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398A -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7398A
KR20240037398A KR1020220115365A KR20220115365A KR20240037398A KR 20240037398 A KR20240037398 A KR 20240037398A KR 1020220115365 A KR1020220115365 A KR 1020220115365A KR 20220115365 A KR20220115365 A KR 20220115365A KR 20240037398 A KR20240037398 A KR 20240037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rt
support
loading box
air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2017B1 (ko
Inventor
김종우
Original Assignee
김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우 filed Critical 김종우
Priority to KR1020220115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017B1/ko
Publication of KR20240037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7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2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 B60G11/2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wherein the fluid is a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33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characterised by regulating means acting on more than one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408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details, e.g. antifreeze for suspension fluid, pumps, retarding means per 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5Fluid spring
    • B60G2202/152Pneumatic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6Mounting of pneumatic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80Interactive suspensions; arrangement affecting more than one suspension unit
    • B60G2204/83Type of interconnection
    • B60G2204/8304Type of interconnection using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02Trucks; L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50Pressure
    • B60G2400/51Pressure in suspension unit
    • B60G2400/512Pressure in suspension unit in spring
    • B60G2400/5122Fluid spring
    • B60G2400/51222Pneu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1Air spring syste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6Suspen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트럭과 같은 차량의 적재함을 완충 및 지지하고, 지지 및 완충의 구성을 다중 복합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지지 및 완충의 구성에 고장이 발생되어 기능을 상실한 경우 다른 지지 및 완충의 구성이 대신하여 적재함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 및 완충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을 불필요하게 멈추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는 등 차량의 안정성 및 주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은,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기 적재함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에 설치되는 제1 탑재부; 상기 적재함 또는 지지수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탑재부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는 제2 탑재부; 상기 제1 탑재부에 탑재되고, 내부에 에어가 주입됨으로 인해 팽창되어 상기 제2 탑재부를 상기 적재함 또는 지지수단에 밀착시키면서 상기 적재함 또는 지지수단을 지지하는 메인 지지부; 및 상기 제2 탑재부에 탑재되며, 상기 메인 지지부에서 에어가 유출되면 에어를 공급받게 되어 팽창되면서 상기 메인 지지부 대신 상기 적재함 또는 지지수단을 지지하는 스페어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SYSTEM FOR VEHICLES MULTIPLE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럭과 같은 차량에 구비된 적재함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다중 복합적으로 지지 및 완충할 수 있는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의 적재함에는 많은 양의 적재물을 적재하고 있다.
이러한 화물차의 적재함에는 노면진동을 차단하기 위해 판 스프링이 설치된다.
판스프링은 화물차 등의 차량 프레임 후륜 측에 설치된다.
판스프링은 후륜 뒤 부분의 길이를 길게 만들며 강철 재질로 만들어서 스프링으로 사용된다.
한편, 산업 사회의 발달로 도자기운반, 예술품 운반, 종우 또는 종돈의 운반, 계란 또는 살아있는 어류의 운반, 판유리 운반 등 차량의 강한 진동에 취약한 화물의 취급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 진동에 취약한 화물의 운송에 적합한 방진 차량들이 산업 분야별로 제공되고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취급이 조심스러운 화물들은 통상의 트럭에 탑재하고 서행을 하든지 매우 조심하여 운전하게 된다.
아울러, 차량의 적재함에는 많은 양의 적재물을 적재하여 운반하게 되는바, 종래에는 판 스프링 대신 에어 서스펜션을 설치하기도 한다.
에어 서스펜션은 차체와 차축 사이에 판 스프링과 에어 스프링과 쇽 업소버 결합체를 장착하여 이들 탄성체의 종합된 탄성 특성으로 노면진동을 차단하고, 적재함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완충 및 지지하는 장치이다.
