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901A - 골프 모든 발사각의 스트레이트 타이밍 타격연습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모든 발사각의 스트레이트 타이밍 타격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7901A
KR20240037901A KR1020240027364A KR20240027364A KR20240037901A KR 20240037901 A KR20240037901 A KR 20240037901A KR 1020240027364 A KR1020240027364 A KR 1020240027364A KR 20240027364 A KR20240027364 A KR 20240027364A KR 20240037901 A KR20240037901 A KR 20240037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practice
hitting
putting
go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27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의
Original Assignee
이기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의 filed Critical 이기의
Priority to KR1020240027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7901A/ko
Publication of KR20240037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790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69/3688Balls, ball substitutes, or attachments on bal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55Balls, ball substitutes, or attachments on bal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63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 A63B2220/24Angular displac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3Force of an impact, e.g. blow or pun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모든 발사각의 스트레이트 타이밍 타격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골프 타격연습에 있어서 골프공의 직선궤적 움직임 연습할 수 있게 하여 바른 자세의 타격연습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골프타격 연습장치에 있어서, 스윙연습거치대와 스윙연습회전판부, 스윙연습회전판부 및 완충발사각수용부로 구성되어 골프 스윙타격을 연습하는 스윙연습구조물을 구비하고; 상기 완충발사각수용부에 클럽마다 다르게 골프공의 발사각을 유발하는 클럽의 타격에 따른 스윙연습타구부의 발사각을 수용하고 타격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발사각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천공 형성되는 완충발사각수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윙연습구조물을 이용하여 스윙타격시에 골프공을 정방향 스윙타격하는 연습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골프 모든 발사각의 스트레이트 타이밍 타격연습장치{Straight timing batting practice device for all golf launch angles}
본 발명은 골프 모든 발사각의 스트레이트 타이밍 타격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타격 연습장치에 있어서, 스윙타격에 의해 회전하는 스윙연습회전판부와 골프채로 스윙타격을 가하는 스윙연습타구부, 스윙연습타구부에 클럽마다 다르게 골프공의 발사각을 유발하는 클럽의 타격에 따른 스윙연습타구부의 발사각(런치앵글;Lunch angle)을 수용하고 타격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발사각수용공간을 천공 형성할 수 있게 구비되는 완충발사각수용부를 갖는 스윙연습구조물로 구비하여서, 골프 타격연습시 골프대체공이 정방향으로만 직진유동가능하게 제한하여 강제로 골프공이 똑바로 직진하는 정방향 타격 연습할 수 있게 하여 골퍼에게 올바른 타격연습이 이루어지게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타격 연습장치는 골프 연습과정에 올바른 골프스윙을 할 수 있도록 연습하는 장치인 것이다.
골프의 기원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현재와 같은 골프 경기가 시작된 것은 15세기 중엽 스코틀랜드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 현재(2024년) 무려 500년이 넘는 5세기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골프의 역사와 함께 골프 산업도 엄청난 발전을 거듭해왔다. 과학의 발전으로 골프공과 클럽, 골프장, 그리고 골프 시뮬레이션 등 골프 관련 기술이 발전하였는데, 이러한 발전은 골프에 대한 사람들의 수요와 관심이 크다는 증거이다.
그러나 골프와 관련된 기술의 발전 중에는 골프의 본질적인 타격 기술에 대한 발전이 더디다. 500년이 넘은 현재까지도 골프공을 치는 방식에 대한 기술적인 변화가 크게 없었다. 골프공의 타격 기술에 관련된 첨단 제품으로는 시뮬레이션 장치와 측정기 등이 있지만, 이들은 주로 타격에 관한 측정에 중점을 두고 있어서 사용자가 자신의 타격 자세를 스스로 교정해야 한다. 이러한 교정은 측정값을 분석하고 적용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므로, 골프를 치는 사람들이 효과적으로 타격 자세를 개선하는 것은 쉽지 않다. 더구나 이러한 제품들은 타격점과 타격 위치를 분석하지만, 사용자의 전체적인 자세를 측정하지는 않는다.
자세란 특히 좋은 자세는 최선의 행동을 일으키는 최적의 자세이다. 이는 개인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숙련되면서 전문가의 좋은 자세와 점점 비슷해진다. 이러한 점은 일상에서 공통으로 이루어지는 많은 행동들에도 적용된다. 즉, 목적이 명확할 때 그 행동은 누구나 비슷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일상적으로 공통으로 몸을 쓰거나 도구를 쓰는 행동(도어를 여는 행동, 자전거나 자동차를 운전하는 행동, 물컵을 들고 마시는 행동, 음식에 필요한 칼질을 하는 행동, 의자에 앉는 행동, 옷을 입는 행동, 음식을 먹는 행동, 걷거나 뛰는 행동, 망치질 하는 행동, 볼을 던지는 행동, 세수하는 행동, 볼을 차는 행동 등)과 같은 수많은 일상에서의 행동을 할 때 우리는 전 세계 사람들과 동일한 자세로 행동을 위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다시 말해, 목적이 명확할 때 사람들은 동일한 행동을 취한다. 이것을 일상생활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행동이다.
이러한 공통적인 행동은 초기에는 어색할 수 있지만, 숙달되면 목적을 완벽하게 수행하기 위해 동일한 자세로 행동한다. 이는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걸쳐 한국인이나 미국인, 500년 전이나 1000년 전의 사람들 사이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다시 말해, 누가 되더라도 무성인가를 할 때 목적이 동일하면 누구나 처음에는 서툴더라도 숙달되면 동일한 행동을 하게 된다. 이것을 “일상숙달 공통행동”이라고 한다.
