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9105A -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9105A
KR20240039105A KR1020240036764A KR20240036764A KR20240039105A KR 20240039105 A KR20240039105 A KR 20240039105A KR 1020240036764 A KR1020240036764 A KR 1020240036764A KR 20240036764 A KR20240036764 A KR 20240036764A KR 20240039105 A KR20240039105 A KR 20240039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egory
item
period
expiration date
ite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36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연희
고지영
윤강호
하현아
김종현
Original Assignee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36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9105A/ko
Publication of KR20240039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91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6Price or cost determination based on market fa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전자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정보 제공 방법은,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1 식별번호에 기초하여 유통기한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유통기한과 제1 기간을 비교하여, 상기 아이템의 상기 제1 카테고리 및 상기 제1 식별번호를 제2 카테고리 및 제2 식별번호로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사용자의 주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각 카테고리에 포함된 아이템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주문 정보에 매칭되는 아이템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된 아이템에 대한 패킹 관련 정보를 카테고리를 고려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특정 카테고리에 포함된 아이템이 주문된 경우 작업자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비자가 오프라인 주문 아닌 온라인 주문을 이용하여 아이템을 구매하는 추세가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발생한 코로나로 인하여 이러한 경향성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에 온라인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관련 기술의 혁신에 의해 제한 없이 대부분의 아이템들이 판매되고 있으며, 주문된 아이템들이 빠른 시간 내에 소비자에게 배송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많은 아이템들을 배송 받는 상황에서, 아이템 마다 유통기한을 확인하지 못하여 해당 아이템의 유통기한이 지나 폐기해야 하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에, 관련 업계에서 경쟁사 대비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소비자에게 아이템에 대한 유통기한을 인지시키면서 물류 센터 내에서 유통기한이 있는 아이템에 대한 처리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통기한이 있는 아이템이 카테고리에 따라 구분된 경우, 이에 대한 처리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 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제1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은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1 식별번호에 기초하여 유통기한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유통기한과 제1 기간을 비교하여, 상기 아이템의 상기 제1 카테고리 및 상기 제1 식별번호를 제2 카테고리 및 제2 식별번호로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사용자의 주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각 카테고리에 포함된 아이템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주문 정보에 매칭되는 아이템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된 아이템에 대한 패킹 관련 정보를 카테고리를 고려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패킹 관련 정보를 카테고리를 고려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주문 정보에 매칭되는 아이템의 카테고리가 제2 카테고리에 대응할 경우, 제2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제1 알람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알람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주문 정보에 매칭되는 복수의 아이템이 제2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경우, 각 아이템 별로 제1 알람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간이 현재부터 상기 유통기한까지 남은 기간 보다 이상인 경우, 상기 아이템의 상기 제1 카테고리 및 상기 제1 식별번호를 상기 제2 카테고리 및 상기 제2 식별번호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아이템은, 상기 제1 식별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카테고리에 매칭 여부가 확인되거나, 상기 제2 식별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카테고리에 매칭 여부가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유통기한과 제2 기간을 비교하여, 상기 아이템의 상기 제2 카테고리 및 상기 제2 식별번호를 제3 카테고리 및 제3 식별번호로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기간이 현재부터 상기 유통기한까지 남은 기간 보다 이상인 경우, 상기 아이템의 상기 제2 카테고리 및 상기 제2 식별번호를 상기 제3 카테고리 및 상기 제3 식별번호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기간은, 상기 제1 기간 보다 작은 기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패킹 관련 정보를 카테고리를 고려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제1 알람 메시지 및 제2 알람 메시지 중에서 하나의 메시지에 대응하는 패킹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패킹 관련 정보에 따라 패킹된 아이템에 대한 검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주문 정보는, 상기 제1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템, 상기 제2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템 및 상기 제3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전자 장치는, 통신부; 메모리; 및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1 식별번호에 기초하여 유통기한을 확인하고, 상기 유통기한과 제1 기간을 비교하여 상기 아이템의 상기 제1 카테고리 및 상기 제1 식별번호를 제2 카테고리 및 제2 식별번호로 변경 여부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주문 정보를 확인하고, 각 카테고리에 포함된 아이템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주문 정보에 매칭되는 아이템을 확인하고, 상기 매칭된 아이템에 대한 패킹 관련 정보를 카테고리를 고려하여 제공하는, 제어부(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기간이 현재부터 상기 유통기한까지 남은 기간 보다 이상인 경우, 상기 아이템의 상기 제1 카테고리 및 상기 제1 식별번호를 상기 제2 카테고리 및 상기 제2 식별번호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기간이 현재부터 상기 유통기한까지 남은 기간 보다 이상인 경우, 상기 아이템의 상기 제2 카테고리 및 상기 제2 식별번호를 제3 카테고리 및 제3 식별번호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기간은, 상기 제1 기간 보다 작은 기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3 실시 예에 따라,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상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비일시적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를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를 하나 혹은 그 이상 기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의할 경우, 물류 센터에서 패킹 작업자에게 특정 카테고리에 포함된 아이템의 패킹과 관련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검수 작업자도 특정 카테고리에 포함된 아이템의 패킹에 대한 검수와 관련된 정보를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관련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소비자는 특정 카테고리에 포함된 아이템의 구매에 따른 할인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해당 아이템의 유통기한을 보다 명확히 인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고객 신뢰도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테고리 별로 수행되는 작업 과정을 나타낸다.
