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298Y1 - 트럭용 에어스프링 장치 - Google Patents

트럭용 에어스프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298Y1
KR200388298Y1 KR20-2005-0010324U KR20050010324U KR200388298Y1 KR 200388298 Y1 KR200388298 Y1 KR 200388298Y1 KR 20050010324 U KR20050010324 U KR 20050010324U KR 200388298 Y1 KR200388298 Y1 KR 2003882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pring
support member
axle support
axle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3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엔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엔이
Priority to KR20-2005-00103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2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2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2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2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5Fluid spring
    • B60G2202/152Pneumatic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02Trucks; Load vehicles
    • B60G2300/024Ligh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22Magnetic elements
    • B60G2600/26Electromagnets; Soleno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60Y2200/116Ambul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1Light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트럭용 에어스프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구급차 및 소형화물자동차에 에어생산 시스템을 장치하여 그 에어에 의해 동작하는 에어스프링을 차축에 적용시켜 주행시 차축에 작용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승차감과 정숙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차체프레임(100)에 고정시킨 고정부(3) 하단에 차축(50)을 고정한 차축지지부재(4)가 힌지핀(5)으로 연결된 상기 차축지지부재(4)와;
상기 차축지지부재(4)의 끝단부(a)와 일단이 힌지(6)연결되고, 타단은 차체프레임(100)에 고정된 제 2고정부(7) 하단부와 힌지축(8)으로 연결되고, 1개소의 관절부(10)를 갖는 지지로드(11)와;
상기 차축지지부재(4)가 쿠션을 받도록 상기 차축지지부재(4)중앙부와 차체프레임(100)에 사이에 브라켓트(12)에 의해 설치되는 메인에어스프링(13)과;
상기 메인에어스프링(13)이 파손될 경우 보조할 수 있고, 또한 중량이 상기 메인에어스프링(13)과 동일한 압력으로 분산되도록 상기 메인에어스프링(13)과 보조에어스프링(17)과 직선연결된 배관(30)과:
상기 메인에어스프링(13)와 상기 보조에어스프링(17)과 연결된 상기 배관에 에어를 치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30)와:
상기 차축지지부재(4)상면 끝단부와 차체프레임(100)사이에 브라켓트(12)에 의해 설치되는 상기 보조에어스프링(17)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트럭용 에어스프링 장치{A}
트럭용 에어스프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구급차 및 소형화물자동차에 에어생산 시스템을 장치하여 그 에어에 의해 동작하는 에어스프링을 차축에 적용시켜 주행시 차축에 작용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승차감과 정숙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엠블런스(구급차) 및 화물자동차의 서스펜션장치(에어스프링 장치)는 주행중에 노면으로부터 타이어와 차축을 통해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차체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양단이 상향 만곡되어 있는 여러 겹의 판스프링 양단을 차체에 고정하고, 그 하측 중간에 차축을 설치한 것으로, 차축으로부터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판스프링의 힘에 의해 흡수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판스프링만을 이용한 서스펜션장치는 진폭이 큰 강한 충격은 비교적 흡수가 잘 되나 빠르고 순간적인 충격에는 여러겹으로된 판스프링의 응답성이 떨어져서 충격력의 일부가 차체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산업 사회의 발달로 도자기운반, 예술품운반, 종우 또는 엠브런스에 의한 환자이송 , 계란 또는 살아있는 어류의 운반, 판유리 운반 등 차량의 강한 진동에 취약한 화물의 취급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 진동에 취약한 화물의 운송에 적합한 방진 차량들이 산업 분야별로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은 탄성력은 시간이 지날수록 즉 장기간사용하면 탄성력이 상실되어 교체하거나 정비가 요구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으로 이어지는 에어서스펜션을 구급차에 적용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대형차량에 적용되는 에어서스펜션이란, 도3에 상세하게 도시한다.
