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4330A - 열 전파 지연구조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열 전파 지연구조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4330A
KR20240034330A KR1020220113165A KR20220113165A KR20240034330A KR 20240034330 A KR20240034330 A KR 20240034330A KR 1020220113165 A KR1020220113165 A KR 1020220113165A KR 20220113165 A KR20220113165 A KR 20220113165A KR 20240034330 A KR20240034330 A KR 20240034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plate
slot
center frame
pack case
side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3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병도
신주환
이재현
이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113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4330A/ko
Priority to PCT/KR2023/013120 priority patent/WO2024053949A1/ko
Publication of KR20240034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43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8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thermal insulation or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3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electrically insulating o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tationary devices, e.g. power plant buffering or backup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개시되는 발명은 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예에서, 내부에 냉각회로를 구비하는 냉각 플레이트와,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측벽을 형성하도록 결합하는 사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공간을 종으로 분할하도록 상기 냉각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센터 프레임, 및 상기 센터 프레임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공간을 횡으로 분할하도록 상기 냉각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사이드 빔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는 상기 센터 프레임 및/또는 사이드 빔의 결합 위치를 따라 관통 형성된 슬롯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열 전파 지연구조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BATTERY PACK HAVING THERMAL PROPAGATION DELAY STRUCTURE}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수납된 배터리 모듈 사이의 열 전파를 지연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일차전지와는 달리 재충전이 가능하고, 또 소형 및 대용량화 가능성으로 인해 근래에 많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하고, 또한 환경보호의 시대적 요구에 맞춰 부각되는 전기 차량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으로 인해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의 수요는 더욱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차전지는 전지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코인형 전지, 원통형 전지, 각형 전지, 및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 이차전지에서 전지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전극 조립체는 전극 및 분리막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이다.
이차전지는 장기간 동안 연속적인 사용이 요구되므로, 충방전 과정 중에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차전지의 냉각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에는 온도 상승이 전류의 증가를 야기하고, 전류의 증가가 또다시 온도 상승의 원인이 되는 정귀환의 연쇄반응이 일어나, 결국 열 폭주(Thermal Runaway)의 파국상태에 이르게 된다.
또한, 이차전지가 모듈이나 팩의 형태로서 집단을 이루고 있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이차전지에 발생한 열 폭주에 의해 주변의 다른 이차전지가 연속적으로 과열되는 열 전파(Thermal Propagation)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나아가 과열된 이차전지에서 방출되는 가연성 가스와 가열전극 등의 점화원으로 인해 화재 발생의 위험이 높으므로, 이러한 발화 위험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22-0017741호 (2022.02.14 공개)
본 발명은 배터리 팩 내의 어느 이차전지에서 발생한 열 폭주에 의한 열전달이 주변의 다른 이차전지 내지 배터리 모듈로 확산되는 열 전파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 및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예에서, 내부에 냉각회로를 구비하는 냉각 플레이트;와,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측벽을 형성하도록 결합하는 사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공간을 종으로 분할하도록 상기 냉각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센터 프레임; 및 상기 센터 프레임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공간을 횡으로 분할하도록 상기 냉각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사이드 빔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는 상기 센터 프레임 및/또는 사이드 빔의 결합 위치를 따라 관통 형성된 슬롯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슬롯은, 