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016A - 말아서 휴대할 수 있는 캠핑 불판 - Google Patents

말아서 휴대할 수 있는 캠핑 불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7016A
KR20240037016A KR1020220115776A KR20220115776A KR20240037016A KR 20240037016 A KR20240037016 A KR 20240037016A KR 1020220115776 A KR1020220115776 A KR 1020220115776A KR 20220115776 A KR20220115776 A KR 20220115776A KR 20240037016 A KR20240037016 A KR 20240037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grill
plate
layer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우
Original Assignee
김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우 filed Critical 김형우
Priority to KR1020220115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7016A/ko
Publication of KR20240037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70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3/00Camp cooking devices without integr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2037/077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foldable construction for storage or transport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외용 불판으로써 말아서 휴대 가능하고, 사용 중에는 고기 기름이 숯불에 떨어지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불판은 고기, 소시지 등 음식을 올려 굽는데 사용하는 불판으로써, 조리 음식을 동일한 높이에서 지지하도록 평평한 면을 이루는 상면층과, 상기 상면층보다 소정 거리 이격된 하부에 위치하며 상면층에서 조리시 흘러나오는 기름이 불판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흐르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기름이동로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말아서 휴대할 수 있는 캠핑 불판{A rollable portable camping grill}
본 발명은 야외에서 고기를 굽는데 사용하는 불판에 관한 것으로, 말아서 휴대 가능하고, 사용 중에는 고기 기름이 숯불에 떨어지지 않도록 구성한 불판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캠핑용 고기 불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름기 많은 삼겹살을 구울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불판에 관한 것이다.
야외 활동이 늘고, 경제력이 향상되면서 캠핑을 즐기는 사람들이 점차 많아지고 있으며 관련 제품 시장이 꾸준한 성장세에 있다. 캠핑에서 자연을 즐기는 것 뿐만 아니라 맛있는 음식을 먹는 것도 매우 중요한 한 부분으로써 특히 숯불을 이용한 조리 음식에 대한 니즈가 크다. 캠핑 음식 조리에 사용하는 그릴은 대부분 철망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데, 기름기 많은 고기를 구울 때는 기름이 숯불에 떨어져 연소하면서 유해한 가스, 그을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불에 탄 성분의 경우 발암 물질을 함유하는 등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현재 시중에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고자 하는 상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유통되는 제품들은 불판 윗면이 옆으로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써 기름이 경사를 따라 옆으로 흘러내리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런 제품들은 철망 구조의 그릴과 비교하여 기름이 불에 타는 것을 완화해주는 효과는 있다. 그러나 불판 경사로 인해 고기가 미끄러져 내리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고기가 구워짐에 따라 기름이 많이 나올 때 미끄러짐이 심해진다. 또한, 소시지, 마늘, 양파 같이 외형이 둥근 음식은 불판에서 굴러 떨어지는 문제로 인해 조리가 불가한 문제도 있다.
또 다른 문제로써 종래 캠핑 그릴이나 불판은 면적이 넓어 휴대하기 불편하다. 다른 물품들과 가방에 함께 넣기 어려워 따로 휴대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2389711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불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불판의 상면이 기울어지지 않으면서도 고기 기름 배출이 용이한 구조의 불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기름을 한 데 모아 처리하기 용이한 불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기를 구울 때 기름이 숯불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유해 물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불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을 둥그렇게 말아서 부피를 작게 하거나, 또는 여러 조각으로 분해함으로써 작게 하여 휴대하기 편리한 불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이 쉽고, 보관이 용이한 휴대용의 불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불판은 고기, 소시지 등 음식을 올려 굽는데 사용하는 불판으로써, 조리 음식을 동일한 높이에서 지지하도록 평평한 면을 이루는 상면층과, 상기 상면층보다 소정 거리 이격된 하부에 위치하며 상면층에서 조리시 흘러나오는 기름이 불판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흐르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기름이동로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름이동로층은 다수의 기름이동로를 포함하며, 상기 기름이동로는 다수개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기름이동로는 중앙으로부터 양단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를 갖는다.
