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3714A - 유리 적재용 카세트 및 이를 이용한 유리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 적재용 카세트 및 이를 이용한 유리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3714A
KR20240033714A KR1020220111281A KR20220111281A KR20240033714A KR 20240033714 A KR20240033714 A KR 20240033714A KR 1020220111281 A KR1020220111281 A KR 1020220111281A KR 20220111281 A KR20220111281 A KR 20220111281A KR 20240033714 A KR20240033714 A KR 20240033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grooves
protrusion
loading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민
심용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1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3714A/ko
Priority to US18/211,471 priority patent/US20240076225A1/en
Publication of KR20240033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37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2/00Thermal after-treatment of glass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3B19/00, C03B25/00 - C03B31/00 or C03B37/00, e.g. crystallisation, eliminating gas inclusions or other impurities; Hot-pressing vitrified, non-porous, shaped glass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esilient suspension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1/00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 C03C21/001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in liquid phase, e.g. molten salts, solutions
    • C03C21/002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in liquid phase, e.g. molten salts, solutions to perform ion-exchange between alkali 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3/00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C03C23/0075Cleaning of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25/00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during their manufacture
    • C03B2225/02Means for positioning, aligning or orientating the sheets during their travel, e.g. sto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적재용 카세트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격된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에는 복수의 제1 홈들이 정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홈들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홈들 각각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제1 홈들 각각의 내부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리 적재용 카세트 및 이를 이용한 유리 처리 방법{CASSETTE FOR LOADING GLASS AND GLASS PROCESSIG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뢰성이 향상된 유리 적재용 카세트 및 이를 이용한 유리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모니터, 또는 게임기 등과 같은 멀티 미디어 장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표시 장치들은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는 표면 경도, 내충격성, 및 가공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강화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강화 공정은 물리적 강화 및 화학적 강화를 포함할 수 있다. 강화 공정 중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유리를 적재하기 위한 카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뢰성이 향상된 유리 적재용 카세트 및 이를 이용한 유리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적재용 카세트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격된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에는 복수의 제1 홈들이 정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홈들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홈들 각각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제1 홈들 각각의 내부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기는 불소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기는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돌기들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기는 사각 튜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돌기는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돌기는 삼각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돌기는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돌기들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에는 상기 복수의 제1 홈들과 상기 제2 방향으로 각각 마주하는 복수의 제2 홈들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홈들 각각은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제2 홈들 각각의 내부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돌기는 사각 튜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처리 방법은 유리를 강화하는 단계, 상기 유리를 카세트에 환적하는 단계, 및 상기 유리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카세트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격된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에는 복수의 제1 홈들이 정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홈들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홈들 각각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제1 홈들 각각의 내부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유리를 상기 카세트에 환적하는 단계는 상기 유리를 상기 복수의 제1 홈들 각각 내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를 상기 복수의 제1 홈들 각각 내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유리를 상기 복수의 제1 홈들 각각에 상기 제3 방향으로 투입하여 적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를 상기 복수의 제1 홈들 각각에 상기 제3 방향으로 투입하여 적재하는 단계는 상기 유리를 상기 복수의 제1 홈들 각각의 상기 내부면과 이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기는 사각 튜브 형상을 갖고, 상기 유리를 상기 복수의 제1 홈들 각각에 상기 제3 