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949Y1 - 회전식 장식대 - Google Patents

회전식 장식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949Y1
KR200389949Y1 KR20-2005-0012479U KR20050012479U KR200389949Y1 KR 200389949 Y1 KR200389949 Y1 KR 200389949Y1 KR 20050012479 U KR20050012479 U KR 20050012479U KR 200389949 Y1 KR200389949 Y1 KR 2003899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s
frame
pai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4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케이에스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케이에스상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케이에스상사
Priority to KR20-2005-00124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9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9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9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식 장식대에 관한 것으로, 회전판의 양면을 모두 사용하여 장식 대상물을 생동감 있게 장식할 수 있고 장식 대상물의 교체가 용이한 회전식 장식대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프레임의 내주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회전축이 각각 돌설되고, 상기 프레임의 저면의 양측에 제 1 고정부재가 설치된 지지대와; 한쌍의 판 각각의 서로 대응하는 다수의 위치에 상기 한쌍의 판을 고정시키는 제 2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각 판의 외주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회전축에 끼워 맞추어지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판중 적어도 하나의 중앙에 표시부가 천공되고, 상기 표시부의 외주면에 장식 대상물을 고정하는 고정턱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판과; 상기 지지대의 저면과 당접하는 오목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양측에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제 1 고정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3 고정부재가 설치된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은 장식 대상물의 양면을 사용한 입체감을 얻을 수 있고, 장식 대상물의 교체가 용이하며, 보관이 간편하고, 카드 또는 그림을 함께 장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회전식 장식대{Rotational ornament}
본 고안은 회전식 장식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판의 중앙에 표시부를 형성하고 코인 또는 주화 등을 장식하여 생동감 있게 대상물을 장식할 수 있고, 자석을 이용하여 회전판을 고정하여 장식 대상물의 교체가 용이한 회전식 장식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진이나 소형의 장신구를 장식하기 위하여 소형의 장식대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장식대의 구조는 불투명 재질로 형성된 하나의 판과 투명 재질로 형성된 다른 하나의 판으로 구성되는데, 장식 대상물은 상기 한쌍의 판사이에 삽입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장식대는 장식 대상물이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판을 통하여 장식되므로 사진 및 카드와 같은 대상물의 장식은 용이하지만, 주화와 같이 부피를 갖는 대상물에 대해서는 생동감이 있는 장식은 곤란하다.
또한, 한면만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장식하기 때문에 양면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사용성이 제한된다.
또한, 한쌍의 판을 고정하기 위하여 다수의 위치에 나사와 같은 체결구를 사용하고 있어 대상물의 교체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한쌍의 판으로 구성된 회전판이 지지대에 회전가능하여 연결되어 회전판의 양면을 모두 사용하여 장식 대상물을 생동감 있게 장식할 수 있고 자석을 사용하여 회전판을 고정하여 장식 대상물의 교체가 용이한 회전식 장식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프레임의 내주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회전축이 각각 돌설되고, 상기 프레임의 저면의 양측에 제 1 고정부재가 설치된 지지대와; 한쌍의 판 각각의 서로 대응하는 다수의 위치에 상기 한쌍의 판을 고정시키는 제 2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각 판의 외주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회전축에 끼워 맞추어지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판중 적어도 하나의 중앙에 표시부가 천공되고, 상기 표시부의 외주면에 장식 대상물을 고정하는 고정턱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판과; 상기 지지대의 저면과 당접하는 오목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양측에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제 1 고정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3 고정부재가 설치된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2 양태에 따른 회전식 장식대는 프레임의 내주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회전축이 각각 돌설되고, 상기 프레임의 저면의 양측에 제 1 고정부재가 설치된 지지대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한쌍의 판 각각의 서로 대응하는 다수의 위치에 상기 한쌍의 판을 고정시키는 제 2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각 판의 외주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회전축에 