도 3은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테고리 별로 수행되는 작업 과정을 나타낸다.
도 4는 제3 카테고리에 포함된 아이템들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패킹 작업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 표시된 제2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템 X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도 6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 표시된 제3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템 Y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수행하는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기재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b,c 모두'를 포괄할 수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통신 기반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전자 장치(10), 단말 1(20), 단말 2(30) 및 네트워크(4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은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와 단말 1(20) 및 단말 2(30)은 네트워크(40) 내에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4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및 이들의 상호 조합을 포함하며, 도 1에 도시된 각 네트워크 구성 주체가 서로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이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무선 랜(Wi-Fi),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10)는 아이템에 대한 주문에서 배송까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서버에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장치(10)는 아이템에 대한 패킹 및 검수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단말 1(20) 및 단말 2(3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1(20) 및 단말 2(30)은 피킹 작업자 또는 패킹 작업자 또는 검수 작업자가 이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도 1에 표시된 단말 1(20) 및 단말 2(30)는 일례에 불과하고, 다른 복수의 단말이 더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피킹 작업자는 단말 1(20) 또는 단말 2(30)을 통해 제공된 정보를 이용하여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에 대한 피킹 작업을 할 수 있으며, 패킹 작업자는 단말 1(20) 또는 단말 2(30)을 통해 제공된 정보를 이용하여 피킹된 아이템에 대한 패킹 작업을 할 수 있으며, 검수 작업자도 단말 1(20) 또는 단말 2(30)을 통해 제공된 정보를 이용하여 패킹된 아이템에 대한 검수 작업을 할 수 있다. 피킹 작업, 패킹 작업 및 검수 작업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 다른 도면에서 자세히 기재한다.
이하, 정보 제공과 관련하여 전자 장치(10), 단말 1(20) 및 단말 2(30)에서 수행되는 구체적인 과정을 기재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테고리 별로 수행되는 작업 과정을 나타낸다.
유통기한이 있는 아이템은 제1 카테고리(210), 제2 카테고리(220) 및 제3 카테고리(230) 중에서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채소, 우유, 치즈 등과 같은 사람이 먹는 아이템의 경우 유통기한이 아이템마다 설정될 수 있으며, 해당 유통기한을 초과할 경우 건강상의 이유로 사람의 섭취가 제한될 수 있다.
이에, 유통기한에 임박한 정도에 따라, 해당 아이템에 대한 카테고리가 분류될 수 있으며, 유통기한이 임박한 아이템의 경우 정가 보다 할인된 가격에 판매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아이템 마다 제1 기간과 제2 기간이 구분되어 설정될 수 있으며, 현재부터 유통기한까지 남은 기간과 제1 기간 및 제2 기간을 비교하여 아이템은 제1 카테고리(210), 제2 카테고리(220) 및 제3 카테고리(230) 중에서 하나의 카테고리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유 아이템의 경우 제1 기간이 7일이고, 제2 기간이 3일로 설정될 수 있으며, 현재부터 유통기한까지 남은 기간이 8일인 경우 우유 아이템은 제1 카테고리(210)로 분류될 수 있으며, 남은 기간이 6일인 경우 우유 아이템은 제2 카테고리(220)로 분류될 수 있으며, 남은 기간이 2일인 경우 우유 아이템은 제3 카테고리(230)로 분류될 수 있다.
이때, 제1 기간과 제2 기간은 각 아이템의 속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기계학습된 모델을 통해 아이템이 생산되어 출시된 순간부터 유통기한까지 기간을 분석하여 제1 기간과 제2 기간이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계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각 아이템이 생산되어 출시된 순간부터 유통기한까지 남은 기간 동안 판매량이 일별로 계산될 수 있고, 예컨대 50% 판매량이 달성되는 기간을 고려하여 제1 기간이 설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70% 판매량이 달성되는 기간을 고려하여 제2 기간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량의 치즈 아이템이 생산되어 출시된 순간부터 유통기한까지 남은 기간이 30일이라고 가정할 경우, 치즈 아이템의 판매량은 일별로 확인될 수 있으므로, 기계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치즈 아이템의 판매량이 50% 달성되는 기간은 20일, 치즈 아이템의 판매량이 70% 달성되는 기간은 25일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치즈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1 기간은 10일, 제2 기간은 5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치즈 아이템의 남은 유통기간이 13일인 경우 제1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고, 남은 유통기간이 9일인 경우 제2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고, 남은 유통기간이 4일인 경우 제3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정가에 판매되는 제1 카테고리(210)에 포함되는 아이템과 달리, 제2 카테고리(220) 및 제3 카테고리(230)에 포함되는 아이템은 보다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될 수 있다.
제1 카테고리(210)에 포함되는 아이템이더라도 남은 유통기간을 고려하여 제2 카테고리(220) 또는 제3 카테고리(230)으로 카테고리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이템 A가 제1 카테고리(210)에 대응하는 경우라도, 남은 유통기간이 제1 기간 보다 작은 경우 아이템 A의 카테고리는 제1 카테고리(210)에서 제2 카테고리(220)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카테고리가 변경된 아이템은 동일 카테고리 아이템들을 보관하는 장소로 이동될 수 있고, 다른 카테고리 아이템들과 구분되어 보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이템 A는 제1 카테고리(210)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을 보관하는 제1 장소에 위치하다가, 아이템 A의 카테고리가 제2 카테고리(220)로 변경될 경우 아이템 A는 제2 카테고리(210)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을 보관하는 제2 장소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장소와 제2 장소는 카테고리가 다른 아이템들이 섞이지 않고 구분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장소일 수 있다.
