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4443A -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 Google Patents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34443A KR20240034443A KR1020220113447A KR20220113447A KR20240034443A KR 20240034443 A KR20240034443 A KR 20240034443A KR 1020220113447 A KR1020220113447 A KR 1020220113447A KR 20220113447 A KR20220113447 A KR 20220113447A KR 20240034443 A KR20240034443 A KR 202400344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s
- container
- container body
- perforation
- cap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1 rin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XECAHXYUAAWDEL-UHFFFAOYSA-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C.C=CC#N.C=CC1=CC=CC=C1 XECAHXYUAAWDE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76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725 thermoplas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459 Nitril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52 natural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194 natura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4000043261 Hevea brasil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11 Urethane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5 discol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53 shamp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4 soa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27—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piston co-operating with a screw-thread in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는 내측에 구획판이 형성되고, 일측에 토출구가 구비되며, 그 내부에 제1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된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캡; 상기 회전캡과 함께 회전되고,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와 스크류 결합되고, 천공부와 가이드나선홈이 형성되며, 그 내부에 제2내용물이 수용되는 천공부재; 상기 천공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누름버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분리 보관된 이종 내용물을 간편하게 혼합하고, 혼합된 이종 내용물을 용이하게 토출 사용할 수 있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에 수용되는 화장품이나 의약품 중에 효능이나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두 가지 이상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혼합 사용되는 내용물을 처음부터 혼합하여 하나의 용기에 함께 수용한 후, 유통 또는 보관하게 되면 용기 내부에서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 내용물이 응고 또는 침전되면서 배출 불량이 발생하거나, 내용물이 변색 또는 변질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서로 다른 내용물을 각각 분리된 다른 용기에 보관하였다가, 사용 시 두 용기의 입구를 각각 개방하고 별도의 용기에 혼합하여 사용해 왔으나, 이러한 방법은 사용의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의 분실 우려가 있으며, 또한 별도의 용기에 보관된 내용물을 하나의 용기에 투입할 때 내용물이 흘러내려 주변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하나의 용기에 이종 내용물을 격리 저장하여 보관한 후, 필요 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혼합 용기가 다양한 형태로 개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혼합 용기로 등록실용신안 제20-0390095호가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의 혼합 용기는 내부에 파우더가 수용되고 내측에 단턱이 형성된 파우더용기와, 상기 파우더용기 내측에 설치되는 칸막이 및 상기 칸막이 상부에 얹혀지며 내부에 에센스가 내장된 에센스용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파우더 화장품과 겔상의 에센스를 별도로 휴대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혼합,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은 액상 내용물과 분말 내용물을 섞기 위해 파우더용기로부터 에센스용기를 분리한 후, 칸막이를 제거하고, 상기 에센스용기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을 파우더용기 내측에 부어 혼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혼합 시 내용물이 용기로부터 흘러나와 주위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51580호로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가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제1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제1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의 하부에 결합하고, 상기 제1 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헤드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헤드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내부공간에 있는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할 수 있게 하는 토출수단; 상기 삽입헤드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는 