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6234A - 실리콘 오일 및 지방족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는 고경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실리콘 오일 및 지방족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는 고경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6234A
KR20240036234A KR1020220114747A KR20220114747A KR20240036234A KR 20240036234 A KR20240036234 A KR 20240036234A KR 1020220114747 A KR1020220114747 A KR 1020220114747A KR 20220114747 A KR20220114747 A KR 20220114747A KR 20240036234 A KR20240036234 A KR 20240036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bitan
wax
cosmetic composition
oil
high hard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4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영
박현정
지진구
주영아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4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6234A/ko
Publication of KR20240036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623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61K2800/34Free of silic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콘 오일 및 지방족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는 고경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백탁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피이지계 유화제 및 지방족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경도감 및 발림성을 구현할 수 있는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기술이다.

Description

실리콘 오일 및 지방족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는 고경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High hardness oil-in-water cosmetic composition without silicone oil and aliphatic alcohol,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실리콘 오일 및 지방족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는 고경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백탁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피이지계 유화제 및 지방족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경도감 및 발림성을 구현할 수 있는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가로 유해 성분에 대한 배제 요청이나 EWG (Environmental Working Group) 등급을 고려한 제품에 대한 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피이지계 유화제의 경우 합성과정의 부산물인 1,4-다이옥산이 발암물질로 규제되었고, 다이메티콘 및 사이클로메티콘과 같은 실리콘 오일 또한 안전성 이슈로 부정적인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낮은 분자량의 실리콘 오일은 낮은 계면장력과 우수한 퍼짐성으로 유화 크림의 백탁 현상을 감소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다. 이를 처방에서 제외할 경우 피부 도포 시 백탁 현상이 유발되어 제품의 품질 저하로 인식될 수 있다.
피이지계 유화제는 유화력이 우수하여 소량의 사용으로 유화 제형의 안정도를 확보할 수 있다. 피이지계 유화제를 처방에서 배제하고 다른 종류의 유화제를 사용할 경우, 다량의 유화제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안정도 확보를 위하여 유화보조제인 지방족 알코올류(고급알코올)의 사용이 불가피하다. 이 경우 두꺼운 발림성과 느린 흡수력 등 불편한 사용감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세테아릴올리베이트, 소르비탄올리베이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올리브 오일 라우릴 에스터(Hydrogenated Olive Oil Lauryl Esters)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부터 피이지계 유화제, 실리콘 오일 및 지방족 알코올을 첨가하지 않았음에도 백탁 현상이 없고 발림성이 우수하며 경도감이 유지되는 크림 제형의 구현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소르비탄계 유화제 및 왁스를 포함하는 고경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음을 포함하는 고경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금속이온봉쇄제, 보습제 및 방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수상부의 원료를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 혼합 단계;
상기 1차 혼합물에 점증제를 첨가하여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 혼합 단계; 및
상기 2차 혼합물에 소르비탄계 유화제, 왁스, 및 피부컨디셔닝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유상부의 원료를 첨가하여 3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3 혼합 단계.
본 발명은 실리콘 오일을 함유하지 않으면서도 피부에 도포 시 두께감을 최소화하여 백탁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방족 알코올의 사용을 배제한 단단한 제형감의 고경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지방족 알코올은 수중유형의 에멀젼에서 내상에 배열되어 단단한 경도감을 부여하고 유화 안정도를 향상시켜주는 유화보조제로 사용되므로 이를 제외하고도 경도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천연유래 왁스를 적용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피이지계 유화제, 실리콘 오일, 및 지방족 알코올에 해당하는 성분들을 세테아릴올리베이트, 소르비탄올리베이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올리브 오일 라우릴 에스터(Hydrogenated Olive Oil Lauryl Esters)로 대체함으로써 크림 제형의 구현이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소르비탄계 유화제 및 왁스를 포함하는 고경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르비탄계 유화제는 세테아릴올리베이트, 소르비탄올리베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소르비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 및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종 이상인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세테아릴올리베이트 및 소르비탄올리베이트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소르비탄계 유화제로 세테아릴올리베이트 및 소르비탄올리베이트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소르비탄계 유화제는 세테아릴올리베이트 및 소르비탄올리베이트를 30:70 내지 70:3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0:60 내지 60:4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45:55 내지 55:4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화제를 2.00 내지 10.0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8.00 중량%, 2.00 내지 6.00 중량%, 4.00 내지 10.00 중량%, 또는 4.00 내지 8.0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4.00 내지 6.0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올리브 오일 라우릴 에스터(Hydrogenated Olive Oil Lauryl Esters), 야자씨드버터 (Astorocayum Murumuru Seed Butter), 라이스 브랜(Rice Bran, Oryza Sativa) 왁스, 시어버터(Shear Butter), 선플라워 왁스, 비즈(Beez) 왁스 및 칸데릴라(Candelilla) 왁스, 및 카나우바(Carnauba, Copernicia Cerifera) 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올리브 오일 라우릴 에스터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왁스를 2.00 내지 10.0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8.00 중량%, 2.00 내지 6.00 중량%, 4.00 내지 10.00 중량%, 또는 4.00 내지 8.0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4.00 내지 6.0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다음을 포함하는 고경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다:
금속이온봉쇄제, 보습제 및 방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수상부의 원료를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 혼합 단계;
상기 1차 혼합물에 점증제를 첨가하여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 혼합 단계; 및
상기 2차 혼합물에 소르비탄계 유화제, 왁스, 및 피부컨디셔닝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유상부의 원료를 첨가하여 3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3 혼합 단계.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혼합 단계 내지 제3 혼합 단계는 독립적으로 50 내지 100℃의 온도 조건에서 1 내지 10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의 온도 조건에서 2 내지 8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75 내지 80℃의 온도 조건에서 3 내지 5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혼합 단계는 1차 혼합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물을 용매로서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3 혼합 단계는 유상부의 원료를 먼저 용해한 다음 2차 혼합물에 첨가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3차 혼합물을 10 내지 40℃의 온도 조건이 되도록 냉각하는 냉각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냉각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의 온도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25 내지 30℃의 온도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르비탄계 유화제는 세테아릴올리베이트, 소르비탄올리베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소르비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 및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종 이상인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세테아릴올리베이트 및 소르비탄올리베이트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소르비탄계 유화제로 세테아릴올리베이트 및 소르비탄올리베이트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소르비탄계 유화제는 세테아릴올리베이트 및 소르비탄올리베이트를 30:70 내지 70:3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0:60 내지 60:4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45:55 내지 55:4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올리브 오일 라우릴 에스터, 야자씨드버터, 라이스 브랜 왁스, 시어버터, 선플라워 왁스, 비즈 왁스 및 칸데릴라 왁스, 및 카나우바 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올리브 오일 라우릴 에스터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금속이온봉쇄제는 다이소듐이디티에이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의 기술자에 의하여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부틸렌글라이콜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의 기술자에 의하여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1,2-헥산다이올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의 기술자에 의하여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폴리아크릴레이트-13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의 기술자에 의하여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피부컨디셔닝제는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의 기술자에 의하여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리콘 오일 및 지방족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는 고경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백탁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피이지계 유화제 및 지방족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경도감 및 발림성을 구현할 수 있는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기술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백탁도를 평가하기 위한 피부 도포 사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도포 전후 백탁도를 비교하여 평균 L 값(L.value)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도포 전후 백탁도를 비교하여 L 값 평균 변화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이다.
제조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은 지방족 알코올(세틸알코올) 및 피이지계 유화제(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를 함유하고 실리콘오일(다이메티콘)을 함유하지 않은 고경도 수중유형 크림, 비교예 2는 지방족 알코올, 피이지계 유화제 및 실리콘오일을 함유하는 고경도 수중유형 크림, 실시예 1은 지방족 알코올, 피이지계 유화제 및 실리콘오일을 모두 함유하지 않는 고경도 수중유형 크림이다.
원료 구성품명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수상부 정제수 70.18 68.18 67.18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부틸렌글라이콜 5.00 5.00 5.00
1,2-헥산다이올 2.00 2.00 2.00
점증제 폴리아크릴레이트-13 0.80 0.80 0.80
유상부 세틸알코올 5.00 5.00 -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50:50) 2.00 2.00 -
세테아릴올리베이트/소르비탄올리베이트(50:50) - - 5.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올리브 오일 라우릴 에스터 - - 5.00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15.00 15.00 15.00
다이메티콘 - 2.00 -
먼저 상기 표 1에 기재된 수상부의 원료를 함량에 따라 비이커에 계량한 후 75 내지 80℃의 온도에서 호모믹서(Homo mixer)를 이용하여 7,000 rpm으로 3분간 균일하게 교반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같은 온도에서 1차 혼합물에 점증제를 투입하고 7,000 rpm으로 3분간 균일하게 교반하여 2차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같은 온도에서 유상부의 원료를 용해한 다음 7,000 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2차 혼합물과 교반하여 3차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3차 혼합물을 30℃의 온도가 될 때까지 냉각하였고 기포를 제거하여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에 해당하는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유화 백탁도 평가
종래의 크림 제품은 실리콘 오일을 함유하지 않을 경우 유화제와 지방족 알코올에 의한 두꺼운 발림성에 의하여 피부 도포 시 하얗게 보이는 백탁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백탁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반적으로 실리콘 오일을 추가하는 방법이 있다.
화장료 조성물의 구성에 따른 백탁 현상의 발생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만 30세의 성인 5명을 대상으로 제품 사용시의 백탁 현상 비교 평가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시험부위(하박내측, 40 mm)를 비누로 세안 후 10분간 항온항습실(22±2℃, 40~60% RH)에서 대기한 뒤, 제품 도포 전 사진을 촬영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에 해당하는 시험 제품을 시험부위에 80 ㎕ 도포 후 시계방향으로 10회 롤링하여 흡수시키고 사진을 촬영하여 평균 L 값(L.value)을 얻었다. 사진은 VISIA-CR(Canfield Scientific, Inc., U.S.A)로 측정하였으며 제품 사용 전후의 평균 L 값 및 표준편차를 비교하여 도포한 시험 제품별 피부 백탁도를 평가하였다. L 값은 색상의 밝기 정도를 나타내며 평균 L 값이 증가할수록 피부 백탁도가 높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도 1a 내지 1c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1에서 관찰되는 백탁 현상이 실리콘 오일을 추가한 비교예 2에서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은 지방족 알코올 없이도 천연 왁스로 크림 제형에 필요한 경도 형성에 도움을 주고, 피이지계 유화제 및 실리콘 오일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비교예 2와 유사한 수준으로 백탁 현상이 감소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Claims (12)

