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7805A -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7805A
KR20170107805A KR1020160031584A KR20160031584A KR20170107805A KR 20170107805 A KR20170107805 A KR 20170107805A KR 1020160031584 A KR1020160031584 A KR 1020160031584A KR 20160031584 A KR20160031584 A KR 20160031584A KR 20170107805 A KR20170107805 A KR 20170107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l
invoice
job
tim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베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베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베트
Priority to KR1020160031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7805A/ko
Publication of KR20170107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805A/ko
Priority to KR1020180011595A priority patent/KR102349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상품의 배송을 위한 포장 작업 관리 장치가 개시된다. 포장 작업 관리 장치는 포장 작업대와 별도로 스캔 테이블을 구비한다. 스캔 테이블에는 고정 식별코드가 부착되고, 식별정보 인식부가 결합된다. 작업자가 스캔 테이블에 송장을 올려 놓으면, 송장에 부착된 발주용 식별코드가 인식되고, 촬영 개시 명령이 출력된다. 작업자가, 송장을 포장 박스에 부착하기 위하여 스캔 테이블로부터 들어올리거나, 혹은 다음 포장 작업을 위해 해당 송장을 치우면, 스캔 테이블에 부착된 고정 식별 코드가 식별정보 인식부에서 인식되고, 이에 따라 촬영 종료 명령이 발생되어 출력된다. 촬영 개시 명령과 촬영 종료 명령에 따라, 해당 송장분의 포장 작업 과정을 실시간 촬영한 영상이 구분되어 저장된다.

Description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 {realtime packing management system}
전자정보 시스템, 특히 상품을 포장하는 과정을 관리하는 전자적인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포장 작업은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고객이 주문한 내역인 주문 리스트를 참조하여 작업자가 한번에 배송될 상품들을 포장 박스에 담고 포장하는 작업이다. 종종 쇼핑몰에서 상품들이 주문한 내역과 일치하도록 적절히 포장되었음에도 고객들이 주문한 상품이 누락되었다거나 다른 상품이 배송되었다고 불평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2012.1.13.자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2015. 4. 22.자로 등록된 한국특허제1,515,962호는 발주서 바코드를 스캐너로 한번 인식하면 카메라로 포장 과정을 촬영하는 것을 시작하고, 동일한 발주서 바코드가 한번 더 스캔되면 촬영을 종료하고, 그 촬영된 파일을 발주건과 관련 지어 저장한 후, 향후에 고객 불평이 제기될 경우 고객에게 제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에 따르면, 작업자는 발주서를 스캐너로 2회 스캔함으로써 이러한 대책이 달성되고 있다.
제안된 발명은 이러한 작업 과정의 촬영 작업을 작업자가 좀 더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제안된 발명은 작업자가 일상적인 포장 작업과 거의 동일한 과정으로 작업하더라도 작업 단위별 실시간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양상에 따르면, 포장 작업대와 별도로 스캔 테이블이 제공된다. 스캔 테이블에는 고정 식별코드가 부착되고, 식별정보 인식부가 결합된다. 작업자가 스캔 테이블에 송장을 올려 놓으면, 송장에 부착된 발주용 식별코드가 인식되고, 촬영 개시 명령이 출력된다. 작업자가, 송장을 포장 박스에 부착하기 위하여 스캔 테이블로부터 들어올리거나, 혹은 다음 포장 작업을 위해 해당 송장을 치우면, 스캔 테이블에 부착된 고정 식별 코드가 식별정보 인식부에서 인식되고, 이에 따라 촬영 종료 명령이 발생되어 출력된다. 촬영 개시 명령과 촬영 종료 명령에 따라, 해당 송장분의 포장 작업 과정을 실시간 촬영한 영상이 구분되어 저장된다.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식별정보 인식부는 스캔 테이블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스캔 테이블 상부로 연장된 스캐너 거치대와, 이 스캐너 거치대에 거치된 바코드 스캐너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스캐너 거치대가 굴절 가능한 자바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스캔 테이블이 유효 인식 영역을 구별하기 위하여 유효 인식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돌출된 테두리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안된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는 포장할 송장을 올려 놓고 포장을 진행한 다음 포장 박스에 송장을 붙이기만 하면 작업단위별로 작업 영상이 저장될 수 있다.
