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4747A - 침지 노즐 - Google Patents

침지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4747A
KR20240034747A KR1020247000401A KR20247000401A KR20240034747A KR 20240034747 A KR20240034747 A KR 20240034747A KR 1020247000401 A KR1020247000401 A KR 1020247000401A KR 20247000401 A KR20247000401 A KR 20247000401A KR 20240034747 A KR20240034747 A KR 20240034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flow path
cross
openings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0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나에 니시오
히로야수 니이츠마
리카르도 콘테
Original Assignee
시나가와 리프랙토리스 컴퍼니, 리미티드
다니엘리 앤드 씨. 오피시네 메카니케 쏘시에떼 퍼 아찌오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나가와 리프랙토리스 컴퍼니, 리미티드, 다니엘리 앤드 씨. 오피시네 메카니케 쏘시에떼 퍼 아찌오니 filed Critical 시나가와 리프랙토리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34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474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Abstract

제1 부분(2)에 있어서 유로(21)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이고, 제2 부분(4)에 있어서 유로(41)의 횡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며, 접속부분(3)에 있어서 유로(31)의 형상은 제1 부분(2) 의 유로(21)와 제2 부분(4)의 유로(41)를 연속적으로 접속하는 형상이며, 제2 부분(4)에 있어서 직사각형의 장변의 길이 a와 단변의 길이 b의 비율(a/b)는 3 이상 7 이하이며, 제2 부분(4)의 유로(41)의 단면적 S2는 제1 부분(2)의 유로(21)의 단면적 S1보다 크고, 개구부(5)는 2개의 제1 개구부(51) 및 제2 개구부(52)를 포함하고, 제1 개구부(51)는 제2 부분(4)의 2개의 측면(44)에 하나씩 개구되고, 2개의 측면(44) 중 하나의 측면(44A)과 제2 부분(4)의 저면(45)에 걸쳐 개구되고, 2개의 제2 개구부(52)의 다른 쪽(52B)은 2개의 측면(44) 중 다른 쪽의 측면(44B)과 저면(45)에 걸쳐 개구되어 있다.

Description

침지 노즐
본 발명은 얇은 슬래브를 연속주조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침지 노즐에 관한 것이다.
연속주조와 그 결과로 얻은 슬래브의 열간압연을 직접 연결하는, 이른바 직결화를 통해 슬래브 가열공정을 생략하고 에너지를 절약하는 효과가 주목받고 있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연속주조 측에서 얇은 슬래브화를 지향하고 있다. 얇은 슬래브(예를 들어 두께가 200㎜ 이하)를 주조할 때, 금형을 평평하게 해야 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침지 노즐도 평평하게 해야 한다(예: 특허문헌 참조).
일본특허공개 평08-039208호 공보
얇은 슬래브 주조에 있어서는 피막현상이 특히 문제가 되기 쉽다. 이것은 얇은 슬래브의 경우 용강 표면 면적의 종횡비가 커서 일반 슬래브보다 표면온도 저하가 발생하기 쉽고, 침지부의 노즐 단면적이 넓을수록 노즐에 의한 열탈출이 발생하여 온도가 더 낮아지기 쉽기 때문이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침지 노즐에 따르면, 침지 노즐과 몰드벽 사이에 발생하는 지금(地金)부착 및 광폭주형 단부 부근에 발생하는 용융금속 표면의 피막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용융금속의 흡입현상 및 응고쉘의 재용해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침지 노즐은 메니스커스 부분의 피막 발생을 억제하는 것에 대해서는 충분하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얇은 슬래브 연속 주조에서 메니스커스 부분의 피막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침지 노즐을 실현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관한 침지 노즐은 유로와 개구부를 구비하고, 기단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부분, 접속부분, 및 제2 부분이 설치되어 있는 침지 노즐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유로의 횡단면의 형상은 원형이고, 상기 제2 부분에서, 상기 유로의 횡단면의 형상은 직사각형이고, 상기 접속부분에서, 상기 유로의 형상은,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유로와 상기 제2 부분의 유로를 연속적으로 접속하는 형상이고, 상기 제2 부분에서, 상기 직사각형의 장변의 길이(a)와 단변의 길이(b)의 비율(a/b)은 3 이상 7 이하이고,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유로의 단면적(S2)은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유로의 단면적(S1) 