방향으로 투입하여 적재하는 단계는 상기 유리를 상기 제1 돌기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기는 반구 형상을 갖고, 상기 유리를 상기 복수의 제1 홈들 각각에 상기 제3 방향으로 투입하여 적재하는 단계는 상기 유리를 상기 제1 돌기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기는 삼각뿔 형상을 갖고, 상기 유리를 상기 복수의 제1 홈들 각각에 상기 제3 방향으로 투입하여 적재하는 단계는 상기 유리를 상기 제1 돌기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를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유리를 세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기는 불소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에는 상기 복수의 제1 홈들과 상기 제2 방향으로 각각 마주하는 복수의 제2 홈들이 정의되고, 상기 유리를 상기 복수의 제1 홈들 각각 내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1 홈들 및 복수의 제2 홈들 각각 사이에 상기 유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바에 따르면, 유리의 일 단부가 제1 홈을 통해 투입되면, 유리의 타 단부가 투입될 때까지 제1 홈은 유리를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유리는 일체로 형성된 제1 홈을 따라 투입 방향으로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다. 따라서, 유리의 신뢰성이 향상된 유리 적재용 카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돌기 및 제2 돌기는 유리가 적재됨에 따라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와 유리가 접촉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돌기 및 제2 돌기에 의해 유리 표면의 세정액의 표면 장력에 의한 유리의 붙음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이 향상된 유리 적재용 카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적재용 카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처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를 카세트에 환적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를 카세트에 투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및 유리 적재용 카세트의 평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AA'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a의 BB'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AA'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AA'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요소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여기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너무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적재용 카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초박막 유리(UTG ??: Ultra Thin Glass)를 포함하는 커버 글라스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 적재용 카세트(CST)는 초박막 유리의 제조 공정에서 복수의 초박막 유리를 동시에 적재할 수 있다.
유리 적재용 카세트(CST)는 제1 프레임(FR1), 제2 프레임(FR2), 제1 지지부(SP1), 및 제2 지지부(S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FR1)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프레임(FR1)은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들(FR1a) 및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과 교차하는 제3 방향(DR3) 및 제1 방향(DR1)이 정의하는 평면을 포함하는 제1 평면부(FR1b)를 포함하고, 제1 평면부(FR1b) 및 제1 돌출부들(FR1a)은 제1 지지부(SP1)를 에워쌀 수 있다.
제2 프레임(FR2)은 제2 방향(DR2)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들(FR2a) 및 제1 방향(DR1) 및 제3 방향(DR3)이 정의하는 평면을 포함하는 제2 평면부(FR2b)를 포함하고, 제2 평면부(FR2b) 및 제2 돌출부들(FR2a)은 제2 지지부(SP2)를 에워쌀 수 있다. 제2 프레임(FR2)은 제1 프레임(FR1)과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프레임(FR1) 및 제2 프레임(FR2)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제1 지지부(SP1)는 제1 고정부(CT1)에 의해 제1 프레임(FR1)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고정부(CT1)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예시적으로 3개의 제1 고정부들(CT1)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부들(CT1)의 개수는 제1 지지부(SP1)를 제1 프레임(FR1)에 고정시킨다면 제한되지 않는다.
제2 지지부(SP2)는 제2 고정부(CT2)에 의해 제2 프레임(FR2)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고정부(CT2)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예시적으로 3개의 제2 고정부들(CT2)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고정부들(CT2)의 개수는 제2 지지부(SP2)를 제2 프레임(FR2)에 고정시킨다면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지지부(SP1)에는 복수의 제1 홈들(HM1)이 정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홈들(HM1)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홈들(HM1) 각각은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예시적으로 제1 지지부(SP1)에 8개의 제1 홈들(HM1)이 정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1 홈들(HM1)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지지부(SP2)에는 복수의 제2 홈들(HM2)이 정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홈들(HM2)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홈들(HM2) 각각은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홈들(HM2)은 복수의 제1 홈들(HM1)에 제2 방향(DR2)으로 각각 대응하여 정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처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를 카세트에 환적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의 커버 글라스로 이용하기 위해 유리(GL)를 강화할 수 있다(S100). 유리(GL)를 강화하는 단계(S100)는 유리(GL)를 예열하는 단계, 유리(GL)를 화학 강화 처리하는 단계, 유리(GL)를 냉각하는 단계, 및 유리(GL)를 세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GL)를 예열하는 단계는 유리(GL)를 화학 강화를 위해 일정 수준의 온도로 예열 및 가열하는 과정일 수 있다. 유리(GL)를 예열하는 단계는 승온과 정온 과정을 반복하여 갑작스러운 가열에 의한 열팽창으로 유리(GL)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열 단계는 화학 강화 처리 단계에서의 유리(GL)의 반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리(GL)를 화학 강화 처리하는 단계에서 유리(GL)는 강화로 내에 투입될 수 있다. 상기 강화로에는 화학 강화 처리를 위한 용융액이 수용될 수 있다. 유리(GL)는 용융액과 이온치환반응을 하여 화학 강화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융액은 질산칼륨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GL)는 예열 단계에 의해 예열되어, 유리(GL) 표면의 나트륨 이온 및 용융액인 질산칼륨 용액의 이온치환반응이 용이할 수 있다.
