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6645A - 자동차의 불투명 글레이징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불투명 글레이징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6645A
KR20240036645A KR1020247005810A KR20247005810A KR20240036645A KR 20240036645 A KR20240036645 A KR 20240036645A KR 1020247005810 A KR1020247005810 A KR 1020247005810A KR 20247005810 A KR20247005810 A KR 20247005810A KR 20240036645 A KR20240036645 A KR 20240036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zing
opacity
region
control
opa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5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뤼도빅 알리드라
사무엘 깜빠냐
모린 이스나드
델핀 로페즈
얀 올리비에
브리짓 사바리오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240036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664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4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transparenc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4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based on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s, e.g. microencapsulated liquid cryst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자동차(10)용 불투명 글레이징(2)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글레이징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유리 시트을 포함하고, 각 영역의 불투명도 레벨은 최소값(OPMIN)과 최대값(OPMAX) 사이에서 가변되도록 개별적으로 제어되고, 복수의 유리 시트은 제1 방향(281)으로 증가하는 시퀀스 번호로 배치되며, 상기 방법은,
- 증가하는 시간의 함수에 따라 각 영역의 불투명도의 레벨의 증가를 포함하는 글레이징의 불투명도를 증가시키는 단계(E2)로, 상기 증가는, 각 영역 간의 시간 지연에 따른 시퀀스 번호 i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영역별로 초기화되는, 단계, 및/또는
- 감소하는 시간의 함수에 따라 각 영역의 불투명도의 감소를 포함하는 글레이징의 불투명도를 감소시키는 단계(E3)로, 상기 감소는 각 영역 사이의 시간 지연에 따라 시퀀스 번호 i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영역별로 초기화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불투명 글레이징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자동차에 대한 불투명 글레이징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자동차에 대한 불투명 글레이징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고정식 글레이징 루프 또는 개방형 루프이 장착된 자동차에는 일반적으로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열리는 가요성 또는 강성 블라인드일 수 있는 스크리닝 수단이 제공된다. 이 스크리닝 수단은, 자동차 사용자의 시각적 및 열적 편안함을 위해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는 차량의 무게를 눈에 띄게 증가시키고 거주성을 감소시킨다.
스크리닝 수단의 중량과 부피를 줄이기 위한 한 가지 해결책은, 이 형태의 스크리닝 수단을 불투명 글레이징을 사용하는 솔루션으로 교체하는 것이다. 불투명 글레이징을 사용하면, 객실을 불투명하게 하기 위환 다양한 가능성들도 제공한다.
그러나, 이 해법에는 단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사용자 입장에서 불투명 글레이징의 사용은 실제 화면을 사용하는 것보다 덜 직관적이다. 특히, 사용자는 불투명 글레이징에 의해 제공되는 새로운 가능성과 필요에 따라 글레이징의 불투명도를 변경할 수 있는 제어들에 익숙해지기가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단점을 극복하고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불투명 글레이징 제어 장치 및 방법을 개선하는 불투명 글레이징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간단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불투명 글레이징의 직관적이고 다방향 제어를 가능케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자동차에 대한 불투명 글레이징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글레이징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하고, 각 영역의 불투명도 레벨은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에서 가변되도록 개별적으로 제어되고, 복수의 영역들은 제1 방향으로 증가하는 시퀀스 번호 i로 배치된다.
상기 방법은,
- 증가하는 시간의 함수에 따라 각 영역의 불투명도의 레벨의 증가를 포함하는 글레이징의 불투명도를 증가시키는 단계로, 상기 증가는, 각 영역 간의 시간 지연에 따른 시퀀스 번호 i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영역별로 초기화되는, 단계, 및/또는
- 감소하는 시간의 함수에 따라 각 영역의 불투명도의 감소를 포함하는 글레이징의 불투명도를 감소시키는 단계로, 상기 감소는 각 영역 사이의 시간 지연에 따라 시퀀스 번호 i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영역별로 초기화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글레이징의 불투명도를 증가시키는 단계와 글레이징의 불투명도를 감소시키는 단계 이전에, 글레이징의 불투명도를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을 검출하는 단계는, 제1 방향, 또는 제1 방향과 반대의 제2 방향으로 제어 방향을 결정하는 하위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증가 단계 및 감소 단계는,
- 제어의 배향이 제1 방향에서 결정되는 경우, 영역의 증가하는 시퀀스 번호 i에 따라, 또는
- 제어 방향이 제2 방향으로 결정되는 경우, 영역의 감소하는 시퀀스 번호 i에 따라.
영역별로, 불투명도의 레벨의 증가 및 감소를 각각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향을 결정하는 하위 단계는,
- 누르는 위치에 의해 표시된 제어 방향, 및/또는
- 제어버튼을 누르는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영역들의 불투명도의 시간의 증가 또는 감소 함수는 선형 또는 비선형이고 및/또는 상기 영역들의 불투명도의 시간의 증가 또는 감소 함수는 문제의 대응 영역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센서들의 세트로부터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글레이징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자동차에 대한 불투명 글레이징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 제어 버튼을 짧게 누르는 것과 같은 제1 형태의 명령은, 글레이징의 일부에 적용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구현 단계를 유발하고, 및/또는
- 제어 버튼을 길게 누르는 것과 같은 제2 형태의 명령은, 글레이징 전체에 적용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구현 단계를 유발한다.
본 발명은 또한, 불투명 글레이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글레이징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동작할 때 상기 방법의 단계들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코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또는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가능하고 및/또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고 및/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데이터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데이터 기록 매체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방법을 구현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수반하는, 데이터 매체로부터의 신호에 관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예시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글레이징 장치의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의 구현 모드를 도시한다.
도 1은, 글레이징 장치가 장착된 자동차를 도시한다.
도 2는, 불투명 글레이징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불투명 글레이징의 동작 원리를 도시한다.
도 4는, 불투명 글레이징의 동작 원리를 도시한다.
도 5는, 복수의 영역들로 구성되고 차량에 장착된 불투명 글레이징 실시예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불투명 글레이징의 파티션 및 안정 상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제어 인터페이스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제어 방법의 제1 구현 모드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불투명 글레이징의 제1 동작 로직을 도시한다.
도 10은, 불투명 글레이징의 복수의 영역들에 대한 개별 불투명 명령의 순서를 도시한다.
도 11은, 불투명 글레이징의 제2 동작 로직을 도시한다.
도 12는, 제어 방법의 제2 구현 모드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불투명 글레이징의 제3 동작 로직을 도시한다.
도 14는, 제어 방법의 제1 구현 모드에서 구현된 애니메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불투명 글레이징을 갖는 글레이징 장치(1)의 실시예를 갖는 자동차(10)의 일례를 도 1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자동차(10)는 임의의 형태의 차량, 특히 승용차 또는 유틸리티 차량일 수 있다.
글레이징 장치(1)는 주로 다음 요소들을 포함한다:
- 불투명 글레이징(2),
-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컴퓨터(3),
- 제어 인터페이스(4),
- 센서들의 세트(5).
