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8456A -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자동차의 스테이로드 홈 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자동차의 스테이로드 홈 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8456A
KR20240038456A KR1020220117339A KR20220117339A KR20240038456A KR 20240038456 A KR20240038456 A KR 20240038456A KR 1020220117339 A KR1020220117339 A KR 1020220117339A KR 20220117339 A KR20220117339 A KR 20220117339A KR 20240038456 A KR20240038456 A KR 20240038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y rod
roller
groove
lifting
auto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7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씨엔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씨엔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씨엔에프
Priority to KR1020220117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8456A/ko
Priority to PCT/KR2023/009276 priority patent/WO2024058378A1/ko
Publication of KR20240038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845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3/0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 B21D13/04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by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3/0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 B21D13/1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into a peculiar profiling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7/00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1D17/04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by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6Feeding elongated articles, such as tubes, bar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테이로드를 고정하는 고정금형과, 상기 스테이로드를 마주보고 배치되는 테이퍼블록과, 상기 테이퍼블록과 스테이로드 사이에 삽입되어 테이퍼블록에 접촉된 상태에서 승강되는 롤러설치부재와, 상기 롤러설치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스테이로드에 홈을 가공하는 롤러와, 상기 고정금형, 테이퍼블록, 롤러설치부재가 각각의 승강장치와 함께 설치되는 바디프레임을 포함한다.
따라서 하나의 롤러로 하나의 홈을 가공할 수 있게 되어 홈 가공에 필요한 총 롤러수가 감소되고, 가공 정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홈 가공시 버(burr)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자동차의 스테이로드 홈 가공 방법{GROOVING DEVICE FOR HEADREST STAYROD OF VEHICLE AND GROOVING METHOD FOR HEADREST STAYROD OF VEHIC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자동차의 스테이로드 홈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용 홈을 스테이로드에 가공해주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자동차의 스테이로드 홈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시트 상단에는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해 주기 위한 헤드레스트가 구비되며, 헤드레스트는 스테이로드를 매개로 시트 상단에 설치된다. 스테이로드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높이 조절용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한 후 시트 상단에 구비된 스토퍼가 상기 홈에 삽입되어 걸려짐으로써 헤드레스트의 조절된 높이가 유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테이로드의 홈은 스테이로드의 외주면에 롤러를 가압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형성되는데, 설계 사양과 같은 홈의 깊이와 단면적을 얻기 위하여 반경 및 두께(또는 측면 경사각)가 단계적으로 증가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롤러를 사용하여 홈을 가공하였다. 보통 하나의 롤러샤프트에 스테이로드의 홈 수와 동일한 개수의 롤러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그러한 롤러샤프트를 가공 진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다수 열 배치한 형태로 사용하고 있다. 즉, 앞쪽 롤러샤프트에서 뒤쪽 롤러샤프트로 갈수록 롤러샤프트에 설치된 롤러들의 반경 및 두께가 단계적으로 증가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스테이로드의 외주면 한 지점을 동일한 열(동일한 롤러샤프트가 아님)에 위치한 모든 롤러들이 순차적으로 가압하면서 통과함으로써 최초의 작은 홈이 점차 확장되어 최종 목표 형상 및 치수를 가진 홈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스테이로드 홈 가공 장치는 하나의 홈을 가공하는데 다수의 롤러가 필요하므로 가공 장치에 구비되는 전체 롤러의 수가 증가(부품수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나의 홈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롤러들이 원활한 홈 가공을 위해 단계적으로 치수가 증가되도록 마련되어 있기는 하지만, 앞쪽 롤러와 뒤쪽 롤러의 사이에 치수 증가가 불연속적일 뿐만 아니라 치수 증가량이 과도한 경우 홈의 가공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여 버(burr)가 잘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버가 발생할 경우 후속 제거 공정이 필요하므로 전체 공정수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었다.
종래의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6385호(2010.01.13. 공고)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은 홈 가공에 사용되는 롤러의 수가 감소되고, 홈 가공시 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자동차의 스테이로드 홈 가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지는 사람에 의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장치는, 스테이로드를 고정하는 고정금형과, 상기 스테이로드를 마주보고 배치되는 테이퍼블록과; 상기 테이퍼블록과 스테이로드 사이에 삽입되어 테이퍼블록에 접촉된 상태에서 승강되는 롤러설치부재와, 상기 롤러설치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스테이로드에 홈을 가공하는 롤러와, 상기 고정금형, 테이퍼블록, 롤러설치부재가 각각의 승강장치와 함께 설치되는 바디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프레임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 설치된 하부테이블과 중간테이블과 상부테이블 및 이들을 관통하여 설치된 복수의 포스트바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들은 상기 포스트바에 형성된 계단형상부와 이중너트에 의해 포스트바에 대한 설치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고정금형은 상형과 하형을 포함하고, 상기 하형은 중간테이블에 고정되고, 상기 상형은 상형 승강장치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상형 승강장치는 상부테이블에 설치된 유압실린더와, 유압실린더의 실린더로드 하단에 설치된 상부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승강부재의 하면에 상기 상형이 장착된다.