피스톤돌기와, 제2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피스톤; 및 상기 제2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그 회전에 의해서 상기 피스톤의 하강을 가능케 하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제1 본체부의 내측으로 삽입된 제2 본체부의 헤드상면에 의해 제1 내부공간과 제2 내부공간이 분리되고, 피스톤의 피스톤돌기가 제2 본체부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있다가 상기 피스톤돌기가 관통홀로부터 빠져나오면서 제1 내부공간과 제2 내부공간이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이종 내용물의 혼합 전에 피스톤돌기와 관통홀 사이로 틈새가 생길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제1 내부공간과 제2 내부공간 사이의 기밀을 완벽하게 유지하는데 구조적인 한계가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혼합된 이종 내용물을 정량으로 토출하는 위한 작동버튼과 같은 구성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사용성이 떨어지고, 혼합된 내용물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81825호로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가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로서, 노즐부가 형성되며, 제 1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일 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2 내용물을 수용하는 파우더캡 및 상기 용기본체의 일 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튼캡을 포함한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제 2 내용물이 수용된 파우더캡을 제 1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버튼캡이 파우더캡을 대신하여 용기본체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버튼캡이 용기본체에 체결된 상태로 유통되다가 사용 직전에 파우더캡으로 교체 체결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이종 내용물의 혼합 직전에 용기본체로부터 버튼캡을 분리하고, 그 자리에 파우더캡을 결합하여 상기 파우더캡으로 천공판을 파열한 후, 다시 용기본체로부터 파우더캡을 분리하고, 그 자리에 버튼캡을 결합하여 혼합된 내용물을 토출 사용하는 구조이므로, 이종 내용물을 혼합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그 과정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혼합용기의 유통 및 이종 내용물의 혼합 과정에서 파우더캡 또는 버튼캡이 분실되거나, 외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용기본체의 내측에 구획판 및 상기 구획판을 뚫는 천공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천공부재의 일측에 탄성 재질의 누름버튼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이종 내용물이 천공부재의 작동에 의해 간편하게 혼합됨은 물론, 혼합된 이종 내용물이 누름버튼의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정량으로 토출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측에 구획판이 형성되고, 일측에 토출구가 구비되며, 그 내부에 제1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된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캡; 상기 회전캡과 함께 회전되고,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와 스크류 결합되고, 천공부와 가이드나선홈이 형성되며, 그 내부에 제2내용물이 수용되는 천공부재; 상기 천공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누름버튼을 포함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는 고정캡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캡의 내, 외측으로 작동부재와 회전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에는 회전제한홈이 형성되고, 천공부재에는 회전제한돌기가 형성되어 서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름버튼은 천공부재의 개방된 부분을 덮으면서 일체로 형성되고, 이종 내용물의 혼합 시 그 내부 공간이 천공부재 및 용기본체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캡의 회전에 의해 작동부재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작동부재와 스크류 결합된 천공부재가 구획판을 향해 직선 이동되어 상기 구획판을 뚫는 동시에, 상기 천공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누름버튼이 회전캡의 중앙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캡의 회전에 의해 천공부재가 직선 이동되면서 용기본체의 구획판을 천공함에 따라, 서로 분리 보관된 이종 내용물을 간단한 조작으로 편리하게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천공부재의 일측에 탄성 재질의 누름버튼을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혼합된 이종 내용물을 누름버튼의 가압에 의해 용이하게 정량으로 토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누름버튼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가 천공부재의 작동과 함께 이동되면서 회전캡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됨에 따라, 휴대 또는 보관 시 누름버튼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용기본체의 내부에 구획판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구획판에 의해 분할된 공간에 이종 내용물을 분리 보관함에 따라, 이종 내용물의 혼합 전까지 밀폐 기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종 내용물이 분리 보관된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회전캡의 회전에 의해 천공부재가 구획판을 뚫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회전캡의 회전에 의해 천공부재가 작동되는 모습을 예시한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혼합된 이종 내용물이 누름버튼의 가압에 의해 토출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종 