a, 80b, 80c)가 설치된 예를 보여준다. 이와 같이, 연결줄(65)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통공(33), 가이드 핀(35), 회전부재(80)의 개수가 결정된다.
또한, 가이드 핀(35)과 회전부재(80)는 연결줄(65)이 통공(33)을 일직선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통공(33)과 일직선 방향에 배치되기만 한다면, 그 배치나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가이드 핀(35)과 회전부재(8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33)을 기준으로 권취릴(70)의 뒤쪽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릴(70)의 앞쪽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이드 핀(35)과 회전부재(80)의 사용은 연결줄(65)과 통공(33)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마모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연결줄(65)의 엉킴을 방지할 수 있고 표찰 케이스(100) 내부의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가이드 핀(35)과 회전부재(80)는 권취릴(70)이 케이스 몸체(10)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줄 인출장치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이러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찰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표찰 케이스(100)는 케이스 몸체(10)와 줄 인출장치(200)를 포함한다. 케이스 몸체(10)에는 사용자의 표찰(90)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줄 인출장치(200)에는 케이스 몸체(10)에 연결되는 연결줄(265)이 내부에 권취되고, 사용자의 목에 걸기 위한 목걸이 줄(60)이 체결된다.
사용자는 목걸이 줄(60)을 목에 건 상태로 표찰 케이스(100)를 휴대할 수 있고, 휴대시 표찰 케이스 (100)의 케이스 몸체(10)가 줄 인출장치(200)에 연결된 상태에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줄 인출장치(200)는 전면 인출장치 몸체(210), 후면 인출장치 몸체(230), 연결구(240)로 형성된다. 줄 인출장치(200)는 케이스 몸체(10)와 연결되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케이스 몸체(10)에 수납된 표찰(90)이 보이는 쪽을 전면, 반대쪽을 후면으로 지칭한다.
전면 인출장치 몸체(210)는 연결줄(265)이 인출되는 전면 인출구(211)와 목걸이 줄(60)이 체결되는 줄 연결공(212)을 포함한다. 줄 연결공(212)은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며, 전면 인출장치 몸체(210)는 2개의 줄 연결공(212a, 212b)을 포함한다.
후면 인출장치 몸체(230)는 전면 인출장치 몸체(210)와 결합되어 외형을 형성한다. 후면 인출장치 몸체(230)는 전면 인출구(211)와 대향되는 위치에 후면 인출구(231)가 형성되어 가이드 부재(233)가 전면 인출구(211)와 후면 인출구(231) 사이에 결합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한다. 후면 인출장치 몸체(230)는 전면 인출장치 몸체(210)에 포함된 줄 연결공(212)과 대향하는 위치에 줄 연결공(232)이 형성되어 목걸이 줄(60)과 체결되는 구멍을 형성한다. 즉, 전면 인출장치 몸체(210)에 형성된 2개의 줄 연결공(212a, 212b)과 대향하는 위치에 줄 연결공(232a, 232b)이 배치된다. 후면 인출장치 몸체(230)의 내측에는 권취릴 지지부(234), 가이드 핀(235)이 설치된다.
권취릴 지지부(234)에는 권취릴(270)이 결합된다. 권취릴(70)은 스프링(271)을 내장하고 있으며 연결줄(265)을 권취한다. 연결줄(265)은 적어도 하나의 줄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2에서는 2개의 연결줄(265a, 265b)를 사용한다. 사용자가 손으로 케이스 몸체(10)를 잡아당길 때 연결줄(265)은 권취릴(270)로부터 풀리며(인출되며), 사용자가 손을 놓으면 연결줄(265)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권취릴(270)에 다시 감긴다(복귀한다).
가이드 핀(235)은 후면 인출구(231)와 결합된 가이드 부재(233)와 권취릴(270)이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가이드 부재(233)의 통공(233a, 233b)과 일직선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가이드 핀(235)는 연결줄(265)의 개수에 맞추어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권취릴(270)에서 권취된 2개의 연결줄(265a, 265b)이 권취릴(270)로부터 인출되어 통공(233a, 233b)을 통과할 때 일직선으로 통과하도록 2개의 가이드 핀(235a, 235b)이 2개의 연결줄(265a, 265b)의 인출 방향을 가이드한다.