끼워 맞추어지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판과; 상기 지지대의 저면과 당접하는 오목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양측에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제 1 고정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3 고정부재가 설치된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3 양태에 따른 회전식 장식대는 프레임의 내주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회전축이 각각 돌설되고, 상기 프레임의 저면의 양측에 제 1 고정부재가 설치된 지지대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한쌍의 판 각각의 서로 대응하는 다수의 위치에 상기 한쌍의 판을 고정시키는 제 2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판 사이에 삽입되는 제 3 판의 중앙에 표시부가 천공되며, 상기 제 3 판의 외주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회전축에 끼워 맞추어지는 요(凹)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판에 설치된 제 2 고정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4 고정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판과; 상기 지지대의 저면과 당접하는 오목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양측에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제 1 고정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3 고정부재가 설치된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4 양태에 따른 회전식 장식대는 프레임의 내주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회전축이 각각 돌설되고, 상기 프레임의 저면의 양측에 제 1 고정부재가 설치된 지지대와; 한쌍의 판 각각의 서로 대응하는 다수의 위치에 상기 한쌍의 판을 고정시키는 제 2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각 판의 외주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회전축에 끼워 맞추어지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판중 적어도 하나의 중앙에 표시부가 천공되고, 상기 표시부의 외주면에 장식 대상물을 고정하는 고정턱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와 상기 받침대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은 그 외주면이 각형, 원형 또는 곡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는 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판은 상기 한쌍의 판중 적어도 하나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의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장식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지지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회전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회전식 장식대(10)는 사각형상의 프레임(202)으로 구성된 지지대(200)와, 지지대(20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판(300)과, 지지대(200)의 저면을 받치는 받침대(400)로 구성된다.
지지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프레임(202)의 상부와 하부의 중앙에 회전축(204)이 돌설되고, 프레임(202)의 저면 양측에 제 1 자석(206)이 매설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축(204)이 사각형상의 프레임(202)의 상부와 하부의 중앙에 돌설되었지만, 프레임(202)의 내주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 예를 들면, 프레임(202) 좌우측부의 중앙 또는 프레임(202)의 대각선 모서리의 위치에 돌설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레임(202) 내에서 회전판(300)이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판(300) 및 프레임(202)의 내주면은 원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판(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한쌍의 판(310,320)으로 이루어지되, 각 판(310,320)은 서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대응하는 다수의 위치에 제 2 자석(324)이 매설되는데, 예를 들면, 사각형상의 각 판(310,320)의 네 모서리 부분에 제 2 자석(324)이 매설된다.
또한, 회전판(300)은 지지대(200)의 회전축(204)에 회전판(300)이 끼워맞춰지도록 각 판(310,320)의 상단과 하단의 중앙에 홈부(322)가 형성되며, 한쌍의 판(310,320) 각각의 중앙에 코인 또는 주화와 같은 장식 대상물을 삽입하기 위한 표시부(326)가 천공된다.
표시부(326)는 각 판(310,32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제 2 자석(324)이 매설되는 면의 반대측면에 장식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턱(328)이 형성된다.
장식 대상물은 한쌍의 판(310,320)의 표시부(326)에 삽입되고, 제 2 자석(324)에 의해 각 판(310,320)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판(310,320)을 고정하기 위하여 각각의 대응하는 위치에 제 2 자석(324)을 매설하였지만, 제 2 자석(324)이 매설되는 위치에 홀을 형성하고, 홀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한쌍의 각 판(310,320)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나사와 같은 체결구를 사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회전판(300)은 지지대(200)의 내부, 즉, 회전판(300)의 홈부(322)가 지지대(200)의 회전축(204)에 끼워맞춰짐으로써 회전판(300)이 지지대(200)의 내부에서 회전된다.