사용자는 주문 당시부터, 제1 카테고리(210), 제2 카테고리(220) 및 제3 카테고리(230) 중에서 어느 하나에 포함된 아이템에 대해 주문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각 카테고리 별 할인율을 고려하여 주문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카테고리(210)와 달리, 제2 카테고리(220) 및 제3 카테고리(230)에 포함된 아이템을 주문할 경우, 남은 유통기간이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사용자에게 구분되는 표시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각 카테고리 별로 피킹 작업, 패킹 작업 및 검수 작업이 구분되어 진행될 필요가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카테고리(210)에 포함된 아이템들은 제2 카테고리(220) 및 제3 카테고리(230)과 구분되어 별도로 보관되고 있으며, 피킹 작업자는 별도로 보관된 위치에서 사용자의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된 아이템들에 대한 피킹 작업(211)을 토트를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 토트는 특정 사용자의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운송 용기로서, 토트에 포함된 아이템들에 대해 이후 패킹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킹 작업자 A는 제1 카테고리(210)에 포함된 아이템들을 보관하는 위치에서 사용자 X의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을 피킹하여 토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피킹 작업자 A는 단말을 이용하여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을 찾아 토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카테고리(220)에 포함된 아이템들은 제1 카테고리(210) 및 제3 카테고리(230)과 구분되어 별도로 보관되고 있으며, 피킹 작업자는 별도로 보관된 위치에서 사용자의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카테고리에 포함된 아이템들에 대한 피킹 작업(221)을 토트를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 토트는 특정 사용자의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운송 용기로서, 토트에 포함된 아이템들에 대해 이후 패킹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킹 작업자 B는 제2 카테고리(220)에 포함된 아이템들을 보관하는 위치에서 사용자 Y의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을 피킹하여 토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피킹 작업자 B는 단말을 이용하여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을 찾아 토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카테고리(230)에 포함된 아이템들은 제1 카테고리(210) 및 제2 카테고리(220)과 구분되어 별도로 보관되고 있으며, 피킹 작업자는 별도로 보관된 위치에서 사용자의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제3 카테고리에 포함된 아이템들에 대한 피킹 작업(231)을 토트를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 토트는 특정 사용자의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운송 용기로서, 토트에 포함된 아이템들에 대해 이후 패킹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킹 작업자 C는 제3 카테고리(230)에 포함된 아이템들을 보관하는 위치에서 사용자 Z의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을 피킹하여 토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피킹 작업자 C는 단말을 이용하여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을 찾아 토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피킹 작업자 A가 피킹 작업(211)을 통해 토트에 포함된 아이템들에 대해 패킹 작업자 A는 패킹 작업(213)을 진행할 수 있다. 토트에 포함된 아이템들은 모두 사용자 X가 주문한 아이템들로서, 이후 동일한 배송 주소로 배송될 수 있다. 패킹 작업자 A는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들에 대한 패킹 작업(213)을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아이템에 대한 포장재 및 냉매재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패킹 작업자 A는 패킹 작업(213)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이템 1의 포장에 적합한 포장재와 안전한 배송에 필요한 냉매재 관련된 가이드 정보가 단말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냉매재 관련 정보는 주문 시간부터 배송에 소요되는 시간과 날씨 정보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일한 아이템이더라도 주문 시간부터 배송에 소요되는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 걸리는 경우이거나 또는 날씨 정보를 고려하여 외부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냉매재의 개수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피킹 작업자 B가 피킹 작업(221)을 통해 토트에 포함된 아이템들에 대해 패킹 작업자 B는 패킹 작업(223)을 진행할 수 있다. 토트에 포함된 아이템들은 모두 사용자 X가 주문한 아이템들로서, 이후 동일한 배송 주소로 배송될 수 있다. 패킹 작업자 B는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들에 대한 패킹 작업(223)을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아이템에 대한 포장재 및 냉매재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패킹 작업자 B는 패킹 작업(223)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이템 1의 포장에 적합한 포장재와 안전한 배송에 필요한 냉매재 관련된 가이드 정보가 단말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패킹 작업자 B는 패킹 작업(223) 과정에서 제2 카테고리(220)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부착할 수 있으며, 배송받은 사용자는 아이템에 부착된 메시지를 통해 제2 카테고리(220)에 대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피킹 작업자 C가 피킹 작업(231)을 통해 토트에 포함된 아이템들에 대해 패킹 작업자 C는 패킹 작업(233)을 진행할 수 있다. 토트에 포함된 아이템들은 모두 사용자 X가 주문한 아이템들로서, 이후 동일한 배송 주소로 배송될 수 있다. 패킹 작업자 C는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들에 대한 패킹 작업(233)을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아이템에 대한 포장재 및 냉매재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패킹 작업자 C는 패킹 작업(233)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이템 1의 포장에 적합한 포장재와 안전한 배송에 필요한 냉매재 관련된 가이드 정보가 단말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패킹 작업자 C는 패킹 작업(233) 과정에서 제3 카테고리(230)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부착할 수 있으며, 배송받은 사용자는 아이템에 부착된 메시지를 통해 제3 카테고리(230)에 대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카테고리(220) 및 제3 카테고리(230)를 나타내는 각 메시지는 구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패킹 작업자 A가 패킹 작업(213)을 한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토트에 대해 검수 작업자 A는 검수 작업(215)을 진행할 수 있다. 