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9516A -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9516A
KR20240029516A KR1020230107751A KR20230107751A KR20240029516A KR 20240029516 A KR20240029516 A KR 20240029516A KR 1020230107751 A KR1020230107751 A KR 1020230107751A KR 20230107751 A KR20230107751 A KR 20230107751A KR 20240029516 A KR20240029516 A KR 20240029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a
blanket
orthosilicate
wet gel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7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명은
박상우
김미리
이규련
오경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240029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951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C01B33/14Colloidal silica, e.g. dispersions, gels, sols
    • C01B33/157After-treatment of gels
    • C01B33/158Purification; Drying; Dehydrating
    • C01B33/1585Dehydration into aerog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C01B33/14Colloidal silica, e.g. dispersions, gels, sols
    • C01B33/157After-treatment of gels
    • C01B33/158Purification; Drying; Dehydr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C01B33/14Colloidal silica, e.g. dispersions, gels, sols
    • C01B33/157After-treatment of gels
    • C01B33/159Coating or hydrophobis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ilic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실리카 에어로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SILICA AEROGEL BLANCKET}
관련 출원과의 상호 인용
본 출원은 2022년 8월 26일자 한국 특허 출원 10-2022-0107778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들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스팀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겔(aerogel)은 나노입자로 구성된 고다공성 물질로서, 높은 기공률과 비표면적, 그리고 낮은 열 전도도를 가져 고효율의 단열재, 방음재 등의 용도로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에어로겔은 다공성 구조로 인해 매우 낮은 기계적 강도를 갖기 때문에 기존의 단열섬유인 무기섬유 또는 유기섬유 등의 섬유상 블랭킷에 에어로겔을 함침하여 결합시킨 에어로겔 복합체가 개발되고 있다.
일례로, 실리카 에어로겔을 이용한 실리카 에어로겔 함유 블랭킷의 경우, 실리카졸 제조 단계, 겔화 단계, 숙성(Aging) 단계, 표면개질 단계 및 건조 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이 때, 숙성 단계 및 표면개질 단계를 포함하는 경우, 다량의 용매가 필요하고, 제조 후 발생하는 다량의 폐액에 대해 별도 처리 비용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에어로겔 제조 공정은, 전체 공정 단계가 복잡하고, 공정 시간이 길어지며, 숙성 및 표면개질을 위한 추가 설비 및 공간의 증대로 대량 생산을 위한 상업화 시 제조 비용이 많아, 기존 단열재 대비 탁월한 단열 성능을 가짐에도 상업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에어로겔 블랭킷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상압 열풍 건조방법(열풍 건조)가 주로 실시되어 왔으나, 열풍 건조방법은 건조 샘플 외부에서 내부로 순차적으로 가열되기 때문에 휘발성 높은 유기 용매가 휘발성 낮은 물보다 먼저 증발된다. 이에 따라 건조가 진행될수록 겔의 기공 내 물의 함량이 높아지게 되므로 모세관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수축 현상 등으로 기공 구조가 파괴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기공 구조가 파괴된 에어로겔 블랭킷은 상대적으로 단열 성능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표면장력이 낮은 유기 용매로의 치환 없이 바로 건조하는 경우에는 더욱 심화될 수 있다.
또한, 열풍 건조방법은 건조 샘플의 온도가 최적의 건조 온도까지 상승하는데 비교적 장시간이 소요되므로 최적의 건조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건조가 이루어지므로 열풍 건조만으로 에어로겔 블랭킷을 건조하는 경우에는 건조 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유증기의 폭발 위험도 함께 수반된다.
열풍 건조방법의 낮은 건조 효율 및 단열 성능 악화를 보완하기 위한 건조 방법으로 초임계 건조방법이 제안되었다. 초임계 건조는 초임계 상태의 유체, 예컨대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고압 반응기에 투입하여 습윤겔 블랭킷 내 에탄올과 치환되어, 치환된 에탄올이 추출됨으로써 건조가 진행되는 방법이다. 그러나, 초임계 건조방법은 초임계 추출을 위한 별도의 건조 장치가 필요하여 초기 투자 비용이 매우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초임계 건조방법은 가압-추출-감압 단계를 필수적으로 거치게 되므로 건조 소요 시간이 큰 문제가 있다. 특히 초임계 건조 단계 중 추출 단계는 초임계 유체 대비 용매의 비율이 높은 초기에는 초임계 상태가 아닌 액상의 유체가 용매를 희석시켜 제거하는 원리가 적용되어 용매의 비율이 높을수록 추출에 필요한 시간이 현저하게 길어지게 된다. 또한, 초임계 추출기에서 건조가 이루어지므로 연속 건조공정이 불가능하고, 배치 공정만 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건조 공정 중 초임계 건조 공정만 적용하는 경우 에어로겔 블랭킷의 상업화/양산화가 곤란하다는 문제점도 야기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1-0033498호 (2001.04.25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건조를 수행하여 단열성이 우수한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1) 실리카 전구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리카졸을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실리카졸을 블랭킷용 기재에 함침시키는 단계; 3) 상기 실리카졸을 블랭킷용 기재에 함침시킨 상태에서 실리카졸을 겔화시켜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을 표면개질하는 단계; 및 5) 상기 표면개질된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을 스팀 건조기 내에 위치시킨 후 스팀을 공급하여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 건조기 내부의 온도는 70℃ 초과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2) 본 발명은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5)에서 스팀은 유량 0.1 내지 25 kg/h로 공급하는 것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3) 본 발명은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스팀 