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408A - 가상 스포츠 장치 및 가상 스포츠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 스포츠 장치 및 가상 스포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7408A
KR20240037408A KR1020220115472A KR20220115472A KR20240037408A KR 20240037408 A KR20240037408 A KR 20240037408A KR 1020220115472 A KR1020220115472 A KR 1020220115472A KR 20220115472 A KR20220115472 A KR 20220115472A KR 20240037408 A KR20240037408 A KR 20240037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put
virtual
command
golf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범
김갑수
곽재훈
Original Assignee
(주)에스지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지엠 filed Critical (주)에스지엠
Priority to KR1020220115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7408A/ko
Publication of KR20240037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74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47Visualisation of executed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75Input for modifying training controls during workout
    • A63B2071/0683Input by handheld remot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8Baseball, rounders or similar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스포츠 장치 및 가상 스포츠 시스템를 제공한다. 상기 가상 스포츠 장치는 사용자가 수행한 소정의 플레이에 대한 플레이 결과를 산출하는 제어부, 상기 산출된 플레이 결과를 나타내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의 커맨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포함하고, 사용자는 서로 다른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커맨드를 입력하기 위한 제1 입력기기와 상기 제2 사용자가 커맨드를 입력하기 위한 제2 입력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중 어느 한 명의 사용자가 플레이하는 동안에 현재 플레이하고 있지 않은 다른 사용자가 자신의 입력기기를 사용하여 자신의 커맨드를 입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 스포츠 장치 및 가상 스포츠 시스템{VIRTUAL SPORTS DEVICE AND VIRTUAL SPORTS SYSTEM}
본 발명은 가상 스포츠 장치 및 가상 스포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 스포츠 플레이 중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커맨드를 실행시킬 수 있도로 된 입력기기를 이용하는 가상 스포츠 장치 및 가상 스포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3차원 입체영상 및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술을 이용하여 경기장에 나가지 않고 스포츠 경기를 즐길 수 있는 시뮬레이션 장치들이 개발되어, 골프나 야구 등과 같은 가상의 실내 스포츠 경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가상의 실내 스포츠 경기는 야외에서 실제의 경기를 하고 있는 듯한 느낌을 주면서도 야외의 필드에서 경기하는 것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세이브되기 때문에 시간이나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실제 경기를 플레이 하기 어려운 현대인들에게 인기가 높다.
가상 스포츠 경기는 플레이 화면이 커다란 스크린에 보여지기 때문에 스크린 스포츠라 할 수 있다. 스크린 스포츠는 플레이 방식 등에 대하여 여러가지 설정이 필요하고, 또한 실제 스포츠를 플레이 하고 있는 듯한 현장감을 부여하기 위해서 사용자에게 여러가지 옵션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스크린 골프의 경우, 골프 플레이의 난이도를 선택하거나 골프장 바람의 세기나 방향과 같은 기상조건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옵션을 선택하거나 설정을 변경하거나 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실행을 원하는 커맨드를 입력해야 하는데, 종래의 경우 사용자가 플레이 중에 입력기기가 구비되어 있는 장소로 이동하여 키보드나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커맨드를 입력해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대단히 불편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커맨드를 입력하여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사용자가 스크린 스포츠를 플레이하면서 원하는 커맨드를 편리하게 실행시킬 수 있도록 된 입력기기를 이용하는 가상 스포츠 장치 및 가상 스포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스포츠 장치는 사용자가 수행한 소정의 플레이에 대한 플레이 결과를 산출하는 제어부, 상기 산출된 플레이 결과를 나타내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의 커맨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는 서로 다른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커맨드를 입력하기 위한 제1 입력기기와 상기 제2 사용자가 커맨드를 입력하기 위한 제2 입력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중 어느 한 명의 사용자가 플레이하는 동안에 현재 플레이하고 있지 않은 다른 사용자가 자신의 입력기기를 사용하여 자신의 커맨드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스포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중에서 상기 제1 사용자가 플레이할 때에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2 입력기기를 사용하여 커맨드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사용자가 플레이하는 동안 또는 상기 제1 사용자가 플레이를 마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플레이를 개시하기 전까지 상기 제2 사용자가 입력한 커맨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스포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중에서 상기 제1 사용자가 플레이할 때에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2 입력기기를 사용하여 커맨드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가 플레이하는 동안 또는 상기 제1 사용자가 플레이를 마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플레이를 개시하기 전까지 상기 제2 사용자가 입력한 커맨드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스포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가 동일한 사항에 대한 커맨드를 입력한 경우에,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가 입력한 커맨드를 비교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스포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입력기기는 리모컨 방식의 포터블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및 제2 입력기기는 각각 서로 다른 커맨드를 입력할 수 있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버튼 각각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는 커맨드는 상기 제1 및 제2 입력기기에서 사용자마다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스포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포츠는 골프가 될 수 있고, 또한 상기 가상 스포츠 장치는 사용자가 실제의 골프공을 타격하면 상기 타격된 실제의 골프공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의 감지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타격에 대한 플레이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스포츠 시스템은 상기한 가상 스포츠 장치 및 상기 가상 스포츠 장치와 통신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서비스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가상 스포츠 시스템은 사용자가 커맨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기기로 사용될 수 있는 모바일 기기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기기에 커맨드를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커맨드는 상기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 장치에 전달되고,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가상 스포츠 장치를 통하여 상기 커맨드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상 스포츠 장치 및 가상 스포츠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가 스크린 스포츠를 플레이하면서 원하는 커맨드를 편리하게 실행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야구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가상 야구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커맨드 입력용 입력기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가상 골프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커맨드 입력용 입력기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및 제2 퍼팅 모드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제1 및 제2 타격 모드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가상의 캐디가 표시되는 스크린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그리드와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는 스크린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3의 가상 골프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커맨드 입력용 입력기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사용자가 커맨드 입력용 입력기기에서 특정 키와 이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설정하는 경우에 스크린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서로 다른 사용자에 의해서 커맨드 입력용 입력기기에 서로 다른 커맨드 세트가 설정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복수의 사용자가 플레이하는 동안에 특정 사용자에 의해서 커맨드가 입력되고 실행되는 과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3은 도 21의 가상 골프 시스템에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커맨드를 실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들(elements)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상기 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또,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요소 위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야구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상 야구 장치는 타격 플레이트(110), 제어부(120), 감지부(130), 입력부(140), 사운드부(150), 표시부(160), 볼피칭부(170)를 포함한다.
