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654B1 -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654B1
KR102272654B1 KR1020200149566A KR20200149566A KR102272654B1 KR 102272654 B1 KR102272654 B1 KR 102272654B1 KR 1020200149566 A KR1020200149566 A KR 1020200149566A KR 20200149566 A KR20200149566 A KR 20200149566A KR 102272654 B1 KR102272654 B1 KR 102272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terminal
barcode
user
deli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소정
Original Assignee
이소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정 filed Critical 이소정
Priority to KR1020200149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6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8Input by product or record sensing, e.g. weighing or scanne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물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온라인 장바구니에 구매할 물품을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온라인 장바구니에 누적된 결제금액을 출력하며, 구매하기 버튼을 선택하면 결제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에서 결제 프로세스를 완료하면 사용자 단말의 배송지 및 온라인 장바구니 내 물품 리스트가 포함된 주문내역 데이터를 출력하는 가맹점 단말 및 가맹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물품의 가격 및 바코드를 수신하여 가맹점 단말의 고유식별코드와 매핑되도록 저장하는 등록부,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물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서 온라인 장바구니에 누적된 결제금액을 출력하도록 하는 출력부, 사용자 단말에서 구매하기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결제부, 결제 프로세스가 완료된 경우 가맹점 단말로 주문내역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HANDS-FREE SHOPPING SERVICE USING BARCODE SCANNING IN OFFLINE STORE}
본 발명은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오프라인 매장에서 장바구니나 카트를 밀고 다니지 않아도 고객이 원하는 물품의 바코드만 스캔하면 장보기가 종료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기술의 트랜드와 관련하여, 세계적으로 화두가 될 수 있는 기술의 흐름을 가트너에서 발표하고 있다. 가트너의 발표 자료에 따르면 최근의 핵심 기술에 대한 커다란 변화는 없어 보인다. 그만큼 현재의 기술 트랜드가 향후 세계 시장에서 필요한 핵심 카테고리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기술 트랜드 변화를 살펴보면 공통적으로 보이고 있는 핵심적인 키워드로는 인텔리전트(Intelligent), 디지털(Digital) 및 메쉬(Mesh)가 있다. 이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무인마켓은 단어가 갖는 의미 그대로 마켓을 운영하는 사람이 없는 환경을 말한다. 그러한 환경을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인텔리전트한 의미가 마켓 운영 환경에 포함되어 있어야 하며, 무인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디지털 카테고리의 대화 플랫폼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무인마켓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메쉬 카테고리의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보안 필요성의 증대라는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때, 아마존에서는 계산대와 현금출납원이 필요없는 인공지능(AI) 점포 아마존 고(Amazon Go)를 연구 및 개발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미국공개특허 제2015-0012396호(2015년 1월 8일 공개)에는 매장에 설치된 여러 카메라와 마이크가 고객을 추적하며 움직임을 파악하고, 매장에 들어서는 고객이 스마트폰 등을 태그하면 감시 시스템이 사용자를 식별하고 동선을 추적할 때, 스마트폰이 태그 기능을 수행하며, 매장 내 수많은 카메라는 고객이 선반 앞에 서면 어떤 상품을 집어 들었는지 식별하고, 이후에도 제품이 여전히 손에 들려있는지, 혹은 다시 선반에 돌아갔는지를 확인해 최종 구매 여부를 파악하며, 사용자의 손을 집중관찰하면서 고객의 손이 선반에 닿자마자 연속 촬영해 어떤 물건을 택했는지 확인하고, 두 사람이 인접 선반에 손을 뻗을 경우 피부색으로 고객을 구분하기 위하여 피부색도 구별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은 계산하는 곳에서 손님의 안부부터 물으며 시작하는 미국의 사정을 고려한 것일 뿐, 계산대에 손님의 얼굴을 보기보다 바코드부터 찍는 효율 및 가성비를 중시하는 한국에서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즉, 미국의 경우 한국의 빨리빨리 정서가 없고 뒷사람을 배려하기 보다는 자신의 권리를 먼저 챙기는 개인주의로 인하여, 손님들은 계산대에 가서야 멤버쉽 카드나 사야할 물건을 잊은 것을 확인하고 또 이를 챙기고 하는 과정에 의해 줄이 길게 늘어지는 반면, 한국은 계산대에 들어서기 전부터 고객이 모든 것을 다 챙기고 빠르게 신용카드를 넣고 나오기 때문에 미국처럼 줄을 길게 서지 않는다. 또,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규모의 경제를 이루기까지 AI, 딥러닝, 카메라, RFID 등의 기술집약적인 인프라와 막대한 자본이 투자되어야, 즉 비용문제라는 벽을 넘어야만 한다. 이에, 한국의 환경과 정서에 맞으면서도 막대한 시설투자 없이도 오프라인에서 손 쉽게 장을 볼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오프라인에서 장을 볼 때 사용자 단말에서 원하는 물품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온라인 장바구니에 담으면, 배달 서비스를 위해 기 설정된 금액 이상인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해주며, 모든 물품을 모두 온라인 장바구니에 담고 사용자 단말에서 결제 페이지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한 경우, 가맹점 단말로 배송지, 결제내역 및 물품 리스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인 고객은 무겁게 카트나 장바구니를 들고 다니면서 물품을 하나하나 담지 않아도 되면서도, 실제로 자신이 구매할 상품을 눈으로 볼 수 있으며, 자신이 담은 물품이 배달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만큼의 금액이 되는지를 계산기로 계산하지 않아도 되고, IT 취약계층이나 실제로 눈으로 보고 물건을 사고 싶은 소비자의 니즈를 해결할 수 있으며, 막대한 비용이나 투자설비가 없이도, 또 규모의 경제를 이루지 못한 소상공인 점포라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온라인 장바구니에 구매할 물품을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온라인 장바구니에 누적된 결제금액을 출력하며, 구매하기 버튼을 선택하면 결제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에서 결제 프로세스를 완료하면 사용자 단말의 배송지 및 온라인 장바구니 내 물품 리스트가 포함된 주문내역 데이터를 출력하는 가맹점 단말 및 가맹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물품의 가격 및 바코드를 수신하여 가맹점 단말의 고유식별코드와 매핑되도록 저장하는 등록부,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물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서 온라인 장바구니에 누적된 결제금액을 출력하도록 하는 출력부, 사용자 단말에서 구매하기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결제부, 결제 프로세스가 완료된 경우 가맹점 단말로 주문내역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오프라인에서 장을 볼 때 사용자 단말에서 원하는 물품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온라인 장바구니에 담으면, 배달 서비스를 위해 기 설정된 금액 이상인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해주며, 모든 물품을 모두 온라인 장바구니에 담고 사용자 단말에서 결제 페이지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한 경우, 가맹점 단말로 배송지, 결제내역 및 물품 리스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인 고객은 무겁게 카트나 장바구니를 들고 다니면서 물품을 하나하나 담지 않아도 되면서도, 실제로 자신이 구매할 상품을 눈으로 볼 수 있으며, 자신이 담은 물품이 배달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만큼의 금액이 되는지를 계산기로 계산하지 않아도 되고, IT 취약계층이나 실제로 눈으로 보고 물건을 사고 싶은 소비자의 니즈를 해결할 수 있으며, 막대한 비용이나 투자설비가 없이도, 또 규모의 경제를 이루지 못한 소상공인 점포라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배달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배달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배달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 바코드를 스캔하고 결제를 한 후 배송지를 입력하는 구매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핸드폰(사용자 단말(100))만 한 손에 들고 갔다가 원하는 물품의 바코드만 찍고 결제를 누른 후 배송지를 선택 또는 입력한 후, 또 다시 빈 손으로, 즉 한 손에 핸드폰만 들고 나오면 된다. 