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3710A -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침, 가래, 기관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침, 가래, 기관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3710A
KR20240033710A KR1020220111172A KR20220111172A KR20240033710A KR 20240033710 A KR20240033710 A KR 20240033710A KR 1020220111172 A KR1020220111172 A KR 1020220111172A KR 20220111172 A KR20220111172 A KR 20220111172A KR 20240033710 A KR20240033710 A KR 20240033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k
root
bellflower
complex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용
이승수
이근하
황정승
양정은
황은선
Original Assignee
(주)에스디생명공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디생명공학 filed Critical (주)에스디생명공학
Priority to KR1020220111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3710A/ko
Publication of KR20240033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371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6Platycod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3종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관지 질환의 예방,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3종 식물 복합추출물은 염증 매개인자인 일산화질소 생성을 억제하고, 기관지 염증 매개인자인 PGE2 분비를 억제하며, 미세먼지의 흡입으로 폐 조직에서 유도된 활성산소종 소거 활성을 나타내고, 염증성 점액단백질인 Mucin 5AC(MUC5AC)의 분비를 억제하며, 진해 활성을 나타내므로 기관지 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 용도로 식품 및 의약 분야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침, 가래, 기관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ough, Sputum, and Bronchial Diseas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침, 가래, 및 기관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 몸의 호흡기는 물리 화학적인 자극에 대해 끊임없이 방어하고 있는 기관 중 하나로 자극물질이 호흡기로 유입되면 대부분 자극물질은 코털에 걸려 호흡기로 들어오지 못하나 이를 통과한 미세한 자극물질은 점액으로 둘러싸이고, 기도 벽에 있는 미세한 섬모의 운동으로 위로 또는 밖으로 내보내 지게 되는데, 바로 이것이 기침의 기본 작용원리이다.
기침은 기도 점막 자극으로 반사적으로 일어나는 방어기전으로, 지나친 자극에 의한 지속적인 기침이 유발될 경우, 환자의 삶의 질을 경감시키고 악화시키게 된다. 또한, 기침과 같은 원리로 외부에서 먼지나 자극물질 등이 유입되면 우리 몸의 기관지에서는 타액과 함께 근육운동을 해서 외부로 밀어내게 되는데, 이것이 객담(가래) 형성의 원인이며 폐 등 기관지의 염증에 의해서 짙은 화농성 객담이 생기게 된다.
결과적으로 찬 공기, 병원성 미생물을 포함한 외부 이물질, 대기 오염 물질, 알레르기 유발 물질 등과 같은 물리 화학적 요인 등에 의해 기침 및 가래가 발생되며, 이를 치료하기 위해 말초에 있는 신장 수용체(stretch receptor)에 작용하여 기침을 조절하는 말초성 진해제, 베타 2 아고니스트(β2-adrenergic receptor agonist), 점액 용해제 또는 거담제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기존의 진해 거담제는 부작용과 독성 및 약물 자체의 화학적 불안정성 등으로 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천연물 유래의 진해거담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대표적인 연구로는 기도의 미주신경을 자극하여 점막의 분비를 촉진해 거담작용을 발현함과 동시에 진해작용의 보조적 역할을 하는 사포닌(saponin), 알칼로이드(alkaloid) 등을 함유하는 식물에 관한 보고가 있기도 하지만, 그 성과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 유래 호흡기 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복합추출물이 세포독성이 없고, 유의적인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며, 기관지 세포에서 염증성 점액 단백질의 분비를 유의적으로 억제하고,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기침 또는 가래에도 좋은 효과를 나타내어,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목적에 더하여 기침 및 가래의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0001)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9-0043997호(2019.04.29), 국화 및 황금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0002)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20-0027451호(2020.03.12), 차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세포독성이 없고, 유의적인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며, 기관지 세포에서 염증성 점액 단백질의 분비를 유의적으로 억제하고,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개선 효과가 있는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3종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관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근피"는 느릅나무과 왕느릅나무(Ulmus macrocarpa Hance)의 코르크층을 벗긴 수피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상백피"는 뽕나무과의 뽕나무(Morus alba L.) 