또 실시간 포장 작업의 관리가 추가적인 작업자의 동작이나 작업 과정의 큰 변화 없이 달성된다. 또 포장 박스와 반드시 관련지어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는 송장에 기초하여 작업 구분이 이루어지므로 작업 효율이 제고되고 작업 구분 조작을 놓쳐서 다른 포장 작업 단위의 작업 영상들이 섞여 버리는 일들이 방지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작업 관리 장치의 작업 영상 처리 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작업대(50)에 포장 박스(30)가 놓이고 작업자의 포장 과정이 카메라(71)에 의해 촬영된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71)는 다관절 지지대(73)의 일단에 결합되며, 다관절 지지대(73)의 타단에 체결된 고정부(75)에 의해 포장 작업대(50)에 고정 결합된다. 다른 예에서 카메라(71)는 천정이나 벽면에 고정될 수도 있고, 복수의 작업자가 있어서 작업대가 복수개 배치될 경우 천정에 고정된 레일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71)는 예를 들면 컴퓨터와 같은 제어 장치(90)와 카메라 케이블(77)로 연결되어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교환한다.
일 실시예에서, 포장 작업대(50)에는 물품 정보 인식부(40)가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물품 정보 인식부(40)는 바코드 스캐너이다. 작업자는 포장 상자(30)에 포장할 물품을 담을 때 그 물품의 포장지에 부착된 물품 바코드를 바코드 스캐너(40)로 스캔한다. 스캔된 물품 정보는 송장에 있는 포장할 물품들의 리스트 상에 있는 물품 정보와 비교되어, 올바른 물품이 포장되고 있는지, 누락된 물품은 없는지 체크된다.
일 양상에 따르면, 포장 작업대(50)와 별도로 스캔 테이블(20)이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캔 테이블(2)은 포장 작업대(50)에 얹혀진 형태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캔 테이블은 포장 작업대(50)와 별개의 독립적인 테이블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스캔 테이블은 포장 작업대와 일체로 구비되며, 단지 구획된 영역일 수 있다.
스캔 테이블(20)에는 고정 식별코드(29)가 부착되고, 식별정보 인식부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 식별코드(29)는 바코드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고정 식별코드(29)는 QR 코드와 같은 2차원 바코드나, 또는 알에프 태그 혹은 문자로 인쇄된 숫자와 같이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 식별 코드(29)는 스캔 테이블(20)에 부착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쇄되거나 알에프 태그의 경우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스캔(scan)이란 레이저 스캔과 같은 광학적인 스캔 방식 뿐 아니라 1차원 이미지 센서나 2차원 이미지 센서에 의한 식별표시 독출 수단에 의한 독출 방식, 나아가 NFC 태그나 BLE(Bluetooth Low Energy) 비콘,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방식에 의한 식별정보 독출 수단의 독출 방식을 포괄하도록 정의된다.