타격 플레이트(110)는 사용자가 야구공을 타격하기 위하여 위치하는 타격존을 나타낸다. 제어부(120)는 가상 야구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에 필요한 각종 연산과 제어 등을 담당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야구공을 타격하면 타격된 야구공이 실제 야구장에서 움직인다고 가정했을때 어떠한 타격결과(땅볼, 플라이, 안타, 홈런 등)가 될 것인지를 산출하는 산출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가상 야구 장치에는 상기한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저장매체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감지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야구공의 이동속도, 이동방향 등과 같은 야구공의 물리적 상태를 감지하며, 야구공의 물리적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수단을 구비한다. 감지부(130)의 센싱수단으로는 각종 감지센서나 카메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감지부(130)에 의하여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120)에 전달되며, 제어부(120)는 전달 정보에 근거하여 타격 결과를 산출하는 산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14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키보드나 마우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가상 야구 장치를 사용하는 스크린 야구에서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사용자의 로그인을 필요로 하는 로그인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고, 로그인 시스템이 적용되면 사용자가 자신의 아이디나 패스워드를 입력할 때에 입력부(140)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야구에서 사용자가 플레이 하고자 하는 야구장이나 플레이 난이도를 선택하는 경우 등에도 입력부(140)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운드부(150)는 스피커 등과 같은 음향기기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게임의 진행 상황을 안내하고 게임의 진행에 따른 각종 효과음을 재생하는 역할을 한다. 표시부(160)는 프로젝터와 스크린과 같은 디스플레이용 기기를 포함한다. 프로젝터는 야구장과 야구 선수들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야구 관련 영상을 스크린에 투사하며, 스크린은 투사된 야구 관련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야구공을 타격하고 제어부(120)가 산출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타격의 결과가 홈런으로 되었을 때에, 스크린에는 야구공이 펜스를 넘어가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볼피칭부(170)는 사용자가 타격할 수 있도록 야구공을 발사하는 기기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스크린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볼피칭부(170)에서 발사된 야구공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도달한다.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타격 플레이트(110)에서 타격 준비를 마친 타이밍에 맞추어 야구공이 발사되도록 볼피칭부(170)의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가상 야구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커맨드 입력용 입력기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상 야구 장치에서 플레이하는 동안 사용자는 다양한 커맨드를 실행시킬 수 있고, 상기 커맨드 입력을 위한 별도의 입력기기로서 리모컨 방식의 포터블 기기(10)가 사용될 수 있다. 리모컨 방식의 포터블 기기(10)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포터블 기기(10)를 주머니 등에 휴대한 상태에서 필요할 때마다 포터블 기기(10)를 조작하여 간편하게 원하는 커맨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상 야구 장치용 포터블 기기(10)에는 볼 피칭부(170)에서 발사되는 야구공의 구속을 변경하기 위한 구속 버튼(11, 12)과 구질을 변경하기 위한 구질 버튼(13, 14) 등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구속을 변경하기 위한 구속 버튼은 약한 구속 버튼(11)과 강한 구속 버튼(12) 등을 포함하며, 구질을 변경하기 위한 구질 버튼은 직구 버튼(13)과 변화구 버튼(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포터블 기기(10)에서는 구속이나 구질을 변경하는 커맨드 입력 버튼이 있는 예를 보여주었으나, 구속이나 구질 변경 이외의 다른 커맨드 입력 버튼이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상 골프 장치는 타격 플레이트(210), 제어부(220), 감지부(230), 입력부(240), 사운드부(250), 표시부(260)를 포함한다.
타격 플레이트(210)는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하여 위치하는 영역이다. 타격 플레이트(210)는 플레이트형 물체가 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물체가 아니고 단순히 가상 골프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의 바닥면으로서 사용자가 위치하는 부분이 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타격 플레이트(210)에는 사용자가 골프공이 놓여지는 타격매트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타격매트에는 상하로 이동가능한 구조의 오토티가 설치되어 있어서 오토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타격용 골프공이 자동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가상 골프 장치의 각 구성품 사이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20)는 타격 매트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오토티를 컨트롤하여, 사용자가 타격하는 시점에 맞추어 오토티에서 타격용 골프공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골프코스를 선택한 경우, 해당 골프코스에서 플레이할 수 있도록 제어부(220)는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220)는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사용자가 특정 골프코스를 선택한 경우에 상기 영상처리수단에서 해당 골프코스 영상을 형성하여 표시부(260)로 전달함으로써 해당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상태대로 골프공이 실제 골프장에서 이동한다고 가정했을 때의 예상궤적을 산출하는 산출과정을 수행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가상 골프 장치에는 상기한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저장매체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감지부(230)는 골프클럽의 움직임 및/또는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움직임 등을 감지하여 타격된 골프클럽이나 골프공에 관한 물리적 상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감지부(230)로서 골프클럽이나 골프공의 움직임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나 감지센서 등의 감지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감지수단에는 이미지 센싱, 발광/수광 센싱, 레이저 센싱 등 다양한 센싱 방식이 적용될 수 있고, 이러한 센싱 방식으로 골프클럽이나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나 감지센서 등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함께 사용될 수 있고, 또한 1대만 사용되거나 여러 대가 사용될 수 있다. 감지부(230)를 통하여 얻어진 정보는 제어부(220)에 전달되어 산출과정에 사용된다. 입력부(24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키보드나 마우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로그인을 위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아이디나 패스워드를 입력할 때, 사용자가 플레이 하고자 하는 골프코스나 플레이 난이도 등을 선택할 때 등에 입력부(240)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운드부(250)는 스피커 등과 같은 음향기기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게임의 진행 상황을 안내하고 게임의 진행에 따른 각종 효과음을 재생하는 역할을 한다. 표시부(260)는 프로젝터와 스크린 등을 포함한다. 프로젝터는 골프코스와 골프공의 영상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골프 관련 영상을 스크린에 투사하며, 스크린은 투사된 골프 관련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일부 대상에 대해 '가상'이라는 용어를 붙여서 표현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는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스크린 속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라는 의미로서, 예를 들어 '가상의 골프코스'란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골프코스라는 의미이고 '가상의 골프공'이란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골프공이라는 의미이다.
가상 골프 장치는 스크린 골프장 등에 설치되어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며, 사용자가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할 때에 가상 골프 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하면 감지부(230)에서 골프클럽의 움직임이나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 등과 같은 물리적 상태를 감지한다. 감지부(230)에 의하여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220)에 전달되고, 제어부(220)는 전달된 정보에 의거하여 산출과정을 수행한다. 표시부(260)에서는 산출과정에서 산출된 궤적대로 가상의 골프공이 움직이는 영상을 표시하며, 이때에 가상의 골프공은 산출된 궤적으로 비행한 후 스크린 속 가상의 골프코스의 특정지점에 착지하게 되고, 사용자는 가상의 골프공이 착지된 지점에서 넥스트 타격을 이어가게 된다.