“일상숙달 공통행동”은 본디 1차원적이다. 그러나 골프와 같은 활동은 관찰자에 따라 2차원적 또는 3차원적으로도 볼 수 있지만, 우리가 골프를 1차원적인 타격으로 골프를 연습할 수 있다면 “일상숙달 공통행동”이 나타난다. 숙달된 행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숙달되기 전부터 동작 하나하나 통제를 하고 따라하는 것은 동작의 자연스러운 동작이 사라지며, 부자연스럽게 움직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일상숙달 공통행동”을 할 때에 초반에 단순히 따라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그저 반복적으로 따라한다고 반복행위가 숙달된 결과로 이어진다 가 볼 수 없으며 보장되지 않는다. 단순히 행동을 따라하는 것이 아니라 행동을 할 때에 사용하는 도구가 중심으로 행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시 말하자면 골프를 함에서 행동에 집중하다 보면은 본질적인 골프의 도구인 클럽과 볼의 관계가 잊혀지고 묻혀지게 된다. 이것이 도구가 우선이 되어야 한다는 이유이다.
골프와 반대 되지만 유사한 스쿼시라는 스포츠가 있다. 사방이 벽으로 둘러싸인 코트에서, 라켓으로 단단한 고무 공을 벽에 맞히어서 하는 스포츠이다. 만약 스트레이트로 벽에 맞고 볼이 튕기어 나와야 되는 상황을 가정해서 300미터 보낼 힘으로 샷을 하여 벽에 볼의 맞았을 때 벽이 불규칙하거나 흔들린다면 볼이 어디로 갈지 예측할 수가 없을 것이다. 그래서 스쿼시에 사용되는 벽은 평면이고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볼을 똑바로 보내기 위해서는 벽과 볼이 만났을 때 최초에 벽과 만나는 시점과 볼이 탄성 변형 후 다시 벽에서 튕기어 나올 때까지 볼의 변형이 평행으로 이루어져야만 스트레이트로 다시 튕기어 나오는 것이다. 스쿼시에서 벽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흔들리면 볼이 스트레이트로 진행되지 않는 것처럼, 골프에서 골프 헤드의 페이스가 볼과 만났을 때 최초의 진행과 평행을 이루지 못하면 볼이 스트레이트로 가지 못한다.
일반적으로 골프 클럽은 볼을 원하는 위치로 보내는 수단이자 도구로 간주됩니다. 골프 클럽을 수단과 도구로 본다면 볼과 만나는 클럽에 평면인 페이스, 볼을 띄우기 위해서 각각 다른 각도가 페이스각도, 헤드의 페이스를 사람이 자연스럽게 샷을 할 수 있게 사용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각도가 라이각, 바닥에 있는 볼을 치기 위해서 클럽헤드와 손과 거리를 연결되게 해주는 것이 샤프트이다. 이와 같이 골프 클럽의 수단과 도구를 주로 봤을 때 중요한 것은 페이스, 페이스각도, 라이각, 샤프트이다.
물론 골프 클럽에서 힘껏 샷을 했을 때 볼의 부하 때문에 전체적으로 틀어지지 말라고 그립과 골프 장갑 역시 무의미하지는 않다. 이는 골프 볼의 규격은 볼직경 1.68인치(42.67mm)보다 이상 무게 1.62온스(45.93g) 이하로 10미터 20미터 짧은거리라면 무게가 큰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200미터 300미터 샷을 한다면 페이스의 진행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와 같이 볼은 클럽헤드에 맞았을 때 변형이 생기는 것은 당연하다. 겉으론 단단해 보이지만 탄성이 있어 탄성으로 원래의 형태가 변형되어 샷 할 때 클럽 페이스가 볼이 압축이 되었다가 페이스가 진행하면서 볼이 페이스에서 떠날 때 다시 복구되는 과정을 갖는다. 초고속카메라로 찍어서 슬로우로 샷을 한 것을 골프광고나 영상 매체 통해서 한번쯤은 봤을 것이다.
이 과정을 “방향 결정의 영역”이라고 이하 통칭한다.
여기에서 사이드 회전 백스핀 탄도가 결정되는 것이다. 하지만, 샷을 했을 때 도 1과 같이 목표방향과 스퀘어로 되어 있더라도 도 4와 같이 될 수도 있고 도 9와 같이 될 수도 있다. 도 4는 “방향 결정 영역”에서 페이스가 평행을 유지 못 하고 클럽의 페이스가 틀어져 볼은 사이드 회전이 발생하여 볼이 틀어지는 것이고 도 9는 클럽의 페이스가 평행을 유지하며 진행되었기에 볼은 스트레이트로 가는 것이다. 이러한 “방향 결정 영역”에서 볼과 클럽 페이스와의 관계를 알고 손에 어느 정도의 악력으로 샷을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터득해지는 것이다. 굳이 누가 가르쳐주지 않아도 터득하는 이 또한 “일상숙달 공통행동” 인 것이다. 이와 같이 알고 행동하는 것과 모르고 행동하는 것은 분명 차이가 있다. 알고 샷을 하면 스윙이 달라지고 스윙이 달라지면 자세 또한 달라지는 것이다.
퍼팅에는 다양한 그립 잡는 방식과 연습법이 존재한다. 퍼터의 형태는 그립의 크기, 샤프트의 길이, 헤드의 모양 등이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모든 퍼터의 공통점은 헤드의 페이스가 모두 평면으로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이런 다양한 퍼터와 자세가 합쳐져서 결국 무엇을 연습하고자 수많은 방법들이 생겼을까 생각이 된다. 예로 샷을 할 때 ‘체중이동을 하야한다., 샷을 한 다음에도 볼이 있던 자리를 끝까지 보고 있어야 한다.’라는 속설이 있다. 이 속설에 따라서 샷을 할 때 ‘체중 이동하기 위해 머리가 움직여야 한다.’와 ‘볼이 있던 자리를 보기 위해 머리가 그 자리에 있어야 한다.’와 같이 상반된 두 가지 의견이 있다. 이렇게 자세에 관하여 근거 없는 정보들이 탄생하고 사라진다.