작업자가 스캔 테이블(20)에 송장을 올려 놓으면, 송장에 부착된 발주용 식별코드가 인식되고, 촬영 개시 명령이 카메라(71)로 전송되어, 포장 작업대(50)에서 작업자가 작업하는 과정의 촬영이 개시된다. 작업자가, 포장 박스에 부착하기 위하여 송장을 스캔 테이블(20)로부터 들어올리거나, 혹은 다음 포장 작업을 위해 해당 송장을 치우면, 스캔 테이블(20)에 부착된 고정 식별 코드가 드러나서 식별정보 인식부(10)에서 인식되고, 이에 따라 촬영 종료 명령이 발생되어 촬영 작업이 종료되고, 해당 송장 분의 포장 작업 과정을 실시간 촬영한 영상이 저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작업 영상은 테이블 아래의 컴퓨터(90)에 저장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근처에 위치한, 혹은 원격지의 데이터 센터에 위치한 서버에 저장될 수도 있고, 클라우드 스토리지(cloud storage)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식별정보 인식부(10)는 바코드 스캐너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차원 바코드 스캐너, 2차원 바코드 스캐너, 문자 인식 엔진과 연동된 카메라, 무선 태그 리더기 등 근접 거리에서 비접촉식으로 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인식 수단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식별정보 인식부(10)는 스캔 테이블(2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스캔 테이블(20) 상부로 연장된 스캐너 거치대(13,15,17,19)와, 이 스캐너 거치대(13,15,17,19)에 거치된 핸드헬드 스캐너(handheld scanner)(11)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스캐너 거치대가 굴절 가능한 자바라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예로, 스캐너 거치대는 하나 혹은 복수의 관절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캐너 거치대는 스캔 테이블(20)의 일측에 체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거치대 지지대(19)와, 그 거치대 지지대(19)에 일단이 결합된 자바라부(15), 그리고 자바라부(15)의 타단에 결합된 거치부(13)를 포함한다. 거치부(13)는 핸드헬드 스캐너(11)가 스캔 면이 스캔 테이블(20)의 인식 영역을 향하도록 거치될 수 있도록, 인식 영역을 향하여 열려 있고, 핸드헬드 스캐너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 구조를 가지고 있다. 송장의 바코드가 인식이 잘 안되는 경우에, 작업자는 핸드헬드 스캐너를 집어서 바코드에 근접시키거나 좀 더 정확히 정렬시켜 인식을 시도할 수 있다. 미설명된 부호는 핸드헬드 스캐너(11)를 컴퓨터 등 제어장치(9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스캐너 케이블(17)이다. 그러나 또다른 실시예에서, 핸드헬드 스캐너 등 식별정보 인식부(10)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제어 장치(90)와 통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물품 정보 입력부(40)는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식별정보 인식부(10)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물품 정보 입력부(40)인 바코드 스캐너가 없이, 핸드헬드 스캐너(11)를 사용하여 물품의 포장지에 부착된 물품용 바코드를 읽어 들일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작업자는 이전 포장 작업이 끝나면 핸드헬드 스캐너(11)를 거치부(13)에 거치하고, 새로운 작업을 위해 빈 포장 상자(30)를 포장 작업대(50)에 올려 놓는다. 이후에 그 작업에 해당하는 송장을 집어서 스캔 테이블(20)에 올려 놓고, 송장에 있는 물품 정보 리스트를 확인하면서 물품을 집고 핸드헬드 스캐너(11)를 집어 바코드를 읽히고 포장 상자(30)에 담는 작업을 물품 정보 리스트의 모든 물품에 대해 반복한다. 리스트의 모든 물품에 대해 작업이 완료되면, 포장 상자를 닫고 테이핑한 다음, 스캔 테이블(20)의 송장을 집어서 그 포장 상자에 붙인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스캔 테이블(20)이 유효 인식 영역을 구별하기 위하여 인식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돌출된 테두리부(21,23,2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캔 테이블(20)은 식별정보 인식부(10)가 고정되는 거치대 지지대(19)가 체결되는 스캐너 고정 영역(24)과, 스캔시 인식 영역인 인식 영역(26)으로 구획되어 있다. 