불투명 글레이징(2)의 일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불투명 글레이징(2)은, 글레이징에 다양한 불투명도가 구현되도록 한다. 글레이징의 불투명도는, 다양한 물리적 양, 특히 광선의 백분율 투과도에 의해 특징화될 수 있다. 불투명도는 글레이징의 "밝은 상태" 또는 "투명 상태"로 지칭되는 상태에 대응하는 최소값(OPMIN), 및 글레이징의 "어두운 상태"로 지칭되는 상태에 대응하는 최대값( OPMAX)의 적어도 두 개의 값들 사이에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기술을 통해, 중간 불투명 상태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는 특히 본 발명에 우선적으로 설명된 PDLC("고분자 분산 액정") 기술의 경우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이 실시예에서, 불투명 글레이징(2)은 두 층들의 유리(23, 27) 사이에 적층된 불투명 필름(25), 특히 PDLC 필름을 포함한다. PDLC 필름은 중합체 수지에 매립된 액정으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 전도성 층(24, 26)은, 불투명 필름(25)과 각각의 유리 층들(23, 27)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레이징의 불투명도 변화는, 제1 및 제2 전도성 층들(24, 26)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거나 인가하지 않음으로써 제어된다.
도 3에서는, 두 도전층들(24, 26)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분자 수지 내에 액정이 무작위로 배치되어 빛의 투과를 차단하도록 한다.
도 4에서, 2개의 전도층들(24, 26) 사이에 전압을 가하면 고분자 수지 내 액규정 배향이 발생하여 PDLC 필름을 통한 빛의 투과가 가능해진다.
본원의 나머지 부분에서, "불투명도 변경 명령"이라는 표현은 불투명 글레이징의 두 전도층들(24, 26)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나타내도록 사용되며, 인가되는 전압은 0이거나 0이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글레이징(2)은, 복수의 유리 시트을 포함하고, 각 영역의 불투명도 레벨은 최소값(OPMIN)과 최대값( OPMAX) 사이에서 가변되도록 개별적으로 제어된다. 글레이징 영역들의 수 n은 2보다 크거나 같다.
도 5에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글레이징(2)은 자동차 루프 글레이징이다. 제시된 실시예에서, 불투명 필름은 두 개의 유리 시트들 사이에서 성형되기 전에, 구체적으로 7개의 개별 세그먼트로 절단된다. 따라서, 글레이징(2)은 불투명 필름의 7개 세그먼트와 각각 연관된 7개의 영역들(Z1, Z2, Z3, Z4, Z5, Z6, Z7)을 갖는다. 불투명 필름을 7개의 별도 세그먼트로 절단하면, 규정된 7개 영역들의 각각의 불투명도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글레이징 장치(1)의 역할은 다음을 허용하는 불투명 글레이징 영역들 세트에 대한 명령의 조정을 구현하는 것이다:
- 글레이징(2)의 다방향 불투명화, 즉 글레이징 불투명도의 다방향 증가, 및
- 글레이징(2)의 다방향 감소 불투명화, 즉 글레이징 불투명도의 다방향 감소.
다방향 불투명화 및 감소 불투명화는 여러 방향의 불투명도 구현에 대응한다. 이는 특히 물리적 스크린에 의해 달성되는 단방향 불투명화 및 감소 불투명화와는 정반대이며, 이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단일 방향으로 루프 글레이징을 불투명하게 하고, 불투명화 방향과 반대의 단일 방향으로 루프 글레이징의 불투명도를 감소시키도록 한다. 다방향 불투명화는 적어도 두 방향, 예를 들어 차량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및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둘다 수행될 수 있는 글레이징의 불투명도의 레벨의 증가 또는 감소를 허용한다.
제시된 실시예에서, 규정된 영역들(Z1, Z2, Z3, Z4, Z5, Z6, Z7)은 글레이징을 스트립들로 분할하는 것에 대응하며, 스트립들은 본원의 나머지 부분에서 "제어 라인"(28)으로 지칭되는 라인(28)을 따라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 라인(28)은 자동차(10)의 종축에 평행한 실질적으로 직선이다.
제어 라인(28)의 두 개의 방향들이 규정된다:
- 도시된 경우에, 자동차(10)의 전방을 자동차(10)의 후방에 연결하는 제1 방향(281),
- 제1 방향(281)과 반대인 제2 방향(282).
개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영역들(Z1, Z2, Z3, Z4, Z5, Z6, Z7)은 증가하는 순서로 번호가 매겨지거나 제1 방향(281)으로 증가하는 시퀀스 번호(i)를 갖는다.
제어 라인의 방향(281, 282)은, 복수의 영역들이 그들의 불투명도를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순서를 규정한다. 예를 들어, 영역들( Z1, Z2, Z3, Z4)의 불투명도를 변경하라는 명령이 있는 경우, 제어 라인이 281 방향으로 배향되면, 영역 Z1에 먼저 불투명도를 변경하라는 명령이 내려지고, 다음 영역 Z2에 명령이 내려지고, 영역 Z3은 세번째로 명령을 받고, 영역 Z4는 네번째로 명령을 받는다. 제어 라인이 282 방향으로 배향되는 경우, 영역 Z4가 먼저 불투명도를 변경하라는 명령을 받고, 다음, 영역 Z3이 두번째로 명령을 받고, 다음, 영역 Z2가 세번째로 명령을 받고 영역 Z1이 네번째로 명령을 받는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글레이징(1)은 보다 적은 수의 영역들, 예를 들어 3개의 영역들로 절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글레이징(1)은 7개 이상의 영역들, 예를 들어 10개의 영역들로 절단될 수 있다.
영역들은 또한 상이한 폭을 가질 수 잇으며 두 인접한 스트립들들 간에, 제어 라인(28)을 따른 거리도 가변적일 수 있다.
상기 영역들은 다양한 형상들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곡선과 같은 다양한 형상들의 선으로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영역들의 공간 배치에 따라, 제어 라인(28)은 곡선일 수도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영역들(Z1, Z2, Z3, Z4, Z5, Z6, Z7)은 글레이징(2) 자체의 구조에 의해 규정되므로, 글레이징 영역들의 개수는 고정된다.
그러나, 글레이징 장치는 영역들(Z1, Z2, Z3, Z4, Z5, Z6, Z7)을 적어도 하나의 파티션(21, 22)를 포함하는 파티션 세트(20)로 함께 그룹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파티션은 영역들의 서브세트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제어 라인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다른 구성에서, 영역들은 적어도 2개의 파티션들 사이에 교대로 분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홀수 영역은 제1 파티션(21)에 포함될 수 있고 짝수 영역은 제2 파티션(22)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이격된 스트립의 글레이징을 불투명하게 할 수 있다.