에어서스펜션은 차량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압축하기 위한 컴프레셔(101)와, 상기한 컴프레셔(101)에 의해 압축된 공기가 주입되어 그 공기압에 의해 차량의 높이를 결정하는 프론트 고무 벨로즈(109) 및 리어 에어 스프링(115)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컴프레셔(101)는 공기탱크(103)와 연결되어 있고, 그 공기탱크(103)는 컴프레셔(101)에서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공기탱크(103)는 관로에 의해 분기되어 프론트 레벨링 밸브(105) 및 리어 레벨링 밸브(111)와 연결된다.
프론트 레벨링 밸브(105)는 프론트측 서지탱크(107)와 관로에 의해 연결되고, 리어 레벨링 밸브(111)은 리어측 서지탱크(113)와 관로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프론트측 서지탱크(107)는 공기압에 의해 차량 앞쪽의 높이를 결정하는 프론트 고무 벨로즈(109)와 연결되어 있고, 리어측 서지탱크(113)는 차량 뒤쪽의 높이를 결정하는 리어 에어스프링(115)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컴프레셔(101)에서 압축된 공기는 이 공기를 저장하기 위한 공기탱크(103)로 이송된다.
공기탱크(103)에 저장된 압축공기는 프론트 레벨링밸브(105) 및 리어 레벨링 밸브(111)로 이송되는데, 이때 공기탱크(103)에서 프론트 레벨링밸브(105) 및 리어 레벨링밸브(111)로 연결하는 관로는 중간지점에서 분기되어 있으므로, 각 레벨링 밸브(105)(111)로 이송이 보다 용이하는등의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참고하기 바란다.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급차 및 화물자동차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콤프레션에서 에어를 공급받아 중량을 지지하는 에어스프링을 구급차등 소 대형트럭에 적용시켜 차축에 작용시켜 진동을 흡수하여 승차감과 정숙성을 크게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차체프레임(100)에 고정시킨 고정부(3) 하단에 차축(50)을 고정한 차축지지부재(4)가 힌지핀(5)으로 연결된 상기 차축지지부재(4)와;
상기 차축지지부재(4)의 끝단부(a)와 일단이 힌지(6)연결되고, 타단은 차체프레임(100)에 고정된 제 2고정부(7) 하단부와 힌지축(8)으로 연결되고, 1개소의 관절부(10)를 갖는 지지로드(11)와;
상기 차축지지부재(4)가 큐션을 받도록 상기 차축지지부재(4)중앙부와 차체프레임(100)에 사이에 브라켓트(12)에 의해 설치되는 메인에어스프링(13)과;
상기 메인에어스프링(13)이 파손될 경우 보조할 수 있고, 또한 중량이 상기 메인에어스프링(13)과 동일한 압력으로 분산되도록 상기 메인에어스프링(13)과 보조에어스프링(17)과 직선연결된 배관(30)과:
상기 메인에어스프링(13)과 상기 보조에어스프링(17)와 연결된 상기 배관에 에어를 치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30)와:
상기 차축지지부재(4)상면 끝단부와 차체프레임(100)사이에 브라켓트(12)에 의해 설치되는 상기 보조에어스프링(17)으로 구성된다.
