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978B1 -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978B1
KR102162978B1 KR1020180171141A KR20180171141A KR102162978B1 KR 102162978 B1 KR102162978 B1 KR 102162978B1 KR 1020180171141 A KR1020180171141 A KR 1020180171141A KR 20180171141 A KR20180171141 A KR 20180171141A KR 102162978 B1 KR102162978 B1 KR 102162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iration date
list
products
terminal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1050A (ko
Inventor
유현수
이하규
구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프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프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프티스
Priority to KR1020180171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978B1/ko
Publication of KR20200081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3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based on inven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3Inventory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8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at point-of-sale [P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판매자 단말 또는 판매자 단말과 연동된 판매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판매자 단말의 상점 위치, 현재시점을 기준으로 유통기한까지의 잔여기간이 기 설정된 기한 미만인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판매자 단말, 수신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 및 상점 위치를 매핑하여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수집하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반경 이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상점 및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 추출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키워드 검색 또는 출력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결제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결제를 확인하기 위한 식별코드를 제공하는 단계, 및 저장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에서 결제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수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ONLINE TO OFFLINE BASED IMMINENT EXPIRY DATE PRODUCT SALE SERVICE}
본 발명은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통기한임박 상품을 사용자에게 온라인으로 할인된 가격을 알림으로써 판매를 촉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식품의 품질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질되어 결국은 소비하지 못하거나 유통하지 못하는 수준이 되므로, 대부분의 국가에서 식품 안전을 위해 식품표시사항에 식품만료기일을 표시하는 것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주로 유통기한 등을 포함하는 식품 표시제도를 의무화하고 있다. 유통기한 설정 및 표시에 의해 당해 시점까지만 판매가 허용되기 때문에 부패 또는 변질 가능한 식품의 유통을 명확하고 통일적으로 규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식품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유통기한 전후의 식품안전사고에 대한 책임소재를 명확히 할 수 있다.
이때, 유통기한이 도래함에 따라 할인율을 적용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3-0018430호(2013년02월22일 공개)에는, 유통기한에 제한 있는 상품의 품목 및 그 유통기한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및 저장하고,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유통기한에 제한 있는 상품의 품목 및 그 유통기한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고 이에 기초한 할인율을 결정한 후 유통기한에 제한 있는 상품의 할인콘텐츠를 생성하여 고객에게 전송하고, 할인 쿠폰을 이용하여 구매를 결정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유통기한을 섭취가능기간으로 오인식하고 있어서 유통기한이 길게 남지 않은 물품은 사지 않으려고 하고, 할인율을 제공한다고 할지라도 판매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한, 유통기한이 지나지 않았을지라도 이러한 소비자의 심리가 반영되어 유통기한이 지나지 않은 식품의 폐기율 및 경제적 손실은 계속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자원이 음식물 쓰레기로 폐기되는 자원낭비와 더불어 비가역적인 환경오염까지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현재 시점의 폐기로 인한 경제손실 뿐만 아니라 미래에 환경오염을 복구하기 위한 비용까지 합산하는 경우 그 손실은 더욱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통기한과 섭취가능기간이 동일하다는 오인식을 배제하도록 하고, 상품을 각 카테고리별로 나누어 유통기한과 섭취가능기간을 별도로 관리하며, 유통기한이 임박하여 판매기한은 촉박하지만 섭취가능기간이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를 함께 고객에게 알려줌으로써 판매를 촉진시킬 수 있으며, 온라인-투-오프라인 서비스를 이용하여 온라인에서 주문하고 바로 오프라인에서 픽업할 수 있도록 하며, GPS 및 식별코드 등을 이용함으로써 픽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판매자 단말 또는 판매자 단말과 연동된 판매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판매자 단말의 상점 위치, 현재시점을 기준으로 유통기한까지의 잔여기간이 기 설정된 기한 미만인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판매자 단말, 수신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 및 상점 위치를 매핑하여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수집하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반경 이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상점 및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 추출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키워드 검색 또는 출력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결제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결제를 확인하기 위한 식별코드를 제공하는 단계, 및 저장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에서 결제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수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유통기한과 섭취가능기간이 동일하다는 