복수 개가 상기 센터 프레임 또는 사이드 빔의 결합 위치를 따라 이격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슬롯은, 상기 센터 프레임과 사이드 빔 밖으로 노출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호 이격된 슬롯 사이에 상기 센터 프레임 또는 사이드 빔의 체결점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점은, 하나의 열을 이루는 복수 개 슬롯의 양단 및 그 중간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 플레이트는, 상기 냉각회로와 슬롯이 서로 중첩하거나 교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슬롯이 형성하는 공간 안에는 단열재가 충진될 수 있으며, 상기 단열재는 수밀성 재질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냉각 플레이트에 형성된 슬롯에 대응하는 베이스 슬롯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팩 케이스와, 상기 팩 케이스의 센터 프레임과 사이드 빔에 의해 종횡으로 분할된 각 수납공간에 수용되는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상기 센터 프레임 또는 사이드 빔을 사이에 둔 배터리 모듈 간의 상기 냉각 플레이트를 통한 전도 열전달이 상기 슬롯에 의해 지연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모듈과 상기 냉각 플레이트 사이의 접촉면에는 서멀 레진층이 개재될 수 있으며, 상기 서멀 레진층은 상기 슬롯을 침범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팩 케이스 및 배터리 팩은, 냉각 플레이트를 통한 배터리 모듈 사이의 열전도 경로 중의 일부가 괸통된 슬롯에 의해 제거됨으로써, 열 폭주가 발생한 배터리 모듈에 의해 야기되는 과도한 열전달이 억제되고 지연되며, 이로써 배터리 팩의 안전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다만, 본 발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는 상술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팩 케이스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팩 케이스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냉각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배터리 팩에 대한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의 배터리 팩에 대한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냉각 플레이트에 형성된 슬롯에 의한 열전달 지연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기재된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에" 있다고 기재된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상에" 배치된다고 하는 것은 상부뿐만 아니라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패터리 모듈을 탑재할 수 있는 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예에서, 팩 케이스는 내부에 냉각회로를 구비하는 냉각 플레이트와,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측벽을 형성하도록 결합하는 사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공간을 종으로 분할하도록 상기 냉각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센터 프레임, 그리고 상기 센터 프레임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공간을 횡으로 분할하도록 상기 냉각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사이드 빔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는 상기 센터 프레임 및/또는 사이드 빔의 결합 위치를 따라 관통 형성된 슬롯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의 팩 케이스는, 센터 프레임 또는 사이드 빔을 사이에 둔 배터리 모듈 간의 냉각 플레이트를 통한 전도 열전달이 상기 슬롯에 의해 지연된다. 즉, 냉각 플레이트를 통한 배터리 모듈 사이의 열전도 경로 중의 일부가 슬롯에 의해 제거됨으로써, 열 폭주가 발생한 배터리 모듈에 의해 야기되는 과도한 열전달이 억제되고 지연됨으로써 배터리 팩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팩 케이스 및 배터리 팩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대적인 위치를 지정하는 전후나 상하좌우의 방향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삼는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팩 케이스(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팩 케이스(1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배터리 모듈(200)을 수납하는 팩 케이스(100)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팩 케이스(100)는 냉각 플레이트(110)와 사이드 플레이트(120), 그리고 센터 프레임(130) 및 사이드 빔(140)을 포함한다.
냉각 플레이트(110)는 팩 케이스(100)의 바닥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탑재되는 배터리 모듈(200)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냉각 플레이트(110)는 배터리 모듈(200)의 저면 전체에 넓게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배터리 모듈(200)의 열을 흡수하여 냉각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냉각 플레이트(110)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재질,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효과적인 냉각을 위해 그 내부에 냉각회로(112)를 구비하고 있다. 냉각회로(112)를 통해 열전달 매체, 이를 테면 냉각수가 순환되며, 열전달 매체는 배터리 모듈(200)에서 발생한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배터리 모듈(200)의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한다.
사이드 플레이트(120)는 냉각 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에 측벽을 형성하도록 결합하는 플레이트 부재를 지칭하는 것이다. 사이드 플레이트(120)에 의해 팩 케이스(100)의 내부와 외부가 구획되며, 냉각 플레이트(110)와 사이드 플레이트(120)에 의해 배터리 모듈(200)을 안전하게 수납하기 위한 기본 공간이 만들어진다.