건조기 내부의 온도는 80 내지 250℃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4) 본 발명은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단계 5)에서 스팀을 30분 내지 2시간 동안 공급하는 것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5) 본 발명은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블랭킷용 기재는 필름, 시트, 네트, 섬유,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또는 이들의 2층 이상의 적층체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6) 본 발명은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전구체 조성물은 물유리를 포함하는 것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7) 본 발명은 상기 (6)에 있어서, 상기 겔화는 아세트산, 옥살산, 질산, 황산 및 불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산 촉매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8) 본 발명은 상기 (6)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표면개질은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을 아세트산 및 산 촉매를 포함하는 산 혼합물 수용액에 침지시키며 알킬디실록산계 화합물로 표면개질하는 것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9) 본 발명은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전구체 조성물은 실리콘 함유 알콕사이드계 화합물, 알코올 및 산성 수용액을 혼합한 것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10) 본 발명은 상기 (9)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함유 알콕사이드계 화합물은 테트라메틸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methyl orthosilicate; TMOS), 테트라에틸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ethyl orthosilicate; TEOS), 메틸트리에틸 오르소실리케이트(methyl triethyl orthosilicate), 디메틸디에틸 오르소실리케이트(dimethyl diethyl orthosilicate), 테트라프로필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propyl orthosilicate), 테트라이소프로필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isopropyl orthosilicate), 테트라부틸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butyl orthosilicate), 테트라세컨드리부틸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 secondary butyl orthosilicate), 테트라터셔리부틸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 tertiary butyl orthosilicate), 테트라헥실오르소실리케이트(tetrahexyl orthosilicate), 테트라시클로헥실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cyclohexyl orthosilicate) 및 테트라도데실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dodecyl orthosilic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단시간 안에 효율적으로 건조를 수행하면서도 높은 단열성을 가지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은, 1) 실리카 전구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리카졸을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실리카졸을 블랭킷용 기재에 함침시키는 단계; 3) 상기 실리카졸을 블랭킷용 기재에 함침시킨 상태에서 실리카졸을 겔화시켜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을 표면개질하는 단계; 및 5) 상기 표면개질된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을 스팀 건조기 내에 위치시킨 후 스팀을 공급하여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 건조기 내부의 온도는 70℃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각 단계 별로 자세히 설명한다.
단계 1)
상기 단계 1)은 실리카 전구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리카졸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실리카 전구체는 제조되는 에어로겔이 실리카를 함유할 수 있도록 하는 물질로, 예컨대 물유리나 실리콘 함유 알콕사이드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물유리는 이산화규소(SiO2)와 알칼리를 융해해서 얻은 규산 알칼리염인 소듐 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 Na2SiO3)일 수 있고, 상기 실리카 전구체가 물유리일 때, 실리카 전구체 조성물은 물유리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희석한 물유리 용액일 수 있다.
상기 물유리 용액은 이산화규소(SiO2)를 1 중량% 내지 13 중량%로 함유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물유리 용액 내 이산화규소가 상기 범위보다 낮은 함량으로 함유된 경우에는 에어로겔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이산화규소가 상기 범위보다 높은 함량으로 함유된 경우에는 겔화가 용이하게 진행되지 않거나 비표면적이 저하될 수 있다.
실리카 전구체로서 반드시 물유리 용액을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실리콘 함유 알콕사이드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테트라메틸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methyl orthosilicate; TMOS), 테트라에틸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ethyl orthosilicate; TEOS), 메틸트리에틸 오르소실리케이트(methyl triethyl orthosilicate), 디메틸디에틸 오르소실리케이트(dimethyl diethyl orthosilicate), 테트라프로필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propyl orthosilicate), 테트라이소프로필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isopropyl orthosilicate), 테트라부틸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butyl orthosilicate), 테트라세컨드리부틸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 secondary butyl orthosilicate), 테트라터셔리부틸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 tertiary butyl orthosilicate), 테트라헥실오르소실리케이트(tetrahexyl orthosilicate), 테트라시클로헥실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cyclohexyl orthosilicate), 테트라도데실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dodecyl orthosilicate) 등과 같은 테트라알킬 실리케이트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카 전구체는 테트라에틸 오르소실리케이트(TEOS)일 수 있다.