오인식을 배제하도록 하고, 상품을 각 카테고리별로 나누어 유통기한과 섭취가능기간을 별도로 관리하며, 유통기한이 임박하여 판매기한은 촉박하지만 섭취가능기간이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를 함께 고객에게 알려줌으로써 판매를 촉진시킬 수 있으며, 온라인-투-오프라인 서비스를 이용하여 온라인에서 주문하고 바로 오프라인에서 픽업할 수 있도록 하며, GPS 및 식별코드 등을 이용함으로써 픽업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판매정보 제공 서버(500) 및 관리자 단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판매정보 제공 서버(500), 및 관리자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판매정보 제공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판매정보 제공 서버(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관리자 단말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유통기한임박 상품을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자신의 위치를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고,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해당 위치에 존재하는 상점 또는 해당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상점에서 업로드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출력된 상품의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주문 및 결제를 수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결제한 상품을 식별하는 식별코드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판매자 단말(400) 또는 판매정보 제공 서버(500)로부터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수집받고, 판매점 또는 상점의 위치와 상호나 브랜드명 등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집된 상품을 기 설정된 카테고리로 나누어 시간이 도과함에 따라 할인율을 다르게 적용하는 서버일 수 있다. 물론,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판매자 단말(400) 또는 판매정보 제공 서버(500)에서 설정한 가격을 그대로 적용하고,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해당 가격을 출력만 하는 역할만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가 저장된 상점 또는 판매점의 위치와 동일하거나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한 경우 해당 상점 또는 판매점에서 등록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가 사용자 단말(100)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요청을 하는 경우,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등을 구동한 경우에 위치를 수집하여 리스트를 보내주는 것 이외에도, 사용자 단말(100)에서 요청을 하지 않더라도 위치를 수집하여 리스트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빅데이터를 구축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구매 주기, 구매 상품 등을 파악하고, 파악된 상품의 다음 구매 주기와 시기를 예측하며, 예측된 시기에 예측된 상품이, 유통기한임박 상품으로 등록되고 기 설정된 반경 내인 경우, 이를 사용자 단말(100)로 추천해주는 것은 물론, 추천해주는 것을 넘어 예측에 기반하여 자동구매처리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또한,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히스토리 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수집, 전처리, 분석 등을 통하여 빅데이터를 분류 및 클러스터링한 후 학습시키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판매자 단말(400)에서 영상 또는 이미지로 유통기한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문자인식을 통하여 유통기한을 인식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은,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유통기한임박 상품을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판매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은 편의점주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고, 유통기한이 표기된 상품을 판매하는 모든 종류의 오프라인 상점, 더 나아가 온라인 상점의 판매자라도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은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업로드하는 단말일 수 있고, 이때 위치와 상호 등을 함께 입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은, 할인율을 자신이 직접 설정할 수도 있지만,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설정하는 자동설정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은 이미 유통기한이 각 상품의 바코드 등에 함께 저장되어 있거나, 데이터베이스화된 경우에는 일일이 입력하지 않고 유통기한이 기 설정된 기간 미만으로 남은 상품만을 추출하여 업로드하는 단말일 수도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은 상품의 데이터베이스를 본사 등에서 보유한 경우 또는 다른 서버에 저장된 경우에는, 판매정보 제공 서버(500)로 상품정보를 요청하여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업로드하는 단말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POS(Point of Sale),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판매정보 제공 서버(500)는,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판매자 단말(400)에서 요청한 상품의 정보를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판매정보 제공 서버(5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판매정보 제공 서버(5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판매정보 제공 서버(5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은,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도록 각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빅데이터의 결과를 검증하는 관리자의 단말일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은,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빅데이터의 학습으로 오류율이 기 설정된 퍼센트 이상인 히스토리 로그를 추출하는 경우에는, 추출된 히스토리 로그만을 인증하여 이후 오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단말일 수도 있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부(310), 데이터베이스부(320), 추출부(330), 출력부(340), 제공부(350), 재고부(360), 픽업부(370), 및 예측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로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은,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신부(310)는, 판매자 단말(400) 또는 판매자 단말(400)과 연동된 판매정보 제공 서버(500)로부터 판매자 단말(400)의 상점 위치, 현재시점을 기준으로 유통기한까지의 잔여기간이 