내용물이 분리 보관된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회전캡의 회전에 의해 천공부재가 구획판을 뚫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회전캡의 회전에 의해 천공부재가 작동되는 모습을 예시한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혼합된 이종 내용물이 누름버튼의 가압에 의해 토출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는 용기본체(10)와, 회전캡(20)과, 작동부재(30)와, 천공부재(40)와, 누름버튼(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를 각 구성 별로 나누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용기본체(10)는 화장을 할 때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 양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이며, 그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경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용기본체(10)가 경질의 원통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에 저장되는 내용물의 종류 또는 사용성 또는 디자인적인 요소 등을 감안하여 다양한 형태 또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용기본체(1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폭이 좁고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에는 제1내용물(C1)이 수용되는데, 상기 제1내용물(C1)은 화장품, 샴푸, 린스 또는 비누와 같은 액체 또는 겔 상태의 내용물로써, 상대적으로 낮은 점도를 갖는 액상 내용물은 물론, 높은 점도의 액상 내용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10)는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구비된 본체부(12)와, 상기 본체(12)의 일측에 결합되고 제1내용물(C1)을 토출시키는 토출구(14a)가 구비된 토출부(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부(12)의 일측에는 제1연장돌륜(12a)이 본체부(1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연장돌륜(12a)의 외측으로 토출부(14)가 끼워지면서 고정 결합된다. 이때, 상기 본체부(12)에 대한 토출부(14)의 회전 방지를 위해, 상기 제1연장돌륜(12a)의 외주연과 토출부(14)의 내주연에는 서로 끼워지는 방향으로 각각 돌기와 홈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기본체(10)의 본체부(12)와 토출부(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와 홈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고, 그 외에도 언더컷 결합 또는 나사 결합 또는 강제 끼움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으며, 서로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부(14)의 토출구(14a) 반대편에는 내, 외측연장돌륜(14b, 14c)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내, 외측연장돌륜(14b, 14c) 사이로 본체부(12)의 제1연장돌륜(12a)이 삽입되면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14)는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면서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토출부(14)에는 용기커버(6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용기커버(60)는 용기본체(10)의 토출부(14)를 덮으면서 상기 토출부(14)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데, 사용 시 토출부(14)로부터 분리되어 토출구(14a)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보관 또는 휴대 시 토출부(14)와 결합되어 토출구(14a)를 감추게 된다. 물론, 상기 용기커버(60)는 토출부(14)가 아닌 본체부(12)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도면에서는 용기본체(10)와 용기커버(60)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기와 홈에 의한 결합, 강제 끼움 결합, 언더컷 결합, 자력에 의한 결합 등 상기 용기커버(60)가 용기본체(10)로부터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방식의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커버(60)의 내측에는 밀폐돌기(62)가 돌출 형성되고, 용기본체(10)와 용기커버(60)의 결합 시 상기 밀폐돌기(62)가 토출구(14a)로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토출구(14a)를 폐쇄하면서 용기본체(10)의 내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10)의 타측에는 제2연장돌륜(12b)이 본체부(1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상기 제2연장돌륜(12b)에는 회전제한홈(12c)이 형성되어 천공부재(40)에 형성된 회전제한돌기(42a)가 삽입되고, 이에 따라 상기 천공부재(40)의 회전을 제한하는 동시에, 천공부재(40)의 직선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제한홈(12c)은 일측 단부가 개방되고, 용기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본체(10)의 제2연장돌륜(12b) 외측에는 고정캡(70)이 끼워지면서 결합되며, 상기 고정캡(70)의 내, 외측으로 작동부재(30)와 회전캡(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캡(70)의 내주연에는 제2걸림돌기(72)가 형성되어 작동부재(30)의 제1걸림돌기(32)와 결합되고, 회전제한돌기삽입홈(74)이 형성되어 천공부재(40)에 형성된 회전제한돌기(42a)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고정캡(70)의 회전제한돌기삽입홈(74)은 용기본체(10)의 회전제한홈(12c)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벽에는 구획돌출부(16)가 형성되고, 상기 구획돌출부(16)의 내측에는 구획판(1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돌출부(16)는 용기본체(10)의 내주연에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18)은 구획돌출부(16)와 일체로 형성되어 용기본체(10)의 내부 공간을 제1내용물(C1)이 수용되는 공간과 천공부재(40)가 삽입되는 공간으로 분할할 수 있다.
