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978A - 에너지 저장 전원 및 에너지 저장 장치 - Google Patents

에너지 저장 전원 및 에너지 저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7978A
KR20240037978A KR1020247002977A KR20247002977A KR20240037978A KR 20240037978 A KR20240037978 A KR 20240037978A KR 1020247002977 A KR1020247002977 A KR 1020247002977A KR 20247002977 A KR20247002977 A KR 20247002977A KR 20240037978 A KR20240037978 A KR 20240037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storage
power source
battery
battery unit
storag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2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빈 리
나이치엔 쉬
헝자오 커
Original Assignee
저지앙 리더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저지앙 리더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저지앙 리더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37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797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에너지 저장 전원 및 에너지 저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에너지 저장 전원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두 개의 수용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수용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수용부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수용부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제 1 수용부는 제 1 배터리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수납하기에 적합하며, 상기 제 2 수용부는 제 2 배터리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수납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제 1 배터리 유닛은 상기 제 2 배터리 유닛과 다르며, 각 상기 수용부 내에 상기 제 1 배터리 유닛 또는 상기 제 2 배터리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충전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배터리 유닛과 상기 제 2 배터리 유닛은 상기 에너지 저장 전원과 별도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제 1 전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에 적합하다. 본 출원의 에너지 저장 전원은 서로 다른 제 1 전기 장치에 적합한 서로 다른 배터리 유닛을 충전할 수 있으며, 충전이 완료된 후 각 배터리 유닛은 에너지 저장 전원에서 분리하여 해당 제 1 전기 장치에 장착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제 1전기 장치를 에너지 저장 전원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별도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너지 저장 전원 및 에너지 저장 장치
본 출원은 에너지 저장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에너지 저장 전원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저장 전원은 실외에 적합한 전원 공급 장치이다. 실외 활동의 유형이 증가됨에 따라 다양한 전기 장치의 전원 공급은 실외 활동에서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문제로 되었기에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휴대용 에너지 저장 전원을 선택하게 되었다. 에너지 저장 전원은 일반적으로 대용량 배터리를 통해 전기를 저장하며, 그의 용량은 수만 심지어 수십만 밀리암페아이고 직류 및 교류 전력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여러 유형의 전자 제품과 조명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전원의 사용 시나리오에서 전기 장치의 지속적인 사용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전기 장치는 에너지 저장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 상태를 유지해야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전기 장치의 사용 위치가 제한되고 전기 장치는 에너지 저장 전원 근처에만 배치할 수 있어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위의 기술적 문제를 기반으로 본 출원의 하나의 목적은 기존 기술에서 제한된 전기 장치의 사용 범위를 해결하는 에너지 저장 전원 및 에너지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에너지 저장 전원을 제공하고, 에너지 저장 전원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두 개의 수용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수용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수용부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수용부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제 1 수용부는 제 1 배터리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수납하기에 적합하며, 상기 제 2 수용부는 제 2 배터리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수납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제 1 배터리 유닛은 상기 제 2 배터리 유닛과 다르며, 각 상기 수용부 내에 상기 제 1 배터리 유닛 또는 상기 제 2 배터리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충전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배터리 유닛과 상기 제 2 배터리 유닛은 상기 에너지 저장 전원과 별도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제 1 전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에 적합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배터리 유닛은 제 1 배터리 팩이고, 상기 제 2 배터리 유닛은 통합 팩이며, 상기 통합 팩은 장착 케이스와 상기 장착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 2 배터리 팩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배터리 팩은 상기 장착 케이스와는 별도로 제 1 전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에 적합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부는 복수 개의 제 1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유닛은 상기 충전부의 각각의 상기 제 1 연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에 적합하다. 이로써, 배터리 유닛은 수용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각각의 제 1 연결 단자와 연결하여 에너지 저장 전원과의 무선 결합을 구현할 수 있고, 에너지 저장 전원의 구조를 단순화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에너지 저장 전원은 직류 출력 인터페이스 및/또는 교류 출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저장 전원을 통해 직접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 2 전기 장치는 상기 직류 출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교류 출력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에 적합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에너지 저장 전원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있는 에너지 저장 배터리 셀과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저장 배터리 셀은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에너지 저장 배터리 셀이 외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거나 조절하는데 사용되며, 및/또는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에너지 저장 배터리 셀에 대한 외부 전원 공급을 제어하거나 조절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충전부는 상기 제어 모듈을 통해 상기 에너지 저장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용부 내에 설치되어 있는 팝업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팝업 메커니즘은 상기 배터리 유닛을 상기 수용부 내에 유지하거나 상기 배터리 유닛을 상기 수용부로부터 분리시키는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 본체를 포함하고, 각 상기 수용부의 본체는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 상기 수용부의 개구부는 상기 하우징 본체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수용부의 개구부는 상기 하우징 본체의 한 면에 위치하여 있고, 상기 제 2 수용부의 개구부는 상기 하우징 본체의 적어도 두개의 면에 위치하여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배터리 유닛이 제 1 축방향에서만 자유 이동성을 갖도록 상기 제 1 수용부의 내벽은 상기 제 1 배터리 유닛의 둘레 방향 위치를 제한하고, 상기 제 2 배터리 유닛이 적어도 제 1 축방향과 제 2 축방향에서 자유 이동성을 갖도록 상기 제 2 수용부의 내벽은 상기 제 2 배터리 유닛의 측방향 위치를 제한하고, 상기 제 1 축방향은 상기 제 2 축방향에 수직된다.
또한, 상기 제 2 수용부의 개구부는 상기 하우징 본체의 두 면에 위치하여 있으며, 상기 제 2 수용부의 개구부는 L형 또는 U형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 본체와 적어도 두개의 상기 제 1 수용부를 포함하고, 각 상기 제 1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 본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 상기 수용부의 개구부는 상기 하우징 본체의 제 1 측면에 위치하여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배터리 유닛이 제 1 축방향에서만 자유 이동성을 갖도록 상기 제 1 수용부의 내벽은 상기 제 1 배터리 유닛의 둘레 방향 위치를 제한하고, 상기 충전부는 상기 제 1 수용부의 개구부와 마주보게 상기 제 1 수용부의 하단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수용부가 작업 위치와 수납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상기 제 2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작업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제 2 배터리 유닛이 상기 제 2 수용부 내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 2 수용부의 개구부는 외부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제 2 수용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 본체의 수납 공간에 수납된다.
또한, 상기 제 2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 본체의 제 2 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수용부는 제 1 리미트면과 상기 제 1 리미트면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위로 연장되는 제 2 리미트면을 갖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 본체의 제 2 측면은 출구를 갖고 있으며,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제 1 리미트면이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수납되고,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제 2 리미트면이 상기 하우징 본체의 제 2 측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제 1 리미트면이 상기 출구를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 본체와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단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수용부는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며, 상기 에너지 저장 전원이 상기 제 2 수용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제 2 배터리 유닛을 무선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수용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충전부는 무선 충전부이다.
본 출원은 또한 에너지 저장 장치를 제공하고, 에너지 저장 전원과 적어도 하나의 제 1 배터리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배터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저장 전원은 상기 제 1 배터리 유닛과 상기 제 2 배터리 유닛을 분리 가능하게 수납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제 1 배터리 유닛과 상기 제 2 배터리 유닛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제 1 배터리 유닛과 상기 제 2 배터리 유닛은 상기 에너지 저장 전원과 별도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제 1 전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에 적합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배터리 유닛은 제 1 배터리 팩이고 상기 제 2 배터리 유닛은 통합 팩이며, 상기 통합 팩은 장착 케이스와 상기 장착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 2 배터리 팩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배터리 팩은 상기 장착 케이스와는 별도로 제 1 전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상기 제 1 배터리 팩은 상기 제 2 배터리 팩과 동일하지 않다. 에너지 저장 전원의 적용 범위가 더 넓어지도록 에너지 저장 전원은 서로 다른 제 1 전기 장치의 복수 개의 배터리를 충전 및 수납하기에 적합하다. 다시 말하면, 에너지 저장 전원은 어느 하나의 제 1 전기 장치의 적어도 두 개의 제 1 배터리 팩을 충전 및 수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하나의 제 1 전기 장치의 적어도 두 개의 제 2 배터리 팩을 충전 및 수납할 수 있다. 이로써 각 제 1 전기 장치의 배터리 팩의 전기량이 소진될 때, 예비용 배터리 팩을 신속하게 교체하여 제 1 전기 장치의 지속적인 사용을 보장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전원 공급 불가로 인해 제 1 전기 장치의 사용 범위가 제한받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였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 케이스는 복수 개의 상기 제 2 배터리 팩을 분리 가능하게 수납하는데 사용되는 충전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챔버는 개구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통합 팩을 상기 에너지 저장 전원의 제 2 수용부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 각 상기 충전 챔버의 개구부는 상기 제 2 수용부의 개구부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상기 충전 챔버는 기본적으로 일직선을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기존의 기술에 비해, 본 출원의 에너지 저장 전원은 서로 다른 제 1 전기 장치에 적합한 서로 다른 배터리 유닛을 충전할 수 있으며, 충전이 완료된 후 각 배터리 유닛은 에너지 저장 전원에서 분리하여 해당 제 1 전기 장치에 장착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제 1전기 장치를 에너지 저장 전원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별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일 실시예의 모식도이고, 배터리 팩과 에너지 저장 전원의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고, 에너지 저장 전원의 H-H 방향의 부분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일 실시예의 모식도이고, 배터리 팩이 에너지 저장 전원에 의해 수납된 상태를 보여주고, 수용부의 부분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출원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일 실시예의 응용 시나리오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일 실시예의 두 배터리 팩을 교체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배터리 팩을 저장 및 취급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6은 본 출원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일 실시예의 모식도이고, 통합 팩이 에너지 저장 전원에 수납된 상태를 보여주고, 에너지 저장 전원의 M-M 방향의 부분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7은 본 출원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일 실시예의 모식도이고, 통합 팩과 에너지 저장 전원의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고, 에너지 저장 전원의 N-N 방향의 부분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8은 본 출원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일 실시예의 모식도이고, 통합 팩이 에너지 저장 전원에 수납된 상태를 보여주고, 에너지 저장 장치의 부분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9는 본 출원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일 실시예의 모식도이고, 통합 팩과 에너지 저장 전원의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고, 수용부가 작업 위치에 있는 상태를 보여주었으며, 수용부의 다른 한 각도의 부분 확대도를 보여주고, 그리고 에너지 저장 전원의 부분 단면도도 보여준다.
도 10은 본 출원에 따른 에너지 저장 전원의 일 실시예의 모식도이고, 수용부가 수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에너지 저장 전원의 부분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11은 본 출원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일 실시예의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일 실시예의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일 실시예의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일 실시예의 모식도이다.