상기 고정금형에는 상기 테이퍼블록과 롤러설치부재가 각각 상부와 하부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테이퍼블록은 테이퍼블록 승강장치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테이퍼블록 승강장치는 상부테이블에 설치된 모터, 모터의 출력축에 구비된 구동부재, 중간테이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방향전환기구, 방향전환기구의 상부에 일체로 설치된 피동부재, 구동부재와 피동부재를 연결하는 전동부재, 방향전환기구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어 방향전환기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 작동되는 승강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로드의 하단에 상기 테이퍼블록이 장착된다.
상기 테이퍼블록의 양쪽 측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스테이로드쪽으로 돌출량이 증가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롤러설치부재의 테이퍼블록 접촉면이 테이퍼블록의 측면과 동일한 경사도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롤러는 롤러 승강장치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롤러 승강장치는 하부테이블에 설치된 모터, 모터의 출력축에 구비된 구동부재, 하부테이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방향전환기구, 방향전환기구의 상부에 일체로 설치된 피동부재, 구동부재와 피동부재를 연결하는 전동부재, 방향전환기구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어 방향전환기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 작동되는 승강로드, 승강로드의 상단에 설치된 하부승강부재, 하부승강부재에 설치된 상기 롤러설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설치부재의 스테이로드 대응면에 상기 롤러가 설치된다.
상기 롤러설치부재에 스테이로드의 홈과 동일한 개수의 롤러가 설치되고, 모든 롤러는 동일한 회전 중심선 상에 배치된다.
상기 하부승강부재에 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더가 구비되며, 슬라이더에 상기 롤러설치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승강부재의 단부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재와 슬라이더의 사이에 슬라이더를 가이드레일의 중심쪽으로 밀어주는 스프링이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테이로드 홈 가공 방법은, 스테이로드를 고정금형의 하형에 로딩하는 스테이로드 로딩단계와; 상형승강장치에 의해 고정금형의 상형을 하강시켜 상기 하형과 합형시킴으로써 스테이로드를 고정하는 스테이로드 고정단계와; 상기 스테이로드와 마주보는 위치에 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된 테이퍼블록이 설치되고, 스테이로드와 테이퍼블록의 사이에 일측면은 테이퍼블록의 경사면에 접촉되고 타측면에 홈 가공용 롤러가 구비된 롤러설치부재가 배치되며, 롤러승강장치에 의해 롤러설치부재를 승강시켜서 롤러에 수평 방향 전후 이동을 발생시킴으로써 롤러가 스테이로드 표면을 가압하여 홈을 가공하는 홈 가공단계와; 상형승강장치에 의해 상형을 상승시켜 스테이로드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스테이로드 해제단계와; 스테이로드를 고정금형의 하형으로부터 취출하는 스테이로드 언로딩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홈 가공단계 직전에, 테이퍼블록 승강장치에 의해 테이퍼블록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롤러에 의한 홈 가공 깊이를 조절하는 롤러 가공 깊이 조절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 가공단계 직후에, 롤러설치부재의 승강 횟수(롤러에 의한 홈 가공 횟수)가 설정 횟수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홈 가공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가공 완료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공 완료 판단단계에서 홈 가공이 완료되었으면 이후 단계를 진행하고, 홈 가공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롤러 가공 깊이 조절단계를 통해 롤러 가공 깊이를 증가시키고 상기 홈 가공단계를 추가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가공 완료 판단단계와 스테이로드 해제단계 사이에 테이퍼블록 승강장치에 의해 테이퍼블록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테이퍼블록 복귀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장치는, 롤러의 위치를 스테이로드의 반경 방향으로 가변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하나의 홈을 하나의 롤러로 가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가공 장치에 필요한 전체 롤러의 수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롤러 수가 감소됨으로써 가공 장치 제작에 필요한 공수와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롤러의 위치를 보다 세밀하게 조절하여 가공되는 홈의 치수와 형상을 완만하게 변화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홈 가공시 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버의 발생이 방지됨으로써 홈 가공 공정 이후에 버 제거 공정을 추가로 실시할 필요가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지는 사람에 의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확대도로서, 가공 위치에 고정된 스테이로드의 주변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테이퍼블록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롤러설치부재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에 "연결", "접속" 또는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직접적으로 접속' 또는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 만이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개재한 채로 연결',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개재한 채로 접속' 또는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개재한 채로 결합'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에 "직접 연결", "직접 접속" 또는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는, 중간에 다른 구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 "후", "상", "하", "좌", "우", "일 단", "타 단", "양 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가 사용될 때 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예시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제 1", "제 2"등의 용어가 사용될 때 이는 각 구성을 구별하기 위한 용어로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사람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확대도로서 가공 위치에 고정된 스테이로드의 주변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테이퍼블록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롤러설치부재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장치는, 스테이로드(1)를 고정하는 고정금형(60)과, 상기 스테이로드(1)를 마주보고 배치되는 테이퍼블록(77)과, 상기 테이퍼블록(77)과 스테이로드(1) 사이에 삽입되어 테이퍼블록(77)에 접촉된 상태에서 승강되는 롤러설치부재(88) 및 상기 롤러설치부재(88)에 설치되어 상기 스테이로드(1)에 홈을 가공하는 롤러(89)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들은 모두 홈 가공 장치의 바디프레임에 설치된다. 홈 가공 장치의 바디프레임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하부테이블(10), 중간테이블(20), 상부테이블(30)과, 이들을 관통하여 설치된 복수의 포스트바(40)를 포함한다. 상기 테이블(10,20,30)들은 대략 직사각형 평판 형상이다.