기 설정된 기한 미만인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부(310)에서 수신할 때 판매자 단말(400)에서 촬영한 영상이나 이미지를 문자인식을 통하여 분석하는 방법 또는 판매자 단말(400)에서 이미 데이터베이스화된 바코드 또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등으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수신부(310)는, 판매자 단말(400) 또는 판매자 단말(400)과 연동된 판매정보 제공 서버(500)로부터 판매자 단말(400)의 상점 위치, 현재시점을 기준으로 유통기한까지의 잔여기간이 기 설정된 기한 미만인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수신할 때, 판매자 단말(400)에서 상품에 인쇄 또는 부착된 유통기한의 문자를 인식하도록 문자인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수신부(310)는, 판매자 단말(400)에서 촬영한 유통기한의 이미지 또는 영상 내의 프레임 내의 잡음을 제거하도록 난폭점 제거, 평활화, 훅 제거, 필터링 및 도트 감축을 포함하는 전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부(310)는, 유통기한에 대응하는 문자인식 객체의 위치, 크기, 기울기, 및 바닥선을 정렬하는 정규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310)는, 정규화 과정을 거친 문자인식 객체를 단어이상의 단위로 재검토하는 후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문자인식 과정에서 영상처리기법 중 특징점 추출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입력된 이미지의 크기와 위치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일정 위치 및 크기로 정규화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에 따라, 수신부(310)는 입력받은 이미지를 이용하여 글자가 존재하는 영역을 검색하고, 검색된 글자의 영역이 기 설정된 영역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축소시키고 역도 성립한다. 또한 수신부(310)에서 노이즈 제거를 할 때에는 체인 코드를 이용할 수 있는데, 체인 코드가 일정길이만큼 연결되지 않을 경우에는 노이즈로 간주하고 제거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전처리가 완료된 경우,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는데, 수신부(310)는, 영역 구분을 통해 각 영역의 정보를 분석하는 조닝(Zoning) 기법과 전체 영상의 히스토그램 투영(Histogram Projection) 및 가로세로의 비율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부(310)는 이진화 영상을 가로세로로 기 설정된 수로 등분하여 공간을 구분하고, 전체 이미지의 검은 화소의 수를 대상으로 각 영역의 검은 화소수를 비율로 나타내며, 이진화 조닝을 적용하여 영역수만큼 특징점이 추출될 수 있다. 이때, 수신부(310)는, 가로세로의 길이 비율 또한 특징(Feature)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히스토그램 투영을 통하여 특징점을 추출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문자인식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뿐만 아니라 영상 내에서도 프레임 내의 특징 추출로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후자의 경우에는, 수신부(310)는, 판매자 단말(400) 또는 판매자 단말(400)과 연동된 판매정보 제공 서버(500)로부터 판매자 단말(400)의 상점 위치, 현재시점을 기준으로 유통기한까지의 잔여기간이 기 설정된 기한 미만인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수신할 때, 판매자 단말(400) 또는 판매자 단말(400)과 연동된 판매정보 제공 서버(500)로부터 수집된 유통기한 내장 식별코드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수신부(310)는, 수집된 유통기한 내장 식별코드와 기 저장된 유통기한 내장 식별코드별 유통기한 및 상품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고, 분석 결과 기 설정된 기한 미만인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필터링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필터링하여 추출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판매자 단말(400) 또는 판매자 단말(400)과 연동된 판매정보 제공 서버(500)에서 제공한 리스트로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유통기한 내장 식별코드는, 유통기한 내에 시간이 포함된 타임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일일이 단말을 이용하여 카메라로 영상을 촬영하거나 이미지를 촬영하지 않아도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거나 바코드 등을 스캔하는 것만으로도 유통기한임박 상품을 수신부(3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판매자 단말(400)에서 정보 이용에 동의하는 경우, 수신부(310)에서 판매자 단말(400) 또는 판매정보 제공 서버(500)로 접속하여 정보를 리딩하여 추출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데이터베이스화부(320)는 판매자 단말(400), 수신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 및 상점 위치를 매핑하여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화부(320)는, 수신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상품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상품 카테고리 중 유통기한이 도과하면 부패가 빠르게 시작되는 기 설정된 상품 카테고리의 유통기한임박 상품은 유통기한에 임박할수록 할인율을 기 설정된 할인율보다 증가시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체감상 냉동만두가 유통기한에 근접한 것과, 삼각김밥이 유통기한에 근접한 것은 서로 다르게 느끼게 된다. 이는 실질적으로도 쉽게 상온에서 부패가 진행되는 상품이기 때문에 그러한데, 우유나 즉석제품과 같은 경우에는 실제로 유통기한이 다가올수록 잘 팔리지 않거나 같은 값이면 유통기한이 많이 남은 것이 신선하다는 느낌을 줄 수 있으므로, 소비자가 해당 상품을 고르게 하기 위해서는 이를 보상할 가격할인이 다른 제품보다 더 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화부(320)는 시간이 도과하면서 부패가 진행되는 정도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기준으로 상품을 카테고리로 분류하며, 부패가 진행되는 정도, 가격 및 소비자의 심리를 파라미터로 하는 그래프에 대응하도록 가격할인율을 조절할 수 있다. 물론, 가격은 판매자 단말(400)에서 정한 지정된 가격을 이용할 수 있음을 배제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추출부(33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수집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반경 이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상점 및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추출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요청을 하는 경우,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에 추출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집되는 GPS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추출할 수도 있고, 시간 및 장소에 동기화되도록 추출을 할 수도 있다. 이때 시간은 사용자가 설정한 푸시가능시간일 수 있다. 그리고, 추출부(330)는,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추출할 때, 사용자 단말(100)의 빅데이터 분석 결과 및 예측 결과를 이용할 수도 있다.