파티션의 기능은 글레이징 영역들(Z1, Z2, Z3, Z4, Z5, Z6, Z7)을 기반으로 글레이징의 다양한 불투명도 구성들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들 구성은 본원 나머지 부분에서 "글레이징의 안정적인 상태" 또는 "안정적인 상태"로서 지칭된다.
글레이징(2), 특히 글레이징의 각 영역은 안정한 상태 또는 일시적인 상태일 수 있다.
글레이징의 안정된 상태는, 글레이징 영역들의 불투명도가 각 파티션에 걸쳐 균일하다는 사실을 특징으로 한다. 즉, 글레이징이 안정된 상태에 있을 때, 주어진 파티션의 영역은 모두 글레이징(2)의 각 파티션(21, 22)에 대해 동일한 불투명도를 갖는다.
글레이징의 과도 상태는, 두 안정 상태들 사이에서 전환되는 동안 글레이징에 의해 취해지는 상태들 중 하나에 대응한다. 글레이징이 일시적인 상태에 있을 때, 글레이징 파티션의 두 개 이상의 영역들은 서로 다른 불투명도를 갖는다.
글레이징의 파티션 및 관련 안정 상태의 실시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영역들 및 파티션은 차량의 전방과 후방 사이에 차별화된 불투명도를 허용하는 방식으로 규정된다:
- 파티션(21)은 글레이징의 전면 부분에 위치된 영역들(Z1, Z2, Z3 및 Z4)을 함께 그룹화하고,
- 파티션(22)은 글레이징의 후면 부분에 위치된 영역들(Z5, Z6 및 Z7)을 함께 그룹화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파티션들(21, 22)을 구현하는 가능한 안정 상태들의 세트는 안정 불투명도의 두 레벨들, 적어도 레벨(OPMIN) 및 최대 레벨(OPMAX)의 함수로서 규정된다.
두 불투명도(OPMIN) 및 OPMAX 레벨과 결합된 파티션들(21 및 22)은, 글레이징 의 네 가지 안정적인 상태(ES1, ES2, ES3, ES4)를 구현할 수 있다:
- 제1 안정 상태(ES1)는 두 파티션들(21, 22)에 대한 불투명도(OPMAX)의 최대 레벨 적용에 대응한다.
- 제2 안정 상태(ES2)는 두 파티션들(21, 22)에 대한 적어도 불투명도 레벨 OPMIN의 적용에 대응한다.
- 제3 안정 상태(ES3)는 파티션(21)에 적어도 불투명도(OPMIN) 레벨을 적용하고, 파티션 22에 최대 불투명도(OPMAX) 레벨을 적용하는 것에 대응하며,
- 제4 안정 상태(ES4)는 파티션(21)에 최대 불투명도(OPMAX) 레벨을 적용하고, 파티션(22)에 적어도 불투명도(OPMIN) 레벨을 적용하는 것에 대응한다.
대안적으로, 영역(Z1 내지 Z7)을 포함하는 글레이징의 안정 상태의 다른 세트는 다음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함으로써 규정될 수 있다:
- 1과 같은 파티션들의 수는 단일 파티션의 7개 영역 분포에 대응하고, 7과 같은 파티션들 수는 파티션당 하나의 영역 분포에 대응하는, 1부터 7까지의 범위인, 파티션들의 수,
- 적어도 1개에서 최대 7개의 파티션들 사이의 영역(Z1~Z7)의 분포, 및
- 2보다 크거나 같은, 안정적인 불투명도의 수.
바람직하게는, 파티션들(21, 22)은 차량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 차별화된 불투명도를 허용하는 방식으로 규정된다. 대안적으로, 영역들 및 파티션들의 다른 실시예는 차량의 우측 부분과 좌측 부분 사이의 차별화된 불투명도를 허용할 수 있다.
글레이징 장치(1)는, 차량 사용자가 자동차(10)에서 사용하기를 원하는 글레이의 안정 상태들(징 ES1, ES2, ES3, ES4)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제어 인터페이스(4)를 더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서, 제어 인터페이스(4)는 버튼, 특히 도 7에 도시된 방향 푸시 버튼(4)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방향 푸시 버튼은, 사용자가 두 개의 파라미터들, 즉 선택된 방향, 및누르고 있는 지속 기간을 통해 불투명도의 변화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 인터페이스의 제1 실시예에서, 방향의 선택은 차량의 후방을 가리키는 버튼의 제1 위치(41)와 차량의 전방을 가리키는 버튼의 제2 위치(42)를 누름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버튼은, 제1 방향과 제2 방향(281, 28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방향 푸시 버튼을 사용하면 DAPP을 누르는 기간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측정을 통해 누르는 지속 기간을 임계값(APPMIN)과 비교하여 누르는 것을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임계값(APPMIN)보다 절대적으로 짧은 기간 동안 누르는 것은 "짧게 누르기"로 간주되고, 임계값(APPMIN)보다 크거나 같은 기간 동안 누르는 것은 "길게 누르기"로 간주된다. 누르는 기간에 따라 누르는 것을 분류하면, 압누르는 카테고리에 따라 차별화된 누르기를 적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방향 누름 버튼(4)은 도 13에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제3 위치(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위치(43)는, 바람직하게는 제1 위치(41)와 제2 위치(42) 사이에 위치된다. 제3 위치(43)는 본원에서 후술되는 자동 글레이징 제어 모드의 활성화를 허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위치 43을 길게 누르면 자동 제어 모드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위치 41 또는 42 중 하나를 길게 또는 짧게 누름으로써, 자동 모드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대한 대안 또는 추가의 제2 실시예에서, 제어 인터페이스(4)는 예를 들어 차량의 멀티미디어 화면 또는 휴대폰 앱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는 방향 누름 버튼 형태의 물리적 버튼과 동일한 파라미터, 즉 제어 방향(281, 282) 및 DAPP를 누르는 지속 기간에 따라 글레이징(2)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엄밀한 의미에서 누르는 시간을 명령하는 대신, 사용자는 누르기 형태의 두 가지 선택 중에서 길게 누르기 또는 짧게 누르기 를 선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글레이징(2)에 대한 가능한 안정 상태들의 시각적 표현을 직접 클릭함으로써, 가능한 모든 안정 상태들(ES1, ES2, ES3, ES4) 중에서 글레이징의 최종 안정 상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는 특히 자동 글레이징 제어를 활성화 및 비활성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음성 명령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글레이징 장치는 또한 센서들(5)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들(5)의 세트는, 글레이징(2)의 자동 제어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센서들(5)의 세트는 차량의 루프에 바람직하게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태양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태양광 센서의 데이터를 사용하면, 승객석을 태양 광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어느 루프 파티션을 불투명하게 해야 하는지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센서들(5)의 세트는 자동차(10)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내부 및 외부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예를 들어 원하는 실내 온도를 달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불투명 글레이징의 자동 제어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함다..
