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479Y1 - 액자가 부설된 보석함 - Google Patents

액자가 부설된 보석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479Y1
KR200268479Y1 KR2020010039527U KR20010039527U KR200268479Y1 KR 200268479 Y1 KR200268479 Y1 KR 200268479Y1 KR 2020010039527 U KR2020010039527 U KR 2020010039527U KR 20010039527 U KR20010039527 U KR 20010039527U KR 200268479 Y1 KR200268479 Y1 KR 2002684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lid
jewelry
cover
jewelry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5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수
Original Assignee
김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수 filed Critical 김한수
Priority to KR20200100395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4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4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479Y1/ko

Link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자가 부설된 보석함에 관한 것이다.
특히, 몸체와 뚜껑으로 이루어져 상기 뚜껑이 경첩에 의해 회동 가능토록 설치되고 상기 몸체 내측에 보석을 보관하는 수납부를 갖는 보석함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모서리에 제1자석이 각각 삽입 설치되는 보석함과,상기 제1자석과 결합되는 제2자석이 삽입되고 상기 보석함에 적층되는 커버와, 커버에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3자석이 설치되는 투명판넬로 구성되어 진다.
이에따라, 보석함에 미려함을 제공하고 사진의 교체시 다른 도구의 도움없이 교체가 용이토록 하는 액자가 부설된 보석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자가 부설된 보석함{jewel box which is affixed to frame}
본 고안은 액자가 부설된 보석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가장자리에 자석이 삽입되는 투명판넬과, 상기 투명판넬의 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른 극성의 자석이 설치되고 중앙부에 사진이 장착되는 커버와, 보석함 몸체와 경첩으로 연결되는 뚜껑으로 구성되는 액자가 부설된 보석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석함은 작은 크기의 목걸이, 귀걸이, 반지와 같은 귀중품을 수납하여 보관하다가 필요할 때 귀중품을 꺼내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1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석함은 보석을 수납할 수 있는 몸체(12)와 이 몸체(12)와 연결되어 보석을 보호하고 수납하는 커버(11)로 구성되어 지며, 커버(11)의 표면에 단순한 캐릭터나 일정형상을 갖는 디지인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보석함은 커버(11)의 표면에 형성된 캐릭터나 일정형상을 갖는 디자인이 커버(11)에 일체로 형성되어 캐릭터나 디자인의 교체가 불가능하므로 장기간 사용시 싫증이 유발되며, 획일화된 모양으로 구성되어 독특한 개성을 바라는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하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종래의 액자는 원형 형태 혹은 사각 형태 등 여러가지 형태를 가지며, 가족 이나 연인 혹은 동물들의 사진등을 투명판넬(14)과 뒷판부(16) 사이에 넣어 미적인 효과를 주는데 사용하여 왔다.
도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자는 사진을 투영하는 투명판넬(14)이 중앙으로 삽입되는 액자틀(13)과, 사진을 장착하여 고정하는 뒷판부(16)및, 이 뒷판부(16)를 지지하는 받침대(15)로 구성되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액자에서 사진을 교체시 상기 받침대(15)에 의해 지지되는 뒷판부(16)를 액자틀(13)과의 나사결합에서 분리한 후 사진을 교체하고, 다시 분리시에는 역순으로 결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고, 사진을 교체하는데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액자의 사진의 교체시 투명판넬과 커버에 극성이 다른 자석을 각각 설치함으로서 별도의 도구 없이 용이하게 사진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단순한 무늬나 디자인 대신 연인이나 가족의 사진을 커버에 부착하여 미려함을 더해주는 액자가 부설된 보석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1a는 종래의 보석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1b는 종래의 액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2은 본 고안에 따른 액자가 부설된 보석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3a는 본 고안에 따른 액자가 부설된 보석함을 도시한 결합 상태 사시도.
도3b는 본 고안에 따른 액자가 부설된 보석함의 도3a의 A-A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분리된 액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커버: 22 몸체: 24
사진: 25 수납부: 26
자석: 27 경첩: 30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몸체(24)와 뚜껑(29)으로 이루어져 상기 뚜껑(29)이 경첩(30)에 의해 회동 가능토록 설치되고 상기 몸체(24) 내측에 보석을 보관하는 수납부(26)를 갖는 보석함에 있어서, 상기 뚜껑(29)의 모서리에 제1자석(27a)이 각각 삽입 설치되는 보석함(31)과, 상기 보석함(31)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적층되고 상기 제1자석과 결합될수 있도록 하부면에 제2자석(27b)이 설치된 커버(22)와, 상기 커버(22)에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자석(27b)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3자석(27c)이 설치된 투명판넬(2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가 부설된 보석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투명판넬(21)은 제3자석(27c)이 보이지 않도록 전면에 소정면적의 코팅층(28)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가 부설된 보석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커버(22)는 보석함의 뚜껑(29)에서 선택적으로 분리되어 액자로 사용 가능토록 상기 투명판넬(21)과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가 부설된 보석함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 또는 도3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진(25)이 투영되는 투명판넬(21)과, 사진(25)이 부착되는 커버(22) 및, 경첩(30)으로 몸체(24)와 뚜껑(29)이 연결되는 보석함(3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24)는 내측으로 수납부(26)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24)의 상부 일측에 경첩(30)이 결합되어 상기 뚜껑(29)과 연결되고, 이 뚜껑(29)은 경첩(30)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경첩(30)의 일측은 상기 몸체(24)의 상부에, 타측은 상기 뚜껑(29)의 하부에 나사(미도시)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경첩(30)은 상기 몸체(24)와 뚜껑(29)과의 연결이 단단히 결합토록 상기 몸체(24)의 상부 일측과 상기 뚜껑(29)의 하부 일측에 결합되는 경첩이 소정간격 떨어져 두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뚜껑(29)은 하부 일측으로 경첩(30)으로 몸체(24)와 연결되고, 하측 모서리에 제1자석(27a)이 각각 하방향에서 삽입 되어 고정되고, 상측에는 소정 모양의 디자인이 형성되는 직육면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뚜껑(29)에 적층되는 커버(22)는, 제1자석(27a)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자석(27b)이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자석(27a)과 제2자석(27b)의 자력에 의해 상기 뚜껑(29)과 결합한다. 여기서, 사진(25)은 투명판넬(21)에 포함되는 소정면적의 크기를 갖으며 접착물로 상기 커버(22)의 중앙 상부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커버(22)에 적층되는 투명판넬(21)은 상기 커버(22)에 부착되는 사진(25)이 투영 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커버(22)에 설치된 제2자석(27b)과 대응되는 위치에 코팅층(28)에 의해 보호 되는 제3자석(27c)이 상방향에서 삽입 되어 설치되고, 상기 코팅층(28)은 투명판넬(21)에 삽입된 제3자석(27c)의 전면이 보이지 않을 정도의 소정 면적을 갖는 불투명 코팅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하다.
여기서,도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뚜껑(29)에 설치되는 제1자석(27a)은 S극 또는 N극 중 어느 한 극의 극성으로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커버(22)에 설치되는 제2자석(27b)과는 극성을 달리하여 설치된다. 즉, 제1자석(27a)이 S극의 자석이면 제2자석(27b)은 N극의 자석이 되고, 제1자석(27a)이 N극의 자석이면 제2자석(27b)은 S극이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2자석(27b)이 S극의 자석이면 제3자석(27c)은 N극의 자석이 되고, 제2자석(27b)이 N극의 자석이면 제3자석(27c)은 S극이 되는 것이다.
더하여,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2)에 삽입된 제2자석(27b)과상기 뚜껑(29)에 삽입된 제1자석(27a) 및 투명판넬(21)에 삽입된 제3자석(27c)과의 간격이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으나 서로의 자력을 감소 시키지 않을 정도의 범위에서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다른 실시예로,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석함 뚜껑(29)에서 상기 커버(22)를 분리하여 이 커버(22)와 상기 투명판넬(21)를 자력에 의해 결합하여 액자로 사용하여도 되며, 이 액자와 분리된 보석함을 따로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극히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액자가 보석함에 부설됨으로서 단조로운 보석함 뚜껑의 디자인 대신 연인이나 가족들의 사진을 보며 정서적 안정과 미려함을 얻을 수 있고, 커버와 투명판넬이 자력에 의한 결합되어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착탈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편리하게 사진을 교체 할수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몸체(24)와 뚜껑(29)으로 이루어져 상기 뚜껑(29)이 경첩(30)에 의해 회동 가능토록 설치되고 상기 몸체(24) 내측에 보석을 보관하는 수납부(26)를 갖는 보석함에 있어서,
    상기 뚜껑(29)의 모서리에 제1자석(27a)이 각각 삽입 설치되는 보석함(31);
    상기 보석함(31)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적층되고, 상기 제1자석과 결합될수 있도록 하부면에 제2자석(27b)이 설치된 커버(22);
    상기 커버(22)에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자석(27b)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3자석(27c)이 설치된 투명판넬(2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가 부설된 보석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넬(21)은, 제3자석(27c)이 보이지 않도록 전면에 소정면적의 코팅층(28)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가 부설된 보석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2)는, 보석함의 뚜껑(29)에서 선택적으로 분리되어 액자로 사용 가능토록 상기 투명판넬(21)과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가 부설된 보석함.
KR2020010039527U 2001-12-20 2001-12-20 액자가 부설된 보석함 KR2002684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527U KR200268479Y1 (ko) 2001-12-20 2001-12-20 액자가 부설된 보석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527U KR200268479Y1 (ko) 2001-12-20 2001-12-20 액자가 부설된 보석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479Y1 true KR200268479Y1 (ko) 2002-03-16