고온의 용융액에 제공된 유리(GL)에는 이온치환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온은 400℃ 내지 500℃일 수 있다. 화학 강화 처리하는 단계에서 유리(GL) 표면의 작은 입자는 용융액의 큰 입자로 이온 교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작은 입자는 나트륨 이온일 수 있고, 상기 큰 입자는 칼륨 이온일 수 있다. 용융액은 액화된 질산칼륨(KNO3)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GL)의 표면에 분포하는 이온 반경이 작은 나트륨 이온(Na+)은 질산칼륨 용액의 이온 반경이 큰 칼륨 이온(K+)과 서로 치환될 수 있다. 유리(GL)의 표면에는 이온치환 반응에 의한 압축응력층이 형성되어 표면 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유리(GL)를 냉각하는 단계는 유리(GL)를 서냉시킬 수 있다. 유리(GL)를 냉각하는 단계는 이온 치환된 유리(GL)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잔류하는 응력을 제거할 수 있다.
유리(GL)를 서냉하는 단계는 이온 치환된 고온의 불안정한 유리(GL)의 표면에 용융액의 질산칼륨과 결합된 부분이 응고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급격히 냉각하는 경우에 유리(GL)의 부분적 냉각 속도의 차이로 인해 유리(GL) 내부에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방지하고, 내부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리(GL)를 세정하는 단계는 기포를 이용하여 유리(GL)를 버블 세척할 수 있다. 세정하는 단계는 유리(GL)를 세정함과 동시에 냉각시켜 화학 강화 처리 단계에서 형성된 유리(GL)의 잔류 응력을 제거하여 유리(GL)의 안정화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GL)를 세정하는 단계는 유리 적재용 카세트(CST)에 환적된 후 진행될 수도 있다.
화학 강화 처리된 유리(GL)는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기 위해 유리 적재용 카세트(CST)에 환적될 수 있다(S200). 유리(GL)는 이동되는 과정에서 충격, 오염, 긁힘, 먼지 등의 변화의 영향으로 손상되지 않도록 유리 적재용 카세트(CST)에 환적될 수 있다.
유리(GL)를 유리 적재용 카세트(CST)에 적재할 때, 유리(GL)를 복수의 제1 홈들(HM1) 각각 내에 배치할 수 있다. 하나의 제1 홈(HM1) 내에 배치된 유리(GL)는 상기 하나의 제1 홈(HM1)과 마주하는 제2 홈(HM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유리(GL)는 복수의 제1 홈들(HM1) 각각에 투입 방향(ID)으로 투입되어 적재될 수 있다. 투입 방향(ID)은 제3 방향(DR3)과 평행할 수 있다. 즉, 투입 방향(ID)은 복수의 제1 홈들(HM1) 및 복수의 제2 홈들(HM2) 각각이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유리(GL)는 복수의 제1 홈들(HM1) 및 복수의 제1 홈들(HM1)과 각각 마주하는 복수의 제2 홈들(HM2) 각각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유리(GL)는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 홈들(HM1) 각각에 의해 가이드되어 투입될 수 있다. 유리(GL)는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2 홈들(HM2) 각각에 의해 가이드되어 투입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유리(GL)는 하나의 제1 홈(HM1) 및 제1 홈(MH1)과 마주하는 제2 홈(HM2)에 가이드되어 투입될 수 있다.