장바구니를 챙길 필요도 없고, 비닐봉지나 에코백을 가져가지 않아도 되며, 조작하기도 어렵고 제자리에 가져다 놓아야 하는 카트를 끌지 않아도 된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자신이 원하는 물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하고, 온라인 장바구니에 담긴 물품의 누적금액을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 사용자 단말(100)은, 누적금액과 배달가능금액 간 차액을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배달가능금액에 도달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배달이 가능하다는 표시를 음성 또는 화면에 출력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간편결제를 위한 생체정보 등록을 해놓은 경우 지문을 찍거나 홍채를 인식하거나 간편비밀번호만 입력하면 결제는 완료되므로, 사용자는 계산대에 길게 줄을 늘어서거나 계산대에 물품을 올렸다 다시 내렸다가 박스나 장바구니에 넣는 행위를 모두 하지 않아도, 모든 장보기는 끝이 나므로 말 그대로 핸즈프리한 오프라인 장보기가 가능하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가맹점 위치, 주소, 전화번호, 물품의 가격, 이름, 이미지 등의 정보를 입력받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가맹점 단말(400)에서 자체적으로 바코드를 생성 및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 바코드까지 물품 데이터를 입력받을 때 함께 입력받고, 바코드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은 경우에는 물품 데이터가 입력되면 이에 대응하는 바코드를 생성하여 가맹점 단말(4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가맹점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바코드 스캔 화면을 출력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바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사용자의 온라인 장바구니에 물품을 누적시키고 결제금액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해주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가맹점 단말(400)에서 배달가능금액을 설정해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현재 구매한 물품의 결제금액과 배달가능금액의 차액을 알려주고, 차액에 대응하면서도(AND) 사용자 단말(100)의 구매패턴에 맞는 물품을 추천해주거나, 사용자 단말(100)의 구매물품에 대한 연관 알고리즘으로 도출된 아이템을 추천해주거나, 구매한 물품으로 가능한 레시피에서 모자란 재료가 차액에 대응하는 경우 추천해줌으로써 빠른 의사결정을 돕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결제가 완료되고 배달 단말(500)로 일이 할당된 경우 할당된 배달 단말(500)의 실시간 위치를 사용자 단말(100)로 안내해주는 서버일 수 있다. 대부분 동네 마트의 경우 마트에서 사용자의 집까지 거리가 멀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보다 배달기사가 먼저 가는 경우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또,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신선식품의 경우 종류물이나 대체물로 보지 않고 신선식품의 특성상 각 물품의 규격이나 상태가 다르다는 점을 감안하여 특정물로 보고 각각에 바코드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그 신선식품이 사용자에게 배송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가맹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가맹점은 대형마트, 동네마트, 소상공인 마트, 전통시장 등 다양할 수 있다. 그리고, 가맹점 단말(400)은, 물품의 가격, 이미지, 바코드 등을 입력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물품을 등록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대형마트인 경우에는 각 물품의 이미지, 가격, 바코드 등이 모두 체계화되어 DB가 구축되어 있지만, 소상공인 마트나 동네마트인 경우 각 물품의 이미지, 가격, 바코드 등의 체계가 갖추어지지 않은 경우도 존재하므로, 이러한 경우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공산품의 경우에는 바코드, 이미지 등을 웹크롤링으로 수집하여 DB를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 데이터로 제공하거나 선택만 하도록 하며, 청과류의 경우 물품 이름, 가격만 기재하면 청과류의 이미지는 기 구축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맹점 단말(400)은, 각 아이템을 명칭 기반으로 검색하여 선택한 후(이미지, 이름 등이 모두 DB에서 선택된 상태), 가격만을 입력하면 가맹점 단말(400)에서도 더 이상의 시간과 인력을 들이지 않아도 [물품-바코드-이미지-명칭]의 DB가 구축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가맹점 단말(400)은,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전달한 사용자 단말(100)의 주문내역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픽업 직원에게 해당 물품을 모두 담도록 하고, 배송 단말(500)의 배차를 요청하거나 자체 인력으로 배달을 시작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가맹점 단말(400)의 가맹점에, 각 물품 창고가 존재하고 로봇이 각 물품이 어디에 있는지(XYZ 좌표)를 아는 경우, 직원 이외에 로봇을 이용하여 물품을 장바구니 내에 모두 담을 수도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배달 단말(500)은,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가맹점 단말(400) 또는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배달 요청이 오는 경우, 배달기사의 현위치에서 가맹점의 위치로 이동했다가 배송지의 위치로 갈 수 있도록 경로안내를 시작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경로안내는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할 수 있으며, 한 매장에서 대부분 다수의 배달을 요청하게 되므로,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구역을 묶어서 배달을 지정할 수도 있고, 각 배달 단말(400)에게 일의 분배가 균등하게 될 수 있도록 최적해 문제를 푸는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배달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배달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배달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등록부(310), 출력부(311), 결제부(313), 전송부(315), 배달관리부(320), 신선관리부(330), 리마인더부(340), 전통시장배달부(350), 소셜커넥팅부(360), 메뉴추천부(370), 섭취일관리부(380) 및 강제구동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배달 단말(500)로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배달 단말(500)은,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배달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등록부(310)는,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물품의 가격 및 바코드를 수신하여 가맹점 단말(400)의 고유식별코드와 매핑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출력부(311)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물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에서 온라인 장바구니에 누적된 결제금액을 출력하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물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온라인 장바구니에 구매할 물품을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온라인 장바구니에 누적된 결제금액을 출력할 수 있다.