상기 하부테이블(10)은 바디프레임의 베이스 역할을 한다. 하부테이블(10)은 소정 높이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후 설명할 롤러 승강장치(80)의 승강로드(86)와 가이드로드(90)의 설치 및 작동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포스트바(40)는 원형 단면의 직선형 스틸바로서 하부테이블(10)의 4개 모서리 부분에 관통 설치되고 이중너트(B)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포스트바(40)의 중간 부분과 상단 부분에 각각 상기 중간테이블(20)과 상부테이블(30)이 각각의 이중너트(B)로 고정된다. 포스트바(40)에는 각각의 테이블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지지하기 위한 계단형상부(걸림턱)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계단형상부와 상기 이중너트(B)의 작용에 의해 각 테이블들이 포스트바(40)의 설치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금형(60)은 상형(61)과 하형(62)을 포함한다. 도 1,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상형(61)은 상형 승강장치(50)의 상부승강부재(52)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하형(62)은 중간테이블(20)의 상면에 장착된다.
또한 상형(61)과 하형(62)에는 상기 테이퍼블록(77)과 롤러설치부재(88)가 각각 상부와 하부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H)이 형성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롤러설치부재(88)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중간테이블(20)에도 관통홀(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형(61)과 하형(62)의 경계선 내측 단부(상기 관통홀(H)에 인접함)에는 각각 상방으로 오목한 안착홈(61a)과 하방으로 오목한 안착홈(62a)이 형성된다. 상기 상형 승강장치(50)에 의해 상부승강부재(52)가 하강하여 상형(61)과 하형(62)이 서로 밀착되면 상기 안착홈(61a,62a) 사이에 놓여진 스테이로드(1)가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홈 가공시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로드(1)는 안착홈(61a,62a)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주면 일측(홈이 가공되는 부분)이 안착홈(61a,62a)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롤러(89)에 의한 가공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형 승강장치(50)는 유압실린더(51)와 상부승강부재(52)를 포함한다. 유압실린더(51)는 상부테이블(30)의 상면 좌우 양측에 설치되고, 유압실린더(51)들의 실린더로드(51a) 하단에 상기 상부승강부재(52)가 장착된다. 유압실린더(51)에 작동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장치(100)는 도 2와 같이 상부테이블(30) 측부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한 위치로 변경 가능하다.
유압공급장치(100)로부터 유압실린더(51)가 유압을 공급받으면 실린더로드(51a)가 하방으로 돌출되고, 이에 상부승강부재(52)가 하강함으로써 이에 장착된 상형(61)이 하강하여 스테이로드(1)를 고정한다. 이후 홈 가공이 끝난 후 유압실린더(51)에 상향 작동압이 인가되면 상부승강부재(52)과 함께 상형(61)이 상승함으로써 가공 장치로부터 스테이로드(1)를 취출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상기 상부승강부재(52)에는 한 쌍의 가이드로드(53)가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로드(53)의 하단은 상부승강부재(52)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부테이블(30)에 형성된 가이드홀(도면부호 없음)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부승강부재(52)의 상하 작동 경로가 정확히 안내될 수 있다.
상기 테이퍼블록(77)은 테이퍼블록 승강장치(7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된다. 상기 테이퍼블록 승강장치(70)는 모터(71), 구동부재(72), 전동부재(73), 피동부재(74), 방향전환기구(75), 승강로드(76)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71)는 상부테이블(30)의 상면 일측 후단에 설치된다. 이에 대해 상기 승강로드(76)(하단에 상기 테이퍼블록(77)이 설치됨)는 상부테이블(30)의 중앙에 배치된다. 상부테이블(30)의 중앙에는 상기 방향전환기구(75)가 설치되고, 방향전환기구(75)를 관통하는 구조로 승강로드(76)가 설치된다.