차체프레임(100)에 고정시킨 고정부(3) 하단에 차축(50)를 고정한 차축지지부재(4)가 힌지핀(5)으로 연결된 상기 차축지지부재(4)와;
상기 차축지지부재(4)의 끝단부(a)와 일단이 힌지(6)연결되고, 타단은 차체프레임(100)에 고정된 제 2고정부(7) 하단부와 힌지축(8)으로 연결되고, 1개소의 관절부(10)를 갖는 지지로드(11)와;
상기 차축지지부재(4)가 큐션을 받도록, 상기 차축지지부재(4)중앙부와 차체프레임(100)에 사이에 브라켓트(12)에 의해 설치되는 메인에어스프링(13)과;
상기 메인에어스프링(13)이 파손될 경우 보조할 수 있고, 또한 중량이 상기 메인에어스프링(13)과 동일한 압력으로 분산되도록, 상기 메인에어스프링(13)과 보조에어스프링(17)과 직선연결된 배관(30)과:
상기 메인에어스프링(13)와 상기 보조에어스프링(17)과 연결된 상기 배관에 에어를 치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30)와:
상기 차축지지부재(4)상면 끝단부와 차체프레임(100)사이에 브라켓트(12)에 의해 설치되는 상기 보조에어스프링(17)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에어스프링(13)과 보조에어스프링(17)을 브라켓트(12)와 차축지지부재(4)에 설치할 경우 높낮이가 다르도록, 상기 브라켓트(12)와 상기 차축지지부재(4)을 각각 계단식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계단식으로 형성함으로서 견고하고 좁은공간을 활용할 수 있게된다.
통상적으로 소형화물차량의 경우 길이방향으로 공간이 협소하여 하나이상의 에어스프링을 장착하기가 번거롭다. 따라서 본원은 길이방향을 좁힐양으로 계단식으로 형성하였다.
실시예
차체프레임(100)에 고정시킨 고정부(3) 하단에 차축(50)을 고정한 차축지지부재(4)가 힌지핀(5)으로 연결되며,
상기 차축지지부재(4)의 끝단부(a) 일단이 힌지(6)연결되고, 타단은 차체프레임(100)에 고정된 제 2고정부(7) 하단부와 지지로드(11)가 힌지축(8)으로 연결된다.
상기 지지로드(11)는 관절부(10)를 갖는다.
이 상태에서 차축지지부재(4)가 큐션을 받도록 상기 차축지지부재(4)와 차체프레임(100) 사이에 브라켓트(12)에 의해 설치되는 메인에어스프링(13)이 설치되고,
상기 메인에어스프링(13)이 파손될 경우 보조하거나, 또한 중량이 상기 메인에어스프링(13)과 동일한 압력으로 분산되도록, 상기 차축지지부재(4) 끝단부와 차체프레임(100)사이에 브라켓트(12)에 의해 설치되는 보조에어스프링(17)이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미도시한 에어공급장치에 의해 에어를 주입하면 메인에어스프링(13)과 보조에어스프링(17)에 에어가 충망된다.
그 후 예를들어 메인에어스프링(13)이 파손될 경우 보조에어스프링(17)이 그 쿠션을 대신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메인에어스프링(13)이 파손될 경우 에어가 배출되는데 이 배출로 인해 메인에어스프링(13)은 압력이 감소된다. 이와 같이 압력이 감소되면 그 신호를 미도시한 컨트롤박스가 감지하여 메인에어스프링(13)에 에어를 공급하는 배관(a)을 상기 배관(a)에 연결된 솔레노이드밸브(101)로 차단하여 보조에어스프링(17)의 에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운행중인 차량은 적어도 차량정비소 및 목적지까지 도착할 수 있게된다.