상기한 에어 서스펜션 장치는 탄성 강도가 큰 금속 판 스프링 탄성과 탄성진폭이 큰 에어 탄성을 조합하기 위해 설정된 공기압을 에어 스프링에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고가의 차량에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에어 서스펜션을 하나로만 적용하고 있는 바, 에어 서스펜션을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에어 서스펜션이 터져 에어가 유출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에어 서스펜션이 터지는 경우 차량과 적재물을 보호하기 위해 차량의 주행을 정지시키고, 새로운 에어 서스펜션으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경우, 에어 서스펜션을 교체하기 전까지 차량의 운행이 중단되며, 결국 지정된 시간 안에 적재물을 운반(배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6207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트럭과 같은 차량의 적재함을 완충 및 지지하고, 지지 및 완충의 구성을 다중 복합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지지 및 완충의 구성에 고장이 발생되어 기능을 상실한 경우 다른 지지 및 완충의 구성이 대신하여 적재함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 및 완충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을 불필요하게 멈추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는 등 차량의 안정성 및 주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은,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기 적재함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에 설치되는 제1 탑재부; 상기 적재함 또는 지지수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탑재부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는 제2 탑재부; 상기 제1 탑재부에 탑재되고, 내부에 에어가 주입됨으로 인해 팽창되어 상기 제2 탑재부를 상기 적재함 또는 지지수단에 밀착시키면서 상기 적재함 또는 지지수단을 지지하는 메인 지지부; 및 상기 제2 탑재부에 탑재되며, 상기 메인 지지부에서 에어가 유출되면 에어를 공급받게 되어 팽창되면서 상기 메인 지지부 대신 상기 적재함 또는 지지수단을 지지하는 스페어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은,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기 적재함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에 설치되되, 외력이 인가될 시 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제1 탑재부; 상기 제1 탑재부의 상면에 설치되되, 외력이 인가될 시 상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제2 탑재부; 상기 제2 탑재부에 탑재되고, 내부에 에어가 주입됨으로 인해 팽창되어 상기 적재함 또는 지지수단을 지지하는 메인 지지부; 및 상기 제1 탑재부에 탑재되며, 상기 메인 지지부에서 에어가 유출되면 에어를 공급받게 되어 팽창되면서 상기 제1 탑재부는 하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제2 탑재부는 상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메인 지지부를 상기 적재함 또는 지지수단에 밀착시키는 스페어 지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스페어 지지부가 에어 주입에 의해 팽창되면, 상기 제2 탑재부가 상기 스페어 지지부에 의해 밀려 하 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메인 지지부는 수축된 상태로 상기 제2 탑재부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은, 상기 메인 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지지부 내의 공압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공압센서; 및 상기 공압센서에서 측정한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이하일 경우 상기 스페어 지지부의 내부에 에어가 주입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은, 트럭과 같은 차량의 적재함을 메인 지지부로 완충 지지하고, 메인 지지부에 고장이 발생되어 기능을 상실할 경우 스페어 지지부가 즉시 작동하여 적재함을 완충 지지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을 불필요하게 멈추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는 등 차량의 안정성 및 주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이 적재함의 후륜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에 적용된 스페어 지지부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이 적재함의 후륜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에 적용된 스페어 지지부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에 적용된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이 적재함의 후륜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에 적용된 스페어 지지부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에 적용된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1)은, 트럭과 같은 차량에 구비된 적재함(2)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 및 완충하고, 지지 및 완충의 구성을 다중 복합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지지 및 완충의 구성에 고장이 발생되어 기능을 상실한 경우 다른 지지 및 완충의 구성이 대신하여 적재함(2)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 및 완충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을 불필요하게 멈추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는 등, 차량의 안정성 및 주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품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1)은, 제1 탑재부(110)와, 제2 탑재부(120)와, 메인 지지부(130)와, 스페어 지지부(140)와, 공압센서(S)와, 에어펌프(P) 및 제어부(C)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탑재부(110)는 차량의 적재함(2) 또는 적재함(2)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수단(3)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도면에는 제1 탑재부(110)가 지지수단(3)에 제1 브라켓(4)을 매개로 설치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때, 지지수단(3)은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는 빔이나 바아(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탑재부(110)는 그 일단이 지지수단(3)에 마련된 제1 브라켓(4)에 부싱(B1)을 통해 결합되며, 대략 수평을 이루는 제1 부재(111)와, 제1 부재(111)의 타단에서 하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연장되는 제2 부재(212)(112) 및 제2 부재(212)(112)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부재(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부재(113)는 차량의 후륜(뒤 타이어) 측에 배치되며, 제3 부재(113)의 상면에 후술되는 메인 지지부(130)가 설치된다.
제2 탑재부(120)는 그 일단이 지지수단(3)에 마련된 제2 브라켓(5)에 부싱(B2)를 통해 결합되며, 대략 수평을 이루는 제1 부재(121)와, 제1 부재(121)의 타단에서 하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연장되는 제2 부재(122) 및 제2 부재(122)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부재(1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탑재부(120)의 제3 부재(123)는 제1 탑재부(110)의 제3 부재(113) 및 메인 지지부(130)의 후방에 배치되며, 그 상면에 후술되는 스페어 지지부(140)가 설치된다.