출력부(340)는, 사용자 단말(100)로 추출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사용자 단말(100)이 적어도 하나의 상점의 위치와 기 설정된 허용오차범위를 포함하여 동일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적어도 하나의 상점에서 등록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와 할인율이나 할인가격을 강제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의 알람을 백그라운드 진행되도록 설정했고 알람이 포어그라운드로 올라오지 못하도록 설정을 했을지라도 강제푸시를 통하여 해당 상점을 지나고 있는 중이나 해당 상점 내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머무는 경우에는 이를 강제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유통기한임박 상품을 먼저 소진시키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강제푸시 이외에도 사용자의 설정에 대응되도록 푸시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출력부(340)는, 유통기한과 섭취가능기간이 다르다는 것을 알려줄 수 있다. 이때, 유통기한은 섭취가능기간은 각 카테고리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섭취가능기간도 각 상품별 또는 카테고리별로 매핑되어 저장되어 사용자 단말(100)에서 출력될 때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형마트에서 판매중인 우유(초고온살균제품) 3종, 유음료(커피음료) 4종, 치즈 2종을 대상으로 유통기한 만료 후 pH, 일반세균수, 대장균군수의 품질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우유의 경우 최고 50일, 유음료의 경우 최고 30일, 치즈의 경우 최고 70일까지 품질상의 특이적 변화나 안전상의 문제점이 확인되지 않는다. 이는, 유통기한의 만료가 바로 제품의 변질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므로 바로 버리지 말고 정상적인 맛과 냄새, 색이 변했는지 확인하여 섭취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미이다. 또한, 제품의 보관 과정에서 변질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보관온도가 중요하며, 특히 정상적인 냉장온도에서 보관하지 않는다면 유통기한 이내에도 변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식품의 품목별 특성을 반영하며 좀 더 세분화된 유통기한, 즉 섭취가능기간을 더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면은 유통기한 만료 후 50일, 냉동만두는 25일이 경과하는 시점까지 섭취해도 안전에 문제가 없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획일적으로 유통기한을 적용하는 것보다 장기 저장 가능한 품목에 대해서는 품질유지기한(best before date) 적용을 확대하고, 품질변화 속도가 빨라 부패 및 변질의 우려가 높은 품목에 대해서는 소비기한(use by date)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출력부(340)는 이를 함께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구매를 할지라도 바로 먹지 않고 어느 정도 기간 동안 소비를 할 수 있음을 인지시켜주는 것이다.
이때, 식품안전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분석한 가상가치추정법 중 지불의사금액(WTP)을 이용하여 식품의 유통기한 또는 새로운 식품기한의 편익 및 후생 변화를 추정하고, 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유통기한 내의 임의의 시점에서의 남아있는 식품기한(잔존식품기한, Food Period)에 대한 비례관계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소비자가 지불하고자 하는 금액은 남아 있는 식품기한에 의해 결정되지만, 식품기한 외에 지불의사금액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잔존식품기한에 따른 지불의사금액 함수를 추정하고 새로운 식품기한(품질유지기한, 소비기한) 도입에 따른 소비자잉여와 생산자매출 변화를 추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의하면, 모든 식품에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즉 잔존식품기한이 줄어듦에 따라 지불의사는 감소한다. 특히 우유의 경우 전체 잔존식품기한 중 약 43.7%가 남은 시점에서부터 구매하지 않아 소비자후생과 생산자매출 모두가 감소한다. 따라서, 유통기한 내의 식품이 안전하다는 사실과 유통기한의 정확한 의미를 알려 유통 기한 임박 시점까지의 구매를 유도하든지 또는 품질유지기한 또는 소비기한과 같은 새로운 식품기한을 도입함으로써 전체적인 잔존식품기한을 늘리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통기한임박 시점에 마케팅을 할 때, 각 식품별로 잔존식품기한을 부여 및 사용자에게 인지시킴으로써 소비자의 지불의사를 높일 수 있다.
제공부(35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키워드 검색 또는 출력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결제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결제를 확인하기 위한 식별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식별코드는 바코드에 한정하지 않으며, QR 코드, NFC 코드 등 다양한 코드가 존재할 수 있으며, 텍스트인 시리얼 넘버일 수도 있고 그 형태나 포맷은 한정하지 않는다.