또는 동속 식물의 뿌리껍질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는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뿌리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추출 처리로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추출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종 이상의 추출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를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및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물, 저급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열수 추출 또는 냉침 추출한 추출물은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 예를 들어 나일론 등을 이용해 입자를 걸러내거나 냉동여과법 등을 이용해 여과한 후, 그대로 사용하거나 이를 동결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을 이용해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분획물"은 여러 다양한 구성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상기 분획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를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에 소정의 용매를 처리하여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데에 사용되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알코올 등의 극성 용매; 헥산(Hexan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등의 비극성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 중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구체적으로는 C1 내지 C4의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 원료를 1 : 0.5-2 : 0.5-2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서, 상기 기관지 질환은 객혈(Hemoptysis), 규폐증(Silicosis), 급성 기관지염(Acute bronchitis), 만성 기관지염(Chronic bronchitis), 만성 기침(Chronic cough), 기관지확장증(Bronchiectasis),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및 만성 폐질환(Chronic lung diseas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일 수 있으나, 이외에도 기관지 염증, 기침, 가래 증상을 동반하는 질환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기관지 질환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염증 매개인자인 일산화질소 생성을 억제하고, 기관지 염증 매개인자인 PGE2 분비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복합추출물이 이들의 단일추출물에 비해 상승적인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과(synergy effect)를 나타내며, 100㎍/㎖ 투여군에서는 L-NMMA 처리 양성대조군 대비 일산화질소 생성을 더욱 억제하는 우수한 효과를 확인하였다(도 1 및 도 2 참조). 또한, LPS 및 PMA만을 처리한 시료 무처리군과 비교하여, LPS 및 PMA와 함께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복합추출물을 처리한 시험군에서는 단일추출물 처리군에 비해 PGE2 분비 억제 효과가 더욱 우수한 것을 확인한바 있다(도 7 참조).
또한, 본 발명의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미세먼지의 흡입으로 폐 조직에서 유도된 활성산소종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복합추출물이 단일추출물에 비해 MH-S 세포 내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한 바 있다(도 4 참조).
또한, 본 발명의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염증성 점액단백질인 Mucin 5AC(MUC5AC)의 분비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UC5AC(Mucin 5AC) 단백질은 염증성 점액단백질로, LPS와 같은 물질의 자극으로 분비되고, 이들의 과다분비는 만성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을 유발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복합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MUC5AC 분비를 억제하고, 단일추출물에 비해 복합추출물의 MUC5AC 분비 억제 효과가 더욱 우수한 것을 확인한 바 있다(도 6 참조).
또한, 본 발명의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진해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용어, "진해"는 기침을 그치게 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침, 기관지 경련, 호흡곤란, 또는 가래의 제증상을 수반하는 질환, 천식, 또는 감기 증상에서 진해 효과를 나타내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기니피그 동물모델 시험을 통해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복합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기침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한 바 있다(도 7 참조).
상기와 같은 실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복합 추출물은 염증 매개인자인 일산화질소 생성을 억제하고, 기관지 염증 매개인자인 PGE2 분비를 억제하며, 미세먼지의 흡입에 의해 폐조직에서 유도된 활성산소종 소거 활성을 나타내고, 염증성 점액단백질인 Mucin 5AC(MUC5AC)의 분비를 억제하며, 진해 활성을 나타내므로, 기관지 염증, 기침, 가래 증상을 동반하는 기관지 질환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진해 및 거담 목적으로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복합추출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산을 첨가함으로써 염을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무기산(예: 염산, 하이드로브롬산, 인산, 질산, 황산 등), 유기 카르복실산(예: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같은 할로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말레산, 숙신산, 말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살리실산), 및 산성 당(글루쿠론산, 갈락투론산, 글루콘산, 아스코르브산), 산성 폴리사카리드(예: 히알우론산, 콘드로이틴 술페이트, 아르기닌산), 콘드로이틴 설페이트와 같은 술폰산 당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유기 술폰산(예: 메탄, 술폰산, p-톨루엔 술폰산) 등을 첨가하여 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복합추출물은 식용 가능한 식물 성분에서 유래한 물질로, 임상 투여시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4종 식물 복합추출물은 