이상과 같이 메인에어스프링(13)과 보조에어스프링(17)의 에어 배관라인을 직선연결함으로서 에어가 동일 압력으로 충전된다. 따라서 동일한 압력임으로 적재함에 적재된 중량물을 분산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만약 상기 메인에어스프링(13)과 보조에어스프링(17)의 압력이 언바란스일 경우 중량을 분산에 있어 예를들어 메인에어스프링(13)에 직중된 경우 상기 메인에어스프링(13)은 파손되기 쉬울 것이다. 따라서 본원과 같이 동일한 분산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동일한 분산중 만약 어느 한곳에 예를들어 메인에어스프링(13)이 파손될 경우 보조에어스프링(17)에 충전된 에어가 배출되지 않도록 솔레노이드밸드가 동작함으로 보조에어스프링(17)만으로 목적지까지 운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 1도는 본원의 트럭용 에어스프링 장치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고정부 4, 차축지지부재
5, 힌지핀 6, 힌지
7, 제 2고정부 8, 힌지축
10, 관절부 11, 지지로드
12, 차체프레임 13, 메인에어스프링
17, 보조에어스프링

Claims (2)

  1. 차체프레임(100)에 고정시킨 고정부(3) 하단에 차축(50)을 고정한 차축지지부재(4)가 힌지핀(5)으로 연결된 상기 차축지지부재(4)와;
    상기 차축지지부재(4)의 끝단부(a)와 일단이 힌지(6)연결되고, 타단은 차체프레임(100)에 고정된 제 2고정부(7) 하단부와 힌지축(8)으로 연결되고, 1개소의 관절부(10)를 갖는 지지로드(11)와;
    상기 차축지지부재(4)가 쿠션을 받도록 상기 차축지지부재(4)중앙부와 차체프레임(100)에 사이에 브라켓트(12)에 의해 설치되는 메인에어스프링(13)과;
    상기 메인에어스프링(13)이 파손될 경우 보조할 수 있고, 또한 중량이 상기 메인에어스프링(13)과 동일한 압력으로 분산되도록 상기 메인에어스프링(13)과 보조에어스프링(17)과 직선연결된 배관(30)과:
    상기 메인에어스프링(13)와 상기 보조에어스프링(17)와 연결된 상기 배관에 에어를 치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30)와:
    상기 차축지지부재(4)상면 끝단부와 차체프레임(100)사이에 브라켓트(12)에 의해 설치되는 상기 보조에어스프링(17)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에어스프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에어스프링(13)과 보조에어스프링(17)을 브라켓트(12)와 차축지지부재(4)에 설치할 경우 높낮이가 다르도록 상기 브라켓트(12)와 상기 차축지지부재(4)를 각각 계단식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에어스프링 장치.
KR20-2005-0010324U 2005-04-14 2005-04-14 트럭용 에어스프링 장치 KR2003882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324U KR200388298Y1 (ko) 2005-04-14 2005-04-14 트럭용 에어스프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324U KR200388298Y1 (ko) 2005-04-14 2005-04-14 트럭용 에어스프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298Y1 true KR200388298Y1 (ko) 2005-06-29

Family

ID=43689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324U KR200388298Y1 (ko) 2005-04-14 2005-04-14 트럭용 에어스프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29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02900B1 (en) Underbeam axle lift assembly
US7850195B2 (en) Tandem suspension for steerable axles
US20070290461A1 (en) 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
CN108474434A (zh) 带有动态可变孔的阻尼空气弹簧
US8851492B2 (en) Mechanical stop for axle/suspension systems
US4174855A (en) Wheeled vehicle axle suspension system
US20090261551A1 (en) Air suspension adapter kit
US20190168565A1 (en) Pneumatic anti-roll system
CN106004313A (zh) 一种半挂车用中部提升的空气悬挂系统
US20030127819A1 (en) Air spring vehicle suspension with roll control and negligible creep
US7658392B2 (en) Suspension apparatus
KR200388298Y1 (ko) 트럭용 에어스프링 장치
JP2002205524A (ja) 貨物車輌のアクスルシステム
US20190337349A1 (en) Pneumatic control system for vehicles and other loaded structures
CN108621733B (zh) 车辆悬挂装置及包括其的车辆
KR200356606Y1 (ko) 트럭용 에어서스펜션 장치
KR200376210Y1 (ko) 트럭용 에어서스펜션 장치
US10882369B2 (en) Longitudinal leaf spring device having bump stop unit
KR200316207Y1 (ko) 트럭 개조용 에어서스펜션 장치
CA2583991C (en) Tandem suspension for steerable axles
KR20240037398A (ko) 차량용 다중 완충 시스템
US11897307B1 (en) Trailer suspension
US11597246B1 (en) Mechanical slider suspension optimized with air ride
US6769703B1 (en) Air bladder suspension system
KR200358728Y1 (ko) 자동차의 에어서스펜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