보다 크고, 상기 개구부는 2개의 제1 개구부와 2개의 제2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제2 부분의 2개의 단변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측면에 하나씩 개구되어 있고, 2개의 상기 제2 개구부 중 하나는 2개의 상기 측면 중 하나의 측면과 상기 제2 부분의 선단의 면인 저면에 걸쳐서 개구되어 있고, 2개의 상기 제2 개구부의 다른 하나는 2개의 상기 측면 중 다른 하나의 측면과 상기 저면에 걸쳐서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얇은 슬래브 연속 주조에서 상기 구성의 침지 노즐을 사용하면, 메니스커스 부분의 피막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다만, 아래에 기재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침지 노즐은, 일 실시형태로서, 상기 제1 개구부의 상기 측면의 개구면적(S3), 상기 제2 개구부의 상기 측면의 개구면적(S4) 및 상기 저면의 개구면적(S5)은 아래의 식(1)과 식(2)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4 < S5 (1)
(S4 + S5) / S3 ≥ 1.5 (2)
노즐에서 토출되는 토출 흐름은 금형의 단변에 부딪혀 상승류와 하강류로 분리된다. 여기서, 상승류가 지나치게 강하면 분말이 끼이는 문제 등이 발생하기 쉽고, 하강류가 지나치게 강하면 개재물이나 기포 등이 떠오르기 어렵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승류와 하강류의 균형이 적절하게 유지되어, 과도한 메니스커스 유동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침지 노즐은, 일 실시형태로서, 상기 제1 개구부의 상기 측면의 개구면적(S3)은 상기 유로측의 개구면적(S6)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1 개구부에서 흡입 유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침지 노즐은, 일 실시형태로서, 최대 폭이 300m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이 구성에 따르면, 급속교환장치를 사용하여 침지 노즐의 교환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성이 향상된다. 이를 통해 주조 중에 노즐을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어, 얇은 슬래브 연속 주조에서 주조 조건이 까다로운 고급 강종을 주조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과 장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아래의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노즐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노즐의 측면 단면도(도 1의 라인 II-II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노즐의 제1 부분의 횡단면도(도 1의 라인 III-III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노즐의 제2 부분의 횡단면도(도 1의 라인 IV-IV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노즐의 제2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노즐의 제2 부분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침지 노즐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침지 노즐을 몰드 두께가 200mm 이하인 슬래브의 연속 주조에 사용되는 침지 노즐(1)(이하, 간단히 노즐(1)이라고 함)에 적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침지 노즐의 전체 구성]
노즐(1)은 내화 재료로 형성된 통 형상의 부재이다. 내부에는 용강을 유통시키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고, 선단부에는 개구부(5)가 설치되어 있다. 노즐(1)에는, 기단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부분(2), 접속부분(3) 및 제2 부분(4)이 설치되어 있고, 각 부분의 형상이 다르다(도 1, 도 2). 노즐(1)은, 제1 부분(2)에서 상류측의 설비(스토퍼, 슬라이딩 노즐 등. 도시하지 않음)와 접합되어 있고, 상류측의 설비로부터 유입된 용강이 유로를 유통한다. 제2 부분(4)에는 개구부(5)(제1 개구부(51) 및 제2 개구부(52))가 설치되고, 개구부(5)로부터 몰드(도시하지 않음)로 용강이 유출된다.
노즐(1)을 구성하는 내화 재료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에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내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내화 재료로서는, 알루미나-흑연질, 마그네시아-흑연질, 스피넬-흑연질, 지르코니아-흑연질, 칼슘 지르코네이트-흑연질, 고알루미나질, 알루미나-실리카질, 실리카질, 지르콘질, 스피넬질 등이 예시된다. 또한, 존 라이닝을 적절히 적용해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방향을 언급할 때는, 도 1에 나타내는 배치를 기준으로 한다. 즉, 상하 방향에 대해서 언급할 때는, 기단측(제1 부분(2)측)을 상(상부, 상방, 상측, 상류 등)이라고 칭하고, 선단측(제2 부분(4)측)을 하(하부, 하방, 하측, 하류 등)이라 칭한다.