이러한 자세에 대해 접근은 헤드의 페이스에 볼을 맞추어서 자신이 볼을 더 정확히 보내기 위한 노력으로 현재에도 그것을 자세에서 답을 찾으려는 노력을 하고 있는 것이다.
골프에서 15세기부터 변하지 않는 것은 둥근 볼과 헤드 페이스가 평면이다. 과거에도 우수한 골퍼의 자세는 지금과 다르진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과거에는 특별히 자세에 대해서 정보가 없어도 숙련되다 보면 그 최적화된 자세가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것 역시 골프에서 발생하는 “일상숙달 공통행동”이라고 생각된다. 나아가 과거에도 역시 “방향 결정 영역”에서 골프공의 방향과 탄도가 결정된다.
골프는 두 가지를 수행해야 하는 스포츠다.
첫째는 볼을 골프 클럽으로 샷을 하는 것, 둘째는 그 볼이 스트레이트로 보내는 것이다. 여기에 자세를 추가가 된다.
그래서 더욱더 쉽지만은 않은 것이 골프다.
골프에서는 골프 자세와 볼의 결과를 동시에 잘 조절하기가 어렵다. 골프는 움직이지 않는 둥근 볼을 골프 클럽으로 샷을 하여 일정한 거리의 홀컵에 적은 샷을 넣는 게임이지만, 슬라이스, 훅, 페이스, 드로우 등의 곡률이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곡률의 발생의 원인은 도 4와 같이 사이드 스핀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사이드 스핀 발생도 골프에 “방향 결정의 영역”에서 탄도와 사이드 스핀, 그리고 볼의 비거리가 동시에 발생되며, 여기에서 모든 것이 결정된다. 다만, 볼이 날아가는 동안 공기의 마찰과 상호작용하면서 우리 눈에는 샷의 움직임이 보일 뿐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샷이 제대로 되었는지 혹은 잘못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물론 골프에서는 항상 스트레이트로 볼을 보내는 것이 정답이라고 할 수는 없다. 때로는 의도적으로 슬라이스나 흑 페이드, 드로우를 쳐야 할 때도 있다. 또한, 페이드를 치려고 했는데 생각과는 다르게 슬라이스로 나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어떤 방식으로든 목표 지점에 공을 보내는 것이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원인이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하여 샷을 수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스트레이트로 볼을 보내는 것을 뜻하며 거기에 목표한 방향이 있다면 그 방향의 가상의 일직선과 실제 볼을 쳤을 때 같은 스트레이트로 보내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와 같이 볼을 타격할 때에 스트레이트로 보내는 것은 사이드 스핀을 걱정하지 않고 샷을 할 수 있으면 나아가 최대 비거리도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자세에서 답을 찾을 수 있다는 생각을 바꾸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이 왜 필요한지 설명이 필요한 이유이다. 본원 발명의 연습장치가 상식과 물리적인 접근을 통해 고안되었지만 골프와 맞지 않을 수도 있다. 만일 본원 발명의 연습장치가 골프에 적합하지 않다면, 우리는 여전히 자세에서 답을 찾거나, 상식과 물리적인 측면 외에도 알려지지 않은 것이나 숨겨진 것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발명가의 생각과 개발된 장치가 골프에 부합한다면, 골프에 대해 접근 방식을 변경해야 할 것입니다.
골프는 총구가 없는 총을 사용하여 목표물을 맞히는 것과 비슷하다. 총구가 있기 때문에 목표물을 직선으로 보내는 것이 용이하다. 사람이 사용하는 골프 장비와 마찬가지로, 로봇이 골프를 치게 된다면, 여전히 자세가 아닌 볼과 클럽의 헤드의 페이스가 볼프의 중심이 되는 것이다. 로봇에게는 자세가 중요하지 않습니다.
골프에서는 종종 "골프는 회전운동이기 때문에 결코 똑바로 가는 볼이 없다."라는 속설을 듣습니다. 이 속설은 골프에서 흔히 전해진다. 그러나 볼이 페이스에서 떠날 때까지의 순간은 굉장히 짧습니다. 이 짧은 순간에 페이스의 평행을 유지하면서 진행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순간은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이 순간에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 짧은 거리 10미터 안쪽에서 하는 숏게임도 회전하기 때문에 볼이 똑바로 가지 않는 것이다.
볼이 똑바로 보내지 못하는 것은 자세를 중심으로 생각하여 이건 되고 저건 안된다고 하는 이런 속설로 인해 봐야 할 곳을 보지 못하기 때문이다.
골프에 대한 정보는 정말 많다. 그러나 이 정보가 정확하다고 해도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시대가 변하고 새로운 정보가 나타나면서 옛 정보들은 사라지고 새로운 정보들이 등장한다. 이러한 정보들은 주관적인 면이 있을 수 있다. 수많은 정보들이 있지만, 그 목적이 정확히 무엇인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골퍼들의 바람이 담길 것으로 예상된다. 골프는 '스트레이트로 볼을 보내는 것'이라는 개념이 있지만, 이를 정확한 기준 없이 자세에서만 찾아서 전달하기에는 추상적이기에 그 한계가 있는 것이다.
골프는 클럽과 골프공이라는 두 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어디로 튈지 모르는 럭비공처럼 골프공의 페이스가 울퉁불퉁 한 것도 아니라면 자세가 아닌 상식선에서 접근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클럽과 골프공 두 두 가지만을 상식적으로 접근하는 것은 500년 전 1000년 전 과거 사람도 현재 지구상 어느땅 어느 누구도 해당 되며 어떤 자세가 되었던 골프의 핵심은 변하지 않는다.
골프에서 스트레이트로 보내는 방법은 단 하나이기 때문에 불필요한 정보는 필요 없다.
사과가 땅에 떨어지듯이 슬라이스도 흑도 스트레이트도 자연의 현상이다. 그중에서 골프에서 원하는 것은 스트레이트이기 이렇게 본 발명의 연습장치가 고안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트레이트로 도출된 연습장치로 스트레이트 타이밍을 연습하기 위한 것이다.