검수 작업자 A는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패킹 검수를 위한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들에 대한 검수 작업(215)을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이템의 종류, 수량, 파손 유무 및 유통기한, 포장재 및 냉매재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검수 작업자 A는 토트에 포함된 아이템들이 가이드에 따라 적절히 포장되었는지 여부를 검수할 수 있다.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패킹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검수 작업자 A가 이용하는 단말로 알람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알람 메시지는 패킹 작업자 A가 패킹 과정에서 발생한 패킹 오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검수 작업자 A는 패킹 오류를 고려하여 재패킹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이템 종류, 수량, 파손과 관련된 패킹 오류인 경우 검수 작업자 A는 재패킹을 하지 않고 이를 피킹 작업자 A 또는 패킹 작업자 A가 처리하도록 단말을 통해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제1 카테고리가 아닌 다른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템이 패킹된 경우, 검수 작업자 A는 재패킹을 하지 않고 이를 피킹 작업자 A 또는 패킹 작업자 A가 처리하도록 단말을 통해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포장재 및 냉매재 관련 정보와 관련된 패킹 오류인 경우 검수 작업자 A는 직접 재패킹을 하여 시간 효율적으로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패킹 작업자 B가 패킹 작업(223)을 한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토트에 대해 검수 작업자 B는 검수 작업(225)을 진행할 수 있다. 검수 작업자 B는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패킹 검수를 위한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들에 대한 검수 작업(225)을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이템의 종류, 수량, 파손 유무, 카테고리 및 유통기한, 포장재 및 냉매재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검수 작업자 B는 토트에 포함된 아이템들이 가이드에 따라 적절히 포장되었는지 여부를 검수할 수 있다.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패킹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검수 작업자 B가 이용하는 단말로 알람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알람 메시지는 패킹 작업자 B가 패킹 과정에서 발생한 패킹 오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검수 작업자 B는 패킹 오류를 고려하여 재패킹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이템 종류, 수량, 파손과 관련된 패킹 오류인 경우 검수 작업자 B는 재패킹을 하지 않고 이를 피킹 작업자 B 또는 패킹 작업자 B가 처리하도록 단말을 통해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제2 카테고리가 아닌 다른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템이 패킹된 경우, 검수 작업자 B는 재패킹을 하지 않고 이를 피킹 작업자 B 또는 패킹 작업자 B가 처리하도록 단말을 통해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포장재 및 냉매재 관련 정보와 관련된 패킹 오류인 경우 검수 작업자 B는 직접 재패킹을 하여 시간 효율적으로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또한, 패킹 작업자 C가 패킹 작업(233)을 한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토트에 대해 검수 작업자 C는 검수 작업(235)을 진행할 수 있다. 검수 작업자 C는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패킹 검수를 위한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들에 대한 검수 작업(235)을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이템의 종류, 수량, 파손 유무 및 유통기한, 포장재 및 냉매재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검수 작업자 C는 토트에 포함된 아이템들이 가이드에 따라 적절히 포장되었는지 여부를 검수할 수 있다.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패킹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검수 작업자 C가 이용하는 단말로 알람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알람 메시지는 패킹 작업자 C가 패킹 과정에서 발생한 패킹 오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검수 작업자 C는 패킹 오류를 고려하여 재패킹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이템 종류, 수량, 파손과 관련된 패킹 오류인 경우 검수 작업자 C는 재패킹을 하지 않고 이를 피킹 작업자 C 또는 패킹 작업자 C가 처리하도록 단말을 통해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제3 카테고리가 아닌 다른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템이 패킹된 경우, 검수 작업자 C는 재패킹을 하지 않고 이를 피킹 작업자 C 또는 패킹 작업자 C가 처리하도록 단말을 통해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포장재 및 냉매재 관련 정보와 관련된 패킹 오류인 경우 검수 작업자 C는 직접 재패킹을 하여 시간 효율적으로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검수 작업(215, 225, 235)는 모든 토트에 대해 진행되지 않고, 복수의 토트 중에서 샘플링을 통해 선택된 토트에 대해 진행될 수 있다. 이때, 패킹 오류가 모니터링될 수 있다. 만약,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패킹되지 않은 패킹 오류가 기준값 이상 발생하는 경우, 일정 시간 동안 검수되는 토트의 개수가 증가하도록 샘플링의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이후 샘플링의 변경된 설정 동안 패킹 오류가 기준값 미만으로 확인된 경우, 샘플링 설정은 원래대로 재변경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기계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아이템 별로 패킹 오류 발생 순서가 관리될 수 있다. 예컨대, 기계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패킹 오류가 자주 발생하는 순서로 아이템 2, 아이템 10, 아이템 7, 아이템 15 ~이 관리될 수 있다. 만약, 특정 토트에 패킹 오류가 자주 발생하는 상위 3개의 아이템 중 하나라도 포함된 경우, 전자 장치는 단말을 통해 해당 토트에 대해 검수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토트 A에 아이템 2가 포함된 경우, 특정 토트 A가 샘플링 과정에서 선택되어 검수될 수 있도록 전자 장치는 단말을 통해 토트 A에 대해 검수를 지시할 수 있다.
도 3은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테고리 별로 수행되는 작업 과정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카테고리(310), 제2 카테기로(320) 및 제3 카테고리(330)은 도 2의 제1 카테고리(210), 제2 카테고리(22) 및 제3 카테고리(230)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피킹 작업(311), 패킹 작업(313) 및 검수 작업(315)는 피킹 작업(211), 패킹 작업(213) 및 검수 작업(215)에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기재를 참조한다.