상기 구획판(18)은 천공부재(40)에 의해 용이하게 뚫릴 수 있도록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되, 우레탄 고무(urethane rubber), 천연고무(natural rubber), 엘라스토머(elastomer), NBR(nitrile-butadiene rubber), 실리콘(silicone) 중 하나 이상의 재질 또는 탄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말랑말랑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고무와 플라스틱 중간 형태의 재질인 TPE(Thermo Plastic Elastomer)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구획판(18)은 상술한 재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일정한 탄성을 갖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판(18)은 구획돌출부(16)의 내벽에 이중 사출 또는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사출 성형되는데, 이는 용기본체(10)의 제1내용물(C1)이 수용되는 공간과 천공부재(40)가 보관되는 공간을 완전히 분리하고, 이종 내용물의 혼합 전까지 밀폐 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구획판(18)의 어느 일면 즉, 천공부재(40)와 접하는 일면에는 천공홈(18a)이 형성되어 이종 내용물의 혼합 과정에서 상기 구획판(18)이 천공홈(18a)을 따라 용이하게 찢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천공홈(18a)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획판(18)의 찢기는 방향을 제어하게 되는데, 특히 "+"와 같은 십자형 또는 구획판(18) 중앙의 한 점으로부터 사방으로 뻗어나간 모양의 방사형(放射形)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캡(20)은 용기본체(10)의 개방된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캡(20)은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되는 부분으로써, 고정캡(70)의 외측을 감싸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내측에 결합된 작동부재(30)를 함께 회전시키게 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캡(20)은 일측이 개방되어 그 부분으로 용기본체(10)가 삽입되고, 그 반대편 중앙에 관통홀(22)이 형성되어 누름버튼(50)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캡(20)의 관통홀(22) 외측에는 내벽(24)이 일정 구간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고, 그 안쪽으로 작동부재(30)와 고정캡(7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캡(20)의 내벽(24) 외주연에는 끼움홈(24a)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재(30)의 내주연에는 끼움돌기(36)가 형성되어 서로 끼움 결합됨에 따라, 상기 회전캡(20)과 작동부재(3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재(30)는 회전캡(30)과 함께 회전되면서 천공부재(40)를 작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작동부재(30)는 회전캡(2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회전캡(20)과 연결되고, 고정캡(70)과 회전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며, 이와 동시에 천공부재(40)의 외측을 감싸면서 상기 천공부재(40)와 스크류 결합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재(30)는 양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로써, 적어도 일부분이 용기본체(10)의 제2연장돌륜(12b) 내측으로 삽입되고, 그 내측으로 천공부재(40)가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재(30)의 외주연에는 제1걸림돌기(32)가 돌출 형성되어 고정캡(70)의 제2걸림돌기(72)와 서로 언더컷 결합되고, 내주연에는 가이드돌기(34)가 형성되어 천공부재(40)에 형성된 가이드나선홈(44)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부재(30)가 고정캡(70)에 대해 회전되는 동시에, 천공부재(40)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재(30)의 내주연에는 끼움돌기(36)가 돌출 형성되어 회전캡(20)의 끼움홈(24a)에 삽입되고, 이를 통해 상기 회전캡(20)과 작동부재(30)가 서로에 대해 헛돌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작동부재(3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슬릿(38)이 형성되는데, 상기 탄성슬릿(38)은 작동부재(30)와 고정캡(70)의 결합 시 상기 작동부재(30)의 일부분이 탄력적으로 오므라들게 하여 서로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며, 작동부재(30)의 끼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천공부재(40)는 작동부재(30)에 의해 직선 이동되면서 용기본체(10)의 구획판(18)을 천공(穿孔)하게 된다.
상기 천공부재(40)는 양측이 개방된 관 형상이고, 그 내부 공간에 제2내용물(C2)이 수용되는데, 상기 제2내용물(C2)은 제1내용물(C1)와 서로 다른 내용물로써, 제1내용물(C1)과 혼합 사용되었을 때 효능이나 효과를 배가시키게 되는 내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천공부재(40)의 외측에는 돌출부(42)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42)를 중심으로 양측에 가이드나선홈(44) 및 천공부(4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42)는 천공부재(40)의 외주연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천공부재(4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즉, 이종 내용물의 혼합 전에는 상기 돌출부(42)가 작동부재(30)의 단부에 접하면서 상기 천공부재(40)가 용기본체(1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이종 내용물의 혼합 후에는 상기 돌출부(42)가 용기본체(10)의 구획판(18)에 접하면서 상기 천공부재(40)가 용기본체(10)의 내측 공간으로 더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42)의 외측에는 적어도 한 쌍의 회전제한돌기(42a)가 형성되어 용기본체(10)의 회전제한홈(12c)을 관통하면서 고정캡(70)의 회전제한돌기삽입홈(74)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10)에 대한 천공부재(40)와 고정캡(70)의 회전이 제한되는 동시에, 상기 천공부재(40)의 회전제한돌기(42a)가 용기본체(10)의 회전제한홈(12c) 내에서 직선 이동된다.