이전의 골프 연습장치들은 모든 발사각이 형성되지 못하여 실패를 하였던 것이이다. 지금의 본 연습장치는 모든 발사각을 수용 할 수 있게 하여 하나의 연습장치로 모든 샷을 연습하도록 창안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제10-2625532호
도 1과 같이 일반적으로 헤드의 페이스가 목표방향과 스퀘어 되어야 하며, 도3와 같이 페이스의 마찰되어 기어효과의 백스핀이 생기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골프공을 스트레이트가 보내는 유일한 방법은 도 9와 같이 방향 결정의 영역에서 헤드페이스가 볼이 떠날 때까지 평행을 유지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도 4에서 도시되는 것처럼 방향 결정영역에서 평행을 유지 못 하면 사이드 스핀이 생기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도 5 ~ 도 10과 같이 될 수 있도록 하나의 연습장치로 퍼팅과 스트레이트, 여러 가지 탄도의 샷을 구사하고 헤드 페이스를 평행으로 타격하는 것을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함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즉, 본 발명은 골프타격 연습장치에 있어서, 스윙연습거치대와 스윙연습회전판부, 스윙연습회전판부 및 완충발사각수용부로 구성되어 골프 스윙타격을 연습하는 스윙연습구조물을 구비하고; 상기 스윙연습회전판부에 클럽마다 다른 골프공의 발사각을 유발하는 클럽의 타격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스윙연습타구부의 발사각을 수용하는 발사각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천공 형성되는 회전판발사각수용공간부와 상기 완충발사각수용부에 클럽마다 다른 골프공의 발사각을 유발하는 클럽의 타격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스윙연습타구부의 발사각을 수용하고 타격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발사각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천공 형성되는 완충발사각수용공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퍼팅연습스탠드에 전후 장공으로 형성한 퍼팅수평천공과 퍼팅수평천공을 따라 수평 이동하는 퍼팅타격봉, 유동제한하여 가이드 하는 퍼팅가이드와셔, 퍼팅가이드와셔 사이 간격을 유지하는 퍼팅슬리브, 타격체가 되는 퍼팅골프대체공, 퍼팅 가동력을 조절하는 퍼팅타격밴드를 갖는 퍼팅연습구조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윙연습거치대에 클럽마다 다른 골프공의 발사각을 유발하는 클럽의 타격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스윙연습타구부의 발사각을 수용하고 타격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발사각수용공간을 천공 형성할 수 있게 구비되는 완충발사각수용부을 갖는 스윙연습구조물을 구비함으로써, 스윙연습구조물를 이용하여 스윙타격시에 골프공을 정방향 스윙 타격하는 연습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퍼팅연습구조물을 구비함으로써 퍼팅타격시에 골프공을 정방향 퍼팅타격하는 연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골프대체공의 유동이 정타격에서만 직선으로 가동되어 타격연습에 강제로 직선궤적 움직임 연습할 수 있게 하여 퍼터의 페이스가 직선 방향으로 스윙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골프 타격연습장치로 얻어질 수 있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하나의 연습장치로 퍼팅과 클럽(스윙) 연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스트레이트 보낼 수 있는 샷을 연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하나의 연습장치로 여러 가지 탄도를 구사할 수 있는 연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10은 골프의 개념과 이해를 돕기위해 도시한 예시도.
도 11 내지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14 및 15는 본 발명에 따라 스윙연습거치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 스윙연습회전판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스윙연습타구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라 완충발사각수용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9 및 20은 본 발명에 따라 퍼팅연습스탠드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윙연습거치대의 조립순서도.
도 23 및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윙연습구조물의 조립순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퍼팅연습구조물의 조립순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타격시 스윙연습구조물의 회전작동 예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윙연습구조물 타격시 회전판발사각수용공간부 및 완충발사각수용공간부에 완충간격을 표시한 예시도.
도 28 및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타격시 스윙연습구조물의 회전작동 예시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라 타격값측정대체공 및 타격값표시디스플레이의 일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라 복합연습스탠드의 일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골프타격연습에 있어서 골프공이 직진성으로 가도록 정타격연습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골프공을 정방향으로 타격하여 골프공을 직진으로 보내는 것을 연습하는 골프타격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의 개념과 이해를 돕기위해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를 더욱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1 현재까지 알려진 임팩트순간에 페이스7 스퀘어로 되어한다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도2 샷을 할 때 볼이 변형이 생기는 순간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도3 페이스의 마찰로 볼이 기어효과가 발생하여 스핀이 생기는 현상으로 현재까지 알려진 단서2 에 따라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도4는 도1과 같이 임팩트 순간에 스퀘어로 되었더라도 클럽 페이스가 볼의 무게의 볼 45.93g의 무게로 대부분 초보자들에게 슬라이스가 생기는 이유로서, 부하 때문에 방향 결정 영역에서 비거리 200미터 300미터 보낼 때 페이스가 평행을 유지 못 하고 틀어져 버릴 수 있어 볼이 사이드 회전이 발생하여 부하와 여러가지 요인들로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평행을 유지 못했을 때 사이드 회전이 발생하는 이유와 타점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5와 도6 및 도 7은 스트레이트로 가는 볼을 가설로 공중에서 체공할 때 볼의 상황을 상식적으로 기반한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8은 스트레이트와 풀,푸시는 같은 현상으로, 다만 그것이 목표한 방향과 같으면 스트레이트 오른쪽이면 푸시라고 하고 왼쪽이면 풀이라고 하는 방향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9는 타격했을 때 방향 결정 영역에서 페이스가 처음 진입시점과 같이 평행을 유지하면서 진행을 하야 볼은 자연스럽게 스트레이트로 보낼 수 있는 단 하나의 방법을 나타내여 보여주는 것이다.
