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318B1 - 마스크팩 파우치 - Google Patents

마스크팩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318B1
KR101808318B1 KR1020160058740A KR20160058740A KR101808318B1 KR 101808318 B1 KR101808318 B1 KR 101808318B1 KR 1020160058740 A KR1020160058740 A KR 1020160058740A KR 20160058740 A KR20160058740 A KR 20160058740A KR 101808318 B1 KR101808318 B1 KR 101808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edicine
medicament
accommodating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8708A (ko
Inventor
최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우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우주
Priority to KR1020160058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318B1/ko
Publication of KR20170128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2Furniture or othe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hairdressers' rooms and not covered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36Closures with frangible parts adapted to be pierced, torn, or removed, to provide discharge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7/00Details of mixing containers or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개선을 위한 약제와 시트가 별도의 수용공간에 격리 보관되게 하되 마스크팩 사용 시점에 이 수용공간들이 연통되게 하여 약제가 시트에 함침되도록 하는 마스크팩 파우치로서, 특히 이러한 수용공간들 간의 연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또한 수용공간들 연통 시 약제가 별도의 노력 없이도 원활하게 연통로를 통해 유통될 수 있게 하는 구성을 가지는 마스크팩 파우치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마스크팩 파우치 {Mask-pack pouch}
본 발명은 마스크팩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용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마스크팩에 있어서, 마스크팩 시트에 함침되는 약제가 별도로 안전하게 보관되며 또한 필요 시 용이하게 마스크팩 시트에 함침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마스크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피부 미용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마스크팩은 얼굴에 맞게 디자인 및 재단된 시트 상에 피부개선을 위한 약제가 함침된 형태로 되며, 일반적으로 약제가 함침된 상태의 시트가 밀봉 파우치에 수용된 상태로 판매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파우치를 개봉하여 약제가 함침된 시트를 꺼내어 얼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마스크팩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마스크팩 사용에 있어서, 시트에 약제를 미리 함침시켜 놓는 것에 대해 개선의 요구가 있다. 한 예로, 제조 과정에서 시트에 미리 함침시켜 놓은 약제의 양이 과도하여, 마스크팩 사용 시 과량의 약제가 흘러내려 손에 묻는 등 불편함이 있다는 사용자 의견이 있다. 다른 예로, 일반적으로 마스크팩은 영양 공급, 보습, 피부 안정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이에 따라 사용되는 약제 구성 성분도 달라지는데, 여러 성분들이 혼합될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분 물질들 간 반응에 의하여 유효 성분들이 파괴되거나 변질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성분을 갖는 복수의 약제들을 별도 보관할 필요가 있다는 요구도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176723호("화장용 팩", 2012.08.17, 이하 '선행문헌')에는, 마스크팩 파우치의 수용공간이 개방부에 의해 둘로 나뉘도록 구성하고, 그 중 한 공간에는 시트가 수용되고 다른 공간에는 피부개선제가 수용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피부개선제 수용공간을 가압함에 따라 개방부가 파열되어 피부개선제가 시트에 적셔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가압 정도에 따라 시트에 적셔지는 피부개선제의 양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선행문헌에 따른 종래기술에 의한 마스크팩 파우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마스크팩의 경우 피부개선제 및 화장시트가 별도의 공간에 수용되게 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앞서 언급한 여러 개선 요구를 실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문헌의 마스크팩 파우치는, 배출구(15) 및 개방부(17)이 매우 좁고 작게 형성되어 있어, 실질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상당한 불편함이 있다. 상기 선행문헌의 구조상 배출구(15)의 크기는 개방부(17)의 크기와 직접적으로 관련될 수밖에 없다. 