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2331A -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 Google Patents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2331A
KR20240032331A KR1020220111175A KR20220111175A KR20240032331A KR 20240032331 A KR20240032331 A KR 20240032331A KR 1020220111175 A KR1020220111175 A KR 1020220111175A KR 20220111175 A KR20220111175 A KR 20220111175A KR 20240032331 A KR20240032331 A KR 20240032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lide plate
console
sliding
guid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영
지승영
Original Assignee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filed Critical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220111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2331A/ko
Publication of KR20240032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2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73Longitudin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9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vering after user, e.g. boxes, shutt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두께가 얇고 내구성이 높으며,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길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는, 콘솔박스를 개폐하도록 후측이 콘솔박스에 힌지 결합되는 커버플레이트; 커버플레이트의 너비 방향 일측에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고 내측에 전후 방향으로 복수 개의 고정홀이 형성된 가이드바; 가이드바를 수용하는 가이드홈이 관통 형성되어 커버플레이트의 상면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플레이트; 슬라이드플레이트의 상면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로드; 슬라이드플레이트의 전방에 힌지 결합되고 일단이 상방으로 회전되면 타단이 제1 로드의 일단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노브; 및 슬라이드플레이트의 상면에 슬라이드플레이트의 너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이 복수 개의 고정홀 중 어느 하나의 고정홀에 위치되되, 제1 로드가 후방으로 밀리면 일단이 어느 하나의 고정홀에서 이탈되는 제2 로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CONSOLE SLIDING ARM REST}
본 개시(The Disclosure)는 콘솔 암레스트와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편의를 위해 콘솔 박스가 설치되고, 이러한 콘솔 박스의 내부를 가리기 위해 콘솔 박스 커버가 구비된다. 하지만, 종래의 콘솔 박스 커버는 동일한 길이를 가져 사용자에 따라 맞지 않아 사용하기 불편한 경우도 발생하였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3952호는 슬라이딩 암레스트 콘솔 개폐장치를 개시한다.
동 공보에 개시된 슬라이딩 암레스트 콘솔 개폐장치는, 콘솔 바디와, 상기 콘솔 바디의 상부에서 회동되어 상기 콘솔 바디의 상면을 개폐하는 개폐 플레이트와, 상기 개폐 플레이트에서 슬라이딩 되는 암레스트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암레스트 구조를 갖는 콘솔의 개폐장치로서, 상기 개폐 플레이트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 플레이트를 상기 콘솔 바디에서 개폐 단속하는 후크와; 상기 암레스트에 구비되어 회동 동작에 의해 상기 암레스트의 슬라이딩 동작을 단속하는 동시에 상기 후크를 연동하여 동작시키는 록킹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 플레이트에는 상기 암레스트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이너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이너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암레스트를 일체로 슬라이딩 시키는 가이드 로드와; 상기 가이드 로드와 함께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암레스트의 슬라이딩 동작을 단속하는 이너로드를 포함한다.