재고부(360)는, 저장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에서 결제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대부분의 상품은 대체물이지만, 유통기한임박 상품과 같은 경우에는 유통기한임박 상품 및 유통기한이라는 조건에 의하여 특정물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해당 재고를 관리하지 않는 경우, 결제를 한 구매자는 많은데, 실제로 물건은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고부(360)는, 상품의 구매가 발생한 상점의 해당 상품의 재고를 1 감소시킴으로써, 다른 고객이 동일한 상품을 고르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
픽업부(370)에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키워드 검색 또는 출력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결제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결제를 확인하기 위한 식별코드를 제공한 후, 판매자 단말(400) 또는 판매자 단말(400)과 연동되거나 판매자 단말(400)에서 등록한 가맹점 단말에서 식별코드를 스캔 또는 리딩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결제 여부 및 구매 상품의 종류를 확인하여 결제 인증을 실시할 수 있고, 결제 인증이 완료된 경우, 판매자 단말(400) 또는 가맹점 단말로 인증 확인 이벤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점에서 별도의 결제 없이도 바로 물건을 픽업할 수 있다. 따라서,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온라인에서 결제한 후 오프라인에서 상품을 수취하는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일 수 있다.
예측부(380)는, 수신부(310)에서 판매자 단말(400) 또는 판매자 단말(400)과 연동된 판매정보 제공 서버(500)로부터 판매자 단말(400)의 상점 위치, 현재시점을 기준으로 유통기한까지의 잔여기간이 기 설정된 기한 미만인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수신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에서 결제한 상품의 리스트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예측부(380)는, 상품의 리스트와 사용자 단말(100)을 매핑하여 저장하고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상품의 리스트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예측부(38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집된 상품의 리스트를 히스토리 로그로 생성하여 각 상품별 구매 주기를 파악하고, 상품별 구매 주기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현시점을 기준으로 구매해야 할 상품의 리스트를 추출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판매자 단말(400)로부터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가 수신된 경우, 수신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와 사용자가 구매해야할 상품의 리스트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지만 개념이 다른 서비스가 제공될 수도 있다. 즉, 예측부(380)는 수신부(310)에서 판매자 단말(400) 또는 판매자 단말(400)과 연동된 판매정보 제공 서버(500)로부터 판매자 단말(400)의 상점 위치, 현재시점을 기준으로 유통기한까지의 잔여기간이 기 설정된 기한 미만인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수신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에서 결제한 상품의 리스트를 수집하고, 상품의 리스트와 사용자 단말(100)을 매핑하여 저장하고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상품의 리스트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예측부(38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집된 상품의 리스트를 히스토리 로그로 생성하여 각 상품별 구매 주기를 파악할 수 있고, 예측부(380)는, 상품별 구매 주기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현시점을 기준으로 구매해야 할 상품의 리스트를 추출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판매자 단말(400)로부터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가 수신된 경우, 수신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와 사용자가 구매해야할 상품의 리스트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서 기 등록한 결제수단으로 일치하는 유통기한임박 상품을 결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는 유산균 요구르트를 2주일에 한 번씩 담배를 사러갈 때 함께 산다고 가정하자. 이때, 사용자 A가 사는 유산균 요구르트의 종류는 B이고 지역은 C이다. 그리고, 마지막 구매일은 2주 전이라고 가정한다. 이때, 사용자 A가 2주일에 한 번씩 유산균 요구르트를 사러가는 패턴이 확인되었고, 오늘이 2주째 되는 날인 경우, 예측부(380)는, 오늘 C 지역에 B 종류의 요구르트가 유통기한이 임박한 상품으로 나왔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예측부(380)는, C 지역에 B 종류의 요구르트가 유통기한이 임박한 상품이 존재하면, 사용자 A가 등록한 카드 등으로 결제를 수행한 후, 이를 사용자 A의 단말인 사용자 단말(100)로 알려주고 사용자 A는 이를 찾아가기만(픽업) 하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고, 고르고, 주문하는 과정이 없으므로 선택하는데 드는 시간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서비스가 정착되는 초기에는 강매와 같이 느껴질 수 있겠지만, 빅데이터를 통하여 사용자의 패턴을 정확히 예측하고, 오류율을 고려하여 학습을 반복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정말 필요한 시점에 사용자가 신경을 차마 쓸 수 없어서 구매를 못했던 물품이 자동으로 결제되고 사용자는 찾으러만 가면 되므로, 비서가 알아서 구매를 해주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빅데이터를 이용한 예측 모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성곱 신경망(CNN; Convolution Neural Network)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는 인공 신경망(ANN; Artificial Neural Network)에서 파생되어 나온 기법이다. 