상기 방향전환기구(75)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모터(71)의 출력축(71a)에는 구동부재(72)가 설치되고, 방향전환기구(75)의 상부에 일체로 피동부재(74)가 설치되며, 구동부재(72)와 피동부재(74)가 전동부재(73)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구동부재(72)와 피동부재(74)는 기어, 스프라켓 등일 수 있고, 상기 전동부재(73)는 기어, 체인 등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모터(71)의 회전력이 방향전환기구(75)를 회전시킨다. 방향전환기구(75)는 베어링을 매개로 상부테이블(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승강로드(76)와는 나사 구조로 결합된다. 즉, 방향전환기구(75)의 내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승강로드(76)의 외주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됨으로써 방향전환기구(75)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로드(76)가 상승 또는 하강 이동할 수 있다. 방향전환기구(75)와 승강로드(76)의 사이에 다수의 마찰 감소용 스틸볼이 구비되어 방향전환기구(75)에 대한 승강로드(76)의 거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테이퍼블록 승강장치(70)의 모터(71) 작동을 제어하여 테이퍼블록(77)의 상하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롤러(89)에 의한 홈 가공 정도(깊이와 폭)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테이퍼블록(77)은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로드(1)를 마주보는 양쪽 측면(77a)이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테이퍼블록(77)의 양쪽 측면(77a)은 테이퍼블록(77)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테이퍼블록(77)의 내측 중심에 가까워지는 구조로 경사 형성된다(L1>L2). 즉, 테이퍼블록(77)은 상방으로 갈수록 두께(또는 돌출량)가 증가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테이퍼블록(77)의 실제 경사 정도는 미미하여 도 1이나 도 3에서는 잘 표현되지 않는다((L1-L2)/2 = L3 = 약 2mm 정도임). 따라서, 도 4에서는 측면(77a)의 경사 정도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다소 과장하여 도시하였다.
한편, 상기 롤러(89)는 롤러 승강장치(8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된다.
상기 롤러 승강장치(80)는 모터(81), 구동부재(82), 전동부재(83), 피동부재(84), 방향전환기구(85), 승강로드(86), 하부승강부재(87), 롤러설치부재(88)를 포함한다. 롤러 승강장치(80)의 동력 전달 구조는 상기 테이퍼블록 승강장치(70)와 동일하다. 즉, 모터(81)에서 승강로드(86)에 이르는 구성이 동일하며, 그 설치 위치에만 차이가 있다.
롤러 승강장치(80)의 모터(81)는 하부테이블(10)의 전방에 설치되는데 반해(도 1에는 생략됨), 롤러(89)가 설치된 롤러설치부재(88)를 승강시키는 승강로드(86)는 하부테이블(10)의 중앙에 설치되므로 상기 구동부재(82), 전동부재(83), 피동부재(84)를 매개로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모터(81)의 출력축(81a)에 구동부재(82)가 설치되고, 피동부재(84)는 승강로드(86)가 관통한 방향전환기구(85)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구동부재(82)와 피동부재(84)는 전동부재(83)로 연결된다. 방향전환기구(85)는 베어링을 매개로 하부테이블(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승강로드(86)와 나사 구조로 결합된다(그 세부 구조는 테이퍼블록 승강장치(70)의 방향전환기구(75) 및 승강로드(76) 사이의 구조와 동일함).
따라서 모터(81)의 회전력이 방향전환기구(85)로 전달되어 승강로드(86)를 상하 이동시키며, 승강로드(86)의 상하 이동 방향은 모터(8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환된다.
도 5와 같이, 승강로드(86)의 상단에는 상기 하부승강부재(87)가 설치된다. 하부승강부재(87)의 상면에는 직선형 가이드레일(91)이 장착되고, 가이드레일(91)에는 한 쌍의 슬라이더(92)가 설치된다. 슬라이더(92)는 가이드레일(91)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다.
상기 슬라이더(92)에는 롤러설치부재(88)가 설치된다. 롤러설치부재(88)는 대략 직사각형 판재 형상으로서 수직 상태로 설치되며, 하단이 슬라이더(92)에 결합되고, 상면에는 롤러(89)가 설치된다.
도 3과 같이, 롤러설치부재(88)는 테이퍼블록(77)과 고정금형(60)에 고정된 스테이로드(1)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롤러설치부재(88)의 테이퍼블록(77)쪽 면은 테이퍼블록(77)의 측면(77a)과 동일한 경사도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롤러설치부재(88)는 항상 테이퍼블록(77)의 측면(77a)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승 및 하강된다.