인식 영역(26)에서 송장이 놓여졌을 때 그 송장에 부착된 식별정보가 식별정보 인식부(10)에 의해 일정 이상의 인식율로 인식될 수 있는 영역을 유효 인식 영역으로 정의한다. 유효 인식 영역을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쉽게 구별하고, 송장을 올려 놓을 때 핸드헬드 스캐너와 같은 식별정보 인식부(10)와 보다 쉽게 정렬시키기 위해 스캔 테이블의 유효 인식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돌출된 테두리부(21,23,25)를 구비할 수 있다. 테두리부는 높이를 가진 벽체 형태일 수도 있고, 서류의 정렬을 유도하도록 그 내측이 경사질 수도 있으며, 유효 인식 영역을 모두 둘러싸거나, 4각형으로 구획된 유효 인식 영역의 단지 1면에만 형성되거나, 연속된 형태나 단속적인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200)는 스캔 테이블에 결합된 식별 정보 인식부(10)와, 이 식별정보 인식부(10)에서 송장에 부착된 발주용 식별코드가 인식되었다는 정보가 입력되면 촬영 개시 명령을 발생시키고, 이후에 송장이 치워져서 스캔 테이블에 부착된 식별 코드가 인식되면 촬영 종료 명령을 발생시키는 명령 발생부(210)와, 명령 발생부(210)에 의해 발생되는 촬영 개시 명령 또는 촬영 종료 명령에 따라, 카메라가 실시간 촬영하는 작업 영상을 작업 단위별로 구분하여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저장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명령 발생부(210)와 저장 제어부(230)는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프로그래머블 로직 혹은 이들과 전자 소자들을 포함하는 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거치형 바코드 스캐너는 스캔 영역을 주기적으로 스캔하면서 바코드가 인식되면 이를 비프(beep) 음으로 알리고 인식된 바코드를 출력한다. 스캔 테이블(20)에 송장이 올려져 있지 않으면, 디폴트로 스캔 테이블(20)에 부착된 고정 식별 코드(29)가 반복적으로 인식된다. 식별 정보 인식부(10)는 고정 식별 코드(29)가 새롭게 인식될 때 해당 식별 코드를 명령 발생부(210)로 전송하고, 동일한 고정 식별 코드(29)가 반복 인식될 경우 전송하지 않는다.
명령 발생부(210)는 이와 같이 식별정보 인식부(10)에서 인식된 식별코드가 입력되면, 고정 식별 코드가 아니고 새로운 송장의 발주용 식별코드인 경우 촬영 개시 명령을 발생시킨다. 다시 고정 식별 코드(29)가 새롭게 식별되면, 송장이 치워진 것으로 판단하여 촬영 종료 명령을 발생시킨다. 이때 작업자가 송장을 포장 박스에 부착하는 모습 및 부착된 모습을 해당 작업 단위의 작업 영상에 포함시키기 위해, 촬영 종료 명령은 다시 고정 식별 코드(29)가 새롭게 식별된 후 일정 시간 지연된 이후에 발생시킬 수도 있다. 제안된 발명은 이러한 경우를 포괄하도록 의도되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저장 제어부(230)는 카메라(71)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스트림을 저장하는 저장 처리부(250)를 제어하여 작업 영상을 작업 단위별로 구분하여 별개의 파일로 저장한다. 일 양상에 따라, 저장 처리부(250)는 저장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71)로부터의 실시간 작업 영상 데이터를 작업 단위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파일명이 송장번호_날짜.mpg 인 동영상 파일로 송장 별로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 처리부(250)는 카메라(71)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스트림을 버퍼링하여 메모리(290)에 파일로 저장한다. 메모리(290)는 반도체 메모리, 하드디스크, SSD 등 다양한 대용량 저장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저장 처리부(250)는 스트리밍으로 수신되는 영상을 버퍼링하다 촬영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새로운 파일을 열고 그 시점부터 저장된 버퍼의 영상 프레임들, 예를 들어 엠펙(MPEG) 형식으로 압축된 영상인 경우 그 시점 직전의 I-frame 부터 메모리(290)에 복사하여 기록해 나간다. 이후에 촬영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그 시점의 영상, 예를 들어 엠펙(MPEG) 형식으로 압축된 영상인 경우 그 시점 직후의 I-frame 까지 기록한 후 파일을 닫는다.