도 2와 달리, 제2 카테고리와 제3 카테고리에 대한 피킹 작업(321), 패킹 작업(323) 및 검수 작업(325)는 구분되지 않은 상태로 실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카테고리와 제3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은 제1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템들과는 구분되어 별도로 보관되지만, 제2 카테고리와 제3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은 구분되지 않고 보관될 수 있다. 따라서, 피킹 작업자는 사용자의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템과 제3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에 대한 피킹 작업(321)을 토트를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 이때, 토트는 제2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템과 제3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패킹 작업자는 토트에 포함된 제2 카테고리와 제3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에 대한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패킹 작업(323)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검수 작업자는 패킹 작업된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토트에 대해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검수 작업(325)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도 2와 달리, 카테고리 관련된 패킹 오류의 경우, 카테고리를 고려하여 검수 작업자에 의한 재패킹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수 작업자는 제2 카테고리 및 제3 카테고리가 아닌 제1 카테고리가 토트에 포함된 경우, 재패킹을 하지 않고 이를 피킹 작업자 또는 패킹 작업자가 처리하도록 단말을 통해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2 카테고리와 제3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메시지가 잘못 부착된 경우와 같이 제2 카테고리와 제3 카테고리 간의 착오로 인하여 패킹 오류가 발생한 경우, 검수 작업자는 직접 재패킹을 하여 시간 효율적으로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도 4는 제3 카테고리에 포함된 아이템들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3 카테고리(410)에 포함된 아이템들 중에서 일부 아이템의 경우 사용자에게 판매(420)될 수 있으며, 나머지 아이템의 경우 판매되지 않고 유통기한 초과(430)될 수 있다.
정가에 판매되는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아이템과 달리, 제2 카테고리 및 제3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아이템은 보다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카테고리가 P원에 판매될 경우, 제2 카테고리는 M%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될 수 있으며, 제3 카테고리는 N%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될 수 있다. 이때, M% 보다 N%가 보다 할인율이 큰 수치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기계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제3 카테고리(410)에 포함된 아이템들 중에서 유통기한 초과(430)된 아이템들이 모니터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카테고리(410)에 포함된 아이템들 중에서, 판매되지 않고 유통기한 초과된 아이템 A, 아이템 B, 아이템 C ~ 등이 모니터링될 수 있다.
이때, 기계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유통기한 초과(430)하여 폐기되는 아이템의 비율을 고려하여 해당 아이템을 향후 재판매할 때 할인율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통기한 초과(430)된 아이템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해당 아이템을 향후 재판매할 때 할인율은 증가할 수 있으며, 유통기한 초과(430)된 아이템의 비율이 감소할수록 해당 아이템을 향후 재판매할 때 할인율은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통기한 초과하여 폐기되는 아이템 A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아이템 A를 향후 재판매할 때 제3 카테고리에 포함된 아이템 A의 할인율은 기준 할인율 N%에서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기계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제3 카테고리에 포함되었지만 유통기한 초과하여 폐기되는 해당 아이템의 비율이 기준값 보다 작아질 때까지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기준값은 기계학습된 모델에 기초하여 아이템 마다 별개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이템의 판매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값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이템 A의 판매 히스토리 정보에 따르면, 아이템 A는 100개 중에서 80% 정도 판매 완료되고 20% 정도가 유통기한 초과하여 폐기될 경우, 기준값은 20%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아이템 B의 판매 히스토리 정보에 따르면, 아이템 B는 100개 중에서 90% 정도 판매 완료되고 10% 정도가 유통기한 초과하여 폐기될 경우 기준값은 10%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기준값은 고정된 값이 아니라, 판매 히스토리 정보를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카테고리(410)에 포함된 아이템들 중에서, 일부 아이템의 경우 판매(420) 완료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카테고리(410)에 포함된 아이템들 중에서, 아이템 1, 아이템 2, 아이템 3 ~ 같은 아이템들은 유통기한 내에서 판매(420) 완료될 수 있다. 즉, 아이템 1이 100개 생산된 경우 100개의 아이템 1은 유통기한을 초과하지 않고 기한 내에 모두 판매 완료될 수 있고, 아이템 2가 200개 생산된 경우 200개의 아이템 2는 유통기한을 초과하지 않고 기한 내에 모두 판매 완료될 수 있다.
이때, 유통기한 초과하여 폐기되는 아이템들(예컨대, 아이템 A, 아이템 B, 아이템 C~)과 판매 완료된 아이템들(예컨대, 아이템 1, 아이템 2, 아이템 3 ~) 간의 묶음 아이템이 할인된 가격으로 향후 소비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통기한 초과하여 폐기되는 아이템과 동일한 타입에 해당하는 판매 완료된 아이템이 묶음 아이템으로 할인된 가격에 향후 소비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이템 A는 당근이고 아이템 1은 버섯으로 아이템 A와 아이템 1은 모두 채소 타입으로 동일한 타입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아이템 A는 당근이고 아이템 2는 콜라인 경우 서로 다른 타입일 수 있다.