또한 외부 온도 센서를 사용하면, 불투명 루프의 동작에 대한 외부 온도의 영향을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가 매우 낮으면 불투명 필름의 동작 속도가 매우 느려지며, 이는 글레이징의 불투명도를 변경하기 위한 가능성을 상당히 제한한다. 바람직하게는, 글레이징 장치(1)는 외부 온도가 온도 제한 임계값 미만일 때 비활성화될 수 있으며, 제한 임계값은 아마도 -20도일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 온도와 관련된 이와 같은 비활성화에 대한 알림을 통지 받을 수 있다.
글레이징 장치(1), 특히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주로 다음 모듈로 구성된다.
- 글레이징의 불투명도를 변경하기 위한 명령을 검출하기 위한 모듈(31)로, 제어 인터페이스(4)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모듈(31),
- 글레이징을 불투명하게 하기 위한 모듈(32)로, 글레이징(2)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모듈(32),
- 글레이징의 불투명도를 낮추기 위한 모듈(33), 글레이징(2)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모듈(33), 및
- 글레이징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모듈(34)로, 글레이징(2) 및 센서들(5)의 세트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모듈(34).
자동차(10), 특히 글레이징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요지에 규정된 방법 또는 후술되는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모든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한다.
불투명 글레이징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구현의 제1 모드는 도 8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된다.
제1 단계(E1)에서는, 시간 T에서 글레이징의 불투명도를 변경하라는 명령이 검출된다.
제어 인터페이스(4)의 제1 실시예에서, 글레이징의 불투명도를 변경하기 위한 명령의 검출은, 제어 버튼(4), 특히 제어 버튼상의 위치(41, 42)를 누름으로써 트리거된다.
검출 단계(E1)는, 제어의 방향을 결정하는 하위 단계를 포함한다.
- 위치(41)를 누르면, 제어 방향이 제1 방향(281)인 것으로 결정된다.
- 위치(42)를 누르면, 제어 방향이 제2 방향(282)인 것으로 결정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검출 단계(E1)는 제어의 배향을 결정하는 하위 단계를 포함한다:
- 제3 방향의 버튼을 누르면, 제어 방향이 제1 방향(281)인 것으로 결정된다.
- 제4 방향의 버튼을 누르면, 제어 방향이 제2 방향(282)인 것으로 결정된다.
검출 단계(E1)는, 제어 버튼상의 DAPP를 누르는 지속 기간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누르는 지속 기간을 누르는 임계값(APPMIN)의 최소 지속 기간과 비교하여, 누르는 두 카테고리들이 결정된다:
- 짧은 누르기로 불리는 누르기로, 그의 지속 기간은 누르기 임계값(APPMIN)의 최소 지속 기간보다 절대적으로 적은 누르기.
- 길게 누르기로 불리는 누르기로, 그의 지속 기간은 누르기 임계값(APPMIN)의 최소 지속 기간보다 크거나 같은, 누르기.
따라서, 본원의 나머지 부분에서 볼 수 있듯이 DAPP를 누르는 기간은 두 가지 형태의 명령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 제어 버튼을 "짧게" 누르는 것과 같은 제1 형태의 명령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글레이징의 일부에 적용되는 불투명화 또는 불투명화 해제 명령의 구현 단계를 유발하고, 상기 글레이징의 일부는 파티션들(21, 22)의 하나 또는 다른 것에 대응하고, 및/또는
- 제어 버튼을 "길게" 누르는 것과 같은 제2 형태의 명령은, 불투명화 또는 불투명화 해제 명령의 구현 단계를 유발하여 글레이징의 완전한 불투명화 또는 불투명화 해제를 초래한다. 제2 형태의 명령에 따라, 불투명화 또는 불투명화 해제 명령은 글레이징의 초기 불투명화 상태에 따라 글레이징의 일부 또는 전체에 적용될 수 있다.
단계(E1)는 초기 안정 상태(ESI)를 결정하는 하위 단계를 더 포함한다. 초기 안정 상태(ESI)는, 불투명도 변경 명령이 발해질 때 시간 T에서의 글레이징의 불투명도 상태에 대응한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초기 안정 상태는 도 6에 기술된 4개의 안정 상태들(ES1, ES2, ES3 및 ES4) 중 하나에 대응한다.
초기 안정 상태는, 시간 T에서 글레이징의 각 영역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결정되며, 동일한 파티션의 영역들은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압을 받게 된다. 당연히, 제어 장치는 전압 제어 이외의 기술을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파티션의 안정적인 상태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영역들에 적용된 전압을 알면, 초기 안정 상태(ESI)가 글레이징(2)에 대해 규정된 안정 상태, 즉 상태 ES1, 상태 ES2, 상태 ES3 또는 상태 ES4 중 하에 대해 결정된다. .
다음에는 최종 안정 상태(ESF)를 결정하는 하위 단계가 이어진다.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동안 사용자에 의해 발해진 새로운 불투명도 변경 명령은 글레이징이 최종 안정 상태(ESF)에 도달한 경우에만 고려된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글레이징(2)의 최종 안정 상태(ESF)는 단계 E1에서 이전에 규정된 파라미터들, 즉 초기 안정 상태(ESI), 제어 방향(281, 282) 및 누르기 지속 기간(DAPP)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 있다.
이들 파라미터의 함수로서 최종 안정 상태를 결정하는 제1 모드가 도 9에 개시되어 있다.
짧은 누르기 명령은 제어 방향(281, 282) 중 하나를 향하는 가는 화살표로 표시된다. 길게 누르는 명령은 제어 방향(281, 282) 중 하나로 배향된 굵은 화살표로 표시된다.
도 9는, 글레이징의 제1 동작 로직에 따라 글레이징의 두 안정 상태들 사이의 가능한 전환을 도시한다. 각 제어 순서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초기 안정 상태들(ES1, ES2, ES3, ES4),
- 제어 방향(281, 282)과 DAPP를 누르는 지속 기간으로 구성된 명령,
- 전환 ET12a, ET12b, ET13, ET14, ET21a, ET21b, ET23, ET24, ET31, ET32, ET41, ET42, 각 전환은 두 안정 상태들 사이의 일련의 일시적 상태들로 구성된다.
- 최종 안정 상태(ES1, ES2, ES3, ES4).
도 9에 개시된 글레이징의 제1 동작 로직은 표 1에 기술되어 있으며, 본원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제1 전환 테이블"로 지칭된다.
제1 전환 테이블은, 선택된 동작 로직을 두 상태들 간의 가능한 전환 세트로 변환하며, 테이블의 각 행은 전환을 나타낸다. 고유한 참조 기호들은 가능한 각각의 전환과 연관된다. 제1 전환 테이블의 제1 열은 각 전환의 고유 참조 기호를 포함한다. 이 참조 기호는 문자 "ET"와 그 뒤에 초기 안정 상태의 번호에 대응하는 제1 숫자, 최종 안정 상태의 번호에 대응하는 제2 숫자로 규정된다. 예를 들어, 표의 제1 행은 초기 안정 상태 ES1과 최종 안정 상태 ES4 사이의 전환 ET14를 설명한다.