한편 개방부(17)이 너무 클 경우 이를 파열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가압하는데 매우 큰 힘이 들어가야만 하며, 이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뿐만 아니라 개방부 이외의 다른 부분이 터져 더욱 큰 불편함을 야기하게 될 위험성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선행문헌의 구조에 따르면 개방부(17)은 적절하게 작게 형성되어야만 하며, 자연히 배출구(15)의 크기도 그에 따라 작아지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배출구(15)의 크기가 작을 경우 이를 통한 피부개선제의 유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 즉 개방부(17)이 파열되었다고 해서 피부개선제가 자연스럽고 원활하게 흘러내리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다시 피부개선제가 수용된 파우치를 강하게 눌러서 짜내 주어야만 피부개선제를 시트가 수용된 파우치로 주입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손만으로 고르게 가압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카드, 소형 자 같은 도구를 써서 피부개선제가 수용된 파우치 외면을 긁어 가압하는 등과 같은 방식을 사용해야만 하여, 사용에 상당한 불편함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이처럼 별도의 도구를 무심코 이용하는 과정에서 해당 도구에 존재하고 있던 균이 손에 옮겨와 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 손을 그대로 사용하여 마스크팩 시트를 펼쳐 얼굴에 덮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그 균이 다시 옮겨갈 수도 있는 등, 위생상의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176723호("화장용 팩", 2012.08.1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개선을 위한 약제와 시트가 별도의 수용공간에 격리 보관되게 하되 마스크팩 사용 시점에 이 수용공간들이 연통되게 하여 약제가 시트에 함침되도록 하는 마스크팩 파우치로서, 특히 이러한 수용공간들 간의 연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또한 수용공간들 연통 시 약제가 별도의 노력 없이도 원활하게 연통로를 통해 유통될 수 있게 하는 구성을 가지는 마스크팩 파우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마스크팩 파우치(1000)는, 파우치 형태로 형성되어 시트가 수용되는 시트수용부(1100); 약제가 수용되어 상기 시트수용부(1100)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며, 약제를 배출하는 개방수단을 구비하는 약제수용부(12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실시예로서, 상기 약제수용부(1200)는, 양단이 개방되며 일단에 플랜지(1211b)가 형성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약제가 수용되는 몸체부(1211), 상기 몸체부(1211)의 타단을 밀폐하도록 형성되는 밀폐부(1212), 상기 몸체부(1211)의 일단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부(1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1211) 일단 일부 및 상기 피스톤부(1213)가 노출되도록 상기 시트수용부(1100) 일측에 수용되어 고정되며, 상기 피스톤부(1213)의 삽입에 따른 가압 또는 상기 피스톤부(1213)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밀폐부(1212)가 개방됨으로써 약제가 상기 시트수용부(1100)로 주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약제수용부(1200)는, 상기 몸체부(1211) 내벽에 상기 몸체부(1211) 둘레 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걸림홈(1211b) 및 상기 몸체부(1211) 연장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이동홈(1211c)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부(1213) 외벽에 상기 이동홈(1211c)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돌출되는 걸림부(1213a)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1211b)에 상기 걸림부(1213a)가 걸림으로써 상기 피스톤부(1213)가 상기 몸체부(1211) 내로 삽입되는 것이 규제되되, 상기 피스톤부(1213)의 회전에 의해 상기 걸림부(1213a)가 상기 이동홈(1211c)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이동홈(1211c)으로 상기 걸림부(1213a)가 통과함으로써 상기 피스톤부(1213)가 상기 몸체부(1211) 내로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부(1212)는, 상기 몸체부(1211)와 동일 재질로 상기 몸체부(1211)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1211)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박막이 상기 몸체부(1211)의 타단에 부착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캡이 상기 몸체부(1211)의 타단에 조립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팩 파우치(1000)는, 상기 시트수용부(1100)가 형성하는 평면이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때, 상기 약제수용부(1200)는 상기 밀폐부(1212)가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약제수용부(1200)의 연장 방향이 상기 시트수용부(1100)의 상하 방향에 나란하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약제수용부(1200)의 연장 방향이 상기 시트수용부(1100)의 대각선 방향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팩 파우치(1000)는, 상기 약제수용부(1200)에서 주입되는 약제의 양이 파악되도록, 상기 약제수용부(1200)가 배치되는 부분에 상응하는 상기 시트수용부(1100)의 영역 일부 및 상기 몸체부(1211)가 투명하게 형성되며, 상기 시트수용부(1100) 또는 상기 몸체부(1211) 상에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제2실시예로서, 상기 약제수용부(1200)는, 약제가 수용되는 보틀부(1221), 상기 보틀부(1221)의 배출단에 구비되는 