또한, 유로의 단면에 대하여 언급할 때는, 특기하지 않는 한, 상기에 정의한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도 1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을 말하는 것으로 하고, 당해 단면을 횡단면이라고 칭한다. 또한, 노즐(1)의 사용시에 있어서, 용강은 상기 정의한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흐르기 때문에, 상기 정의한 횡단면은 용강의 유동 방향에 대한 단면이기도 하다.
[제1 부분의 구성]
제1 부분(2)은 노즐(1)의 기단 측의 주요 부분이다. 제1 부분(2)에서, 유로(21)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이다(도 1 내지 도 3). 또한, 여기서 말하는 원형은, 수학적 의미에서의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실질적으로 원형으로서 취급할 수 있는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공업 제품으로서 원형을 실현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수학적 원형으로부터의 편차(공차 등)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로(21)의 단면적(S1)은 6000㎟이다.
[제2 부분의 구성]
제2 부분(4)은 노즐(1)의 선단 측의 주요 부분이다. 제2 부분(4)에서, 유로(41)의 횡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도 1, 도 2 및 도 4). 여기서 말하는 직사각형은 수학적 의미에서 직사각형(직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으로 취급 가능한 형상 일 수있다. 따라서, 공업 제품으로서 직사각형을 실현할 때에 통상 적용되는 변형(모따기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되고, 수학적 직사각형으로부터의 일탈(공차 등)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로(41)의 단면적(S2)은 10000㎟이다. 따라서, 유로(41)의 단면적(S2)은 유로(21)의 단면적(S1)보다 크다. 이와 같이, 하류 영역(유로(41))의 단면적을 상류 영역(유로(21))의 단면적보다 크게 함으로써, 개구부(5)로부터 토출되는 용강의 유속이 저감된다. 이에 따라, 몰드 내에서 상승 흐름이 얻어지고, 과도한 메니스커스 유동이 억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로(41)의 횡단면 형상에 있어서, 직사각형의 장변(42)의 길이 a는 200mm이고, 단변(43)의 길이 b는 50mm이다(도 4). 따라서 양자의 비율 a/b는 4.0이다. 또한, 직사각형의 형상은 상기 수치에 한정되지 않고, 비율 a/b가 3 이상 7 이하인 범위에서 변경될 수 있다. 비율 a/b를 변경하는 경우, 직사각형의 장변(42)의 길이 a 및 단변(43)의 길이의 양쪽이 변경될 수 있지만, 단변(43)의 길이 b는 몰드의 단변의 길이에 의해 규제되기 때문에, 장변(42)의 길이 a는 일반적으로 자유도가 높다.
비율 a/b가 3 이상 7 이하이면, 유로(41)의 벽면으로부터 용강류가 박리되기 어렵고, 적정한 흐름이 얻어진다. 한편, 비 a/b가 3 미만이면, 장변(42)의 길이 a가 과소하게되어, 주조에 필요한 내관 단면적을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비 a/b가 7을 초과하면, 장변(42)의 길이 a가 과대해져 노즐(1)의 중량이 커지기 쉬워, 노즐(1)을 취급하는 작업자 및 장치의 부하가 커질 수 있다. 또한, 비 a/b가 7을 초과하면, 접속부분(3)에 있어서의 장변 방향의 유로(31)의 변형이 가파르게되어, 유로 벽면으로부터의 용강류의 박리를 유발할 수 있다.
유로(41)의 횡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인 것에 대응하여, 제2 부분(4)의 실체 부분(내화재료 부분)의 횡단면 형상도 직사각형이며, 따라서 제2 부분(4)은 저저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 되었습니다. 직사각형의 장변(42)에 대응하는 면의 폭(W)은 270mm이고, 이 폭은 노즐(1)의 최대 폭이다. 이와 같이, 노즐(1)의 최대 폭(W)이 300mm 미만이면, 신속 교환 장치를 이용하여 노즐(1)의 교환 작업을 실시할 때의 작업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것은, 노즐(1)의 최대 폭(W)이 300㎜ 미만이면, 노즐(1)과 몰드와의 치수의 관계상, 몰드의 내측에서 노즐(1)을 교환하는 작업을 행할 여지를 확보하기 쉽기 때문이다.