받침대(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에 지지대(200)의 저면과 당접하도록 오목부(404)가 형성되고, 오목부(404)의 양측에 프레임(202)에 설치된 제 1 자석(206)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3 자석(402)이 매설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대(200)의 저면에 제 1 자석(206)을 매설하고 이에 대응하는 받침대(400)의 위치에 제 3 자석(402)을 매설하여 지지대(200)가 받침대(400)에 고정되었지만, 지지대(200)의 제 1 자석(206)이 매설되는 위치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받침대(400)의 제 3 자석(402)이 매립되는 위치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상기 오목부가 돌출부에 끼워맞춰짐으로써, 지지대가 받침대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대(200)와 받침대(400)가 분리형으로 구성되었지만, 지지대(200)의 저면과 받침대(400)의 오목부(404)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회전판(300), 지지대(200), 받침대(400)는 목재, 플라스틱, 금속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지지대(200)는 사각형상의 프레임(202)을 사용하였으나, 프레임(202)의 형상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형, 각형, 또는 곡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받침대(400) 및 오목부(404)의 형상도 그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도 5a는 도 1의 지지대의 제 1 변형예의 정면도이고, 도 5b는 도 1의 받침대의 제 1 변형예의 정면도이며, 도 5b는 도 1의 지지대의 제 2 변형예의 정면도이다.
도 1의 지지대(200)의 제 1 변형예인 지지대(22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상의 외주면과 사각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프레임(222)으로 이루어지되, 프레임(222)의 내주면의 상부와 하부의 중앙에 회전판(300)이 끼워맞춰지는 회전축(224)이 돌설되고, 프레임(222)의 저면의 일부에 제 1 자석(226)이 매설된다.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00)의 제 2 변형예인 지지대(240)는 원형상의 외주면과 원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프레임(242)으로 이루어지되, 프레임(242)의 내주면의 상부와 하부의 중앙에 회전판(300)이 끼워맞춰지는 회전축(244)이 돌설되고, 프레임(242)의 저면의 일부에 제 1 자석(246)이 매설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지지대(200)의 변형예에 따른 지지대(220,240)를 받치기 위하여 받침대(400) 및 오목부(404)도 변형될 수 있다.
받침대(400)의 제 1 변형예인 받침대(42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에 지지대(220,240)의 저면, 즉, 원형상의 프레임(222,242)의 외주면과 당접하도록 오목부(424)가 형성되고, 오목부(424)의 일부, 예를 들면, 원형상의 프레임(222,242)에 설치된 제 1 자석(226,246)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3 자석(422)이 매설된다.
도 6a는 도 1의 지지대의 제 2 변형예의 정면도이고, 도 6b는 도 1의 받침대의 제 3 변형예의 정면도이다.
도 1의 지지대(200)의 제 3 변형예인 지지대(26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상의 내주면과 하트형상의 외주면을 갖는 프레임(262)으로 이루어지되, 프레임(262)의 내주면의 상부와 하부의 중앙에 회전판(300)이 끼워맞춰지는 회전축(264)이 돌설되고, 프레임(262)의 저면의 일부에 제 1 자석(266)이 매설된다.
이와 같은 지지대(200)의 변형예에 따른 지지대(260)를 받치기 위하여 받침대(400) 및 오목부(404)도 변형될 수 있다.
받침대(400)의 제 2 변형예인 받침대(44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에 지지대(260)의 저면, 즉, 하트형상의 프레임(262)의 외주면과 당접하도록 오목부(444)가 형성되고, 오목부(444)의 일부, 예를 들면, 프레임(262)에 설치된 제 1 자석(266)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3 자석(442)이 매설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장식대의 지지대의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장식대는 받침대(400,420,440)가 필요없는 회전식 장식대로서, 지지대(280)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 즉, 회전판(30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장식대(10)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지지대(28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상의 내주면과 원형상의 외주면을 갖는 프레임(282)으로 이루어지되, 프레임(282)의 내주면의 상부와 하부의 중앙에 회전판(300)이 끼워맞춰지는 회전축(284)이 돌설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장식대는 별도의 받침대가 필요없이 지지대(280)의 저면을 책상과 같은 바닥면에 놓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대(280)의 반원형상의 프레임(282)을 사용하였으나, 프레임(282)의 형상은 받침대를 사용할 필요가 없도록 그 저면이 평평한 평면으로 구성되고, 저면을 제외한 프레임(282)의 외주면의 형상은 각형, 곡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장식대의 회전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장식대는 회전판(302)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가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장식대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회전판(302)은 한쌍의 판(330,340)으로 이루어지되, 제 1 판(330)은 아크릴과 같은 투명 재질로 구성되고, 제 2 판(340)은 목재, 플라스틱, 금속과 같은 불투명 재질로 구성된다.