또다른 예로, 저장 제어부(230)는 카메라(71) 및 저장 처리부(250)를 제어한다. 촬영 개시 명령이 수신되면, 저장 제어부(230)는 대기 중이던 카메라(71)에게 촬영 을 개시하도록 제어 명령을 송출하고, 저장 처리부(250)에게 새로운 파일을 열어 스트리밍으로 수신되는 영상 프레임들을 기록하도록 제어한다. 이후에 촬영 종료 명령이 수신되면, 저장 제어부(230)는 카메라(71)에게 촬영을 종료하도록 제어 명령을 송출하고, 저장 처리부(250)에게 기록을 중지하고 파일을 닫도록 제어한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저장 처리부(250)는 저장되는 작업 영상 데이터의 원본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체크 섬(check sum) 값을 생성하여 작업 영상 데이터와 체크 섬 값을 연관시켜 저장한다. 이후에 체크 섬 값을 확인하여 작업 영상 파일이 변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200)는 작업 물품 정보를 입력 받는 물품 정보 인식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물품 정보 인식부(40)는 바코드 스캐너이다. 작업자는 포장 상자(30)에 포장할 물품을 담을 때 그 물품의 포장지에 부착된 물품 바코드를 바코드 스캐너(40)로 스캔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물품 정보 입력부(110)는 포장할 물품들의 정보를 입력 받아 패킹 리스트(packing list)로 저장한다. 예로, 물품 정보 입력부(110)는 키보드를 통해 포장할 물품들의 정보를 입력받는다. 또다른 예로, 물품 정보 입력부(110)는 포장할 물품들의 정보를 쇼핑몰로부터 파일로 입력받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이 파일을 파싱하거나 변환하여 물품 정보를 획득하고 이로부터 패킹 리스트(150)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패킹 관리부(130)는 물품 정보 인식부(40)에 의해 물품용 바코드를 인식하여 추출된 작업 물품 정보와 패킹 리스트(150)를 비교하여 패킹 리스트(150)에 없는 물품이 인식되었거나 작업 종료시 패킹 리스트(150)에 있는 물품이 누락된 경우 알람을 출력한다. 패킹 관리부(130), 물품정보 입력부(110)는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프로그래머블 로직 혹은 이들과 전자 소자들을 포함하는 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파일 업로드부(260)는 메모리(290)에 저장된 작업 영상 파일을 외부의 관리 서버로 업로드한다. 파일 업로드는 매 파일 생성시마다 이루어질 수도 있고, 주기적으로 일괄식(batch)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품정보 인식부(40), 물품정보 입력부(110), 패킹 리스트(150) 및 패킹 관리부(130)는 제안된 발명에 따른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의 일부가 아니라, 별개의 제품으로 존재하는 시스템, 예를 들면 포장 관리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다. 카메라(71)나 저장 처리부(230)도 기존에 존재하는 이와 같은 다른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다. 청구항들 중 독립항을 포함한 일부는 이러한 의도에서 이들을 제외한 장치를 포괄하도록 의도하고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는 관리 서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현장에 있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현장 포장 관리 컴퓨터(200) 및 카메라(71)와 연결된다. 여기서 카메라(71)는 네트워크가 지원되는 아이피 카메라(IP camera)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 서버(300)는 파일 수신부(310), 광고 처리부(350), 작업 영상 조회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일 수신부(310)는 현장 포장 관리 컴퓨터(200)로부터 작업 영상 파일을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 작업 영상 조회부(380)는 메모리로부터 요구된 작업 단위에 해당하는 실시간 작업 영상 파일을 추출하여 고객 단말로 제공한다. 고객 단말은 컴퓨터, 휴대용 정보 단말,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통신 단말기 등 다양한 정보통신 단말이 될 수 있다. 고객은 자신의 단말을 통해 관리 서버(300)로 접속한다. 예를 들어 포장 작업시 저장 처리부(250)가 특정한 작업 영상 파일을 메모리(290)에 저장하면, 포장 관리 시스템에서 배송 받을 고객에게 관리서버(300)의 접속 주소를 포함한 문자 메시지 혹은 이메일를 전송한다. 고객이 수신한 메시지에서 접속 주소를 클릭하면, 관리 서버로 접속된다. 이후에 고객이 관리 서버의 화면에 송장 번호를 입력하면, 해당하는 작업 영상 파일이 추출되어 제공된다. 또다른 예로, 문자 메시지나 이메일에 포함된 접속 주소에 송장 번호가 파라메터로 포함되어 해당하는 작업 영상 파일이 고객의 추가적인 입력 없이 바로 전송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작업 관리 장치의 작업 영상 처리 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 710에서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가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로부터 작업 정보 및 작업 수행될 적어도 하나의 작업 물품 정보를 입력 받는다. 예컨데, 작업 정보는 작업자 이름 또는 작업자 고유 식별코드 등의 작업자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작업 물품 정보는 작업 수행되는 물품의 이름 또는 물품종류 또는 식별코드 등의 물품 식별 정보일 수 있다.