상기 실리카 전구체가 실리콘 함유 알콕사이드계 화합물일 때, 실리카 전구체 조성물은 실리콘 함유 알콕사이드계 화합물, 알코올 및 산성 수용액을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구체적으로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과 같은 1가 알코올; 또는 글리세롤,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솔비톨 등과 같은 다가 알코올일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중에서도 물 및 에어로겔과의 혼화성을 고려할 때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6의 1가 알코올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알코올은 표면개질 반응을 촉진시키는 동시에 최종 제조되는 에어로겔에서의 소수화도를 고려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한 함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성 수용액에 포함되는 산 촉매는 구체적으로 질산, 염산, 아세트산, 황산 및 불산 등과 같은 1 종 이상의 무기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실리콘 함유 알콕사이드계 화합물을 수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 전구체의 종류와 관계없이, 실리카 전구체는 실리카졸 내 포함되는 실리카의 함량이 1 내지 13 중량%가 되도록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리카 전구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충족하면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기계적 물성, 특히 유연성을 우수한 수준으로 확보하면서도 개선된 단열 효과를 가지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단계 2)
상기 단계 2)는 상기 실리카졸을 블랭킷용 기재에 함침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함침"은 블랭킷용 기재에 유동성이 있는 촉매화된 졸을 투입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블랭킷용 기재 내부 기공에 촉매화된 졸이 침투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함침은 블랭킷용 기재를 수용할 수 있는 반응 용기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반응 용기에 졸을 붓거나, 졸이 담긴 반응 용기 내에 블랭킷용 기재를 넣어 적시는 방법으로 침적시킬 수 있다. 이 때 블랭킷용 기재와 졸의 결합을 좋게 하기 위해 블랭킷용 기재를 가볍게 눌러 충분히 함침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일정한 압력으로 블랭킷용 기재를 일정 두께로 가압하여 잉여의 졸을 제거하여 이후의 건조 시간을 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랭킷용 기재는 필름, 시트, 네트, 섬유,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또는 이들의 2층 이상의 적층체일 수 있다. 또한, 용도에 따라 그 표면에 표면조도가 형성되거나 패턴화된 것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랭킷용 기재는 블랭킷용 기재 내로 에어로겔의 형성이 용이한 공간 또는 공극을 포함함으로써 단열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섬유일 수 있으며, 낮은 열 전도도를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랭킷용 기재는 폴리아미드,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아라미드, 아크릴수지, 페놀수지,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올레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등), 셀룰로오스, 카본, 면, 모, 마, 부직포, 유리섬유 또는 세라믹울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3)
상기 단계 3)은 상기 실리카졸을 블랭킷용 기재에 함침시킨 상태에서 실리카졸을 겔화시켜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겔화(gelation)는 전구체 물질로부터 망상 구조를 형성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망상 구조(network structure)는 원자 배열이 1종 혹은 그 이상의 종류로 되어 있는 어떤 특정한 다각형이 이어진 평면 그물 모양의 구조 또는 특정 다면체의 정점, 모서리, 면 등을 공유하여 3차원 골격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구조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실리카 전구체가 물유리일 때, 겔화는 산 촉매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산 촉매로는, 화합물 분자 구조 내에 염소를 포함하지 않는 유기산 및 무기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아세트산, 옥살산, 질산, 황산 및 불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아세트산, 질산, 황산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 촉매는 실리카졸의 pH가 3 내지 10이 되도록 하는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리카졸의 pH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겔화가 용이하지 않거나, 겔화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거나 느려져 공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실리카 전구체가 실리콘 함유 알콕사이드계 화합물일 때, 겔화는 염기 촉매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염기 촉매는 실리카졸의 pH를 증가시켜 겔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염기 촉매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무기 염기; 또는 수산화암모늄과 같은 유기 염기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 염기는 수산화암모늄(NH4OH), 테트라메틸암모늄 히드록시드(TMAH), 테트라에틸암모늄 히드록시드(TEAH), 테트라프로필암모늄 히드록시드(TPAH), 테트라부틸암모늄 히드록시드(TBAH), 메틸아민, 에틸아민, 이소프로필아민, 모노이소프로필아민, 디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디부틸아민,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이소프로필아민, 트리부틸아민, 콜린,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2-아미노에탄올, 2-(에틸 아미노)에탄올, 2-(메틸 아미노)에탄올, N-메틸 디에탄올아민, 디메틸아미노에탄올, 디에틸아미노에탄올, 니트릴로트리에탄올, 2-(2-아미노에톡시)에탄올, 1-아미노-2-프로판올, 트리에탄올아민, 모노프로판올아민, 또는 디부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염기는 수산화암모늄(NH4OH), 수산화나트륨(NaOH)일 수 있다.
상기 염기 촉매는 실리카졸의 pH가 3 내지 10이 되도록 하는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리카졸의 pH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겔화가 용이하지 않거나, 겔화 속도가 지나치게 느려져 공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염기는 고체상으로 투입시 석출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한 알코올(극성 유기 용매)에 의해 희석된 용액상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부가 공정: 숙성 공정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 3)의 겔화 후 제조된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을 숙성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을 적당한 온도에서 방치하여 화학적 변화가 완전히 이루어지도록 위한 공정으로, 숙성 단계는 상기 형성된 망상구조를 더 견고하게 형성시킬 수 있어,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기계적 안정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숙성 단계는 최적의 기공 구조 강화를 위하여 적절한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의 숙성 단계는 30 내지 70℃의 온도에서 3시간 내지 50시간 동안 방치시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숙성 온도가 상기 온도 범위인 경우 적정 수준의 숙성으로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고, 유기용매의 증발에 의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의 숙성 시간은 열전도도와 소수화도를 만족할 수 있는 범위로서, 바람직하게는 6시간 내지 48시간, 더 바람직하게는 18시간 내지 48시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숙성 단계는 겔화가 완료된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을 회수한 후 별도의 반응 용기에서 수행할 수도 있고, 또는 겔화가 수행된 반응 용기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공정의 효율 및 장비의 간소화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겔화가 수행된 상기의 반응 용기에서 숙성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4)
상기 단계 4)는 상기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을 표면개질하는 단계이다.