개방관(1222),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보틀부(1221)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시트수용부(1100)에 연결되는 연결부(1223), 상기 연결부(1223)를 밀폐하도록 형성되는 개방부(12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보틀부(1221) 및 상기 연결부(1223)는 나사 결합되어 상기 보틀부(122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부(1223)로의 삽입 깊이가 가변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보틀부(1221)의 삽입에 따른 상기 개방관(1222)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개방부(1224)가 개방됨으로써 약제가 상기 시트수용부(1100)로 주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개방부(1224)은, 상기 연결부(1223)와 동일 재질로 상기 연결부(1223)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부(1223)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박막이 상기 연결부(1223)의 타단에 부착되거나 또는 상기 연결부(1223) 내부를 가로막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캡이 상기 연결부(1223)의 타단에 조립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틀부(1221)는, 스퀴징이 가능한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팩 파우치(1000)는, 상기 약제수용부(1200)에서 주입되는 약제의 양이 파악되도록, 상기 약제수용부(1200)가 연결된 측의 상기 시트수용부(1100)의 영역 일부 및 상기 보틀부(1221)가 투명하게 형성되며, 상기 보틀부(1221) 상에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제3실시예로서, 상기 약제수용부(1200)는, 상기 시트수용부(1100)에 내장되며 블리스터팩 형태로 이루어지는 수용팩부(1231), 상기 시트수용부(1100)에 내장되며 블리스터팩의 배출부를 아울러 덮도록 구비되는 덮개부(1232), 상기 시트수용부(1100)에 내장되며 상기 덮개부(1232)와 연통되는 통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시트수용부(1100)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통로부(12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약제수용부(1200)는, 상기 약제수용부(1200)에서 주입되는 약제의 양이 파악되도록, 상기 약제수용부(1200)가 연결된 측의 상기 시트수용부(1100)의 영역 일부 및 상기 보틀부(1221)가 투명하게 형성되며, 상기 약제수용부(1200) 상에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개선을 위한 약제가 침지된 시트로서 얼굴에 부착하여 피부 상태를 개선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마스크팩을 제공함에 있어서, 시트가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약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서로 격리되게 별도로 구성되도록 형성되게 하고, 마스크팩 사용 시점에서 이 수용공간들이 서로 연통되게 함으로써, 원하는 시점에 약제가 시트에 함침될 수 있게 해 준다. 이는 다음과 같은 여러 편리한 효과들을 창출하는데, 첫째, 사용자가 약제의 양을 원하는 만큼 조절하여 시트에 함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트에 과도한 양의 약제가 함침되어 흘러내리는 등의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둘째, 다양한 성분의 약제들은 서로 혼합될 때 반응을 일으켜 시간이 지날수록 기능이 저하되거나 변질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마스크팩 파우치를 이용하면 다양한 성분의 약제들이 평상시에는 별도로 격리 보관되고 있다가 사용 시점에 혼합되게 할 수 있어, 이러한 약제의 변질, 기능저하 등의 문제를 역시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마스크팩 파우치는, 약제 수용공간 및 시트 수용공간 사이의 연결 구조에 있어서, 평상시에는 외부 힘 등에 의해 쉽게 개방되지 않고 안전하게 밀폐되어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 시점에서는 사용자가 매우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매우 높다는 큰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마스크팩 파우치의 연결 구조는, 개방 시 형성되는 연통로가 종래기술에 비해 훨씬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에 시트 수용공간에 약제를 주입하기 위해 사용자가 여러 도구 등을 사용하여야만 했던 불편함을 완전히 제거하여, 단지 사용자가 연결 구조를 개방하는 것만으로 시트 수용공간에 용이하고 원활하게 약제를 주입시킬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시켜 주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약제 주입을 위한 별도의 도구 사용을 불필요하게 함으로써, 도구 사용 시 발생되는 손의 부가적인 오염 문제와 같은 위생상의 문제 역시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 또한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약제 수용공간 및 시트 수용공간 연결구조의 개방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약제 주입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 또한 있다.
도 1은 종래의 약제-시트 별도 수용 마스크팩 파우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마스크팩 파우치의 제1실시예.
도 3은 제1실시예의 사용 단계도.
도 4는 제1실시예의 약제수용부 구비 방향의 여러 실시예.
도 5는 제1실시예의 밀폐부의 여러 실시예.
도 6은 제1실시예의 몸체부 및 피스톤부의 한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마스크팩 파우치의 제2실시예.
도 8은 제2실시예의 사용 단계도.