도 10은 샷을 했을 때 볼이 압축되었다가 페이스에서 떠날 때까지 순간과 타점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10에서도 1아 도 3은 본 발명의 현재까지의 단서가 되는 것이며, 도 2와 도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근거가 되는 것이다. 더욱이 도 4와 도9는 도1과 같이 목표방향과 스퀘어로 되었더라도 볼의 탄성으로 압축되었다가 페이스에서 떠날 때까지 방향이 도 4와 도 9가 될 수도 있다는 보여주는 근거가 되는 것이다. 또한,
도 9도와 10과 같이 샷을 하면 도 5와 도8과 같이 결과가 되는 것이다.
이에 본 골프공을 정방향 타격하는 것이 골프의 직진성에 우수한 작용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골프공을 정확한 위치로 보내기 위해 즉 직진성을 주기 위해 골프공을 정방향으로 타격하는 것을 연습하는 기능을 갖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지지바닥면이 되는 연습장치좌대(1) 상부에 골프 스윙타격을 연습하는 스윙연습구조물과 골프 퍼팅 타격을 연습하는 퍼팅연습구조물로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스윙연습구조물은 스윙연습거치대(100)와 스윙연습회전판부(200), 스윙연습타구부(300) 및 완충발사각수용부(400)로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스윙연습거치대(100)는 스윙연습구조물이 세워지는 거치대가 되는 것이다.
상기 스윙연습회전판부(200)는 스윙연습거치대에 거치되어 스윙타격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 스윙연습타구부(300)는 스윙연습회전판부(200) 하부에 연결되어 골프채로 스윙타격을 가하는 것이다.
상기 완충발사각수용부(400)는 스윙연습회전판부(200) 내부에 위치하여 스윙연습타구부(300)에 클럽마다 다른 골프공의 발사각을 유발하는 클럽의 타격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스윙연습타구부의 발사각(런치앵글;Lunch angle)을 수용하고 타격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발사각수용공간을 천공 형성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윙연습거치대는 지지바닥면 상면에 스윙연습구조물의 거치몸체가 되는 수직형성된 스윙연습스탠드(110)과 상기 스윙연습스탠드(110)에 스윙연습회전판부(200)를 회전축결시키는 회전축이 되는 회전샤프트(120), 상기 스윙연습스탠드(110) 일측에 회전샤프트(120)을 후방을 잡아줘 지지하는 회전보조지지대(130), 상기 회전보조지지대(130)의 전방에 스윙타격에 의한 회전충격을 분산하며 스윙연습회전판부(200)의 회전을 돕도록 스윙연습회전판부(200)에 결속된 회전보조베어링(140),상기 회전샤프트(120) 일단에 회전샤프트(120)을 고정하는 샤프트고정너트(150)로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윙연습회전판부(200)는 중앙에 결속공간을 형성하도록 이격간격을 두고 양측에 위치하며 중앙에 회전샤프트(120)에 회전축 관통된 사각판상으로 형성한 스윙회전판(210), 상기 스윙회전판(210) 결속공간 중앙에 회전샤프트(120)에 관통되어 스윙연습회전판부(200)를 회전시키는 회전판중심베어링(220), 상기 스윙회전판(210) 하부에 스윙타격시 타격에 따라 스윙연습타구부(300)가 골프채에 따라 다르게 움직이는 골프공의 발사각에 따른 탄도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회전판발사각수용공간부(230), 상기 회전판탄도천동 일측에 스윙연습타구부(300)의 스윙가이드와셔(320)의 연결 구속하는 공간이 되는 회전판구속천공(240), 상기 스윙회전판(210) 결속공간 상부에 스윙연습회전판부(200)의 회전속도를 가이드하며 스윙연습회전판부(200)의 수평을 잡도록 하는 회전판무게추(250), 상기 스윙회전판(210) 상부에 회전판무게추(250)의 위치를 잡도록 천공된 무게추조정천공(260)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윙연습타구부(300)는 회전판발사각수용공간부(230)을 관통하는 관체형으로 형성한 스윙파이프(310), 상기 스윙회전판(210) 양측에 감싸게 위치하여 상기 스윙파이프(310)에 관통되어 스윙타격시 스윙연습타구부(300)가 정타격이 되었을 때 정방향으로 직진 유동하도록 유동제한하여 가이드하는 스윙가이드와셔(320), 상기 스윙가이드와셔(320) 사이에 스윙가이드와셔(320) 사이 간격을 유지하며 스윙가이드와셔(320)와 스윙회전판(210)의 간섭을 줄이며 파이프에서 스윙회전판(210)으로 전달되는 충격량을 줄이며 회전판발사각수용공간부(230) 탄도공간에서 가동되게 스윙회전판(210)의 두께이상으로 형성된 스윙슬리브(330), 상기 스윙슬리브(330) 외각에 양측의 스윙가이드와셔(320)를 결속하여 스윙가이드와셔(320)의 벌어짐과 회전을 방지하고 회전판구속천공(240)에서 제한 유동하는 스윙와셔결속핀(331), 상기 스윙파이프(310)에 관통삽입되어 단부에서 스윙타격력이 가해지며 스윙타격시 기어효과로 인해 발생하는 백스핀을 스윙파이프(310)안에서 회전하게 하여 충격을 분산시키도록 봉형으로 형성한 스윙타격봉(340), 상기 스윙타격봉(340) 단부에 골프채로 스윙타격하는 타격체가 되는 스윙골프대체공(350), 상기 스윙파이프(310)와 스윙회전판(210)에 양 결속되어 스윙슬리브(330)의 가동력을 조절하며 탄성으로 스윙회전판(210)을 견인하여 회전시키는 스윙타격밴드(360), 상기 스윙타격밴드(360)의 스윙회전판 연결단에서 스윙타격밴드(360)의 장력을 조절하는 스윙밴드조절공(370), 상기 스윙타격밴드(360)의 중간에서 스윙슬리브(330)를 하부 사선방향으로 당겨 당김력을 가이드 하도록 스윙타격밴드(360)를 하부방향으로 