결제부(313)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구매하기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구매하기 버튼을 선택하면 결제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 있다.
전송부(313)는, 결제 프로세스가 완료된 경우 가맹점 단말(400)로 주문내역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가맹점 단말(400)은, 사용자 단말(100)에서 결제 프로세스를 완료하면 사용자 단말(100)의 배송지 및 온라인 장바구니 내 물품 리스트가 포함된 주문내역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배달관리부(320)는, 가맹점 단말(400)에서 무료 배달 서비스가 가능한 배달가능금액을 설정받고, 사용자 단말(100)의 온라인 장바구니에 누적된 결제금액과 배달가능금액 간의 차액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온라인 장바구니에 물품이 담길 때마다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신선관리부(330)는,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물품의 가격 및 바코드를 수신할 때, 공산품을 제외한 물품은 종류물이 아닌 특정물로 설정하여 각 개별 물품의 바코드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개별 물품의 바코드를 스캔한 경우 개별 물품을 배달하도록 가맹점 단말(400)로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양파 중 사용자 A는 어떠한 양파가 저장하기도 좋고 맛도 좋은지 알고 있다. 세로로 길쭉한 양파는 금방 상해서 사람들이 잘 찾지 않는 양파이다. 반면, 가로로 납작하면서 둥글둥글한 양파는 단단해서 저장해도 잘 무르지 않고 맛도 단 맛이 강하다. 이때, 사용자 A가 이러한 사실을 인지하고 가로로 납작하면서 둥글둥글한 양파를 특정하여 바코드를 찍었다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이제 양파는 대체물이 아니라 특정물로 변환된다.
현재 대기업의 온라인 마트를 보면, C 농원 양파 3KG 대(大)라는 식으로 물품을 종류로만 특정할 뿐, 개별 특성으로는 특정하지 않고 판다. 즉 C 농원의 양파 3KG 대자라면, 세로로 긴 양파이든 가로로 둥글둥글한 양파이든지 간에 채무자는 종류채무에 대한 이행을 다 한 것이다. 직접 오프라인에 가서 물품을 고르는 이유는 온라인 배송을 기다리지 못해서일 수도 있지만, 자신이 직접 가서 눈으로 보고 고르기 위함이다. 특히 청과류의 경우 도매시장에서 경매로 나온 물건이 날마다 가격이 다르고 종류도 다르다. 또, 밭에서 바로 채취해서 들어온 싱싱한 쪽파와, 몇 일 동안 매대에 두고 전시하여 말라가는 쪽파는 공산품처럼 동일하게 취급될 수 없다. 이에 고객들은 오프라인에서 발품을 팔아가며 좋은 물건이 있으면 사고, 그렇지 않은 물건은 사지 않으며, 좋은 물건 중에서도 더 좋은 물건을 골라서 담아 장을 보게 된다. 하지만 현재 온라인 마트 배송은, 소비자가 직접 눈으로 보고 고를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고객들은 청과류를 온라인에서 잘 사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오프라인에서 사용자가 고른 그 물품이 그대로 배송될 수 있도록, 신선식품의 경우 동종동량의 물품이라고 할지라도 동일한 바코드를 쓰지 않는다. 공산품의 경우 동일한 물품은 동일한 바코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어떠한 물품을 주던지 간에 상관이 없지만, 청과와 같은 신선식품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그렇지 않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에서 고른 가로로 납작하면서 둥글둥글한 양파 3KG가 그대로 배송될 수 있도록 바코드를 고유식별부호와 같이 부여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에서 고른 가로로 납작하면서 둥글둥글한 양파 3KG를 그대로 매대에 두면, 다른 사용자가 또 바코드를 찍어볼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바코드를 찍은 청과류가 있다면 고른 물품통 안으로 넣어 이후 픽업 직원들이 이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한다.