도 4는 도 3의 가상 골프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커맨드 입력용 입력기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상 골프 장치에서 플레이하는 동안 사용자는 다양한 커맨드를 실행시킬 수 있고, 상기 커맨드 입력을 위한 별도의 입력기기로서 리모컨 방식의 포터블 기기(20)가 사용될 수 있다. 리모컨 방식의 포터블 기기(20)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포터블 기기(20)를 주머니 등에 휴대한 상태에서 필요할 때마다 포터블 기기(20)를 조작하여 간편하게 원하는 커맨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상 골프 장치용 포터블 기기(20)에는 퍼팅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21), 타격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22), 캐디의 표시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23), 그리드 표시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24) 등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언급한 버튼 이외에도 다른 커맨드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퍼팅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21), 타격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22), 캐디의 표시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23), 그리드 표시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24)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제1 및 제2 퍼팅 모드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11은 제1 및 제2 타격 모드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2는 가상의 캐디가 표시되는 스크린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그리드와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는 스크린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퍼팅 모드 선택 버튼은 사용자가 제1 및 제2 퍼팅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때에 사용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1 퍼팅 모드에서는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홀컵(HC)과 깃대(F)가 모두 표시된다. 이에 대해, 도 5(b)를 참조하면, 제2 퍼팅 모드에서는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깃대(F)를 제외하고 홀컵(HC)만이 표시된다. 깃대(F)의 표시 여부는 실질적인 스크린 골프 플레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깃대(F)를 표시하는 제1 퍼팅 모드에서 가상의 골프공(VB)이 출발지점(SP)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제 골프공을 퍼팅한다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퍼팅하면, 퍼팅된 실제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에 근거하여 제어부(도 3의 도면부호 220 참조)에서는 실제 골프공의 퍼팅 후 궤적을 산출하고, 스크린 속 가상의 골프공(VB)은 상기 산출된 궤적에 따라 움직인다. 여기에서 가상의 골프공(VB)이 제1 경로(P1)를 따라 움직인다고 가정하면, 제1 경로(P1) 상에 깃대(F)가 위치하는 경우에 가상의 골프공(VB)은 깃대(F)와 충돌하게 된다. 충돌의 결과는 가상의 골프공(VB)이 어떠한 방향에서 어느 정도의 속도로 깃대(F)와 충돌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이는 제어부에서 추가적으로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에서 제1 경로(P1)를 산출한 후 제1 경로(P1) 상에 깃대(F)가 존재함을 파악하였다면, 제1 경로(P1)를 따라 이동하는 가상의 골프공(VB)이 깃대(F)에 도달하였을 때에 어느 방향에서 어느 정도의 속도로 이동하는 지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결과에 기초하여 깃대(F)와 충돌 후의 궤적을 추가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산출의 결과, 가상의 골프공(VB)은 충돌 후 깃대(F)로부터 튕겨 나와서 제2 경로(P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추가 산출의 결과, 가상의 골프공(VB)은 충돌 후 깃대(F)로부터 아래쪽으로 제3 경로(P3)를 따라 이동하다가 홀컵(HC)에 홀인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깃대(F)는 홀인 여부를 좌우하는 돌발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깃대(F)를 표시하지 않는 제2 퍼팅 모드에서 가상의 골프공(VB)이 출발지점(SP)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퍼팅한다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퍼팅하면, 퍼팅된 실제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에 근거하여 제어부에서는 퍼팅 후 실제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하고, 스크린 속 가상의 골프공(VB)은 상기 산출된 궤적에 따라 움직인다. 상기 산출된 궤적에 따라 가상의 골프공(VB)이 제4 경로(P4)를 따라 움직이고 제4 경로(P4)가 홀컵(HC) 위를 지나간다고 가정하는 경우, 제1 퍼팅 모드라면 홀컵(HC)에 깃대(F)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가상의 골프공(VB)이 깃대(F)와 충돌하여 그 경로가 변경될 수 있지만, 제2 퍼팅 모드에서는 깃대(F)가 없기 때문에 가상의 골프공(VB)이 경로 변경없이 제4 경로(P4)를 따라 이동하다가 소정의 위치에서 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퍼팅 모드는 깃대(F)를 표시하는지 여부에 따른 단순한 시각적인 차이만이 아니고, 깃대(F)가 가상 골프공(VB)의 경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스크린 골프 플레이의 결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깃대(F)에 충돌한 후 가상의 골프공(VB)의 경로가 어떻게 변경될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깃대(F)'는 일종의 돌발변수라고 볼 수 있다. 사용자는 본인의 취향에 따라, 이러한 돌발변수가 적용되기를 희망하는 경우에는 제1 퍼팅 모드를 이용하고, 이러한 돌발변수가 적용되지 않기를 희망하는 경우에는 제2 퍼팅 모드를 이용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크린 골프 플레이 중 제1 및 제2 퍼팅 모드 중 원하는 모드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리모컨 방식의 포터블 기기(20)의 퍼팅 모드 버튼(21)를 이용함으로써 간편하게 선택을 완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퍼팅 모드 버튼(21)을 눌러서 제1 퍼팅 모드를 설정하거나 또는 퍼팅 모드 버튼(21)을 다시 눌러서 제2 퍼팅 모드를 설정하거나 할 수 있다.
타격 모드 버튼(22)은 사용자가 제1 및 제2 타격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때에 사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타격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타격매트(M)는 상호 구분되어 있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격매트(M)는 제1 타격영역(M1)과 제2 타격영역(M2)으로 구분되고, 제2 타격영역(M2)은 서로 다른 2개의 서브 영역(S1, S2)으로 구분되어 있어서, 전체적으로 타격매트(M)는 3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을 수 있다.
타격매트(M)에 있어서 구분 영역은 실제 골프장에서의 다양한 속성을 갖는 지형에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제의 골프장에는 페어웨이, 러프, 벙커 등의 다양한 속성을 갖는 지형이 있다. 상기 러프는 페어웨이에 비하여 잔디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있는 지역인데, 이와 같이 잔디가 긴 러프에서는 잔디가 짧은 페어웨이보다 타격이 어려워서 타격 난이도가 높다. 또한, 상기 벙커는 주로 모래로 이루어진 지역을 나타내는데, 모래에서는 타격이 더 어려워서 잔디 지역(페어웨이, 러프)에 비하여 타격 난이도가 높다.