도 9는 본 발명의 마스크팩 파우치의 제3실시예.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팩 파우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마스크팩 파우치(1000)는 기본적으로, 파우치 형태로 형성되어 시트가 수용되는 시트수용부(1100)와, 약제가 수용되어 상기 시트수용부(1100)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약제수용부(1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본 발명의 마스크팩 파우치(100)는, 상기 약제수용부(1200)에서 약제를 배출하는 개방수단을 구비함으로서, 원활한 약제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마스크팩 파우치가 약제와 시트를 별도의 공간에 분리되어 보관되게 하는 이유는, 시트에 과량의 약제가 함침되지 않도록 하고자 하는 요구, 미리 어떤 약제가 함침된 시트에 (상기 약제와 혼합되면 시간이 지날수록 기능이 저하되거나 변질되는) 다른 약제를 사용 시점에서 혼합 합침되게 하고자 하는 요구 등에 따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관 시에는 상기 약제수용부(1200)의 약제 배출용 개방수단이 폐쇄된 상태로 있음으로써 상기 약제수용부(1200) 및 상기 시트수용부(1100)가 서로 연통되지 않게 하여 약제와 시트가 서로 분리 보관되게 한다. 한편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서 사용자가 상기 약제수용부(1200)의 약제 배출용 개방수단를 개방시키면 상기 약제수용부(1200) 및 상기 시트수용부(1100)가 비로소 연통되며, 이에 따라 상기 약제수용부(1200)에 수용되어 있던 약제가 상기 시트수용부(1100)로 주입되어, 시트에 약제의 함침 또는 혼합 함침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앞서 설명한 다양한 요구들을 모두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마스크팩 파우치에서도 약제와 시트가 개방부에 의해 분리된 별도의 공간에 분리되어 보관되고, 사용자의 가압에 의하여 개방부가 파열되면 약제가 시트 수용공간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게 형성되기는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마스크팩 파우치의 경우, 앞서 지적하였던 바와 같이 개방부 파열 후 약제가 흘러나오는 배출로가 매우 좁게 형성되어 있어 약제 파우치에서 약제를 짜내는데 매우 불편하고 힘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기술에서 배출로가 좁아진 근본적인 이유는, 배출로가 커질 경우 (그에 비례하여 커지는) 개방부가 사용자의 가압만으로는 원활하게 파열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관점을 달리하여 생각하면 이처럼 배출로가 개방된 후에도 약제가 쉽게 흘러나오지 못한다는 성질을 이용하여 약제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길 수도 있겠지만, 약제 주입량 조절을 위해 굳이 힘들게 약제를 짜내야만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면, 이러한 제품은 사용자에게 외면을 받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약제 일부가 약제 파우치 내에 남아있는 채로 시트 파우치를 개봉했을 때, 약제 파우치 내에 남아 있는 약제가 흘러나와 버려서 또다른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는다.
이처럼 개방부 이외에는 별도의 약제 파우치 개방수단이 없는 종래기술에서는 실제 제품에 적용하기에 무리가 있을 만한 여러 불편사항들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약제를 편리하게 배출하기 위한 개방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마스크팩 파우치(1000)의 약제 배출용 개방수단 구조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 주사기 타입
도 2는 본 발명의 마스크팩 파우치의 제1실시예를, 도 3은 제1실시예의 사용 단계를 간략히 도시한 것으로, 제1실시예에서 약제를 배출하는 개방수단 구조는 주사기와 유사한 구조로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실시예에서 상기 약제수용부(1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211), 밀폐부(1212), 피스톤부(1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1211)는 양단이 개방되며 일단에 플랜지(1211a)가 형성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밀폐부(1212)는 상기 몸체부(1211)의 타단을 밀폐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밀폐부(1212)가 상기 몸체부(1211)의 타단을 밀폐해 줌으로써 상기 몸체부(1211)는 그 내부에 약제를 담아두고 있을 수 있게 된다. 상기 피스톤부(1213)는 상기 몸체부(1211)의 일단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주사기와 유사한 구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약제수용부(1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211) 일단 일부 및 상기 피스톤부(1213)가 노출되도록 상기 시트수용부(1100) 일측에 수용되어 고정된다. 