다음은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출원에 대해 추가로 설명하며, 상충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아래에 설명된 각 실시예 사이 또는 각 기술적 특징 사이를 임의로 조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방위사에 대하여 예를 들어 용어 '중심', '세로 방향', '가로 방향', '길이', '너비', '두께', '상', '하', '앞', '뒤', '좌', '우', '수직', '수평', '상단', '하단', '내', '외', ‘시계 방향’, ‘시계 반대 방향’ 등으로 표시된 방위와 위치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위 또는 위치 관계이고, 본 출원에 대해 용이하게 설명하고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한 것일 뿐이고 언급된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하거나 특정 방향으로 구성 및 작동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를 제한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없다.
본 출원의 명세서와 청구 범위에서의 용어 ‘제 1’, ‘제 2’ 등은 특정한 순서 또는 선후 순서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유사한 대상을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와 청구 범위에서의 용어 ‘포함'과 ‘구비' 및 이들의 그 어떠한 변형은 배타적이지 않은 포함을 커버하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어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의 과정, 방법, 시스템, 제품이 명확하게 나열할 필요가 없는 그런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고,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았거나 이러한 과정, 방법, 제품 또는 장치만의 기타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명세서와 청구 범위에서의 용어 ‘복수 개’는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을 말한다.
본 출원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는 에너지 저장 전원(10)과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유닛(20)을 포함하며, 에너지 저장 전원(10)은 배터리 유닛(20)을 수납하고 배터리 유닛(20)을 충전하기에 적합하며, 배터리 유닛(20)은 에너지 저장 전원(10)과 별도로 제 1 전기 장치(31)에 전원을 공급하기에 적합하다. 에너지 저장 전원(10)은 제 1 전기 장치(31)에 적합한 배터리 유닛(20)을 충전할 수 있고, 그를 위해 수납 공간을 제공하여 제 1 전기 장치(31)의 배터리 유닛(20)을 실외에서 충전하기에 많이 불편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에너지 저장 전원(10)은 하우징(14)와 충전부(15)를 포함한다. 하우징(14)은 하우징 본체(141)와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42)를 포함한다. 수용부(142)는 배터리 유닛(20)을 분리 가능하게 수납하는데 사용된다. 충전부(15)는 배터리 유닛(2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수용부(142) 내에 설치되어 있다. 즉, 에너지 저장 전원(10)은 충전부(15)를 통해 배터리 유닛(20)을 충전한다. 에너지 저장 전원(10)은 배터리 유닛(20)을 수납하는 동시에 배터리 유닛(20)을 충전하기에 적합하다.
하우징 본체(141)는 상단면(1411), 하단면(1412) 및 상단면(1411)과 하단면(1412)을 둘러 연결하는 둘레 방향 측면을 포함하며, 둘레 방향 측면은 둘레 방향을 따라 시작과 끝이 연결되어 있는 제 1측면(1413), 제 2 측면(1414), 제 3 측면(1415)과 제 4 측면(1416)을 포함하며, 제 1 측면(1413)은 제 3 측면(1415)와 마주보고 있으며, 제 4 측면(1416)은 제 2 측면(1414)과 마주보고 있다. 하우징 본체(141)의 상단면(1411), 하단면(1412) 및 둘레 방향 측면 사이에는 에너지 저장 전원(10)의 에너지 저장 배터리 셀, 인버터, 회로기판 등 부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이 정의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측면(1413)은 하우징 본체(141)의 정면이고, 정면은 사용 빈도가 높은 면으로 일반적으로 사용자를 향하고 있다.
에너지 저장 전원(10)은 전원 본체 및 해당 전원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출력 유닛(미도시), 전원 공급 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해당 전원 접속 유닛은 외부 전원은 해당 전원 접속 유닛을 통해 전원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외부 전원에 전기 전도 가능하게 연결되기에 적합하고, 외부 전원은 직류 전원 또는 교류 전원일 수 있다. 해당 전원 본체는 외부 전원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외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기에 적합하다. 출력 유닛은 전원 본체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출력하는 데 사용되며, 출력 유닛은 복수 개의 다양한 타입의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으며 각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타입 및 크기의 전류를 출력하기에 적합하다. 언급할 필요가 있는 점은, 충전부(15)는 출력 유닛의 한가지 인터페이스이며, 충전부(15)는 배터리 유닛(20)의 수요에 맞는 전류를 출력하기에 적합하다.
해당 출력 장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직류 출력 인터페이스(121)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교류 출력 인터페이스(122)가 더 포함되며, 직류 출력 인터페이스(121)는 직류 전력을 출력하기에 적합하고, 교류 출력 인터페이스(122)는 교류 전력을 출력하기에 적합하다. 제 2 전기 장치(32)는 에너지 저장 전원(10)에서 직접 전원을 공급하도록 직류 출력 인터페이스(121) 또는 교류 출력 인터페이스(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에 적합하다. 출력 유닛은 무선 충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충전부는 무선 충전하는 방식을 통해 배터리 또는 전기 장치를 충전할 수 있으며, 해당 무선 충전의 원리는 전자기 유도, 자기 공명, 마이크로파 전기 전송 등 방식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출력 유닛은 복수 개의 직류 출력 인터페이스(121)를 포함하며, 각 직류 출력 인터페이스(121)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직류 출력 인터페이스(121)는 USB 인터페이스, Type-C 인터페이스, Lightning 인터페이스, 점화기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출력 유닛은 복수 개의 교류 출력 인터페이스(122)를 포함하며, 각 교류 출력 인터페이스(12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교류 출력 인터페이스(122)는 2홀 콘센트, 3홀 콘센트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각 직류 출력 인터페이스(121)는 모두 하우징 본체(141)의 제 1 측면(1413)에 설치되어 있고, 각 교류 출력 유닛(122)은 모두 하우징 본체(141)의 제 4 측면(1416)(또는 제 2 측면(1414)에 설치되어 있다. 즉, 각 직류 출력 인터페이스(121)는 한 면에 설치되어 있고, 각 교류 출력 인터페이스(122)는 인접한 다른 한 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되면 전기 장치를 타입별로 구분하여 충전하기에 편리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저장 전원(10) 내부 구조의 합리적인 배치에도 도움이 된다.
해당 전원 본체는 에너지 저장 배터리 셀(16), 제어 모듈(미도시)이 포함되며, 에너지 저장 배터리 셀(16)은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며, 제어 모듈은 에너지 저장 배터리 셀(16), 상기 출력 유닛 및 상기 전원 접속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해당 제어 모듈은 외부 전원이 에너지 저장 배터리 셀(16)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거나 조절하는데 사용되며, 해당 제어 모듈은 또한 출력 유닛으로 다양한 타입 또는 크기의 전류를 출력할 수 있도록 에너지 저장 배터리 셀(16)이 외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거나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해당 제어 모듈은 BMS 보호 회로를 포함하며, 해당 BMS 보호 회로는 에너지 저장 배터리 셀(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에너지 저장 배터리 셀(16)의 과충전, 과방전, 고온, 과전류, 단락 등을 방지하도록 에너지 저장 배터리 셀(16)을 보호하는데 사용된다. 해당 제어 모듈은 인버터를 더 포함하며, 해당 인버터는 에너지 저장 배터리 셀(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출력 유닛을 통해 직류 전력을 출력하도록 에너지 저장 배터리 셀(16)이 출력하는 교류 전력을 변환하는데 사용된다. 해당 제어 모듈은 감압 회로를 더 포함하며, 해당 감압 회로는 에너지 저장 배터리 셀(16)이 출력하는 고압 전력을 감압 처리하고 감압한 후의 교류 전력을 출력 유닛을 통해 출력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감압한 후의 교류 전력을 충전부(15)를 통해 배터리 셀(20)에 공급된다.
배터리 유닛(20)
배터리 유닛(20)의 첫 번째 유형의 실시형태에서 배터리 유닛(20)은 배터리 팩(20A)으로 구현되었며, 해당 배터리 팩(20A)의 바람직한 내용은 선행 특허 CN214848865U를 참조할 수 있다.
배터리 팩(20A)는 에너지 저장 전원(10)으로부터 분리된 상황에서 제 1 전기 장치(3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의 배터리 팩(20A)이 단독으로 제 1 전기 장치(3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복수 개의 배터리 팩(20A)이 동시에 제 1 전기 장치(31)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제 1 전기 장치(31)에는 일반적으로 배터리 팩(20A)을 전문 수납하는 공간이 설치되어 있으며, 배터리 팩(20A)은 제 1 전기 장치(31)에 설치되어 그에 직접 전원을 공급하기에 적합하다. 배터리 팩(20A)는 보조 배터리와 다르고, 보조 배터리는 전기 장치에 직접 전원을 공급할 수 없으며 일반적으로 전환 배선을 통해 전기 장치와의 전기적 연결을 구현해야 하지만, 배터리 팩(20A)은 제 1 전기 장치(31)에 적합한 전원으로서 추가적인 전환 배선 없이 제 1 전기 장치(31)에 직접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배터리 팩(20A)는 충방전 연결부를 포함하며, 충방전 연결부는 충전부(15)와 결합하여 에너지 저장 전원(10)이 배터리 팩(20A)을 충전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충방전 연결부는 또한 제 1 전기 장치(31)와 결합하여 배터리 팩(20A)이 제 1 전기 장치(31)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배터리 팩(20A)은 충방전 연결부를 통해 충전을 구현하는 동시에 방전도 구현할 수 있다. 이러면 배터리 팩(20A)의 전체적인 구조 단순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충방전 연결부는 복수 개의 제 2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배터리 팩(20A)은 제 2 연결 단자를 통해 충전부(15)의 각 제 1 연결 단자(1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따라서 전기 팩(20A)은 에너지 저장 전원(10)에 무선 결합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배터리 팩(20A)는 각 제 2 연결 단자를 통해 제 1 전기 장치(31)에 무선 결합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에 적합하며, 즉 다시 말하면 배터리 팩(20A)는 제 1 전기 장치(31)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충방전 연결부는 세개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 2 연결 단자를 포함한다. 세 개의 제 2 연결 단자를 설치하여 서로 다른 타입의 전기 신호 전송을 구현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제 2 연결 단자 중 적어도 양극 연결 단자와 음극 연결 단자를 포함해야 하며, 세 개의 제 2 연결 단자는 에너지 저장 전원(10)과 전기 팩(20A)의 통신 연결이 구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였다.
바람직하게, 복수 개의 제 2 연결 단자에는 제 2 양극 단자와 제 2 음극 단자가 포함되어 있고, 제 2 양극 단자와 제 2 음극 단자는 각각 충전부(15)의 제 1 양극 단자와 제 1 음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복수 개의 제 2 연결 단자에는 제 2 통신 단자가 포함되어 있고, 제 2 통신 단자는 충전부(15)의 제 1 통신 단자와 통신적으로 연결되기에 적합하며, 에너지 저장 전원(10)은 제 2 통신 단자가 발송하는 통신 코드에 따라 배터리 팩(20A)에 제어 가능하게 전원을 공급하기에 적합하다.