참조 기호에는 추가 문자가 포함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표의 제3 및 제4 행에 각각 나타나는 참조 ET12a 및 ET12b의 경우이다. 전환 ET12a 및 ET12b는 동일한 초기 안정 상태 ES1과 동일한 최종 안정 상태 ES2 사이의 두 가지 가능한 전환을 설명한다. 그러나, 전환 ET12a 및 ET12b는 제어 방향에 의해 서로 다르며, 이는 문제의 영역의 불투명화 해제 순서가 서로 달라지는 결과로 되며, 즉, 이와 같은 전환들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를 실행하기 위한 불투명화 단계 E3로 된다.
제1 전환 테이블의 제2 열에는 각 전환의 초기 상태(ESI)에 대한 참조 기호가 포함된다.
제1 전환 테이블의 제3 열에는 각 전환의 최종 상태(ESF)에 대한 참조 기호가 포함된다.
제1 전환 테이블의 제4 열에는 각 전환의 DAPP를 누르는 지속 기간 카테고리가 포함되며, 이 카테고리는 짧게 누를 수도 있고 길게 누를 수도 있다. ET31 전환과 같은 특정 전환의 경우, 누르기 카테고리는 중요하지 않다. 즉, 누르는 기간에 관계없이, 글레이징은 제2 제어 방향(282)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초기 안정 상태 ES3에서 최종 안정 상태 ES1로 이동하고, 전환은 영역 Z4 내지 Z1의 불투명도 증가를 통해 발생하며, 불투명화 명령의 순서화는 영역 번호의 내림차순으로 수행된다.
제1 전환 테이블의 제5 열은 제어 방향을 포함하며, 이는 제1 방향(281) 또는 제2 방향(282)일 수 있다.
제1 전환 테이블의 제6 열은 각 전환 동안 불투명도가 변경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티션(21, 22)에 대한 참조를 포함한다.
제1 전환 테이블의 제7 열은, 제6 열에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티션의 불투명도에 대한 변화(증가, 감소)의 센스를 포함한다.
제1 전환 테이블의 제8 열에는 제6 열에서 지정된 하나 이상의 파티션의 영역들에 그의 불투명도를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순서가 포함되어 있다.
제1 전환 테이블은 불투명도 변경의 다방향 이동을 구현하는 점에 유의한다. 즉, 글레이징(1)은,
- 제1 또는 제2 방향으로 불투명해지고,
- 제1 또는 제2 방향으로 투명해진다.
단계 E1의 상기 하위 단계들에서 규정된 파라미터, 즉 초기 안정 상태(ESI), 제어 방향(281, 282) 및 DAPP를 누르는 지속 기간은, 테이블의 단일 행을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제1 전환 테이블을 사용하여, 단일 전환 ET12a, ET12b, ET13, ET14, ET21a, ET21b, ET23, ET24, ET31, ET32, ET41, ET42가 결정되고, 이에 따라, 요컨대, 최종 안정 상태, 불투명도가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파티션(본원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파티션"이라고 함), 불투명도의 변화 셈스 및 제6 열에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티션의 영역들이 그들의불투명도를 변경하라는 명령과 같은 전환의 다른 파라미터들이 결정된다.
이와 같은 파라미터의 결정에 따라 다음 단계는 다음과 같다:
- 전환에 의해 결정된 불투명도의 변화감이 불투명도의 레벨의 증가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파티션(21, 22)의 불투명화 단계(E2),
- 또는, 전환에 의해 결정된 불투명도의 변화 감각이 불투명도의 감소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파티션(21, 22)의 불투명도를 낮추는 단계(E3).
상기 불투명화 단계(E2)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파티션(21, 22)의 각 영역에 대한 개별 불투명화 명령을 결정하는 하위 단계(E1)를 포함한다.
본원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파티션(21, 22)의 영역을 "선택된 영역"이라고 지칭한다.
하위 단계(E21)에서는, 선택된 각 영역에 대해 개별 불투명도 변경 명령이 결정된다.
개별 불투명화 명령은 초기 값(OPMIN)과 최종 값(OPMAX) 사이에서 시간에 따른 영역의 불투명도 변화를 명령하도록 규정되며, 최종 값은 초기 값보다 크다.
글레이징 영역의 불투명도 레벨은 이 영역의 제1 및 제2 전도성 층들(24, 26)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V)이 감소할 때 증가한다.
따라서, 개별 불투명화 명령은 초기 값(VMAX)과 VMAX보다 작은 최종 값(VMIN) 사이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압(V)의 감소하는 변화를 명령하도록 규정되며, 전압은 이 영역의 제1 및 제2 전도성 층들(24, 26) 사이에 인가된다.
본원의 나머지 부분에서, "영역 전압 변화 함수"라는 용어는 이 영역의 제1 및 제2 전도성 층(24, 26) 사이에 명령된 시간에 따른 전압 변화를 지정하는 데 사용된다.
영역 전압 변화 함수는 선형이거나 비선형일 수 있다. 특히, 영역 전압 변화 함수는 영역의 불투명도의 점진적인 페이딩 또는 영역의 불투명도의 점진적인 향상을 달성하는 방식으로 규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압 변화 함수는 예를 들어 이하에 설명되는 개별 불투명 변경 명령의 순서화와 관련하여 애니메이션 효과를 생성하기 위해 영역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불투명화 단계(E2)는 선택된 영역에 대한 개별 불투명화 명령의 순서를 지정하는 하위 단계(E22)를 포함한다.
시퀀싱 순서는 제1 또는 제2 방향(281, 282)으로 제어 라인의 방향에 의해 규정된다. 따라서 하위 단계(E22)는 영역별로 시작되어,
- 제어 방향이 제1 방향(281)으로 결정되는 경우, 영역 Zi의 증가하는 시퀀스 번호 i에 따라, 또는
- 제어 방향이 제2 방향(282)으로 결정되는 경우, 영역 Zi의 감소하는 시퀀스 번호 i에 따라,
불투명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단계 E21에서 결정된 개별 명령은 선택된 영역의 번호 지정 순서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순서로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시간 지연, 예를 들어 500밀리초 지연은, 두 개의 연속적인 개별 명령의 적용을 분리한다. 시간 지연은 두 개의 연속 명령을 분리하는 모든 간격에 걸쳐 일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시간 지연은 애니메이션을 생성하기 위해 간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을 연속적으로 적용하면 시간 지연이 줄어들 수 있으며, 이는 제어 방향의 불투명도 변경을 가속화하는 효과를 생성한다.
도 10은, 파티션(21)의 영역 Z1 내지 Z4에 대한 개별 불투명화 명령의 시퀀싱 구현 모드를 예시한다. 그래프 G1은 시간의 비선형 증가 함수에 의해 영역 Z1 내지 Z4 각각의 시간에 따른 불투명도의 변화를 도시한다.