또한, 상기 불판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복수의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플레이트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상면층을 형성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기름이동로를 형성하는 기름이동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는 폭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각 플레이트의 상기 기름이동로부는 인접한 플레이트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어 인접 플레이트에서 떨어지는 기름을 받쳐준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기름이동로부의 반대편에서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기름이 인접한 플레이트의 상기 기름이동로부로 떨어지도록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낙하유도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름이동로층 보다 소정 거리 이격된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기름이동로층에서 배출되는 기름을 모아서 배출하는 기름받이층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불판은 상기 플레이트 조립체의 양측부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기름받이층을 형성하는 기름받이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는 인접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 조립체가 일방향으로 말아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는 양측 단부에서 인접 플레이트와 서로 연결하기 위한 암커넥터부 및 수커넥터부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불판은 연직하방으로 막힌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불판은 플레이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플레이트들이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일방향으로 말아 접어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불판은 조리되는 고기가 놓이는 상면층과 기름 배출을 위한 기름이동로층이 상하 서로 다른 높이로 분리되어 있고, 상면층은 전체적으로 평평한면을 이루고 있어서 음식이 미끄러져 흘러내리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음식이 조리되는 동안 기름이동로층을 통해 기름은 따로 배출되어 기름 제거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불판은 조리하는 면적 전체에 걸쳐 막힌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기름이 숯불에 떨어질 우려가 없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을 도시한 측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의 플레이트 조립체를 도시한 것으로 (a)는 플레이트 조립체를 말아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b)는 플레이트 조립체를 세척 용기에 담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의 플레이트 조립체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7는 도6의 D-D'선에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8은 도6에 도시된 불판 플레이트 조립체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9는 도6에 도시된 불판 플레이트 조립체의 측방향 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10는 도9의 E-E'선에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11은 도6에 도시된 플레이트들 사이에 상대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1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의 기름받이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해당 실시예로 한정하기 위해 기술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 전체로부터 이해되는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물, 대체물,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구성된다”, “가진다” 등의 표현은 추가적인 구성 요소나 기능을 배제하지는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제1…”, “제2…”, “첫째”, “둘째”등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 요소들 사이의 순서나 중요도 등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결합된다”, “연결된다” 등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직접적으로 결합되거나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거나 개재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배제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야외에서 고기를 굽는데 사용하는 캠핑용 불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불판은 고기 기름이 숯불에 떨어지지 않고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 유로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불판은 말아서 접거나, 분해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불판(1)은 다수개의 플레이트(10)로 이루어진 플레이트 조립체(100), 플레이트 조립체(100)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기름받이(20)와 기름받이(20) 양단부에 결합되는 손잡이(30)를 포함한다. 불판(1)은 숯불이 담긴 화로대 위에 놓고, 고기를 플레이트 조립체(100) 위에 놓아 조리할 수 있다. 플레이트 조립체(100)는 전체적으로 평평한 상면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플레이트 조립체(100) 전체 면적을 이용하여 조리할 수 있다. 기름받이(20)는 조립체(100) 양측으로 흘러내리는 기름기, 물기 등을 모아 배출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손잡이(30)는 기름받이(20) 앞뒤 양단에 결합되며, 불판(1) 전체를 들고 이동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편의상 도1에 도시된 좌표계를 기준으로 하여 X축 방향을 전방, Y축 방향을 좌측, Z축 방향을 상방으로 설정하여 설명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설정일 뿐이며, 고정된 방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플레이트 조립체(100)는 여러 개의 플레이트(10)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연결되는 플레이트(10)의 개수에 따라서 플레이트 조립체(100)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사용자 필요에 따라 플레이트(10) 개수를 조절하여 불판(1)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도6 내지 도8을 참조하면, 플레이트(10)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플레이트(10)는 고기가 올려지는 상면을 이루는 바디부(11), 바디부(11)의 전방 단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내려간 위치에서 오목한 홈을 이루고 있는 기름이동로부(12), 바디부(11) 후방 단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경사를 갖는 낙하유도부(13)를 포함한다. 낙하유도부(13)는 기름이 바디부(11) 저면을 따라 옆으로 번지지 않고, 아래 방향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한다. 바디부(11)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요철부(11a)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요철부(11a)는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며 다수개가 횡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고 있으나, 그 형상, 개수, 배치 형태는 달라질 수 있다. 요철부(11a)는 조리되는 과정에서 고기가 들러붙지 않고, 고르게 구워지도록 작용한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0)들이 결합된 상태의 플레이트 조립체(100)는 상면이 평평한 면을 이루고 있다. 종래 불판들은 상면이 경사를 가지고 있던 반면, 본 발명의 불판(1)은 고기를 올려 놓는 상면이 평평한 면을 이루고 있어 고기가 한쪽으로 미끄러지는 문제가 없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 플레이트(10)(10A, 10B, 10C)가 조립된 상태에서 앞과 뒤가 서로 중첩된 상태로 배치된다. 편의상 왼쪽부터 순서대로 제1플레이트(10A), 제2플레이트(10B), 제3플레이트(10C)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제2플레이트(10B)의 기름이동로부(12B)가 앞에 위치한 제1플레이트(10A)의 낙하유도부(13A) 아래에 배치된다. 제1플레이트(10A)의 낙하유도부(13A)에서 흘러내리는 기름은 제2플레이트(10B)의 기름이동로부(12B)로 떨어진다. 각각의 플레이트(10A, 10B, 10C)에서 모두 동일하게 작용되므로 기름은 바닥으로 떨어짐이 없이 기름이동로부(12)(12A, 12B, 12C)로 모이게 된다. 기름이동로부(12) (12A, 12B, 12C)에 떨어진 기름은 플레이트(10)(10A, 10B, 10C) 양측에 놓이는 기름받이(20)로 모아진다.