유리 적재용 카세트(CST)에 환적된 유리(GL)는 검사 공정으로 이동되어 강화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S300). 이후, 유리(GL)에는 보호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유리(GL)는 초박막 유리일 수 있다. 유리(GL)는 화학 처리 공정을 통해 강화되고, 강화된 유리(GL)는 표시 장치의 커버 글라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를 카세트에 투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예를 들어, 폴더블 표시 장치)의 커버 글라스에 사용되는 유리(GL)는 폴딩이 가능해야 한다. 유리(GL)는 제1 방향(DR1)으로 폭(WD1)를 가질 수 있다. 유리(GL)의 폭(WD1)는 100μm(micrometer)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GL)의 폭(WD1)는 30μm일 수 있다. 유리(GL)의 폭(WD1)는 기존의 일반(Rigid) 커버 글라스의 두께인 0.5mm(millimeter, 500μm) 수준보다 얇기 때문에 유리(GL)를 폴딩할 때, 폴딩 영역에서 발생되는 응력이 작아져 유연하게 폴딩될 수 있다.
제1 홈(HM1)은 제1 방향(DR1)으로 폭(WD2)을 가질 수 있다. 제1 홈(HM1)의 폭(WD2)은 유리(GL)의 폭(WD1)보다 클 수 있다. 이로 인해, 유리(GL)는 제1 홈(HM1)에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다.
유리(GL)는 제1 홈(HM1)에 의해 가이드되어 투입 방향(ID)으로 투입될 수 있다. 유리(GL)는 제3 방향(DR3)으로 높이(HT1)을 가질 수 있다. 제1 홈(HM1)은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HM1)은 제3 방향(DR3)으로 높이(HT2)를 가질 수 있다. 제1 홈(HM1)의 높이(HT2)는 제1 지지부(SP1)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홈(HM1)의 높이(HT2)는 유리(GL)의 높이(HT1)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과 달리, 유리(GL)를 가이드하는 부재의 높이가 유리(GL)의 높이(HT1)보다 작아 상기 부재가 일체형이 아닌 복수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부재들 사이의 유리(GL)가 가이드되지 못하는 공간에서 초박막 두께로 인해 유리(GL)가 쉽게 휘어 상기 부재에 정확하게 투입되지 못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리(GL)를 투입 방향(ID)의 반대 방향으로 다시 꺼낸 뒤 재투입하는 과정에서 공정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재투입 과정을 고려한 환적 시간은 90초가 소요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GL)의 일 단부가 제1 홈(HM1)을 통해 투입되면, 유리(GL)의 타 단부가 투입될 때까지 제1 홈(HM1)은 유리(GL)를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유리(GL)는 일체로 형성된 제1 홈(HM1)을 따라 투입 방향(ID)으로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다. 유리(GL)의 환적에 소요되는 공정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유리 적재용 카세트(CST, 도 1 참조)를 이용했을 때 환적 시간은 48초가 소요될 수 있다. 유리 적재용 카세트(CST, 도 1 참조)는 환적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이 향상된 유리 적재용 카세트(CST, 도 1 참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달리, 유리(GL)를 가이드하는 부재의 높이가 유리(GL)의 높이(HT1)보다 작아 상기 부재가 일체형이 아닌 복수로 제공되는 경우, 유리(GL)의 상기 휨 현상으로 인해 환적 시 상기 부재와 유리(GL)가 부딪혀 깨짐, 스크래치, 얼룩, 끝단 일부가 깨지는 치핑(chipping) 현상 등의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유리(GL)가 쉽게 휘어 인접한 다른 유리(GL)와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유리(GL) 간 부딪힘으로 인한 깨짐, 스크래치, 얼룩, 치핑(chipping) 현상 등의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GL)의 일 단부가 제1 홈(HM1)을 통해 투입되면, 유리(GL)의 타 단부가 투입될 때까지 제1 홈(HM1)은 유리(GL)를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유리(GL)는 일체로 형성된 제1 홈(HM1)을 따라 투입 방향(ID)으로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다. 따라서, 유리(GL)의 신뢰성이 향상된 유리 적재용 카세트(CST, 도 1 참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및 유리 적재용 카세트의 평면도이다. 도 5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을 통해 설명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지지부(SP1)는 복수의 제1 홈들(HM1) 각각의 내부면(IS1)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기(PT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SP2)는 복수의 제2 홈들(HM2) 각각의 내부면(IS2)으로부터 돌출된 제2 돌기(PT2)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 적재용 카세트(CST)에는 유리(GL)가 적재될 수 있다.