전술한 슬라이딩 암레스트 콘솔 개폐장치는, 상하로 회전되도록 힌지 결합되는 부품들과 스프링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콘솔 박스 커버의 두께가 크며,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슬라이딩되는 길이도 다양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KR 10-1583952 B1 (2016.01.04. 등록)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두께가 얇고 내구성이 높으며,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길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는, 콘솔박스를 개폐하도록 후측이 콘솔박스에 힌지 결합되는 커버플레이트; 커버플레이트의 너비 방향 일측에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고 내측에 전후 방향으로 복수 개의 고정홀이 형성된 가이드바; 가이드바를 수용하는 가이드홈이 관통 형성되어 커버플레이트의 상면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플레이트; 슬라이드플레이트의 상면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로드; 슬라이드플레이트의 전방에 힌지 결합되고 일단이 상방으로 회전되면 타단이 제1 로드의 일단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노브; 및 슬라이드플레이트의 상면에 슬라이드플레이트의 너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이 복수 개의 고정홀 중 어느 하나의 고정홀에 위치되되, 제1 로드가 후방으로 밀리면 일단이 어느 하나의 고정홀에서 이탈되는 제2 로드;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제2 로드는, 슬라이드플레이트의 상면에 슬라이드플레이트의 너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바, 슬라이딩바의 일단에 형성되고 복수 개의 고정홀 중 어느 하나의 고정홀에 위치되는 고정돌기, 슬라이딩바에 형성되는 수용홈, 수용홈에 형성되는 경사면 및 슬라이딩바의 타단에 구비되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고, 제1 로드가 후방으로 밀리면, 제1 로드의 타단이 경사면에 미끄러지면서 수용홈에 수용되어 슬라이딩바가 슬라이딩바의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제1 로드의 일단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제1 로드의 일단과 접촉되는 노브의 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는, 커버플레이트의 너비 방향 타측에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고 내측에 전후 방향으로 복수 개의 고정홀이 형성된 보조가이드바; 슬라이드플레이트에 관통 형성되고 보조가이드바를 수용하는 보조가이드홈; 슬라이드플레이트의 상면에 슬라이드플레이트의 너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로드의 후방에 위치되되, 일단이 보조가이드바의 복수 개의 고정홀 중 어느 하나의 고정홀에 위치되는 제3 로드; 제2 로드의 후면과 제3 로드의 전면에 각각 형성되는 랙; 및 제2 로드와 제3 로드 사이에 구비되며, 랙에 치합되는 피니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슬라이딩 길이가 다양하게 조절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는, 랙과 피니언으로 인해 얇게 제작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는,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가 없어 신뢰성이 높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에 따른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이하 '암레스트(100)'라 함]의 사시도인 도 1과 암레스트(100)의 분해도인 도 2를 참조하면, 암레스트(100)는 커버플레이트(110), 슬라이드플레이트(120), 노브(130), 제1 로드(140) 및 제2 로드(150)를 포함한다.
커버플레이트(110)는 콘솔박스의 상단에 결합되어, 콘솔박스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콘솔박스의 상단을 감쌀 수 있는 형상이되, 후측이 콘솔박스의 후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커버플레이트(110)의 상면에는 가이드바(111)가 구비된다.
가이드바(111)는 커버플레이트(110)의 너비 방향 일측에 전후 방향으로 구비된다. 또한, 가이드바(111)의 내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복수 개의 고정홀(111a)이 이격되어 형성된다.
슬라이드플레이트(120)는 커버플레이트(110)의 상면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너비 방향 일측에 가이드바(111)를 수용하는 가이드홈(121)이 관통 형성된다.
가이드홈(121)은 슬라이드플레이트(120)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바(111)보다 긴 길이를 가진다.
노브(130)는 슬라이드플레이트(120)의 전방에 힌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노브(130)는 절곡된 바 형상이되, 가압부(131), 눌림부(132) 및 힌지축(133)을 포함한다.
가압부(131)는 노브(130)의 일단부에 위치하며, 사람의 손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플레이트(120)의 전방이나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힌지축(133)은 노브(130)의 절곡된 부분에 위치하며, 슬라이드플레이트(120)의 전방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노브(130)의 가압부(131)를 상방으로 가압하면, 눌림부(132)가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눌림부(132)는 노브(130)의 타단부에 위치하며, 후술할 제1 로드(140)를 후방으로 밀어내는 기능을 한다.
또한, 노브(130)는 경사면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부(134)는 제1 로드(140)의 일단과 접촉되는 노브(130)의 단부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경사면부(134)는 노브(130)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눌림부(132)가 하강되면 제1 로드(140)의 일단을 후방으로 밀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로드(140)는 바 형상이되, 슬라이드플레이트(120)의 상면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 로드(140)는 노브(130)의 눌림부(132)에 의해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눌림부(132)와 접촉되는 제1 로드(140)의 일단에는 경사면(1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경사면(141)은 상면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로드(150)는 바 형상이되, 슬라이드플레이트(120)의 상면에 슬라이드플레이트(120)의 너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로드(150)는 슬라이딩바(151), 고정돌기(152), 수용홈(153), 경사면(154) 및 리턴스프링(155)을 포함한다.