배터리 팩(20A)의 두 번째 유형의 실시형태에서 배터리 팩(20A)은 통합 팩(20B)이고, 통합 팩(20B)은 장착 케이스(21)와 장착 케이스(21)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배터리 팩(20A)을 포함한다. 배터리 팩(20A)은 상기 실시형태를 참조한다.
에너지 저장 전원(10)은 통합 팩(20B)에 전원을 공급하기에 적합하고, 통합 팩(20B)에 전원이 공급될 때 장착 케이스(21)에 설치되어 있는 각 배터리 팩(20A)에도 동시에 전원이 공급된다. 통합 팩 (20B) 중 복수 개의 배터리 팩(20A)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통합 팩 (20B)의 형태를 채택하였고 편리하게 더 많은 배터리 팩(20A)을 충전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배터리 팩(20A)을 에너지 저장 전원(10)에서 분리할 때 장착 케이스(21)에 수납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배터리 팩(20A)이 에너지 저장 전원(10)에서 벗어난 후의 수납 문제를 해결하였다.
장착 케이스(21)는 복수 개의 배터리 팩(20A)을 분리 가능하게 수납하는 충전 챔버(211)를 포함하고, 충전 챔버(211)는 개구부를 갖고 있으며, 통합 팩(20B)이 수용부(142)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 각 충전 챔버(211)의 개구부는 수용부(142)의 개구부(1420)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어 있으므로 통합 팩(20B)이 수용부(142) 내에 설치되어 있어도 사용자는 배터리 팩(20A)을 충전 챔버(211)에서 직접 꺼내거나 배터리 팩(20A)을 충전 챔버(211)에 직접 넣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통합 팩(20B)은 두개 이상의 배터리 팩(20A)을 포함하고, 이에 맞게 장착 케이스(21)는 두개 이상의 충전 챔버(211)를 갖고 있다. 더 바람직하게, 통합 팩(20B)은 세개 이상의 배터리 팩(20A)을 포함하고, 이에 맞게 장착 케이스(21)는 세개 이상의 충전 챔버(211)를 갖고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통합 팩(20B)은 네개 이상의 배터리 팩(20A)을 포함하고, 이에 맞게 장착 케이스(21)는 네개 이상의 충전 챔버(211)를 갖고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복수 개의 충전 챔버(211)는 기본적으로 일직선을 따라 순차적으로 장착 케이스(21)에 설치되어 있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통합 팩(20B)은 메인 전기 연결부를 포함하고, 메인 전기 연결부는 충전부(15)와 결합하여 에너지 저장 전원(10)이 통합 팩(20B)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인 연결부는 또한 제 1 전기 장치(31)와 결합하여 통합 팩(20B)이 제 1 전기 장치(31)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통합 팩(20B)의 메인 전기 연결부는 장착 케이스(21)에 설치되어 있고, 장착 케이스(21)가 수용부(142)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 메인 전기 연결부와 충전부(15)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충전 챔버(211) 내에 서브 전기 연결부가 설치되어 있고, 각 충전 챔버(211) 내의 서브 전기 연결부는 메인 전기 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배터리 팩(20A)의 충방전 연결부는 각 서브 전기 연속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에 적합하고, 각 충전 챔버(211) 내에 설치되어 있는배터리 팩(20A)는 서브 전기 연결부와 메인 전기 연결부를 통해 에너지 저장 전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통합 팩(20B)은 제어 회로와 출력 포트를 더 포함하고, 제어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챔버(211) 내에 설치되어 있는 배터리 팩(20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에 적합하며, 제어 회로는 또한 통합 팩(20B)이 해당 출력 포트를 통해 다른 전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출력 포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14)
하우징(14)의 첫 번째 유형의 실시형태에서 수용부(142)의 본체는 하우징 본체(141)의 내부에 고정 또는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즉 수용부(142)의 본체는 하우징 본체(141)의 수납 공간에 설치되어 있으며 수용부(142)의 개구부는 하우징 본체(141)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용부(142)의 개구부(1420)는 하우징 본체(141)의 한 면에 위치하여 있다. 예를 들면 제 1 측면(1413) 또는 상단면(1411)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수용부(142)의 개구부(1420)는 하우징 본체(141)의 적어도 두개의 면에 위치하여 있다. 예를 들면 개구부(1420)는 제 1 측면(1413)에서 상단면(1411)까지 연장되거나, 개구부(1420)는 제 1 측면(1413)에서 제 2 측면(1412)까지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14)은 적어도 두개의 수용부(142)를 포함하며, 두개의 수용부(142)는 동일한 배터리 유닛(20)을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기에 적합하므로, 하나의 배터리 유닛(20)의 전기량이 소진될 때 다른 하나의 배터리 유닛(20)을 선택하여 제 1 전기 장치(31)에 계속 전원을 공급한다. 언급할 필요가 있는 점은, 본 출원에서 언급된 동일한 배터리 유닛(20)은 서로 교체하여 각각 제 1 전기 장치(3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두개의 배터리 유닛(20)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동일한 사이즈와 동일한 충방전 전압을 갖고 있다.
에너지 저장 전원(10)은 제 1 전기 장치(31)의 적어도 두 개의 배터리 유닛(20)을 수납하고 충전할 수 있으며, 즉 적어도 하나의 예비용 배터리 유닛(20)을 수납하고 충전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전기 장치(31)의 배터리 유닛(20)의 전기량이 소진될 때, 예비용인 다른 하나의 배터리 유닛(20)을 신속하게 교체하여 제 1 전기 장치(31)의 지속적인 사용을 보장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전원 공급 불가로 인해 제 1 전기 장치(31)의 사용 범위가 제한받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였다. 다시 말하면, 제 1 전기 장치(31) 내에 설치되어 있는 하나의 배터리 유닛(20)의 전기량이 소진될 때, 해당 배터리 유닛(20)을 분리하고 에너지 저장 전원(10)에 직접 설치하여 충전할 수 있고, 그리고 제 1 전기 장치(31)가 계속 작동하도록 예비용 다른 하나의 배터리 유닛(20)을 제 1 전기 장치(31)에 장착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수용부(142)는 하우징 본체(14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하우징 본체(141) 내에 설치되어 있고, 복수 개의 수용부(142)의 개구부(1420) 방향은 동일하다.
하우징(14)의 두 번째 유형의 실시형태에서 수용부(142)는 하우징 본체(141)에 고정 또는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즉 수용부(142)는 하우징 본체(141)에 수납되어 있지 않는다. 예를 들어, 수용부(142)는 하우징 본체(141)의 상단면(1411)에 설치될 수 있고, 하우징 본체(141)의 어느 한 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하우징(14)의 세 번째 유형의 실시형태에서 수용부(142)는 하우징 본체(14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수용부(142)가 작업 위치와 수납 위치 사이에서 움직인다. 작업 위치에 있을 경우, 수용부(142)의 개구부(1420)는 배터리 유닛(20)이 수용부(142) 내로 삽입되도록 외부와 연통되어 된다. 수납 위치에 있을 경우, 수용부(14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 본체(141)의 수납 공간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수용부(142)는 하우징 본체(141)의 제 2 측면(1414) 또는 제 4 측면(1416)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수용부(142)는 제 1 리미트면(1421)과 제 1 리미트면(1421)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위로 연장되는 제 2 리미트면(1422)을 갖고 있고, 하우징 본체(141)의 제 2 측면(1414) 또는 제 4 측면(1416)은 출구(1417)를 갖고 있으며, 제 1 리미트면(1412)은 수납 위치에 있을 경우 제 2 리미트면(1421)이 하우징 본체(141)에 수납되고, 수납 위치에 있을 경우 제 2 측면이 하우징 본체(141)의 제 2 측면(1414) 또는 제 4 측면(1416)과 밀착되도록 제 1 리미트면(1412)이 해당 출구를 통과하여 하우징 본체(141)와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수용부(142)
수용부(142)의 첫 번째 유형의 실시형태에서, 배터리 유닛(20)이 제 1 축 방향에만 자유 이동성을 갖도록 수용부(142)의 내벽은 배터리 유닛(20)의 둘레 방향 위치를 제한하고, 제 1 축 방향도 수용부(142)의 개구부(1420)에서 그의 하단면까지 연장하는 방향이다. 충전부(15)는 배터리 유닛(20)이 제 1 축을 따라 수용부(142)의 하단면까지 이동했을 때 충전부(15)와 마침 연결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수용부(142)의 하단면에 설치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용부(142)의 개구부(1420)은 제 1 축에 수직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14)은 팝업 메커니즘(미도시)을 더 포함하고, 팝업 메커니즘은 수용부(142)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배터리 유닛(20)을 수용부(142) 내에 유지시키거나 배터리 유닛(20)을 수용부(142)로부터 분리시키는데 사용된다.
또한, 팝업 메커니즘과 수용부(142)의 개구부(1420)와 마주보게 수용부(142)의 하단면에 설치되어 있고, 팝업 메커니즘이 눌릴 때 걸림 상태와 팝업 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팝업 메커니즘이 원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경우 배터리 유닛(20)은 수용부(142) 내에 유지되어 있고, 팝업 메커니즘은 걸림 상태에서 팝업 상태로 전환될 때 배터리 유닛(20)을 수용부(142)의 개구부(1420) 밖으로 밀어내기에 적합하다. 다시 말하면, 팝업 메커니즘은 개구부(1420)을 향하도록 수용부(142)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배터리 유닛(20)은 개구부(1420)로 수용부(142)에 장착된 후, 직접 밀어내는 방식으로 팝업 메커니즘이 걸림 상태와 팝업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다.
변형 가능하게, 팝업 메커니즘의 움직임은 수용부(142)의 측벽에 설치되어 있고, 팝업 메커니즘은 눌릴 때 수용 위치에서 배출 위치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팝업 메커니즘이 배출 위치에 있을 때 수용부(142)의 내벽에서 돌출되지 않는다. 팝업 메커니즘이 수용 위치에 있을 때 수용부(142) 의 내벽에서 돌출되고 배터리 유닛(20) 측면의 카드 슬롯에 걸려 배터리 유닛(20)의 걸림을 구현하기에 적합하다.