리마인더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구매하는 물품의 패턴을 학습하고, 무료 배달 서비스가 가능한 배달가능금액이 가맹점 단말(400)에서 설정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스캔한 물품의 결제금액이 배달가능금액 이하인 경우, 결제금액과 배달가능금액의 차액의 가격을 가진 물품 리스트와 학습된 물품의 패턴에 따른 물품 리스트를 비교하여 공통된 물품을 사용자 단말(100)로 알려줄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두루마리 휴지는 3 달에 한 번씩 사고, 샴푸는 2 달에 한 번씩 사고, 커피믹스는 한 달에 1 상자씩 산다고 가정하자. 두루마리 휴지, 샴푸, 커피믹스 모두 2020년 10월에 구매를 했다면, 11월에는 커피믹스를 사야한다. 이때, 현재 사용자가 담은 물품이 3 만원이고, 배달가능금액이 4 만원이라면 만 원의 차액이 남는다. 만 원을 채워야 빈 손으로 갈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장바구니에 모두 담아 양 손 무겁게 가야한다. 이때, 현재 시점에 사용자가 사야할 시기에 있는 물품이면서도 만 원에 대응하는 물품을 골라 리마인더부(340)가 사용자에게 추천을 해줄 수 있다. "커피믹스가 다 떨어져가지 않나요?"라는 등으로 사용자에게 추천을 해줄 수 있고, 사용자는 커피믹스가 다 떨어져 다시 마트에 나오는 일이 없으면서도 무료 배달 서비스도 받을 수 있어서 일석이조가 된다.
상술한 구매 패턴을 학습하여 사용하는 것에 부가적으로 상황인지 기술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황인지(Context-Awareness) 기술이란 사용자의 생활패턴이나 습관, 생체신호, 주변 환경 등을 분석하여 특정상황에 맞게 최적화된 기능을 도출함으로서 사용자의 요구를 사전에 예측하고 제시하는 S/W, H/W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컨텍스트란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환경에서 얻을 수 있는 모든 정보를 컴퓨터의 언어로 표현한 것이다. 사용자 프로파일, 실시간 생체정보, 위치 등의 유저 컨텍스트(User Context)와 조도, 습도, 온도 등의 물리적 컨텍스트(Physical Context), 시간, 일, 주, 월 등의 시간 컨텍스트(Time Context) 등이 있다. 컨텍스트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센서 등을 통해 수집된다.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프로파일 정보 등을 직접 입력받거나, 위치, 날씨, 온도, 습도 등과 같이 환경적인 컨텍스트 정보 등은 센서를 통해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동안에도 실시간으로 다양한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모바일 센서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반영한 노출순위를 변경을 통한 추천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모바일 센서로부터 수집한 컨텍스트 정보는 전처리 과정을 거쳐 행동 패턴을 추론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행동 패턴(Behavior Pattern)이란 사용자 행동의 일정한 유형으로 볼 수 있다. 사용자가 주로 많이 하는 행동이나 반복적으로 하는 행동 또는 일정한 순서가 있는 행동 등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행동패턴이란 사용자가 특정 상황에서 주로 하는 행동으로 정의한다.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하고 특정 행동을 추론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기준에 따라 사용자 행동패턴을 분류할 필요가 있다. 이때, 행동패턴을 추론하기 위한 첫 번째 방법은, 나이브 베이즈 방정식이 이용될 수 있는데, 특정 데이터가 기 정의되어 있는 사용자 행동 패턴 분류에 속할 확률을 계산하여 가장 높은 확률의 행동 패턴을 추론한다. 이를 위해 나이브 베이즈(Naive Bayes) 분류기를 이용할 수 있다. 나이브 베이즈는 조건부 확률 모델로, 입력 변수가 서로 독립이라는 가정 하에 결합 확률을 계산하고 가장 높은 확률의 분류를 추론한다. 나이브 베이즈는 단순하면서도 정확도가 높은 성능을 보이고 효율적으로 학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행동 패턴을 추론하기 위해 이하 수학식 1과 같은 나이브 베이즈 방정식을 이용할 수 있다.
Figure 112020120243200-pat00001
이때, Π는 i=1부터 n까지이다. 수학식 1은 어떤 입력 변수(속성)가 주어졌을 때 특정 카테고리에 속할 가장 높은 확률을 구하는 식이다. ck는 카테고리 k일 확률을 의미하며, xi는 i번째 속성일 확률, p(ck)는 전체 집합에서 카테고리 k가 속할 확률, p(xi|ck)는 카테고리 k에서 특정 속성 x일 확률을 나타낸다. Vmax는 가장 큰 확률값이다.
행동패턴 추론을 위한 두 번째 방법은 선호도 예측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것이다. 고객 간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각 아이템 i에 대한 사용자 a의 예측치를 다른 사용자들의 평균으로부터 편차들에 대한 가중 평균을 계산하는 식은 이하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20120243200-pat00002
P(a,i)는, 사용자 a가 경험하지 않은 아이템 i에 대한 a의 선호 예측값을 의미한다. 바(Bar) ra와 바(Bar) ru는 각각 사용자 a와 u가 평가한 모든 아이템에 대한 평가 점수의 평균을 나타내고, ru,i는 이웃 사용자 u의 아이템 i에 대한 평가점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두 가지를 모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청과류는 전통시장의 강세 품목인데, 문제는 대형 마트와 같이 배달을 해주는 서비스가 없어서 장바구니 카트를 가지고 다녀야 한다. 카트를 끌고 오거나 가지고 갈 수 있는 힘이 있는 사람이라면 괜찮지만, 카트를 끌 수 없는 노인계층에서는 살 수 있는 돈이 있지만 이를 배달해줄 사람이 없어 많이 못사는 경우도 존재한다. 