타격매트(M)는 페어웨이, 러프, 벙커와 같은 실제 골프장에서의 다양한 속성을 갖는 지형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타격영역(M1)은 실제 골프에서 타격 난이도가 가장 낮은 페어웨이에 대응하고, 제2 타격영역(M2)은 페어웨이에 비하여 타격 난이도가 높은 비페어웨이(러프, 벙커 등 페어웨이가 아닌 영역을 편의상 '비페어웨이'라고 명명한다)에 대응하며, 제2 타격영역(M2)의 2개의 구분영역(S1, S2)은 서로 타격 난이도가 상이한 러프와 벙커에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페어웨이와 러프에 대응되는 페어웨이 영역과 러프 영역(M1, S1)은 인조잔디로 형성하되 상기 인조잔디의 재질이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벙커에 대응되는 벙커 영역(S2)은 모래에서 타격하는 것 같은 타격감을 줄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실제 골프에서는 워터 해저드와 같이 페어웨이, 러프, 벙커 이외의 다른 지형이 있을 수 있고, 러프나 벙커도 라이트 러프, 헤비 러프, 페어 벙커, 그린 벙커와 같이 세분화될 수 있기 때문에, 타격매트(M)는 실제 골프장의 지형을 다양한 방식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영역 타격매트라 하더라도 도 6에 도시된 구조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의 골프코스는 실제의 골프코스를 그대로 재현하여 표현할 수 있다. 즉 실제 골프코스에 페어웨이, 러프, 벙커 등과 같은 다양한 속성을 갖는 지형이 있듯이, 스크린 속 가상의 골프코스에도 가상 페어웨이, 가상 러프, 가상 벙커 등과 같은 다양한 속성을 갖는 지형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타격매트(M)는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영역과 대응하도록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스크린의 가상 골프공이 놓여있는 영역과 타격매트(M)의 실제 골프공이 놓여있는 영역이 서로 대응하도록 실제의 골프공을 배치한 후 실제 골프공을 타격할 수 있다(제1 타격 모드). 또는 사용자는 스크린의 가상 골프공이 어느 영역에 놓여 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자신이 플레이 하기 편한 타격매트(M)의 영역에 실제 골프공을 놓고 타격할 수도 있다(제2 타격 모드). 사용자는 자신의 플레이 성향에 맞추어 서로 다른 제1 및 제2 타격 모드 중 어는 하나를 선택하여 플레이할 수 있고, 상기 플레이 모드를 선택함에 있어서 타격 모드 선택 버튼(22)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타격 모드에서는 스크린 속 가상 골프공이 위치하는 지형과 타격매트(M)의 실제 골프공이 위치하는 영역이 서로 상응하는 경우에만 유효한 타격으로 인정된다. 예를 들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의 가상 골크코스에 있어서 가상 골프공(VB)이 가상 페어웨이에 위치하고 실제 골프공(RB)이 타격매트의 페어웨이 영역에 놓여 있는 경우에서의 타격은 유효하다. 또한, 도 8(b) 및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의 가상코스에 있어서 가상 골프공(VB)이 가상 러프/가상 벙커에 위치하고 실제 골프공(RB)이 타격매트의 러프 영역/벙커 영역에 놓여 있는 경우에서의 타격은 유효하다. 골프공의 타격이 유효한 것으로 인정되면, 제어부(도 3의 도면부호 220 참조)는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하고 스크린에는 산출된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가상의 골프공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유효하지 않은 골프공의 타격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하더라도 제어부, 스크린 등에서 골프공 타격에 따른 후속동작(궤적을 산출하고 산출된 궤적에 따라 움직이는 가상의 골프공을 표시 등)을 실행하지 않는다. 제1 타격 모드에서의 타격의 유효성 여부는 감지부(도 3의 도면부호 230 참조)에서 타격매트 상의 실제 골프공(RB)이 놓여 있는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파악될 수 있다. 즉 타격매트 상의 실제 골프공(RB)이 놓여 있는 영역이 스크린 속 가상 골프공(VB)이 착지되어 있는 영역과 상응하는지를 체크함으로써, 현재 타격매트 상의 실제 골프공(RB)이 놓여 있는 위치가 유효한 타격을 할 수 있는 위치인지 파악할 수 있다. 현재 타격매트 상의 실제 골프공(RB)이 놓여 있는 위치가 유효한 타격을 위한 위치가 아닌 경우에는,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할 수 있는 준비상태(ball ready 상태)가 되지 않도록 작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골프공을 타격매트 상의 올바른 위치에 놓고 타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제2 타격 모드에서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의 가상 골크코스에 있어서 가상 골프공(VB)이 가상 페어웨이에 위치하고 실제 골프공(RB)이 타격매트의 페어웨이 영역에 놓여 있는 경우에서의 타격은 유효하다. 또한, 도 9(b) 및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의 가상코스에 있어서 가상 골프공(VB)이 가상 러프/가상 벙커에 위치하고 실제 골프공(RB)이 타격매트의 페어웨이 영역에 놓여 있는 경우에서의 타격도 유효하다. 도 9(a)에 도시된 상황은 스크린 속 가상 골프공(VB)의 위치와 타격매트의 실제 골프공(RB)이 놓여 있는 영역이 서로 상응하지만, 도 9(b), 9(c)에 도시된 상황은 스크린 속 가상 골프공(VB)의 위치와 타격매트의 실제 골프공(RB)이 놓여 있는 영역이 서로 상응하지 않는다. 제2 타격 모드에서는 스크린 속 가상 골프공(VB)의 위치와 상관없이 무조건 페어웨이 영역에 실제 골프공(RB)을 놓고 타격하는 경우에만 유효한 타격으로 인정된다. 골프공의 타격이 유효한 것으로 인정되면, 제어부는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하고 스크린에는 산출된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가상의 골프공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유효하지 않은 골프공의 타격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하더라도 제어부, 표시부 등에서 골프공 타격에 따른 후속동작(궤적을 산출하고 산출된 궤적에 따라 움직이는 가상의 골프공을 표시 등)을 실행하지 않는다. 제2 타격 모드에서의 타격의 유효성 여부는 감지부에서 타격매트 상의 실제 골프공(RB)이 페어웨이 영역에 놓여 있는지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파악될 수 있다. 만약 제2 타격 모드에서 현재 타격매트 상의 실제 골프공(RB)이 놓여 있는 위치가 유효한 타격을 위한 위치가 아닌 경우에는,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할 수 있는 준비상태(ball ready 상태)가 되지 않도록 작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골프공을 타격매트 상의 올바른 위치에 놓고 타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타격 모드는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제1 타격 모드에서는 제1 방식을 이용하여 궤적을 산출하고, 제2 타격 모드에서는 제1 및 제2 방식을 혼용하여 궤적을 산출한다.
제1 방식에서는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에 근거하여 골프공이 어떠한 궤적을 이루며 비행할 것인지를 산출한다. 상기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는 감지부에서 감지되는데, 구체적으로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를 나타내는 여러가지 물리적 파라미터의 값들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파라미터는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타격된 골프공의 움직임도 시시각각 변동되기 때문에, 이들을 모두 감안하여 궤적을 산출하는 경우에는 그 계산 과정은 매우 복잡하게 된다. 설명의 편의상, 골프공에 대한 다양한 물리적 파라미터 중 일부(예컨대, 골프공의 이동속도와 이동방향)만을 이용한 매우 단순화된 골프공 궤적 산출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B)은 소정의 속도(V1)와 방향(θ1)을 갖고 비행한다. 여기서 속도(V1)는 골프공이 타격된 후의 속도가 될 수 있고, 방향(θ1)은 타격에 의하여 날아가는 방향을 나타내는 인자로서 수평면에 대해서 기울어진 각도가 될 수 있다. 제어부는 골프공(B)이 상기한 물리적 파라미터(V1, θ1)를 가지고 운동할 때에 어떠한 궤적(T)을 가지게 되는지를 산출한다. 이와 같이 골프공(B)의 물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추출한 후, 그 파라미터를 그대로 이용하여 궤적(T)을 산출하는 것이 제1 방식하에서의 골프공 궤적 산출 방법이다.