묶음 아이템의 할인된 가격은, 전술한 유통기한 초과하여 폐기되는 아이템의 할인율의 절반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카테고리(410)에 포함된 아이템 1은 N%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 완료되었고, 아이템 A는 N% 할인된 가격에도 불구하고 유통기한 초과하여 폐기되는 아이템의 비율이 X%인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X% 비율을 고려하여 아이템 A가 향후 재판매될 경우 할인율 Q%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아이템 1과 아이템 A가 향후 제3 카테고리에 포함되어 묶음 아이템으로 재판매될 경우, Q/2% 할인율을 적용하여 아이템 1과 아이템 A가 묶음 아이템으로 재판매될 수 있다. 만약에, Q/2% 할인율에도 불구하고 아이템 1과 아이템 A를 포함하는 묶음 아이템의 판매율이 기준값(예컨대, 90%) 보다 작은 경우, 향후에는 Q/2% 보다 증가된 할인율에 기초하여 재판매될 수 있다.
소비자의 구매 히스토리 정보를 분석하여, 묶음 아이템에 포함된 아이템을 주로 구매한 소비자 대상으로 타겟하여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묶음 아이템이 유아용 식품과 관련된 경우, 유아용 식품을 주로 구매한 소비자를 타겟으로 묶음 아이템에 대한 광고가 노출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노출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패킹 작업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역(501)은 패킹 작업자가 패킹 작업할 대상인 토트에 부착된 식별번호에 대한 영역으로서, 바코드 스캐너를 이용하여 해당 토트에 대한 식별 번호가 스캔될 수 있다.
토트 식별번호가 스캔된 경우, 영역(501)은 불활성화되고 영역(503)이 활성화될 수 있다. 영역(503)이 활성화된 경우, 해당 토트에 포함된 아이템들이 확인될 수 있다. 이때, 토트에 포함된 아이템들이 제2 카테고리 또는 제3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영역(525)와 같이 알람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패킹 작업자는 포장할 때 제2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부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아이템의 유통기한을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509)는 아이템 식별번호의 스캔을 지시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전술한 영역(501)에서 확인된 토트 식별번호가 영역(511)에 표시될 수 있고, 해당 토트에 포함된 아이템들의 운송장 식별번호가 영역(513)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운송장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아이템들의 배송 진행 현황을 조회할 수 있다. 영역(515)는 토트에 포함된 아이템들의 수량을 표시하며, 영역(517)은 토트에 포함된 아이템들을 포장하는데 이용되는 박스 관련 정보를 표시하며, 영역(519)는 박스 내부에 함께 포장될 냉매재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영역(521, 523)은 토트에 포함된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역(527)은 아이템 X에 대응하는 이미지 X를 표시하고, 영역(529)는 제2 카테고리 또는 제3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아이템을 표시하는 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역(531)은 출고오류신고하는 아이콘을 표시하며, 이를 통해 패킹 작업 단계에서도 잘못 출고된 아이템에 대한 오류가 신고될 수 있다. 또한, 영역(533)은 현재 토트 작업에 대한 작업을 취소하는 아이콘을 표시하고, 영역(535)는 작업대상세트에 대한 작업을 해제하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작업대상세트는 복수의 토트를 포함하는 세트로서, 각 작업대상세트 마다 작업자들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대상세트 1에 대한 작업이 완료된 경우 작업대상세트 1에 대한 작업은 해제되고, 작업대상세트 2에 대한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토트에 포함된 모든 아이템이 스캔된 경우, 영역(503)을 불활성화되고 영역(505)가 활성화될 수 있다. 영역(505)가 활성화된 경우, 토트에 포함된 아이템들을 담을 박스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박스 식별번호가 스캔된 경우, 영역(505)는 불활성화되고 영역(507)이 활성화될 수 있다. 출고 전에 주문한 아이템들에 대한 포장이 가이드 정보에 따라 완료된 경우, 운송장 식별번호가 확인되어 해당 주문에 대한 배송 진행 현황이 업데이트될 수 있다.
도 6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 표시된 제2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템 X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도 6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 표시된 제3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템 Y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도 5에 기재한 내용이 도 6a 및 도 6b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수행하는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710에서 전자 장치는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1 식별번호에 기초하여 유통기한을 확인할 수 있다.
유통기한이 있는 아이템은 제1 카테고리, 제2 카테고리 및 제3 카테고리 중에서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할 수 있다. 유통기한에 임박한 정도에 따라, 해당 아이템에 대한 카테고리가 분류될 수 있으며, 유통기한이 임박한 아이템의 경우 정가 보다 할인된 가격에 판매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아이템 마다 제1 기간과 제2 기간이 구분되어 설정될 수 있으며, 현재부터 유통기한까지 남은 기간과 제1 기간 및 제2 기간을 비교하여 아이템은 제1 카테고리, 제2 카테고리 및 제3 카테고리 중에서 하나의 카테고리로 결정될 수 있다. 각 아이템 마다 카테고리 구별을 위하여 제1 기간, 제2 기간이 판매량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전술한 기재를 참조한다. 예를 들면, 우유 아이템의 경우 제1 기간이 7일이고, 제2 기간이 3일로 설정될 수 있으며, 현재부터 유통기한까지 남은 기간이 8일인 경우 우유 아이템은 제1 카테고리(210)로 분류될 수 있으며, 남은 기간이 6일인 경우 우유 아이템은 제2 카테고리(220)로 분류될 수 있으며, 남은 기간이 2일인 경우 우유 아이템은 제3 카테고리(230)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식별번호에 기초하여 아이템의 카테고리가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식별번호에 기초하여, 아이템 X의 카테고리가 제1 카테고리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제2 식별번호에 기초하여, 아이템 X의 카테고리가 제2 카테고리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제3 식별번호에 기초하여, 아이템 X의 카테고리가 제3 카테고리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식별번호는 카테고리 변경에 상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카테고리에서 제2 카테고리로 변경될 경우, 제1 식별번호는 제2 식별번호로 변경될 수 있으며, 제2 카테고리에서 제3 카테고리로 변경될 경우, 제2 식별번호는 제3 식별번호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식별번호는 대응하는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아이템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1 식별번호에 기초하여 아이템의 유통기한이 확인될 수 있다.