실제로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형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리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복합추출물은 생리식염수 또는 유기용매와 같이 약제로 허용된 여러 전달체(carrier)와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안정성이나 흡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글루코오스, 수크로오스 또는 덱스트란과 같은 카보하이드레이트, 아스코르브 산(ascorbic acid) 또는 글루타치온과 같은 항산화제(anti-oxidants), 킬레이트화제(chelating agents), 저분자 단백질 또는 다른 안정화제(stabilizers)들이 약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3종 식물 복합추출물의 유효용량은 0.01 내지 10 ㎎/㎏이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 이며, 하루 1회 내지 3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서 또는 그 배양액은 총 유효량은 볼루스(bolus) 형태 혹은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동안 주입(infusion) 등에 의해 단일 투여량(single does)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es)이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농도는 약의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나이 및 건강상태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의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3종 식물 복합추출물의 약학적 조성물로서의 특정한 용도에 따른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3종 식물 복합추출물은 염증 매개인자인 일산화질소 생성을 억제하고, 기관지 염증 매개인자인 PGE2 분비를 억제하고, 미세먼지의 흡입에 의해 폐조직에서 유도된 활성산소종 소거활성을 나타내며, 염증성 점액단백질인 Mucin 5AC(MUC5AC)의 분비를 억제하고, 진해 활성을 나타내므로 기관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복합추출물로 구성된 식물 복합추출물과 이의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에 대한 효과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3종 식물 복합추출물과 이들의 가공물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 보조첨가제"란 식품에 보조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각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품 보조첨가제의 예로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상기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식품 보조첨가제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건강기능식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기관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제조 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용가능한 식물 성분을 원료로 하여 식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며, 기관지 질환 및 염증 질환, 기침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증진시키는 보조제로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이 취할 수 있는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의미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기능성 식품 등 당업계에 알려진 용어와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식품에 포함될 수 있는 적절한 기타 보조 성분과 공지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3종 식물 복합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한 즙, 차, 젤리 및 주스 등에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동물을 위한 사료로 이용되는 식품도 포함된다.
본 발명은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3종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관지 질환의 예방,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3종 식물 복합추출물은 염증 매개인자인 일산화질소 생성을 억제하고, 기관지 염증 매개인자인 PGE2 분비를 억제하며, 미세먼지의 흡입에 의해 폐조직에서 유도된 활성산소종 소거 활성을 나타내고, 염증성 점액단백질인 Mucin 5AC(MUC5AC)의 분비를 억제하며, 진해 활성을 나타내므로 기관지 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 용도로 식품 및 의약 분야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단일 또는 복합추출물을 RAW 264.7 세포에 처리한 후, 세포 생존율의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단일 또는 복합추출물을 RAW 264.7 세포에 처리한 후, 일산화질소 생성량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단일 또는 복합추출물을 MH-S 세포에 처리한 후, 세포 생존율의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단일 또는 복합추출물을 MH-S 세포에 처리한 후, 활성산소종의 생성량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단일 또는 복합추출물을 인간 유래 기관지 상피세포주인 NCI-H292 세포에 처리한 후, 세포 생존율의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단일 또는 복합추출물을 인간 유래 기관지 상피세포주인 NCI-H292 세포에 처리한 후, 염증성 점액단백질인 MUC5AC(Mucin 5AC)의 생성량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단일 또는 복합추출물을 인간 유래 기관지 상피세포주인 A549 세포에 처리한 후, 염증 매개인자인 PGE2(Prostaglandin E2)의 생성량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복합추출물을 기니피그 동물실험 모델에 투여한 후, 기침수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식물 추출물의 제조
1-1. 유근피 추출물의 제조
건조 중량 100g의 분쇄한 유근피 분말을 10배 중량의 정제수로 12시간 가온 환류추출하고 냉침한 후, 1.2㎛ 투과 사이즈를 갖는 여과지(Glassfiber, sartorius, 미국)로 여과하였다. 이 여과된 추출액을 50℃ 이하에서 감압농축한 후 감압건조기(Eyela Rotary evaporator, Tokyo Rikakika Co.,LTD, 일본)를 이용해 완전히 건조시켜 유근피 추출물(제조예 1)을 수득하였다.