또한, 회전판(30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00)의 회전축(204)에 회전판(302)이 끼워맞춰지도록 각 판(330,340)의 상단과 하단의 중앙에 홈부(342)가 형성된다.
각 판(330,340)은 서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대응하는 다수의 위치에 제 2 자석(344)이 매설되는데, 예를 들면, 사각형상의 각 판(330,340)의 네 모서리 부분에 제 2 자석(344)이 매설된다.
제 2 판(340)은 그 중앙에 코인 또는 주화와 같은 대상물을 삽입하기 위한 표시부(346)가 천공된다.
표시부(346)는 제 2 판(34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제 2 자석(344)이 매설되는 면의 반대측면에 장식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턱(348)이 형성된다.
장식 대상물은 제 2 판(340)의 표시부(346)에 삽입되고, 제 2 자석(344)에 의해 각 판(330,340)이 고정된다.
또한, 한쌍의 각 판(320,340) 사이에 장식물에 대한 설명서 또는 사진 등을 삽입함으로써, 표시부(346)에는 장식 대상물을 표시하고, 뒤면, 즉 투명한 재질로 구성된 제 1 판(330)에는 장식물에 대한 설명서 등의 그림 또는 카드를 장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판(302)의 제 2 판(340)만을 투명 재질로 사용하였지만, 양면에 그림 또는 카드와 같은 장식 대상물을 장식하기 위하여 한쌍의 판 모두를 투명한 재질로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장식대의 회전판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장식대는 회전판(370)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가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장식대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회전판(370)은 하나의 판으로 이루어지되, 지지대(200)의 회전축(204)에 회전판(370)이 끼워맞춰지도록 그 상단과 하단의 중앙에 홈부(372)가 형성되며, 그 중앙에 코인 또는 주화와 같은 대상물을 삽입하기 위한 표시부(376)가 형성된다.
표시부(376)는 회전판(37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 장식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턱(37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회전판(370)은 장식 대상물을 고정턱(378)을 통하여 표시부(376)로 삽입하고, 홈부(372)를 지지대(200)의 회전축(204)에 끼워맞춤으로써, 지지대(200) 내부에서 장식 대상물이 표시되는 회전판(370)이 회전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장식대의 회전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장식대는 회전판(304)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가 제 1 실시예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장식대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회전판(304)은 한쌍의 판(350,360) 모두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되, 지지대(200)의 회전축(204)에 회전판(370)이 끼워맞춰지도록 그 상단과 하단의 중앙에 홈부(372)가 형성된다.
각 판(350,360)은 서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대응하는 다수의 위치에 제 2 자석(354,364)이 매설되는데, 예를 들면, 사각형상의 각 판(350,360)의 네 모서리 부분에 제 2 자석(354,364)이 매설된다.
이와 같은 회전판(304)은 한쌍의 판(350,360) 모두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므로, 양면을 사용하여 다양한 그림 또는 카드와 같은 대상물을 장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회전판(304)은 투명 재질로 구성된 한쌍의 판(350,360)을 사용하였지만, 본 고안의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의 회전판과 같이 주화 또는 코인 등의 대상물을 장식하기 용이하도록, 후술하는 바와 같이, 투명 재질로 구성된 한쌍의 판 사이에 중앙이 천공된 제 3 판을 추가로 삽입하도록 변형될 수도 있다.
도 11은 도 10의 회전판의 제 1 변형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의 회전판(304)의 제 1 변형예인 회전판(306)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재질로 구성된 한쌍의 판(390,391) 사이에 중앙이 천공된 제 3 판(380)을 삽입된다.