인접한 플레이트들(10A, 10B, 10C)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어 있으나,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제1플레이트(10A)의 낙하유도부(13A)는 제2플레이트(10B)의 기름이동로부(12B)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또한, 제2플레이트의 기름이동로부(12B) 끝단부는 제1플레이트(10A) 바디부(11A) 저면에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어 있다. 인접한 플레이트들 사이로 이격된 공간은 공기유동로(51)를 형성한다. 불판(1) 아래 숯불로부터 열기가 공기유동로(51)를 따라 음식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숯불 고유의 향이 고기에 입혀져 풍미를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 공기유동로(51)는 숯불과 고기 사이가 가로막히지 않고 연통될 수 있는 통로로 작용하여 숯에서 올라오는 훈연, 향이 고기에 가미되도록 작용한다. 인접하는 플레이트(10)들은 서로 중첩되어 있으므로 위에서 내려보았을 때 빈틈없이 막힌 구조를 갖는다(도2 참조). 플레이트 조립체(100)의 양측부도 기름받이(20)에 의해 중첩되어 있다. 불판(1)은 플레이트 조립체(100) 및 기름받이(20) 전체 면적에 걸쳐서 연직하방으로 막힌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기름이 숯불이나 바닥으로 떨어질 우려가 없다. 종래와 달리 기름이 숯불에 떨어져 불이 붙거나 그을음이 생기거나 하지 않는다.
도8를 참조하면, 기름이동로부(12)는 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좌우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름이동로부(12)는 좌우양측방향으로 가면서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는 구배를 갖는다. 기름이동로부(12)에 떨어진 기름은 경사를 따라서 좌우 양측으로 흐른다. 플레이트(10) 좌우 양단 하부에는 기름받이(20)가 구성된다. 도12을 함께 참조하면 기름받이(20)의 단면 형상은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바깥벽부(21)는 플레이트(10)의 암커넥터부(16)를 지지하며, 안쪽벽부는(23)는 기름이동로부(12) 저면을 지지한다.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0)의 바디부(11) 상면은 조리 대상 음식물이 놓이는 상면층(L1) 형성한다. 상면층(L1)은 플레이트 조립체(100) 전체에 걸쳐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기름이동로부(12)는 상면층(L1) 보다 일정 높이 아래에서 기름을 양측으로 이동시키는 기름이동로층(L2)을 형성한다. 그리고 기름받이(20)는 기름이동로층(L2) 보다 일정 높이 아래에서 배출되는 기름을 모으는 기름받이층(L3)을 형성한다. 조리 과정에서 배출되는 기름은 상면층(L1), 기름이동로층(L2), 기름받이층(L3) 순으로 이동하여 배출된다.