[개구부의 구성]
제2 부분(4)에 있어서, 직사각형의 단변(43)에 대응하는 측면(44)에는, 제1 개구부(51)가 개구되어 있다(도 1, 도 5). 제1 개구(51)는 2개 제공되고, 2개의 제1 개구(51)(51A, 51B)는 2개의 단변(43)(43A, 43B)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측면(44)(44A, 44B) 하나씩 열려있다. 제1 개구부(51)가 측면(44)에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용강 유동을 몰드의 단변측을 향해 토출 할 수있다. 이것은 몰드 내에 상승 스트림을 생성하여 메니스커스로의 열 공급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측면(44)과, 제2 부분(4)의 길이 방향의 선단의 면인 저면(45)에 걸쳐, 제2 개구부(52)가 2개 개구되어 있다(도 1, 도 5, 도 6). 2개의 제2 개구부(52) 중, 한쪽의 제2 개구부(52A)는 측면(44A)(한쪽의 측면)과 저면(45)에 걸쳐 개구하고 있고, 다른 쪽의 제2 개구부(52B)는 측면(44B)(다른 측면)과 저면(45)에 걸쳐 개방된다. 제2 개구부(52)가 상기 실시형태에서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용강 유동을 몰드 하방을 향하여 토출 할 수 있고, 몰드 내의 용강 유동을 적절하게 배분 할 수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개구부(51)의 측면(44)에 있어서의 개구 면적(S3)(도 5에 나타내는 제1 개구부(51)의 면적)은 2700㎟이다. 또한, 제2 개구부(52)의 측면(44)에 있어서의 개구 면적(S4)(도 5에 표시된 제2 개구부(52)의 면적)는 2000㎟이고, 저면(45)에 있어서의 개구 면적(S5)(도 6에 표시된 제2 개구부(52)의 면적)은 5000㎟이다. 이상의 개구 면적으로부터, 이하의 식(1) 및 식(2)가 성립한다.
S4<S5       (1)
(S4 + S5)/S3 1.5  (2)
제1 개구부(51) 및 제2 개구부(52)를 식(1) 및 식(2)가 만족되는 개구 면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상승류와 하강류의 밸런스가 적정화되어, 과잉의 메니스커스 유동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개구부(51)의 개구 면적(S3) 및 제2 개구부(52)의 개구 면적(S4, S5)은 상기 값에 한정되지 않고, 식(1) 및 식(2)가 만족되는 한 변경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개구부(51)의 유로(41)측에 있어서의 개구 면적(S6)은 4000㎟이다. 따라서, 제1 개구부(51)의 측면(44)에서의 개구 면적(S3)은 유로(41)측에서의 개구 면적(S6)보다 작다.
제1 개구부(51)의 유로(41)측에 있어서의 개구 면적(S6)이, 측면(44)에 있어서의 개구 면적(S3)보다 크거나, 또는 양자가 동일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용강의 유동 방향 출구를 향하여 유로의 단면적이 점점 감소되기 때문에, 용강류가 정류된다. 따라서, 제1 개구부(51)의 상부에서의 흡입 유동의 발생이 억제되고, 제1 개구부(51) 전체로부터 용강이 매끄럽게 토출되기 쉽다.
[접속 부분의 구성]
접속부분(3)은, 제1 부분(2)과 제2 부분(4)을 연속적으로 접속하는 부분이다(도 1, 도 2). 접속부분(3)에서는, 단면 형상이 원형인 제1 부분(2)의 유로(21)와,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인 제2 부분(4)의 유로(41)를 연속적으로 접속하는 형상의 유로(31)가 설치되어 있다. 있다. 따라서, 유로(31)의 단면 형상은 상단(32)에서 원형이고 하단(33)에서 직사각형이다.
[기타 실시형태]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침지 노즐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 실시형태에서 개시되는 구성은,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개시되는 구성과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개구(5)(제1 개구(51) 및 제2 개구(52))에 관한 개구 면적 S3, S4, S5 및 S6은 식(1) 및 식(2)을 만족하고, S3가 S6보다 작은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침지 노즐은 식(1) 및 식(2)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만족시키지 않을 수도 있고, S3이 S6보다 클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노즐(1)의 최대 폭(W)이 270㎜이고, 300㎜ 미만인 구성을 예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침지 노즐의 최대 폭은 300mm 이상일 수 있다.