단계 S720에서, 전자 장치는 유통기한과 제1 기간을 비교하여, 아이템의 제1 카테고리 및 제1 식별번호를 제2 카테고리 및 제2 식별번호로 변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현재부터 유통기한까지 남은 기간이 제1 기간 보다 작은 경우, 제1 카테고리 및 제1 식별번호를 제2 카테고리 및 제2 식별번호로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는 현재부터 유통기한까지 남은 기간이 제2 기간 보다 작은 경우, 제2 카테고리 및 제2 식별번호를 제3 카테고리 및 제3 식별번호로 변경할 수 있다.
단계 S730에서,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주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주문 정보는 주문 날짜 정보, 주문 시간 정보 및 아이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된 아이템을 주문한 경우, 주문 정보는 아이템에 대한 제1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제2 카테고리에 포함된 아이템을 주문한 경우, 주문 정보는 아이템에 대한 제2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문 정보는, 제1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템, 제2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템 및 제3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740에서, 전자 장치는 각 카테고리에 포함된 아이템 중에서 사용자의 주문 정보에 매칭되는 아이템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카테고리, 제2 카테고리 및 제3 카테고리에 아이템 X가 포함되고 사용자가 제2 카테고리에 포함된 아이템 X를 주문한 경우, 전자 장치는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카테고리에 포함된 아이템 X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750에서, 전자 장치는 매칭된 아이템에 대한 패킹 관련 정보를 카테고리를 고려하여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주문 정보에 매칭되는 아이템의 카테고리가 제2 카테고리 또는 제3 카테고리에 대응할 경우, 전자 장치는 제2 카테고리 또는 제3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알람 메시지를 패킹 작업자가 이용하는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주문 정보에 매칭되는 아이템의 카테고리가 제2 카테고리에 대응할 경우, 제2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제1 알람 메시지가 패킹 작업자가 이용하는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1 알람 메시지는 도 5의 영역(525)에 표시된 것과 같이 토트에 포함된 아이템이 식별되기 전에 제공될 수 있다. 즉, 토트 식별번호가 확인되면, 제1 알람 메시지는 화면의 중앙에 영역(525)와 같이 표시될 수 있고, 패킹 작업자는 주의하여 토트에 포함된 아이템에 대한 패킹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주문 정보에 매칭되는 복수의 아이템이 제2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경우, 각 아이템 별로 제1 알람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토트 식별번호가 확인된 경우 영역(525)와 같이 제1 알람 메시지가 표시된 후에도, 도 6A에서와 같이 토트에 포함된 개별 아이템 X가 확인된 경우에도 아이템 X에 대한 패킹 작업의 주의를 나타내는 알람 메시지가 이미지 X가 표시되는 화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주문 정보에 포함된 아이템의 카테고리가 제2 카테고리 또는 제3 카테고리에 대응할 경우, 전자 장치는 알람 메시지를 패킹 작업자가 이용하는 단말에 제공할 수 있으며, 패킹 작업자는 해당 아이템이 제2 카테고리 또는 제3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소비자)는 부착된 메시지에 기초하여 아이템이 제2 카테고리 또는 제3 카테고리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아이템의 유통기한을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이후 검수 작업자가 이용하는 단말을 통해 패킹된 아이템에 대한 검수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검수 작업자가 이용하는 단말로 검수 작업과 관련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검수 작업자는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패킹된 아이템에 대한 검수를 진행할 수 있다.