센터 프레임(130)은 사이드 플레이트(120)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공간을 종으로 분할하도록 냉각 플레이트(110)에 결합하는 부재이고, 사이드 빔(140)은 센터 프레임(130)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공간을 횡으로 분할하도록 냉각 플레이트(110)에 결합하는 부재에 해당한다. 격자구조를 이루는 센터 프레임(130)과 사이드 빔(140)에 의해 팩 케이스(100)의 구조적 강성이 향상되며, 또한 개개의 배터리 모듈(200)이 서로 분리 수납될 수 있는 복수의 개별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센터 프레임(130)과 10개의 사이드 빔(140)에 의해 총 8개의 개별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도시된 팩 케이스(100)는 8개의 배터리 모듈(200)을 탑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 플레이트(110)는 배터리 모듈(200)의 저면을 통해 열을 흡수하여 냉각하는 역할을 하므로, 효과적인 열전달을 위해 냉각 플레이트(110)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배터리 모듈(200)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때에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냉각 플레이트(110)가 배터리 모듈(200)의 온도 제어에 효과적이겠지만, 만일 어느 배터리 모듈(200)에서 열 폭주가 발생하면 과잉 열량이 냉각 플레이트(110)를 통해 급속히 주변의 다른 배터리 모듈(200)로 확산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열 폭주 발생시의 열전달을 지연시키기 위하여, 냉각 플레이트(110)가 센터 프레임(130) 또는 사이드 빔(140)의 결합 위치를 따라 관통 형성된 슬롯(114)을 구비하도록 구성한다. 센터 프레임(130)과 사이드 빔(140)은 인접한 배터리 모듈(200) 사이에 경계를 형성하는데, 센터 프레임(130) 또는 사이드 빔(140)을 사이에 둔 배터리 모듈(200) 간의 냉각 플레이트(110)를 통한 전도 열전달이 슬롯(114)에 의해 지연된다. 즉, 냉각 플레이트(110)를 통한 배터리 모듈(200) 사이의 열전도 경로 중의 일부가 냉각 플레이를 관통하여 형성된 슬롯(114)에 의해 제거됨으로써, 열 폭주가 발생한 배터리 모듈(200)에 의해 야기되는 과도한 열전달이 감소되고 지연됨으로써 배터리 팩(10)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도 3은 냉각 플레이트(110)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냉각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슬롯(114)은 복수 개가 센터 프레임(130) 또는 사이드 빔(140)의 결합 위치를 따라 이격 배치된다. 슬롯(114)은 적어도 센터 프레임(130)과 사이드 빔(140) 중 어느 하나의 결합 위치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센터 프레임(130)과 사이드 빔(140)의 각 결합 위치에 모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슬롯(114)은 센터 프레임(130)과 사이드 빔(140) 밖으로 노출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즉, 슬롯(114)의 폭은 센터 프레임(130)과 사이드 빔(140)의 두께 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슬롯(114)은 폭이 좁은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슬롯(114)의 형태는 냉각 플레이트(110)의 구조적 강성과 열용량 등을 크게 저해하지 않으면서 냉각 플레이트(110)를 통한 열전도의 감소를 모두 고려한 형태이며,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슬롯(114)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슬롯(114)이 일렬로 분산 배치되어 있는데, 상호 이격된 슬롯(114) 사이의 공간에 센터 프레임(130) 또는 사이드 빔(140)의 체결점(118)이 형성된다. 체결점(118)이란 냉각 플레이트(110)에 대해 센터 프레임(130)과 사이드 빔(140)이 고정되는 지점을 지칭하는 것이다. 체결점(118)에 적용되는 고정구조는 다양한 공지의 체결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볼트에 의한 나사결합, 핀에 의한 억지끼움, 용접 등의 체결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센터 프레임(130)과 사이드 빔(140)의 체결점(118)은, 하나의 열을 이루는 복수 개 슬롯(114)의 양단 및 그 중간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슬롯(114)을 피하면서 체결점(118)을 넓고 균등하게 배치함으로써 센터 프레임(130)과 사이드 빔(140)이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냉각 플레이트(110)의 내부에 냉각회로(112)가 구비되면서 슬롯(114)은 냉각 플레이트(110)를 관통하여 형성되므로, 냉각회로(112)와 슬롯(114)이 서로 중첩하거나 교차하지 않도록 배치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만일의 경우에 누출된 냉각수가 슬롯(114)을 통해 배터리 모듈(200)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슬롯(114) 주변에서의 열전달 경로를 최소화하는 것이 열전달 지연 측면에서 보다 유리하다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제2 실시형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10)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배터리 팩(10)은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팩 케이스(100)와, 상기 팩 케이스(100)의 센터 프레임(130)과 사이드 빔(140)에 의해 종횡으로 분할된 각 수납공간에 수용되는 배터리 모듈(200)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총 8개의 배터리 모듈(200)이 모여 하나의 배터리 팩(10)을 구성하고 있다.