그 다음 단계 720에서 실시간 포장 작업관리 장치의 작업대에 부착된 고정 바코드를 인식한다. 예컨데, 고정 바코드는 작업자 정보나 작업 유형 등의 물품 포장 작업과 관련한 초기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그 다음 단계 730에서 작업자는 물품 포장 작업에 필요한 송장을 고정 바코드가 부착된 작업대 위에 올려놓게 되며 이때, 바코드 스캐너는 고정 바코드 위에 올려진 송장의 발주용 바코드를 인식하게 된다. 이전에 이미 인식된 고정 바코드가 아닌 송장의 새로운 바코드를 인식하게 되면 단계 740에서 촬영 시작 명령을 발생시킨다.
촬영 시작 명령이 발생되면, 카메라가 구동되어 작업 과정 촬영이 시작되고, 단계 750에서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가 바코드 스캐너를 통해 작업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에 부착된 물품용 바코드를 스캔한다. 예컨데, 작업 물품에는 해당 물품 식별을 위한 이름 또는 물품종류 또는 식별코드 등의 물품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물품 정보가 기록된 물품용 바코드가 부착되어 있다.
물품에 부착된 물품용 바코드가 스캔되면, 단계 760에서 실시간 작업 관리 장치가 물품용 바코드로부터 인식된 작업 물품 정보와, 단계 710에서 작업자에 의해 입력된 작업 물품 정보를 비교한다. 예컨데, 물품용 바코드로부터 인식된 작업 물품 정보에 포함된 물품 식별 정보와, 단계 710에 의해 입력된 작업 물품 정보에 포함되는 물품 식별 정보를 비교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만약, 단계 760에 의한 비교 결과 물품용 바코드로부터 인식된 작업 물품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작업자에 의해 입력된 작업 물품 정보가 인식되었거나, 또는 물품용 바코드로부터 인식된 작업 물품 정보와 대응하는 작업자에 의해 입력된 작업 물품 정보가 인식되지 않은 경우, 단계 770에서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가 경고를 수행한다. 경고는 경고 음성 출력을 통한 청각적 방법 또는 경고 메시지 출력을 통한 시각적인 방법으로 가능하다.
따라서, 작업 대상이 아닌 물품이 작업 수행되거나, 작업 대상 물품이 작업 수행되지 않고 누락되었을 경우 경고함으로써 작업에 대한 검수가 가능하고, 잘못된 작업 수행이나 누락되는 작업 없이 정확한 작업이 가능해 작업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단계 780에서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가 발주용 바코드로부터 인식된 텍스트를 자막 데이터로 변환하고, 촬영된 작업 영상에 자막을 출력한다.
만약,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의 고정 바코드가 부착된 장업대 위에 올려진 송장을 치우게 되며, 이때 단계 800에서 스캐너는 송장의 발주용 바코드가 아닌 고정 바코드가 부착된 작업대의 고정 바코드를 인식하게 되고, 단계 810에서 촬영 종료 명령이 발생된다.
그러면, 단계 820에서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가 촬영된 작업 영상 데이터와, 상기 변환된 자막 데이터가 합성된 파일 또는 서로 매칭된 별개 파일을 저장 처리하되, 자막 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와 저장 일시를 결합한 형태의 파일명으로 저장 처리한다.