또, 전통시장에서도 각 상인들이 운영하는 점포가 개별적이기 때문에 배달이 안되는 문제로 타계점을 찾으려고 정부차원에서 나서서 중기청 주관으로 50개 전통시장에「장보기 및 배송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지만, 청과류는 대체물이 아니라 특정물일 수 밖에 없다는 특징 때문에 "매력 쓸모 없는 없플"이라는 오명까지 얻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각 청과물에 바코드를 부착하거나, 각 사용자별로 바코드를 출력하도록 하고,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청과물을 고른 후 사용자의 바코드를 가맹점 단말(400)에서 스캔을 하면, 사용자 바코드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산 물건의 목록이 누적 및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과 1 개마다 바코드를 붙여놓을 수는 없으므로, 사용자가 고른 사과를 담은 봉지에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전용 고유식별코드(바코드)를 붙여놓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가맹점주는 사용자가 고른 청과류를 담은 봉지에 사용자의 바코드를 부착해놓은 후, 픽업 직원이나 배달기사가 이를 가지고 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청과류를 담고 바코드를 찍거나 가맹점 단말(400)에서 사용자 바코드를 찍으면, 온라인 장바구니에 모든 것이 담기게 되고, 사용자는 결제를 한 후 집에 빈 손으로 오면 된다. 카트를 가지고 갈 필요도 없고 가지고 올 필요도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 과일가게에서 귤 50개를 사고, B 채소가게에서 파프리카 2 개, 양배추 한 통 및 쪽파 한 단을 사고, C 생선가게에서 오징어 5 마리와 바지락 500g을 사고, D 튀김가게에서 씨앗호떡 5 개를 사고, E 청과에서 양파 10kg를 사고, F 음식점에서 부대찌개 3 인분을 포장했다고 가정하자. 사용자의 바코드가 [12345678]이라면, A 과일가게에서 사용자가 하나하나 골라서 구매한 귤 50개를 담은 봉지에 [12345678]가 부착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100)은, [12345678]의 바코드를 출력하면, A 과일가게에서 바코드 리더기나 과일가게 사장님의 핸드폰으로 바코드를 스캔한 후, 영수증이 출력되는 용지로 바코드를 출력하여 귤 50개를 담은 봉지에 [12345678]에 대응하는 바코드가 인쇄된 용지가 부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A-B-C-D-E-F 가게에서는 사용자 바코드 [12345678]가 붙은 봉지가 준비된다. 사용자가 F 음식점을 나오면서 구매하기 버튼을 누르면 이 정보는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배달 단말(500)로 전송되고, 배달 단말(500)의 네비게이션에서 경유지는 A-B-C-D-E-F이고, 출발지는 배달기사의 현위치, 도착지는 사용자의 집이 된다.
이때, 1 사람의 물품을 1 명의 배달기사가 모두 처리하는 경우에는 단가가 맞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기 설정된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배달차량이 바코드가 인쇄된 가맹점을 돌고 배달을 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단가를 낮출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담당자 할당 문제는, 배달 수를 균등하게 배분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인력이 할당되어야 하고, 각 배달기사의 업무 부담이 균등해야 한다. 여기서, 담당자 입장에서의 부하(Load)는, 각 배달상자의 무게나 숫자, 조치 시간 그리고 이동해야 하는 거리 등을 업무 부하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담당자 할당 문제는, TSP(Traveling Salesman Problem) 및 지역분할(Regional Partitioning) 문제로 귀결되는데, TSP는 NPHard 문제에 속하는 문제이며, 모든 구역들 간의 이동시간이나 비용 등이 존재하며, 모든 구역들을 방문하고 돌아왔을 때의 최소 비용 혹은 최소 시간 등을 구하는 문제이다. TSP는 대칭적인 거리를 가지는 문제와 비대칭적인 거리를 가지는 문제로 나누어지는데, 경우의 수를 모두 확인하는 방법 이외에도, 시뮬레이티 드 어닐링(Simulated Annealing), 터부 검색(Tabu Search), 유전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개미집단 최적화(Ant Colony Optimization)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개미집단 최적화를 이용할 수 있다. 구동 초기에는 일반적인 개미집단 최적화와 같이 임의의 시작점을 잡고 시작하게 된다. 임의의 시작점을 시작으로 하여 개미집단 최적화 알고리즘을 시작하게 되고 개미집단 최적화 알고리즘은 최적의 값을 찾게 된다. 이때, 개미집단 최적화 알고리즘은, 최적의 값을 찾게 되었을 때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게 되는데, 여기서 일반적인 개미집단 최적화 알고리즘은 전역 최적 값인지 국부 최적 값인지 확인할 수가 없다. 만약, 일정 확률을 통해서 돌연변이를 진행시키는 경우, 돌연변이는 개미집단 최적화 알고리즘에서 나온 경로에서 한 숫자를 뽑아 변형을 주게 된다. 돌연변이를 통해 생성된 경로를 다시 한 번 개미집단 최적화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기존의 경로와 돌연변이를 통해생성된 경로를 비교하게 된다. 이때, 돌연변이를 통해 나온 값은 전혀 새로운 경로를 제시하기 때문에, 만약 돌연변이를 통해 나온 값이 국부 최적값으로 수렴하고 있다면, 이러한 돌연변이를 통해서 전역 최적 값으로 수렴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고, 자유경쟁시장 하에서 배달 수를 균등하게 배분하지 않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정리하면, 가맹점은 전통시장 내 복수의 개별 가맹점이고, 전통시장배달부(35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복수의 개별 가맹점에서 복수의 물품의 바코드를 스캔하고 결제를 수행한 경우, 복수의 개별 가맹점의 위치 및 사용자 단말(100)의 배송지를 배달 단말(500)로 전달할 수 있다.
소셜커넥팅부(36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호(Call) 수발신 또는 메세지 송수신이 기 설정된 빈도를 초과한 연락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을 수집하고,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의 위치가 가맹점 단말(400)의 위치와 동일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이 위치한 가맹점의 전단지 이미지 및 지인 위치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로나(COVID-19)로 일명 후다닥 쇼핑이 유행이지만, 사람 간의 접촉이 현저히 줄어들어 전 세계인이 코로나 블루의 기운을 느끼고 있다. 이때, 마트와 같은 곳에 무조건 가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마트에서 지인을 만나면 별도로 시간을 내서 이야기를 하지 않아도 되고 장을 보면서 잠시 안부를 묻는 스몰톡(Small Talk)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한 달에 전화나 문자를 총 100건 했는데 그 중 5%가 넘는 비율을 차지하는 지인이 존재하고, 그 지인이 동네 마트에 위치한다고 가정하면, 사용자 A에게 이를 알려서 잠시라도 마주칠 수 있도록 안내하면서, 행사 전단지 이미지도 함께 넣어주는 것이다.