1-2. 상백피 추출물의 제조
유근피 분말을 상백피 분말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상백피 추출물(제조예 2)을 수득하였다.
1-3. 도라지 추출물의 제조
유근피 분말을 도라지 분말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도라지 추출물(제조예 3)을 수득하였다.
1-4. 3종 식물 복합추출물의 제조
유근피 분말을 대체하여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 분말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 분말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3종 복합추출물(제조예 4)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항염증 활성
2-1. 세포 독성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단일추출물 또는 이들의 복합추출물이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의 생장에 미치는 효과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실험은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를 한국세포주은행(KTCC, Seoul, Korea)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고, 10% FBS(Fetal bovine serum)를 함유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 10% FBS, 100㎍/㎖ 페니실린 및 100㎍/㎖ 스트렙토마이신을 첨가한 배지에 상기 세포를 접종하여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RAW 264.7 세포를 1×106 cells/mL 농도(in DMEM)로 96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24시간 배양한 후,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단일추출물(제조예 1 내지 3)과 이들의 복합추출물(제조예 4)을 10, 50, 및 100㎍/㎖ 농도로 희석한 시료와 내독소로 알려진 LPS(1μg/ml)를 함유한 새로운 배지를 동시에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1mg/mL의 MTT 시약을 처리하고 2시간이 경과한 후, MTT 처리로 인해 생성된 포마잔(formazan)을 DMSO 용매로 녹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RAW 264.7 세포에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단일추출물 또는 이들의 복합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단일추출물 또는 이들의 복합추출물이 농도의존적으로 RAW 264.7 세포의 세포 생존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를 통해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단일추출물 또는 이들의 복합추출물이 인체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고, 오히려 세포 생존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참조).
2-1. NO 생성 억제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단일추출물 또는 이들의 복합추출물이 갖는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일산화질소는 염증 유발에 관여하는 대표적인 세포 독성물질이다.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는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하였고, 실시예 1에서 제조한 3종 식물체의 단일추출물 또는 이들의 복합추출물을 10, 50, 및 100㎍/㎖ 농도로 희석한 시료와 내독소로 알려진 LPS(1μg/ml)를 함유한 새로운 배지를 동시에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세포배양 상등액 100㎕와 Griess reagent[1%(w/v) sulfanilamide, 0.1%(w/v) naphtylethylenediamine in 2.5%(v/v) phosphoric acid] 100㎕를 혼합하여 96 well 플레이트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Griess reagent 반응 후, ELISA 리더를 사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산화질소의 양을 측정하였다. 