도9 및 도10를 함께 참조하면, 복수의 플레이트(10)(10A, 10B, 10C)들은 좌우 양측단부에서 서로 연결된다. 각 플레이트(10)(10A, 10B, 10C)는 양측단부에서 연직하방으로 절곡된 측면절곡부(14)(14A, 14B, 14C)를 포함한다. 측면절곡부(14)(14A, 14B, 14C)의 앞단에는 암커넥터부(15)(15A, 15B, 15C)가 구성되고, 후단에는 수커넥터부(16)(16A, 16B, 16C)가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플레이트(10B)의 암커넥터부(15B)는 앞에 위치한 제1플레이트(10A)의 수커넥터부(16A)와 연결되고, 제2플레이트(10B)의 수커넥터부(16B)는 뒤에 위치한 제3플레이트(10C)의 암커넥터부(15C)와 연결된다. 즉, 서로 인접한 플레이트(10)의 암수커넥터부(15, 16)가 서로 연결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커넥터부(16A, 16B, 16C)는 바깥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다. 암커넥터부(15A, 15B, 15C)는 수커넥터부(16A, 16B, 16C) 안팎을 감싸는 이중구조를 가지며, 내면에는 수커넥터부(16A, 16B, 16C)의 돌출부가 끼워 맞춰지는 홈이 형성된다. 암수커넥터부(15A, 15B, 15C)(16A, 16B, 16C)는 서로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된다. 암수커넥터부(15A, 15B, 15C)(16A, 16B, 16C)는 결합된 상태에서 상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플레이트들(10A, 10B, 10C)은 암수커넥터부(15A, 15B, 15C)(16A, 16B, 16C) 연결 부위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대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가능한 각도는 대략 0~90° (도)의 범위를 갖는다. 회전 각도는 기름이동로부(12)가 바디부(11) 상면에 걸리는 위치까지로 제한된다. 플레이트(10)의 형상에 따라 회전 가능한 각도 범위를 달라질 수 있다. 플레이트(10)들을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접을 경우 도5의 (a)에 도시된 것이 같이 플레이트 조립체(100)는 원통형으로 말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시에 플레이트 조립체(100)을 말아 접어 부피를 줄임으로써 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도5의 (b)와 같이 둥글게 말린 플레이트 조립체(100)를 전용 용기(2)에 넣은 후 물과 세제에 담가 놓으면 기름기가 제거되고, 늘어 붙은 음식물이 불려져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0)는 금속판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탄성변형 가능하고, 암수커넥터부(15A, 15B, 15C)(16A, 16B, 16C)는 물리적으로 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분리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시 플레이트(10)를 낱개로 분리할 수 있다. 세척 또는 보관의 필요에 따라 낱개로 분해되어 사용될 수 있다.
기름받이(20)는 불판(1)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플레이트(10)에서 배출되는 기름을 모아 배출한다. 도12을 참조하면, 기름받이(20)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다. 기름받이(20)는 바깥벽부(21), 바닥부(22), 안쪽벽부(23)를 포함한다. 기름받이(20)는 금속판을 디귿자(“ㄷ”)로 구부린 형상을 갖는다. 기름받이(20)는 양단부가 대칭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기름받이(20)에 모인 기름은 양단부를 통해 배출된다. 기름받이(20) 단부에는 기름을 담을 용기(41)가 놓일 수 있으며, 기름 용기(41)를 걸기 위한 걸이홈(25)이 형성될 수 있다. 기름 용기(41)는 전용 용기가 사용되거나 1회용 종이컵이 사용될 수 도 있다. 기름 용기(41)가 없는 경우 사용자는 기름받이(20) 양단부를 마개로 막아 기름받이(20)에 기름을 모아두었다가 처리할 수도 있다. 안쪽벽부(23)에는 손잡이(30)을 고정하기 위한 손잡이홀(24)이 형성된다. 손잡이(30)는 철사 형태를 가지며 그 양쪽 단부가 손잡이홀(24)을 통해 기름받이(20)와 결합된다. 바깥벽부(21)에는 플레이트 조립체(100)와 연결되는 고정부(26)가 구성된다. 고정부(26)는 전술한 수커넥터부(16)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맨 앞단에 위치하는 플레이트(10)의 암커넥터부(15)에 결합된다. 반대편 단부의 고정부(26)는 맨 뒷단에 위치하는 플레이트(10)의 수커넥터부(16)와 결합된다. 도12의 확대부 M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6)가 수커넥터(16)의 안쪽에 위치한 상태로 결합된다. 플레이트 조립체(100)의 네모서리 부분은 기름받이(20) 고정부(26)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불판(1)을 구성하는 플레이트(10) 및 기름받이(20)는 금속판 프레스 가공 방식으로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종래에 금속 주물로 제조되던 불판에 비하여 가볍고 성형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불판은 플레이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플레이트들이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일방향으로 말아 접어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불판은 조리되는 고기가 놓이는 상면층과 기름 배출을 위한 기름이동로층이 상하 서로 다른 높이로 분리되어 있고, 상면층은 전체적으로 평평한면을 이루고 있어서 음식이 미끄러져 흘러내리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음식이 조리되는 동안 기름이동로층을 통해 기름은 따로 배출되어 기름 제거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불판은 조리하는 면적 전체에 걸쳐 막힌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기름이 숯불에 떨어질 우려가 없다.