제2 방식에서는 골프공의 비거리를 산출한 후 이를 인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방식에서는 먼저 제1 방식에서와 동일하게 골프공의 궤적(T)을 산출한다. 즉,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B)이 소정의 속도(V1)와 방향(θ1)을 갖는다고 할 때, 제어부는 골프공(B)이 상기한 물리적 파라미터(V1, θ1)를 가지고 운동할 때에 어떠한 궤적(T)을 가지게 되는지를 산출한다. 이와 같이 궤적(T)을 산출한 다음에, 인위적으로 골프공(B)의 비거리를 소정 거리(d)만큼 감소시킨다. 여기서 비거리의 감소량은 스크린에서 가상의 골프공이 위치하는 지형의 속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타격 모드에서는 제1 방식에 따라 골프공의 궤적이 산출된다. 제2 타격 모드에서는 스크린 속 가상의 골프공이 가상 페어웨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1 방식에 따라 골프공의 궤적이 산출되고, 스크린 속 가상의 골프공이 가상 러프나 가상 벙커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2 방식에 따라 골프공의 궤적이 산출된다. 요컨데, 제1 및 제2 타격 모드 여부와 상관없이, 제1 방식은 스크린 속 가상 골프공이 위치하는 지형과 타격매트 상의 실제 골프공이 놓여 있는 영역이 상응하는 경우에 적용되며, 제2 방식은 스크린 속 가상 골프공이 위치하는 지형과 타격매트 상의 실제 골프공이 놓여 있는 영역이 상응하지 않는 경우에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제2 방식은 도 9(b), 9(c)에 도시되어 있는 상황에서 적용될 수 있다. 도 9(b)와 같이 스크린 속 가상 골프공이 가상 러프에 위치하는 상황에서는 실제 골프공을 타격매트의 러프 영역에 놓고 타격해야 하지만, 제2 타격 모드를 선택한 사용자는 실제 골프공을 타격매트의 페어웨이 영역에 놓고 타격할 수 있다. 페어웨이 영역에서 타격하는 것은 러프 영역에서 타격하는 것에 비하여 골프공을 타격하기 용이하여 산출된 비거리가 길어질 수 있고, 제2 방식에서는 산출된 비거리를 소정거리만큼 감소시킴으로써 페어웨이 영역에서 타격함으로써 비거리가 증가될 수 있는 것을 보정한다. 마찬가지로 도 9(c)와 같이 스크린 속 가상 골프공이 가상 벙커에 위치하는 상황에서는 실제 골프공을 타격매트의 벙커 영역에 놓고 타격해야 하지만, 제2 타격 모드를 선택한 사용자는 실제 골프공을 타격매트의 페어웨이 영역에 놓고 타격할 수 있다. 페어웨이 영역에서 타격하는 것은 벙커 영역에서 타격하는 것에 비하여 골프공을 타격하기 용이하여 산출된 비거리가 길어질 수 있고, 제2 방식에서는 산출된 비거리를 소정거리만큼 감소시킴으로써 페어웨이 영역에서 타격하여 비거리가 증가될 수 있는 것을 보정한다. 러프와 벙커를 비교하면 일반적으로 벙커에서의 타격시 비거리가 더 감소되기 때문에, 스크린 속 가상의 골프공이 가상 벙커에 있을 때의 비거리 감소율은 스크린 속 가상의 골프공이 가상 러프에 있을 때의 비거리 감소율 보다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가 20%라면 후자는 10% 정도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타격 모드는 커맨드 입력용 포터블 기기(20)에 있어서의 타격 모드 선택 버튼(22)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커맨드 입력용 포터블 기기(20)가 리모컨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스크린 골프 플레이 중에 언제라도 자신의 포터블 기기(20)를 소지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 타격 모드 중 어느 하나를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타격 모드 선택 버튼(22)을 눌러서 제1 타격 모드를 설정하거나 또는 타격 모드 선택 버튼(22)을 다시 눌러서 제2 타격 모드를 설정하거나 할 수 있다.
캐디 버튼(23)은 사용자가 캐디를 호출할 때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캐디 버튼(23)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가상 캐디(VC)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실제 골프에서 캐디가 각종 플레이에 대한 어드바이스를 제공하듯이, 스크린 골프에서도 가상의 캐디(VC)를 불러서 어드바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가상의 캐디(VC)가 제공하는 플레이 어드바이스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샷에 대한 조언이 될 수 있다. 또한 가상의 캐디(VC)가 제공하는 플레이 어드바이스는 샷에 대한 어드바이스가 아니더라도 골프코스에 대한 정보(현재 가상의 골프공이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홀컵까지의 거리 등)가 될 수도 있다. 캐디 버튼(23)은 가상의 캐디(VC)가 없는 상태에서 이 버튼을 클릭하면 가상의 캐디(VC) 나타나도록 호출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타격하기 직전에 가상의 캐디(VC)가 나타나서 어드바이스를 제공한 후 사라졌을 때에, 사용자가 이 버튼을 클릭하면 가상의 캐디(VC)가 다시 나타나서 상기 어드바이스를 재차 제공하도록 요청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드 버튼(24)은 사용자가 스크린 속 지형의 경사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스크린에 그리드와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도록 요청할 때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그리드 버튼(24)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그리드(G)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고, 그리드(G)에는 지형의 경사도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I)가 표시될 수 있다. 스크린 골프 플레이 중 가상의 골프공(VB)이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그린 영역에 착지하면 사용자는 홀컵(HC)을 향하여 퍼팅을 하게 된다. 실제 골프코스에서의 그린 지형은 다양한 경사도를 가지며, 스크린 골프에서는 실제 골프의 그린 지형 경사도가 가상의 골프코스에 재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제 골프에서는 그린 지형의 경사도를 골퍼가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지만, 스크린 골프에서는 스크린 속 영상만으로 그린 지형의 경사도를 파악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그리드(G), 인디케이터(I) 등을 이용하여 그린 지형의 경사도를 보여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리드(G)는 복수의 가로선(G1)과 세로선(G2)으로 표시되고, 인디케이터(I)는 그리드(G)의 가로선(G1)/세로선(G2) 위를 이동하는 가로 인디케이터(I1)와 세로 인디케이터(I2)를 포함한다. 가로 인디케이터(I1)가 그리드(G)의 가로선(G1) 상을 이동하는 방향은 그린의 경사방향(경사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을 나타내고, 가로 인디케이터(I1)의 길이는 경사도에 비례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또는 가로 인디케이터(I1)를 포인트 형태로 표시하되 상기 포인트의 이동속도에 따라 경사도(이동속도가 빠를수록 급경사)를 표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세로 인디케이터(I2)가 그리드(G)의 세로선(G2) 상을 이동하는 방향은 그린의 경사방향을 나타내고, 세로 인디케이터(I2)의 길이는 경사도에 비례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또는 세로 인디케이터(I2)를 포인트 형태로 표시하되 상기 포인트의 이동속도에 따라 경사도를 표현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사용자는 그리드 버튼(24)을 이용하여 그리드(G)와 인디케이터(I)를 표시하여 그린 지형의 경사도를 파악할 수 있고, 파악된 경사도에 유의하여 적절하게 퍼팅할 수 있다.