이때, 제1 탑재부(110)의 제1 부재(111)는 회동되지 아니하도록 제1 브라켓(4)에 고정되며, 제2 탑재부(120)의 제1 부재(121)는 일정 이상의 외력이 인가될 시에만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제2 브라켓(5)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2 탑재부(120)는 제1 탑재부(110)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지지수단(3)에 설치된다.
메인 지지부(130)는 제1 탑재부(110)의 제3 부재(113) 상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 탑재부(120)의 제1 부재(121) 저면을 지지한다.
메인 지지부(130)는 에어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술되는 에어펌프(P)는 메인 지지부(130)의 내부에 에어를 주입한다.
메인 지지부(130)는 내부에 에어가 주입됨으로 인해 팽창된다.
메인 지지부(130)는 일정한 부피로 팽창된 상태에서 제2 탑재부(120)의 제1 부재(121)를 지지수단(3)의 저면에 밀착시키면서 지지수단(3) 및 적재함(2)의 하중을 완충하면서 지지하게 된다.
메인 지지부(130)를 통해 차량의 후륜측으로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 및 감소시켜 차량이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면서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스페어 지지부(140)는 제2 탑재부(120)의 제3 부재(123) 상면에 설치된다.
스페어 지지부(140)의 상측에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판부 및 원판부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지지수단의 저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유닛을 포함하는 연결부(141)가 결합된다.
스페어 지지부(140)는 에어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어 지지부(140)는 메인 지지부(130)에서 에어가 유출될 경우 작동하여 지지수단(3)을 대신 지지한다.
에어펌프(P)는 적재함(2)이나 지지수단(3)에 설치될 수 있다.
에어펌프(P)는 메인 지지부(130) 및 스페어 지지부(140)의 내부에 에어를 주입하게 된다.
에어펌프(P)는 분기관을 통해 메인 지지부(130) 및 스페어 지지부(140)에 연결된다.
따라서, 에어펌프(P)는 메인 지지부(130) 및 스페어 지지부(140)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이때, 에어펌프(P)는 메인 지지부(130)가 터지거나 이상이 발생함으로 인해 메인 지지부(130)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에어가 외부로 유출될 경우에만 스페어 지지부(140)의 내부에 에어를 주입하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이를 위해, 공압센서(S)는 메인 지지부(130) 내의 압력을 측정하여 제어부(C)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이때, 공압센서(S)가 메인 지지부(130)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방법은 상용화 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C)는 공압센서(S)로부터 전송되는 메인 지지부(130) 내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을 유지할 경우, 에어펌프(P)를 작동시키지 아니한다.
따라서, 스페어 지지부(140)의 내부에는 에어가 주입되지 않는다.
즉, 스페어 지지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메인 지지부(130)가 적재함(2)의 하중이나, 외력, 기타 다양한 이유에 의해 터질 경우, 메인 지지부(130) 내의 압력은 감소한다.
그리고, 공압센서(S)는 메인 지지부(130) 내의 압력 값을 제어부(C)에 전송한다.
제어부(C)는 메인 지지부(130) 내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보다 낮아질 경우, 에어펌프(P)를 즉시 작동시켜 스페어 지지부(140)의 내부에 에어를 주입한다.
도 3은 스페어 지지부(140)에 에어가 주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스페어 지지부(140)는 에어 주입에 의해 팽창되어 메인 지지부(130) 대신 지지수단(3)의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스페어 지지부(140)가 에어 주입에 의해 팽창되면, 제2 탑재부(120)가 스페어 지지부(140)에 의해 밀려 하 방향으로 회동되며, 메인 지지부(130)는 수축된 상태로 제2 탑재부(120)의 제1 부재(121) 저면을 지지해준다.
그리고, 메인 지지부(130)는 제2 탑재부(120)의 제1 부재(121)를 매개로 스페어 지지부(1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준다.