걸치는 스윙밴드중간핀(380)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윙밴드조절공(370)과 스윙밴드중간핀(380)은 스윙연습회전판부(200) 하부에서 스윙회전판(210) 간에 결속시키도록 관통결속되고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완충발사각수용부는 스윙타격에 따른 스윙연습타구부(300)를 스윙타격력을 완충하는 완충부속재(410), 상기 완충부속재(410) 중앙에 스윙연습타구부(300)가 관통하며 클럽에 따른 발사각을 형성하는 발사각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스윙파이프(310)가 회전판발사각수용공간부(230)의 안측면인 회전판천공면(231)에 충돌하지 않도록 회전판발사각수용공간부(230)보다 작게 형성한 완충발사각수용공간부(420), 상기 완충부속재(410)가 구속되게 틀이되는 완충재케이스(430), 상기 완충재케이스(430)과 스윙연습회전판부(200) 중앙을 연결지지하는 완충구지지대(440), 상기 스윙회전판(210) 사이에 연결되어 완충부속재(410)가 흔들리지 않게 완충구지지대(440) 양측에서 잡아주는 완충구탄성고정핀(450)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퍼팅연습구조물은 퍼팅연습스탠드(510)와 퍼팅수평천공(520), 퍼팅천공완충재(521), 퍼팅타격봉(530), 퍼팅 가이드 와셔(540), 퍼팅슬리브(550), 퍼팅골프대체공(560), 퍼팅타격밴드(570), 스윙밴드조절공(370)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퍼팅연습스탠드(510)는 지지바닥면 상면에 퍼팅연습구조물의 몸체가 되게 수직형성되게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퍼팅수평천공(520)은 퍼팅연습스탠드(510) 중앙에 퍼팅 타격시 퍼팅이 수평으로 가이드되게 전후 장공으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퍼팅타격봉(530)은 퍼팅수평천공(520)을 관통하여 퍼팅 타격시 단부에서 퍼팅타격력이 전달되면 수평이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퍼팅가이드와셔(540)는 퍼팅연습스탠드(510) 양측에 감싸게 위치하여 상기 퍼팅타격봉(530)에 관통되어 퍼팅 타격시 정타격이 되었을 때 정수평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유동제한하여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퍼팅슬리브(550)은 퍼팅가이드와셔(540) 사이에 퍼팅가이드와셔(540) 사이 간격을 유지하며 퍼팅가이드와셔(540)와 퍼팅연습스탠드(510)의 간섭을 줄이며 퍼팅수평천공(520) 수평영역에서 가동되게 퍼팅연습스탠드(510)의 두께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퍼팅골프대체공(560)은 퍼팅타격봉(530) 단부에 골프채로 퍼팅타격하는 타격체가 되는 것이다.
상기 퍼팅타격밴드(570)는 퍼팅수평천공(520)에 수평 한 위치에 퍼팅타격봉(530)과 퍼팅연습스탠드(510)에 양 결속되어 퍼팅슬리브(550)의 가동력을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스윙밴드조절공(370)은 퍼팅타격밴드(570)의 퍼팅연습스탠드(510) 연결단에서 퍼팅타격밴드(570)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퍼팅천공완충재(521)는 퍼팅수평천공(520) 양측 내벽에 퍼팅타격봉(530)의 가동 충격을 완충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윙골프대체공(350) 또는 퍼팅골프대체공(560)은 타격값측정대체공(610)으로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타격각측정대체공은 외측에 타격외측링(611)과 중앙에 타격외측링(611)에 타격되는 충격량과 타격각도를 측정하는 타격측정센서(612)로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스윙연습스탠드(110)와 퍼팅연습스탠드(510) 상부에 상기 타격측정센서(612)로 측정된 타격에 충격량과 타격각도를 디스플레이하는 타격값표시디스플레이(62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윙연습구조물의 스윙연습스탠드(110)와 퍼팅연습구조물의 퍼팅연습스탠드(510)는 상기 지지바닥면 상면에 일측면에는 스윙연습구조물의 거치몸체가 되는 수직형성된 스윙연습스탠드(110)의 기능을 수행하고 다른 일측면에서 퍼팅연습구조물의 몸체가 되는 수직형성된 퍼팅연습스탠드(510)를 기능을 수행하여 하나의 몸체로 복합기능을 수행하는 복합연습스탠드(70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조금 주의 사항이 발생한다.
이는 고정되어 있지 않은 볼은 샷을 잘못했더라도 클럽의 진행방향 그대로 진행하게지만 본 발명의 연습장치를 아무리 가볍게 만들더라도 타구뭉치가 실제 골프공의
무게보다 무거울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래서 처음부터 있는 힘껏 샷을 하다 보면 손상이나 부상이 생길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타격뭉치의 방향이 하나이기 때문에 그 방향으로 치지 못하면 약한 쪽의 클럽 샤프트가 손상이나 파손 또는 몸에 부상도 올 수 있으므로 아래와 같은 빌드업이 필요할 수있다.
먼저, 처음에는 퍼팅부터 페이스의 면이 본 발명의 볼이 진행할 방향으로 설정된 것과 일치시키는 연습이 되어야 한다. 그 후, 골프 클럽의 연습은 숏게임 하듯이 작은 스윙으로 샷을 해야 한다. 최종적으로, 숙달이 되어 잘 맞는다고 하면 점점 스윙의 크기와 힘의 강도도 늘리어 나가는 것이 골프를 연습함에 있어서 무리가 없을것이다.