시간 경과에 따른 불투명도 변화 프로파일은 한 영역에서 다른 영역까지 거의 동일하며, 이는, 각 영역이 동일한 주기에 따라 불투명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프로필은 진화적 변형 형태일 수 있다:
- 주어진 불투명 속도에 도달할 때까지 사이클 시작 시 불투명도가 약간 가속되면서 최소 불투명도(OPMIN) 값에서 시작하고,
- 최대 불투명 값(OPMAX)에 가까운 불투명도에 도달할 때까지 주어진 불투명 속도를 유지하고,
- 사이클의 종료시에 불투명도가 둔화된다.
변형예에 따르면, 프로파일은 최소(OPMIN) 불투명도 값과 최대(OPMAX) 불투명도 값 사이의 선형 형태일 수 있다.
반대로, 두 개의 연속적인 개별 불투명화 명령들 사이의 시간 지연은 다양하며 특히 시간의 함수에 따라 감소한다:
- 영역 Z1에 대한 제1 개별 불투명화 명령은 시간 T=0에서 주문된다.
- 제1 지연 Δt1은 영역 Z1에 대한 제1 개별 불투명화 명령과 영역 Z2에 대한 제2 개별 불투명화 명령 사이에 적용된다.
- 제1 지연 Δt1보다 작은 제2 지연 Δt2는 영역 Z2에 대한 제2 개별 불투명 명령과 영역 Z3에 대한 제3 개별 불투명 명령 사이에 적용된다.
- 제2 지연 Δt2보다 작은 제3 지연 Δt3은 영역 Z3에 대한 제3 개별 불투명 명령과 영역 Z4에 대한 네 번째 개별 불투명 명령 사이에 적용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 제2 영역 Z2의 불투명화는 제1 영역 Z1이 제1 불투명도 OP1 레벨에 도달할 때 시작된다.
- 제3 영역 Z3의 불투명화는 제2 영역 Z2가 제2 불투명도 레벨 OP2에 도달할 때 시작되고, 제1 불투명도 레벨 OP1보다 낮다.
- 제4 영역 Z4의 불투명화는 제3 영역 Z3이 제2 불투명도 OP2 레벨보다 낮은 제3 불투명도 OP3 레벨에 도달할 때 시작된다.
따라서, 그래프 G1은, 글레이징의 불투명화 속도의 점진적인 가속을 구현하는 방법의 구현 모드를 도시하며, 각 영역은 동일한 불투명화 곡선을 따라 개별적으로 변경된다.
대안적으로, 단계 E1이 불투명도를 감소시키는 명령을 검출한 경우, 이는 불투명화 해제 단계 E3으로 이어진다.
불투명화 단계 E3은, 불투명화 단계 E2와 동일한 원리에 따라 수행된다. 즉, 단계 E3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각각의 선택된 영역에 대한 개별 불투명화 명령을 결정하는 하위 단계 E31, 및
- 선택된 영역에 대한 개별 불투명화 명령을 순서화하는 하위 단계 E32.
하위 단계 E31에서는, 선택된 각 영역에 대해 개별 불투명화 명령이 결정된다.
개별 불투명화 명령은 초기 값(OPMAX)과 최종 값(OPMIN) 사이에서 영역의 시간에 따른 불투명도 변화를 명령하도록 규정되며, 최종 값은 초기 값보다 적다. 불투명도가 이 영역의 제1 및 제2 전도성 층들(24, 26) 사이에 인가된 전압과 반대 방향으로 변하기 때문에, 개별 불투명화 해제 명령은 초기 값(VMIN)과 VMIN보다 큰 최종 값(VMAX) 사이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압(V)의 증가하는 변화를 명령하도록 규정된다.
선택된 영역들에 대한 개별 불투명화 해제 명령을 순서화하는 하위 단계(E32)는 불투명화에 대해 전술한 하위 단계(E22)와 동일한 원리에 따라 동작한다. 시퀀싱 순서는 제1 또는 제2 방향(281, 282)으로 제어 라인의 방향에 의해 규정된다. 따라서, 하위 단계(E32)는 영역별로,
- 제어 방향이 제1 방향(281)으로 결정되면 영역 Zi의 증가하는 시퀀스 번호 i에 따라, 또는
- 제어 방향이 제2 방향(282)으로 결정되는 경우 영역 Zi의 감소하는 시퀀스 번호 i에 따라.
불투명도 해제를 시작한다.
하위 단계(E32)에서 구현된 순서화에 대한 설명은 하위 단계(E22)에서 구현순서화에 대한 설명과 유사하다.
제1 구현 모드의 다양한 변형에들이 고려될 수 있다.
제1 변형예는, 제1 전환 테이블과 다른 전환 테이블,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전환을 설명하는 표 2에 설명된 제2 전환 테이블을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도 11은, 글레이징의 제2 동작 로직에 따라 글레이징의 두 안정 상태들 사이의 가능한 전환을 도시한다.
제2 전환 테이블은 불투명도 변경의 단방향 이동을 구현한다. 즉, 글레이징(1)은
- 제1 방향(281)으로만 투명해지고,
- 제2 방향(282)으로만 불투명해진다.
결과적으로, 제2 전환 테이블에 설명된 동작은 안정 상태(ES4)에 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 않는다. 즉, 이와 같은 구현 모드에서, 글레이징 전면에 위치된 파티션(21)은 글레이징 후면에 위치된 파티션(22)이 불투명한 경우에만 불투명해질 수 있으며, 글레이징 전면에 위치된 파티션(21)이 투명해진 경우에만 글레이징 후면에 위치된 파티션(22)이 투명해질 수 있다.
제어 인터페이스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는 자동차(10)의 사용자가 사전 규정된 파티션 세트 및 이 사전 규정된 파티션 세트를 포함하는 글레이징의 가능한 안정 상태로부터 전환 테이블을 선택하거나 구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구성은, 글레이징 파티션들의 수, 다양한 파티션들 사이의 글레이징 영역 분포, 이들 파티션과 관련된 글레이징의 가능한 안정적인 상태, 전환 테이블 규정, 글레이징의 가능한 안정적인 상태들 사이의 전환 테이블의 규정과도 관련될 수 있다.
최소 레벨(OPMIN)과 최대 레벨(OPMAX) 사이의 중간 불투명도의 수는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 구성된 다양한 불투명도는, 글레이징의 가능한 안정 상태 규정은 물론 이들 안정 상태들 간의 전환 표를 고려해야 한다.
위에서 설명한 구현 모드들 중 하나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다른 변형 구현 모드에는 자동 글레이징 제어 단계(E4)가 포함될 수 있다.
자동 글레이징 제어 단계(E4)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의 구현 모드가 도 12에 설명되어 있다.