생성된 아질산염(nitrite)의 농도는 아질산나트륨(sodium nitrite)을 DMEM 용액에 용해한 표준 곡선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비교실험을 위해 NO 생성 억제제로 알려진 L-NMMA(NG-Methyl-L-arginine, acetate salt) 50㎍/㎖를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를 정리한 [도 2]를 참조하면, LPS 처리군(Con)에 비해 3종 식물의 단일추출물(제조예 1 내지 3)을 시료로 처리한 시험군 모두에서 일산화질소의 생성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고, 상백피, 유근피, 도라지의 순으로 일산화질소의 생성 억제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복합추출물(제조예 4)이 이들의 단일추출물에 비해 상승적인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과(synergy effect)를 보였으며, 100㎍/㎖ 투여군에서는 L-NMMA 처리 양성대조군 대비 더욱 우수한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구체적으로 3종 복합추출물은 유근피 단일추출물 대비 일산화질소의 생성이 각각 12%(10㎍/㎖), 20%(50㎍/㎖) 및 30%(100㎍/㎖) 감소하였고, 상백피 단일추출물 대비 일산화질소의 생성이 각각 14%(10㎍/㎖), 24%(50㎍/㎖) 및 28%(100㎍/㎖) 감소하였으며, 도라지 단일추출물 대비 일산화질소의 생성이 각각 10%(10㎍/㎖), 28%(50㎍/㎖) 및 40%(100㎍/㎖) 감소하여, 3종 성분 조합에 따른 시너지 활성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3. 미세먼지 노출 세포 모델에서 활성산소종 생성 억제 활성
미세먼지 환경에서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단일추출물 또는 이들의 복합추출물의 활성산소종 감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폐포 대식세포(alveolar macrophages)로 알려진 MH-S(CRL-2019. ATCC, Manassas, VA, USA) 세포는 10% fetal bovine serum(FBS, Gibco, Grand Island, NY, USA) 및 1% penicillin-streptonycin solution(PS, Gibco)을 첨가한 RPMI 1640(complete medium) 배지를 넣어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디젤분진에 의해 유도된 초미세먼지(fine particulate matter, PM) 환경에서 본 발명의 3종 복합 추출물의 활성산소종(ROS, reactive oxygen species) 생성 감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MH-S 세포를 최종 농도가 1x105 cell/well이 되도록 96 well 플레이트에 200㎕ 부피로 분주하였다. 24 시간 경과 후에 전체 배지를 제거하고, 세럼 프리 RPMI 1640 배지 200㎕로 교체하였다. 실험군은 세럼 프리 RPMI 1640 배지로 교체하고 2시간 경과 후 상백피, 유근피, 및 도라지의 단일 또는 복합추출물을 각각 10, 50, 및 100㎍/㎖ 농도로 첨가하고, 24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한편, 0.05% tween 80 함유한 생리식염수에 최종 2㎎/㎖의 디젤분진을 첨가하여 용액을 준비하고, 이를 20분간 초음파(sonication)를 가하여 분진상태로 제조한 후, 상기 24시간 배양된 세포에 디젤분진 100㎍/㎖를 처리하여(약 200㎕ well 당 5㎕씩) 제작하였다. 음성대조군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고 실험군과 동일하게 배양된 MH-S 세포를 사용하였다. 또한, 디젤분진 투여군은 0.05% tween 80 함유한 생리식염수에 최종 2㎎/㎖의 디젤분진을 첨가하여 용액을 준비하고, 이를 20분간 초음파(sonication)를 가하여 분진상태로 제조한 후, 상기 24시간 배양된 세포에 디젤분진 100㎍/㎖를 처리하여(약 200㎕ well 당 5㎕씩) 제작하였다. 디젤분진을 처리하고 3시간 후 세포를 회수하였다.
각 실험군으로부터 활성산소종 측정을 위해 회수한 세포를 PBS로 2번 세척하고, RPMI 1640 배지에 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DCFDA, Thermo)를 10uM 농도로 준비한 후, 이를 각 well에 200㎕씩 분주하고, 30분 동안 37℃ 및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후 세포를 다시금 PBS로 2번 세척하였고, 컴플리트 배지(Complete medium)에 혼합하여 제조한 3.7% 포르말린 용액을 15 분 동안 처리하여 37℃ 및 5% CO2 조건에서 고정하였다. PBS 용액을 100㎕ 분주하고, micro-plate reader 기기로 흡수파장 495㎚, 방출파장 529㎚에서 DCFDA 형광발광을 검출 및 정량하여 세포 내 활성산소종 생성량을 분석하였다.