슬라이딩바(151)는 슬라이드플레이트(120)의 상면에 슬라이드플레이트(120)의 너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돌기(152)는 슬라이딩바(151)의 일단에 형성되고 가이드바(111)의 복수 개의 고정홀(111a)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된다.
수용홈(153)은 슬라이딩바(151)에 관통 형성되며, 제1 로드(140)의 타단이 수용된다.
경사면(154)은 수용홈(153)의 내부에 형성되고, 수용홈(153)에 제1 로드(140)의 타단이 수용되면, 고정돌기(152)가 가이드바(111)의 복수 개의 고정홀(111a) 중 어느 하나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경사면(154)은 수용홈(153)의 전면에서 고정돌기(152)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리턴스프링(155)은 슬라이딩바(151)의 타단에 구비되어 고정돌기(152)가 가이드바(111)의 복수 개의 고정홀(111a) 중 어느 하나에서 이탈된 뒤, 다시 원위치로 돌아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제1 로드(140)의 타단에도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로드(140)가 후방으로 밀리면, 고정돌기(152)가 가이드바(111)의 복수 개의 고정홀(111a) 중 어느 하나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암레스트(100)는 보조가이드바(112), 보조가이드홈(122), 랙(156), 피니언(160) 및 제3 로드(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가이드바(112)는 커버플레이트(110)의 상면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보조가이드바(112)는 커버플레이트(110)의 너비 방향 타측에 전후 방향으로 구비된다. 또한, 보조가이드바(112)의 내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복수 개의 고정홀(112a)이 이격되어 형성된다.
보조가이드홈(122)은 슬라이드플레이트(120)에 관통 형성되며, 슬라이드플레이트(120)의 너비 방향 타측에 위치하여 보조가이드바(112)를 수용한다.
보조가이드홈(122)은 슬라이드플레이트(120)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보조가이드바(112)보다 긴 길이를 가진다.
랙(156)은 제2 로드(150)의 후면에 제2 로드(15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피니언(160)은 슬라이드플레이트(120)의 상면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피니언(160)은 회전축이 슬라이드플레이트(120)의 상면에 수직하게 위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피니언(160)은 제2 로드(150)의 랙(156)에 치합되도록 제2 로드(150)의 후방에 위치한다.
제3 로드(170)는 바 형상이되, 슬라이드플레이트(120)의 상면에 슬라이드플레이트(120)의 너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3 로드(170)는 슬라이딩바(171), 고정돌기(172) 및 랙(173)을 포함한다.
슬라이딩바(171)는 슬라이드플레이트(120)의 상면에 슬라이드플레이트(120)의 너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돌기(172)는 슬라이딩바(171)의 일단에 형성되고 보조가이드바(112)의 복수 개의 고정홀(112a)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된다.
랙(176)은 제3 로드(170)의 상면에 제3 로드(17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피니언(160)에 치합된다.