도 14는 도 3의 가상 골프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커맨드 입력용 입력기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사용자가 커맨드 입력용 입력기기에서 특정 키와 이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설정하는 경우에 스크린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6은 서로 다른 사용자에 의해서 커맨드 입력용 입력기기에 서로 다른 커맨드 세트가 설정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가상 골프 장치에 있어서 여러가지 커맨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기기로서 리모컨 방식의 포터블 기기(30)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포터블 기기(30)에는 숫자가 표시되어 있는 다수의 입력버튼(31, 32, 33, 34)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숫자가 아니라 다른 기호, 텍스트, 이미지 등이 표시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포터블 기기(30)는 각 입력버튼의 용도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사용자마다 자신에게 편리한대로 각 입력버튼의 용도를 설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입력기기와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가상 골프 장치에서는 퍼팅 모드 선택 버튼, 타격 모드 선택 버튼, 캐디 버튼, 그리드 버튼 등과 같이 다양한 커맨드 입력 버튼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한 커맨드 이외에도 다른 커맨드가 더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포터블 기기(30)가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모든 커맨드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해당 버튼들을 전부 구비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용이하지 않다. 버튼의 개수가 제한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마다 주로 사용하는 커맨드가 다를 수 있으며, 제한된 버튼을 사용자마다 자신이 주로 사용하는 커맨드로 세팅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기기(30)는 입력버튼에 의하여 실행되는 커맨드가 특정되어 있지 않고 사용자마다 자신의 원하는 커맨드들로 세팅할 수 있게 구성된다.
사용자 A와 사용자 B가 함께 플레이를 하고 있고 사용자 A에게는 리모컨1이 할당되어 있고 사용자 B에게는 리모컨2가 할당되어 있다고 가정하는 경우, 사용자 A는 리모컨1에 있는 ①, ②, ③, ④ 버튼을 어떠한 커맨드를 입력할 버튼으로 사용할 것인지 자신이 원하는대로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 B는 리모컨2에 있는 ①, ②, ③, ④ 버튼을 어떠한 커맨드를 입력할 버튼으로 사용할 것인지 자신이 원하는대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1에 대하여 사용자 A는 『① - 타격모드 선택, ② - 퍼팅모드 선택, ③ - 그리드 표시, ④ - 캐디 표시』와 같은 커맨드와 버튼의 대응관계를 스크린 등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고, 상기 대응관계가 자신에게 불편하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변경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하여 버튼과 커맨드의 대응관계를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 A가 "변경버튼(▷)"을 클릭하여 버튼과 커맨드 사이의 대응관계를 변경한 경우, 상기 변경된 내용은 제어부의 기억장치에 저장될 수 있고, 이후 사용자 A가 리모컨1의 특정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는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버튼에 해당하는 커맨드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해당 커맨드를 처리할 수 있다(제어부는 해당 커맨드를 직접 실행하거나 또는 해당 커맨드를 실행할 수 있는 구성요소에게 커맨드를 실행하도록 지시하거나 하는 등의 방법으로 커맨드를 처리한다). 사용자 A와 사용자 B가 각각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리모컨을 세팅하면, 리모컨1과 리모컨2에 있어서 각 버튼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는 커맨드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리모컨1의 ①, ②, ③, ④ 버튼은 타격모드 선택, 퍼팅모드 선택, 그리드 표시, 캐디 표시의 용도로 사용되는 반면, 리모컨2의 ①, ②, ③, ④ 버튼은 캐디 표시, 그리드 표시, 타격모드 선택, 퍼팅모드 선택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가 자신의 전용 입력기기를 각각 따로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자신이 플레이하는 중에 커맨드를 입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플레이하고 있지 않은 동안에도 커맨드를 입력할 수 있다. 가령 복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커맨드 입력용 입력기기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커맨드를 입력할 수 있는 시기에 제한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 B가 하나의 커맨드 입력기기를 공통으로 사용하며, 사용자 A는 퍼팅 단계에서 깃발이 표시되지 않는 플레이 옵션을 희망하고 사용자 B는 퍼팅 단계에서 깃발이 표시되는 플레이 옵션을 희망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사용자 A는 자신이 플레이할 때에 상기 공통 입력기기를 사용하여 퍼팅 단계에서 깃발이 표시되지 않도록 커맨드를 입력할 수 있지만, 자신이 플레이하고 있지 않는 경우(사용자 B가 플레이하고 있는 경우 등)에는 상기 공통 입력기기를 사용하여 퍼팅 단계에서 깃발이 표시되지 않도록 커맨드를 입력하기 곤란하다. 왜냐하면 사용자 B가 퍼팅을 하고 있는 동안에 사용자 A가 공통 입력기기를 통하여 깃발이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커맨드를 입력한다면, 사용자 B가 플레이하는 중에 스크린 속 홀컵에 깃발이 표시되지 않게 되므로,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 B는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퍼팅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공통 입력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각 사용자가 자신의 커맨드를 입력하는 시기에 제한이 있고, 각 사용자는 주로 자신이 플레이하는 중에만 상기 공통 입력기기를 통하여 커맨드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에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가 자신의 전용 입력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각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시기에 아무런 제한없이 커맨드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복수의 사용자가 플레이하는 동안에 특정 사용자에 의해서 커맨드가 입력되고 실행되는 과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A, B가 입력기기로서 각각 리모컨1과 리모컨2를 사용하며 사용자 A는 퍼팅 단계에서 깃발이 표시되지 않는 플레이 옵션을 희망하고 사용자 B는 퍼팅 단계에서 깃발이 표시되는 플레이 옵션을 희망한다고 가정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현재 사용자 A가 플레이 중이고 사용자 A는 퍼팅 단계에 진입하여 있고 이에 따라 스크린에는 그린 영역이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 사용자 A는 깃발이 표시되지 않는 퍼팅 모드를 선택한 상태이고, 그 결과 스크린에는 깃발이 표시되어 있지 않다. 한편 사용자 B는 퍼팅 단계에서 깃발이 표시되기를 희망하고 있고, 현재 사용자 A가 플레이하고 있는 중에 자신의 리모컨2에 있어서의 퍼팅 모드 선택 버튼(④번 버튼에 세팅되어 있다고 가정)을 이용하여 자신이 퍼팅할 때에 깃발이 표시되도록 커맨드를 입력한다. 이때에 가상 골프 장치의 제어부는 리모컨2로부터 ④번 버튼 커맨드가 입력되었음을 확인한 후, 리모컨2가 누구에게 할당되어 있는지를 체크하여 사용자 B에게 할당되어 있음을 파악하면, 사용자 B가 ①, ②, ③, ④ 버튼을 어떠한 커맨드에 세팅하였는지를 체크하고, 그 결과 리모컨2의 ④번 버튼이 퍼팅 모드 선택 버튼임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과정이 끝나면 사용자 B가 ④번 버튼을 누름으로써 어떠한 커맨드가 실행되기를 희망하는지 알게 되므로, 해당 커맨드를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 B로부터 커맨드가 입력되었을 때에 스크린에 사용자 B가 입력한 커맨드의 내용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스크린의 모서리와 같은 일부분에 사용자 B가 퍼팅 단계에서 깃발이 표시되도록 선택하는 커맨드를 입력하였음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 B는 스크린 표시 내용을 통하여 자신이 의도한 커맨드가 제대로 입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에 사용자 B가 선택한 커맨드와 대응하는 사용자 A의 선택내용이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퍼팅 단계에서의 깃발 표시 여부에 대해 사용자 A, B가 어떠한 옵션을 선택하였는지를 함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들은 자신이 선택한 플레이 옵션과 다른 사용자가 선택한 플레이 옵션을 서로 비교할 수 있다.