에어로겔의 표면에 존재하는 친수성 작용기를 소수성 작용기로 치환하는 경우 소수성 작용기들 사이의 반발력에 의해 에어로겔의 건조 시 용매의 표면 장력에 의한 기공의 수축을 최소화할 수 있다. 건조된 에어로겔은 건조 직후에는 낮은 열전도율을 유지하지만, 에어로겔의 표면에 존재하는 하이드록시 작용기, 예컨대 상기 에어로겔이 실리카 에어로겔인 경우 실리카 표면에 존재하는 친수성의 실라놀기(Si-OH)가 공기 중의 물을 흡수함으로써 열전도율이 점차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낮은 열전도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에어로겔 표면을 소수성으로 개질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표면개질은 습윤겔 표면을 소수화하는 화합물을 사용하여 제한 없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실란(silane)계 화합물, 실록산(siloxane)계 화합물, 실라놀(silanol)계 화합물, 실라잔(silazane)계 화합물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리메틸클로로실란(Trimethylchlorosilane, TMCS), 디메틸 디메톡시 실란, 디메틸 디에톡시 실란, 메틸 트리메톡시 실란(methyltrimethoxysilane), 트리메틸에톡시실란(rimethylethoxysilane), 비닐 트리메톡시 실란, 에틸 트리에톡시 실란(ethyltriethoxysilane), 페닐트리에톡시실란(phenyltriethoxysilane), 페닐 트리메톡시 실란, 테트라에톡시 실란, 디메틸 디클로로 실란, 3-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등을 포함하는 실란계 화합물; 폴리디메틸 실록산, 폴리디에틸 실록산, 또는 옥타메틸 시클로테트라 실록산 등을 포함하는 실록산계 화합물; 트리메틸실라놀, 트리에틸실라놀, 트리페닐실라놀 및 t-부틸디메틸실라놀 등을 포함하는 실라놀계 화합물; 1,2-디에틸디실라잔(1,2-diethyldisilazane), 1,1,2,2-테트라메틸디실라잔(1,1,2,2-tetramethyldisilazane), 1,1,3,3-테트라메틸디실라잔(1,1,3,3-tetramethyl disilazane), 1,1,1,2,2,2-헥사메틸디실라잔(1,1,1,2,2,2-hexamethyldisilazane, HMDS), 1,1,2,2-테트라에틸디실라잔(1,1,2,2-tetraethyldisilazane) 또는 1,2-디이소프로필디실라잔(1,2-diisopropyldisilazane) 등을 포함하는 실라잔계 화합물;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헥사메틸디실라잔일 수 있다.
예컨대, 실리카 전구체로서 실리콘 함유 알콕사이드계 화합물을 사용할 때, 상기 표면개질제는 유기용매에 희석시킨 용액 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는 알코올(유기용매)일 수 있고, 이 때 상기 표면개질제는 전체 희석용액 부피 기준으로 1 내지 15 부피%로 희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개질제는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에 대하여 0.01 내지 10 부피%가 되는 양으로 첨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범위에서 표면개질제의 양이 충분하여 표면개질 반응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표면개질이 용이하기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건조 시 표면개질되지 않은 실라놀기의 축합반응을 억제하여 최종 생성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이 더욱 우수한 다공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단계 4)는 50 내지 90 ℃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의 온도에서 표면개질제를 첨가하여 1 내지 24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실리카 전구체로서 물유리를 사용할 때, 상기 단계 4)에서 상기 표면개질에 앞서 상기 습윤겔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톨루엔을 가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톨루엔을 추가적으로 가할 경우, 상기 톨루엔은 상기 습윤겔에 상기 산 혼합물 수용액을 가한 이후로부터 상기 알킬디실록산계 화합물을 가하기 전에 가해지거나, 또는 상기 산 혼합물 수용액 및 상기 알킬디실록산계 화합물과 동시에 함께 가해질 수 있다.