먼저, 폐포 대식세포인 MH-S 세포의 생존율을 정리한 [도 3]을 참조하면, 초미세먼지 환경 조건에서 MH-S에 대한 세포독성이 확인되었으나,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단일추출물 첨가는 MH-S 세포의 증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복합추출물은 이들의 단일추출물에 비해 MH-S 세포에 독성이 없으며 오히려 세포의 증식을 더욱 현저하게 촉진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폐포 대식세포인 MH-S 세포의 활성산소종 생성량을 정리한 [도 4]를 참조하면, 초미세먼지 환경 조건에서 MH-S 세포 내 활성산소종의 생성량이 2배 정도 증가하고,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단일추출물 첨가는 MH-S 세포 내 활성산소종 생성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3종 성분의 복합추출물은 이들의 단일추출물에 비해 MH-S 세포 내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더욱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유근피 추출물 처리군은 디젤분진 처리군 대비 활성산소종의 생성량이 22%(50㎍/㎖) 및 33%(100㎍/㎖) 감소하였고, 상백피 추출물 처리군은 디젤분진 처리군 대비 활성산소종의 생성량이 7%(10㎍/㎖), 18%(50㎍/㎖) 및 25%(100㎍/㎖) 감소하였으며, 도라지 추출물 처리군은 디젤분진 처리군 대비 활성산소종의 생성량이 4%(10㎍/㎖), 16%(50㎍/㎖) 및 29%(100㎍/㎖) 감소하였다. 이에 반해 이들 3종 성분 복합추출물 처리군은 디젤분진 처리군 대비 활성산소종의 생성량이 17%(10㎍/㎖), 42%(50㎍/㎖) 및 55%(100㎍/㎖) 감소하여 각각의 단일추출물 처리군에 비해 활성산소종의 생성이 현저하게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3종 성분 조합에 따른 시너지 활성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4. 인간 기관지 상피세포 보호 및 MUC5AC 분비 억제 활성
4-1. 기관지 상피세포 보호 활성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단일추출물 또는 이들의 복합추출물의 기관지 상피세포에 대한 보호 활성을 시험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준비한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단일추출물 또는 이들의 복합추출물을 인간 기관지 상피세포인 MH-S 세포에 처리하고 LPS 및 PMA(phorbol 12- myristate 13-acetate)로 MUC5AC 분비를 유도하고, 기관지 상피세포의 세포 생존율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기관지 상피세포는 인간 유래 기관지 상피세포주인 NCI-H292 세포를 4×104 세포/㎖로 24-웰 플레이트에 500㎕씩 분주하였고, 37℃ 및 5% CO2 조건의 배양기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를 안정화시켰다. 48 시간 뒤 배양 배지를 모두 제거하였고, 0.2% FBS/DMEM 배지로 교체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PBS 용매로 2번 세척하였고, 무혈청 배지 400㎕와 농도별로 희석한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단일추출물 또는 이들의 복합추출물을 각각 10, 50, 및 100㎍/㎖ 농도로 첨가하고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100ng/㎖ 농도의 PMA 및 20㎍/㎖ 농도의 LPS를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재배양하여 MUC5AC 단백질의 생성을 유도하고, NCI-H292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를 정리한 [도 5]를 참조하면, LPS 및 PMA만을 처리한 시료 무처리군과 비교하여, LPS 및 PMA와 함께 유근피 단일추출물 시료를 처리한 시험군에서는 낮은 농도에서 NCI-H292 세포 생존율 증가가 관찰되었고, 상백피 단일추출물 시료를 처리한 시험군에서는 NCI-H292 세포 생존율 증가에 대한 뚜렷한 경향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도라지 단일추출물 시료를 처리한 시험군에서는 NCI-H292 세포 생존율 증가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3종 복합추출물은 NCI-H292 세포의 생존율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들 3종 성분 추출물 처리군은 LPS 및 PMA 처리군 대비 NCI-H292 세포의 생존율이 각각 105%(10㎍/㎖), 111%(50㎍/㎖) 및 117%(100㎍/㎖) 증가하여 각각의 단일추출물 처리군에 비해 인간 기관지 세포 보호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3종 성분 조합에 따른 시너지 활성이 관찰되었다.