사용자 A의 퍼팅이 끝나고 사용자 B의 퍼팅 순서가 되면 스크린에는 사용자 B가 선택한 플레이 옵션에 맞추어 영상이 표시된다. 즉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 B가 타격 플레이트에서 퍼팅을 준비하는 때에 스크린에는 사용자 B의 선택사항에 맞추어 홀컵에 깃발이 표시된다. 골프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함께 플레이할 때에, 복수의 사용자 사이의 타격순서는 각 사용자의 골프공과 홀컵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복수의 사용자 사이의 타격순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사용자 B가 사전에 미리 입력하였던 커맨드가 사용자 B의 타격순서가 되는 타이밍에 맞추어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B의 타격순서가 되기 전이라도 사용자 A가 타격을 하는 동안에 사용자 B가 입력한 커맨드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B가 입력한 커맨드를 미리 실행하더라도 사용자 A의 플레이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면, 사용자 A가 플레이하는 중에 사용자 B가 입력한 커맨드가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사용자의 커맨드를 입력하는 입력기기로서 리모컨 방식의 포터블 기기를 이용하는 경우, 입력기기의 부피가 크지 않기 때문에 복수의 사용자가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한다면 사용자마다 자신만의 전용(專用) 입력기기를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 전용 입력기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각 사용자는 특별한 제한없이 자신이 원하는 시기에 커맨드를 입력시켜서 적절한 시기에 커맨드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사용자가 미리 자신만의 커맨드를 입력시켰을 때에, 복수의 사용자가 입력한 커맨드 내용을 함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들이 타인이 선택한 플레이 옵션 등을 서로 비교해볼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는 복수의 부스(201, 202, 203)를 포함한다. 각 부스(201, 202, 203)는 모두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첫번째 부스(201)는 타격 플레이트(201a), 키오스크 화면이 구비된 시뮬레이터 기기(201b), 스크린(201c) 등을 가지고 있고, 다른 부스(202, 203)도 동일한 구성품을 가지고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각 부스(201, 202, 203)에는 타격시 골프클럽/골프공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카메라 등의 다른 기기가 더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각 부스(201, 202, 203)에서는 다수의 사용자가 번갈아가면서 골프를 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각 부스(201, 202, 203)에서는 사용자 혼자서 다른 부스의 사용자와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솔로로 플레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에서도 사용자의 커맨드를 입력하는 입력기기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리모컨 방식의 포터블 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가상 스포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포츠가 골프인 경우에 해당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은 가상 골프 장치(300)와 서비스 장치(400)를 포함한다. 가상 골프 장치(300)로는 전술한 가상 골프 장치 또는 다른 가상 골프 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가상 스포츠 시스템에 있어서, 해당 스포츠가 골프가 아닌 경우 도 21의 가상 골프 장치(300)는 해당 가상 스포츠 장치로 바뀌고, 여기에서 설명한 가상 골프 시스템에 대한 내용은 다른 가상 스포츠 장치를 갖는 가상 스포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가상 골프 장치(300)는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할 수 있는 가정용 또는 대중용 스크린 골프장에 설치될 수 있으며, 스크린 골프장이 여러 곳에 있는 경우에 가상 골프 장치(300)는 각 스크린 골프장마다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복수개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가상 골프 장치(300)는 서비스 장치(400)와 유무선 통신망 등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서비스 장치(400)는 복수의 스크린 골프장을 운영하는 서비스 업자가 복수의 스크린 골프장에 구비되어 있는 가상 골프 장치(300)를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중앙서버가 될 수 있다. 스크린 골프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먼저 로그인을 수행하는데, 서비스 장치(400)는 로그인을 할 때에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로그인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로그인 동작을 위해 서비스 장치(400)는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기기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저장기기는 사용자의 신원 확인용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플레이 기록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기기에 다양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서, 서비스 장치(400)에 유선 및/또는 무선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가상 골프 장치(300)들은 상기 저장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할 수 있고, 가상 골프 장치(300)들 각각에서는 사용자의 정보를 별도로 저장할 필요가 없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스템의 가상 골프 장치에서도 사용자의 커맨드를 입력하는 입력기기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리모컨 방식의 포터블 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리모컨 방식이 아니더라도 상기 입력기기로서 모바일 기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2 및 도 23은 도 21의 가상 골프 시스템에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커맨드를 실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가상 골프 장치(300)에서 플레이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기기(500)에 소정의 커맨드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500)의 화면에 터치 스크린 등의 방식으로 모바일 기기(500)의 입력수단을 조작하여 커맨드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모바일 기기(500)로 사용자 자신이 가지고 있는 휴대폰이 사용될 수 있다. 최근의 휴대폰은 대부분 스마트폰으로 되어 있고, 스마트폰은 미니 컴퓨터라 할 정도로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서 터치 스크린 등의 조작으로 커맨드를 입력하는데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사용자의 휴대폰을 커맨드를 입력하는 입력기기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휴대폰을 입력기기로 작동하게 만들 수 있는 적절한 소프트웨어가 설치될 필요가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는 가상 골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업자가 서비스 장치(400)나 기타 소프트웨어 배포 사이트 등을 통하여 배포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500)에 입력된 커맨드 정보는 모바일 기기(500)로부터 서비스 장치(400)에 전달된다. 서비스 장치(400)에 전달되는 정보는 사용자가 입력한 커맨드 정보 이외에 다른 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맨드를 입력한 사용자가 누구인지에 대한 정보(편의상 이를 '개인확인정보'라 명명)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 자신의 휴대폰을 모바일 기기(500)로 이용하는 경우, 개인 휴대폰 기기에 부여된 고유값인 시리얼 넘버(Serial Number), 개인 휴대폰에 있어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번호 또는 전화번호 등을 이용하여 휴대폰 소유주를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 휴대폰을 모바일 기기(500)로 이용하는 경우, 모바일 기기(500)에 입력된 커맨드 정보를 서비스 장치(400)에 전달할 때에 모바일 기기(500) 소유주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개인확인정보를 함께 서비스 장치(400)에 전달하면, 서비스 장치(400)는 커맨드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서비스 장치(4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커맨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커맨드가 실행되도록 처리한다. 여기에서 서비스 장치(400)는 상기 커맨드가 무엇인지를 파악한 후,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가상 골프 장치(300)에 해당 커맨드가 실행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장치(400)는 상기 커맨드가 무엇인지 파악하지 않고, 단지 상기 커맨드와 관련된 정보를 가상 골프 장치(300)에 전달하여 해당 가상 골프 장치(300)에서 커맨드 내용을 파악하고 실행하도록 지시할 수도 있다.
서비스 장치(400)는 복수의 가상 골프 장치(300) 중 커맨드를 입력한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가상 골프 장치(300)에 지시를 해야 하고, 이를 위해 서비스 장치(400)는 커맨드를 입력한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가상 골프 장치(300)에 대한 정보(편의상 이를 '장치확인정보'라 명명)가 필요하다. 장치확인정보는 휴대폰의 고유식별번호와 같이, 복수의 가상 골프 장치(300)를 상호간에 구별하기 위한 고유넘버일 수 있다.