먼저 인공 신경망을 살펴보면, 인공 신경망은 디지털 컴퓨터에 인간 두뇌의 신경의 연결을 흉내 내도록 설계된 것으로 입력 계층, 은닉 계층, 출력 계층으로 구성된다. 은닉 계층에는 인공 뉴런이 있으며 입력 계층으로부터 입력 받은 신호들을 하나의 값으로 조합하고 이를 출력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를 통해서 동작하게 된다. 활성화 함수에서는 조합된 입력들이 임계점을 넘기기 전까지는 매우 낮은 값을 유지하다가 입력들이 합쳐져서 임계점을 넘기게 되면 활성화되고 출력이 높아지게 된다. 활성화 함수는 모든 입력을 하나의 값으로 통합시키는결합 함수(Combination function)와 결합 함수의 값을 전환시키는 전환 함수(Transfer function)로 구분된다. 전형적인 전환 함수에는 시그모이드(Sigmoid), 선형(Linear), 하이포보릭 탄젠트(Hyperbolic tangent)가 있다. CNN은 인공 신경망에 합성곱 계층(Convolutional layer)과 풀링 계층(Pooling layer)이 추가된다. 합성곱 계층에서는 합성곱 연산을 처리하며 입력 데이터에 필터를 적용한다. 합성곱 연산은 필터의 윈도우(Window)를 일정 간격으로 이동해가며 입력 데이터에 적용한다. 이때 편향 정보(Bias)는 필터를 적용한 후의 데이터에 더해진다. 풀링은 가로·세로 방향의 공간을 줄이는 연산이다. 예를 들어 2×2 영역을 원소 하나로 집약하여 공간 크기를 줄이게 된다. 최대 풀링(Max pooling)은 최댓값을 구하는 연산이며 2×2는 대상 영역의 크기를 표현한다.
또는 워드 임베딩(Word Embedding)이 이용될 수 있는데, 워드 임베딩은 텍스트 정보를 분석이 가능한 숫자 정보로 변환하는 기술이며 주요 기법으로는 word2vec과 doc2vec, char2vec이 있다. 먼저 word2vec은 단어(Word)를 기준으로 하여 주변 단어들을 가지고 그 중심 단어를 예측하는 CBOW(Continuous Bag of Words)와 이와 반대로 특정 중심 단어를 가지고 그 주변 단어를 예측하는 Skip-Gram의 2가지 알고리즘이 있다. Skip-Gram 알고리즘에서는 중심 단어와 주변 단어가 정해지면 아래 수식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학습을 진행하게 된다. doc2vec(또는 Paragraph2vec)은 문장이나 전체 문서의 단위를 비지도 학습하는 기법으로 Distributed memory(dm)와 Distributed bag of words의 2가지 알고리즘이 있다. 마지막으로 char2vec은 단어(Word)보다 더 작은 단위인 문자(Character)를 사용하는 기법이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빅데이터를 학습시키고 예측 결과를 도출하는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a)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구매 데이터에 대한 히스토리 로그를 수집하고, 빅데이터를 구축한 후 구매 주기를 팡가하여 예상 시점을 예측하고 자동구매처리를 하거나 추천을 할 수 있다. (b) 그리고,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 또는 판매정보 제공 서버(500)로부터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수신하고, 이를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할인율을 설정하거나, 판매자로부터 수신한 할인율 또는 가격을 매핑하여 해당 할인율이나 가격이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c)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가 판매자 단말(400)에서 등록한 위치의 기 설정된 반경 이내 또는 해당 위치와 동일한 위치인 경우,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출력하도록 한다. (d) 그리고, 사용자가 물품을 온라인에서 고르고 결제를 완료한 경우, (e) 사용자 단말(100)은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식별코드를 수신하고, 이를 판매자 단말(400) 또는 판매자 단말(400)과 연동된 가맹점 단말(POS)에서 스캔함으로써 물품을 픽업할 수 있다. 그리고, (a)에서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자동으로 결제한 물품은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신할 수 있고, (f) 사용자는 구매를 확정할 것인지 또는 환불을 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가 판매자가 위치한 위치가 아닌데 자동결제가 된 경우에는, 해당 위치까지 경로를 안내하는 과정이 사용자 단말(100)에서 실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때, 도 3b 및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의 주요기능과, 구현된 화면의 일 실시예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도 3c는 이로 인한 폐기되는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자원낭비 및 편의점 점주의 손실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한국에서도 음식물을 보는 시각을 쓰레기에서 자원활용이 가능한 재활용으로 변경한 환경기본법의 취지에 비추어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러한 자원이 쓰레기로 변환되기 직전에 판매를 촉진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환경오염 및 공해를 없애고, 더 나아가 헌법에 명시된 환경권이라는 기본권의 대사인적 효력을 긍정할 계기를 마련할 수 있으며, 생활환경을 쾌적하게 지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판매자 단말(400) 또는 판매정보 제공 서버(500)로부터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 상점 위치 등을 수신하여(S4100) 데이터베이스화를 시작하는데, 이미지인 경우에는(S4200), 문자인식을 처리하여(S4300), 판매자의 위치와 상점 및 리스트를 저장하고(S4400), 리스트 내의 물품 카테고리를 분류한다(S4500). 또한,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카테고리별 할인율을 적용하여 유통기한에 임박하기까지 카운팅을 시작한다(S4600).