회전판(306)은 투명 재질로 구성된 한쌍의 판(390,391) 사이에 삽입되는 제 3 판(380)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가 제 5 실시예에 따른 회전판(304)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판(380)은 목재, 금속,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되, 지지대(200)의 회전축(204)에 회전판(306)이 끼워맞춰지도록 그 상단과 하단의 중앙에 요(凹)부(372)가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 코인 또는 주화와 같은 장식 대상물을 삽입하기 위한 표시부(386)가 천공된다.
또한, 제 3 판은(380)은 한쌍의 판(390,391)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대응하는 다수의 위치에 제 4 자석(384)이 매설되는데, 예를 들면, 사각형상의 제 3 판(380)의 네 모서리 부분에 제 4 자석(384)이 매설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제 3 판(380)을 불투명 재질로 구성하였지만, 투명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회전판(306)은 한쌍의 판(390,391) 모두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므로, 양면을 사용하여 코인 또는 주화와 같은 장식 대상물과 그림 또는 카드와 같은 장식 대상물을 동시에 장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 및 변형예에서는 회전축이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의 중앙에 돌설되었지만, 프레임의 내주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 예를 들면, 프레임 좌우측부의 중앙 또는 프레임의 대각선 모서리의 위치에 돌설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레임 내에서 회전판이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판 및 프레임의 내주면은 원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 및 변형예에서는 한쌍의 판을 고정하기 위하여 각각의 대응하는 위치에 제 2 자석을 매설하였지만, 제 2 자석이 매설되는 위치에 홀을 형성하고, 홀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한쌍의 각 판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나사와 같은 체결구를 사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 및 변형예에서는 사각형상의 프레임을 사용하였으나, 프레임의 형상은 원형, 각형, 또는 곡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받침대 및 오목부의 형상도 그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 및 변형예에서는 지지대와 받침대가 분리형으로 구성되었지만, 지지대의 저면과 받침대의 오목부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장식대는 한쌍의 판에 표시구를 천공하여 장식 대상물을 삽입한 회전판이 지지대의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장식 대상물의 양면을 사용한 입체감과 생동감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한쌍의 판을 자석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장식 대상물의 교체가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은 지지대와 받침대를 자석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분리가 가능하여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하다.
또한, 본 고안은 회전판을 구성하는 한쌍의 판중 적어도 하나를 투명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대상물의 장식과 함께, 그에 대한 사용설명서 또는 그림을 삽입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장식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지지대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회전판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받침대의 사시도.
도 5a는 도 1의 지지대의 제 1 변형예의 정면도.
도 5b는 도 1의 받침대의 제 1 변형예의 정면도.
도 5b는 도 1의 지지대의 제 2 변형예의 정면도.
도 6a는 도 1의 지지대의 제 2 변형예의 정면도.
도 6b는 도 1의 받침대의 제 3 변형예의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장식대의 지지대의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장식대의 회전판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장식대의 회전판의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장식대의 회전판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회전판의 제 1 변형예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회전식 장식대 200 : 지지대
202 : 프레임 204 : 회전축
206 : 제 1 자석 300 : 회전판
322 : 홈부 324 : 제 2 자석
326 : 표시부 328 : 고정턱
400 : 받침대 402 : 제 3 자석
404 : 오목부

Claims (8)

  1. 프레임의 내주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회전축이 각각 돌설되고, 상기 프레임의 저면의 양측에 제 1 고정부재가 설치된 지지대와;
    한쌍의 판 각각의 서로 대응하는 다수의 위치에 상기 한쌍의 판을 고정시키는 제 2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각 판의 외주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회전축에 끼워 맞추어지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판중 적어도 하나의 중앙에 표시부가 천공되고, 상기 표시부의 외주면에 장식 대상물을 고정하는 고정턱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판과;
    상기 지지대의 저면과 당접하는 오목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양측에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제 1 고정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3 고정부재가 설치된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장식대.