이 구현 모드에서, 상기 단계(E1)는 이 단계에 대해 위에서 설명한 처리 외에 자동 모드 활성화를 위한 명령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방향 푸시 버튼을 포함하는 제어 인터페이스(4)의 일 실시예에서, 자동 모드의 활성화를 위한 명령의 검출은 버튼의 제3 위치(43)를 누르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자동 모드의 활성화를 위한 명령의 검출은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또는 음성 명령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또는 음성 명령을 통해 실내의 원하는 온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루프의 불투명 상태가 이 온도에 도달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자동 모드의 활성화 명령이 검출되면, 다음 단계는 불투명 글레이징의 자동 제어 단계(E4)이다.
상기 단계(E4)는 센서들(5)의 세트로부터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목표 불투명도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측정값은 차량 루프의 일광에 대한 하나 이상의 측정값 및/또는 외부 온도의 측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측정은 자동차(10)의 객실의 온도 측정도 포함한다.
상기 단계(E4)는 객실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에 대응하는 목표 온도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사용되는 제어 인터페이스의 형태에 따라, 목표 온도는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및/또는 음성 명령을 통해 사용자의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목표 온도는, 디폴트 값, 예를 들어 20도, 또는 외부 온도 및/또는 내부 온도에 대한 미리 결정된 차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미리 결정된 차이는 아마도 이들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일 수 있다. .
규정된 목표 온도와 햇빛 또는 온도 측정을 기반으로, 글레이징의 불투명도 목표 레벨이 결정되어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에 가까워지도록 한다.
상기 단계(E4)의 구현의 한 모드에서, 글레이징의 모든 영역들은 도 13에 도시된 제5 안정 상태(ES5)의 구현에 대응하는 글레이징의 모든 영역들에 걸쳐 균일하게 불투명도의 목표 레벨을 구현하도록 동시에 제어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E4)는 특히 광선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햇빛 측정에 따라 글레이징의 적어도 하나의 파티션들(21, 22) 중 하나 이상의 선택적인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E4)는, 센서들(5)의 세트로부터의 측정치의 업데이트에 기초하여 목표 불투명도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음, 글레이징의 적어도 하나의 파티션의 전부 또는 일부의 불투명도는, 각 파티션에 대해 업데이트된 목표 불투명도에 따라 변경된다. .
한 구현 모드에서, 특히 다방향 푸시 버튼의 위치들 중 하나를 눌러, 변경 명령이 검출되면, 다음 단계는 불투명도 변경 명령을 검출하는 단계 E2이다.
전반적으로, 본 발명은 간단하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불투명 글레이징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간단하고 직관적인 특성은 무엇보다도 지향성 푸시 버튼의 사용 가능성에서 발생하며,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방향과 불투명도 변경 방향을 시각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 전환 테이블에 의해 규정된, 상기 방법의 제1 구현 모드는 복수의 세그먼트, 특히 7개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화면의 이동을 시뮬레이션한다.
도 14는, 제어 방법의 제1 구현 모드에서 구현된 애니메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을 매우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눈의 도시는, 도시된 글레이징의 4개의 안정 상태들(ES1, ES2, ES3, ES4)의 각각 아래에 위치되어 이와 같은 안정 상태들을 구현하는 동안 글레이징에 대한 사용자의 시점을 나타내도록 한다.
솔리드 직사각형 세그먼트들은 불투명한 글레이징 영역들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안정 상태 ES1은 7개의 불투명한 글레이징 영역들을 나타내는 7개의 솔리드 직사각형 세그먼트로 구성된다.
중공 직사각형 세그먼트들은 가상적이며, 이들은 화면의 가상적인 숨겨진 부분에 대한 정신적 표현을 구현한다. 화면의 숨겨진 부분에 대한 이와 같은 인식은, 화면의 물리적 움직임을 시뮬레이션하는 애니메이션에 의해 생성된다.
예를 들어, 전환 ET14는, 완전히 불투명한 글레이징으로부터, 차량 전면에 위치된 파티션(21)에서만 불투명한 글레이징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전환 ET14의 구현은, 제어 방향(282)으로 파티션(22)에서의 영역들의 불투명도를 연속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수행되며, 이에 따라, 안정적인 상태(ES4)에 도달될 때까지, 스크린이 차량의 전방을 향해 이동하고 스크린의 일부가 차량의 루프로 서서히 사라지는 착각을 일으킨다.
안정적인 상태(ES4)로부터, 사용자가 불투명도가 최소인 글레이징를 얻기 위해 불투명도 변경을 계속하는 경우, 이는 전환 ET42를 구현한다. 이와 같은 전환은, 파티션(21)의 영역 불투명도를 연속적으로 감소시켜 화면이 안정적인 상태 (ES2)에 도달된 후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 차량의 전방을 향해 계속 물리적으로 움직이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따라서, 안정 상태(ES2)의 표현에는 가상 화면의 사라짐을 구현하는 7개의 중공 직사각형 세그먼트들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안정 상태(ES2)의 정신적 표현을 통해, 사용자는 안정 상태(ES2)로부터 글레이징를 불투명하게 하기 위한 다음의 두 가지 가능한 조작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 차량의 전방을 향해 배향된, 제2 방향(282)으로 불투명도 변경을 명령함으로써, 마치 물리적 스크린이 글레이징의 후방에서 사라지고 자동차의 전방을 향해 전개되는 것 처럼, 불투명 영역이 전환 ET23에 따라 차량 후방에 나타날 것이다.
- 차량 후방을 향해 배향되는, 제1 방향(281)의 불투명도 변경을 명령함으로써, 마치 물리적 스크린이 글레이징의 전방에서 사라지고 자동차의 후방을 향해 전개되는 것 처럼, 불투명 영역이 전환 ET24에 따라 차량의 전방에 나타날 것이다.
따라서, 제어 방법의 제1 구현 모드는, 화면이 물리적으로 펼쳐지는 느낌을 생성하여 사용자가 본 발명의 동작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마치 물리적인 화면을 제어하는 것처럼 간단하게 글레이징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 방법의 제1 구현 모드는, 물리적 스크린의 사용에 걸쳐 이점을 누리면서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직관적으로 만드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1 이점은, 불투명도 변화의 다방향 이동에서 발생하며, 이로 인해 앞좌석 승객과 뒷좌석 승객이 서로 독립적으로 불투명도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점은, 특히, 글레이징 전면에 위치된 파티션(21)이 불투명하고 글레이징 후면에 위치된 파티션(22)이 투명한 안정 상태(ES4)에 도달할 가능성에 의해 구현된다.
제2 이점은, 예를 들어 에어컨 시스템과 같은 차량의 다른 기능과 잠재적으로 결합되는 실내의 원하는 온도 및/또는 밝기에 따라 글레이징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점이다.
사용자가 글레이징 파티션을 구성하고 필요에 따라 이와 같은 파티션을 기반으로 규정된 안정 상태 사이의 전환을 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이점들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자동 글레이징 제어는 날씨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파티션 세트(20) 및 불투명도 레벨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동 글레이징 제어는 다음을 사용할 수 있다.