유리(GL)는 복수의 제1 홈들(HM1) 및 복수의 제2 홈들(HM2)에 투입 방향(ID, 도 4 참조)으로 각각 투입되어 적재될 수 있다.
제1 홈(HM1)은 제1 방향(DR1)으로 폭(WD2)을 가질 수 있다. 제1 홈(HM1)의 폭(WD2)은 유리(GL)의 폭(WD1)보다 클 수 있다. 이로 인해, 유리(GL)는 제1 홈(HM1)에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다.
유리(GL)는 복수의 제1 홈들(HM1) 각각의 내부면(IS1) 및 복수의 제2 홈들(HM2) 각각의 내부면(IS2)과 각각 이격될 수 있다.
유리(GL)는 제1 돌기(PT1) 및 제2 돌기(PT2)와 접촉될 수 있다.
유리(GL)를 세정하는 단계 이후, 유리(GL)는 세정액에 의해 젖을 수 있다.
본 발명과 달리, 제1 지지부(SP1) 및 제2 지지부(SP2)가 제1 돌기(PT1) 및 제2 돌기(PT2)를 각각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세정액의 표면 장력에 의해 제1 지지부(SP1)의 내부면(IS1) 및 제2 지지부(SP2)의 내부면(IS2)과 유리(GL) 사이에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내부면들(IS1, IS2)과 유리(GL) 사이에 세정 붙음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세정 붙음 현상에 의해 유리(GL)에는 깨짐, 스크래치, 얼룩, 끝단 일부가 깨지는 치핑(chipping) 현상 등의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돌기(PT1) 및 제2 돌기(PT2)는 유리(GL)가 적재됨에 따라 제1 지지부(SP1) 및 제2 지지부(SP2)와 유리(GL)가 접촉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돌기(PT1) 및 제2 돌기(PT2)에 의해 상기 세정 붙음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이 향상된 유리 적재용 카세트(CST)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AA'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a의 BB'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제1 홈(HM1)의 내부면(IS1)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기(PT1)는 사각 튜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돌기(PT1)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돌기들(PT1)은 사각 튜브 형상이 반복되는 격자 무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1 돌기들(PT1)은 제3 방향(DR3)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돌기들(PT1) 각각은 불소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돌기들(PT1) 각각은 테플론(Teflo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소 수지는 표면의 마찰 계수가 작은 내마찰성을 가질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서는 예시적으로 제1 돌기(PT1)에 대해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돌기(PT2)도 제1 돌기(PT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돌기(PT1) 및 제2 돌기(PT2)는 유리(GL)가 적재됨에 따라 제1 지지부(SP1) 및 제2 지지부(SP2)와 유리(GL)가 접촉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지지부(SP1) 및 제2 지지부(SP2)와 유리(GL) 사이에 붙음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돌기(PT1) 및 제2 돌기(PT2) 각각은 내마찰성을 가지는 재료를 포함하여 유리(GL)와 접촉했을 때, 유리(GL)에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되거나, 그로 인한 파티클(particle)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이 향상된 유리 적재용 카세트(CST)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AA'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6a를 통해 설명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지지부(SP1-1)에는 제1 홈(HM1)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지지부(SP1-1)는 제1 홈(HM1)의 내부면(IS1)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기(PT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PT1-1)는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돌기(PT1-1)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돌기들(PT1-1)은 제3 방향(DR3)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돌기들(PT1-1) 각각은 불소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돌기들(PT1-1) 각각은 테플론(Teflon)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예시적으로 제1 돌기(PT1-1)에 대해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돌기(PT2)도 제1 돌기(PT1-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돌기(PT1-1)는 유리(GL)가 적재됨에 따라 제1 지지부(SP1-1)와 유리(GL)가 접촉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지지부(SP1-1)와 유리(GL) 사이에 붙음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돌기(PT1-1)는 내마찰성을 가지는 재료를 포함하여 유리(GL)와 접촉했을 때, 유리(GL)에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되거나, 그로 인한 파티클(particle)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이 향상된 유리 적재용 카세트(CST)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AA'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6a를 통해 설명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지지부(SP1-2)에는 제1 홈(HM1)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지지부(SP1-2)는 제1 홈(HM1)의 