한편,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위치를 수집하고(S4700),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가 판매자가 등록한 위치 또는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경우(S4800), 해당 위치의 판매자가 등록한 물품의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한다(S4810).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물품의 선택, 주문 및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S4820),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물품주문 및 결제를 진행하고(S4820), 결제가 완료된 경우 식별코드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직접 상점 등에서 물품(상품)을 픽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판매자 단말(400)에서 해당 식별코드를 스캔 또는 리딩하는 경우(S4840), 스캔 또는 리딩된 정보를 수신하고(S4850) 결제가 확인된 식별코드인지를 확인해주며(S4860), 결제가 완료된 경우에는 판매자 단말(400)로 결제확인 이벤트를 전송하고 해당 제품(물품, 상품)에 대한 재고를 감소시키고 리스트 내의 해당 물품을 삭제한다(S4870). 그리고, S4800에서 판매자 단말(400)의 위치가 아닌 경우, 다른 판매자 단말(400)의 위치인지의 여부를 확인해서 다른 판매자 단말(400)에서 등록한 상품 리스트를 보내도록 하면서 이하의 단계를 그대로 진행할 수 있다(S4900).
상술한 단계들(S4100~S49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는, 판매자 단말 또는 판매자 단말과 연동된 판매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판매자 단말의 상점 위치, 현재시점을 기준으로 유통기한까지의 잔여기간이 기 설정된 기한 미만인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수신한다(S5100).
그리고,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는, 판매자 단말, 수신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 및 상점 위치를 매핑하여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S5200),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수집하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반경 이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상점 및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추출한다(S5300).
또한,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 추출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출력하고(S5400), 사용자 단말에서 키워드 검색 또는 출력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결제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결제를 확인하기 위한 식별코드를 제공한다(S5500).
마지막으로,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저장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에서 결제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수량을 감소시킨다(S5600).
이와 같은 도 5의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판매자 단말 또는 판매자 단말과 연동된 판매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판매자 단말의 상점 위치, 현재시점을 기준으로 유통기한까지의 잔여기간이 기 설정된 기한 미만인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판매자 단말, 수신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 및 상점 위치를 매핑하여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반경 이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상점 및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추출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키워드 검색 또는 상기 출력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결제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결제를 확인하기 위한 식별코드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에서 상기 결제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수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추출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점의 위치와 기 설정된 허용오차범위를 포함하여 동일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점에서 등록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와, 할인율이나 할인가격을 강제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판매자 단말, 수신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 및 상점 위치를 매핑하여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상품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상품 카테고리 중 유통기한이 도과하면 부패가 빠르게 시작되는 기 설정된 상품 카테고리의 유통기한임박 상품은 유통기한에 임박할수록 할인율을 기 설정된 할인율보다 증가시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매자 단말 또는 판매자 단말과 연동된 판매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판매자 단말의 상점 위치, 현재시점을 기준으로 유통기한까지의 잔여기간이 기 설정된 기한 미만인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결제한 상품의 리스트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상품의 리스트와 상기 사용자 단말을 매핑하여 저장하고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상기 상품의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수집된 상품의 리스트를 히스토리 로그로 생성하여 각 상품별 구매 주기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상품별 구매 주기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현시점을 기준으로 구매해야 할 상품의 리스트를 추출하여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와 상기 사용자가 구매해야할 상품의 리스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직접 유통기한임박 상품을 선택하여 주문하는 과정이 필요없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기 등록한 결제수단으로 상기 일치하는 유통기한임박 상품을 자동 결제하는 것인,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키워드 검색 또는 상기 출력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결제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결제를 확인하기 위한 식별코드를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판매자 단말 또는 상기 판매자 단말과 연동되거나 상기 판매자 단말에서 등록한 가맹점 단말에서 상기 식별코드를 스캔 또는 리딩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결제 여부 및 구매 상품의 종류를 확인하여 결제 인증을 실시하는 단계;