검수 작업 결과, 패킹 오류가 발생한 경우 카테고리를 고려하여 검수 작업자에 의한 직접 재패킹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주문한 아이템은 제2 카테고리 또는 제3 카테고리이지만 제2 카테고리 및 제3 카테고리가 아닌 제1 카테고리가 토트에 포함된 경우, 검수 작업자는 직접 재패킹을 하지 않고 이를 피킹 작업자 또는 패킹 작업자가 처리하도록 단말을 통해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2 카테고리 또는 제3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주문하였고 토트에 해당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템이 포함되었지만, 제2 카테고리 또는 제3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잘못 부착된 경우와 같이 착오로 인하여 패킹 오류가 발생한 경우, 검수 작업자는 직접 재패킹을 하여 시간 효율적으로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전자 장치(8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communication device)(810), 메모리(820) 및 제어부(controller)(8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전자 장치(800)는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전자 장치(800)는 전술한 전자 장치에 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통신부(810)는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외부의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는 단말 또는 서버가 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810)가 이용하는 통신 기술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5G,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통신부(810)는 트랜시버로 언급될 수 있으며, 트랜시버를 통해 전자 장치(800)는 외부 노드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제어부(830)는 전자 장치(800)의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및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830)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30)는 메모리(82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830)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는 바,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전자 장치(800)의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및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제어부(8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830)는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1 식별번호에 기초하여 유통기한을 확인하고, 상기 유통기한과 제1 기간을 비교하여 상기 아이템의 상기 제1 카테고리 및 상기 제1 식별번호를 제2 카테고리 및 제2 식별번호로 변경 여부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주문 정보를 확인하고, 각 카테고리에 포함된 아이템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주문 정보에 매칭되는 아이템을 확인하고, 상기 매칭된 아이템에 대한 패킹 관련 정보를 카테고리를 고려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또는 단말은,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일 예시일 뿐 후술하는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1)

  1. 전자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별로 대응하는 유통기한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유통기한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별로 설정된 기 설정된 기간을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별로 대응하는 카테고리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 대응하여 카테고리 별로 상이한 할인율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할인율을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별로 판매 가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유통기한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별로 설정된 제1 기간 또는 제2 기간을 고려하여, 제1 카테고리, 제2 카테고리 및 제3 카테고리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별로 대응하는 카테고리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유통기한까지 남은 기간이 상기 제1 기간 보다 긴 경우, 상기 제1 카테고리, 상기 제2 카테고리 및 상기 제3 카테고리 중에서 제1 카테고리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유통기한까지 남은 기간이 상기 제1 기간 보다 짧고 상기 제2 기간 보다 긴 경우, 상기 제1 카테고리, 상기 제2 카테고리 및 상기 제3 카테고리 중에서 제2 카테고리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유통기한까지 남은 기간이 상기 제2 기간 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1 카테고리, 상기 제2 카테고리 및 상기 제3 카테고리 중에서 제3 카테고리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할인율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카테고리인 경우 상기 제1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판매 가격 보다 낮은 가격에 판매되기 위하여 기 설정된 제1 할인율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할인율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카테고리인 경우 상기 제2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판매 가격 보다 낮은 가격에 판매되기 위하여 기 설정된 제2 할인율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할인율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템이 유통기한 초과하여 폐기될 경우, 폐기되는 비율을 고려하여 상기 제2 할인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간 및 상기 제2 기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별로 판매량이 기 설정된 기준 값에 도달하는 기간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0. 제1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기록매체.
  11. 전자 장치로서,
    통신부;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별로 대응하는 유통기한을 확인하고, 상기 유통기한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별로 설정된 기 설정된 기간을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별로 대응하는 카테고리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 대응하여 카테고리 별로 상이한 할인율을 확인하고, 상기 할인율을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별로 판매 가격을 결정하도록 지시하는 제어부(controller)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240036764A 2022-03-02 2024-03-15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KR202400391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6764A KR20240039105A (ko) 2022-03-02 2024-03-15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847A KR102428318B1 (ko) 2022-03-02 2022-03-02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KR1020220093975A KR102649774B1 (ko) 2022-03-02 2022-07-28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KR1020240036764A KR20240039105A (ko) 2022-03-02 2024-03-15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3975A Division KR102649774B1 (ko) 2022-03-02 2022-07-28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9105A true KR20240039105A (ko) 2024-03-26

Family

ID=8284739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847A KR102428318B1 (ko) 2022-03-02 2022-03-02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KR1020220093975A KR102649774B1 (ko) 2022-03-02 2022-07-28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KR1020240036764A KR20240039105A (ko) 2022-03-02 2024-03-15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847A KR102428318B1 (ko) 2022-03-02 2022-03-02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KR1020220093975A KR102649774B1 (ko) 2022-03-02 2022-07-28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3) KR102428318B1 (ko)
TW (1) TW202336664A (ko)
WO (1) WO2023167359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5135B2 (ja) * 2000-06-27 2007-10-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物流管理方法
KR20050008925A (ko) * 2003-07-14 2005-01-24 주식회사 엘지홈쇼핑 배송상품의 포장관리 방법
KR20170107805A (ko) * 2016-03-16 2017-09-26 주식회사 인베트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
KR102162978B1 (ko) * 2018-12-27 2020-10-07 주식회사 소프티스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
US20210065585A1 (en) * 2019-08-26 2021-03-04 Coupang Corp. Automated user interfaces for efficient packaging of objects
KR102305261B1 (ko) * 2020-12-11 2021-09-28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36664A (zh) 2023-09-16
KR102649774B1 (ko) 2024-03-21
WO2023167359A1 (ko) 2023-09-07
KR102428318B1 (ko) 2022-08-03
KR20230129897A (ko) 202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6715B1 (ko) 물류 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406418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아이템 추천 방법
JP2019513266A (ja) 顧客が小売業者から購入した製品の在庫を管理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TW202226091A (zh) 用於管理運送在配送中心之物品的電子設備及其資訊管理方法
KR102364920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Faccio et al. Packaging strategy definition for sales kits within an assembly system
KR102369198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KR102649774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KR101766405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89764B1 (ko)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7146198B1 (ja) 店舗における商品の販売力を評価するための装置、その装置において実行される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20136074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JP2007334547A (ja) 流通システム
KR20220092352A (ko) 물품 관련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JP5457422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542551B2 (ja) 商品比較システム,比較情報提案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8160080A (ja) データ送信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TWI834932B (zh) 電子裝置及其資訊提供方法
JP2011178081A (ja) 印字装置、商品販売システムおよび商品販売方法
JP7087159B2 (ja) データ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2008251002A (ja) 商品情報処理システム
KR20230151676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6803741B2 (ja) 商品管理単位変換装置、商品管理単位変換方法および商品管理単位変換プログラム
KR20230151678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02328985A (ja) 生産計画管理装置、及び生産計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