상기 가이드나선홈(44)은 작동부재(30)의 가이드돌기(34)와 스크류 결합되어 천공부재(40)의 이동을 안내한다. 즉, 상기 작동부재(30)의 가이드돌기(34)가 회전되면서 천공부재(40)의 가이드나선홈(44)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천공부재(40)는 회전이 제한되어 용기본체(10)의 구획판(18) 방향으로 밀리면서 직선 이동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나선홈(44)은 천공부재(40)의 원활한 작동, 이동거리 등을 고려하여, 천공부재(40)의 외주연 둘레를 따라 적절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천공부(46)는 천공부재(40)의 일측 단부에 복수로 형성되어 구획판(18)의 어느 일면을 강제로 밀면서 뚫는다. 상기 천공부(46)는 천공부재(40)의 단부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구획판(18)을 용이하게 천공하기 위해 그 끝 부분이 날카롭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천공부(46)의 외측이 구획판(18)의 내벽에 끼워지면서 천공부재(40) 내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천공부재(40)의 천공부(46) 외주연이 구획판(18)의 내주연에 타이트하게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천공부재(4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제2내용물(C2)이 이종 내용물의 혼합 전까지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누름버튼(50)은 천공부재(40)과 일체로 형성되고,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면서 이종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게 된다.
상기 누름버튼(50)은 천공부재(40)의 개방된 부분을 덮으면서 형성되어 이종 내용물의 혼합 시 그 내부 공간이 천공부재(40) 및 용기본체(10)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고, 가압에 의해 용기본체(10) 내의 이종 내용물을 토출구(14a)로 정량 토출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누름버튼(50)은 사용자에 의해 탄성 변형 또는 복원되면서 천공부재(40) 및 용기본체(10)의 내부 압력을 변화시키고, 이와 같은 압력 변화를 통해 이종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게 된다.
이처럼, 상기 누름버튼(50)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되, 구획판(18)과 마찬가지로 우레탄 고무(urethane rubber), 천연고무(natural rubber), 엘라스토머(elastomer), NBR(nitrile-butadiene rubber), 실리콘(silicone) 중 하나 이상의 재질 또는 탄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말랑말랑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고무와 플라스틱 중간 형태의 재질인 TPE(Thermo Plastic Elastomer)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누름버튼(50)은 상술한 재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일정한 탄성을 갖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누름버튼(50)은 회전캡(20)의 회전에 의해 천공부재(40)와 함께 이동되면서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누름버튼(50)은 천공부재(4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회전캡(20)의 중앙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가, 이종 내용물의 혼합 시 천공부재(40)와 함께 직선 이동되면서 회전캡(20)의 중앙 내측으로 삽입되고, 이에 따라 휴대 또는 보관 시 상기 누름버튼(5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누름버튼(50)은 천공부재(40)와 이중 사출 또는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는 회전캡(20)의 회전에 의해 작동부재(30)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작동부재(30)와 스크류 결합된 천공부재(40)가 구획판(18)을 향해 직선 이동되어 상기 구획판(18)을 뚫는 동시에, 상기 천공부재(40)와 일체로 형성된 누름버튼(50)이 회전캡(20)의 중앙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서로 분리 보관된 이종 내용물을 간단한 조작으로 편리하게 혼합하고, 정량으로 용이하게 토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휴대 또는 보관 시 누름버튼(5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사용 및 리필 과정을 예시한 도면으로써,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사용 및 리필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종 내용물이 분리 보관된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회전캡의 회전에 의해 천공부재가 구획판을 뚫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회전캡의 회전에 의해 천공부재가 작동되는 모습을 예시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혼합된 이종 내용물이 누름버튼의 가압에 의해 토출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는 용기본체(10)의 내부 공간이 구획판(18)에 의해 분할되고, 이와 같이 분할된 내부 공간 중 어느 한 공간에 제1내용물(C1)이 수용되며, 그 반대편 공간에 제2내용물(C2)이 수용된 천공부재(40)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1내용물(C1)이 수용된 공간과 제2내용물(C2)이 수용된 공간은 구획판(18)에 의해 서로 완전히 차단되며, 상기 천공부재(40)의 일측 단부에는 누름버튼(50)이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캡(20)의 중앙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종 내용물을 혼합하기 위해 회전캡(20)을 용기본체(10)에 대해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캡(20)과 연결된 작동부재(30)가 함께 회전되는 동시에, 상기 작동부재(30)의 내측에 스크류 결합된 천공부재(40)가 구획판(18)을 향해 이동된다. 즉,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재(30)의 가이드돌기(34)가 회전되면서 천공부재(40)의 가이드나선홈(44)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천공부재(40)는 회전이 제한되어 용기본체(10)의 구획판(18) 방향으로 밀리면서 직선 이동된다.