상기 롤러(89)는 스테이로드(1)에 형성되는 홈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된다. 모든 롤러(89)들은 회전 중심축의 위치가 동일하며 외주면의 일측부가 롤러설치부재(88)의 표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승 및 하강 이동시 고정금형(60)에 고정된 스테이로드(1)의 표면을 가압하여 홈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승강부재(87)의 양단부에는 지지부재(93)가 상방으로 돌출된 구조로 설치되고, 지지부재(93)와 그에 대응되는 슬라이더(92)의 사이에는 스프링(94)이 설치된다. 스프링(94)은 일단이 지지부재(93)에 지지되어 항상 슬라이더(92)를 가이드레일(91)의 중심쪽으로 밀어주며, 이에 슬라이더(92)에 설치된 롤러설치부재(88)는 항상 테이퍼블록(77)쪽으로 밀려서 테이퍼블록(77)과 롤러설치부재(88)의 경사면이 항상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승강부재(87)에는 한 쌍의 가이드로드(90)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로드(90)는 하부승강부재(87)의 양단 하면에 설치되며,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부테이블(10)에 형성된 가이드홀(도면부호 없음)을 관통한다. 따라서 하부승강부재(87) 승강시 상하 경로가 정확히 안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롤러 승강장치(80)가 구성됨으로써 모터(81)의 작동을 제어하여 롤러설치부재(88)를 상하 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롤러설치부재(88)는 상승시 테이퍼블록(77)의 측면(77a)을 따라 상승하면서 스테이로드(1)쪽 방향으로 이동된다(슬라이더(92)가 가이드레일(91)을 따라 이동하므로 가능함). 따라서 롤러(89)가 상승하면서 스테이로드(1)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롤러(89)에 의해 스테이로드(1)의 표면이 가압 변형되면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110은 제어유니트이다. 제어유니트는 상기 상형 승강장치(50), 테이퍼블록 승강장치(70), 롤러 승강장치(80)의 작동을 제어하며, 가공장치 운전자가 제어값(작동거리, 작동횟수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 및 입력값과 작동 상태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상기 롤러설치부재(88)에는 동일한 중심선(실제 하나의 샤프트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 상에 스테이로드(1)의 홈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롤러(89)가 설치되고, 롤러설치부재(88)의 상하 이동에 의해 홈이 가공된다. 즉, 하나의 롤러(89)는 하나의 홈을 형성한다.
하나의 롤러(89)에 의해 하나의 홈을 목표 형상 및 치수로 가공하기 위하여 롤러(89)를 스테이로드(1)의 반경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필요가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테이퍼블록(77)과 롤러설치부재(88)가 서로 경사 접촉되고, 롤러설치부재(88)가 슬라이더(92)를 매개로 가이드레일(91)에 설치됨으로써 롤러(89)의 스테이로드(1) 반경 방향을 따른 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롤러(89)가 스테이로드(1)를 지나칠 때 롤러(89)에 의한 스테이로드(1) 가압 깊이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테이퍼블록 승강장치(70)의 작동을 제어하여 테이퍼블록(77)의 상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테이퍼블록(77)이 하강할수록 스테이로드(1)와 동일한 높이에서 테이퍼블록(77)의 폭이 증가하므로 테이퍼블록(77)에 접촉하여 상승하는 롤러설치부재(88)는 테이퍼블록(77)의 폭 증가량에 비례하여 스테이로드(1)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밀려지고, 이에 롤러(89)가 홈을 보다 깊고 넓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테이퍼블록(77)의 하강 위치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가공을 진행하면 가공 차수가 증가될 때 마다 롤러(89)에 의해 형성되는 홈의 깊이와 폭이 증가됨으로써 결국에는 설계 사양과 같은 홈을 가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홈을 가공하는데 하나의 롤러(89)만 필요하므로 스테이로드(1)의 전체 홈 가공에 필요한 롤러의 총 개수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가공 장치의 부품수가 감소됨으로써 조립 공수 감소 및 제작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테이퍼블록 승강장치(70)의 작동 제어를 통해 테이퍼블록(77)의 하강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홈의 깊이와 폭을 점진적으로 확대 가공해 나가는 복수의 홈 가공 단계를 실시함에 있어서, 각 가공 단계에서 롤러(89)의 스테이로드(1) 반경 방향 내측으로의 이동량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가공 단계 진행에 따라 롤러(89)의 홈 가공 깊이를 보다 미세하게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홈 성형이 보다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급격하고 무리한 가공이 실시되지 않으므로 버(burr)의 발생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스테이로드(1)에 홈 가공시 버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홈 가공 공정 이후에 버를 제거하는 공정을 별도로 실시할 필요가 없게 되며, 이에 불필요한 공수 및 비용 증가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장치를 이용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방법은, 도 6과 같이, 스테이로드 로딩단계(S10), 스테이로드 고정단계(S20), 롤러 가공깊이 조절단계(S30), 홈 가공단계(S40), 가공 완료 판단단계(S50), 테이퍼블록 복귀단계(S60), 스테이로드 해제단계(S70), 스테이로드 언로딩 단계(S80)을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로드 로딩단계(S10)는 홈이 가공되지 않은 스테이로드를 가공 위치에 가져다 놓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작업자가 직접 수행하거나 또는 별도의 로딩/언로딩장치 또는 로봇암 등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고정금형(60)은 열려 있으며, 스테이로드(1)는 하형(62)의 안착홈(62a)에 삽입 안착된다.