가이드 핀(235)은 회전부재(28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회전부재(280)는 가이드 핀(235)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며, 연결줄(265)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을 한다. 따라서 회전부재(280)는 연결줄(265)이 인출되거나 복귀할 때 연결줄(265)에 의해 회전하면서 마찰을 최소화한다. 이때, 회전부재(280)는 가이드 핀(235)의 개수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2개의 회전부재(280a, 280b)는 각각 가이드 핀(235a, 235b)에 설치할 수 있다.
연결구(240)는 연결줄(265)이 연결 고정되는 상단 연결부(241), 고리(243)가 채워지는 관통공이 형성된 하단 연결부(242)로 구성되며, 고리(143)에는 표찰 케이스(10)와 연결되는 클립(244)이 연결된다. 연결구(240)는 표찰 케이스(10)와 줄 인출장치(200)를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표찰 케이스 10: 케이스 몸체
20: 전면 케이스 몸체 25: 표찰 노출부
30: 후면 케이스 몸체 31: 제1 결합부
32: 결합돌기 33, 233a, 233b: 통공
34, 234: 권취릴 지지부
35, 35a, 35b, 235, 235a, 235b: 가이드 핀
40: 내부 케이스 몸체 45: 표찰 출입구
50: 상단 커버 51: 제2 결합부
52: 결합홈 53: 고정공
60: 목걸이 줄 65, 265, 265a, 265b: 연결줄
70, 270: 권취릴
80, 80a, 80b, 80c, 280, 280a, 280b: 회전부재
81: 상단부 82: 하단부
83: 중앙부 84: 삽입구
85: 윤활제 90: 표찰
200: 줄 인출장치 210: 전면 인출장치 몸체
211: 전면 인출구
212, 212a, 212b, 232, 232a, 232b: 줄 연결공
230: 후면 인출장치 몸체 231: 후면 인출구
233: 가이드부재 240: 연결구
241: 상단 연결구 242: 하단 연결구
243: 고리 244: 클립
271: 스프링

Claims (11)

  1. 표찰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는 케이스 몸체;
    상기 케이스 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권취릴;
    상기 권취릴에 감기고 상기 통공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 몸체 밖으로 인출되는 연결줄;
    상기 케이스 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권취릴로부터 인출된 상기 연결줄이 상기 통공을 일직선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연결줄의 인출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통공과 일직선 방향에 배치되는 가이드 핀; 및
    상기 가이드 핀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며 상기 연결줄이 인출되거나 복귀할 때 상기 연결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재;
    을 포함하는 표찰 케이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몸체는 전면 케이스 몸체, 후면 케이스 몸체, 및 상기 전면 케이스 몸체와 상기 후면 케이스 몸체 사이에 배치되는 내부 케이스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공간은 상기 전면 케이스 몸체와 상기 내부 케이스 몸체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권취릴과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후면 케이스 몸체와 상기 내부 케이스 몸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찰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케이스 몸체는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상기 표찰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표찰 노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찰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몸체는 상기 수납공간에 상기 표찰을 넣고 빼기 위해 상단에 형성되는 표찰 출입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찰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목걸이 줄이 체결되고, 상기 케이스 몸체 밖으로 인출되는 상기 연결줄을 고정시키며, 상기 케이스 몸체의 상단에 결합될 때 상기 표찰 출입구를 막아 상기 표찰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단 커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찰 케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몸체는 상단에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상단 커버는 하단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 몸체와 상기 상단 커버가 결합될 때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홈은 끼워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찰 케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연결줄과 접하는 측면에 윤활제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찰 케이스.