즉, 메인 지지부(130)에 고장이 발생되어 에어가 유출됨에 따라 적재함(2)을 지지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될 경우, 그 즉시 스페어 지지부(140)가 작동하여 적재함(2)을 대신 안정적으로 지지함에 따라, 차량이 주행을 멈추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메인 지지부(130)에 고장이 발생될 경우, 스페어 지지부(140)가 적재함(2)을 대신 지지함에 따라, 차량 및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이 적재함의 후륜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에 적용된 스페어 지지부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1)은, 제1 탑재부(210)와, 제2 탑재부(220)와, 메인 지지부(230)와, 스페어 지지부(240)와, 공압센서(S)와, 에어펌프(P) 및 제어부(C)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탑재부(210)는 차량의 적재함(2) 또는 적재함(2)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수단(3)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도면에는 제1 탑재부(210)가 지지수단(3)에 제3 브라켓(6)을 매개로 설치된 예를 도시하였다.
제1 탑재부(210)는 그 일단이 제3 브라켓(6)에 부싱(B3)을 통해 결합되며, 대략 수평을 이루는 제1 부재(211)와, 제1 부재(211)의 타단에서 하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연장되는 제2 부재(212) 및 제2 부재(212)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부재(2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부재(213)는 차량의 후륜 측에 배치되며, 그 상면에는 후술되는 스페어 지지부(240)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1 탑재부(210)는 재1 부재가 제3 브라켓(6)에 부싱(B3)을 매개로 결합됨으로 인해 외력이 인가될 시 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부싱(B3)은 제1 부재(211)의 일단을 제3 브라켓(6)에 뻑뻑한 상태로 고정시킨다. 따라서, 제1 탑재부(210)는 스페어 지지부(240)에 에어가 주입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도 4와 같이 하 방향으로 회동되지 아니한다.
그러나, 제1 탑재부(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어 지지부(240)에 외력이 인가될 시, 즉, 스페어 지지부(240)에 에어가 주입될 경우 부싱(B3)을 축으로 하여 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제2 탑재부(220)는 그 일단이 부싱(B4)을 매개로 제1 부재(211)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 부재(221), 제1 부재(221)의 끝단에서 하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연장되는 제2 부재(222), 제2 부재(222)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연장되는 제3 부재(223), 제3 부재(223)의 끝단에서 상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연장되는 제4 부재(224) 및 제4 부재(224)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연장되는 제5 부재(2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 부재(223)의 상면에는 메인 지지부(230)가 설치되고, 제4 부재(224)는 스페어 지지부(240)의 전방에 위치되며, 제5 부재(225)는 스페어 지지부(240)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2 탑재부(220)는 제1 부재(221)가 제1 탑재부(210)의 상면에 부싱(B4)을 매개로 결합됨으로 인해 외력이 인가될 시 상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부싱(B4)은 제2 탑재부(220)의 제1 부재(221) 일단을 제1 탑재부(210)의 제1 부재(211) 상면에 뻑뻑한 상태로 고정시킨다. 따라서, 제2 탑재부(220)는 스페어 지지부(240)에 에어가 주입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도 4와 같이 하 방향으로 회동되지 아니한다.
그러나, 제2 탑재부(2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어 지지부(240)에 외력이 인가될 시, 즉, 스페어 지지부(240)에 에어가 주입될 경우 부싱(B4)을 축으로 하여 상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부싱(B4)은 축으로 대체될 수 있음을 밝힌다.
메인 지지부(230)는 제2 탑재부(220)의 제3 부재(213) 상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지지수단(3)의 저면을 지지한다.
메인 지지부(230)는 에어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술되는 에어펌프(P)는 메인 지지부(230)의 내부에 에어를 주입한다.
메인 지지부(230)는 내부에 에어가 주입됨으로 인해 팽창된다.
메인 지지부(230)는 일정한 부피로 팽창된 상태에서 지지수단(3) 및 적재함(2)의 하중을 완충하면서 지지하게 된다.
메인 지지부(230)를 통해 차량의 후륜측으로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 및 감소시켜 차량이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면서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스페어 지지부(240)는 제1 탑재부(210)의 제3 부재(213) 상면에 설치된다.
스페어 지지부(240)는 에어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어 지지부(240)는 메인 지지부(230)에서 에어가 유출될 경우 작동하여 적재함(2)의 하중을 대신 지지한다.
에어펌프(P)는 적재함(2)이나 지지수단(3)에 설치될 수 있다.
에어펌프(P)는 메인 지지부(230) 및 스페어 지지부(240)의 내부에 에어를 주입하게 된다.