수용부(142)의 두 번째 유형의 실시형태에서, 배터리 유닛(20)이 적어도 제 1 축 방향과 제 2 축방향에서 자유 이동성을 갖도록 수용부(142)의 내벽은 배터리 유닛(20)의 측방향 위치를 제한하고, 제 1 축 방향과 제 2 축방향은 평행되지 않는다. 개구부(1420)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 1 축 방향에 수직되어 있고, 적어도 다른 한 부분은 제 2 축 방향에 수직되어 있으며, 배터리 유닛(20)은 제 1 축 방향을 따라 수용부(142)에 출입하거나 제 2 축 방향을 따라 수용부(142)에 출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 1 축 방향과 제 2 축방향은 서로 수직되어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수용부(142)의 개구부(1420)는 L자형이고, 배터리 유닛(20)은 서로 수직되어 있는 제 1 축 방향과 제 2 축 방향에서 자유 이동성을 갖고 있다. 충전부(15)는 수용부(142)의 제 1 축 방향 하단면에 설치될 수 있고, 수용부(142)의 제 2 축 방향 하단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수용부(142) 내에 팝업 메커니즘을 설치하고 해당 팝업 메커니즘은 위의 내용을 참조할 수 있고, 여기서 이 내용에 대해 다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또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수용부(142)의 개구부(1420)는 U자형이고, 배터리 유닛(20)은 서로 수직되어 있는 제 1 축 방향과 제 2 축 방향에서 자유 이동성을 갖고 있고, 수용부(142)는 제 1 축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충전부(15)는 수용부(142)의 제 2 축 방향 하단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수용부(142)는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고, 즉 수용부(142)의 개구부(1420)가 개방형이며, 배터리 유닛(20)은 수용부(142)가 위치한 평면에서만 위치 제한되며, 다른 방향에서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142)는 하우징 본체(141)의 상단면에 설치될 수 있다.
충전부(15)
충전부(15)의 첫 번째 유형의 실시형태에서 충전부(15)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배터리 유닛(20)을 충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충전부(15)는 복수 개의 제 1 연결 단자(151)를 포함하며, 배터리 유닛(20)은 충전부(15)의 각각의 제 1 연결 단자(1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에 적합하다. 배터리 유닛(20)은 수용부(142)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각각의 제 1 연결 단자(151)와 연결하여 에너지 저장 전원(10)과의 무선 결합을 구현할 수 있고, 이로써 에너지 저장 전원(10)의 구조를 단순화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 1 연결 단자(151)는 바늘 모양 또는 기둥 모양의 연결 단자로 구현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제 1 연결 단자는 배터리 유닛에 대응되는 단자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 1 연결 단자(151)는 수용부(142)의 하단면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개구부(1420)을 향해 연장되고, 수용부(142)의 내벽은 배터리 유닛(20) 이 제 1 축방향에서만 자유 이동성을 갖도록 배터리 유닛(20)의 둘레 방향 위치를 제한하며, 배터리 유닛(20)이 수용부(142)의 개구부(1420)에서 안으로 하단면까지 삽입할 때 수용부(142) 하단면의 각 제 1 연결 단자(151)와 마침 연결되며, 이로써 배터리 유닛(20)이 충전부(15)와 원활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고, 충전 중인 배터리 유닛(20)이 수용부(142) 내에 완전히 수납되도록 보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충전부(15)는 세 개의 제 1 연결 단자(151)를 포함하며, 세개의 제 1 연결 단자(151)는 수용부(142) 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며. 세개의 제 1 연결 단자(151)를 설치함으로써 서로 다른 타입의 전기 신호 전송을 구현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제 1 연결 단자(151) 중 적어도 양극 연결 단자와 음극 연결 단자를 포함해야 하며, 본 출원의 충전부(15)는 추가로 하나의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단자를 추가하여 에너지 저장 전원(10)과 배터리 유닛(20)의 통신 연결이 구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였다.
또한, 복수 개의 제 1 연결 단자(151)에는 제 1 양극 단자와 제 2 음극 단자가 포함되어 있고, 충전부(15)와 배터리 유닛(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 1 양극 단자와 제 2 음극 단자는 각각 배터리 유닛(20)의 제 2 양극 단자와 제 2 음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 1 연결 단자(151)에는 제 1 통신 단자가 포함되어 있고, 에너지 저장 전원(10)은 제 1 통신 단자가 수신되는 배터리 유닛(20)의 정보에 따라 배터리 유닛(20)에 제어 가능하게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 1 통신 단자는 배터리 유닛(20)과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충전부(15)가 부적합한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여 위험을 초래하지 않도록 충전부(15)의 복수 개의 제 1 연결 단자(151)에 하나의 통신적으로 연결을 구현하는 단자가 설치되어 있고, 제 1 통신 단자는 적합한 배터리 유닛(20)과 통신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에너지 저장 전원(10)이 배터리 유닛(20)이 발송한 통신 코드를 수신하고 해당 통신 코드가 요구에 적합함을 확인한 후에야만 에너지 저장 전원(10)이 배터리 유닛(20)을 충전하기 시작하며, 이로써 에너지 저장 전원(10)이 부적합한 배터리을 충전할 때 야기되는 안전상의 위험을 피할 수 있다.
충전부(15)의 두 번째 유형의 실시형태에서 충전부(15)는 무선 충전부이고 무선 충전 방식으로 배터리 유닛(20)을 충전한다. 즉, 배터리 유닛(20)이 충전부(15)에 가까이하면 무선 충전할 수 있다. 충전부(15)가 무선 충전을 진행하는 작업 원리는 전자기 유도, 자기 공명, 마이크로파 전기 전송 등 방식으로 배터리 유닛(20)에 전기 에너지를 전송할 수 있고,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전기 장치(31, 32)
전기 장치는 적합한 배터리 유닛(20)의 제 1 전기 장치(31)와 적합한 에너지 저장 전원(10)의 제 2 전기 장치(32)가 포함되어 있다.
제 2 전기 장치(32)는 DC 전기 장치 또는 AC 전기 장치일 수 있다. 즉, 제 2 전기 장치(32)는 에너지 저장 전원(10)에서 직접 전원을 공급하도록 직류 출력 인터페이스(121) 또는 교류 출력 인터페이스(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에 적합하다.
제 1 전기 장치(31)는 DC 전기 장치일 뿐이고, 이는 기계식 동력 도구 장비(예: 잔디 깎는 기계, 드릴 드라이브, 진공 청소기 등) 또는 비기계식 전기 장치(예: 작업용 라디오, 작업용 램프 등)를 포함한다. 언급할 필요가 있는 점은, 기계식은 모터 구동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제 1 전기 장치(31)는 배터리 팩(20A)에 무선으로 연결되고 배터리 팩(20A)으로부터 전원을 직접 공급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터리 팩(20A)은 일반적으로 4V, 12V 또는 18V 등 공칭 전압을 가진 동력 도구 배터리 또는 배터리 셀을 말한다. 배터리 팩(20A)은 하우징, 공구 인터페이스(즉, 충방전 연결부) 및 래치락을 포함하며, 이는 래치락을 통해 공구 인터페이스를 제 1 전기 장치(31)의 배터리 인터페이스에 선택적으로 잠겨준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팩(20A)은 전력 단자를 통해 배터리 셀에서 제공한 전력을 제 1 전기 장치(31)에 공급하고, 통신 단자를 통해 제 1 전기 장치(31)와 서로 통신 인식하며, 배터리 팩(20A)와 제 1 전기 장치(31)가 서로 매칭 인식 통신에 성공해야만 제 1 전기 장치(31)가 전력에 의해 구동되어 작동한다.
본 출원의 제 1 양태
본 출원의 제 1 양태에서, 에너지 저장 전원(10)을 제공하고, 하우징(14)을 포함하고, 하우징(14)은 적어도 두개의 수용부(142)를 포함하며, 서로 다른 수용부(142)는 동일한 배터리 유닛(20)을 분리 가능하게 수납하기에 적합하며, 수용부(142)에는 배터리 유닛(20)에 전원을 공급도록 충전부(15)가 설치되어 있다. 즉, 에너지 저장 전원(10)은 충전부(15)를 통해 배터리 유닛(20)을 충전하며, 배터리 유닛(20)은 배터리 유닛(20)의 전기량이 소진될 때 다른 하나의 배터리 유닛(20)을 선택하여 제 1 전기 장치(31)에 계속 전원이 공급되도록 에너지 저장 전원(10)과 별도로 제 1의 전기 장치(31)에 전원을 공급하기에 적합하다.
본 출원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에너지 저장 장치를 제공하고, 에너지 저장 전원(10)과 적어도 두개의 동일한 배터리 유닛(20)을 포함하며, 에너지 저장 전원(10)은 배터리 유닛(20)을 각각 수납하기에 적합하고, 무선으로 배터리 유닛(20)에 전원을 공급하며, 각 배터리 유닛(20)은 번갈아 제 1 전기 장치(31)에 전원을 공급하기에 적합하다. 적어도 두 개의 동일한 배터리 유닛(20)과 에너지 저장 전원(10)의 조합을 통해 제 1 전기 장치(31)는 에너지 저장 전원(10)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사용하는 환경에서도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출원의 에너지 저장 전원(10)은 제 1 전기 장치(31)의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유닛(20)을 충전하고 수납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예비용 배터리 유닛(20)을 충전하고 수납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제 1 전기 장치(31)의 배터리 유닛(20)의 전기량이 소진될 때, 예비용 배터리 유닛(20)을 신속하게 교체하여 제 1 전기 장치(31)의 지속적인 사용을 보장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전원 공급 불가로 인해 제 1 전기 장치(31)의 사용 범위가 제한받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였있다.
실외 활동은 아주 다양하다. 예를 들어 실외 바비큐, 실외 영화 관람, 스포츠 등이 있으며, 이러한 활동에는 인덕션 렌지, 스피커, 비디오 장비, 조명, 통신 등 전기 장치가 사용될 수 있지만 실외에서의 전원 공급은 아주 불편하므로 에너지 저장 장치로 다양한 전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해야 한다. 기존의 에너지 저장 장치는 전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때 일반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선을 연결해야 하는데, 이는 실외에서 많은 불편함을 가져온다. 예를 들어 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 전기 장치를 에너지 저장 장치에서 멀리 떨어져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 전선이 바닥에 흩어져 있어 사용자가 걸려 넘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전의 위험도 있다.
본 출원의 에너지 저장 전원(10)을 실외에서 사용하는 시나리오를 예로 들어 에너지 저장 전원(10)의 적용에 대해 추가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사용 시나리오 모식도와 같이 사용자 A와 사용자 B는 각각 조리 기기(32)를 사용하고 사용자 C는 엔터테이먼트 기기(31)을 사용하고 있다. 조리 기기(32)는 에너지 저장 전원(10)에 의해 전원을 직접 공급받는다. 즉 조리 기기(32)는 전선을 통해 에너지 저장 전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엔터테이먼트 기기(31)는 배터리 팩(20A) 하나로 전원을 공급하므로 사용자 C의 활동 범위가 에너지 저장 전원(10)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조리 기기(32)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엔터테이먼트 기기(31)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전기량이 소진된 후 사용자는 엔터테이먼트 기기(31)에 있는 배터리 팩(20A)을 분리하고 에너지 저장 전원(10)에 수납하여 충전할 수 있다. 동시에 엔터테이먼트 기기(31)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도록 에너지 저장 전원(10)에 수납되어 있는 다른 하나의 예비용 배터리 팩(20A)을 꺼내고 엔터테이먼트 기기(31)에 장착한다.