내부면(IS1)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기(PT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PT1-2)는 삼각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돌기(PT1-2)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돌기들(PT1-2)은 제3 방향(DR3)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돌기들(PT1-2) 각각은 불소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돌기들(PT1-2) 각각은 테플론(Teflon)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예시적으로 제1 돌기(PT1-2)에 대해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돌기(PT2)도 제1 돌기(PT1-2)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돌기(PT1-2)는 유리(GL)가 적재됨에 따라 제1 지지부(SP1-2)와 유리(GL)가 접촉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지지부(SP1-2)와 유리(GL) 사이에 붙음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돌기(PT1-2)는 내마찰성을 가지는 재료를 포함하여 유리(GL)와 접촉했을 때, 유리(GL)에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되거나, 그로 인한 파티클(particle)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이 향상된 유리 적재용 카세트(CST)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ST: 카세트 GL: 유리
FR1: 제1 프레임 FR2: 제2 프레임
SP1: 제1 지지부 SP2: 제2 지지부
HM1: 제1 홈 PT1: 제1 돌기
HM2: 제2 홈 PT2: 제2 돌기

Claims (20)

  1.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격된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에는 복수의 제1 홈들이 정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홈들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홈들 각각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제1 홈들 각각의 내부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기를 포함하는 유리 적재용 카세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유리 적재용 카세트.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돌기들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유리 적재용 카세트.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사각 튜브 형상을 갖는 유리 적재용 카세트.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반구 형상을 갖는 유리 적재용 카세트.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삼각뿔 형상을 갖는 유리 적재용 카세트.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돌기들은 상기 제3 방향으로 배열되는 유리 적재용 카세트.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에는 상기 복수의 제1 홈들과 상기 제2 방향으로 각각 마주하는 복수의 제2 홈들이 정의되는 유리 적재용 카세트.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홈들 각각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리 적재용 카세트.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제2 홈들 각각의 내부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 돌기를 포함하는 유리 적재용 카세트.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기는 사각 튜브 형상을 갖는 유리 적재용 카세트.
  12. 유리를 강화하는 단계;
    상기 유리를 카세트에 환적하는 단계; 및
    상기 유리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카세트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격된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에는 복수의 제1 홈들이 정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홈들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홈들 각각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제1 홈들 각각의 내부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유리를 상기 카세트에 환적하는 단계는 상기 유리를 상기 복수의 제1 홈들 각각 내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 처리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를 상기 복수의 제1 홈들 각각 내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유리를 상기 복수의 제1 홈들 각각에 상기 제3 방향으로 투입하여 적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 처리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를 상기 복수의 제1 홈들 각각에 상기 제3 방향으로 투입하여 적재하는 단계는 상기 유리를 상기 복수의 제1 홈들 각각의 상기 내부면과 이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 처리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사각 튜브 형상을 갖고,
    상기 유리를 상기 복수의 제1 홈들 각각에 상기 제3 방향으로 투입하여 적재하는 단계는 상기 유리를 상기 제1 돌기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리 처리 방법.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반구 형상을 갖고,
    상기 유리를 상기 복수의 제1 홈들 각각에 상기 제3 방향으로 투입하여 적재하는 단계는 상기 유리를 상기 제1 돌기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리 처리 방법.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삼각뿔 형상을 갖고,
    상기 유리를 상기 복수의 제1 홈들 각각에 상기 제3 방향으로 투입하여 적재하는 단계는 상기 유리를 상기 제1 돌기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리 처리 방법.