상기 단계 4)에서 상기 톨루엔이 추가적으로 가해질 경우, 상기 톨루엔은 소수성인 상기 유기 용액층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 촉매로 황산이 사용될 경우 상기 톨루엔을 가하면, 황산과 톨루엔의 반응을 통해 P-톨루엔설폰산이 형성되고, 상기 P-톨루엔설폰산이 상기 알킬디실록산계 화합물에 의한 표면개질 반응을 활성화시키는 촉매로 작용하여 더욱 우수한 표면개질 반응 속도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단계 4) 이후의 산 촉매의 농도(w/w%)는, 상기 단계 4) 이후에 산 혼합물 수용액 층에 포함된 산 촉매의 농도를 의미하며, 하기 수학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산 촉매의 농도는 상기 단계 4) 이후 상기 산 혼합물 수용액 층의 물의 중량을 측정한 다음, 상기 산 혼합물 수용액 층의 산 촉매의 중량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로 측정하여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2]
산 촉매 농도(w/w%) = 산 촉매의 중량 / (산 촉매의 중량 + 산 혼합물 수용액 층 중 물의 총 중량)×100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산 혼합물 수용액에 침지시키는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습윤겔 내부의 산 농도와 상기 습윤겔 밖의 산 농도가 평형을 이루게 되므로, 상기 침지 이후의 산 혼합물 수용액 층의 산 농도를 측정할 경우, 상기 습윤겔 내부의 산 농도를 알 수 있고, 이로써 표면개질에 관여하는 산 농도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단계 4) 이후, 상기 산 혼합물 수용액 층에 포함되어 있는 물은, 상기 아세트산 수용액 및 산 촉매에 포함되어 있는 물, 상기 습윤겔에 포함되어 있는 물, 상기 습윤겔의 친수성의 소수화 반응에서 유래한 물 중, 단계 4) 이후 잔류하는 것일 수 있고, 이들의 총 중량이 상기 산 혼합물 수용액 층 중 물의 총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단계 4)는 상기 습윤겔을 산 혼합물 수용액에 침지시키는 과정이 이루어진 후, 상기 알킬디실록산계 화합물로 표면개질 시키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은 상기 단계 4)에서 상기 습윤겔을 상기 산 혼합물 수용액에 침지시킬 때, 아세트산 및 산 촉매를 포함하는 산 혼합물 수용액을 사용하고, 상기 아세트산이 상기 습윤겔에 대하여 일정 부피를 만족하도록 하면서, 상기 단계 4) 이후, 아세트산 농도가 전술한 값을 만족하는지 확인함으로써, 습윤 겔, 특히 물유리 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하이드로겔에 대하여 빠르고도 충분하게 효과적으로 표면개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알킬디실록산계 화합물은 습윤겔의 부피를 기준으로 1 내지 3배, 구체적으로 1 내지 2.5배, 더욱 구체적으로 1 내지 2배의 부피비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알킬디실록산계 화합물은 상기 습윤겔을 개질시키고, 상기 습윤겔의 용매치환을 위해 상기 습윤겔의 부피를 기준으로 1배 이상의 부피로 투입될 필요가 있으며, 상기 알킬디실록산계 화합물의 투입량을 증가시킬 경우 설비의 크기가 커질 필요성이 있으므로, 상기 알킬디실록산계 화합물은 상기 습윤겔의 부피를 기준으로 상기 범위 값으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알킬디실록산계 화합물은 헥사알킬디실록산계 화합물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헥사(C1-8 알킬)디실록산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헥사메틸디실록산일 수 있다.
상기 표면개질 반응은 25℃ 내지 95℃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윤겔을 산 혼합물 수용액에 침지시키는 과정 및 상기 습윤겔을 알콕시디실록산계 화합물로 표면개질하는 과정에서는 교반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반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50 rpm 내지 700 rpm의 속도로 교반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 4)는 2 내지 24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표면개질 효과를 우수한 수준으로 유지하면서도 공정의 경제성을 개선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2시간 또는 8 내지 2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4)가 상기 습윤겔을 산 혼합물 수용액에 침지시키는 과정이 이루어진 후, 상기 알킬디실록산계 화합물로 표면개질 시키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경우, 상기 산 혼합물 수용액에 침지시키는 과정은 30분 내지 4시간, 구체적으로 30분 내지 3시간, 더욱 구체적으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알킬디실록산계 화합물로 표면개질 시키는 과정은 1시간 30분 내지 20시간, 구체적으로 3시간 내지 19시간, 더욱 구체적으로 6시간 내지 18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리카 전구체가 물유리일 경우, 표면개질은 유기 실란 화합물을 포함하는 표면개질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실리카 전구체가 실리콘 함유 알콕사이드계 화합물일 경우, 표면개질은 극성 용매 및 유기 실란 화합물을 포함하는 표면개질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극성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 실란 화합물은 트리메틸클로로실란(Trimethylchlorosilane, TMCS), 헥사메틸디실라잔(hexamethyldisilazane, HMDS), 메틸트리메톡시실란(methyltrimethoxysilane, MTMS), 트리메틸에톡시실란(trimethylethoxysilane, TMES), 에틸트리에톡시실란(ethyltriethoxysilane, ETES), 또는 페닐트리에톡시실란(phenyltriethoxysilane, PTES)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트리메틸에톡시실란 또는 헥사메틸디실라잔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표면개질은 극성 용매의 경우 습윤겔에 대하여 0.5 내지 10.0의 부피비로, 유기 실란 화합물의 경우 습윤겔에 대하여 0.1 내지 10.0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기 실란 화합물과 극성 용매를 포함하는 표면개질제의 경우 습윤겔에 대하여 0.5 내지 10.0의 부피비일 수 있다. 유기 실란 화합물의 습윤겔에 대한 부피비가 0.1 미만일 때는 반응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며, 표면개질 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며, 유기 실란 화합물의 부피비가 10.0 초과 일때는 원가 상승의 문제가 있고, 미반응 표면개질제가 건조 시 수축을 유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피비로 유기 실란 화합물과 극성 용매가 혼합될 수 있고, 혼합된 상태의 표면개질제는 유기 실란 화합물이 표면개질제 총 부피 대비 10 부피% 내지 60 부피%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표면개질제 내 유기 실란 화합물의 함량은 소수화도 및 열전도도에 영향을 줄 수 있고 고함량일수록 개선될 수 있으나, 60 부피%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표면개질 효율의 증가는 없고, 폐 유기 실란 화합물의 양만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양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상기 표면개질 공정은 10시간 내지 50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15시간 내지 50시간, 더 바람직하게 18시간 내지 48시간,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4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표면개질 공정의 수행 시간은 적절한 소수화도를 얻기 위한 것으로 최종 에어로겔 블랭킷의 열전도도 및 소수화도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위 범위 내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개질 단계는 겔화 또는 숙성이 완료된 실리카 습윤겔-섬유 복합체를 회수한 후 별도의 반응 용기에서 수행할 수도 있고, 또는 겔화 또는 숙성이 수행된 반응 용기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공정의 효율 및 장비의 간소화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겔화 또는 숙성이 수행된 상기의 반응 용기에서 숙성 및 표면개질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의 표면개질 단계를 수행한 이후에는 소수성의 습윤겔-섬유 복합체를 얻을 수 있다.