4-2. 염증성 점액 단백질 분비 억제 활성
MUC5AC(Mucin 5AC) 단백질은 염증성 점액단백질로, LPS와 같은 물질의 자극에 의해 분비되고, 이들의 과다분비는 만성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기관지 상피세포에서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단일추출물 또는 이들의 복합추출물의 MUC5AC 억제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단일추출물 또는 이들의 복합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LPS 및 PMA로 MUC5AC 분비를 유도한 기관지 상피세포에서 MUC5AC의 분비량을 sandwitch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세포 배양 및 MUC5AC 생성 유도는 상기 실시예 4-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였고, sandwitch ELISA 방법은 LSBio KIT를 제조사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를 정리한 [도 6]을 참조하면, LPS 및 PMA만을 처리한 시료 무처리군과 비교하여, LPS 및 PMA와 함께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단일추출물 또는 이들의 복합추출물을 처리한 시험군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MUC5AC 분비를 억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는데, 단일추출물에 비해 복합추출물의 MUC5AC 분비 억제 효과가 더욱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LPS 및 PMA 처리군 대비 유근피 단일추출물 처리군은 11%(10㎍/㎖), 19%(50㎍/㎖) 및 21%(100㎍/㎖) 감소한 MUC5AC 분비량이 측정되었고, 상백피 단일추출물 처리군은 3%(10㎍/㎖), 9%(50㎍/㎖) 및 14%(100㎍/㎖) 감소한 MUC5AC 분비량이 측정되었으며, 도라지 단일추출물 처리군은 2%(10㎍/㎖), 12%(50㎍/㎖) 및 24%(100㎍/㎖) 감소한 MUC5AC 분비량이 측정되었다. 이에 반해 이들의 3종 복합추출물 처리군에서는 29%(10㎍/㎖), 48%(50㎍/㎖) 및 77%(100㎍/㎖) 감소한 MUC5AC 분비량이 측정되어 각각의 단일추출물 처리군에 비해 MUC5AC 분비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3종 성분 조합에 따른 시너지 활성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5. 기관지 염증 매개 인자 PGE 2 억제 활성
PGE2(Prostaglandin E2)는 염증을 매개하는 물질로 폐 조직의 섬유화(fibrosis)에 관여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기관지 상피세포에서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단일추출물 또는 이들의 복합추출물의 PGE2 억제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추출물들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LPS 및 PMA로 MUC5AC 분비를 유도한 기관지 상피세포에서 PGE2 분비량을 sandwitch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기관지 상피세포로 인간 유래 기관지 상피세포주 A549 세포를 1×105 세포/㎖로 96-웰 플레이트에 200㎕씩 분주하고 37℃ 및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 배지로 배양하여 세포를 안정화시켰다. 24시간 뒤 배양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0.2% FBS/DMEM 배지로 교체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PBS 용매로 2번 세척하였고, 무혈청 배지 160㎕와 농도별로 희석한 상기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단일추출물 또는 이들의 복합추출물 시료 20㎕를 처리하고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20ng/㎖ 농도의 PMA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재배양하여 염증을 유도한 다음, 배양 상등액만을 취하여, PGE2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를 정리한 [도 7]을 참조하면, LPS 및 PMA만을 처리한 시료 무처리군과 비교하여, LPS 및 PMA와 함께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단일추출물 또는 이들의 복합추출물을 처리한 시험군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PGE2 분비를 억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는데, 단일추출물에 비해 복합추출물의 PGE2 분비 억제 효과가 더욱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LPS 및 PMA 처리군 대비 유근피 단일추출물 처리군은 17%(10㎍/㎖), 23%(50㎍/㎖) 및 31%(100㎍/㎖) 감소한 PGE2 분비량이 측정되었고, 상백피 단일추출물 처리군은 13%(10㎍/㎖), 22%(50㎍/㎖) 및 25%(100㎍/㎖) 감소한 PGE2 분비량이 측정되었으며, 도라지 단일추출물 처리군은 5%(10㎍/㎖), 11%(50㎍/㎖) 및 19%(100㎍/㎖) 감소한 PGE2 분비량이 측정되었다. 이에 반해 이들의 3종 복합추출물 처리군에서는 55%(10㎍/㎖), 70%(50㎍/㎖) 및 87%(100㎍/㎖) 감소한 PGE2 분비량이 측정되어 각각의 단일추출물 처리군에 비해 PGE2 분비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3종 성분 조합에 따른 시너지 활성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6. 진해 활성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복합추출물이 갖는 진해활성을 기니피그 동물실험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기니피그는 음성대조군(negative control) 및 시료 투여군(sample)으로 나누고, 음성대조군은 식염수(saline)를 kg당 10ml 경구 투여하였고, 시료 투여군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복합추출물을 각각 50, 100, 150, 및 200㎍/㎖ 농도로 kg당 10ml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였으며, 시료는 식염수에 녹여 조제하였다. 비교실험을 위해 양성대조군으로는 진해제로 사용되고 있는 테오브로민(Theobromine, Sigma, 50mg/kg)을 사용하였다.