만약 사용자 A가 지인 B만을 만나러 시간을 내어 동네 마트에 가진 않겠지만, 만약 동네 마트에서 어떤 상품을 세일한다는 것을 아는 경우에는 지인 B도 잠시 보고 장도 보는 일석이조로 겸사겸사 해당 마트에 갈 수도 있다. 특히나 노년층의 경우 온라인이 아닌 동네 이웃에게 동네 소식을 듣고 연결된다는 느낌을 가지고 있다. 또 노년층이 아니더라도 온라인이 아닌 오프라인에서만 들을 수 있는 이야기도 존재한다. 이에, 소셜커넥팅부(360)는, 사용자 단말(100)의 호(Call), 메세지, 카카오톡과 같은 메신저, 또 소셜미디어 등과 같은 로그를 수집하여 어떠한 사람과 연락을 하고 있는지 등을 확인하고, 지인의 위치가 각 가맹점의 위치라면 이를 사용자 단말(100)로 알려줄 수 있다. 물론, 지인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다운로드하고 위치정보제공에 동의를 한 상태를 전제로 한다.
메뉴추천부(37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구매한 물품 중 식재료가 포함된 경우, 식재료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레시피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대부분의 레시피가, 메뉴 제목에 필요한 재료를 소개하는 방법이라서, 예를 들어, 카레를 하려면, 감자, 양파, 돼지고기, 당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준다. 하지만, 나의 냉장고에는 감자, 양파, 돼지고기, 당근이 없고, 파프리카, 양배추, 사과 뿐이다. 즉, 내가 가지고 있는 재료로 무엇을 해먹을 수 있는지에 대한 레시피 제공 서비스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무엇을 구매했는지를 본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알게 되므로, 해당 재료로 어떠한 레시피가 가능한지에 대한 다양한 메뉴(Variation)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재료의 낭비를 막도록 한다.
동일한 맥락으로 섭취일관리부(38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결제한 물품 중 냉장보관이 요구되는 식료품이 존재하는 경우, 식료품을 추출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결제한 날을 기준으로 경과일을 사용자 단말(100)로 알려주고, 각 식료품마다 기 매핑되어 저장된 섭취가능잔여일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무슨 재료를 언제 샀는지를 파악할 수 있고, 유통기한이 아닌 섭취가능일을 설정하는 경우, 언제까지 해당 재료를 먹지 않으면 해당 재료가 상하거나 버려야 한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다. 물론, 재료를 보관하는 장소나 방법에 따라 서로 다양한 오차범위가 있겠지만,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날씨, 계절, 온도 등에 맞게 섭취가능잔여일을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사용자가 사과, 양배추, 파프리카, 계란을 샀다고 가정하자. 각각 섭취가능일이 10일, 10일, 4 일, 10일이고, 현재 4 일이 경과했다. 그렇다면 파프리카는 오늘 바로 먹어야 최소한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섭취일관리부(380)는, 사용자가 사과, 양배추, 계란을 산 것을 알고 있으므로, 양배추, 계란 및 양배추와, 파프리카를 주재료로 할 수 있는 레시피를 찾을 수 있다. 이 레시피를 사용자 단말(100)로 알려줌으로써 IoT 인공지능 냉장고가 없더라도 사용자는 그 기능을 섭취일관리부(380)를 통해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강제구동부(390)는, 가맹점에서 등록한 주소에 대응하는 GPS에 사용자 단말(100)이 위치한 경우 바코드를 스캔하기 위한 스캔 화면을 강제로 웨이크업(Wakeup)시켜 구동시킬 수 있다. 바코드를 스캔하기 위한 스캔 화면을 구동시키는 것도 사용자 입장에서는 귀찮다. 마트 앞에서 화면을 보면서 스캔 화면으로 가기까지의 조작을 하는 경우, 모두 입구 앞에서 서서 스캔 화면을 구동시킬 것이기 때문에 진로방해 및 유동인구 정체의 염려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했다면, 강제구동부(390)는 사용자의 위치 = 가맹점의 위치인 경우 사용자 단말(100)이 바로 스캔 화면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덧붙여서, 바코드는 1차원 코드 또는 QR 코드를 포함한 2차원 코드로 대체가능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물품 및 바코드를 등록받고, 가맹점의 고유식별부호를 기준으로, 물품, 바코드, 가격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한다. 그리고, (b) 사용자 단말(100)에서 원하는 물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가 고른 물품의 목록, 즉 온라인 장바구니 화면에 바코드를 찍은 내역을 보여준다. 그리고, (c) 배송가능금액이 입력된 경우, (d)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가 고른 물품의 가격을 모두 합산한 현재 결제금액과, 배송가능금액 간의 차액을 보여준다.
이때,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 차액에 대응하는 물품을 추천하기 위하여 3 가지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구매패턴으로 사용자가 사야할 물품 중 차액에 대응하는 물품을 추천해주거나, 연관 알고리즘으로 현재 구매한 물품에 어울리는 물품 중 차액에 대응하는 물품을 필터링하여 추천해주거나, 레시피에 기반하여 필요한 재료에 대응하는 물품 중 차액에 대응하는 물품을 필터링하여 추천해줄 수 있다.