  2. 프레임의 내주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회전축이 각각 돌설되고, 상기 프레임의 저면의 양측에 제 1 고정부재가 설치된 지지대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한쌍의 판 각각의 서로 대응하는 다수의 위치에 상기 한쌍의 판을 고정시키는 제 2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각 판의 외주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회전축에 끼워 맞추어지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판과;
    상기 지지대의 저면과 당접하는 오목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양측에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제 1 고정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3 고정부재가 설치된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장식대.
  3. 프레임의 내주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회전축이 각각 돌설되고, 상기 프레임의 저면의 양측에 제 1 고정부재가 설치된 지지대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한쌍의 판 각각의 서로 대응하는 다수의 위치에 상기 한쌍의 판을 고정시키는 제 2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판 사이에 삽입되는 제 3 판의 중앙에 표시부가 천공되며, 상기 제 3 판의 외주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회전축에 끼워 맞추어지는 요(凹)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판에 설치된 제 2 고정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4 고정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판과;
    상기 지지대의 저면과 당접하는 오목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양측에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제 1 고정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3 고정부재가 설치된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장식대.
  4. 프레임의 내주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회전축이 각각 돌설되고, 상기 프레임의 저면의 양측에 제 1 고정부재가 설치된 지지대와;
    한쌍의 판 각각의 서로 대응하는 다수의 위치에 상기 한쌍의 판을 고정시키는 제 2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각 판의 외주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회전축에 끼워 맞추어지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판중 적어도 하나의 중앙에 표시부가 천공되고, 상기 표시부의 외주면에 장식 대상물을 고정하는 고정턱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장식대.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와 상기 받침대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장식대.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그 외주면이 각형, 원형 또는 곡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장식대.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장식대.
  8.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한쌍의 판중 적어도 하나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장식대.
KR20-2005-0012479U 2005-05-03 2005-05-03 회전식 장식대 KR2003899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479U KR200389949Y1 (ko) 2005-05-03 2005-05-03 회전식 장식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479U KR200389949Y1 (ko) 2005-05-03 2005-05-03 회전식 장식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949Y1 true KR200389949Y1 (ko) 2005-07-18

Family

ID=43691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479U KR200389949Y1 (ko) 2005-05-03 2005-05-03 회전식 장식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94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847B1 (ko) 2008-09-10 2010-10-13 박헌경 자석의 자력으로 회전하는 원구체 조형물
KR101595186B1 (ko) * 2014-09-25 2016-02-18 이민중 장식품 거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847B1 (ko) 2008-09-10 2010-10-13 박헌경 자석의 자력으로 회전하는 원구체 조형물
KR101595186B1 (ko) * 2014-09-25 2016-02-18 이민중 장식품 거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6914B1 (en) Transparent cube having picture displaying function
CA2374103C (en) Display frame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20170084208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Visual Features
US8181377B2 (en) Display devices and methods of displaying objects
CN201375291Y (zh) 组合式相框
KR200389949Y1 (ko) 회전식 장식대
KR20120013855A (ko) 자력착탈식 액자
KR200185080Y1 (ko) 탁상용 회전식 입체형 액자
KR200360921Y1 (ko) 액자형 벽걸이 시계
KR20160116374A (ko) 퍼즐 달력
US11229303B2 (en) Modular, multi-function frame system
KR200386392Y1 (ko) 액자
KR200274921Y1 (ko) 사진 진열 기능이 부가된 장롱
KR102200504B1 (ko) 폴더블 액자
KR200188498Y1 (ko) 장식용 사진틀 액자
KR200268479Y1 (ko) 액자가 부설된 보석함
KR200260311Y1 (ko) 다용도 고정 프레임
KR200376558Y1 (ko) 시계 또는 액자로 사용할 수 있는 프레임
KR20150118286A (ko) 양면으로 사진이 전시되어 회전되는 액자
JP3120374U (ja) 時計
JP3106554U (ja) 媒体表示用ボード
KR101595186B1 (ko) 장식품 거치장치
KR200334905Y1 (ko) 액자에 사용하기 위하여 자석을 구비하는 연결구
JP3104479U (ja)
JP3100542U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