  18.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를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유리를 세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 처리 방법.
  19.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유리 처리 방법.
  20.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에는 상기 복수의 제1 홈들과 상기 제2 방향으로 각각 마주하는 복수의 제2 홈들이 정의되고,
    상기 유리를 상기 복수의 제1 홈들 각각 내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1 홈들 및 복수의 제2 홈들 각각 사이에 상기 유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 처리 방법.
KR1020220111281A 2022-09-02 2022-09-02 유리 적재용 카세트 및 이를 이용한 유리 처리 방법 KR20240033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281A KR20240033714A (ko) 2022-09-02 2022-09-02 유리 적재용 카세트 및 이를 이용한 유리 처리 방법
US18/211,471 US20240076225A1 (en) 2022-09-02 2023-06-19 Cassette for loading glass and glass treatment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281A KR20240033714A (ko) 2022-09-02 2022-09-02 유리 적재용 카세트 및 이를 이용한 유리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3714A true KR20240033714A (ko) 2024-03-13

Family

ID=90061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281A KR20240033714A (ko) 2022-09-02 2022-09-02 유리 적재용 카세트 및 이를 이용한 유리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40076225A1 (ko)
KR (1) KR20240033714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76225A1 (en)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6217B2 (ja) 塗布、現像装置、塗布、現像方法及び記憶媒体
US7991252B2 (en) Blind-mate optical connector for server remote memory application
JP6284681B2 (ja) 薄板ガラスロ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Djogo et al. Femtosecond laser additive and subtractive micro-processing: enabling a high-channel-density silica interposer for multicore fibre to silicon-photonic packaging
US10107967B1 (en) Fiber array assemblies for multifiber connectorized ribbon cables and methods of forming same
KR101862428B1 (ko) 유리 기판을 열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40057937A (ko) 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14581A (ko) 강화 유리판의 제조 방법
EP2625147A2 (en) Annealing of glass to alter chemical strengthening behavior
US20190113702A1 (en) Optical fiber protection structure and optical combiner structure using the same
US20190250337A1 (en) Fiber array formed using laser bonded optical fibers
KR20240033714A (ko) 유리 적재용 카세트 및 이를 이용한 유리 처리 방법
US20160377817A1 (en) Single-mode polymer waveguide connector
US9429718B1 (en) Single-mode polymer waveguide connector
EP0805364A1 (en) Treatment of glass substrates to compensate for warpage and distortion
Westerhoff et al. Advances in ZERODUR manufacturing for space and ground based telescopes
KR20220106900A (ko) 기판 적재용 카세트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방법
US20230072335A1 (en) Optical assemblies having laser bonded optical fibers
Chuang et al. Development and qualification of a mechanical-optical interface for parallel optics links
JP7183997B2 (ja) ガラス基板の処理方法
JP3464438B2 (ja) 導波型光部品
US20240176083A1 (en) Optical connector, optical connector connecting structure, and optical packaging circuit
KR101264686B1 (ko) 카세트 안착부 및 이를 구비한 스토커
Shi et al. Research on interface mechanism of back-end module for on-orbit maintenance
Brusberg et al. Thin glass based packaging and photonic single-mode waveguide integration by ion-exchange technology on board and module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