에어펌프(P)는 분기관을 통해 메인 지지부(230) 및 스페어 지지부(240)에 연결된다.
따라서, 에어펌프(P)는 메인 지지부(230) 및 스페어 지지부(240)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이때, 에어펌프(P)는 메인 지지부(230)가 터지거나 이상이 발생함으로 인해 메인 지지부(230)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에어가 외부로 유출될 경우에만 스페어 지지부(240)의 내부에 에어를 주입하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이를 위해, 공압센서(S)는 메인 지지부(230) 내의 압력을 측정하여 제어부(C)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이때, 공압센서(S)가 메인 지지부(230)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방법은 상용화 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C)는 공압센서(S)로부터 전송되는 메인 지지부(230) 내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을 유지할 경우, 에어펌프(P)를 작동시키지 아니한다.
따라서, 스페어 지지부(240)의 내부에는 에어가 주입되지 않는다.
즉, 스페어 지지부(2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메인 지지부(230)가 적재함(2)의 하중이나, 외력, 기타 다양한 이유에 의해 터질 경우, 메인 지지부(230) 내의 압력은 감소한다.
그리고, 공압센서(S)는 메인 지지부(230) 내의 압력 값을 제어부(C)에 전송한다.
제어부(C)는 메인 지지부(230) 내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보다 낮아질 경우, 에어펌프(P)를 즉시 작동시켜 스페어 지지부(240)의 내부에 에어를 주입한다.
도 5는 스페어 지지부(240)에 에어가 주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스페어 지지부(240)가 에어 주입에 의해 팽창되어 메인 지지부(230) 대신 지지수단(3)에 지지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스페어 지지부(240)가 에어 주입에 의해 팽창되면, 제1 탑재부(210)는 스페어 지지부(240)에 의해 가압되어 하 방향으로 회동되며, 제2 탑재부(220)는 스페어 지지부(240)에 의해 상 방향으로 회동되어 수축된 상태의 메인 지지부(230)를 지지수단(3)의 저면에 밀착시킨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에서는 메인 지지부(230)가 지지수단(3)을 지지하되, 메인 지지부(230)는 에어가 유출되지 않은 평상시 팽창된 상태로 지지수단(3)을 지지하고, 메인 지지부(230)에서 에어가 유출될 경우에는 스페어 지지부(240)는 에어 주입에 의해 팽창되면서 제2 탑재부(220)를 상승시켜 메인 지지부(230)가 수축된 상태로 지지수단(3)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의 경우에도 메인 지지부(230)에 고장이 발생되어 에어가 유출됨에 따라 적재함(2)을 지지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될 시, 그 즉시 스페어 지지부(240)가 작동하여 적재함(2)을 대신 안정적으로 지지함에 따라, 차량이 주행을 멈추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메인 지지부(230)에 고장이 발생될 경우, 스페어 지지부(240)가 적재함(2)에 지지력을 발생시킴에 따라, 차량 및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 110,210 : 제1 탑재부
111,121,211,221 : 제1 부재 112,122,212,222 : 제2 부재
113,123,213,223 : 제3 부재 224 : 제4 부재
225 : 제5 부재 120,220 : 제2 탑재부
130,230 : 메인 지지부 140,240 : 스페어 지지부

Claims (4)

  1.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기 적재함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에 설치되는 제1 탑재부;
    상기 적재함 또는 지지수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탑재부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는 제2 탑재부;
    상기 제1 탑재부에 탑재되고, 내부에 에어가 주입됨으로 인해 팽창되어 상기 제2 탑재부를 상기 적재함 또는 지지수단에 밀착시키면서 상기 적재함 또는 지지수단을 지지하는 메인 지지부; 및
    상기 제2 탑재부에 탑재되며, 상기 메인 지지부에서 에어가 유출되면 에어를 공급받게 되어 팽창되면서 상기 메인 지지부 대신 상기 적재함 또는 지지수단을 지지하는 스페어 지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
  2.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기 적재함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에 설치되되, 외력이 인가될 시 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제1 탑재부;
    상기 제1 탑재부의 상면에 설치되되, 외력이 인가될 시 상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제2 탑재부;
    상기 제2 탑재부에 탑재되고, 내부에 에어가 주입됨으로 인해 팽창되어 상기 적재함 또는 지지수단을 지지하는 메인 지지부; 및
    상기 제1 탑재부에 탑재되며, 상기 메인 지지부에서 에어가 유출되면 에어를 공급받게 되어 팽창되면서 상기 제1 탑재부는 하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제2 탑재부는 상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메인 지지부를 상기 적재함 또는 지지수단에 밀착시키는 스페어 지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지지부 내의 공압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공압센서; 및