단계 5)
단계 5)는 상기 표면개질된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을 스팀 건조기 내에 위치시킨 후 스팀을 공급하여 건조시키는 단계이고, 이 때 스팀 건조기 내부의 온도는 70℃ 초과이다.
상압 건조 공정은 고압의 반응 조건 및 초임계 건조를 위한 특수한 고압 설비 등이 필요하지 않아 공정이 간단하고 경제적인 측면이 있지만, 물 또는 유기용매가 고온에서 증발함에 따라, 초임계 건조 대비 겔의 내부 기공 구조의 무너짐이 현저히 발생하여 단열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유증기의 폭발 위험이 존재한다는 안전성의 문제가 있다.
한편, 초임계 건조의 경우 고압 조건에서 진행되어 높은 비용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진공 건조의 경우 건조 중 내부의 온도 하강으로 인해 에어로겔 블랭킷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의 건조 방법으로 스팀 건조 공법을 도입함으로써 건조 시 발생하는 에어로겔의 수축을 억제하여 단열성을 향상시켰으며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필요한 장비나 조건을 단순화함으로써 건조의 경제성도 함께 개선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다른 건조 방법을 이용할 때의 문제점이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팀 건조기는 그 형태나 장치 명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을 건조시키는 본 발명의 목적을 충분히 수행하기 위해, 스팀이 스팀 건조기 내에서 응축되지 않도록 승온시키고 온도를 유지하는 기능이 수행되어야 하며, 스팀의 압력과 약한 음압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팀은 유량 0.1 내지 25 kg/h로 공급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유량은 5 내지 25 kg/h, 15 내지 25 kg/h일 수 있다.
스팀의 공급 유량이 상기 범위 내일 때에, 스팀에 의한 열 전달 효과가 우수하여 건조 효율이 우수하고 에어로겔 블랭킷의 물성이 향상되고, 필요 이상의 스팀 사용으로 인한 경제성 하락을 방지하고 잔여 물로 인한 축합 반응이 유도되어 에어로겔 물성 저하가 나타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팀 건조기 내부의 온도는 70℃ 초과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80 내지 250℃, 80 내지 200℃, 80 내지 120℃일 수 있다.
스팀 건조기 내부의 온도가 상기 범위 내일 때, 너무 낮은 온도로 인해 스팀이 응축되어 열 전달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주변 열에 의한 높은 온도로 인해 에어로겔 블랭킷의 내외부 물성 차이가 발생하고 에너지 비용 절감이 어려운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팀은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에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가해지는 것이라면 그 구체적인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스팀 건조기 내부에서 스팀이 분사되는 방향, 스팀 분사의 속도나 총량 또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팀을 가하는 건조 시간은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예컨대 30분 내지 2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건조 방법은 실리카졸 준비 시 실리카 전구체로서 물유리 용액을 사용하였을 때 그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실리카 전구체로서 물유리를 사용할 경우 표면개질이 완료된 실리카 습윤겔 내에는 용매로서 표면개질제가 잔류하게 되는데, 표면개질제는 소수성으로 물과 섞이지 않으므로 건조 후에도 회수된 표면개질제(용매)와 응축된 스팀이 쉽게 분리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는 고가이며 재사용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면개질제의 회수, 최종 생성물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회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은, 건조시키는 단계 전 세척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세척은 반응 중 발생된 불순물 및 잔류 암모니아 등을 제거하여 고순도의 소수성의 에어로겔을 얻기 위한 것으로, 유기용매를 이용한 희석공정 또는 교환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은 구체적으로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일 수 있고,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에어로겔 블랭킷은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물유리 33.8 g을 물 108.1 g에 희석하여 물유리 용액을 제조하고, 이에 아세트산(97%) 7.8 g을 첨가하여 실리카졸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리카졸을 유리섬유에 함침시킨 후 10분 동안 방치하여 습윤겔이 함침된 유리섬유 복합체를 얻었다.