1 : 연습장치좌대
10: 스윙연습구조물 20: 퍼팅연습구조물
100: 스윙연습거치대
110: 스윙연습스탠드 120: 회전샤프트
130: 회전보조지지대 140: 회전보조베어링
150: 샤프트고정너트
200: 스윙연습회전판부
210: 스윙회전판 220: 회전판중심베어링
230: 회전판발사각수용공간부 231: 회전판천공면
240: 회전판구속천공 250: 회전판무게추
260: 무게추조정천공
300: 스윙연습타구부
310: 스윙파이프 320: 스윙슬리브
330: 스윙가이드와셔 331: 스윙와셔결속핀
340: 스윙타격봉 350: 스윙골프대체공
360: 스윙타격밴드 370: 스윙밴드조절공
380: 스윙밴드중간핀
400: 완충발사각수용부
410: 완충부속재 420: 완충발사각수용공간부
430: 완충재케이스 440: 완충구지지대
450: 완충구탄성고정핀
510: 퍼팅연습스탠드 520: 퍼팅수평천공
521: 퍼팅천공완충재 530: 퍼팅타격봉
540: 퍼팅가이드와셔 550: 퍼팅슬리브
560: 퍼팅골프대체공 570: 퍼팅타격밴드
580: 퍼팅밴드조절공
610: 타격값측정대체공 611: 타격외측링
612: 타격측정센서 620: 타격값표시디스플레이
700: 복합연습스탠드

Claims (5)

  1. 골프타격 연습장치에 있어서,
    스윙연습거치대(100)와 스윙연습회전판부(200), 스윙연습회전판부(200) 및 완충발사각수용부(400)로 구성되어 골프 스윙타격을 연습하는 스윙연습구조물을 구비하고,
    상기 스윙연습회전판부(200)에 클럽마다 다른 골프공의 발사각을 유발하는 클럽의 타격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스윙연습타구부의 발사각을 수용하는 발사각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한 회전판발사각수용공간부(230)를 천공 형성하며,
    상기 완충발사각수용부(400)에 클럽마다 다른 골프공의 발사각을 유발하는 클럽의 타격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스윙연습타구부의 발사각을 수용하고 타격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발사각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한 완충발사각수용공간부(420)를 천공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모든 발사각의 스트레이트 타이밍 타격연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연습거치대(100)는 스윙연습구조물이 세워지는 거치대를 형성할 수 있게 구비되고;
    상기 스윙연습회전판부(200)는 스윙연습거치대에 거치되어 스윙타격에 의해 회전하고 회전판발사각수용공간부(230)를 천공형성할 수 있게 구비되며;
    상기 스윙연습타구부(300)는 스윙연습회전판부(200)의 하부에 수용 연결되어 골프채로 스윙타격을 가할 수 있게 구비되고;
    상기 완충발사각수용부(400)는 스윙연습회전판부(200) 내부에 위치하여 스윙연습타구부(300)에 클럽마다 다른 골프공의 발사각을 유발하는 클럽의 타격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스윙연습타구부의 발사각을 수용하고 타격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발사각수용공간부(420)를 천공 형성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모든 발사각의 스트레이트 타이밍 타격연습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연습거치대는
    상기 지지바닥면 상면에 거치몸체가 되는 수직형성된 스윙연습스탠드(110),
    상기 스윙연습스탠드(110)에 회전축결시키는 회전축이 되는 회전샤프트(120),
    상기 스윙연습스탠드(110) 안측에 회전샤프트(120)을 후방을 지지하는 회전보조지지대(130) 및
    상기 회전보조지지대(130) 전방에 타격회전충격을 분산하며 스윙연습회전판부(200)의 회전을 돕는 스윙연습회전판부(200)에 결속된 회전보조베어링(140)으로 구성하고;

    상기 스윙연습회전판부(200)는
    결속공간을 형성하도록 이격간격을 두고 양측에 위치하며 사각판상으로 형성한 스윙회전판(210),
    상기 스윙회전판(210) 중앙에 스윙연습회전판부(200)를 회전시키는 회전판중심베어링(220),
    상기 스윙회전판(210) 하부에 스윙 타격에 따라 스윙연습타구부(300)가 움직이는 탄도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회전판발사각수용공간부(230),
    상기 회전판탄도천동 일측에 스윙연습타구부(300)의 스윙가이드와셔(320)의 연결 구속하는 공간이 되는 회전판구속천공(240) 및
    상기 스윙회전판(210) 상부에 회전속도를 가이드하며 수평을 잡도록 하는 회전판무게추(250)로 구성하며;

    상기 스윙연습타구부(300)는
    상기 회전판발사각수용공간부(230)을 관통하는 관체형에 스윙파이프(310),
    상기 스윙회전판(210) 양측에 감싸며 스윙타격시 스윙연습타구부(300)가 정타격이 되었을 때 정방향으로 직진 유동하도록 유동제한하여 가이드하는 스윙가이드와셔(320),
    상기 스윙가이드와셔(320) 사이에 스윙가이드와셔(320) 사이 간격을 유지하며 스윙가이드와셔(320)와 스윙회전판(210)의 간섭을 줄이는 스윙슬리브(330),
    상기 스윙슬리브(330) 외각에 양측의 스윙가이드와셔(320)의 벌어지지 않게 스윙가이드와셔(320)를 결속하는 스윙와셔결속핀(331),
    상기 스윙파이프(310)에 관통삽입되는 봉형으로 형성한 스윙타격봉(340),
    상기 스윙타격봉(340) 단부에 스윙타격하는 타격체가 되는 스윙골프대체공(350),
    상기 스윙파이프(310)와 스윙회전판(210)에 양단 결속되어 탄성으로 스윙회전판(210)을 견인하여 회전시키는 스윙타격밴드(360),
    상기 스윙타격밴드(360)의 스윙회전판 연결단에서 스윙타격밴드(360)의 장력을 조절하는 스윙밴드조절공(370) 및
    상기 스윙타격밴드(360)의 중간에서 당김력을 가이드 하도록 스윙타격밴드(360)를 걸치는 스윙밴드중간핀(380)으로 구성하고;

    상기 완충발사각수용부는