- 제1 햇빛 구성의 제1 파티션 세트: 이 제1 파티션 세트 및 불투명도는 특히 승객실의 전면 및 후면 부분에 서로 다른 불투명도를 갖도록 함으로써 글레이징의 불투명도를 태양광선의 방향에 따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 제2 햇빛 구성의 제2 파티션 세트 및 불투명도: 이 제2 파티션 세트 및 불투명도는, 예를 들어, 승객실의 목표 온도 유지를 최적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2)

  1. 자동차(10)에 대한 불투명 글레이징(2)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글레이징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유리 시트을 포함하고, 각 영역의 불투명도 레벨은 최소값(OPMIN)과 최대값(OPMAX) 사이에서 가변되도록 개별적으로 제어되고, 복수의 유리 시트은 제1 방향(281)으로 증가하는 시퀀스 번호(i)로 배치되며, 상기 방법은,
    - 증가하는 시간의 함수에 따라 각 영역의 불투명도의 레벨의 증가를 포함하는 글레이징의 불투명도를 증가시키는 단계(E2)로, 상기 증가는, 각 영역 간의 시간 지연에 따른 시퀀스 번호(i)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영역별로 초기화되는, 단계, 및/또는
    - 감소하는 시간의 함수에 따라 각 영역의 불투명도의 감소를 포함하는 글레이징의 불투명도를 감소시키는 단계(E3)로, 상기 감소는 각 영역 사이의 시간 지연에 따라 시퀀스 번호(i)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영역별로 초기화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글레이징의 불투명도를 증가시키는 단계(E2)와 글레이징의 불투명도를 감소시키는 단계(E3) 이전에, 글레이징의 불투명도를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을 검출하는 단계(E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명령을 검출하는 단계(E1)는, 제1 방향(281), 또는 제1 방향과 반대의 제2 방향으로 제어 방향(E31)을 결정하는 하위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증가 단계(E2) 및 감소 단계(E3)는,
    - 제어의 배향이 제1 방향(281)에서 결정되는 경우, 영역의 증가하는 시퀀스 번호(i)에 따라, 또는
    - 제어 방향이 제2 방향(282)으로 결정되는 경우, 영역의 감소하는 시퀀스 번호(i)에 따라.
    영역별로, 불투명도의 레벨의 증가 및 감소를 각각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제어 방향을 결정하는 하위 단계는,
    - 누르는 위치에 의해 표시된 제어의 방향(281, 282), 및/또는
    - 제어 버튼(4) 상에 누르는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들의 불투명도의 시간의 증가 또는 감소 함수는 선형 또는 비선형이고 및/또는 상기 영역들의 불투명도의 시간의 증가 또는 감소 함수는 문제의 대응 영역에 따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들(5)의 세트로부터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글레이징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7. 자동차(10)에 대한 불투명 글레이징(2)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 제어 버튼을 짧게 누르는 것과 같은 제1 형태의 명령은, 글레이징의 일부에 적용되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구현 단계를 유발하고, 및/또는
    - 제어 버튼을 길게 누르는 것과 같은 제2 형태의 명령은, 글레이징 전체에 적용되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구현 단계를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8. 불투명 글레이징(2) 장치(1)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2, 3, 4, 5, 20, 21, 22, 31, 32, 33, 34, Z1, Z2, Z3, Z4, Z5, Z6, Z7)), 특히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2, 3, 4, 5, 20, 21, 22, Z1, Z2, Z3, Z4, Z5, Z6, Z7))을 포함하는, 불투명 글레이징(2) 장치(1)
  9.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글레이징 장치(1)가 장착된 자동차(10).
  10.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동작할 때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코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데이터 기록 매체.
  12. 제10항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수반하는, 데이터 매체로부터의 신호.
KR1020247005810A 2021-07-21 2022-06-30 자동차의 불투명 글레이징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202400366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2107870A FR3125471A1 (fr) 2021-07-21 2021-07-21 Procédé de commande d’un vitrage opacifiant pour véhicule automobile.
FRFR2107870 2021-07-21
PCT/EP2022/068148 WO2023001523A1 (fr) 2021-07-21 2022-06-30 Titre : procédé de commande d'un vitrage opacifiant pour véhicule auto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6645A true KR20240036645A (ko) 2024-03-20

Family

ID=77999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5810A KR20240036645A (ko) 2021-07-21 2022-06-30 자동차의 불투명 글레이징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73684A1 (ko)
KR (1) KR20240036645A (ko)
CN (1) CN117836161A (ko)
FR (1) FR3125471A1 (ko)
WO (1) WO2023001523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65161B2 (en) * 2014-06-19 2016-06-14 Mario Arturo Mannheim Astete Panoramic extended windshield with integrated non-moving blind
DE102019129399A1 (de) * 2019-10-31 2021-05-0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ensterscheiben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125471A1 (fr) 2023-01-27
EP4373684A1 (fr) 2024-05-29
CN117836161A (zh) 2024-04-05
WO2023001523A1 (fr)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42520B (zh) 控制电致变色装置的方法和仪器
US20160004362A1 (en) User interface for vehicle interior
KR20170033304A (ko) 일체형 비이동식 블라인드를 갖춘 파노라마 확장형 윈드쉴드
EP2305508A1 (en) User configurable vehicle user interface
US5319248A (en) Automotive vehicle seat adjusting system
CN206394579U (zh) 车辆内部控制系统
GB2561869B (en) A privacy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CN109795410A (zh) 用于促进对未充分利用的特征的建议的方法和设备
DE10321964A1 (de) Fahrzeugdach mit einer Bedieneinrichtung für elektrische Fahrzeugkomponenten sowie Verfahren zur Bedienung elektrischer Fahrzeugkomponenten
CN107364310B (zh) 智能车载空调系统及控制方法
US11966113B2 (en) Composite pane with functional element which can be switched in segments and has electrically controllable optical properties
JPH08282407A (ja) 多機能操作スイッチを持った調整装置
JP6731718B2 (ja) 乗員の感性向上システム
KR20240036645A (ko) 자동차의 불투명 글레이징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WO2011066896A1 (de) Bedieneinheit für klimatisierungsvorrichtung
JP2022509311A (ja) 電気的に制御可能な光学特性を有しており、かつ活性物質の濃度勾配を有している機能要素を備えている複合ペイン
US20120256080A9 (en) Selectively translucent window
US11964453B2 (en) Laminated pane with electrically controllable optical properties and laminated pane assembly
US11820227B2 (en) Functional element having electrically controllable optical properties
KR20240036642A (ko) 자동차에 대한 불투명 글레이징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CN108945386B (zh) 客舱舷窗、智能舷窗系统及客舱舷窗的控制方法
US2022011170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assigned electrically controlled transmission switch elements of a first set in a vehicle sunroof and to a sunroof for control by such a method
US20240116276A1 (en) Glazing unit which has electrically controllable optical properties and multiple independent switching regions
KR20190129995A (ko) 지능형 투과율 제어시스템
US11904665B2 (en) Switchable glass structure for a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