상기 몸체부(1211)는 일반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시트수용부(1100)는 일반적으로 두 장의 포장시트를 겹쳐 테두리를 붙여서 밀폐한 파우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기 몸체부(1211) 및 상기 시트수용부(1100) 간의 연결에 있어서,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 방식으로서, 한 예로 널리 상용되고 있는 스파우트 실링(Spout Sealing)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시트수용부(1100)에 스파우트 실링 방식으로 상기 몸체부(1211)가 직접 결합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시트수용부(1100)에 스파우트 실링 방식으로 별도의 결합용 구조물이 결합되게 한 후 이 결합용 구조물에 상기 몸체부(1211)가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상기 시트수용부(1100)에 별도의 결합용 구조물이 결합되고, 이 결합용 구조물에 상기 몸체부(1211)가 나사 결합된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제1실시예가 주사기와 유사한 구조라고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부(1213)가 상기 몸체부(1211)에 더 깊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몸체부(1211) 내에 있는 약제가 상기 시트수용부(1100) 내로 배출된다. 이 때, 상기 피스톤부(1213)의 삽입에 따른 가압에 의해 상기 밀폐부(1212)가 개방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피스톤부(1213)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밀폐부(1212)가 개방될 수도 있다. 도 3의 사용 단계 예시에서는, 도 3(B)와 같이 상기 피스톤부(1213)가 상기 몸체부(1211)로 깊이 삽입될 때, 상기 밀폐부(1212)에 접촉된 후 더 깊이 삽입되어 상기 밀폐부(1212)를 적극적으로 뚫어 파열시킴으로써 상기 약제수용부(1200)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밀폐부(1212)를 적극적으로 뚫어 파열시키는 구조를 채용할 경우, 보다 용이하게 뚫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피스톤부(1213)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피스톤부(1213)의 삽입에 따라 상기 밀폐부(1212)가 개방되면, 시트와 격리 보관되어 있던 약제가 상기 시트수용부(1100)로 주입됨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시트로의 약제 함침 또는 혼합 함침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시트수용부(1100)에 보관되어 있던 시트가 말라 있는 상태라면 약제의 적정량의 함침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또는 시트에 미리 다른 약제가 적셔져 있는 경우 혼합 함침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약제수용부(1200)는, 중력의 도움으로 약제의 주입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시트수용부(1100)가 형성하는 평면이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때, 상기 약제수용부(1200)는 상기 밀폐부(1212)가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도록 한다. 도 4는 제1실시예의 약제수용부 구비 방향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4(A)에서는 상기 약제수용부(1200)의 연장 방향이 상기 시트수용부(1100)의 상하 방향에 나란하도록 배치되는 실시예를, 도 4(B)에서는 상기 약제수용부(1200)의 연장 방향이 상기 시트수용부(1100)의 대각선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는 실시예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팩 파우치(1000)는, 상기 약제수용부(1200)에서 주입되는 약제의 양이 파악되도록, 상기 약제수용부(1200)가 배치되는 부분에 상응하는 상기 시트수용부(1100)의 영역 일부 및 상기 몸체부(1211)가 투명하게 형성되며, 상기 시트수용부(1100) 또는 상기 몸체부(1211) 상에 눈금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약제를 원하는 적정량만큼 주입하는 것이 편리해지며 또한 사용자가 육안으로 약제가 주입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피스톤부(1213)의 삽입에 따라 상기 밀폐부(1212)가 개방되도록 하고 있다. 이 때 상기 밀폐부(1212)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도 5는 제1실시예의 밀폐부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의 실시예에서 상기 밀폐부(1212)는, 상기 몸체부(1211)와 동일 재질로 상기 몸체부(1211)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1211)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5(B)의 실시예에서 상기 밀폐부(1212)는, 별도의 박막이 상기 몸체부(1211)의 타단에 부착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밀폐부(1212)가 이처럼 상대적으로 강성이 약한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피스톤부(1213)를 상기 몸체부(1211)로 밀어넣을 때 발생되는 가압에 의해서만도 상기 밀폐부(1212)는 파열될 수 있다. 또한 도 3(B)의 사용 단계 예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부(1213) 끝단을 뾰족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피스톤부(1213)가 상기 밀폐부(1213)를 적극적으로 뚫어 파열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C)의 실시예에서 상기 밀폐부(1212)는, 별도의 캡이 상기 몸체부(1211)의 타단에 조립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는 상기 밀폐부(1212)가 파열되어 개방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캡이 벗겨짐에 따라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이 경우에도 가압에 의해서만 상기 밀폐부(1212)가 개방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피스톤부(1213) 