이와 같이 천공부재(40)가 직선 이동되다가, 상기 천공부재(40)의 천공부(46)가 구획판(18)을 뚫어 서로 차단되어 있던 두 공간이 연결됨에 따라, 용기본체(10)에 수용된 제1내용물과 천공부재(40)에 수용된 제2내용물(C2)이 서로 혼합된다. 이때, 상기 회전캡(20)의 중앙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던 누름버튼(50)이 천공부재(40)와 함께 직선 이동되면서 회전캡(20)의 중앙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후,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10)로부터 용기커버(60)를 분리하여 토출부(14)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상기 누름버튼(50)을 가압하면 누름버튼(50)이 탄성 변형되면서 천공부재(40)와 용기본체(10)의 내부에 토출 압력이 발생되어 이종 내용물이 토출구(14a)를 통해 외부로 정량 토출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용기본체
12: 본체부
12c: 회전제한홈 14: 토출부
16: 구획돌출부 18: 구획판
20: 회전캡 22: 관통홀
24: 내벽 30: 작동부재
32: 제1걸림돌기 34: 가이드돌기
40: 천공부재 42: 돌출부
42a: 회전제한돌기 44: 가이드나선홈
46: 천공부 50: 누름버튼
60: 용기커버 70: 고정캡
72: 제2걸림돌기 74: 회전제한돌기삽입홈
C1: 제1내용물 C2: 제2내용물
12c: 회전제한홈 14: 토출부
16: 구획돌출부 18: 구획판
20: 회전캡 22: 관통홀
24: 내벽 30: 작동부재
32: 제1걸림돌기 34: 가이드돌기
40: 천공부재 42: 돌출부
42a: 회전제한돌기 44: 가이드나선홈
46: 천공부 50: 누름버튼
60: 용기커버 70: 고정캡
72: 제2걸림돌기 74: 회전제한돌기삽입홈
C1: 제1내용물 C2: 제2내용물
Claims (5)
- 내측에 구획판이 형성되고, 일측에 토출구가 구비되며, 그 내부에 제1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된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캡;
상기 회전캡과 함께 회전되고,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와 스크류 결합되고, 천공부와 가이드나선홈이 형성되며, 그 내부에 제2내용물이 수용되는 천공부재;
상기 천공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누름버튼을 포함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는 고정캡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캡의 내, 외측으로 작동부재와 회전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에는 회전제한홈이 형성되고, 천공부재에는 회전제한돌기가 형성되어 서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은 천공부재의 개방된 부분을 덮으면서 일체로 형성되고, 이종 내용물의 혼합 시 그 내부 공간이 천공부재 및 용기본체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캡의 회전에 의해 작동부재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작동부재와 스크류 결합된 천공부재가 구획판을 향해 직선 이동되어 상기 구획판을 뚫는 동시에, 상기 천공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누름버튼이 회전캡의 중앙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3447A KR102713019B1 (ko) | 2022-09-07 | 2022-09-07 |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3447A KR102713019B1 (ko) | 2022-09-07 | 2022-09-07 |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34443A true KR20240034443A (ko) | 2024-03-14 |
KR102713019B1 KR102713019B1 (ko) | 2024-10-02 |
Family
ID=90249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13447A KR102713019B1 (ko) | 2022-09-07 | 2022-09-07 |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13019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0095Y1 (ko) | 2005-05-06 | 2005-07-18 | 주식회사 태평양 | 파우더 혼합 에센스 화장품용기 |
KR20130004528U (ko) * | 2012-01-13 | 2013-07-23 | 필립산업(주) | 수납공간이 분리된 혼합용기 |
KR101344482B1 (ko) * | 2006-12-14 | 2014-01-15 | 제이씨텍(주) | 첨가제 첨가 가능한 위조방지 위생이중캡 |