서비스 장치(400)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상기 장치확인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사용자가 로그인을 할 때에 장치확인정보를 파악해 놓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스크린 스포츠를 플레이하기 전에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가상 골프 장치(300)를 통하여 서비스 장치(400)에 로그인을 진행할 수 있는데, 이때에 가상 골프 장치(300)가 서비스 장치(400)에 자신의 장치확인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A가 스크린 골프장 a를 방문하여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하는 경우, 사용자 A가 스크린 골프장 a에 구비된 가상 골프 장치(300)의 입력기기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할 때에 스크린 골프장 a의 가상 골프 장치(300)는 서비스 장치(400)에 사용자 A의 로그인 요청을 전달한다. 서비스 장치(400)는 상기한 요청에 따라 사용자 A의 로그인을 진행하면서 사용자 A가 스크린 골프장 a에 있는 가상 골프 장치(300)를 이용하고 있다는 점을 인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장치확인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A는 서비스 장치(400)에 접속가능한 자신의 휴대폰을 이용하여 로그인을 시도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로그인 과정에서 휴대폰을 통하여 스크린 골프장 a에 있는 가상 골프 장치(300) 정보를 서비스 장치(400)에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서비스 장치(400)에서 상기 장치확인정보를 파악하게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서비스 장치(400)가 사용자 A가 이용하고 있는 가상 골프 장치(300)에 대한 장치확인정보를 파악하면,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A가 요청한 커맨드를 해당 가상 골프 장치(300)에 전달하여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기기(500)를 통하여 특정 사용자가 소정의 커맨드를 입력하면, 모바일 기기(500)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커맨드 정보가 서비스 장치(400)로 전달될 때(도 22 참조)에 해당 사용자의 개인확인정보가 함께 전달되어 서비스 장치(400)는 소정의 커맨드를 입력한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알 수 있고, 또한 장치확인정보로부터 해당 사용자가 어느 가상 골프 장치(400)에 있는지를 알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해당 가상 골프 장치(300)에 커맨드 실행을 위한 지시를 내릴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20, 30: 포터블 기기
110, 210: 타격 플레이트
120, 220: 제어부
130, 230: 감지부
140, 240: 입력부
150, 250: 사운드부
160, 260: 표시부
300: 가상 골프 장치
400: 서비스 장치
500: 모바일 기기

Claims (9)

  1. 사용자가 수행한 소정의 플레이에 대한 플레이 결과를 산출하는 제어부;
    상기 산출된 플레이 결과를 나타내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의 커맨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포함하고,
    사용자는 서로 다른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커맨드를 입력하기 위한 제1 입력기기와 상기 제2 사용자가 커맨드를 입력하기 위한 제2 입력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중 어느 한 명의 사용자가 플레이하는 동안에 현재 플레이하고 있지 않은 다른 사용자가 자신의 입력기기를 사용하여 자신의 커맨드를 입력할 수 있는
    가상 스포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중에서 상기 제1 사용자가 플레이할 때에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2 입력기기를 사용하여 커맨드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사용자가 플레이하는 동안 또는 상기 제1 사용자가 플레이를 마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플레이를 개시하기 전까지 상기 제2 사용자가 입력한 커맨드를 표시하는 가상 스포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중에서 상기 제1 사용자가 플레이할 때에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2 입력기기를 사용하여 커맨드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가 플레이하는 동안 또는 상기 제1 사용자가 플레이를 마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플레이를 개시하기 전까지 상기 제2 사용자가 입력한 커맨드가 실행되도록 하는 가상 스포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가 동일한 사항에 대한 커맨드를 입력한 경우에,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가 입력한 커맨드를 비교하여 표시하는 가상 스포츠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입력기기는 리모컨 방식의 포터블 기기를 포함하는 가상 스포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입력기기는 각각 서로 다른 커맨드를 입력할 수 있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버튼 각각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는 커맨드는 상기 제1 및 제2 입력기기에서 사용자마다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가상 스포츠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츠는 골프이고,
    사용자가 실제의 골프공을 타격하면, 상기 타격된 실제의 골프공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의 감지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타격에 대한 플레이 결과를 산출하는 가상 스포츠 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상 스포츠 장치; 및
    상기 가상 스포츠 장치와 통신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가상 스포츠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커맨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기기로 사용될 수 있는 모바일 기기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기기에 커맨드를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커맨드는 상기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 장치에 전달되고,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가상 스포츠 장치를 통하여 상기 커맨드가 실행되도록 하는 가상 스포츠 시스템.
KR1020220115472A 2022-09-14 2022-09-14 가상 스포츠 장치 및 가상 스포츠 시스템 KR202400374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472A KR20240037408A (ko) 2022-09-14 2022-09-14 가상 스포츠 장치 및 가상 스포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472A KR20240037408A (ko) 2022-09-14 2022-09-14 가상 스포츠 장치 및 가상 스포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408A true KR20240037408A (ko) 2024-03-22

Family

ID=90481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472A KR20240037408A (ko) 2022-09-14 2022-09-14 가상 스포츠 장치 및 가상 스포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74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0180B2 (en) Screen golf system, golf information service method and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for golf information service realized in screen golf system, and computing-device-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s recorded therein
KR102340645B1 (ko) 가상 스포츠 장치, 가상 스포츠 시스템 및 가상 스포츠 시스템에 있어서 커맨드를 실행하기 위한 방법
KR102573182B1 (ko) 단말 장치, 가상 스포츠 장치, 가상 스포츠 시스템 및 가상 스포츠 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0785707B1 (ko) 네트워크에 의해 제어되는 골프 시뮬레이터 장치
JP2023171316A (ja) 人工知能を利用してゴルフボールの打撃結果を把握する方法及びこれを利用する仮想ゴルフ装置
KR20240037408A (ko) 가상 스포츠 장치 및 가상 스포츠 시스템
KR102321472B1 (ko) 다중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KR102344919B1 (ko) 가상 골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KR102419263B1 (ko) 가상 스포츠용 인터페이스 기기,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스포츠 장치
KR102451272B1 (ko) 사용자의 플레이 옵션을 설정하는 가상 골프 장치
KR102664960B1 (ko) 골프 플레이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KR102284901B1 (ko)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KR102608451B1 (ko) 그린영역의 실물 이미지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KR20230132002A (ko) 퍼팅가이드 영상을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JP7481004B2 (ja) プレー情報を提供する仮想ゴルフ装置
KR102565110B1 (ko) 퍼팅 연습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KR102551388B1 (ko) 시각 향상 이미지를 제공하는 가상 스포츠 장치
KR102617566B1 (ko) 홀컵 주변 영역을 보여주는 가상 골프 장치
US20220176227A1 (en) Virtual golf device, virtual golf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virtual golf device
KR20230132003A (ko)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US20230173371A1 (en) Virtual golf device
KR20240035784A (ko) 플레이 리뷰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시스템
KR20240037405A (ko) 여러가지 골프공을 사용할 수 있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KR20230132004A (ko) 좌우타격이 가능한 가상 골프 장치
KR20230020076A (ko) 사용자 개인환경을 설정하는 가상 골프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