    상기 공압센서에서 측정한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이하일 경우 상기 스페어 지지부의 내부에 에어가 주입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어 지지부가 에어 주입에 의해 팽창되면, 상기 제2 탑재부가 상기 스페어 지지부에 의해 밀려 하 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메인 지지부는 수축된 상태로 상기 제2 탑재부를 지지하는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
KR1020220115365A 2022-09-14 2022-09-14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 KR102652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365A KR102652017B1 (ko) 2022-09-14 2022-09-14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365A KR102652017B1 (ko) 2022-09-14 2022-09-14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398A true KR20240037398A (ko) 2024-03-22
KR102652017B1 KR102652017B1 (ko) 2024-04-01

Family

ID=90481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365A KR102652017B1 (ko) 2022-09-14 2022-09-14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01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3979A (ko) * 1996-12-27 1998-09-25 박병재 대형 차량의 캡 피칭 제어 장치
KR200316207Y1 (ko) 2003-03-27 2003-06-18 주식회사 신광테크놀러지 트럭 개조용 에어서스펜션 장치
KR20060077437A (ko) * 2004-12-30 2006-07-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3차 현수기능을 갖는 철도차량용 대차
CN207328035U (zh) * 2017-08-29 2018-05-08 梁山众兴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空气悬挂装置
KR20190118805A (ko) * 2018-04-11 2019-10-21 이장범 기능성 트레일러용 공기 현가장치
KR20220075542A (ko) * 2020-11-30 2022-06-08 (주)에스모터스 차량 서스펜션용 이중 에어스프링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3979A (ko) * 1996-12-27 1998-09-25 박병재 대형 차량의 캡 피칭 제어 장치
KR200316207Y1 (ko) 2003-03-27 2003-06-18 주식회사 신광테크놀러지 트럭 개조용 에어서스펜션 장치
KR20060077437A (ko) * 2004-12-30 2006-07-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3차 현수기능을 갖는 철도차량용 대차
CN207328035U (zh) * 2017-08-29 2018-05-08 梁山众兴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空气悬挂装置
KR20190118805A (ko) * 2018-04-11 2019-10-21 이장범 기능성 트레일러용 공기 현가장치
KR20220075542A (ko) * 2020-11-30 2022-06-08 (주)에스모터스 차량 서스펜션용 이중 에어스프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2017B1 (ko) 202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3582B1 (ko) 컨테이너 등의 방진장치 및 그 사용방법
JP5057034B2 (ja) トラックの荷台防振構造
KR20080022134A (ko) 팬터 그래프를 구비한 서스펜션 장치
US3208770A (en) Fifth wheel pneumatic suspension system
CN201354102Y (zh) 一种重型卡车驾驶室空气弹簧悬置装置
KR102652017B1 (ko)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
US20090026723A1 (en) Suspension apparatus
US2999682A (en) Pneumatic spr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US3606437A (en) Truck tractor cab suspension system
JP2011005932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取付構造
US10882369B2 (en) Longitudinal leaf spring device having bump stop unit
KR101260431B1 (ko) 공기를 이용한 차량의 높이조절용 완충장치
JP5504733B2 (ja) 荷台防振構造
KR200376210Y1 (ko) 트럭용 에어서스펜션 장치
KR20070094182A (ko) 차량의 좌굴 방지를 위한 리어서스펜션
KR200388298Y1 (ko) 트럭용 에어스프링 장치
KR102343565B1 (ko) 차량의 에어서스펜션 장치
KR200356606Y1 (ko) 트럭용 에어서스펜션 장치
CN106627023A (zh) 一种后悬架减振装置及载货汽车
US11548336B1 (en) Suspension system having rebound control for a vehicle
CN220535524U (zh) 一种物流重载车内隔振装置
US11731475B2 (en) Agent injection system, an airbag apparatus, a process of filling a suspension airbag, a process of repairing a suspension airbag, and methods of use
JP5686500B2 (ja) 搬送台車
US20080157565A1 (en) Vehicle Cab Suspension
KR200300862Y1 (ko) 보조완충장치를 갖춘 트레일러의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