암레스트(1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 3, 도 5 및 도 7과 각각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4, 도 6 및 도 8을 참조하여, 암레스트(100)가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과 도 4는 제2 로드(150)가 가이드바(111)의 고정홀(111a)로부터 이탈되고, 제3 로드(170)가 보조가이드바(112)의 고정홀(112a)로부터 이탈되어 슬라이드플레이트(12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다. 즉, 슬라이드플레이트(120)의 고정이 해체된 상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노브(130)의 가압부(131)가 상방으로 가압되면, 노브(130)의 눌림부(132)가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제1 로드(140)의 일단에 접촉되고, 제1 로드(14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된다. 이어서, 슬라이딩된 제1 로드(140)의 타단부가 제2 로드(150)의 경사면(154)에 미끄러지면서 제2 로드(150)의 수용홈(153)에 수용되면, 제2 로드(150)가 슬라이딩되어 고정돌기(152)가 가이드바(111)의 고정홀(111a)로부터 이탈되면서 제2 로드(150)의 랙(156)이 피니언(160)을 회전시킨다. 피니언(160)이 회전됨에 따라 피니언(160)에 치합된 제3 로드(170)의 랙(173)에 의해 제3 로드(170)가 슬라이딩되어 고정돌기(172)가 보조가이드바(112)의 고정홀(112a)로부터 이탈되어 슬라이드플레이트(120)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5와 도 6은 도 3의 상태를 유지한 채로 슬라이드플레이트(12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한 상태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노브(130)의 가압부(131)를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드플레이트(120)를 원하는 길이까지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킨다.
도 7과 도 8은 다시 제2 로드(150)가 가이드바(111)의 고정홀(111a)로 삽입되고 제3 로드(170)가 보조가이드바(112)의 고정홀(112a)로 삽입되어 슬라이드플레이트(120)가 슬라이딩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즉, 슬라이드플레이트(120)의 고정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노브(130)의 가압부(131)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제2 로드(150)의 리턴스프링(155)에 의해 제2 로드(150)가 슬라이딩되어 고정돌기(152)가 가이드바(111)의 또다른 고정홀(111a)로 삽입되면서 제2 로드(150)의 랙(156)이 피니언(160)을 회전시킨다. 피니언(160)이 회전됨에 따라 피니언(160)에 치합된 제3 로드(170)의 랙(173)에 의해 제3 로드(170)가 슬라이딩되어 고정돌기(172)가 보조가이드바(112)의 또다른 고정홀(112a)로 삽입된다. 이어서, 제1 로드(140)의 타단부가 제2 로드(150)의 경사면(154)에 의해 수용홈(153)으로부터 이탈되면, 제1 로드(14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슬라이드플레이트(120)가 고정 완료된 상태가 된다.
전술한 암레스트(100)는, 스토퍼로 인해 전후 슬라이딩만 가능한 종래의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와 달리, 복수 개의 고정홀(111a, 112a)이 형성된 가이드바(111, 112)와 가이드홈(121, 122)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슬라이딩 길이가 다양하게 조절된다.
또한, 전술한 암레스트(100)는, 상하로 회전되는 힌지로 작동되는 종래의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와 달리, 너비 방향으로 작동되는 랙(156, 173)과 피니언(160)으로 인해 얇게 제작되며,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아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가 없어 신뢰성이 높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할 때 사용된 표현(용어, 시각화된 이미지 등)들은 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도구적인 목적에 의해 선택된 것에 불과하다.
또한, 여건상 본 개시는 제한된 수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되었고,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새로운 실시예들을 창안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청구범위는 '발명의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난 일부 표현에 의하여 제한되어선 안되고, 명세서의 전반에 내재된 본원적인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100...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110... 커버플레이트
111... 가이드바 112... 보조가이드바
111a... 고정홀 112a... 고정홀
120... 슬라이드플레이트
121... 가이드홈 122... 보조가이드홈
130... 노브
131... 가압부 132... 눌림부
133... 힌지축 134... 경사면부
140... 제1 로드
141... 경사면
150... 제2 로드
151... 슬라이딩바 152... 고정돌기
153... 수용홈 154... 경사면
155... 리턴스프링 156... 랙
160... 피니언
170... 제3 로드
171... 슬라이딩바 172... 고정돌기
173... 랙

Claims (5)

  1. 콘솔박스를 개폐하도록 후측이 콘솔박스에 힌지 결합되는 커버플레이트;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너비 방향 일측에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고 내측에 전후 방향으로 복수 개의 고정홀이 형성된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를 수용하는 가이드홈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상면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드플레이트의 상면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로드;