본 출원의 에너지 저장 전원(10)은 한편으로는 배터리 유닛(20)의 충전을 만족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에너지 저장 전원(10) 자체가 직류 출력 인터페이스(121) 및/또는 교류 출력 인터페이스(122)를 가지고 있기에, 제 2 전기 장치(32)의 전기 사용을 직접 만족시킬 수 있고 배터리 팩(20A)이 에너지 저장 전원(10)에 구성되어 있을 때 에너지 저장 전원(10)은 배터리 팩(20A)을 충전하기에 적합하다. 배터리 팩(20A)을 에너지 저장 전원(10)에서 분리될 때 배터리 팩(20A)는 제 1 전기 장치(31)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며, 제 1 전기 장치(31)와 제 2 전기 장치(32)는 대응되는 배터리 팩(20A)와 에너지 저장 전원(10)을 통해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기에 적합하다. 여기서, 에너지 저장 전원(10)의 용량은 배터리 팩(20A)의 용량보다 크다.
특히, 배터리 팩(20A)이 에너지 저장 전원(10)에 구성될 때, 에너지 저장 전원(10)은 배터리 팩(20A)을 충전하기에 적합하며, 그의 평균 충전 전류는 4A 이다. 또는 배터리 팩(20A)은 적어도 1C의 충전 배율로 에너지 저장 전원(10)으로부터 충전된다.
본 출원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하우징(14)은 적어도 두개의 수용부(142)를 포함하고, 서로 다른 수용부(142)는 동일한 배터리 유닛(20)을 분리 가능하게 수납하기에 적합하고, 이때 두개의 동일한 배터리 유닛(20)을, 예를 들어 두개의 동일한 배터리 팩(20A)을 꺼내고 동시에 제 1 전기 장치(31)에 무선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이때의 제 1 전기 장치(31)는 이중 팩 전기 장치이며, 이에는 두개의 배터리 팩(20A)이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장착부가 구성되어 있다. 이때 두 개의 동일한 배터리 팩(20A)이 직렬 또는 병렬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해당 이중 팩 전기 장치에는 이중 팩 세차기(CN114512761A 참조), 이중 팩 잔디 깎는 기계(CN216218791U 참조) 등이 있다.
본 출원의 제 2 양태
본 출원의 제 2 양태에서, 에너지 저장 전원(10)을 제공하고, 하우징(14)을 포함하고, 하우징(14)은 수용부(142)를 포함하며, 수용부(142)는 하나의 통합 팩(20B)을 분리 가능하게 수납하기에 적합하고, 수용부(142) 내에 통합 팩(20B)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충전부(15)가 설치되어 있고, 통합 팩(20B)은 장착 케이스(21)와 장착 케이스(21)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배터리 팩(20A)을 포함하며, 배터리 팩(20A)은 장착 케이스(21)와 분리되게 제 1 전기 장치(31)에 전원을 공급하기에 적합하다.
본 출원의 제 2 양태에서, 에너지 저장 장치를 더 제공하고, 에너지 저장 전원(10)과 통합 팩(20B)을 포함하며, 에너지 저장 전원(10)은 통합 팩(20B)을 분리 가능하게 수납하기에 적합하고, 그리고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무선 충전하는 방식으로 통합 팩(20B)에 전원을 공급하며, 통합 팩(20B)은 장착 케이스(21)와 장착 케이스(21)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배터리 팩(20A)을 포함하며, 통합 팩(20B)에 전원이 공급될 때 장착 케이스(21)에 장착되어 있는 각각의 배터리 팩(20A)에 전원이 공급되며, 배터리 팩(20A)은 장착 케이스(21)와 분리되게 제 1 전기 장치(31)에 전원을 공급하기에 적합하다.
본 출원의 에너지 저장 전원(10)은 제 1 전기 장치(31)의 복수의 배터리 팩(20A)을 충전하고 수납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예비용 배터리 팩(20A)을 충전하고 수납한다. 이렇게 하면 각 제 1 전기 장치(31)의 하나의 배터리 팩(20A)의 전기량이 소진될 때, 예비용 다른 하나의 배터리 팩(20A)을 신속하게 교체하여 제 1 전기 장치(31)의 지속적인 사용을 보장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전원 공급 불가로 인해 제 1 전기 장치(31)의 사용 범위가 제한받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였다. 그리고, 통합 팩(20B)의 형태를 채택하였고 편리하게 복수 개의 배터리 팩(20A)에 집중적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배터리 팩(20A)을 장착 케이스(21)에 의해 통일로 수납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배터리 팩(20A)이 에너지 저장 전원(10)에서 벗어난 후의 수납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출원의 제 2 양태에서, 본 출원의 에너지 저장 전원(10)은 한편으로는 통합 팩(20B)의 충전을 만족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에너지 저장 전원(10) 자체가 직류 출력 인터페이스(121) 및/또는 교류 출력 인터페이스(122)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제 2 전기 장치(32)의 전기 사용을 직접 만족시킬 수 있고, 통합 팩(20B)이 에너지 저장 전원(10)에 구성되어 있을 때 에너지 저장 전원(10)은 통합 팩(20B) 중의 복수개의 배터리 팩(20A)을 충전하기에 적합하다. 배터리 팩(20A)을 통합 팩(20B)에서 분리될 때 배터리 팩(20A)는 제 1 전기 장치(31)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며, 제 1 전기 장치(31)와 제 2 전기 장치(32)는 대응되는 배터리 팩(20A)와 에너지 저장 전원(10)을 통해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기에 적합하다. 여기서, 에너지 저장 전원(10)의 용량은 통합 팩(20B) 중 각 배터리 팩(20A)의 용량의 합보다 크다.
특히, 에너지 저장 전원(10)이 무선으로 전원 공급 또는 무선으로 충전하는 방식으로 통합 팩(20B)에 전원을 공급할 때, 각 배터리 팩(20A)의 현재 전기량을 우선적으로 식별하여 획득하고, 사용자가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완전 충전된 배터리 팩(20A)을 획득할 수 있도록 현재 전기량이 비교적 높은 배터리 팩(20A)에 우선적으로 충전하여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그를 완전 충전하고, 그다음 순차적으로 전기량이 비교적 낮은 배터리 팩(20A)을 충전한다. 이때,사용자가 이 완전 충전된 배터리 팩(20A)의 전기량을 소진했을 때, 다른 배터리 팩도 이미 완전 충전 됨으로 사용자가 전원 교체하여 사용하는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물론 충전 전력이 허용되는 조건에서 각 배터리 팩(20A)의 평균 충전 전류가 4A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우선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다. 또는 각 배터리 팩(20A)은 적어도 1C의 충전 배율로 에너지 저장 전원(10)으로부터 충전된다.
본 출원의 제 2 양태에서, 본 출원의 통합 팩(20B)의 각 배터리 팩(20A)는 동일하다. 즉, 동일한 사양, 동일한 사이즈, 동일한 전압이며, 이때 통합 팩(20B)에 예를 들어 USB 인터페이스 또는 type-c 인터페이스와 같은 하나의 방전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복수 개의 배터리 팩(20A)은 서로 병렬되는 방식으로 통합 팩(20B)의 장착 케이스(21)에 구성되어 있고, 통합 팩(20B) 전체를 보조 배터리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통합 팩(20B)의 장착 케이스(21)에서 임의의 배터리 팩(20A)을 꺼냈을 때 통합 팩(20B)의 전체 방전 출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제 3 양태
본 출원의 제 3 양태에서 에너지 저장 전원(10)을 제공하고, 하우징(14)를 포함하고, 하우징(14)은 적어도 두 개의 수용부(142)를 포함하며, 적어도 두 개의 수용부(142)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수용부(142A)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수용부(142B)가 포함되어 있고, 제 1 수용부(142A)는 제 1 배터리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수납하기에 적합하며, 제 2 수용부(142B)는 제 2 배터리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수납하기에 적합하고, 제 1 배터리 유닛과 제 2 배터리 유닛은 동일하지 않다. 각 수용부(142) 내에 제 1 배터리 유닛 또는 제 2 배터리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충전부(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 1 배터리 유닛과 제 2 배터리 유닛은 에너지 저장 전원(10)이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제 1 전기 장치(31)에 분리되게 전원을 공급하기에 적합하다.
제 1 배터리 유닛 및 제 2 배터리 유닛의 구조는 배터리 유닛(20)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 내용에 대해 다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언급할 필요가 있는 점은, 제 1 배터리 유닛과 제 2 배터리 유닛이 다르다는 것은 제 1 배터리 유닛과 제 2 배터리 유닛이 사로 다른 배터리 유닛(20)이라는 것을 말하고, 둘은 모양이 다를 수 있고, 충방전 방식이 다를 수도 있으며, 조립 방식이 다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제 1 배터리 유닛은 제 1 배터리 팩이고 제 1 배터리 팩은 에너지 저장 전원(10)이 제 1 전기 장치(31)에 분리되게 전원을 공급하기에 적합하다. 제 2 배터리 유닛은 통합 팩(20B)이고, 통합 팩(20B)은 장착 케이스(21)와 장착 케이스(21)에 탈착 가능하게 설절되어 있는 복수 개의 배터리 팩를 포함하며, 제 2 배터리 팩(20A)은 장착 케이스(21)와 분리되게 제 1 전기 장치(31)에 전원을 공급하기에 적합하다.
제 1 배터리 팩과 제 2 배터리 팩의 구조는 배터리 팩(20A)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 내용에 대해 다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제 1 배터리 팩은 제 2 배터리 팩과 다르다. 즉, 제 1 배터리 팩과 제 2 배터리 팩은 서로 다른 배터리 팩(20A)이며, 둘은 모양이 다르거나 충방전 전압이 다르거나 용량이 다를 수 있다. 서로 다른 배터리 팩(20A)은 서로 다르게 제 1 전기 장치(31)에 전원을 공급하기에 적합하다.
본 출원의 제 3 양태에서, 에너지 저장 장치를 더 제공하고, 에너지 저장 전원(10), 적어도 하나의 제 1 배터리 유닛과 적어도 하나의 제 2 배터리 유닛을 포함하며, 에너지 저장 전원(10)은 제 1 배터리 유닛과 제 2 배터리 유닛을 분리 가능하게 수납하고, 무선으로 제 1 배터리 유닛과 제 2 배터리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기에 적합하며, 제 1 배터리 유닛과 제 2 배터리 유닛은 에너지 저장 전원(10)이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제 1 전기 장치(31)에 분리되게 전원을 공급하기에 적합하다.