상기 스테이로드 고정단계(S20)는 고정금형(60)을 합형하여 스테이로드(1)가 홈 가공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해주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상형승강장치(50)에 의해 상형(61)이 하강하여 하형(62)의 상면에 밀착된다. 상형승강장치(50)의 유압실린더(51)에 하강 작동압이 인가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상형(61)과 하형(62)의 합형 상태가 유지된다. 스테이로드(1)가 상형(61)의 안착홈(61a)과 하형(62)의 안착홈(62a) 사이에 견고하게 끼임으로써 고정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상기 롤러 가공깊이 조절단계(S30)는 테이퍼블록(77)의 상하 위치를 조절(점진적 증가)함으로써 테이퍼블록(77)에 대한 롤러설치부재(88)의 수평 방향 전진 거리를 조절하여 롤러(89)의 가공 깊이를 조절하는 단계이다. 테이퍼블록(77)의 상하 위치는 테이퍼블록 승강장치(7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테이퍼블록(77)이 하강하면 테이퍼블록(77)과 경사 접촉한 롤러설치부재(88)의 전진 거리(상승시 스테이로드(1)쪽으로 이동하는 수평 거리)가 증가하여 롤러(89)에 의한 홈 가공 깊이가 증가되고, 반대로 테이퍼블록(77)이 상승하면 롤러(89)에 의한 홈 가공 깊이는 감소된다.
이 단계는 이후 설명할 가공 완료 판단단계(S50)의 판단 결과에 따라 반복 실시될 수 있다. 이 단계의 최초 수행시 테이퍼블록(77)은 초기 위치(대기 위치)에서 1차 가공위치로 이동하고, 이후 가공횟수가 진행됨에 따라 2차, 3차, ??, n차 가공 위치로 점진적으로 하강된다. 홈 가공을 위한 가공횟수는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이 단계(S30)는 설정된 가공횟수와 동일한 횟수로 반복 수행된다.
상기 홈 가공단계(S40)는 테이퍼블록(77)의 위치 세팅 후 롤러설치부재(88)를 승강시켜 롤러(89)에 의해 스테이로드(1)에 홈을 가공하는 단계이다.
롤러설치부재(88) 상승시 롤러(89)가 스테이로드(1)의 표면을 가압하면서 통과함으로써 스테이로드(1)에 홈이 형성된다. 상승된 롤러설치부재(88)가 하방으로 복귀할 때 롤러(89)는 다시 홈을 통과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홈의 형상이 보다 정밀하게 가공된다.
롤러설치부재(88)는 롤러승강장치(8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 작동된다.
이 단계 역시 이후 설명할 가공 완료 판단단계(S50)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반복 실시될 수 있다.
상기 가공 완료 판단단계(S50)는 스테이로드(1)에 홈이 설계 사양대로 형성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롤러설치부재(88)가 승강 작동되는 홈 가공 공간이 매우 협소할 뿐만 아니라 가공 공간이 고정금형(60)의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홈의 가공 깊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설치하거나 카메라를 이용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미리 실시된 반복 시험에 의해, 설계 사양대로 홈을 가공하기 위한 테이퍼블록(77)의 위치 조절값(하강 위치 조절값)과, 롤러설치부재(88)의 승강횟수 즉 롤러(89)에 의한 홈 가공횟수(1회 상승 및 하강을 1회 가공으로 봄)를 파악하고, 적합한 가공횟수를 설정한다.
따라서 제어유니트(110)(도 1 참조)에서 가공횟수를 카운트하여 설정횟수와 현재 실시된 가공횟수가 동일하면 가공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 실시된 가공횟수가 설정횟수에 미치지 못하면 가공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이 단계에서 홈 가공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이후 단계를 진행하고, 홈 가공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롤러 가공깊이 조절단계(S30)와 홈 가공단계(S40)를 가공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반복 수행한다.
상기 테이퍼블록 복귀단계(S60)는 롤러 가공깊이 조절단계(S30)와 홈 가공단계(S40)가 반복 실시됨으로써 하강되어 있는 테이퍼블록(77)을 초기 위치(1차 가공 전 대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이다. 테이퍼블록(77)은 테이퍼블록 승강장치(70)에 의해 상향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로드 해제단계(S70)는 상형승강장치(50)에 의해 상형(61)이 상승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됨으로써 스테이로드(1)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는 단계이다. 즉, 언로딩 준비 단계이다.