    상기 슬라이드플레이트의 전방에 힌지 결합되고 일단이 상방으로 회전되면 타단이 상기 제1 로드의 일단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노브; 및
    상기 슬라이드플레이트의 상면에 상기 슬라이드플레이트의 너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복수 개의 고정홀 중 어느 하나의 고정홀에 위치되되, 상기 제1 로드가 후방으로 밀리면 일단이 상기 어느 하나의 고정홀에서 이탈되는 제2 로드;를 포함하는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드는,
    상기 슬라이드플레이트의 상면에 상기 슬라이드플레이트의 너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바,
    상기 슬라이딩바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홀 중 어느 하나의 고정홀에 위치되는 고정돌기,
    상기 슬라이딩바에 형성되는 수용홈,
    상기 수용홈에 형성되는 경사면 및
    상기 슬라이딩바의 타단에 구비되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로드가 후방으로 밀리면, 상기 제1 로드의 타단이 상기 경사면에 미끄러지면서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어 상기 슬라이딩바가 상기 슬라이딩바의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드의 일단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드의 일단과 접촉되는 상기 노브의 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너비 방향 타측에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고 내측에 전후 방향으로 복수 개의 고정홀이 형성된 보조가이드바;
    상기 슬라이드플레이트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보조가이드바를 수용하는 보조가이드홈;
    상기 슬라이드플레이트의 상면에 상기 슬라이드플레이트의 너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로드의 후방에 위치되되, 일단이 상기 보조가이드바의 복수 개의 고정홀 중 어느 하나의 고정홀에 위치되는 제3 로드;
    상기 제2 로드의 후면과 상기 제3 로드의 전면에 각각 형성되는 랙; 및
    상기 제2 로드와 상기 제3 로드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랙에 치합되는 피니언;을 더 포함하는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KR1020220111175A 2022-09-02 2022-09-02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KR20240032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175A KR20240032331A (ko) 2022-09-02 2022-09-02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175A KR20240032331A (ko) 2022-09-02 2022-09-02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2331A true KR20240032331A (ko) 2024-03-12

Family

ID=90299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175A KR20240032331A (ko) 2022-09-02 2022-09-02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233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952B1 (ko) 2014-07-02 2016-0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암레스트 콘솔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952B1 (ko) 2014-07-02 2016-0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암레스트 콘솔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71372B (zh) 可伸缩手柄装置
EP1705054B1 (en) Seat apparatus for vehicle
JP4412234B2 (ja) グローブボックス
US20180009387A1 (en) Multi-link knob type armrest and armrest console and vehicle using the same
US20100102064A1 (en) Lid body opening and closing device
DE102010003184A1 (de) Sitzanordnung mit einer Armstütze
JP2001180385A (ja) 収納ボックス
US20060249972A1 (en) Push/pull disengage mechanism for use with a rear row seat for selective seat tumble or removal from a vehicle
US20120048050A1 (en) Shift lever device
JPH11348665A (ja) 覆うことができる容器
EP2463465A2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glovebox for automobile and glovebox assembly having the same
FR3102720A1 (fr) Glissière pour siège de véhicule et siège de véhicule comportant une telle glissière.
JP6820410B2 (ja) 可変のトリガ切替え点を有するロック解除ユニット
JP2006240330A (ja) 車両用スイッチ操作機構
RU2670560C1 (ru) Скользящий ключ
US11162286B2 (en) Closing device for a storage compartment, storage compartment for a motor vehicle
KR20240032331A (ko)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KR102273871B1 (ko) 자동차용 슬라이딩 암레스트
JP2005188242A (ja) ロック装置
JP3987969B2 (ja) 車両用収納装置
JP3737655B2 (ja) グラブドアロック装置
JP4559055B2 (ja) ドアのラッチ装置
JP2010143548A (ja) コンソールリッドの開閉構造及び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1172138B1 (ko) 콘솔 암레스트 구조
JP2004089221A (ja) 収納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