본 출원의 에너지 저장 전원(10)은 서로 다른 제 1 전기 장치(31)의 서로 다른 배터리 유닛을 충전하기에 적합하고, 충전 완료한 후 서로 다른 제 1 전기 장치(31)을 에너지 저장 전원(10)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별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각 배터리 유닛은 에너지 저장 전원(10)에서 분리하여 해당 제 1 전기 장치(31)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제 1 전기 장치(31)의 서로 다른 배터리 유닛은 에너지 저장 전원(10)에 의해 수납되고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에너지 저장 전원(10)의 적용 범위를 향상시켰다. 즉, 에너지 저장 전원(10)은 더 많은 유형의 제 1 전기 장치(31)의 배터리 유닛을 충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 3 양태에서, 제 1 배터리 팩은 제 2 배터리 팩과 다르다. 즉, 제 1 배터리 팩과 제 2 배터리 팩은 서로 다른 배터리 팩(20A)이고, 제 1 배터리 팩과 제 2 배터리 팩은 각각 복수 개이며, 모두 에너지 저장 전원(10)으로부터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무선으로 충전하는 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지만 서로 다른 배터리 팩(20A)은 서로 다른 제 1 배터리 팩(31)에 전원을 공급하기에 적합하다. 이렇게 본 출원의 제 3 양태에서 한편으로는 에너지 저장 전원 자체 갖고 있는 직류 출력 인터페이스(121) 및/또는 교류 출력 인터페이스(122)를 통해 제 2 전기 장치(32)의 전력 사용을 만족시킬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또한 서로 다른 배터리 팩(20A)을 통해 서로 다른 제 1 전기 장치(31)에 전원을 공급하하기에 적합하며, 에너지 저장 전원(10)의 적용 범위를 넓혔고, 전력 사용 환경을 풍부하게 하였으며, 사용자의 다양한 전력 사용 수요를 만족시켰다.
구체적으로, 에너지 저장 전원(10)은 직류 출력 인터페이스(121)를 통해 DC 타입인 제 2 전기 장치(32)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및/또는 교류 출력 인터페이스(122)를 통해 AC 타입인 제 2 전기 장치(32)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 1 배터리 팩과 제 2 배터리 팩은 서로 다른 배터리 팩(20A)이다. 예를 들어 제 1 배터리 팩의 제 1 출력 전압(예를 들어 20V)이 제 2 배터리 팩의 제 2 출력 전압(예를 들어 4V)보다 크다. 이러므로 제 1 배터리 팩은 제 1 출력 전압(예를 들어 20V)을 구동 전압으로 하는 타입인 제 1 전기 장치(31)의 전기 사용을 만족시킬 수 있고, 제 2 배터리 팩은 제 2 출력 전압(예를 들어 4V)을 구동 전압으로 하는 타입인 제 1 전기 장치(31)의 전기 사용을 만족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제 4 양태
본 출원의 제 4 양태에서, 에너지 저장 전원(10)을 제공하고, 하우징 본체(141)와 수용부(142)를 포함한다. 하우징 본체(141)은 하나의 정면를 가지고 있으며, 하우징 본체의 정면에는 복수 개의 출력 인터페이스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 2 전기 장치(32)는 에너지 저장 전원(10)에서 직접 전원을 공급하도록 출력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에 적합하다. 수용부(142)는 배터리 유닛(20)을 분리 가능하게 수납하는데 사용되며, 배터리 유닛(20)은 에너지 저장 전원(10)과 별도로 제 1 전기 장치(31)에 전원을 공급하기에 적합하며, 수용부(142)는 하우징 본체(141)에 설치되어 있고, 수용부(142)의 개구부는 하우징 본체(141)의 정면 방향으로 수용부(142) 내의 배터리 유닛(20)을 꺼낼 수 있도록 하우징 본체(141)의 정면에 노출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141)의 제 1 측면(1413)이 바로 정면이다. 하우징 본체(141)의 제 3 측면(1415)에 전류를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인터페이스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다.
에너지 저장 전원(10)의 정면은 사용 빈도가 비교적 높은 면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에너지 저장 전원(10)을 배치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배터리 유닛(20)의 충전 상태를 쉽게 관찰하고 수용부(142)에서 배터리 유닛(20)을 쉽게 꺼낼 수 있으며 수용부(142)에 배터리 유닛(20)을 쉽게 배치할 수 있도록 에너지 저장 전원(10)의 정면을 사용자를 향하게 하고 수용부(142)의 개구부(1420)를 정면에 설치한다.
본 출원의 제 5 양태
본 출원의 제 5 양태에서, 에너지 저장 전원(10)을 제공하고, 하우징 본체(141)와 수용부(142), 적어도 하나의 직류 출력 인터페이스(121) 및 적어도 하나의 교류 출력 인터페이스(122)를 포함한다. 하우징 본체(141)은 인접되어 있는 제 1 측면(1413)과 제 4 측면(1416)을 갖고 있다. 수용부(142)는 배터리 유닛(20)을 분리 가능하게 수납하는데 사용되며, 배터리 유닛(20)은 에너지 저장 전원(10)과 별도로 제 1 전기 장치(31)에 전원을 공급하기에 적합하며, 수용부(142)의 본체는 하우징 본체(141) 내에 설치되어 있고, 수용부(142)의 개구부(1420)는 하우징 본체(141)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수용부(142)의 본체는 제 1 측면(1413)과 제 4 측면(1416)의 연결처에 위치하여 있다. 각 직류 출력 인터페이스(121)는 제 1 측면(1413)에 설치되어 있고, 각 교류 출력 인터페이스(122)는 제 4 측면(1416)에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141)의 제 1 측면(1413)이 바로 정면이다. 하우징 본체(141)의 제 3 측면(1415)에 전류를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인터페이스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다.
에너지 저장 전원(10)의 직류 출력 인터페이스(121)는 주로 제 1 측면(1413)에 설치되어 있고, 교류 출력 인터페이스(122)는 주로 제 4 측면(1416)에 설치되어 있으며, 하우징 본체(141)의 내부 공간을 더 잘 활용하여 하우징 본체(141)의 각 부품을 더 콤팩트하게 설치하고 에너지 저장 전원(10)의 부피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도록 수용부(142)를 제 1 측면(1413)과 제 4 측면(1416)의 연결부에 설치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에너지 저장 장치는 에너지 저장 전원(10)과 두개의 배터리 팩(20A)을 포함한다. 에너지 저장 전원(10)의 하우징(14)은 하우징 본체(141)와 두개의 수용부(142)를 포함하고, 두개의 수용부(142)의 본체는 높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하우징 본체(141)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두개의 수용부(142)의 개구부(1420)는 하우징 본체(141)의 제 1 측면(1413)에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 팩(20A)이 제 1 축에서만 자유 이동성을 갖도록 수용부(142)의 내벽은 배터리 팩(20A)의 둘레 방향 위치를 제한한다.
충전부(15)는 수용부(142)의 개구부(1420)와 마주보도록 수용부(142)의 하단면에 설치되어 있고, 배터리 팩(20A)이 제 1 축 방향으로 개구부(1420)에서 수용부(142)의 하단면에 삽입될 때 배터리 팩(20A)의 충방전 접속부와 충전부(15)가 정확히 정렬된다. 충전부(15)는 세개의 제 1 연결 단자(151)를 포함하고, 세개의 제 1 연결 단자(151)은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배터리 팩(20A)은 각 제 1 연결 단자(151)에 일대일로 대응되는 제 2 연결 단자(미도시)가 있다.
에너지 저장 정원(10)의 각 직류 출력 인터페이스(121)는 제 1 측면(1413)에 위치하여 있고, 각 교류 출력 인터페이스(122)는 제 4 측면(1416)에 위치하여 있다. 수용부(142)의 본체는 하우징 본체(141)에 위치하여 있고, 제 1 측면(1413)과 제 4 측면(1416)의 연결부에 위치하여 있다. 수용부(142)의 본체는 제 4 측면(1416)과 평행되게 하우징 본체(141) 내에 설치되어 있다. 즉, 수용부(142)의 본체는 제 4 측면(1416)과 평행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수용부(142) 내에 팝업 메커니즘(미도시)이 설치되어 있고, 팝업 메커니즘은 수용부(142)의 개구부(1420)에 대응되게 수용부(142)의 하단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팝업 메커니즘은 눌릴 때 걸림 상태와 팝업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팝업 메커니즘은 걸림 상태에서 배터리 유닛(20)이 수용부(142) 내에 유지되게 하기에 적합하며 팝업 메커니즘은 걸림 상태에서 팝업 상태로 전환될 때 배터리 유닛(20)을 수용부(142)의 개구부(1420) 밖으로 밀어내기에 적합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용부(142)에 설치된 배터리 팩(20A)을 누를 때 팝업 메커니즘은 배터리 팩(20A)을 수용부(142)에서 팝업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전원(10)의 제 1 측면(1413)이 바로 그의 정면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에너지 저장 장치는 에너지 저장 전원(10)과 하나의 통합 팩(20B)을 포함한다. 에너지 저장 전원(10)의 하우징은 하우징 본체(141)와 하나의 수용부(142)를 포함하고, 수용부(142)의 본체는 하우징 본체(141)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수용부(142)의 개구부(1420)는 하우징 본체(141)의 제 1 측면(1413)에서 상단면(1411)으로 연장되어 있다. 통합 팩(20B)이 제 1 축 방향과 제 2 축 방향에서만 자유 이동성을 갖도록 수용부(142)의 내벽은 통합 팩(20B)의 둘레 방향 위치를 제한한다. 수용부(142)의 개구부(1420)는 L자형이다.
충전부(15)는 제 1 축 방향을 따라 개구부(1420)와 대응되게 수용부(142)의 하단면에 설치되어 있다. 통합 팩(20B)이 제 1 축 방향으로 개구부(1420)에서 수용부(142)의 하단면에 삽입될 때 통합 팩(20B)의 메인 전기 연결부와 충전부(15)가 정확히 정렬된다. 충전부(15)는 세개의 제 1 연결 단자(151)를 포함하고, 세개의 제 1 연결 단자(151)은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통합 팩(20B)은 각 제 1 연결 단자(151)에 일대일로 대응되는 제 2 연결 단자가 있다.