  9. 표찰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 몸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는 줄 인출장치;
    상기 줄 인출장치 내부에 설치되는 권취릴;
    상기 권취릴에 감기고 상기 통공을 통하여 상기 줄 인출장치 밖으로 인출되어 상기 케이스 몸체에 연결되는 연결줄;
    상기 줄 인출장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권취릴로부터 인출된 상기 연결줄이 상기 통공을 일직선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연결줄의 인출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통공과 일직선 방향에 배치되는 가이드 핀; 및
    상기 가이드 핀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며 상기 연결줄이 인출되거나 복귀할 때 상기 연결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재;
    을 포함하는 표찰 케이스.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066190A 2016-05-30 2016-05-30 표찰 케이스 KR101843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190A KR101843864B1 (ko) 2016-05-30 2016-05-30 표찰 케이스
PCT/KR2017/005489 WO2017209450A1 (ko) 2016-05-30 2017-05-26 표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190A KR101843864B1 (ko) 2016-05-30 2016-05-30 표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012A KR20170135012A (ko) 2017-12-08
KR101843864B1 true KR101843864B1 (ko) 2018-03-30

Family

ID=60477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190A KR101843864B1 (ko) 2016-05-30 2016-05-30 표찰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43864B1 (ko)
WO (1) WO20172094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4500A (ko) 2022-06-21 2023-12-28 (주)티케이물산 표찰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235B1 (ko) * 2018-03-12 2019-10-16 프레임바이 주식회사 사원증 케이스
KR102080298B1 (ko) * 2019-09-26 2020-02-21 프레임바이 주식회사 사원증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896Y1 (ko) * 2005-04-25 2005-07-18 최동욱 접착 테이프
KR200419306Y1 (ko) * 2006-03-06 2006-06-20 김보영 표찰 케이스의 가이드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061B1 (ko) * 2010-11-25 2012-09-07 양재선 권취릴이 내장된 목걸이형 인식표
KR101285836B1 (ko) * 2011-07-04 2013-07-12 (주) 프렉코 표찰케이스
KR101699768B1 (ko) * 2014-07-02 2017-02-13 (주)상일씨앤씨 표찰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896Y1 (ko) * 2005-04-25 2005-07-18 최동욱 접착 테이프
KR200419306Y1 (ko) * 2006-03-06 2006-06-20 김보영 표찰 케이스의 가이드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4500A (ko) 2022-06-21 2023-12-28 (주)티케이물산 표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09450A1 (ko) 2017-12-07
KR20170135012A (ko) 2017-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864B1 (ko) 표찰 케이스
CN106873086B (zh) 具有受管理的连接性的光学组件
US6386906B1 (en) Cord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1181061B1 (ko) 권취릴이 내장된 목걸이형 인식표
AU2005227711A1 (en) Retaining end piece for a roll of wiping material that is disposed on a wiping material dispensing device
KR200417687Y1 (ko) 표찰 케이스용 가이드 릴 구조
US20120131844A1 (en) Leader storage device
US20060141855A1 (en) Cord management device
KR100950450B1 (ko) 표찰케이스용 줄 인출장치
KR101404022B1 (ko) 인출입 기능을 갖춘 명찰 케이스장치
US4586671A (en) Multiple strip dispenser
US6745971B1 (en) Spooling device for an optical fiber jumper cable
CN208533048U (zh) 编织机
US20160125712A1 (en) Security device
KR101166648B1 (ko) 목걸이형 인식표
US20140361111A1 (en) Fishing reel with fishhook hanger
TW440627B (en) Bobbin case for sewing machine
KR20240040828A (ko) 표찰 케이스
WO2017104915A1 (ko) 목걸이형 홀더
CN208520912U (zh) 万用表
KR20240072546A (ko) 명찰 케이스
KR101459274B1 (ko) 금속탐지가 되지 않는 표찰케이스용 릴홀더
KR200474786Y1 (ko) 신분증 케이스
KR200419306Y1 (ko) 표찰 케이스의 가이드구조
CN213401756U (zh) 一种伸缩网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