1 : 불판 10, 10A, 10B, 10C : 플레이트
11 : 바디부 12 : 기름이동로부
13 : 낙하유도부 14 : 측면 절곡부
15 : 암커넥터부 16 : 수커넥터부
20 : 기름받이 21 : 바깥벽부
22 : 바닥부 23 : 안쪽벽부
24 : 손잡이홀 25 : 걸이홈
26 : 고정부 30 : 손잡이
51 : 공기유동로 100 : 플레이트 조립체

Claims (10)

  1. 고기, 소시지 등 음식을 올려 굽는데 사용하는 불판으로써,
    조리 음식을 동일한 높이에서 지지하도록 평평한 면을 이루는 상면층과,
    상기 상면층보다 소정 거리 이격된 하부에 위치하며 상면층에서 조리시 흘러나오는 기름이 불판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흐르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기름이동로층을 포함하는 불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이동로층은 다수의 기름이동로를 포함하며,
    상기 기름이동로는 다수개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기름이동로는 중앙으로부터 양단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를 갖는 불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판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복수의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플레이트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상면층을 형성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기름이동로를 형성하는 기름이동로부를 포함하는 불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폭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각 플레이트의 상기 기름이동로부는 인접한 플레이트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어 인접 플레이트에서 떨어지는 기름을 받쳐주는 불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기름이동로부의 반대편에서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기름이 인접한 플레이트의 상기 기름이동로부로 떨어지도록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낙하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불판.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이동로층 보다 소정 거리 이격된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기름이동로층에서 배출되는 기름을 모아서 배출하는 기름받이층을 더 포함하는 불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불판은 상기 플레이트 조립체의 양측부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기름받이층을 형성하는 기름받이를 더 포함하는 불판.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는 인접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 조립체가 일방향으로 말아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된 불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양측 단부에서 인접 플레이트와 서로 연결하기 위한 암커넥터부 및 수커넥터부가 구성된 불판.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불판은 연직하방으로 막힌 구조를 갖는 불판.
KR1020220115776A 2022-09-14 2022-09-14 말아서 휴대할 수 있는 캠핑 불판 KR202400370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776A KR20240037016A (ko) 2022-09-14 2022-09-14 말아서 휴대할 수 있는 캠핑 불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776A KR20240037016A (ko) 2022-09-14 2022-09-14 말아서 휴대할 수 있는 캠핑 불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016A true KR20240037016A (ko) 2024-03-21

Family

ID=90472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776A KR20240037016A (ko) 2022-09-14 2022-09-14 말아서 휴대할 수 있는 캠핑 불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701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711B1 (ko) 2020-11-25 2022-04-22 손영길 고기 구이용 불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711B1 (ko) 2020-11-25 2022-04-22 손영길 고기 구이용 불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0159A (en) Multi smoke cooker
KR101006018B1 (ko) 다목적 숯불 구이기
KR20140114728A (ko)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US3331365A (en) Portable cooker
US20060011192A1 (en) Multi-chambered convertible grilling device
KR101128821B1 (ko) 숯불 구이판
KR101562498B1 (ko) 구이용 화덕
KR101839024B1 (ko)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경사형 석쇠
KR101187145B1 (ko) 구이판
KR101300863B1 (ko) 숯불 구이기
US9155421B2 (en) Rotisserie grill
US20170273505A1 (en) Non-Electric, Non-Steaming Stove Top/Grill Adapter and Method of Use
US6883512B2 (en) Portable grilling apparatus
KR20240037016A (ko) 말아서 휴대할 수 있는 캠핑 불판
KR101479097B1 (ko) 기름 배출 구조를 갖는 구이장치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20100098772A (ko) 처마형불판
KR20160086624A (ko) 가정용 석쇠형 불판
KR102012239B1 (ko)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구이기
KR101997059B1 (ko) 그을음 발생이 방지되는 바베큐판
KR200359428Y1 (ko) 바비큐 구이기
CN212996081U (zh) 一种烤网以及烧烤装置
CN212489627U (zh) 一种双面红外燃气同时加热的烧烤机
CN212489633U (zh) 一种双面红外燃气同时加热烧烤机的多用组合式烤架
CN215016361U (zh) 一种多温区的烧烤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