다른 구성에 관해서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이 가능한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된 다른 실시형태도,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 방법]
다양한 치수 조건의 노즐을 설계하고, CHAM-japan사에서 제작한 유체 해석 소프트웨어 「PHOENICS」를 사용하여, 토출되는 용강류의 양태에 대한 수치 유체 역학 계산을 행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예의 치수 조건은, 후반의 표 1~3에 기재되어 있는 대로이다.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유속 등고선도를 출력하였다. 또한, 계산에 있어서 이하의 각 파라미터를 적용하였다.
·계산 셀수:   약 50만(모델에 따라 변동)
·유체:     용강(1560℃, 밀도 7.08g/㎤)
·주조 속도:   매분 4t
·몰드 사이즈: 1200mm×150mm
[메니스커스 유속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예에 대해서, 출력된 유속 등고선도에 기초하여 메니스커스 유속을 특정하였다. 메니스커스 유속의 값에 따라 A-C의 3단계로 평가하였다.
A: 메니스커스 유속이 10㎝/초 이상 25㎝/초 이하이다.
B: 메니스커스 유속이 25㎝/초를 초과 35㎝/초 이하이다.
C: 메니스커스 유속이 10㎝/초 미만 또는 35㎝/초를 초과한다.
[용강류의 박리]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예에 대해서, 출력된 유속 등고선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제2 부분(4)에 있어서의 용강류의 박리의 유무를 특정하고, 양호여부(A 또는 C)를 판단하였다.
A: 제2 부분(4)의 전역에 있어서 벽면을 따르는 용강류가 형성되어 있다.
C: 제2 부분(4)에 있어서 용강류의 박리가 보인다.
[제1 개구부의 흡입류]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예에 대해서, 출력된 유속 등고선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제1 개구부(51)에 있어서의 흡입류의 유무 및 정도를 특정하였다. 관찰된 상태에 따라 A-C의 3 단계로 평가하였다.
A: 제1 개구부(51)로부터 용강류가 지체되지 않고 토출되어 있다.
B: 제1 개구부(51)의 부근에 용강류의 정체가 인정된다.
C: 제1 개구부(51)에 유입하는 흡입류가 인정된다.
[결과]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예의 치수 조건 및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율 a/b가 3 이상 7 이하의 범위에 있는 실시예 1∼6은, 용강류의 박리의 평가가 A였다. 한편, 비율 a/b가 8.0인 비교예 1은, 용강류의 박리의 평가가 C였다. 또한, S2가 S1보다 큰 실시예 1∼6에서는, 메니스커스 유속이 적정 범위(평가 A 또는 B)였다. 한편, S2가 S1보다 작은 비교예 2에서는, 메니스커스 유속이 바람직한 범위에 없었다(평가 C).
또한, S3, S4 및 S5가 식(2)를 만족하는 실시예 3~6은, 식(2)를 만족하지 않는 실시예 1 및 2에 비해, 메니스커스 유속이 보다 바람직한 범위에 있었다 . 또한, S3이 S6보다 작은 실시예 5 및 6은, S3과 S6이 동일한 실시예 1 및 S3이 S6보다 큰 실시예 2~4에 비해, 제1 개구부의 흡입류에 대해 더 바람직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1]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얇은 슬래브의 연속주조용 침지 노즐에 사용할 수 있다.
1: 침지 노즐
2: 제1 부분
21: 유로
3: 접속부분
31: 유로
32: 접속부분의 상단
33: 접속부분의 하단
4: 제2 부분
41: 유로
42: 장변
43: 단변
44: 측면
45: 저면
5: 개구부
51: 제1 개구부
52: 제2 개구부

Claims (4)

  1. 유로와 개구부를 구비하고, 기단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부분, 접속부분, 및 제2 부분이 설치되어 있는 침지 노즐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유로의 횡단면의 형상은 원형이고,
    상기 제2 부분에서, 상기 유로의 횡단면의 형상은 직사각형이고,
    상기 접속부분에서, 상기 유로의 형상은,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유로와 상기 제2 부분의 유로를 연속적으로 접속하는 형상이고,
    상기 제2 부분에서, 상기 직사각형의 장변의 길이(a)와 단변의 길이(b)의 비율(a/b)은 3 이상 7 이하이고,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유로의 단면적(S2)은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유로의 단면적(S1) 보다 크고,
    상기 개구부는 2개의 제1 개구부와 2개의 제2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제2 부분의 2개의 단변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측면에 하나씩 개구되어 있고,
    2개의 상기 제2 개구부 중 하나는 2개의 상기 측면 중 하나의 측면과 상기 제2 부분의 선단의 면인 저면에 걸쳐서 개구되어 있고,
    2개의 상기 제2 개구부의 다른 하나는 2개의 상기 측면 중 다른 하나의 측면과 상기 저면에 걸쳐서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 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의 상기 측면의 개구면적(S3), 상기 제2 개구부의 상기 측면의 개구면적(S4) 및 상기 저면의 개구면적(S5)은 아래의 식(1)과 식(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 노즐.
