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9672A - 사진 프레임 - Google Patents

사진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9672A
KR20240039672A KR1020220118251A KR20220118251A KR20240039672A KR 20240039672 A KR20240039672 A KR 20240039672A KR 1020220118251 A KR1020220118251 A KR 1020220118251A KR 20220118251 A KR20220118251 A KR 20220118251A KR 20240039672 A KR20240039672 A KR 20240039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ibition
receiving groove
display
axis direction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8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치형
Original Assignee
안치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치형 filed Critical 안치형
Priority to KR1020220118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9672A/ko
Publication of KR20240039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96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2Supporting legs 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94Picture frames comprising means allowing the frame to be supported on a horizontal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2001/146Photograph stands comprising means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stand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사진 프레임이 제공된다. 사진 프레임은, 사진이 구비된 전시부재와, 전시부재의 Z축 반대방향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부재 및 전시부재의 Z축 방향 상부에 배치되고, 제1 부재의 Y축 반대방향 단부를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진 프레임{A picture frame}
본 발명은 사진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시부재를 보관함은 물론 전시할 수 있는 사진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정사진은 제사나 장례를 지낼 때, 위패 대신 쓰는 사람의 얼굴을 찍은 사진으로 빈소나 분향소에 모셔진다. 상기 영정사진은 통상 사각형의 액자에 넣고, 별도의 지지부재로 받쳐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영정사진을 받쳐 지지하는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17406호에 영정받침대가 공개된 바 있다. 이 종래기술은 기단의 전면에 란을 형성해 출생일자, 함자, 기제사일자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거나 별지에 기록해 붙일 수 있게 한것과 상면 전후에 협지편과 요홈을 형성해 장식물과 날개가 형성된 지지대를 착탈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영정사진을 받쳐 지지할 수는 있으나, 영정사진을 보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1740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시부재를 보관함은 물론 전시할 수 있는 사진 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프레임은, 사진이 구비된 전시부재와, 상기 전시부재의 Z축 반대방향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전시부재의 Z축 방향 상부에 배치되고, 제1 부재의 Y축 반대방향 단부를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전시부재의 하단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1 부재의 Z축 방향 상면에 Z축 반대방향으로 요입되는 제1 수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시부재의 상단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2 부재의 Z축 반대방향 하면에 Z축 방향으로 요입되는 제2 수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를 받쳐 지지하거나 상기 전시부재를 받쳐 지지하는 전시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시 안내부는, 상기 제1 부재의 Z축 반대방향 하면에 Z축 방향으로 요입된 전시 수용홈 및 상기 전시 수용홈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전시 안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시 안내부재는, 일면이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타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전시 안내몸체 및 상기 전시 안내몸체의 경사면에 내측으로 요입된 전시 안내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의 Z축 방향 상면과 상기 제2 부재의 Z축 반대방향 하면에 각각 내장된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프레임에 의하면, 전시부재를 보관함은 물론 전시할 수 있다.
또한, 전시부재의 각도를 조절하여 전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프레임의 입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프레임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프레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프레임의 입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프레임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프레임(100)은, 사진을 보관 및 전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전시부재(110), 제1 부재(120), 제2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시부재(110)는 사각 형상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시부재(110)는 사진이 인쇄되거나 사진이 부착된 판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전시부재(110)는 사진이 담겨진 액자일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전시부재(110)는 문구가 인쇄되거나 문자가 새겨진 판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시부재(110)를 보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보호부재는 사진 및 문구가 인쇄되거나 사진이 부착된 전시부재(110)의 전면에 배치되어 사진 및 문구를 보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보호부재는 투명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재(12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시부재(110)의 Z축 반대방향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재(120)는 제1 수용홈(121)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수용홈(121)은 제1 부재(120)의 Z축 방향 상면에 Z축 반대방향으로 요입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수용홈(121)의 깊이는 전시부재(110) 두께의 1/2 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용홈(121)은 전시부재(110)의 하단부를 수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부재(13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시부재(110)의 Z축 방향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부재(130)는 제1 부재(120)의 Y축 반대방향 단부를 중심으로 Z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부재(130)는 제2 수용홈(131)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수용홈(131)은 제2 부재(130)의 Z축 반대방향 하면에 Z축 방향으로 요입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수용홈(131)의 깊이는 전시부재(110)의 1/2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수용홈(131)은 전시부재(110)의 상단부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부재(130)는 문양조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문양조각부는 제2 부재(130)의 Z축 방향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부재(130)의 Z축 방향 상면에 용, 봉황 등과 같은 각종 문양이 조각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수용홈(131)의 