JP2015009879A (ja) * | 2013-07-01 | 2015-01-19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2剤混合容器 |
JP2015030477A (ja) * | 2013-07-31 | 2015-02-16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2剤混合容器 |
KR20170042019A (ko) * | 2015-10-08 | 2017-04-18 | 강성일 | 용액의 혼합이 가능한 이액용기 |
KR102151580B1 (ko) | 2019-05-08 | 2020-09-04 | 주식회사 삼화 |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
KR102281825B1 (ko) | 2019-12-27 | 2021-07-26 | (주)톨리코리아 |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
-
2022
- 2022-09-07 KR KR1020220113447A patent/KR10271301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0095Y1 (ko) | 2005-05-06 | 2005-07-18 | 주식회사 태평양 | 파우더 혼합 에센스 화장품용기 |
KR101344482B1 (ko) * | 2006-12-14 | 2014-01-15 | 제이씨텍(주) | 첨가제 첨가 가능한 위조방지 위생이중캡 |
KR20130004528U (ko) * | 2012-01-13 | 2013-07-23 | 필립산업(주) | 수납공간이 분리된 혼합용기 |
JP2015009879A (ja) * | 2013-07-01 | 2015-01-19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2剤混合容器 |
JP2015030477A (ja) * | 2013-07-31 | 2015-02-16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2剤混合容器 |
KR20170042019A (ko) * | 2015-10-08 | 2017-04-18 | 강성일 | 용액의 혼합이 가능한 이액용기 |
KR102151580B1 (ko) | 2019-05-08 | 2020-09-04 | 주식회사 삼화 |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
KR102281825B1 (ko) | 2019-12-27 | 2021-07-26 | (주)톨리코리아 |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13019B1 (ko) | 2024-10-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97420B1 (ko) |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 |
WO2010114101A1 (ja) | 用時混合容器 | |
US7534062B2 (en) | Kit comprising two receptacles and an applicator | |
JPS6382953A (ja) | 貯蔵分与単位 | |
US8820333B2 (en) | Device and method for mixing hair coloring chemicals | |
WO2003070183A2 (en) | Hair-coloring system | |
KR20210005426A (ko) | 편리한 리필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 |
KR102020455B1 (ko) | 누름버튼의 하강 거리가 조절되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 |
EP2301377A2 (en) | Liquid container with application function | |
KR20180134504A (ko) |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 | |
KR101808318B1 (ko) | 마스크팩 파우치 | |
JP4808415B2 (ja) | 2成分混合容器 | |
JPH11227774A (ja) | 二種混合容器 | |
KR100971860B1 (ko) | 화장품 용기 | |
KR20240034443A (ko) |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 |
KR102307992B1 (ko) | 이종 내용물 혼합형 화장품 용기 | |
KR102281825B1 (ko) |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 |
KR102036479B1 (ko) |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 |
KR20180051293A (ko) | 화장품 용기 | |
KR102607738B1 (ko) | 이종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 |
KR200444062Y1 (ko) | 염색제 용기 | |
KR102604245B1 (ko) | 다수 내용물의 동시 토출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 |
KR102636711B1 (ko) | 가압 토출 용기 | |
CN220997557U (zh) | 一种料剂瓶体及双料剂瓶 | |
KR102666606B1 (ko) | 화장품 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