상기 스테이로드 언로딩 단계(S80)는 홈 가공이 완료된 스테이로드(1)를 가공장치 외부로 언로딩하는 단계이다. 스테이로드 로딩단계(S10)와 마찬가지로 작업자 또는 로봇암에 의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방법에 따르면, 테이퍼블록의 하강 위치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롤러에 의한 홈 가공 깊이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홈을 가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롤러로 하나의 홈을 완전히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공장치에 구비되는 롤러의 총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테이퍼블록 위치의 미세 조절을 통해 롤러의 홈 가공 깊이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무리한 가공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홈 가공시 버(Burr)의 발생이 방지되고, 따라서 홈 가공 완료 후 버 제거 공정을 추가로 실시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방법에 의하면, 가공 장치에 필요한 롤러의 개수가 감소되고, 홈 가공시 버(burr)의 발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기초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 기술할 청구범위에 의하며, 상술한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토대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공 대상 부재에 롤러로 다수의 홈을 형성할 필요가 있는 기계 가공 관련 산업 분야에서 이용 가능하다.
1 : 스테이로드 10 : 하부테이블
20 : 중간테이블 30 : 상부테이블
40 : 포스트바
50 : 상형 승강장치
51 : 유압실린더 51a : 실린더로드
52 : 상부승강부재 53 : 가이드로드
60 : 고정금형 61 : 상형
62 : 하형
70 : 테이퍼블록 승강장치 71 : 모터
71a : 출력축 72 : 구동부재
73 : 전동부재 74 : 피동부재
75 : 방향전환기구 76 : 승강로드
77 : 테이퍼블록 77a : 측면
80 : 롤러 승강장치 81 : 모터
81a : 출력축 82 : 구동부재
83 : 전동부재 84 : 피동부재
85 : 방향전환기구 86 : 승강로드
87 : 하부승강부재 88 : 롤러설치부재
89 : 롤러
90 : 가이드로드 91 : 가이드레일
92 : 슬라이더 93 : 지지부재
94 : 스프링 100 : 유압공급장치
B : 이중너트 H : 관통홀

Claims (14)

  1. 스테이로드를 고정하는 고정금형과;
    상기 스테이로드를 마주보고 배치되는 테이퍼블록과;
    상기 테이퍼블록과 스테이로드 사이에 삽입되어 테이퍼블록에 접촉된 상태에서 승강되는 롤러설치부재와;
    상기 롤러설치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스테이로드에 홈을 가공하는 롤러와;
    상기 고정금형, 테이퍼블록, 롤러설치부재가 각각의 승강장치와 함께 설치되는 바디프레임;
    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프레임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 설치된 하부테이블과 중간테이블과 상부테이블 및 이들을 관통하여 설치된 복수의 포스트바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들은 상기 포스트바에 형성된 계단형상부와 이중너트에 의해 포스트바에 대한 설치 위치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형은 상형과 하형을 포함하고,
    상기 하형은 중간테이블에 고정되고, 상기 상형은 상형 승강장치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상형 승강장치는 상부테이블에 설치된 유압실린더와, 유압실린더의 실린더로드 하단에 설치된 상부승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승강부재의 하면에 상기 상형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형에는 상기 테이퍼블록과 롤러설치부재가 각각 상부와 하부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블록은 테이퍼블록 승강장치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테이퍼블록 승강장치는 상부테이블에 설치된 모터, 모터의 출력축에 구비된 구동부재, 중간테이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방향전환기구, 방향전환기구의 상부에 일체로 설치된 피동부재, 구동부재와 피동부재를 연결하는 전동부재, 방향전환기구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어 방향전환기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 작동되는 승강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로드의 하단에 상기 테이퍼블록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블록의 양쪽 측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스테이로드쪽으로 돌출량이 증가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롤러설치부재의 테이퍼블록 접촉면이 테이퍼블록의 측면과 동일한 경사도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롤러 승강장치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롤러 승강장치는 하부테이블에 설치된 모터, 모터의 출력축에 구비된 구동부재, 하부테이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방향전환기구, 방향전환기구의 상부에 일체로 설치된 피동부재, 구동부재와 피동부재를 연결하는 전동부재, 방향전환기구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어 방향전환기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 작동되는 승강로드, 승강로드의 상단에 설치된 하부승강부재, 하부승강부재에 설치된 상기 롤러설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설치부재의 스테이로드 대응면에 상기 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롤러설치부재에 스테이로드의 홈과 동일한 개수의 롤러가 설치되고, 모든 롤러는 동일한 회전 중심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부승강부재에 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더가 구비되며, 슬라이더에 상기 롤러설치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부승강부재의 단부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재와 슬라이더의 사이에 슬라이더를 가이드레일의 중심쪽으로 밀어주는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장치.