끝단이 상기 밀폐부(1212)에 접촉하여 밀어냄으로써 캡이 벗겨져 개방이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피스톤부(1213) 끝단이 캡 형태로 된 상기 밀폐부(1212) 전체적으로 고르게 힘을 분배하여 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 피스톤부(1213)의 끝단은 뾰족하게 형성하지 않고 편평하게 형성하여 상기 밀폐부(1212)와의 접촉 면적을 최대한 늘릴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피스톤부(1213)는, 사용자가 약제를 주입하고자 하는 때에 삽입이 이루어지되, 그 외의 경우 실수 등에 의해서 원치 않은 삽입이 이루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이와 같이 원치 않은 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의 한 실시예로서, 평상시에는 삽입이 규제되되, 사용을 원할 시에 상기 피스톤부(1213)를 회전시킴으로써 삽입 규제를 풀어줄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의 실시예에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211) 내벽에 상기 몸체부(1211) 둘레 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걸림홈(1211b) 및 상기 몸체부(1211) 연장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이동홈(1211c)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부(1213) 외벽에 상기 이동홈(1211c)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돌출되는 걸림부(1213a)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평상시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홈(1211b)에 상기 걸림부(1213a)가 걸림으로써 상기 피스톤부(1213)가 상기 몸체부(1211) 내로 삽입되는 것이 규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사용을 원할 시에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피스톤부(1213)를 회전시켜 상기 걸림부(1213a)가 상기 이동홈(1211c)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이동홈(1211c)으로 상기 걸림부(1213a)가 통과함으로써, 즉 상기 피스톤부(1213)의 삽입 규제가 풀려서 상기 피스톤부(1213)가 상기 몸체부(1211) 내로 삽입 가능하게 된다.
제2실시예 : 보틀 타입
도 7은 본 발명의 마스크팩 파우치의 제2실시예를, 도 8은 제2실시예의 사용 단계를 간략히 도시한 것으로, 제2실시예에서 약제를 배출하는 개방수단 구조는 보틀을 포함하는 구조로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실시예에서 상기 약제수용부(1200)는, 보틀부(1221), 개방관(1222), 연결부(1223), 개방부(12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틀부(1221)는 그 명칭과 같이 보틀, 즉 병 형상으로 형성되어 약제가 수용된다. 상기 보틀부(1221) 내에 수용되는 약제가 저점도일 경우에는 개방 시 약제가 쉽게 흘러나올 것이므로, 상기 보틀부(1221)는 유리, 금속, 단단한 플라스틱 등과 같이 형상이 변형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게 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보틀부(1221) 내에 수용되는 약제가 고점도일 경우에는, 상기 보틀부(1221)가 개방되어도 약제가 천천히 흘러나와서 시간 지연이 발생하는 불편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상기 보틀부(1221)는 유연한 플라스틱 등과 같이 스퀴징(squeezing, 짜냄)이 가능한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방관(1222)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틀부(1221)의 배출단에 구비되며,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상기 개방부(1224)을 파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부(1223)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보틀부(1221)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시트수용부(1100)에 연결된다. 이 때 상기 연결부(1223) 및 상기 시트수용부(1100)의 연결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일반적으로 이러한 형태의 연결 방식으로서 널리 사용되는 스파우트 실링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개방부(1224)은 상기 연결부(1223)를 밀폐하도록 형성되는데, 앞서 제1실시예서의 상기 밀폐부(1212)와 유사하게, 상기 연결부(1223)와 동일 재질로 상기 연결부(1223)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부(1223)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박막이 상기 연결부(1223)의 타단에 부착되거나 또는 상기 연결부(1223) 내부를 가로막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캡이 상기 연결부(1223)의 타단에 조립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개방부(1224)의 여러 형태는 도 5에 개시된 상기 밀폐부(1212)의 여러 형태에 상응하는 바, 각각의 형태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제1실시예의 설명에 따른다. 또한 상기 개방부(1224)의 각 형태에 따라 최적화된 상기 개방관(1222)의 형태 역시, 상기 밀폐부(1212)의 각 형태에 따라 최적화된 상기 피스톤부(1213) 끝단의 형태에 상응하는 바, 이에 대한 설명 역시 제1실시예의 설명에 따른다.