통합 팩(20B)은 장착 케이스(21)와 분리되게 장착 케이스(21)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배터리 팩(20A)을 포함한다. 장착 케이스(21)는 복수 개의 충전 챔버(211)를 포함하며, 배터리 팩(20A)은 각 충전 챔버(211)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기에 적합하고, 충전 챔버(211)은 개구부를 갖고 있고, 통합 팩(20B)이 수용부(142)에 설치될 때 각 충전 챔버(211)의 개구부는 수용부(142)의 개구부(1420)과 마주본다. 장착 케이스(21)에는 네개의 충전 챔버(211)를 포함한다. 통합 팩(20B)은 메인 전기 연결부를 포함하고, 메인 전기 연결부는 충전부(15)와 결합하여 에너지 저장 전원(10)이 통합 팩(20B)을 충전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통합 팩(20B)의 메인 전기 연결부는 장착 케이스(21)에 설치되어 있고, 장착 케이스(21)가 수용부(142)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 메인 전기 연결부와 충전부(15)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할 수 있다. 각 충전 챔버(211) 내에는 서브 전기 연결부가 설치되어 있고 각 충전 챔버(211) 내의 서브 전기 연결부는 메인 전기 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배터리 팩(20A)의 충방전 연결부는 각 서브 전기 연속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에 적합하고, 각 충전 챔버(211) 내에 설치되어 있는 배터리 팩(20A)은 서브 전기 연결부와 메인 전기 연결부를 통해 에너지 저장 전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정원(10)의 각 직류 출력 인터페이스(121)는 제 1 측면(1413)에 위치하여 있고, 각 교류 출력 인터페이스(122)는 제 4 측면(1416)에 위치하여 있다. 수용부(142)는 제 1 측면(1413)과 제 2 측면(1414)의 연결부에 위치하여 있다. 수용부(142)의 본체는 제 2 측면(1414)과 평행되게 하우징 본체(141) 내에 설치되어 있다.
에너지 저장 전원(10)의 제 1 측면(1413)이 바로 그의 정면이다.
도 9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에너지 저장 전원(10)과 하나의 통합 팩(20)을 포함한다. 에너지 저장 전원(10)의 하우징(14)은 하우징 본체(141)과 하나의 수용부(142)를 포함하며, 수용부(142)는 수용부(142)가 작업 위치(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와 수용 위치(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하우징 본체(141)의 한 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작업 위치에 있을 경우, 수용부(142)의 개구부(1420)는 통합 팩(20B)이 수용부(142) 내에 삽입하기에 적합하도록 외부와 연통되어 있다. 수납 위치에 있을 경우, 수용부(142)가 하우징 본체(141)의 수납 공간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42)는 하우징 본체(141)의 제 2 측면(1414)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수용부(142)는 제 1 미리트면(1412)과 제 1 미리트면(1412)의 한쪽 끝에서 세로 방향으로 위로 연장하는 제 2 미리트면(1422)이 갖고 있고, 하우징 본체(141)의 제 2 측면(1414)은 출구(1417)를 갖고 있으며, 제 1 미리트면(1412)은 이 출구(1417)를 통과하여 하우징 본체(141)와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수납 위치에 있을 때 제 1 리미트면(1421)이 하우징 본체(141) 내에 수납되고, 수납 위치에 있을 때 제 2 리미트면(1422)과 하우징 본체(141)의 제 2 측면(1414) 또는 제 4 측면(1416)과 밀착된다.
수용부(142)의 개구부는 U자형이고, 통합 팩(20B)은 서로 수직인 제 1 축 방향과 제 2 축 방향에서 위를 향해 자유 이동성을 갖고 있고 수용부(142)는 제 1 축 방향에서 관통된다. 충전부(15)는 제 1 리미트면(1412)에 설치되어 있다. 충전부(15)는 세개의 제 1 연결 단자(151)를 포함하고, 세개의 제 1 연결 단자(151)은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통합 팩(20B)은 각 제 1 연결 단자(151)에 일대일로 대응되는 제 2 연결 단자가 있다.
통합 팩(20B)은 실시예 2의 통합 팩(20B)과 동일하므로 다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에너지 저장 정원(10)의 각 직류 출력 인터페이스(121)는 제 1 측면(1413)에 위치하여 있고, 각 교류 출력 인터페이스(122)는 제 4 측면(1416)에 위치하여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4의 에너지 저장 장치는 에너지 저장 전원(10)과 두개의 동일한 배터리 팩(20A) 및 하나의 통합 팩(20B)(통합 팩(20B) 내의 배터리 팩(20A)은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에너지 저장 전원(10)은 하우징 본체(141), 두개의 제 1 수용부(142A) 및 하나의 제 2 수용부(142B)를 포함하며, 두개의 제 1 수용부(142A)의 설치 방식은 실시예 1의 두개의 수용부(142)와 동일하고, 여기서 이 내용에 대해 다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제 2 수용부(142B)의 실시형태는 실시예 3의 수용부(142)와 동일하고, 여기서 이 내용에 대해 다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제 1 수용부(142A)에 구성되어 있는 제 1 배터리 팩(20A)은 통합 팩(20B)에 구성되어 있는 제 2 배터리 팩(20A)과 다르다.
예를 들어, 제 1 배터리 팩의 제 1 출력 전압(예를 들어 20V)이 제 2 배터리 팩의 제 2 출력 전압(예를 들어 4V)보다 크다. 이러므로 제 1 배터리 팩은 제 1 출력 전압(예를 들어 20V)을 구동 전압으로 하는 타입인 제 1 전기 장치(31)의 전기 사용을 만족시킬 수 있고, 제 2 배터리 팩은 제 2 출력 전압(예를 들어 4V)을 구동 전압으로 하는 타입인 제 1 전기 장치(31)의 전기 사용을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5의 에너지 저장 장치는 에너지 저장 전원(10)과 두개의 동일한 배터리 팩(20A)(그중 한 개의 배터리 팩(20A)만 도시) 및 하나의 통합 팩(20B)(통합 팩(20B) 내의 배터리 팩(20A)은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각 배터리 팩(20A)은 동일하다.
에너지 저장 전원(10)은 하우징 본체(141), 두개의 제 1 수용부(142A) 및 하나의 제 2 수용부(142B)를 포함하며, 두개의 제 1 수용부(142A)의 설치 방식은 실시예 1의 두개의 수용부(142)와 동일하고, 여기서 이 내용에 대해 다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제 2 수용부(142B)의 실시형태는 실시예 2의 수용부(142)와 동일하고, 여기서 이 내용에 대해 다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6의 에너지 저장 장치와 실시예 5의 다른 점은 실시예 6의 에너지 저장 전원(10)의 제 2 수용부(142B) 내의 충전부(15)는 무선 충전 방식을 채택하여 통합 팩(20B)을 충전하는 것이다.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7의 에너지 저장 장치는 에너지 저장 전원(10)과 복수 개의 배터리 팩(20A) 및 통합 팩(20B)을 포함한다.
에너지 저장 전원(10)의 하우징은 하우징 본체(141)와 하나의 수용부(142)를 포함하고, 수용부(142)는 하우징 본체(141)의 상단면(1411)에 설치되어 있다. 수용부(142)는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고, 즉 수용부(142)의 개구부(1420)가 개방형이며 배터리 팩(20A) 또는 통합 팩(20B)은 수용부(142)가 위치한 평면에서만 위치 제한되며 다른 방향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충전부(15)는 수납부(142)에 설치되어 있고, 충전부(15)는 무선 충전부이며, 이는 무선 충전 방식으로 배터리 팩(20A) 또는 통합 팩(20B)에 전원을 공급한다.
언급할 필요가 있는 점은, 복수 개의 배터리 팩(20A)는 수용부(142)에 직접 배치하여 무선 충전할 수 있다.
실시예 7에서 배터리 팩(20A)과 통합 팩(20B)은 더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회로적으로 연결할 필요 없이 에너지 저장 전원(1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언급할 필요가 있는 점은, 상기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배터리 팩(20A) 및 통합 팩(20B)에 대한 여러 가지 전원 공급 방법이 나열하였고, 해당 다양한 전원 공급 방식은 서로 조합할 수 있다. 예:
에너지 저장 장치는 에너지 저장 전원(10)과 두개의 배터리 팩(20A) 및 하나의 통합 팩(20B)을 포함한다.
에너지 저장 전원(10)은 하우징 본체(141), 두개의 제 1 수용부(142A) 및 하나의 제 2 수용부(142B)를 포함하며, 두개의 제 1 수용부(142A)의 설치 방식은 실시예 1의 두개의 수용부(142)와 동일하고, 여기서 이 내용에 대해 다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제 2 수용부(142B)의 실시형태는 실시예 7의 수용부(142)와 동일하고, 여기서 이 내용에 대해 다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 제 1 수용부(142A)에 구성되어 있는 제 1 배터리 팩(20A)은 통합 팩(20B)에 구성되어 있는 제 2 배터리 팩(20A)과 다르다.
예를 들어, 제 1 배터리 팩의 제 1 출력 전압(예를 들어 20V)이 제 2 배터리 팩의 제 2 출력 전압(예를 들어 4V)보다 크다. 이러므로 제 1 배터리 팩은 제 1 출력 전압(예를 들어 20V)을 구동 전압으로 하는 타입인 제 1 전기 장치(31)의 전기 사용을 만족시킬 수 있고, 제 2 배터리 팩은 제 2 출력 전압(예를 들어 4V)을 구동 전압으로 하는 타입인 제 1 전기 장치(31)의 전기 사용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출원의 기본 원리, 주요 특성 및 본 출원의 장점을 설명하였다. 당업자 본 출원은 상기 실시예의 제한을 받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 및 명세서에 기술된 것은 본 출원의 원리일 뿐이며, 본 출원의 철학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에 대해 다양한 변경 및 개선을 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및 개선은 모두 청구된 본 출원의 범위에 속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에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와 그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
10: 에너지 저장 전원; 14: 하우징; 141: 하우징 본체; 1411: 상단면; 1412: 하단면; 1413: 제 1 측면; 1414: 제 2 측면; 1415: 제 3 측면; 1416: 제 4 측면; 1417: 출구; 142: 수용부; 1420: 개구부; 1421: 제 1 리미트면; 1422: 제 2 리미트면; 142A: 제 1 수용부; 142B: 제 2 수용부; 15: 충전부; 151: 제 1 연결 단자; 121: 직류 출력 인터페이스; 122: 교류 출력 인터페이스; 16: 에너지 저장 배터리 셀; 20: 배터리 유닛; 20A: 배터리 팩; 20B: 통합 팩; 21: 장착 케이스; 211: 충전 챔버; 31: 제 1 전기 장치; 32: 제 2 전기 장치.