도 5는 도 4의 배터리 팩(10)에 대한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실시형태에서, 배터리 모듈(200)과 냉각 플레이트(110) 사이의 접촉면에는 서멀 레진층(210)이 개재되어 있다. 서멀 레진층(210)은 배터리 모듈(200)의 열이 냉각 플레이트(110)로 원활히 전달되도록 중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서멀 레진층(210)을 형성하는 소재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수지 재질일 필요가 있다. 또한, 서멀 레진층(210)은 배터리 모듈(200)과 냉각 플레이트(110) 사이의 접촉면에 존재하는 미세 요철을 메우면서 열전도에 최적인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서멀 레진층(210)은 슬롯(114)을 침범하지 않는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슬롯(114)의 역할이 배터리 모듈(200) 사이의 열전도 경로를 축소 제한하는 것에 있으므로, 서멀 레진층(210)이 슬롯(114) 위까지 형성되면 슬롯(114)의 본래 역할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도 6은 도 4의 배터리 팩(10)에 대한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슬롯(114)이 형성하는 공간 안에는 단열재(116)가 충진되어 있다. 슬롯(114) 안에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단열재(116)를 채워 넣음으로써 슬롯(114)의 열전달 차단 효과를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단열재(116)를 수밀성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냉각회로(112)에서 누설될 가능성이 있는 냉각수를 좀더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배터리 팩(10) 내부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를 고려하여 난연성 재질의 단열재(116)를 슬롯(114) 내부에 충진하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배터리 팩(10)에는 냉각 플레이트(110)의 저면에 결합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50)는 배터리 팩(10) 저면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하고, 냉각회로(112)를 구비한 냉각 플레이트(11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실시형태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50)는 냉각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슬롯(114)에 대응하는 베이스 슬롯(152)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베이스 슬롯(152)과 냉각 플레이트(110)의 슬롯(114)은 상하로 중첩되도록 정렬되며, 베이스 슬롯(152)을 통해 냉각 플레이트(110)의 열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도 7은 냉각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슬롯(114)에 의한 열전달 지연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냉각 플레이트(110)를 관통하는 슬롯(114)은 센터 프레임(130)과 사이드 빔(140)의 결합 위치를 따라 배치된다. 센터 프레임(130)과 사이드 빔(140)은 인접한 배터리 모듈(200) 사이에 경계를 형성하므로, 배터리 모듈(200) 사이의 경계를 따라 형성된 슬롯(114)은 냉각 플레이트(110)를 통한 배터리 모듈(200) 사이의 열전도 경로 중의 일부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센터 프레임(130) 및/또는 사이드 빔(140) 양편의 배터리 모듈(200) 사이의 전도 열전달은 슬롯(114)에 의해 상당히 지연되고, 이를 통해 열 폭주가 발생한 배터리 모듈(200)에 의해 야기되는 주변으로의 과도한 열전달이 감소되고 지연됨으로써 배터리 팩(10)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이상, 도면과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또는 실시예 등에 기재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배터리 팩 100: 팩 케이스
110: 냉각 플레이트 112: 냉각회로
114: 슬롯 116: 단열재
118: 체결점 120: 사이드 플레이트
130: 센터 프레임 140: 사이드 빔
150: 베이스 플레이트 152: 베이스 슬롯
200: 배터리 모듈 210: 서멀 레진층

Claims (15)

  1. 내부에 냉각회로를 구비하는 냉각 플레이트;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측벽을 형성하도록 결합하는 사이드 플레이트;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공간을 종으로 분할하도록 상기 냉각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센터 프레임; 및
    상기 센터 프레임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공간을 횡으로 분할하도록 상기 냉각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사이드 빔;
    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플레이트는, 상기 센터 프레임 또는 사이드 빔의 결합 위치를 따라 관통 형성된 슬롯을 구비하는, 팩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센터 프레임 및 사이드 빔의 결합 위치를 따라 관통 형성되는 팩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복수 개가 상기 센터 프레임 또는 사이드 빔의 결합 위치를 따라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센터 프레임과 사이드 빔 밖으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 케이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호 이격된 슬롯 사이에 상기 센터 프레임 또는 사이드 빔의 체결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점은,
    하나의 열을 이루는 복수 개 슬롯의 양단 및 그 중간에 분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 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는,