    상기 결제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판매자 단말 또는 상기 가맹점 단말로 인증 확인 이벤트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온라인에서 결제한 후 오프라인에서 상품을 수취하는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인 것인,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단말 또는 판매자 단말과 연동된 판매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판매자 단말의 상점 위치, 현재시점을 기준으로 유통기한까지의 잔여기간이 기 설정된 기한 미만인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판매자 단말에서 상품에 인쇄 또는 부착된 유통기한의 문자를 인식하도록 문자인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판매자 단말에서 촬영한 유통기한의 이미지 또는 영상 내의 프레임 내의 잡음을 제거하도록 난폭점 제거, 평활화, 훅 제거, 필터링 및 도트 감축을 포함하는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유통기한에 대응하는 문자인식 객체의 위치, 크기, 기울기, 및 바닥선을 정렬하는 정규화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정규화 과정을 거친 문자인식 객체를 단어이상의 단위로 재검토하는 후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실행하여 수행되는 것인,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단말 또는 판매자 단말과 연동된 판매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판매자 단말의 상점 위치, 현재시점을 기준으로 유통기한까지의 잔여기간이 기 설정된 기한 미만인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판매자 단말 또는 판매자 단말과 연동된 판매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집된 유통기한 내장 식별코드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유통기한 내장 식별코드와 기 저장된 유통기한 내장 식별코드별 유통기한 및 상품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 결과 기 설정된 기한 미만인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필터링하여 추출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하여 추출된 유통기한임박 상품의 리스트를 상기 판매자 단말 또는 판매자 단말과 연동된 판매정보 제공 서버에서 제공한 리스트로 처리하는 단계;
    를 수행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인,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기한 내장 식별코드는, 유통기한 내에 시간이 포함된 타임코드를 포함하는 것인,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80171141A 2018-12-27 2018-12-27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62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141A KR102162978B1 (ko) 2018-12-27 2018-12-27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141A KR102162978B1 (ko) 2018-12-27 2018-12-27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050A KR20200081050A (ko) 2020-07-07
KR102162978B1 true KR102162978B1 (ko) 2020-10-07

Family

ID=71602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141A KR102162978B1 (ko) 2018-12-27 2018-12-27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9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9897A (ko) * 2022-03-02 2023-09-11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KR102585961B1 (ko) * 2023-03-29 2023-10-10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689B1 (ko) * 2021-04-28 2021-10-08 김병열 지역 기반의 긴급 처리 상품 판매 플랫폼 시스템
KR102420031B1 (ko) * 2021-06-10 2022-07-13 주식회사 투에버 내맘대로 상품세트를 구성하는 G-Mom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445827B1 (ko) * 2021-09-02 2022-09-21 (주)텐마인즈 밀키트 기획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KR102556453B1 (ko) * 2021-11-15 2023-07-14 이진혁 유통기한이 임박한 농산물의 퍼스트 로컬 마켓 플랫폼 제공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579B1 (ko) * 2017-08-03 2018-08-28 신동찬 재고 처리를 지원하는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7835A (ja) * 2001-08-24 2003-03-07 Family Mart Co Ltd 販売商品の消費期限管理機能を有するpos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579B1 (ko) * 2017-08-03 2018-08-28 신동찬 재고 처리를 지원하는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9897A (ko) * 2022-03-02 2023-09-11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KR102649774B1 (ko) * 2022-03-02 2024-03-21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KR102585961B1 (ko) * 2023-03-29 2023-10-10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050A (ko)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978B1 (ko) O2o 기반 유통기한임박 상품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
US10773389B2 (en) Robotic systems and methods in prediction and presentation of resource availability
CN110033298B (zh) 信息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系统和存储介质
JP7028351B2 (ja) 推奨情報特定装置、推奨情報特定システム、推奨情報特定方法、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21000475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a planogram at a retail facility
US201202782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establishments and items based on consumption history of similar consumers
KR102295636B1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상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227552B1 (ko) 상황인지 알고리즘 기반 리뷰 카테고리를 이용한 음식점 노출 개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0785784A (zh) 一种用于商店内消费者行为事件元数据聚合、数据验证及其用于数据解释的人工智能分析和相关动作触发的系统
AU2018202369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loyalty program
KR102608725B1 (ko) 무인매장의 상품 자동발주 서비스 제공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2084719B1 (ko)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222158B1 (ko) 무인 매장의 상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KR20200102065A (ko) 맞춤형 광고 콘텐츠 및 피드백 기반 실시간 광고 변경 플랫폼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6977612B2 (ja) 推奨情報特定装置、推奨情報特定システム、推奨情報特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10066495A (ko)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6523548A (zh) 商品的特征信息识别方法及其装置
KR102466396B1 (ko) 상품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463084B1 (ko) 블록체인 결제 플랫폼 기반 유무선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67782B1 (ko) 예약부도 및 예약이행의 확률통계 기반 예약부도 가능성 예측을 이용한 예약부도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15685B1 (ko) 긴급소진 요구상품의 실시간 알림을 이용한 상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CN116523556A (zh) 一种商家需求的预测方法和系统
JP7012892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272654B1 (ko)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29104B1 (ko) 인공지능에 기반한 상품 카탈로그 자동 분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