아세트산(≥97%) 140 g과 70%(w/w%)의 질산 수용액 15 g을 혼합하여 제조한 산 혼합물 수용액을 상기 습윤겔이 함침된 유리섬유에 부어 60℃의 오븐에서 2시간 동안 온도를 유지하며 침지시킨 다음, 헥사메틸디실록산(HMDSO) 160 g을 첨가하고, 75℃의 오븐에서 16시간 동안 온도를 유지하며 표면개질 반응을 진행시켰다. 이때, 상기 산 혼합물 수용액 중 상기 아세트산은 상기 습윤겔의 부피 1 L를 기준으로 1 L의 양으로 사용되었고, 상기 헥사메틸디실록산은 상기 습윤겔의 부피 1L를 기준으로 1.5L의 양으로 사용되었다.
이후 표면개질된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을 스팀 건조기에 위치시킨 후, 지속적으로 스팀을 주입하여 스팀 건조를 수행하였다(스팀 건조기 내부 온도 90℃, 스팀 유량 20 kg/h, 시간 30분).
실시예 2
테트라에틸오르소실리케이트(TEOS)와 함수 에탄올을 3: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 용액에, 물에 희석한 염산 용액(농도=0.15 중량%)을 상기 혼합 용액의 pH가 1이 되도록 첨가한 후, 함수 에탄올을 추가로 혼합하여 실리카졸(실리카 함량 4wt%)을 제조하였다.
이후 실리카졸에 염기 촉매를 0.5 부피%로 첨가하여 겔화 반응을 개시하고 유리섬유를 침적시켜, 실리카 습윤겔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헥사메틸디실라잔과 에탄올을 1:19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표면개질제 용액을 습윤겔에 대하여 90 부피%로 첨가하고 70℃ 에서 4시간 동안 표면개질시켜 소수성의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을 제조하였다.
이후 표면개질된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을 스팀 건조기에 위치시킨 후, 지속적으로 스팀을 주입하여 스팀 건조를 수행하였다(스팀 건조기 내부 온도 90℃, 스팀 유량 20 kg/h, 시간 30분).
실시예 3
건조 조건을 스팀 건조기 내부 온도 150℃, 스팀 유량 20 kg/h, 시간 30분으로 제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건조 조건을 스팀 건조기 내부 온도 90℃, 스팀 유량 25 kg/h, 시간 30분으로 제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건조 조건을 스팀 건조기 내부 온도 90℃, 스팀 유량 20 kg/h, 시간 60분으로 제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건조 조건을 스팀 건조기 내부 온도 200℃, 스팀 유량 20 kg/h, 시간 30분으로 제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건조 조건을 스팀 건조기 내부 온도 90℃, 스팀 유량 10 kg/h, 시간 30분으로 제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을 컨벡션 오븐에 넣고, 150℃에서 90분 동안 상압 건조를 진행하여 용매와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을 150℃의 진공 오븐에서 90분 동안 진공 건조하여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을 초임계 추출기에 넣고 이산화탄소를 주입하고, 추출기 내의 온도를 1시간에 걸쳐 50℃로 승온하고, 50℃, 100 bar에서 초임계 건조를 실시함으로써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건조 조건을 스팀 건조기 내부 온도 70℃, 스팀 유량 20 kg/h, 시간 30분으로 제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에서 15 cm × 15 cm 크기를 가지는 샘플을 각 블랭킷 당 5개씩 준비하고, 샘플에 대해 NETZSCH社의 HFM 436 Lambda장비를 이용하여 상온(23±5℃) 열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열 전도도는 상기 장비에서 열유속 트랜스듀서(heat flux transducer)가 고온 플레이트(hot plate)와 저온 플레이트(cold plate) 사이에 위치한 샘플의 열유량(heat flow)를 측정하여, 이를 통해서 열 전도도 값을 알고 있는 기준 물질로부터 교정계수(calibration factor, N)를 얻을 수 있고, 이 N 값과 샘플의 열유량 측정 값으로부터 열 전도도의 계산 값을 얻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샘플의 두께도 함께 측정 값으로 도출된다.