  1. 소르비탄계 유화제 및 왁스를 포함하는 고경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르비탄계 유화제는 세테아릴올리베이트, 소르비탄올리베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소르비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 및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고경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르비탄계 유화제는 세테아릴올리베이트, 소르비탄올리베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소르비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 및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인 것인, 고경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르비탄계 유화제는 세테아릴올리베이트 및 소르비탄올리베이트를 30:70 내지 70:3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고경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유화제를 2.00 내지 10.00 중량% 포함하는 것인, 고경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올리브 오일 라우릴 에스터(Hydrogenated Olive Oil Lauryl Esters), 야자씨드버터(Astorocayum Murumuru Seed Butter), 라이스 브랜(Rice Bran, Oryza Sativa) 왁스, 시어버터(Shear Butter), 선플라워 왁스, 비즈(Beez) 왁스, 칸데릴라(Candelilla) 왁스, 및 카나우바(Carnauba, Copernicia Cerifera) 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고경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왁스를 2.00 내지 10.00 중량% 포함하는 것인, 고경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8. 다음을 포함하는 고경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금속이온봉쇄제, 보습제 및 방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수상부의 원료를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 혼합 단계;
    상기 1차 혼합물에 점증제를 첨가하여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 혼합 단계; 및
    상기 2차 혼합물에 소르비탄계 유화제, 왁스, 및 피부컨디셔닝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유상부의 원료를 첨가하여 3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3 혼합 단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혼합 단계 내지 제3 혼합 단계는 독립적으로 50 내지 100℃의 온도 조건에서 1 내지 10분 동안 수행되는 것인, 고경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3차 혼합물을 10 내지 40℃의 온도 조건이 되도록 냉각하는 냉각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고경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르비탄계 유화제는 세테아릴올리베이트, 소르비탄올리베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소르비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 및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고경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올리브 오일 라우릴 에스터(Hydrogenated Olive Oil Lauryl Esters), 야자씨드버터(Astorocayum Murumuru Seed Butter), 라이스 브랜(Rice Bran, Oryza Sativa) 왁스, 시어버터(Shear Butter), 선플라워 왁스, 비즈(Beez) 왁스, 칸데릴라(Candelilla) 왁스, 및 카나우바(Carnauba, Copernicia Cerifera) 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고경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220114747A 2022-09-13 2022-09-13 실리콘 오일 및 지방족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는 고경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362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747A KR20240036234A (ko) 2022-09-13 2022-09-13 실리콘 오일 및 지방족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는 고경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747A KR20240036234A (ko) 2022-09-13 2022-09-13 실리콘 오일 및 지방족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는 고경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6234A true KR20240036234A (ko) 2024-03-20

Family

ID=90483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747A KR20240036234A (ko) 2022-09-13 2022-09-13 실리콘 오일 및 지방족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는 고경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623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901B1 (ko) 반투명 화장료
KR20150116655A (ko) 난용성 기능성 성분을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
KR101813222B1 (ko) 워터드롭 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41563A (ko) 투명한 화장료 조성물
JP2007254404A (ja) 水中油型乳化白濁皮膚化粧料
KR20170065947A (ko) 오일-볼 화장료 조성물
TWI791684B (zh) 在內相中穩定化高含量爐甘石的水包油型化妝料組合物及其化妝品
KR102359729B1 (ko) 유화 제형의 끈적임 저감 및 투명도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JP2634444B2 (ja) クリーム状または乳液状の油中水滴型乳化化粧料
KR20240036234A (ko) 실리콘 오일 및 지방족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는 고경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419740A (zh) 一种高效持妆粉底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高效持妆粉底液
KR101221231B1 (ko) 투명한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2218872B1 (ko) 끈적임이 적은 배니싱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75094B1 (ko) 고함량의 오일을 포함하는 저점도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338503B1 (ko) 비중조절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40055938A (ko) 실리콘 오일 및 peg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저백탁 고경도 수중유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H0552810B2 (ko)
KR102439920B1 (ko) 젤리타입의 미스트 화장료 조성물
KR102298141B1 (ko) 유중수형 유화베이스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4901A (ko) 투명한 화장료 조성물
KR100559691B1 (ko) 주름완화물질을 함유하는 유화형 고형 파운데이션 조성물
KR20180033341A (ko) 전상온도유화법을 이용한 나노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JPS6030647B2 (ja) クリ−ム状または乳液状の油中水滴型乳化化粧料
JPH0995433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20190071643A (ko) 친수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