내면에는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전시부재(110)의 전시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요철은 제2 부재(130)의 Z축 반대방향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사진 프레임(100)은 전시 안내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시 안내부(140)는 제1 부재(120)를 받쳐 지지하거나 전시부재(110)를 받쳐 지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시 안내부(140)는 전시 수용홈(141), 전시 안내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시 수용홈(141)은 제1 부재(120)의 Z축 반대방향 하면에 Z축 방향으로 요입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시 안내부재(142)는 전시 수용홈(141)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시 안내부재(142)는 전시 안내몸체(142a), 전시 안내홈(142b)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시 안내몸체(142a)는 사각 형상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시 안내몸체(142a)는 전시 수용홈(141)에 밀착되는 일면이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수평면 반대쪽의 타면은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경사면이 바닥면에 밀착되면, 제1 부재(120)는 경사면의 경사에 따라 기울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시 안내홈(142b)은 전시 안내몸체(142a)의 경사면에 내측으로 요입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시 안내홈(142b)에 전시부재(110)를 안착시켜 전시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사진 프레임(100)은 자석(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자석(150)은 제1 부재(120)의 Z축 방향 상면과 제2 부재(130)의 Z축 반대방향 하면에 각각 내장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사진 프레임(100)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전시부재(110)를 보관할 경우, 제2 부재(130)를 Z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부재(130)는 제1 부재(120)의 Y축 반대방향의 단부를 중심으로 Z축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제1 수용홈(121)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개방된 제1 수용홈(121)에 전시부재(110)를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전시부재(110)의 하단부는 제1 수용홈(121)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전시부재(110)가 제1 수용홈(121)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2 부재(130)를 Z축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부재(130)는 제1 부재(120)의 Y축 반대방향의 단부를 중심으로 Z축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2 수용홈(131)이 전시부재(110)의 상단부를 수용함과 동시에 제2 부재(130)의 하면이 제1 부재(120)의 상면에 밀착됨으로써 제1 부재(120) 및 제2 부재(130)가 전시부재(110)를 보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부재(130)의 하면이 제1 부재(120)의 상면에 밀착될 때, 제2 부재(130)의 하면과 제1 부재(120)의 상면에 배치된 각각의 자석(150)이 부착됨으로써 제2 부재(130)가 제1 부재(120)로부터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제1 부재(120)의 제1 수용홈(121) 및 제2 부재(130)의 제2 수용홈(131)에 보관된 전시부재(110)를 전시할 경우, 제1 부재(120)의 Y축 반대방향 단부를 중심으로 제2 부재(130)를 Z축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수용홈(121) 및 제2 수용홈(131)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전시부재(110)를 상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전시부재(110)는 전시부재(110)의 Y축 방향 단부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상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전시부재(110)가 상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제2 부재(130)를 하향으로 회전시켜 제2 수용홈(131)이 전시부재(110)의 상단부에 안착되면서 전시부재(110)를 지지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전시부재(110)를 바닥면에 설치하여 전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전시부재(110)의 전시각도는 제2 수용홈(131)에 형성된 다수의 요철 중 어느 요철에 전시부재(110)의 상단부가 안착됨에 따라 전시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제1 부재(120)의 수용홈 및 제2 부재(130)의 제2 수용홈(131)에 보관된 전시부재(110)를 전시할 경우, 제1 부재(120)의 Y축 반대방향 단부를 중심으로 제2 부재(130)를 Z축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수용홈(121) 및 제2 수용홈(131)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전시부재(110)를 제1 수용홈(121) 및 제2 수용홈(13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전시부재(110)가 제1 수용홈(121) 및 제2 수용홈(131)으로부터 분리되면, 제2 부재(130)를 Z축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부재(130)의 하면이 제1 부재(12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제2 부재(130)의 하면과 제1 부재(120)의 상면에 배치된 각각의 자석(150)이 부착됨으로써 제2 부재(130)가 제1 부로부터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석(150)에 의해 부착된 제2 부재(130)와 제1 부재(120)를 상향으로 90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전시 안내부재(142)를 전시 수용홈(141)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전시 안내몸체(142a)는 전시 수용홈(141)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1 부재(120)와 직교되도록 배치되고, 전시 안내몸체(142a)가 제1 부재(120)와 직교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전시 안내부재(142)의 전시 안내홈(142b)에 전시부재(110)를 안착시키고, 바닥면에 설치하여 전시부재(110)를 전시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제1 부재(120)의 수용홈 및 제2 부재(130)의 제2 수용홈(131)에 보관된 전시부재(110)를 전시할 경우, 전시 안내부재(142)를 전시 수용홈(141)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전시 안내몸체(142a)는 전시 수용홈(141)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1 부재(120)와 직교되도록 배치되고, 전시 안내몸체(142a)가 제1 부재(120)와 직교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전시 안내몸체(142a)를 바닥면에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전시 안내몸체(142a)의 경사면이 바닥면에 설치되므로 제1 부재(120)를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120)의 Y축 반대방향 단부를 중심으로 제2 부재(130)를 Z축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수용홈(121) 및 제2 수용홈(131)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전시부재(110)를 상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전시부재(110)가 Y축 방향 단부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상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제2 부재(130)를 하향으로 회전시켜 제2 수용홈(131)이 전시부재(110)의 상단부에 안착되면서 전시부재(110)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전시부재(110)의 전시각도는 제2 수용홈(131)에 형성된 다수의 요철 중 어느 요철에 전시부재(110)의 상단부가 안착됨에 따라 전시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사진 프레임
110: 전시부재
120: 제1 부재
121: 제1 수용홈
130: 제2 부재
131: 제2 수용홈
140: 전시 안내부
141: 전시 수용홈
142: 전시 안내부재
142a: 전시 안내몸체
142b: 전시 안내홈
150: 자석