작업대에 부착된 고정 바코드와 송장에 부착된 발주용 바코드를 인식하는 순서에 따라 촬영 시작 명령 또는 촬영 종료 명령이 발생하고, 작업 과정의 촬영이 작업자의 추가적인 의식적 조작이 없어 편리해진다.
작업 과정을 촬영한 작업 영상 데이터와 발주용 바코드로부터 인식된 텍스트로부터 변환된 자막 데이터를 연관시켜 저장함으로써 물품을 배송받은 고객의 클레임 발생 등의 필요시 작업 영상 데이터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어 과실이 포장 작업에 있는지 또는 배송 기업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므로, 배송 사고로 인한 고객 클레임 발생 등의 필요시 작업 기업의 손실과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더욱이, 제안된 발명은 작업자가 고정 바코드가 부착된 작업대 위에 작업에 필요한 송장을 올려놓거나, 포장작업 종료 후 송장을 치우는 단순하고 자연스러운 동작을 통해 촬영의 시작과 종료 명령을 빠르고 편리하게 발생시켜 업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10 : 식별정보 인식부
11 : 핸드헬드 스캐너 13 : 거치부
15 : 자바라부 17 : 스캐너 케이블
19 : 거치대 지지대
20 : 스캔 테이블
21,23,25 : 테두리 24 : 스캐너 고정 영역
26 :인식 영역 29 : 고정 식별코드
30 : 포장 박스 40 : 물품 정보 인식부
50 : 포장 작업대 70 : 촬영부
71 : 카메라 73 : 다관절 지지대
75 : 고정부 77 : 카메라 케이블
100 : 포장 관리 서버
110 : 물품정보 입력부 130 : 패킹 관리부
150 : 패킹 리스트
200 :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
210 : 명령 발생부 230 : 저장 제어부
250 : 저장 처리부 260 : 파일 업로드부
270 : 광고 처리부 290 : 메모리
300 : 관리 서버
310 : 파일 수신부 330 : 광고 파일
350 : 광고 처리부 370 : 작업 영상 조회부
390 : 작업 영상 파일

Claims (10)

  1. 고정 식별코드가 부착된 스캔 테이블과;
    스캔 테이블에 결합된 식별정보 인식부와;
    상기 식별정보 인식부에서 송장에 부착된 발주용 식별코드가 인식되었다는 정보가 입력되면 촬영 개시 명령을 발생시키고, 이후에 송장이 치워져서 상기 스캔 테이블에 부착된 식별 코드가 인식되면 촬영 종료 명령을 발생시키는 명령 발생부와; 그리고,
    상기 명령 발생부에 의해 발생되는 촬영 개시 명령 또는 촬영 종료 명령에 따라, 카메라가 실시간 촬영하는 작업 영상을 작업 단위별로 구분하여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저장 제어부;
    를 포함하는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 인식부가 :
    상기 스캔 테이블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스캔 테이블 상부로 연장된 스캐너 거치대와,
    상기 스캐너 거치대에 거치된 핸드헬드 스캐너(handheld scanner)
    를 포함하는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 거치대가 굴절 가능한 자바라부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테이블이 유효 인식 영역을 구별하기 위하여 유효 인식 영역(effective recognition region)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돌출된 테두리부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가 :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를 촬영하도록 설치된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가:
    포장할 물품들의 정보를 입력 받아 패킹 리스트(packing list)로 저장하는 물품 정보 입력부와;
    물품용 바코드를 인식하여 추출된 작업 물품 정보와 패킹 리스트를 비교하여 패킹 리스트에 없는 물품이 인식되었거나 작업 종료시 패킹 리스트에 있는 물품이 누락된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패킹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가 :
    저장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로부터의 실시간 작업 영상 데이터를 작업 단위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저장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처리부가 저장되는 작업 영상 데이터의 원본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작업 영상의 데이터 값과 관련된 체크 값을 생성하여 작업 영상 데이터와 관련시켜 저장하는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는 :
    고객 단말로부터 조회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요구된 작업 단위에 해당하는 실시간 작업 영상 파일을 추출하여 고객 단말로 제공하는 작업 영상 조회부를 포함하는 관리서버;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관리 서버는 :
    작업 영상 파일을 고객 단말로 제공할 때, 작업 영상에 추가로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
KR1020160031584A 2016-03-16 2016-03-16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 KR2017010780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584A KR20170107805A (ko) 2016-03-16 2016-03-16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