    상기 냉각회로와 슬롯이 서로 중첩하거나 교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 케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이 형성하는 공간 안에는 단열재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 케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수밀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 케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팩 케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냉각 플레이트에 형성된 슬롯에 대응하는 베이스 슬롯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 케이스.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팩 케이스; 및
    상기 팩 케이스의 센터 프레임과 사이드 빔에 의해 종횡으로 분할된 각 수납공간에 수용되는 배터리 모듈;
    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프레임 또는 사이드 빔을 사이에 둔 배터리 모듈 간의 상기 냉각 플레이트를 통한 전도 열전달은 상기 슬롯에 의해 지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과 상기 냉각 플레이트 사이의 접촉면에는 서멀 레진층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멀 레진층은 상기 슬롯을 침범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KR1020220113165A 2022-09-07 2022-09-07 열 전파 지연구조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KR2024003433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3165A KR20240034330A (ko) 2022-09-07 2022-09-07 열 전파 지연구조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PCT/KR2023/013120 WO2024053949A1 (ko) 2022-09-07 2023-09-04 열 전파 지연구조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3165A KR20240034330A (ko) 2022-09-07 2022-09-07 열 전파 지연구조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4330A true KR20240034330A (ko) 2024-03-14

Family

ID=90191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3165A KR20240034330A (ko) 2022-09-07 2022-09-07 열 전파 지연구조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34330A (ko)
WO (1) WO202405394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7741A (ko) 2020-08-05 2022-02-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셀 스웰링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099B1 (ko) * 2017-04-04 2020-0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크래쉬 빔과 배수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JP6922752B2 (ja) * 2018-01-15 2021-08-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伝熱部材、電池パック、及び車両
CN211629192U (zh) * 2020-04-23 2020-10-02 伟巴斯特车顶供暖系统(上海)有限公司 一种用于电池包的电池箱体及电池包
US11799149B2 (en) * 2020-08-26 2023-10-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nergy storage assembly
CN113422139B (zh) * 2021-06-18 2022-05-31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总成、电动车辆及设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7741A (ko) 2020-08-05 2022-02-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셀 스웰링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53949A1 (ko) 202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1592B2 (en) ESS module having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external exposure of flame and ESS pack including the same
EP3893291B1 (en) Battery module having pad composite having swelling absorption and heat shielding function,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and vehicle
KR20180112618A (ko) 크래쉬 빔과 배수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US20210280937A1 (en) Battery module
KR20200067587A (ko) 전지팩
JP7052064B2 (ja) 隣接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に熱を分散可能な構造を有するエネルギー貯蔵システム
JP2022549456A (ja) 電池パックおよびこれを含むデバイス
KR20210042480A (ko)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JP7483028B2 (ja) 電池パックおよびこれを含むデバイス
JP2023514221A (ja) 電池パックおよびこれを含むデバイス
KR20220132353A (ko) 냉각수를 활용한 배터리 셀의 열확산 방지 구조를 갖춘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00044582A (ko) 배터리의 대형 모듈
KR20240034330A (ko) 열 전파 지연구조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JP2023083112A (ja) バッテリーの保持構造
KR102646853B1 (ko) 배터리 모듈
KR20220169703A (ko)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20035770A (ko) 배터리 모듈들 간의 열확산 방지구조를 적용한 배터리 팩
KR20220033931A (ko) 배터리 모듈들 간의 열확산 방지구조를 적용한 배터리 팩
US20230291068A1 (en) Battery pack
KR102673791B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US20240154204A1 (en) Battery pack including pack case fitted with cooling fins
KR20220125396A (ko)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20125394A (ko)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30131112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40077222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