Claims (7)

  1. 사진이 구비된 전시부재;
    상기 전시부재의 Z축 반대방향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전시부재의 Z축 방향 상부에 배치되고, 제1 부재의 Y축 반대방향 단부를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사진 프레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부재의 하단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1 부재의 Z축 방향 상면에 Z축 반대방향으로 요입되는 제1 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사진 프레임.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부재의 상단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2 부재의 Z축 반대방향 하면에 Z축 방향으로 요입되는 제2 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사진 프레임.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를 받쳐 지지하거나 상기 전시부재를 받쳐 지지하는 전시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사진 프레임.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 안내부는,
    상기 제1 부재의 Z축 반대방향 하면에 Z축 방향으로 요입된 전시 수용홈; 및
    상기 전시 수용홈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전시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사진 프레임.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 안내부재는,
    일면이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타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전시 안내몸체; 및
    상기 전시 안내몸체의 경사면에 내측으로 요입된 전시 안내홈을 포함하는 사진 프레임.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Z축 방향 상면과 상기 제2 부재의 Z축 반대방향 하면에 각각 내장된 자석을 포함하는 사진 프레임.
KR1020220118251A 2022-09-20 2022-09-20 사진 프레임 KR202400396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251A KR20240039672A (ko) 2022-09-20 2022-09-20 사진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251A KR20240039672A (ko) 2022-09-20 2022-09-20 사진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9672A true KR20240039672A (ko) 2024-03-27

Family

ID=90480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8251A KR20240039672A (ko) 2022-09-20 2022-09-20 사진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967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406U (ko) 1998-12-04 1999-05-25 황만택 자동차 전방측면 및 후방측면 조명용 보조전조등과 보조미등이장착된 자동차 외부후사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406U (ko) 1998-12-04 1999-05-25 황만택 자동차 전방측면 및 후방측면 조명용 보조전조등과 보조미등이장착된 자동차 외부후사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99848A (en) Burial urn
KR20240039672A (ko) 사진 프레임
JP2006334000A (ja) 収納容器付き額縁
US20130236862A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genealogy information
US20160221380A1 (en) Multiple-Layered Inlay Stencils
US4070782A (en) Desk ornament
JP3243508U (ja) 缶バッジスタンド
CN207425164U (zh) 动画播放机及用以组成动画播放机的纸板
JP3093980U (ja) アルバム用額
US2957262A (en) Picture ensemble
JP3246625U (ja)
CN215987689U (zh) 一种音乐教学使用的展示装置
JP2020193548A (ja)
JPH0649259Y2 (ja) 写真スタンド
KR200389949Y1 (ko) 회전식 장식대
CN207140650U (zh) 一种装饰品
JP6145463B2 (ja) ゲーム装置
JP3098187U (ja) 置き軸式本尊
ATE216204T1 (de) Kassette zum aufbewahren und präsentieren von gegenständen
JP6831131B1 (ja) 飾り物収容箱
JPH09154707A (ja) 御札、破魔矢類の飾り用具
JP2561553Y2 (ja) 額 縁
US8123029B2 (en) Baby tooth album
TWM615960U (zh) 飾幣盒與展示架之結合結構
KR20210057371A (ko) 사진 및 퍼즐용 포장 케이스를 이용한 케이스 겸용 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