경구투여 1시간 후, 기니피그를 플레테시스모그래프 챔버(Buxco, U.S.A)에 넣어 안정을 유도한 후, 기침 유발제(시트르산, citric acid)를 분무하여 기침을 유발하였다. 0.2~0.4M 농도의 시트르산에 기니피그를 10분간 노출시켜 기니피그의 기침수를 측정하였고, 시트르산의 분무를 멈춘 후 추가로 5분 정도 기니피그의 기침수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를 정리한 [도 8]을 참조하면, 기침 유발제(시트르산, citric acid)를 분무하여 기침을 유발한 음성대조군은 총 26회 정도의 기침이 유발된 것으로 측정되었고, 본 발명의 3종 복합추출물을 처리한 시험군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기침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복합추출물 처리군은 50, 100, 150, 및 200㎍/㎖ 농도에서 각각 18, 11, 7, 및 5회의 기침수가 측정되었는데, 100, 150, 및 200㎍/㎖ 농도에서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테오브로민(Theobromine)의 기침수 13회 대비 더욱 우수한 진해 효과가 관찰되어 진해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 원료를 1 : 0.5-2 : 0.5-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지 질환은 객혈(Hemoptysis), 규폐증(Silicosis), 급성 기관지염(Acute bronchitis), 만성 기관지염(Chronic bronchitis), 만성 기침(Chronic cough), 기관지확장증(Bronchiectasis),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및 만성 폐질환(Chronic lung diseas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염증 매개인자인 일산화질소 생성을 억제하고, 기관지 염증 매개인자인 PGE2 분비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미세먼지의 흡입으로 폐 조직에서 유도된 활성산소종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염증성 점액단백질인 Mucin 5AC(MUC5AC)의 분비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진해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220111172A 2022-09-02 2022-09-02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침, 가래, 기관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337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172A KR20240033710A (ko) 2022-09-02 2022-09-02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침, 가래, 기관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172A KR20240033710A (ko) 2022-09-02 2022-09-02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침, 가래, 기관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3710A true KR20240033710A (ko) 2024-03-13

Family

ID=90299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172A KR20240033710A (ko) 2022-09-02 2022-09-02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침, 가래, 기관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371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997A (ko) 2017-10-19 2019-04-29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국화 및 황금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27451A (ko) 2018-09-04 2020-03-12 한국식품연구원 차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997A (ko) 2017-10-19 2019-04-29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국화 및 황금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27451A (ko) 2018-09-04 2020-03-12 한국식품연구원 차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5732B2 (en) Agents derived from Holoptelea integrifolia and their compositions for the control of metabolic syndrome and associated diseases
KR102173159B1 (ko) 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조성물, 호흡기 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항노화 조성물
KR101360231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20133133A (ko)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47029B1 (ko) 피스타시아 웨인마니폴리아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97841B1 (ko) 택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폐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2990047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relieving or treating colitis, containing complex extracts
KR102252126B1 (ko) 국화 및 황금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Giri et al. Traditional Uses,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Woodfordia fruticosa (L) Kurz: A Comprehensive Review.
Lila Impact of bioflavonoids from berryfruits on biomarkers of metabolic syndrome
KR20240033710A (ko) 유근피, 상백피 및 도라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침, 가래, 기관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Zayachkivska et al. Influence of plant-originated gastroproteciive and antiulcer substances on gastric mucosal repair
KR20190109220A (ko)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KR20200021738A (ko) 장수만리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Younus et al. Antioxidant,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in vitro and field-grown Iceberg lettuce extracts
KR101445485B1 (ko) 울금 및 연잎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비만의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CN117120043A (zh) 用于调控宿主防御机制稳态的标准化的生物类黄酮组合物
KR102050966B1 (ko) 침향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94313A (ko) 모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355106B1 (ko) 도라지를 포함한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102355104B1 (ko) 순무를 포함한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Sharma et al.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pharmaceutical effect of celosia cristata: a review on nutritional aspect
KR101647506B1 (ko) 황련 추출물의 독성 저감화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독성이 저감화된 생약추출물, 및 그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54977B1 (ko) 키레놀 또는 시게스벡키아 오리엔탈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30120849A (ko) 스컬캅플라본ⅱ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