이때, 연관규칙 알고리즘이란 데이터마이닝 분석기법 중 하나로, 예를 들어 A 라는 상품을 산 고객은 B 라는 상품을 살 확률이 높다는 연관성을 밝혀주는 알고리즘으로, 두 개의 상품을 번들링할 때 이용될 수 있고, A라는 상품과 B 라는 상품의 상호연관규칙을 찾는 것이다. 이때, 연관분석은 지지도, 신뢰도, 향상도 등의 평가기준을 기반으로 하여 각 항목들의 연관성을 찾아내는데 이용될 수 있는데, 연관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으로 이 외에도 다양한 평가측도가 개발되어 있다. 연관규칙평가의 지지도(Support)는 전체 고객 중 A,B,C를 함께 구매한 비율을 의미하고, IF A & B THEN C = P(A∩B∩C)로 정의된다. 신뢰도(Confidence)는, A, B를 구매한 고객 중 C 를 구매한 고객의 비율을 의미하고, IF A & B THEN C = P(A∩B∩C)/P(A∩B)로 정의된다. 향상도(Lift)는 A,B를 구매한 고객 중에서 C를 구매한 고객의 비율을 전체 고객 중에서 C를 구매한 고객의 비율로 나눈 값으로, IF A & B THEN C = P(C|A∩B)/P(C)로 정의된다.
(b) 이렇게 장바구니에 배송가능금액을 모두 채우게 되면 사용자 단말(100)은 구매하기 버튼을 선택받아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게 된다.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결제가 완료되면 사용자가 위치한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400)로 사용자가 결제한 물품의 목록을 사용자의 주소와 함께 보내준다. 이에 따라, 마트의 직원이나 포장 직원들은 각 물품을 장바구니에 담아 배달기사에게 전달할 수 있다. 배달기사의 배달 단말(500)의 위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의해 사용자 단말(100)로 공유되고, 사용자 단말(100)은, 배달기사가 언제오는지, 즉 사용자 단말(100)의 집(배송지)까지 몇 분이 걸리는지, 현재 어디까지 와 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빈 손으로 갔다가 빈 손으로 나오는 핸즈프리 쇼핑이 가능해진다.
이때,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가맹점 단말(400)에서 배달 단말(500)을 지정하거나 자체 직원에게 배달 요청을 보내는 경우, 이를 사용자 단말(100)로 공유하고, (d)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구매를 중개하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구매한 물품을 관리할 수 있도록 섭취가능일과 구매한 물품으로 어떠한 음식을 해먹을 수 있는지, 또 신선식품이 아니더라도 유통기한이 존재하는 제품의 경우에는 언제까지 먹어야 하는지, 다 써가는 제품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등을 알려줌으로써 소비자의 충성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는, 가맹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물품의 가격 및 바코드를 수신하여 가맹점 단말의 고유식별코드와 매핑되도록 저장한다(S5100).
그리고,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물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서 온라인 장바구니에 누적된 결제금액을 출력하도록 한다(S5200).
또,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구매하기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S5300), 결제 프로세스가 완료된 경우 가맹점 단말로 주문내역 데이터를 전송한다(S5400).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물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온라인 장바구니에 구매할 물품을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상기 온라인 장바구니에 누적된 결제금액을 출력하며, 구매하기 버튼을 선택하면 결제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결제 프로세스를 완료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배송지 및 온라인 장바구니 내 물품 리스트가 포함된 주문내역 데이터를 출력하는 가맹점 단말; 및
    상기 가맹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물품의 가격 및 바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의 고유식별코드와 매핑되도록 저장하는 등록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서 온라인 장바구니에 누적된 결제금액을 출력하도록 하는 출력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구매하기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결제부, 상기 결제 프로세스가 완료된 경우 상기 가맹점 단말로 상기 주문내역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의 가격 및 바코드를 수신할 때, 공산품을 제외한 물품은 종류물이 아닌 특정물로 설정하여 각 개별 물품의 바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개별 물품의 바코드를 스캔한 경우 상기 개별 물품을 배달하도록 상기 가맹점 단말로 알림을 전송하는 신선관리부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공산품을 제외한 물품의 경우, 동종동량의 물품을 나타내는 바코드와 차별화하여, 개별 물품을 나타내기 위해서 바코드를 고유식별부호와 같이 부여한 상기 개별 물품의 바코드로 관리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온라인 장바구니에 누적된 결제금액과 배달가능금액 간의 차액에 대응하면서도 상기 사용자 단말의 구매패턴에 맞는 물품, 연관 알고리즘에 따라 현재 구매한 물품에 어울리는 물품 중 차액에 대응하는 물품 및 레시피에 기반하여 구매한 물품으로 가능한 레시피에서 필요한 재료에 대응하는 물품 중 차액에 대응하는 물품 중 어느 하나의 물품을 추천하며,
    상기 연관 알고리즘은, A라는 상품을 산 고객은 B라는 상품을 살 확률이 높다는 연관성을 나타내는 알고리즘으로,
    연관분석은,
    지지도, 신뢰도 및 향상도를 포함하는 평가기준을 기반으로 하여 각 항목들의 연관성을 찾아내는데 이용되며,
    연관규칙평가의 상기 지지도(Support)는, 전체 고객 중 A와 B와 C를 함께 구매한 비율을 의미하고,
    상기 신뢰도(Confidence)는, A와 B를 구매한 고객 중 C를 구매한 고객의 비율을 의미하고,
    상기 향상도(Lift)는, A와 B를 구매한 고객 중에서 C를 구매한 고객의 비율을 전체 고객 중에서 C를 구매한 고객의 비율로 나눈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가맹점 단말에서 무료 배달 서비스가 가능한 배달가능금액을 설정받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온라인 장바구니에 누적된 결제금액과 상기 배달가능금액 간의 차액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온라인 장바구니에 물품이 담길 때마다 출력되도록 하는 배달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는,
    각 사용자별로 출력된 바코드를 이용해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청과물을 고른 후 사용자의 바코드를 상기 가맹점 단말에서 스캔하면, 상기 사용자의 바코드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고른 물건의 목록이 누적 및 기록되도록 관리하고,
    상기 가맹점 단말의 가맹점주가 사용자가 고른 청과물을 담은 봉지에 상기 사용자의 바코드를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결제를 수행한 경우, 가맹점의 위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배송지를 배송 단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구매하는 물품의 패턴을 학습하고, 무료 배달 서비스가 가능한 배달가능금액이 상기 가맹점 단말에서 설정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스캔한 물품의 결제금액이 상기 배달가능금액 이하인 경우, 상기 결제금액과 배달가능금액의 차액의 가격을 가진 물품 리스트와 학습된 상기 물품의 패턴에 따른 물품 리스트를 비교하여 공통된 물품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알려주는 리마인더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은 전통시장 내 복수의 개별 가맹점이고,