  11. 스테이로드를 고정금형의 하형에 로딩하는 스테이로드 로딩단계와;
    상형승강장치에 의해 고정금형의 상형을 하강시켜 상기 하형과 합형시킴으로써 스테이로드를 고정하는 스테이로드 고정단계와;
    상기 스테이로드와 마주보는 위치에 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된 테이퍼블록이 설치되고, 스테이로드와 테이퍼블록의 사이에 일측면은 테이퍼블록의 경사면에 접촉되고 타측면에 홈 가공용 롤러가 구비된 롤러설치부재가 배치되며, 롤러승강장치에 의해 롤러설치부재를 승강시켜서 롤러에 수평 방향 전후 이동을 발생시킴으로써 롤러가 스테이로드 표면을 가압하여 홈을 가공하는 홈 가공단계와;
    상형승강장치에 의해 상형을 상승시켜 스테이로드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스테이로드 해제단계와;
    스테이로드를 고정금형의 하형으로부터 취출하는 스테이로드 언로딩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홈 가공단계 직전에, 테이퍼블록 승강장치에 의해 테이퍼블록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롤러에 의한 홈 가공 깊이를 조절하는 롤러 가공 깊이 조절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홈 가공단계 직후에, 롤러설치부재의 승강 횟수(롤러에 의한 홈 가공 횟수)가 설정 횟수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홈 가공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가공 완료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공 완료 판단단계에서 홈 가공이 완료되었으면 이후 단계를 진행하고, 홈 가공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롤러 가공 깊이 조절단계를 통해 롤러 가공 깊이를 증가시키고 상기 홈 가공단계를 추가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가공 완료 판단단계와 스테이로드 해제단계 사이에 테이퍼블록 승강장치에 의해 테이퍼블록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테이퍼블록 복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방법.
KR1020220117339A 2022-09-16 2022-09-16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자동차의 스테이로드 홈 가공 방법 KR2024003845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339A KR20240038456A (ko) 2022-09-16 2022-09-16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자동차의 스테이로드 홈 가공 방법
PCT/KR2023/009276 WO2024058378A1 (ko) 2022-09-16 2023-06-30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339A KR20240038456A (ko) 2022-09-16 2022-09-16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자동차의 스테이로드 홈 가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8456A true KR20240038456A (ko) 2024-03-25

Family

ID=90275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339A KR20240038456A (ko) 2022-09-16 2022-09-16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자동차의 스테이로드 홈 가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38456A (ko)
WO (1) WO202405837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385B1 (ko) 2008-11-07 2010-01-13 대흥산업(주) 헤드레스트 스테이 홈 성형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3444B2 (ja) * 2003-02-03 2007-05-30 株式会社富士精機 ヘッドレストステイのプレス加工装置
JP4496102B2 (ja) * 2005-02-08 2010-07-07 市川鐵工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ステイ用ノッチ形成装置
JP5822858B2 (ja) * 2013-02-28 2015-11-25 コムコ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ステイ加工装置
CN104668370A (zh) * 2015-03-10 2015-06-03 柳州双英汽车配件制造有限公司 用于头枕杆限位槽成型的模具
KR101557303B1 (ko) * 2015-06-29 2015-10-05 (주)조양 헤드레스트 스테이 홈 성형방법
KR102196969B1 (ko) * 2020-09-07 2020-12-30 주식회사 디에이치 스테이로드 노치홈 전조가공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385B1 (ko) 2008-11-07 2010-01-13 대흥산업(주) 헤드레스트 스테이 홈 성형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58378A1 (ko)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3033B1 (ko) 축차성형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JP4972374B2 (ja) プレス加工装置およびプレス加工方法
US4939829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gear
JP2889951B2 (ja) タレットパンチプレスのダイ昇降機構
CN108555125B (zh) 车轮轮辋气门孔冲孔装置及车轮轮辋气门孔冲孔方法
JP4722766B2 (ja) 圧入部品取付装置
US6220137B1 (en) Press apparatus
KR101791401B1 (ko) 전동 프레스 가공기의 작동 방법
KR20240038456A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홈 가공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자동차의 스테이로드 홈 가공 방법
JP2007130656A (ja) 成形ダイを備えたパンチプレス
JP2003290862A (ja) 頭付部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3775072B2 (ja) シャフトの製造方法
JP2012218061A (ja) プレス成形装置
KR101918041B1 (ko) 금형 승강장치를 구비한 전단금형장치
CN210523549U (zh) 一种燃油箱冲孔装置
KR100553612B1 (ko) 플랜지용 자동드릴머신
KR20150028012A (ko) 프레스용 쿠션 핀 장치
KR200351493Y1 (ko) 플랜지용 자동드릴머신
JP4888933B2 (ja) パンチプレスにおける面取り金型
US5628225A (en) Leaf spring cambering apparatus
JP6877274B2 (ja) パンチプレス及びテーパ雌ねじの形成方法
CN113828714B (zh) 特大型钛合金整框锻造方法
CN218192350U (zh) 电机轴的键槽及中心孔挤压模具
KR101834727B1 (ko) 액츄에이터용 비대칭형 볼 너트의 냉간 단조장치
CN218253394U (zh) 一种新型冷热复合加工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