제2실시예에서는, 도 8에 그 단계가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보틀부(1221) 및 상기 연결부(1223)는 나사 결합되어 상기 보틀부(122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부(1223)로의 삽입 깊이가 가변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보틀부(1221)의 삽입에 따른 상기 개방관(1222)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개방부(1224)가 개방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원할 때 약제의 주입이 편리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도,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상기 약제수용부(1200)에서 주입되는 약제의 양이 파악되도록, 상기 약제수용부(1200)가 연결된 측의 상기 시트수용부(1100)의 영역 일부 및 상기 보틀부(1221)가 투명하게 형성되며, 상기 보틀부(1221) 상에 눈금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실시예 : 블라스트팩 타입
도 9는 본 발명의 마스크팩 파우치의 제3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것으로, 제3실시예에서 약제를 배출하는 개방수단 구조는 블라스트팩을 포함하는 구조로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3실시예에서 상기 약제수용부(1200)는, 수용팩부(1231), 덮개부(1232), 통로부(12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각부는 모두 상기 시트수용부(1100)에 내장된다.
상기 수용팩부(1231)는 블리스터팩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블리스터팩이란 일반적으로 알약 등의 포장에 많이 이용되는 것으로서, 플라스틱과 같은 유연 재질의 수용부 뒤편에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박이 대어져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유연 재질 측에서 가압해서 내부의 알약을 밀어내면 알약이 금속박을 파열하여 빼내어지게 된다. 상기 수용팩부(1231)도 이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수용팩부(1231)의 유연 재질 부분을 가압하면 금속박이 파열되어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가 흘러나올 수 있게 된다.
상기 덮개부(1232)는 블리스터팩의 배출부, 즉 금속박 부분을 아울러 덮도록 구비되며, 상기 통로부(1233)는 상기 덮개부(1232)와 연통되는 통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시트수용부(1100)의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덮개부(1232) 및 상기 통로부(1233)가 없을 경우 상기 수용팩부(1231)에서 배출된 약제는 무작위적인 방향으로 흘러나가게 되며, 따라서 약제가 시트에 적셔지지 못하고 상기 시트수용부(1100)의 내벽에 묻어 있게 되어 시트에 적정량의 약제가 함침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덮개부(1232) 및 상기 통로부(1233)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수용팩부(1231)로부터 배출된 약제가 안내되어 최종적으로는 상기 통로부(1233)를 따라 흘러나가게 되며,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약제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제1, 2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약제수용부(1200)에서 주입되는 약제의 양이 파악되도록, 상기 약제수용부(1200)가 연결된 측의 상기 시트수용부(1100)의 영역 일부 및 상기 보틀부(1221)가 투명하게 형성되며, 상기 약제수용부(1200) 상에 눈금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마스크팩 파우치
1100: 시트파우치 1200: 약제수용부
1211: 몸체부 1211a: 플랜지
1211b: 걸림홈 1211c: 이동홈
1212: 밀폐부 1213: 피스톤부
1213a: 걸림부
1221: 보틀부 1222: 개방관
1223: 연결부 1224: 개방부
1231: 수용팩부 1232: 덮개부
1233: 통로부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파우치 형태로 형성되어 시트가 수용되는 시트수용부;
    약제가 수용되어 상기 시트수용부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며, 약제를 배출하는 개방수단을 구비하는 약제수용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마스크팩 파우치로서,
    상기 약제수용부는,
    약제가 수용되는 보틀부, 상기 보틀부의 배출단에 구비되는 개방관,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보틀부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시트수용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를 밀폐하도록 형성되는 개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보틀부 및 상기 연결부는 나사 결합되어 상기 보틀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부로의 삽입 깊이가 가변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보틀부의 삽입에 따른 상기 개방관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개방부가 개방됨으로써 약제가 상기 시트수용부로 주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파우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은,
    상기 연결부와 동일 재질로 상기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부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박막이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부착되거나 또는 상기 연결부 내부를 가로막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캡이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조립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파우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틀부는,
    스퀴징이 가능한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파우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팩 파우치는,
    상기 약제수용부에서 주입되는 약제의 양이 파악되도록,
    상기 약제수용부가 연결된 측의 상기 시트수용부의 영역 일부 및 상기 보틀부가 투명하게 형성되며, 상기 보틀부 상에 눈금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파우치.