Claims (22)

  1. 에너지 저장 전원으로서,
    에너지 저장 전원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두 개의 수용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수용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수용부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수용부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제 1 수용부는 제 1 배터리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수납하기에 적합하며, 상기 제 2 수용부는 제 2 배터리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수납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제 1 배터리 유닛은 상기 제 2 배터리 유닛과 다르며, 각 상기 수용부 내에 상기 제 1 배터리 유닛 또는 상기 제 2 배터리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충전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배터리 유닛과 상기 제 2 배터리 유닛은 상기 에너지 저장 전원과 별도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제 1 전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전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터리 유닛은 제 1 배터리 팩이고, 상기 제 2 배터리 유닛은 통합 팩이며, 상기 통합 팩은 장착 케이스와 상기 장착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 2 배터리 팩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배터리 팩은 상기 장착 케이스와는 별도로 제 1 전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전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복수 개의 제 1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배터리 유닛 또는 상기 제 2 배터리 유닛은 상기 충전부의 각각의 상기 제 1 연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전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전원은 직류 출력 인터페이스 및/또는 교류 출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저장 전원을 통해 직접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 2 전기 장치는 상기 직류 출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교류 출력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전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전원은 직류 출력 인터페이스 및/또는 교류 출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저장 전원을 통해 직접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 2 전기 장치는 상기 직류 출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교류 출력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전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전원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있는 에너지 저장 배터리 셀과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저장 배터리 셀은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에너지 저장 배터리 셀이 외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거나 조절하는데 사용되며, 및/또는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에너지 저장 배터리 셀에 대한 외부 전원 공급을 제어하거나 조절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충전부는 상기 제어 모듈을 통해 상기 에너지 저장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전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용부 내에 설치되어 있는 팝업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팝업 메커니즘은 배터리 유닛을 상기 수용부 내에 유지시키거나 배터리 유닛을 상기 수용부로부터 분리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전원.
  8. 제 1 항에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 본체를 포함하고, 각 상기 수용부의 본체는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 상기 수용부의 개구부는 상기 하우징 본체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전원.
  9.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수용부의 개구부는 상기 하우징 본체의 한 면에 위치하여 있고, 상기 제 2 수용부의 개구부는 상기 하우징 본체의 적어도 두개의 면에 위치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전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터리 유닛이 제 1 축방향에서만 자유 이동성을 갖도록 상기 제 1 수용부의 내벽은 상기 제 1 배터리 유닛의 둘레 방향 위치를 제한하고, 상기 제 2 배터리 유닛이 적어도 제 1 축방향과 제 2 축방향에서 자유 이동성을 갖도록 상기 제 2 수용부의 내벽은 상기 제 2 배터리 유닛의 측방향 위치를 제한하고, 상기 제 1 축방향은 상기 제 2 축방향에 수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전원.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용부의 개구부는 상기 하우징 본체의 두 면에 위치하여 있으며, 상기 제 2 수용부의 개구부는 L형 또는 U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전원.
  12. 제 1 항에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 본체와 적어도 두개의 상기 제 1 수용부를 포함하고, 각 상기 제 1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 본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 상기 수용부의 개구부는 상기 하우징 본체의 제 1 측면에 위치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전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터리 유닛이 제 1 축방향에서만 자유 이동성을 갖도록 상기 제 1 수용부의 내벽은 상기 제 1 배터리 유닛의 둘레 방향 위치를 제한하고, 상기 충전부는 상기 제 1 수용부의 개구부와 마주보게 상기 제 1 수용부의 하단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전원.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수용부가 작업 위치와 수납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상기 제 2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작업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제 2 배터리 유닛이 상기 제 2 수용부 내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 2 수용부의 개구부는 외부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제 2 수용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 본체의 수납 공간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전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 본체의 제 2 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수용부는 제 1 리미트면과 상기 제 1 리미트면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위로 연장되는 제 2 리미트면을 갖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 본체의 제 2 측면은 출구를 갖고 있으며,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제 1 리미트면이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수납되고,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제 2 리미트면이 상기 하우징 본체의 제 2 측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제 1 리미트면이 상기 출구를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 본체와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전원.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단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수용부는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며, 상기 에너지 저장 전원이 상기 제 2 수용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제 2 배터리 유닛을 무선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수용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충전부는 무선 충전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전원.
  17. 에너지 저장 장치로서,
    에너지 저장 전원과 적어도 하나의 제 1 배터리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배터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저장 전원은 상기 제 1 배터리 유닛과 상기 제 2 배터리 유닛을 분리 가능하게 수납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제 1 배터리 유닛과 상기 제 2 배터리 유닛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제 1 배터리 유닛과 상기 제 2 배터리 유닛은 상기 에너지 저장 전원과 별도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제 1 전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전원은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너지 저장 전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터리 유닛은 제 1 배터리 팩이고 상기 제 2 배터리 유닛은 통합 팩이며, 상기 통합 팩은 장착 케이스와 상기 장착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 2 배터리 팩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배터리 팩은 상기 장착 케이스와는 별도로 제 1 전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터리 팩은 상기 제 2 배터리 팩과 동일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케이스는 복수 개의 상기 제 2 배터리 팩을 분리 가능하게 수납하는데 사용되는 충전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챔버는 개구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통합 팩을 상기 에너지 저장 전원의 제 2 수용부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 각 상기 충전 챔버의 개구부는 상기 제 2 수용부의 개구부와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충전 챔버는 기본적으로 일직선을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KR1020247002977A 2021-06-29 2022-06-29 에너지 저장 전원 및 에너지 저장 장치 KR202400379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724976.3 2021-06-29
CN202110724976.3A CN113471997A (zh) 2021-06-29 2021-06-29 储能设备
PCT/CN2022/102499 WO2023274326A1 (zh) 2021-06-29 2022-06-29 储能电源以及储能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978A true KR20240037978A (ko) 2024-03-22

Family

ID=77873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2977A KR20240037978A (ko) 2021-06-29 2022-06-29 에너지 저장 전원 및 에너지 저장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195000A1 (ko)
EP (1) EP4366110A1 (ko)
JP (1) JP2024523677A (ko)
KR (1) KR20240037978A (ko)
CN (26) CN113471997A (ko)
CA (1) CA3224503A1 (ko)
WO (1) WO20232743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1997A (zh) * 2021-06-29 2021-10-01 浙江动一新能源动力科技股份有限公司 储能设备
KR20240037977A (ko) * 2021-06-29 2024-03-22 저지앙 리더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에너지 저장 전원
CN118786599A (zh) * 2022-02-22 2024-10-15 浙江齐享科技有限公司 储能电源及其供电系统和供电方法
CN220692842U (zh) * 2022-03-31 2024-03-29 浙江动一新能源动力科技股份有限公司 储能设备及其充放电控制系统
CN116039741A (zh) * 2023-03-04 2023-05-02 浙江动一新能源动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驱行走的搬运车辆和作业系统
CN116093760B (zh) * 2023-03-14 2023-08-15 浙江动一新能源动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储能设备
CN116054359A (zh) * 2023-03-31 2023-05-02 浙江动一新能源动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便携式储能电源和供电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53632A (zh) * 2014-03-27 2015-09-30 吴铭远 太阳能行动电源结构
CN205646860U (zh) * 2016-03-29 2016-10-12 重庆鼎工机电有限公司 便携式综合电源系统
CN108258747A (zh) * 2016-12-28 2018-07-06 北京凌云智能科技有限公司 电动车供给装置及具有其的电池组件
CN208158144U (zh) * 2018-01-08 2018-11-27 联想(北京)有限公司 收纳装置及受电设备
CN109360917A (zh) * 2018-11-29 2019-02-19 北京汉能光伏投资有限公司 一种移动电源储置装置和移动电源机柜
CN210377673U (zh) * 2019-07-31 2020-04-21 深圳市倍斯特科技股份有限公司 共享充电宝柜机
CN214848865U (zh) 2020-06-30 2021-11-23 浙江动一新能源动力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包
CN113471997A (zh) * 2021-06-29 2021-10-01 浙江动一新能源动力科技股份有限公司 储能设备
CN216218791U (zh) 2021-07-13 2022-04-08 浙江动一新能源动力科技股份有限公司 打草机,清洁工具及电动工具
CN114512761A (zh) 2022-03-10 2022-05-17 浙江齐享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工具的供电部件及具有该部件的洗车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8526101U (zh) 2023-02-24
EP4366110A1 (en) 2024-05-08
CN115549150A (zh) 2022-12-30
CN219067874U (zh) 2023-05-23
CN218386822U (zh) 2023-01-24
CN115549146A (zh) 2022-12-30
CN113471997A (zh) 2021-10-01
CN218300946U (zh) 2023-01-13
CN219717897U (zh) 2023-09-19
CN218300945U (zh) 2023-01-13
CN219554600U (zh) 2023-08-18
CN218124326U (zh) 2022-12-23
CA3224503A1 (en) 2023-01-05
CN115549147A (zh) 2022-12-30
CN115549151A (zh) 2022-12-30
CN115549149A (zh) 2022-12-30
CN218386823U (zh) 2023-01-24
JP2024523677A (ja) 2024-06-28
CN218997700U (zh) 2023-05-09
CN218997704U (zh) 2023-05-09
CN115549153A (zh) 2022-12-30
CN218997702U (zh) 2023-05-09
US20240195000A1 (en) 2024-06-13
CN218997701U (zh) 2023-05-09
CN218829125U (zh) 2023-04-07
CN219717895U (zh) 2023-09-19
CN220421441U (zh) 2024-01-30
CN218997703U (zh) 2023-05-09
CN219717896U (zh) 2023-09-19
WO2023274326A1 (zh) 2023-01-05
CN115549152A (zh) 2022-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37978A (ko) 에너지 저장 전원 및 에너지 저장 장치
KR101620263B1 (ko) 진공 청소, 배터리 어셈블리 및 충전대
CN107492920B (zh) 一种通用移动电源
US10862176B2 (en) Portable rechargeable battery pack with a selectable battery switch and state of charge display for cordless power tools
JPH07176332A (ja) 電池給電式装置
US7843165B2 (en) Charging apparatus
JP2007295677A (ja) 充電器
JP2018038118A (ja) 充放電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る電源ユニット、充放電システム、電源システム
CN210082979U (zh) 具有车车互联功能的新型充电桩及其电源接头
JP5976480B2 (ja) 携帯型電源装置
CN101782184A (zh) 通过蓄电池单元或电池供电的设备和装备该设备的灯具
JP2018037460A (ja) 充放電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る電源ユニット、充放電システム、電源システム
GB2584273A (en) Power and lighting mechanism
CN219018500U (zh) 储能电源
CN218514104U (zh) 储能电源以及储能设备
CN220420744U (zh) 提高抗撞击力的结构及其储能电源系统
CN221766914U (zh) 储能电池组
CN219980461U (zh) 储能电源
CN221282875U (zh) 一种一体化电池设备
CN215419630U (zh) 具有移动电源及手电筒功能的多功能装置
US20240039313A1 (en) Modular charging device and cooling structure thereof
JP2018033289A (ja) 充放電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る電源ユニット、充放電システム、電源システム
KR20220151347A (ko) 배터리 착탈/교환이 가능한 이동형 전원공급장치
CN117526492A (zh) 电源设备及其电源装置
KR101714181B1 (ko) 진공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