열 전도도(mW/mK) 두께(mm) 건조 시간(min)
실시예 1 17.5 10.1 30
실시예 2 17.8 10.3 30
실시예 3 18.0 10.2 30
실시예 4 17.4 10.0 30
실시예 5 17.7 10.2 60
실시예 6 17.9 10.3 30
실시예 7 17.8 10.2 30
비교예 1 18.1 10.1 90
비교예 2 21.9 9.1 90
비교예 3 17.4 10.1 240
비교예 4 25.0 9.5 30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건조를 수행한 실시예 1 내지 7의 경우, 수축 발생 없이 건조가 진행되었으며 단열 성능 또한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물성을 얻기 위해 필요한 건조 시간도 짧았다.한편, 비교예 1 및 2의 경우 실시예 수준으로 건조를 완료하기 위해서는 훨씬 긴 시간이 필요한 것을 통해 건조 시간이 스팀 건조 대비 길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3은 초임계 건조를 수행하였는데, 실시예와 유사한 수준의 물성을 얻기 위해서는 건조 시간이 8배로 길게 필요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 4는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통해 건조 도중 수축이 발생하고, 단열 성능 또한 실시예 대비 저하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스팀 건조의 온도가 낮아 스팀이 스팀 건조기 내부의 벽면과 블랭킷 표면에서 응축하였기 때문에 스팀이 열 전달체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블랭킷 표면에 물방울이 형성되어 건조를 느리게 하거나 수축을 발생시킨 것임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0)

1) 실리카 전구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리카졸을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실리카졸을 블랭킷용 기재에 함침시키는 단계;
3) 상기 실리카졸을 블랭킷용 기재에 함침시킨 상태에서 실리카졸을 겔화시켜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을 표면개질하는 단계; 및
5) 상기 표면개질된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을 스팀 건조기 내에 위치시킨 후 스팀을 공급하여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 건조기 내부의 온도는 70℃ 초과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5)에서 스팀은 유량 0.1 내지 25 kg/h로 공급하는 것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팀 건조기 내부의 온도는 80 내지 250℃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5)에서 스팀을 30분 내지 2시간 동안 공급하는 것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랭킷용 기재는 필름, 시트, 네트, 섬유,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또는 이들의 2층 이상의 적층체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전구체 조성물은 물유리를 포함하는 것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겔화는 아세트산, 옥살산, 질산, 황산 및 불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산 촉매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표면개질은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을 아세트산 및 산 촉매를 포함하는 산 혼합물 수용액에 침지시키며 알킬디실록산계 화합물로 표면개질하는 것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전구체 조성물은 실리콘 함유 알콕사이드계 화합물, 알코올 및 산성 수용액을 혼합한 것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함유 알콕사이드계 화합물은 테트라메틸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methyl orthosilicate; TMOS), 테트라에틸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ethyl orthosilicate; TEOS), 메틸트리에틸 오르소실리케이트(methyl triethyl orthosilicate), 디메틸디에틸 오르소실리케이트(dimethyl diethyl orthosilicate), 테트라프로필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propyl orthosilicate), 테트라이소프로필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isopropyl orthosilicate), 테트라부틸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butyl orthosilicate), 테트라세컨드리부틸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 secondary butyl orthosilicate), 테트라터셔리부틸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 tertiary butyl orthosilicate), 테트라헥실오르소실리케이트(tetrahexyl orthosilicate), 테트라시클로헥실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cyclohexyl orthosilicate) 및 테트라도데실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dodecyl orthosilic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
KR1020230107751A 2022-08-26 2023-08-17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 KR202400295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778 2022-08-26
KR20220107778 2022-08-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9516A true KR20240029516A (ko) 2024-03-05

Family

ID=90013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7751A KR20240029516A (ko) 2022-08-26 2023-08-17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29516A (ko)
WO (1) WO202404361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3498A (ko) 1998-01-13 2001-04-25 마싸 앤 피네간 에어로겔 제조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495B1 (ko) * 2010-05-17 2012-05-21 주식회사 화인텍 소수성 실리카 에어로젤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1206796B1 (ko) * 2010-08-20 2012-11-30 주식회사 화인텍 소수성 실리카 에어로젤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130048740A (ko) * 2013-04-02 2013-05-10 이재환 액상 경화성 조성물
CN105377758B (zh) * 2014-02-06 2018-04-03 Lg化学株式会社 疏水二氧化硅气凝胶的制备方法
CN108314411B (zh) * 2018-01-03 2020-02-21 深圳中凝科技有限公司 采用无氯无醇工艺制备二氧化硅气凝胶复合材料的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3498A (ko) 1998-01-13 2001-04-25 마싸 앤 피네간 에어로겔 제조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43616A1 (ko) 202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71542B2 (ja) エアロゲルブランケットの製造方法
KR102148388B1 (ko)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JP2019503952A (ja) 超高温用エアロゲルブランケット、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489175B1 (ko)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
KR102537160B1 (ko) 습윤겔 블랭킷의 건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
CN115003642A (zh) 制备气凝胶毡的方法和由此制备的气凝胶毡
KR102475766B1 (ko) 재활용 용매를 사용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
KR20210038232A (ko)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
KR102429099B1 (ko)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의 초임계 건조 방법
KR102559049B1 (ko)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
KR20240029516A (ko)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
KR102555087B1 (ko) 에어로겔 블랭킷
JP7322156B2 (ja) シリカゾル、これを用いて製造したシリカエアロゲルブランケ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2272653A (zh) 用于二氧化硅湿凝胶毡的超临界干燥方法
KR20210080035A (ko) 에어로겔 블랭킷의 건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
KR20210017749A (ko) 습윤겔 블랭킷의 건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
KR20220165663A (ko) 실리카 에어로겔 및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 방법
KR20220037782A (ko) 초임계 건조방법
KR20220137360A (ko) 에어로겔 복합체 제조방법 및 에어로겔 복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