  11. 파우치 형태로 형성되어 시트가 수용되는 시트수용부;
    약제가 수용되어 상기 시트수용부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며, 약제를 배출하는 개방수단을 구비하는 약제수용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마스크팩 파우치로서,
    상기 약제수용부는,
    상기 시트수용부에 내장되며 블리스터팩 형태로 이루어지는 수용팩부, 상기 시트수용부에 내장되며 블리스터팩의 배출부를 아울러 덮도록 구비되는 덮개부, 상기 시트수용부에 내장되며 상기 덮개부와 연통되는 통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시트수용부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통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파우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수용부는,
    상기 약제수용부에서 주입되는 약제의 양이 파악되도록,
    상기 약제수용부가 연결된 측의 상기 시트수용부의 영역 일부가 투명하게 형성되며, 상기 약제수용부 상에 눈금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파우치.
KR1020160058740A 2016-05-13 2016-05-13 마스크팩 파우치 KR101808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740A KR101808318B1 (ko) 2016-05-13 2016-05-13 마스크팩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740A KR101808318B1 (ko) 2016-05-13 2016-05-13 마스크팩 파우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708A KR20170128708A (ko) 2017-11-23
KR101808318B1 true KR101808318B1 (ko) 2017-12-11

Family

ID=60809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740A KR101808318B1 (ko) 2016-05-13 2016-05-13 마스크팩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3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008B1 (ko) * 2019-01-07 2020-03-20 (주)바이오스플래시 흡수성이 뛰어난 충진식 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5801B (zh) * 2017-11-24 2019-03-26 何来华 保湿面膜盒
KR20190090648A (ko) 2018-01-25 2019-08-02 주식회사 노드메이슨 얼굴 미용용 마스크 포장 용기
KR102112792B1 (ko) * 2018-12-03 2020-05-20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이액 혼합 마스크 팩
KR102174625B1 (ko) * 2019-05-22 2020-11-05 이종순 저장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723B1 (ko) 2010-06-25 2012-08-23 (주)엔코스 화장용 팩
KR101204565B1 (ko) * 2010-09-03 2012-11-23 강진희 주사기용 삽입장치
KR101609674B1 (ko) * 2015-09-25 2016-04-06 주식회사 우주스킨사이언스 마스크팩 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723B1 (ko) 2010-06-25 2012-08-23 (주)엔코스 화장용 팩
KR101204565B1 (ko) * 2010-09-03 2012-11-23 강진희 주사기용 삽입장치
KR101609674B1 (ko) * 2015-09-25 2016-04-06 주식회사 우주스킨사이언스 마스크팩 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008B1 (ko) * 2019-01-07 2020-03-20 (주)바이오스플래시 흡수성이 뛰어난 충진식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708A (ko) 2017-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318B1 (ko) 마스크팩 파우치
EP3287384B1 (en) Multi-chambered dispenser
US4169547A (en) Ointment container with finger actuated piston
US8267609B2 (en) Vial for delivering contents onto a substrate
US4013073A (en) Dispensing device
US20120241465A1 (en) Dispensing device along with method for dispensing product
CN102712407A (zh) 包含脆弱段的分配装置和分配方法
KR100978528B1 (ko) 알약 정량배출장치
US20160113377A1 (en) Device for Containing, Dispensing and Applying to a Substrate Content in Liquid, Gel, Cream or Paste Form
EP1699711B1 (en) Device for storing and dispensing a flowable substance
JP2006504594A (ja) 粘性の物質の貯蔵及び供給のための装置
EP2841145B1 (en) Antiseptic applicator
KR101234514B1 (ko)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주사기형 용기
US20070278245A1 (en) Tooth care product capsules and container
JP7450777B2 (ja) 密封容器
KR101962785B1 (ko) 다기능 미용팩 세트
US8398324B2 (en) Vial for delivering contents onto a substrate
KR200469855Y1 (ko) 스포이드 결합형 분말 혼합 화장용기
JP2007524423A (ja) 密封された液体を有する塗布用具
KR101782411B1 (ko) 마스크팩 용기
CN201260473Y (zh) 化妆品容器
KR20140003260U (ko) 토출 조절수단이 결합된 스포이드 화장용기
JP6418580B2 (ja) パックシートキット、袋材、薬剤容器
KR102307992B1 (ko) 이종 내용물 혼합형 화장품 용기
US201003180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ngle-use cream or liquid applic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