Family

ID=73114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527U KR200268479Y1 (ko) 2001-12-20 2001-12-20 액자가 부설된 보석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4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827B1 (ko) * 2017-09-04 2019-02-25 이재민 레이어드 카드 지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827B1 (ko) * 2017-09-04 2019-02-25 이재민 레이어드 카드 지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43162S1 (en) Pole caddy
USD535102S1 (en) Box for containing collectible cards
CA2374103C (en) Display frame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5400532A (en) Desk-top picture gallery
USD531320S1 (en) Cassette for organ transporter
KR200268479Y1 (ko) 액자가 부설된 보석함
KR200270217Y1 (ko) 사진교환이 간편한 자석부착식 액자
USD507618S1 (en) Cover housing for a tennis net support post
USD503748S1 (en) Sign support
KR20120013855A (ko) 자력착탈식 액자
USD496689S1 (en) Magnetic display board with transparent and label educational overlays
USD503747S1 (en) Sign support assembly
KR200389949Y1 (ko) 회전식 장식대
USD503749S1 (en) Sign support base
US11229303B2 (en) Modular, multi-function frame system
KR200188498Y1 (ko) 장식용 사진틀 액자
JP3225947U (ja) 新規のアルバム収容箱
KR200173658Y1 (ko) 부착식 액자
USD510800S1 (en) Card wallet
KR200353416Y1 (ko) 이중 액자
KR200387256Y1 (ko) 장식물 보관케이스
KR100452929B1 (ko) 액자 및 탈, 부착이 가능한 액자 프레임
KR200284203Y1 (ko) 액자
JP2007021005A (ja) 額縁
KR20240063426A (ko) 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