    S4 < S5 (1)
    (S4 + S5) / S3 ≥ 1.5 (2)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의 상기 측면의 개구면적(S3)은, 상기 유로측의 개구면적(S6)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 노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대 폭은 300m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 노즐.
KR1020247000401A 2021-07-09 2021-07-09 침지 노즐 KR202400347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25890 WO2023281726A1 (ja) 2021-07-09 2021-07-09 浸漬ノズ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4747A true KR20240034747A (ko) 2024-03-14

Family

ID=84800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0401A KR20240034747A (ko) 2021-07-09 2021-07-09 침지 노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427138B2 (ko)
KR (1) KR20240034747A (ko)
CN (1) CN117580657A (ko)
CA (1) CA3223418A1 (ko)
WO (1) WO202328172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9208A (ja) 1994-07-26 1996-02-13 Sumitomo Metal Ind Ltd 広幅薄スラブ鋳造用浸漬ノズ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2647B2 (ja) 1999-02-09 2002-09-09 東芝セラミックス株式会社 薄スラブ鋳造用扁平ノズル
JP4079415B2 (ja) * 2002-04-26 2008-04-23 黒崎播磨株式会社 薄スラブ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
JP5047854B2 (ja) 2008-03-27 2012-10-10 黒崎播磨株式会社 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
JP5645736B2 (ja) 2011-03-31 2014-12-24 黒崎播磨株式会社 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9208A (ja) 1994-07-26 1996-02-13 Sumitomo Metal Ind Ltd 広幅薄スラブ鋳造用浸漬ノズ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223418A1 (en) 2023-01-12
JPWO2023281726A1 (ko) 2023-01-12
CN117580657A (zh) 2024-02-20
JP7427138B2 (ja) 2024-02-02
WO2023281726A1 (ja) 2023-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MI961243A1 (it) Tuffante per la colata continua di bramme sottili
EP2537610B1 (en) Metal-flow impact pad and diffuser for tundish
JP4271551B2 (ja) タンディッシュによる高清浄度鋼の連続鋳造装置
JP4714539B2 (ja) 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
JPH08294757A (ja) 連続鋳造用注入装置
CN108025352B (zh) 浸渍喷嘴
KR20240034747A (ko) 침지 노즐
JP2005125389A (ja) 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
JP2017177178A (ja) 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及びそのタンディッシュを用いた連続鋳造方法
JP2011143449A (ja) 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における介在物除去方法
KR100551997B1 (ko) 연속주조용 침지노즐
EP1261446B1 (en) Improved nozzle for continuous casting
EP2111316B1 (en) A submerged entry nozzle
JP5206584B2 (ja) 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及び連続鋳造方法
KR102612890B1 (ko) 연속 주조용 침지 노즐
KR100485404B1 (ko) 박형슬라브를연속주조하기위한부분침수노즐
CN113226594B (zh) 浸渍喷嘴
JPH04238658A (ja) 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
TWI770616B (zh) 鋼液分配器上噴嘴結構體及連續鑄造方法
JP5673162B2 (ja) 連続鋳造方法および連続鋳造装置
JP5009033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および連続鋳造装置
JP4319072B2 (ja) 介在物浮上性に優れるタンディシュ
JP2017177180A (ja) 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及びそのタンディッシュを用いた連続鋳造方法
JP6695731B2 (ja) 下部ノズル
EP3725430A1 (en) Molten material process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