KR1020180011595A KR102349369B1 (ko) 2016-03-16 2018-01-30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584A KR20170107805A (ko) 2016-03-16 2016-03-16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595A Division KR102349369B1 (ko) 2016-03-16 2018-01-30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805A true KR20170107805A (ko) 2017-09-26

Family

ID=60036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584A KR20170107805A (ko) 2016-03-16 2016-03-16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780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466A (ko) * 2019-08-02 2021-02-10 (주)이벗 물품 출고 처리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06176A (ko) * 2020-02-20 2021-08-30 (주)일양엔지니어링 박스 검출장치
KR102305261B1 (ko) * 2020-12-11 2021-09-28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KR20210153270A (ko) 2020-06-10 2021-12-17 비전커넥트 주식회사 인공 지능 기반의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물류 피킹 감시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20230027637A (ko) 2021-08-19 2023-02-28 주식회사 인베트 후매칭형 실시간 포장 관리 장치
WO2023167359A1 (ko) * 2022-03-02 2023-09-07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466A (ko) * 2019-08-02 2021-02-10 (주)이벗 물품 출고 처리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06176A (ko) * 2020-02-20 2021-08-30 (주)일양엔지니어링 박스 검출장치
KR20210153270A (ko) 2020-06-10 2021-12-17 비전커넥트 주식회사 인공 지능 기반의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물류 피킹 감시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2305261B1 (ko) * 2020-12-11 2021-09-28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US11164150B1 (en) 2020-12-11 2021-11-02 Coupang Corp. Electronic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reof
WO2022124468A1 (ko) * 2020-12-11 2022-06-16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KR20220083561A (ko) * 2020-12-11 2022-06-20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TWI827909B (zh) * 2020-12-11 2024-01-01 韓商韓領有限公司 電子設備及其資訊提供方法
KR20230027637A (ko) 2021-08-19 2023-02-28 주식회사 인베트 후매칭형 실시간 포장 관리 장치
WO2023167359A1 (ko) * 2022-03-02 2023-09-07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7805A (ko)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
KR102349369B1 (ko) 실시간 포장 작업 관리 장치
US10664692B2 (en) Visual task feedback for workstations in materials handling facilities
KR102009299B1 (ko) Wms 연동형 물류관리시스템
KR101515962B1 (ko) 실시간 포장 관리 장치
RU2007137063A (ru) Способ приема радиочастотной индентификации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 системами планирования ресурсов предприятия
KR20180135354A (ko) Wms 연동형 물류관리시스템 및 물류관리방법
KR101994481B1 (ko) Wms 연동형 물류관리방법
US20150279112A1 (en) Method for generating a content in augmented reality mode
JP2017052649A (ja) 倉庫管理システム
JP669605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CN110979853B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自动化包装方法及系统
KR101914540B1 (ko) 실시간 포장 관리 장치
KR20120046651A (ko) 영상 촬영이 가능한 스캐너 및 그를 이용한 출고 제품 확인 방법
JP201908286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790029B2 (en) Conveyor-using packing management system
JP2017151639A (ja) 書類撮像装置、書類撮像方法、および、書類撮像装置用のプログラム
JP201908352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393451B1 (ko) 고객클레임 검증방법 및 장치
KR20160030785A (ko) 진품 인증 및 구매자 소유 확인 정보 제공 시스템과 서비스 방법
KR20240059863A (ko) 검수패킹 영상 조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JP201908342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089840A (ko) 출고 패킹 영상 획득 장치 및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장치
JP7304992B2 (ja) コード認識装置
KR102602845B1 (ko) 후매칭형 실시간 포장 관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