    상기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복수의 개별 가맹점에서 복수의 물품의 바코드를 스캔하고 결제를 수행한 경우, 상기 복수의 개별 가맹점의 위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배송지를 배달 단말로 전달하는 전통시장배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호(Call) 수발신 또는 메세지 송수신이 기 설정된 빈도를 초과한 연락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을 수집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의 위치가 상기 가맹점 단말의 위치와 동일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이 위치한 가맹점의 전단지 이미지 및 지인 위치 알림을 전송하는 소셜커넥팅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구매한 물품 중 식재료가 포함된 경우, 상기 식재료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레시피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메뉴추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결제한 물품 중 냉장보관이 요구되는 식료품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식료품을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결제한 날을 기준으로 경과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알려주고, 각 식료품마다 기 매핑되어 저장된 섭취가능잔여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섭취일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가맹점에서 등록한 주소에 대응하는 GPS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경우 상기 바코드를 스캔하기 위한 스캔 화면을 강제로 웨이크업(Wakeup)시켜 구동하는 강제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는 1차원 코드 또는 QR 코드를 포함한 2차원 코드로 대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00149566A 2020-11-10 2020-11-10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72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566A KR102272654B1 (ko) 2020-11-10 2020-11-10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566A KR102272654B1 (ko) 2020-11-10 2020-11-10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2654B1 true KR102272654B1 (ko) 2021-07-05

Family

ID=76899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566A KR102272654B1 (ko) 2020-11-10 2020-11-10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6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4269A (ko) 2021-12-21 2023-06-28 주식회사 싱커 온오프라인 연계형 의류 판매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1544A (ja) * 2008-09-05 2010-03-18 Ntt Data Corp ショッピング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30047799A (ko) * 2011-10-28 2013-05-09 양동훈 유비쿼터스 스마트 쇼핑 시스템
JP2014052739A (ja) * 2012-09-05 2014-03-20 Toshiba Tec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17781A (ko) * 2013-04-16 2015-02-23 주식회사 스타트업팩토리 상품 고유코드를 이용한 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95983A (ko) * 2014-02-13 2015-08-24 문철호 할인점 온-오프라인 쇼핑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45408A (ko) * 2014-06-19 2015-12-30 신유항 모바일 메신저를 이용한 모바일 할인 쿠폰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20206A (ko) * 2017-08-16 2019-02-28 트라이큐빅스 인크.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한 물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1544A (ja) * 2008-09-05 2010-03-18 Ntt Data Corp ショッピング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30047799A (ko) * 2011-10-28 2013-05-09 양동훈 유비쿼터스 스마트 쇼핑 시스템
JP2014052739A (ja) * 2012-09-05 2014-03-20 Toshiba Tec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17781A (ko) * 2013-04-16 2015-02-23 주식회사 스타트업팩토리 상품 고유코드를 이용한 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95983A (ko) * 2014-02-13 2015-08-24 문철호 할인점 온-오프라인 쇼핑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45408A (ko) * 2014-06-19 2015-12-30 신유항 모바일 메신저를 이용한 모바일 할인 쿠폰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20206A (ko) * 2017-08-16 2019-02-28 트라이큐빅스 인크.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한 물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4269A (ko) 2021-12-21 2023-06-28 주식회사 싱커 온오프라인 연계형 의류 판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rfan et al. Prediction of quality food sale in mart using the AI-based TOR method
Mehta et al. Price uncertainty and consumer search: A structural model of consideration set formation
US9685048B2 (en) Automatically generating an optimal marketing strategy for improving cross sales and upsales of items
Liao et al. Investigating Taiwan Instagram users’ behaviors for social media and social commerce development
US20150379601A1 (en) Commerce System and Method of Deferring Purchases to Optimize Purchase Conditions
US200903273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consumption network
KR102297669B1 (ko) 제조사 및 유통사 간 연결을 위한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080249835A1 (en) Identifying significant groupings of customers for use in customizing digital media marketing content provided directly to a customer
CN101918939A (zh) 增强和存储用于再调用的数据
US20080249866A1 (en) Generating customized marketing content for upsale of items
US20170301002A1 (en) Vector-based data storage methods and apparatus
AU2009233374A1 (en) Analyzing transactional data
KR101859055B1 (ko) 상품 아이템과 사용자 게시물 기반의 상품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그 장치 및 상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Wang et al. Mobile advertising and traffic conversion: The effects of front traffic and spatial competition
KR20200052680A (ko)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커머스 플랫폼 시스템
Swink et al. Analytics applications, limitations, and opportunities in restaurant supply chains
CN107430673A (zh) 企业通信服务
KR102272654B1 (ko) 오프라인 매장 내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핸즈프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Kopalle et al. Dynamic pricing: Definition, implications for manager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hmed et al. Innovation strategy in retail: The unstaffed digital supermarkets at LIFVS
Kotb Smart retailing in COVID-19 world: insights from Egypt
Garrigos-Simon et al. Pervasive information gathering and data mining for efficient business administration
Ehsani et al. Consumer segmentation based on location and timing dimensions using big data from business-to-customer retailing marketplaces
Attahiru Gana et al. Consumers’ value assessment on location-based service application as a mobile marketing tool
Renko et al. The link between retail innovations and youth purchasing behaviou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