    스윙타격에 따른 스윙연습타구부(300)를 스윙타격력을 완충하는 완충부속재(410), 상기 완충부속재(410) 중앙에 스윙연습타구부(300)가 관통하며 클럽에 따른 발사각을 형성하는 발사각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스윙파이프(310)가 회전판발사각수용공간부(230)의 안측면인 회전판천공면(231)에 충돌하지 않도록 회전판발사각수용공간부(230)보다 작게 형성한 완충발사각수용공간부(420), 상기 완충부속재(410)가 구속되게 틀이되는 완충재케이스(430), 상기 완충재케이스(430)과 스윙연습회전판부(200) 중앙을 연결지지하는 완충구지지대(440), 상기 스윙회전판(210) 사이에 연결되어 완충부속재(410)가 흔들리지 않게 완충구지지대(440) 양측에서 잡아주는 완충구탄성고정핀(450)으로 구성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모든 발사각의 스트레이트 타이밍 타격연습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바닥면이 되는 연습장치좌대 상부에 골프 퍼팅 타격을 연습하는 퍼팅연습구조물로 구비하고,
    상기 퍼팅연습구조물은
    상기 지지바닥면 상면에 퍼팅연습구조물의 몸체가 되는 퍼팅연습스탠드(510),
    상기 퍼팅연습스탠드(510) 중앙에 퍼팅이 수평 가이드되게 장공으로 형성한 퍼팅수평천공(520),
    상기 퍼팅수평천공(520)을 관통하여 퍼팅 타격시 단부에서 퍼팅 타격력이 전달되면 수평이동하는 퍼팅타격봉(530),
    상기 퍼팅연습스탠드(510) 양측에 감싸 퍼팅타격시 정타격이 되었을 때 정수평방향으로 직진 유동하도록 유동제한가이드하는 퍼팅가이드와셔(540),
    상기 퍼팅가이드와셔(540) 사이에 퍼팅가이드와셔(540) 사이 간격을 유지하며 퍼팅가이드와셔(540)와 퍼팅연습스탠드(510)의 간섭을 줄이는 퍼팅슬리브(550),
    상기 퍼팅타격봉(530) 단부에 퍼팅타격하는 타격체가 되는 퍼팅골프대체공(560),
    상기 퍼팅수평천공(520)에 수평 한 위치에 퍼팅타격봉(530)과 퍼팅연습스탠드(510)에 양단 결속되어 퍼팅슬리브(550)의 가동력을 조절하는 퍼팅타격밴드(570),
    상기 퍼팅타격밴드(570)에 퍼팅연습스탠드(510) 연결단에서 퍼팅타격밴드(570)의 장력을 조절하는 스윙밴드조절공(370),
    상기 퍼팅수평천공(520) 양측 내벽에 퍼팅타격봉(530)의 가동 충격을 완충하는 퍼팅천공완충재(521)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모든 발사각의 스트레이트 타이밍 타격연습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골프대체공(350) 또는 퍼팅골프대체공(560)은 타격값측정대체공(610)으로 구비하고,
    상기 타격각측정대체공은 외측에 타격외측링(611),
    중앙에 타격외측링(611)에 타격되는 충격량과 타격각도를 측정하는 타격측정센서(612)로 구비하고,
    상기 스윙연습스탠드(110)와 퍼팅연습스탠드(510) 상부에 상기 타격측정센서(612)로 측정된 타격에 충격량과 타격각도를 디스플레이하는 타격값표시디스플레이(620)를 구비하는 것을 징으로 하는 골프 모든 발사각의 스트레이트 타이밍 타격연습장치치.
KR1020240027364A 2024-02-26 2024-02-26 골프 모든 발사각의 스트레이트 타이밍 타격연습장치 KR202400379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27364A KR20240037901A (ko) 2024-02-26 2024-02-26 골프 모든 발사각의 스트레이트 타이밍 타격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27364A KR20240037901A (ko) 2024-02-26 2024-02-26 골프 모든 발사각의 스트레이트 타이밍 타격연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901A true KR20240037901A (ko) 2024-03-22

Family

ID=90481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27364A KR20240037901A (ko) 2024-02-26 2024-02-26 골프 모든 발사각의 스트레이트 타이밍 타격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790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532B1 (ko) 2023-02-17 2024-01-15 이기의 다양한 샷을 연습할 수 있는 골프 타격 연습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532B1 (ko) 2023-02-17 2024-01-15 이기의 다양한 샷을 연습할 수 있는 골프 타격 연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0584B1 (en) Swing speed trainer
Penner The physics of golf
US77759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ining players in sports
Cross Physics of baseball & softball
US9149705B2 (en) Multi-rotor apparatus and method for motion sculpting
US20080113832A1 (en) Batting swing trainer and method
US8348779B2 (en) Training device for golf swing
US9687718B1 (en) Swing speed trainer
US3126206A (en) Practice golf club and tethered ball
KR102284739B1 (ko) 비거리 증대와 방향성을 바로잡아 주도록 적용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US20100130313A1 (en) Apparatus for assisting with optimal physical mechanics of a sports swing
Hung et al. Biomedical engineering principles in sports
US5634856A (en) Sports swing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30303297A1 (en) T/P weights 5
JP7126295B2 (ja) 教育用ゴルフクラブ
KR20220108381A (ko) 사용자 맞춤형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KR20240037901A (ko) 골프 모든 발사각의 스트레이트 타이밍 타격연습장치
US9486682B2 (en) Ball game
WO2021204062A1 (zh) 一种训练用球
JP4293868B2 (ja) 素振り用練習器
KR20180009573A (ko) 골프 스윙 연습기
KR101120849B1 (ko) 퍼팅 연습 장치
KR100977320B1 (ko) 골프용 다목적 운동기기
KR100910724B1 (ko) 액상물질을 이용한 골프 클럽
KR20200117281A (ko) 파크골프용 클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